KR102398366B1 -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366B1
KR102398366B1 KR1020210092281A KR20210092281A KR102398366B1 KR 102398366 B1 KR102398366 B1 KR 102398366B1 KR 1020210092281 A KR1020210092281 A KR 1020210092281A KR 20210092281 A KR20210092281 A KR 20210092281A KR 102398366 B1 KR102398366 B1 KR 102398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user computing
cryptocurrency
affiliated store
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환
Original Assignee
김송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환 filed Critical 김송환
Priority to KR102021009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대체불가 토큰 또는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상품을 제공하는 가맹점 컴퓨팅장치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 또는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에서 채굴하여 생성한 AI 예술품의 가치를 대체불가 토큰으로 평가하는 가치평가 서버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 각각에 전자지갑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의 상품 매매 협의가 이루어지면, 상기 전자지갑간에 암호화폐 또는 대체불가 토큰을 이전하는 지갑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DeFi, non-fungible token and metaverse platform system}
본 발명은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재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금융, 유통, 공공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갖고 있다. 블록체인의 사전적 정의는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디지털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이다.
최초의 블록체인인 블록체인 1.0은 디지털 화폐 비트코인(Bitcoin)의 분산 원장이다. 2008년 발간된 비트코인 백서에는 신뢰가 결여된 네트워크 상에서 분산 통화를 구축하고 안전하게 운영하는 프로토콜에 필요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2009년 1월 공개된 비트코인 소프트웨어는 모두가 코드를 분석하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이다. 비트코인 소프트웨어가 공개된 다음 해부터 비트코인의 코드 변경을 통해 속도, 개인 정보 보호, 소유권 등과 같은 트랜잭션 기능이 개선된 많은 비트코인 클론(Litecoin, Zcash, Monero 등)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네트워크가 커짐에 따라 채굴을 위해 많은 하드웨어를 필요로 한다는 점, 중앙 집중식 채굴 커뮤니티, 네트워크 확장성의 부족과 같은 비트코인의 문제들은 새로운 기술 혁신의 물결을 촉발시켰습니다
이와 같은 흐름에 따라 블록체인 2.0인 이더리움(Ethereum)이 제안되었다.
2013년 이더리움(Ethereum)이라는 스타트업이 비트코인 개념을 화폐 이상으로 확대하자고 제안하였다. 이더리움 창업자는 개발자와 기업가가 새로 개발을 하거나 비트코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분산 원장 네트워크에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을 구축할 수 있는 이더리움만의 플랫폼을 제안했다.
이더리움은 자산을 쉽게 토큰화 할 수 있도록 했으며, 매우 짧은 시간 내에 강력한 개발자 커뮤니티를 구성하여 기업 지원을 받는 등 진정한 생태계를 구축했다.
그러나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확장성이 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이더리움 블록 체인 및 그와 유사한 기술들은 에너지 효율성이 매우 낮고, 낮은 수준의 블록 검증 속도와 높은 네트워크 수수료 등의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많은 사람들이 블록체인을 사용하는데 장벽이 되었다.
블록체인의 3세대는 기존의 암호 공간에 새로운 개념을 추가하면서 1세대와 2세대에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려는 새로운 업계 참여자들을 말한다.
EOS, IOTA, Qtum 또는 Cardano와 같은 회사는 블록체인의 확장성, 속도 및 에너지 소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각 회사는 새로운 접근 방식, 기술 구조, 합의 알고리즘 등을 제안하고 있다.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유망한 여러 기술들이 있다.
하지만 실제 환경에 적용할 수 있게 설계된 기술은 소수에 불과하며, 지난 2년 동안 시작된 수 천개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중 일상생활의 문제점들을 개선해줄 실용적인 프로젝트는 여전히 매우 부족하다.
