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587A -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587A
KR20230143587A KR1020230125112A KR20230125112A KR20230143587A KR 20230143587 A KR20230143587 A KR 20230143587A KR 1020230125112 A KR1020230125112 A KR 1020230125112A KR 20230125112 A KR20230125112 A KR 20230125112A KR 20230143587 A KR20230143587 A KR 20230143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node
trader
trader no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우
프레드릭 매시 제임스
키즈 마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증권대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3122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8265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증권대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증권대차
Publication of KR2023014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오퍼(offer)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오퍼 정보 중 상기 제1 거래자 노드의 제1 거래 조건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수락(accept) 대상 오퍼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거래자 노드 및 상기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2 거래자 노드 사이의 거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ASSET TRANSACTIONS}
본 발명은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유가 증권 대차 거래(securities lending & borrowing transaction)란, 대여자가 유가 증권의 소유권을 차입자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차입자는 해당 유가 증권과 동일한 종목과 수량의 유가 증권을 반환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되는 증권 소비 대차 거래 계약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차 거래가 성립되면, 해당 유가 증권의 처분권과 수익원이 차입자에게 이전되며, 이에 대한 반대 급부로서 차입자는 대여자가 대차 거래를 하지 않았으면 받을 수 있었던 경제적 이익, 예컨대, 현금이나 주식 형태의 배당금, 무상주, 유상주 등을 보상하게 된다.
대차 거래는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활용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매도를 위한 용도(short selling), 공매도를 통하여 차익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용도(arbitrage transaction), 담보로서 이용하기 위한 용도(collateral usage), 결제 대용을 위한 용도(fail coverage), 기존 대차 거래에서 회수 요청이 들어온 대차 물량을 새로운 대차 물량으로 대체하기 위한 용도(recall coverage), 기존 대차 거래의 대차 물량을 보다 낮은 수수료의 대차 물량으로 대체하기 위한 용도(refinancing), 기존 대차 거래의 대차 물량을 보다 안정적인 대차 물량으로 대체하기 위한 용도(replacement)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난 수년 간 대차 거래의 횟수와 금액은 급증하였으나, 장외에서 이루어지는 대차 거래의 계약을 확정함에 있어서 대차 거래 참가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거래 상대방과 조건에 맞는 다수의 거래를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발견, 협상, 및 확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이하, "거래의 발견 및 확정"), 이러한 거래에 대한 유효성(validation) 검증을 할 수 있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기술의 부재로 인해 대차 거래 참가자들은 대차 거래를 위한 협의를 하기 위하여 전화, 메신저, 블룸버그 터미널(Bloomberg Terminal), 이메일 등에 의존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차입자가 주식을 공매도하기 위해서는 차입자 자신이 공매도 주문 이전에 차입 주식을 소유하고 있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차입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시점은 해당 주식의 차입이 완료되거나 해당 주식에 대한 대차 거래 계약이 확정된 시점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대차 거래 계약이 확정되는 즉시 공매도에 대한 매도 호가 주문을 내고 있는데, 현재의 방식으로는 주식 대차 물량 발견(discovery) 또는 탐색(searching), 협상(negotiation), 계약 확정(confirmation) 및 검증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위의 사항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첫째로, 대차 거래 참가자가 서로 다른 통신 수단(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채팅, 이메일 등)으로 개별적으로 의사 소통을 해야 했기 때문에, 대차 거래 계약을 체결함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어 왔다. 특히 분과 초를 다투는 금융시장에서 짧은 시간 동안 다수의 증권에 대한 계약의 확정이 요구되는데, 현실적으로는 다수의 거래를 발견 및 확정을 도와주는 관련 기술의 부재로 인하여 매우 비효율적이고 느린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로, 대차 거래 참가자 쌍방이 갖고 있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화 또는 메신저로 협의가 이뤄질 경우, 쌍방이 확정하는 정보에 오류가 있다면 이는 무차입 공매도 또는 결제 불이행이라는 중대한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쌍방 간에 이루어지는 협의 내역에 대한 유효성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인데, 현재의 방식에서는 이러한 유효성 검증을 사람이 자의적인 해석에 따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로, 입력 과정에 오류가 생길 수 있다. 확정된 내역을 수기로 각자의 시스템에 입력을 하다 보면 이는 착오 또는 실수 입력(fat-finger error)의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착오 또는 실수 입력은 무차입 공매도 및 결제 지연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되며 실제로 골드만삭스가 입력 과정의 오류로 한국에서 무차입 공매도를 한 사례가 있으며, 이로 인해 상당한 금액의 과징금이 부과된 사례가 있다.