대부분의 기술들은 현실 세계와의 상호 작용이 부족하여 다양한 산업군에서 실질적인 기술 구현이 힘들고,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유익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시장의 요구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ERC-20 기반의 프로토콜 기술을 적용하여 결제 솔루션을 확산시킬 수 있는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존하는 다양한 암호화폐를 쉽고 안전하게 통합 관리하고, 결제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대체불가 토큰 또는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상품을 제공하는 가맹점 컴퓨팅장치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 또는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에서 채굴하여 생성한 AI 예술품의 가치를 대체불가 토큰으로 평가하는 가치평가 서버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 각각에 전자지갑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의 상품 매매 협의가 이루어지면, 상기 전자지갑간에 암호화폐 또는 대체불가 토큰을 이전하는 지갑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에 대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메타버스 환경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지갑은, 상기 AI 예술품의 가치에 따른 상기 대체불가 토큰을 저장하고, 상기 AI 예술품의 매매에 따라 상기 대체불가 토큰을 다른 전자지갑을 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지갑은, 상기 암호화폐들의 현재 가치정보를 이용하여 각 암호화폐들의 상대적인 가치비율을 결정하는 가치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암호화폐들의 상대적인 가치비율은, 특정 암호화폐를 기준으로 다른 암호화폐들의 가치를 비율로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지갑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 또는 가맹점 컴퓨팅장치로부터 암호화폐 교환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치평가모듈의 평가결과에 따라 특정 암호화폐를 다른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교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AI 예술품의 채굴은, 상기 메타버스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채굴 캐릭터 및 채굴 도구로 형상화하여, 사용자 체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지갑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내의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품은, 실물 상품, 서비스 상품, 경매, 펀딩, 채용, 문화 컨텐츠 또는 AI 예술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AI 예술품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 또는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에서 단독 또는 협업으로 채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AI 예술품은,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를 이용하여 채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호화폐의 순환 모델을 제공하여, 암호화폐가 경제 시스템에서 결제 부분에 원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호화폐를 범용 지불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AN 기반의 예술품을 생성하고 가치를 정할 수 있는 새로운 암호화폐를 제안하여, 예술품의 결재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AI 예술품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지갑 제공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전자지갑(11)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대체불가 토큰을 이용한 AI 예술품 거래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전자지갑을 보유한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실물상품, 서비스상품 및 AI 예술품을 제공하는 가맹점 컴퓨팅장치(30)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의 거래에 따른 대금의 결재를 암호화폐의 가감으로 처리하는 전자지갑을 제공하는 지갑 제공 서버(10)와, 상기 지갑 제공 서버(10)의 요청에 따라 현재 각 암호화폐의 가치 정보를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40)와, 거래 내역을 인증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 및 피어(50)와, AI 예술품을 감정하고 가치를 산정하는 감정평가 서버(60)와, 상기 지갑 제공 서버(10)의 서비스 내용을 메타버스로 구현하는 메타버스 제공 서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컴퓨팅장치(20)는 암호화폐를 채굴하거나,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암호화폐 전자지갑을 보유한 디바이스인 것으로 한다. 특히 사용자 컴퓨팅장치(20)에서의 채굴은 AI 예술품의 생성인 것으로 한다.
AI 예술품은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이미지, 음악 등일 수 있다.
GAN은 생성기 신경망과 판별기 신경망이라고 하는 두 가지 신경망으로 구성된 심층 신경망 아키텍처이며, 두 신경망이 여러 세대에 걸쳐서 생성과 판별을 반복하며 대항해서 훈련하는 특징이 있다.
생성기 신경망(Generator network)은 기존 데이터를 사용해서 신규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잠재공간(latentspace)이라는 무작위 숫자 벡터를 바탕으로 데이터(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를 생성한다.
판별기 신경망(discriminator network)은 실제 데이터와 생성된 데이터 중에서 다중 클래스 분류나 이진분류를 사용해서 어떤 것이 실제인지 구별하며, 최종적으로 생성기와 판별기 신경망은 훈련을 하는 것처럼 작동하며, 판별기가 실제 예술품과 가짜 예술품을 구분하지 못하는 내시 균형(Nash equilibrium) 상태에 도달하여, 새로운 AI 예술품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GAN 어플리케이션은 이미지의 생성, 텍스트와 이미지 합성, 이미지 변환, 비디오 합성, 이미지 생성, 이미지 보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CGAN(Conditional GAN)을 이용하여 이미지 상에서 사람의 얼굴 노화, DCGAN(Deep Convolutional GAN)을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캐릭터 생성하기, SRGAN(Super-Resolution GAN)을 이용하여 초고해상도 사진화, Stack GAN으로 텍스트로부터 사진 같은 이미지 생성, Cycle GAN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스타일 변화나 그림을 사진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또한, GAN Synth이나 Muse GAN을 이용하여 작곡을 할 수 있는 등 AI 예술품을 만들고, 이 결과물을 상품화하여 판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 간의 결재는 대체불가 토큰(NFT, Non Fungible Token)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대체불가 토큰의 발행은 실제로 고유한 자산인 디지털 예술품(AI 예술품 포함), 저작권 등 고유 가치를 가지는 자산을 기준으로 지갑 제공 서버(10)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때, AI 예술품의 가치는 대체불가 토큰으로 결정되며, 이를 위해 감정평가 서버(60)에서는 사용자 컴퓨팅장치(20) 또는 가맹점 컴퓨팅장치(30)에서 생성한 AI 예술품의 가치를 평가하고, 그 평가결과를 대체불가 토큰으로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컴퓨팅장치(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이며, 풀 노드(full node) 또는 라이트 노드(light node)일 수 있다. 라이트 노드인 경우 알려진 바와 같이 원장을 보유하지 않으며 풀노드에 거래 데이터를 요청하여 개별 거래를 검증 받아야 한다.