넷째로, 거래의 발견 및 확정과 관련된 기술은 중앙 집중화된 구조에서 거래소가 참가자들의 거래를 매칭해주는 형태(예를 들어, 호가 또는 게시판의 형태)로 이루어지기에 이러한 플랫폼의 제공자(예를 들어, 거래소)가 모든 정보를 소유하고 그들이 정하는 알고리즘과 방식에 따라 거래의 발견 및 확정이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중앙 집중화(centralized)된 구조에서는 플랫폼 제공자가 모든 정보를 관리하게 되어, 거래 참가자들의 거래 정보에 대한 기밀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외부 공격에도 취약할 수밖에 없다. 또한, 거래의 발견 및 확정을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에 의존해야 하기에 자신이 원하는 참가자와 자신이 원하는 조건과 방식에 따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장외 시장의 성격이 희석될 수밖에 없었으며, 거래가 확정되기 전까지는(또는, 호가 경쟁 방식의 경우에는 거래가 확정된 이후에도), 거래 상대방조차 알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해왔다.
따라서, 하나 또는 다수의 거래자(예를 들어, 차입자)가 하나 또는 다수의 거래 상대방(예를 들어, 대여자)과 다수의 거래에 대해서 중앙 집중화된 거래의 발견 및 확정없이 개별적으로 거래의 발견 및 확정을 수행하고, 그 거래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유효하지 않는 거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나아가, 장내 또는 장외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유가 증권 대차 거래 외에도 장내 시장 또는 장외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금융(예를 들어, Total Return Swap, Interest Rate Swap 등), 비금융(예를 들어, 인터넷 광고 비딩(bidding), 호텔 또는 비행기의 예약, 부동산, 데이터 등), 기타 자산(예를 들어, 가상 화폐, 포인트, 마일리지 등) 등에 관한 거래를 포함하는 모든 자산 거래를 대상으로도 앞서 살펴본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0821호(2009.01.0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집중화된 방식이 아닌 분산화된 방식(예를 들어, 개인-개인, 개인-기관, 기관-기관 사이의 P2P(peer to peer) 등)을 기반으로 자산 거래의 발견, 협의 및 확정 과정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래 참가자가 거래를 희망하는 상대방 또는 희망하는 조건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거래와 연관되는 정보를 중앙 집중화된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해당 거래마다 참가자별로 분리(segregate)하여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보장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화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자산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자산 거래의 오류 및 착오 거래를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오퍼(offer)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오퍼 정보 중 상기 제1 거래자 노드의 제1 거래 조건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수락(accept) 대상 오퍼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거래자 노드 및 상기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2 거래자 노드 사이의 거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오퍼(offer)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오퍼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오퍼 정보 중 상기 제1 거래자 노드의 제1 거래 조건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수락(accept) 대상 오퍼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거래자 노드 및 상기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2 거래자 노드 사이의 거래를 확정하는 거래 확정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집중화된 방식이 아닌 분산화된 방식(예를 들어, 개인-개인, 개인-기관, 기관-기관 사이의 P2P(peer to peer) 등)을 기반으로 자산 거래의 발견, 협의 및 확정 과정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참가자가 거래를 희망하는 상대방 또는 참가자가 희망하는 조건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기반으로 참가자 자신이 거래를 희망하는 상대방 또는 참가자 자신이 희망하는 조건에 따라 거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거래와 연관되는 정보를 중앙 집중화된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해당 거래마다의 참가자별로 분리하여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산화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자산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자산 거래의 오류 및 착오 거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산 거래를 지원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산 거래가 지원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자산이란, 금융 자산(예를 들어, 유가 증권), 비금융 자산(예를 들어, 부동산), 기타 자산(예를 들어, 가상 화폐, 포인트, 마일리지 등) 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서,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대상을 포괄하는 최광의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유가증권이란, 사전적으로는 일정한 금전이나 화물 등의 유가물에 대해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표시된 증서, 즉, 상법상의 재산권을 표시하는 증서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유가증권은 반드시 상법이나 증권거래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가증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차 거래(Securities Lending