사용자 컴퓨팅장치(20)는 컴퓨터, 노트북 등 PC일 수 있으며, 태블릿, 스마트폰 등 모바일 디바이스이거나,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컴퓨팅장치(20)는 클라우드 네트워크의 에지노드에 연결되는 포괄적 개념의 에지 디바이스(edge device) 일 수 있다.
사용자 컴퓨팅장치(20)는 바람직하게 게임 방식 또는 메타버스 내에서 AI 예술품 또는 암호화폐를 채굴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며, 채굴과 관련된 내용은 이후에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갑 제공 서버(10)는 암호화폐 결재 플랫폼 제공의 주축이며, 사용자 컴퓨팅장치(20) 및 가맹점 컴퓨팅장치(30) 각각의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자지갑을 제공한다. 전자지갑은 대체불가 토큰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전자지갑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존재함과 아울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인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 각각에도 존재할 수 있다.
지갑 제공 서버(10)는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하며, 보안을 강화하고,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폐를 필요에 따라 상호 교환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지갑 제공 서버(10)는 앞서 설명한 가치평가 서버(60)에서 평가된 AI 예술품을 기반으로 대체불가 토큰을 발행한다.
도 2는 지갑 제공 서버(10)에서 제공하는 전자지갑(11)의 블록 구성도이다.
전자지갑(11)은 암호화폐들 각각의 현재 가치를 확인하고, 암호화폐들의 교환 기준을 제공하는 가치평가모듈(12)과, 이중 개인 키 또는 그룹 키, 랜덤 키를 제공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이중보안모듈(13)과, 사용자 컴퓨팅장치(20)의 위치를 기반으로 주변의 가맹점 컴퓨팅장치(30)의 위치정보를 사용자 컴퓨팅장치(20)로 제공하는 위치정보모듈(14)과, 요청에 의해 보유한 특정 암호화폐를 상기 가치평가모듈(12)의 교환 기준에 따라 교환하는 교환모듈(15)과, 상호 인증된 결재 내용에 따라 지갑모듈(17)에 저장된 암호화폐 또는 대체불가 토큰을 다른 전자지갑으로 이동시키는 결재모듈(16)을 포함한다.
전자지갑(11)의 가치평가모듈(12)은 지갑 제공 서버(10)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40)에 알려진 암호화폐에 대한 현재 가치 정보를 요청하고, 암호화폐 거래소 서버(40)에서 확인한 암호화폐들 각각에 대한 현재 가치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폐들의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A암호화폐의 가치는 B암호화폐의 1.23배 등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때의 평가는 기준 암호화폐를 정하고, 그 기준 암호화폐에 대한 각 암호화폐의 상대적인 가치일 수 있다.
이때의 평가 결과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중보안모듈(13)은 지갑 내의 데이터들을 이중 키로 암호화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의 암호화 키는 개인 키, 그룹 키, 랜덤 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모바일 기반의 전자지갑(11)의 보안성 강화를 위하여 이중 키로 암호화하는 것으로 한다.
지갑의 소실시 인증을 통해 지갑을 복원할 수 있도록 하며, 전자지갑(11)의 복원이 가능하도록 전자지갑(11)의 적어도 결재 내역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분산 저장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결재 내역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 및 피어(50)에서 인증, 블록생성의 방법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인증에 의해 전자지갑(11)의 복원이 가능하다.
위치정보모듈(14)은 GPS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20)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위치정보모듈(14)은 가맹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컴퓨팅장치(2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내의 가맹점 컴퓨팅장치(30)의 위치를 사용자 컴퓨팅장치(2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20)는 바람직하게 모바일 디바이스이며, 전자지갑(11)을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전자지갑(11)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위치정보모듈(14)에서 제공하는 가맹점 컴퓨팅장치(30)의 위치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위치정보모듈(14)은 가맹점에서 취급하는 암호화폐의 종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교환모듈(15)은 사용자 컴퓨팅장치(2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요청에 따라 전자지갑(11)의 지갑모듈(17)에 저장된 암호화폐를 사용자가 지정한 다른 암호화폐로 교환할 수 있다.