and Borrowing Transaction)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객체를 포괄하는 최광의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유가증권에는, 상장 주식, 비상장 주식, 채권, 수익 증권, 신주 인수권, 수익 증권을 포함하는 금융 상품, 선물, 주식 스왑(Equity Swap)을 포함하는 파생 상품, ELS(주가연계증권, Equity-Linked Securities), ELW(주식워런트증권, Equity-Linked Warrant), BW(신주인수권부사채, Bond with Warrant),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 및 ETF(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s)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산 거래를 지원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 복수의 노드(100) 및 자산 거래 시스템(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예를 들면,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식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100)(node)는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노드(100)와 통신할 수 있는 접점 또는 접속점으로서, 서버,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즉,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의 물리적 노드(physical node)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모듈, 가상 머신 등(즉, 가상 노드)에 의한 논리적 노드(logical node)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노드(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거래 지원 시스템이 애플리케이션, 위젯 등의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설치 또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프로그램 모듈은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 또는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위의 거래 지원 시스템은 분산원장 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을 기반으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의 분산원장은 두 당사자 노드 사이에서 일어나는 자산 거래와 연관되는 정보가 암호화 또는 비가역화되어 두 당사자(또는 그 외의 다른 당사자)에게 분산 기록되어 관리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고, 두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결정되는 정보가 그 두 당사자의 노드에서 블록체인의 형태로 관리되는 일종의 프라이빗(private) 형태의 블록체인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위의 암호화 또는 비가역화를 위하여, 소정의 해시 함수(hash function)(예를 들어, 메시지 다이제스트 산출 알고리즘(MD5; Message-Digest algorithm 5)), 해시 연산(hash operation), 암호화 알고리즘(cryptography algorithm) 등 공지의 비가역 변환 또는 부인 방지에 관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의 복수의 노드(100)에는, 용도, 권한 등에 따라 자산 거래와 연관되는 다양한 참가자 유형의 노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노드(100)에는 자산 거래를 개시하고 오퍼 정보를 수락하는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오퍼 정보를 제공하고 수락 정보에 대한 수락 확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거래자 노드(120)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위의 복수의 노드(100)에는 거래 검증 노드, 규제자 노드, 중재자 노드, 브로커 노드, 예탁기관 노드, 자산 관리인 노드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의 거래 지원 시스템은, 오퍼(offer)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제공되도록 하고, 오퍼 정보 중 제1 거래자 노드(110)의 제1 거래 조건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수락(accept) 대상 오퍼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를 확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지원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거래 지원 시스템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거래 지원 시스템에 대하여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복수의 노드(100)(예를 들면, 제1 거래자 노드(110), 제2 거래자 노드(120), 제3 거래자 노드(130) 등) 또는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복수의 노드(100)(예를 들면, 제1 거래자 노드(110), 제2 거래자 노드(120), 제3 거래자 노드(130) 등) 또는 외부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는, 자신의 노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지원 시스템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지원 시스템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거래(예를 들어, 대여, 차입) 등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거래 시스템(200)은 복수의 거래자 노드 간의 자산 거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으면, 그 거래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자산의 이동, 대여, 차입, 매수, 매도 등의 거래가 실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이 유가 증권인 경우에는, 위의 자산 거래 시스템(200)은 증권 거래소(예를 들면, 뉴욕 증권 거래소(New York Stock Exchange), 도쿄 증권 거래소(Tokyo Stock Exchange), 한국 증권 거래소(Korea Stock Exchange), 한국 예탁 결제원(Korea Securities Depository), 미국 중앙 예탁 청산기관(Depository Trust & Clearing Corporation; DTCC)) 등에 의하여 운영되는 시스템과 일부 유사할 수 있다.
거래 지원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거래 지원 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거래 지원 시스템은 오퍼 정보 관리부, 거래 확정 관리부 및 유효성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퍼 정보 관리부, 거래 확정 관리부 및 유효성 관리부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거래 지원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거래 지원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퍼 정보 관리부는 오퍼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는, 제1 거래자 노드(110)와 연관되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제1 거래자 노드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동적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또는 제1 거래자 노드에 의해 특정되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이거나 별도의 제약 없는 개방형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로부터 제1 거래 조건에 기초한 자산 거래 개시가 요청되면, 제1 거래 조건과 연관되는 오퍼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11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 조건에는, 자산의 종류, 수량, 금액, 수수료율(예를 들어, 대차 수수료율), 날짜, 거래에 필요한 담보의 종류 및 금액, 배당, 권리 관계 책임(corporate action liability), 리콜(recall) 가능 여부와 같은 거래 대상에 관한 조건과 선착 순, 총점 순, 최고 이익, 우선 확정 경쟁(available to first taker)(예를 들어, 제시한 물량을 먼저 확정하는 사람이 해당 물량을 확보), 경쟁 입찰(bidding)(예를 들어, 제1 거래자 노드(110)가 대여자 노드인 경우에, 차입자 노드 중 소정 기간 동안 가장 높은 수수료율을 제시한 거래자 노드(120)가 해당 물량을 확보)과 같은 거래 방식에 관한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에 의해 설정되는 제1 거래 조건에 기초한 자산 거래 개시가 요청되면, 그 자산 거래 개시에 관한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위의 자산 거래 개시에 관한 정보가 제1 거래자 노드(110)에 의해 특정되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복수의 거래자 노드(또는 별도의 제약 없는 개방형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로 제공되면 일대다 방식의 거래이고, 위의 자산 거래 개시에 관한 정보가 제1 거래자 노드(110)에 의해 특정되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 제공되면 일대일의 거래일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 위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위의 제1 거래 조건과 연관되는 오퍼 정보가 결정되면, 그 오퍼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퍼 정보 관리부는 위의 제1 거래 조건에서 특정되는 대여 또는 차입 요구 자산과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의 대여 또는 차입 가능 자산을 참조하여 위의 제1 거래 조건과 연관되는 오퍼 정보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의 대여 가능 자산과 제1 거래 조건에서 특정되는 차입 요구 수량을 비교하여, 대여 가능 자산의 소정 수량(예를 들어, 대여 가능 자산의 10%) 및 제1 거래 조건에서 특정되는 차입 요구 수량 중 적은 수량을 기준으로 위의 오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선호도, 수수료율, 수량, 날짜, 자산 종류, 금액, 거래에 필요한 담보의 종류 및 거래에 필요한 담보의 금액, 리콜 여부 및 권리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조건을 참조하여 위의 제1 거래 조건과 연관되는 오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수수료율보다 제1 거래 조건에서 특정되는 수수료율이 높은 경우에, 그 설정되는 수수료율 또는 제1 거래 조건에서 특정되는 수수료율을 기준으로 오퍼 정보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의 제2 거래 조건에 매칭되는 거래자 노드를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퍼 정보 관리부는, 복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복수의 자산 거래 개시가 요청되면, 복수의 자산 거래 개시 중 특정 거래 조건(즉, 위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서 설정되는 제2 거래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산 거래 개시와 연관되는 거래자 노드를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모든 거래자 노드로 오퍼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설정된 조건이 맞는 거래자 노드로만 오퍼 정보가 선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의 제2 거래 조건에 매칭되는 거래자 노드가 특정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퍼 정보 관리부는, 복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요청되는 복수의 자산 거래 개시 중 특정 거래 조건(즉, 위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서 설정되는 제2 거래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산 거래 개시와 연관되는 거래자 노드가 특정되면, 그 특정되는 거래자 노드에게 자동적으로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조건이 맞는 거래자 노드가 나타나게 되면 오퍼 정보가 자동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퍼 정보 관리부는 거래자 노드별로 부여되는 우선 순위, 가중치 및 거래 조건별 선호도(또는 선호 기준, 선호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와 같은 우선 순위, 가중치 및 거래 조건별 선호도는 복수의 거래자 노드 각각에 의해 기설정되거나 동적(예를 들어, 거래자 노드의 거래 성향을 분석하여 소정 기간마다 업데이트)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퍼 정보 관리부는 거래자 노드별로 부여되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거래자 노드에게 오퍼 정보가 먼저 제공되도록 하고, 해당 오퍼 정보에 대한 거래 