이때의 교환은 지갑 제공 서버(10)에서 보유한 암호화폐와의 교환일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 컴퓨팅장치(20)에서 매칭되는 교환 요청에 따라 교환할 수 있다.
즉, 특정 사용자 컴퓨팅장치(20)에서 A암호화폐를 B암호화폐로 교환을 요청하고, 다른 사용자 컴퓨팅장치(20)에서 B암호화폐를 A암호화폐로 교환을 요청하는 경우 두 사용자 컴퓨팅장치(20)가 각각 보유한 A암호화폐와 B암호화폐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이때, 교환 가치는 앞서 가치평가모듈(12)에서 평가한 결과에 따른 비율로 교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래소를 직접 이용하지 않고도 단일 결재 플랫폼 내에서 원하는 암호화폐로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가맹점 컴퓨팅장치(30)의 결재모듈(31)에서 취급하는 암호화폐에 부합하는 암호화폐로 즉시 교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대금의 결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지갑모듈(17)에는 사용자 또는 가맹점이 보유한 암호화폐가 종류별로 저장되며, 보유한 대체불가 토큰의 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 간의 거래에 따라 결재모듈(16)을 통해 지갑모듈(17)에 저장된 암호화폐 또는 대체불가 토큰이 사용자 컴퓨팅장치(20)의 지갑모듈에서 가맹점 컴퓨팅장치(30)의 지갑모듈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처리는 각 지갑모듈의 합의에 따른다.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간의 거래는 오프라인 상에서의 모바일 결재이거나 온라인 상의 모바일 결재일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30)에서 제공하는 상품은, 실물상품, 서비스상품, 경매, 펀딩, 채용, 문화 컨텐츠 등일 수 있으며, 특히 AI 예술품일 수 있다.
도 3은 대체불가 토큰을 이용한 AI 예술품 거래 과정의 흐름도이다.
생성자는 AI 예술품을 생성(S31)하고, 대체불가 토큰화 한다(S32).
이때 생성자는 사용자 컴퓨팅장치(20)일 수 있으며, 가맹점 컴퓨팅장치(30)일 수도 있다.
AI 예술품을 생성하는 단계(S31)는 앞서 설명한 GAN을 이용한 방식인 것으로 한다.
대체불가 토큰화는 ERC-721기반의 토큰화일 수 있다.
그 다음, S33단계와 같이 AI 거래소에 AI 예술품을 등록한다.
AI 거래소는 앞서 설명한 가맹점 컴퓨팅장치(30)일 수 있다.
그 다음, 앞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의 협의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지고, 토큰 또는 암호화폐로 결재될 수 있다.
또한, 암호화폐를 일정한 포인트로 전환한 포인트로 결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도 1의 구성에 포인트 교환 서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도 1을 참조한 설명과 동일하며, 포인트 교환 서버(80)는 사용자 컴퓨팅장치(20)의 암호화폐 또는 대체불가 토큰을 포인트로 교환하고, 가맹점 컴퓨팅장치(30)에서 사용자가 포인트로 결재를 할 수 있다.
이때 포인트 결재는 지갑 제공 서버(10)에서 일정한 가치에 따라 사용자 컴퓨팅장치(20)의 전자지갑(11)에 보유한 암호화폐 또는 대체불가 토큰을 일정한 가치를 가지는 포인트로 교환하고, 교환된 포인트로 결재하는 것을 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버스 제공 서버(70)는 적어도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를 위한 메타버스 환경을 제공한다.
즉, 메타버스 제공 서버(70)는 가상의 공간에서 사용자 컴퓨팅장치(20)의 사용자 및 가맹점 컴퓨팅장치(30)의 사용자 캐릭터를 생성하고,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간의 거래가 메타버스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보안성을 향상시키면서, 다양한 암호화폐를 이용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20) 및 가맹점 컴퓨팅장치(30)는 채굴기를 이용하여 채굴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이때의 채굴 방식은 게임의 수행 방식이거나 통상의 가상화폐 채굴방식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채굴이 가능하도록 한다.
채굴은 상기 메타버스 제공 서버(70)가 제공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채굴을 수행하는 캐릭터는 곡괭이, 대형 해머드릴, 포크레인등의 채굴 도구를 사용하여 직접 채굴을 하는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제공 서버(70)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환전소를 제공하여, 앞서 설명한 암호화폐 교환이 환전소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채굴은 AI 예술품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채굴에 참여한 사용자 컴퓨팅장치(20) 또는 가맹점 컴퓨팅장치(30)는 채굴 수행 횟수나 기타의 기준으로 등급화한다.
즉, 지갑 제공 서버(10)는 각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를 등급화한다. 이때의 등급은 채굴비율을 뜻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 중 하나는 그룹의 게이트웨이로 작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특정되는 그룹은 그룹핑을 통해 이루어지고, 동일 그룹 내의 노드인 사용자 컴퓨팅장치(20)와 가맹점 컴퓨팅장치(30)는 채굴 협업을 할 수 있다.
채굴에 성공했을 때의 보상은 등급별 채굴비율 별로 지급되는 것으로 한다.
즉, 등급이 높을 수록 더 많은 보상을 받게 된다. 이때의 보상은 채굴된 AI 예술품의 소유 지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보상 외에 채굴 게임 또는 메타버스 내에서 사용되는 아바타, 채굴 도구의 업그레이드 또는 꾸미기에 사용되는 게임 포인트를 지갑 제공 서버(10)에서 제공할 수 있다.
게임 포인트의 획득 정도에 따라 등급의 조정이 가능하다.
이처럼 채굴된 AI 예술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I 예술품 거래소(가맹점 컴퓨팅장치(30))에 등록하고, 판매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지갑 제공 서버 20:사용자 컴퓨팅장치
30:가맹점 컴퓨팅장치 60:가치평가 서버
70:메타버스 제공 서버 80:포인트교환 서버

Claims (10)

  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용자 컴퓨팅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상품을 제공하는 가맹점 컴퓨팅장치;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 또는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에서 채굴하여 생성한 AI 예술품의 가치를 대체불가 토큰으로 평가하는 가치평가 서버; 및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 각각에 전자지갑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의 상품 매매 협의가 이루어지면, 상기 전자지갑간에 암호화폐 또는 대체불가 토큰을 이전하는 지갑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는 특정한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가맹점 컴퓨팅장치 중 하나를 게이트웨이로 하는 그룹핑을 통해 그룹 단위로 채굴을 통해 AI 예술품을 채굴하며,
    상기 지갑 제공 서버는, 그룹에 속한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의 채굴 수행 횟수에 따른 등급을 결정하고, 등급에 따라 채굴된 AI 예술품의 소유 지분을 나누어 제공하며, 채굴에 사용되는 아바타 및 채굴도구의 꾸미기에 사용되는 게임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와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에 대하여 메타버스 환경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메타버스 환경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은,
    상기 AI 예술품의 가치에 따른 상기 대체불가 토큰을 저장하고,
    상기 AI 예술품의 매매에 따라 상기 대체불가 토큰을 다른 전자지갑을 이전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은,
    상기 암호화폐들의 현재 가치정보를 이용하여 각 암호화폐들의 상대적인 가치비율을 결정하는 가치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암호화폐들의 상대적인 가치비율은,
    특정 암호화폐를 기준으로 다른 암호화폐들의 가치를 비율로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 또는 가맹점 컴퓨팅장치로부터 암호화폐 교환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가치평가모듈의 평가결과에 따라 특정 암호화폐를 다른 암호화폐로 교환하는 교환모듈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I 예술품의 채굴은,
    상기 메타버스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채굴 캐릭터 및 채굴 도구로 형상화하여,
    사용자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갑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 내의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실물 상품, 서비스 상품, 경매, 펀딩, 채용, 문화 컨텐츠 또는 AI 예술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I 예술품은,
    상기 사용자 컴퓨팅장치 또는 상기 가맹점 컴퓨팅장치에서 단독 또는 협업으로 채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I 예술품은,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를 이용하여 채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10092281A 2021-07-14 2021-07-14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KR10239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81A KR102398366B1 (ko) 2021-07-14 2021-07-14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81A KR102398366B1 (ko) 2021-07-14 2021-07-14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366B1 true KR102398366B1 (ko) 2022-05-13

Family

ID=8158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281A KR102398366B1 (ko) 2021-07-14 2021-07-14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36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736B1 (ko) * 2022-06-23 2023-02-17 주식회사 디시에스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메타버스에 기반한 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4785B1 (ko) * 2022-11-11 2023-05-18 정희용 소프트웨어 교육 결과물에 대한 가상자산화 장치
KR102557128B1 (ko) * 2022-08-10 2023-07-19 주식회사 이포넷 Nft 지갑 관리를 이용한 기부echo 시스템 및 동작 방법
WO2023224338A1 (ko) * 2022-05-20 2023-11-23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메타버스 상에서 상품 유통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23229276A1 (ko) *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메타버스 상에서 상품 담보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23229274A1 (ko) *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메타버스 상에서 상품 유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금융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40015443A (ko) 2022-07-27 2024-02-05 주식회사 카우라 사용자 맞춤형 디지털 이미지 꾸미기 편집 및 nft 발행 시스템 및 방법
WO2024106636A1 (ko) * 2022-11-15 2024-05-23 주식회사 블록버스터랩 게임 런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332B1 (ko) * 2020-04-07 2020-07-31 블랍스 주식회사 Dapp 블록체인 전자지갑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00094531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하나은행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8687A (ko) * 2019-07-15 2021-01-25 노명진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210013810A (ko) * 2019-07-29 2021-0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체인 기반의 스마트 투어리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63284A (ko) * 2021-05-12 2021-06-01 김권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블럭체인 기반의 전시체험 솔루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531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하나은행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8687A (ko) * 2019-07-15 2021-01-25 노명진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210013810A (ko) * 2019-07-29 2021-0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체인 기반의 스마트 투어리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40332B1 (ko) * 2020-04-07 2020-07-31 블랍스 주식회사 Dapp 블록체인 전자지갑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10063284A (ko) * 2021-05-12 2021-06-01 김권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블럭체인 기반의 전시체험 솔루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338A1 (ko) * 2022-05-20 2023-11-23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메타버스 상에서 상품 유통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23229274A1 (ko) *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메타버스 상에서 상품 유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금융 서비스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23229276A1 (ko) *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메타버스 상에서 상품 담보 가치 평가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499736B1 (ko) * 2022-06-23 2023-02-17 주식회사 디시에스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메타버스에 기반한 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15443A (ko) 2022-07-27 2024-02-05 주식회사 카우라 사용자 맞춤형 디지털 이미지 꾸미기 편집 및 nft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557128B1 (ko) * 2022-08-10 2023-07-19 주식회사 이포넷 Nft 지갑 관리를 이용한 기부echo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534785B1 (ko) * 2022-11-11 2023-05-18 정희용 소프트웨어 교육 결과물에 대한 가상자산화 장치
WO2024101497A1 (ko) * 2022-11-11 2024-05-16 정희용 소프트웨어 교육 결과물에 대한 가상자산화 장치
WO2024106636A1 (ko) * 2022-11-15 2024-05-23 주식회사 블록버스터랩 게임 런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8366B1 (ko)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US11847529B2 (en) Architectur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 defined transaction system and decentralized cryptocurrency systems
Divya et al. IOTA-next generation block chain
CN109697606A (zh) 基于创新性的信誉证明共识协议的分布式网络及生态系统
Anwar et al. Generation analysis of blockchain technology: bitcoin and ethereum
Suhaliana bt Abd Halim et al. Blockchain security hole: issues and solutions
Hill et al. Blockchain Quick Reference: A guide to exploring decentralized blockchain application development
Zheng et al. Blockchain-based decentralized application: A survey
Zakarneh et al. Cryptocurrenci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 review
Averin et al. Review of blockchain frameworks and platforms
Kulkarni Learn Bitcoin and Blockchain: Understanding blockchain and Bitcoin architecture to build decentralized applications
Cai et al. Advanced Blockchain Technology: Frameworks and Enterprise-Level Practices
Parmar et al. A conceptual study on holochain and blockchain technology
Azad An introduction to cryptocurrency investigations
Stevenson Getting started with Bitcoins
Salhout et al. Visionizing a Fiat Cryptocurrency
Khandelwal et al. Blockchain, Cryptocurrency and It's Future Analysis
Nassar et al. Why Bitcoin is so original, and why its copies are doomed to fail?
Singh Building Multi-location, Trustful and High Availability Platforms with Blockchain and Cryptocurrencies: A Review
Yang et al. Non-Fungible Tokens (NFTs): tokens of digital assets on the blockchain
Marković et al. Development of Cryptocurrency
Wang et al. Infrastructure—Extension
Swanson Bitcoin Hurdles: the Public Goods Costs of Securing a Decentralized Seigniorage Network which Incentivizes Alternatives and Centralization
Lüssem et al. Risks inherent within various models of decentralised crypto networks:A framework for an objective discussion about the level of decentralisation in crypto networks and risks to true decentralisation
Arslanian Bitco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