확정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해당 오퍼 정보가 제공된 이후 소정 시간이 지난 경우에 차순위에 해당되는 거래자 노드에게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가중치(예를 들어, 이러한 가중치는 자산의 종류, 수량, 금액 및 수수료율 각각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음)를 참조하여 복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공되는 거래 조건에 대한 스코어(예를 들어, 이러한 스코어에는 불리언(boolean) 형태 또는 수치도 포함될 수 있음)를 산출하고, 그 스코어가 소정 수준 이상(또는 최고 스코어)인 거래 조건을 제공하는 거래자 노드를 대상으로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 조건에 기초한 거래 개시 정보가 위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제공되는 순서를 참조하여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로부터 거래 개시 정보가 위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 제공되는 순서를 참조하여 가장 빠르게 거래 개시 정보를 제공한 제1 거래자 노드에게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로부터 제1 거래 조건에 기초하여 요청(또는 제공)되는 거래 개시 정보 중 소정 수준 이상으로 이익(또는, 최고 이익)이 되는 거래 개시 정보를 제공한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퍼 정보 관리부는 최고 이익 거래 방식(예를 들어, 입찰 방식)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제1 거래자 노드(110)로부터 요청되는 거래 개시 정보 중 가장 이익이 되는(즉, 이익이 최대화되는) 거래 개시 정보(예를 들어, 경쟁 입찰)를 제공한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선호 정보(예를 들어, 거래 조건별 선호도 또는 선호 기준)(또는 비선호 정보)를 참조하여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퍼 정보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최소 수수료율, 최대 수량과 같은 선호 정보에 부합되는 거래자 노드에게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오퍼 정보 관리부는 선호 정보에 부합되는 거래자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오퍼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고 그에 부합되지 않으면 오퍼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오퍼 정보 관리부는 자동으로 오퍼 정보가 제공되는(또는 제공되지 않는) 기준 또는 조건(예를 들어, 유가증권의 특정 종목)이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로 제공되는 오퍼 정보 중 제1 거래 조건을 참조하여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오퍼 정보가 제1 거래자 노드로 제공되는 순서를 참조하여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 조건이 선착순 거래 방식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제1 거래자 노드(110)로 제공되는 오퍼 정보 중 제1 거래자 노드(110)로 가장 먼저 제공되는 오퍼 정보를 수락 대상 오퍼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로 제공되는 오퍼 정보 중 소정 수준 이상으로 이익(또는 최고 이익(예를 들어, 대여자 입장에서는 최고 수수료일 수 있고, 차입자 입장에서는 최저 수수료일 수 있음), 이익 최대화)이 되는 오퍼 정보를 수락 대상 오퍼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로 제공되는 오퍼 정보 중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즉, 이익이 최대화되는) 오퍼 정보를 수락 대상 오퍼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 조건이 최고 이익 거래 방식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제1 거래자 노드(110)에 의해 설정되는 가중치(예를 들어, 이러한 가중치는 오퍼 정보에서 특정되는 자산의 종류, 수량, 금액 및 수수료율 각각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음)를 참조하여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공되는 오퍼 정보에 대한 스코어(예를 들어, 이러한 스코어에는 불리언(boolean) 형태 또는 수치도 포함될 수 있음)를 산출하고, 그 스코어가 소정 수준 이상인 오퍼 정보(또는 최고 스코어인 오퍼 정보)를 수락 대상 오퍼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복수의 거래자 노드(또는 복수의 거래자)에 대하여 부여되는 우선 순위를 참조하여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 조건이 우선 순위 거래자 순 거래 방식인 경우에, 상위 우선 순위자에 해당되는 거래자 노드의 오퍼 정보를 수락 대상 오퍼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의 제1 거래 조건에 의해 특정되는 자산의 종류, 수량, 금액 및 수수료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대여 또는 차입 요구 자산과 오퍼 정보의 자산의 수량, 금액 및 수수료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차입 또는 대여 가능 자산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 조건이 특정 수량 거래인 경우에, 제1 거래 조건에 의해 특정되는 수량보다 소정 비율 이하의 수량에 해당되는 오퍼 정보를 수락 대상 오퍼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 조건이 특정 수수료율 기준인 경우에, 제1 거래 조건에 의해 특정되는 수수료율보다 작은 수수료율에 해당되는 오퍼 정보를 수락 대상 오퍼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의 제1 거래 조건에 의해 설정되는 담보의 종류, 리콜 여부 및 권리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조건을 참조하여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의 제1 거래 조건에 의해 설정되는 담보의 종류(예를 들어, 현금 또는 비현금 담보 유무, 현금 담보일 경우에는 통화의 종류 등)를 참조하여 그 설정된 담보의 종류에 부합되는 오퍼 정보를 수락 대상 오퍼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에 의해 설정되는 선호 정보(예를 들어, 거래 조건별 선호도 또는 선호 기준)(또는 비선호 정보)를 참조하여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에 의해 설정되는 최대 수수료율, 최소 수량과 같은 선호 정보에 부합되는 오퍼 정보를 수락 대상 오퍼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위의 결정되는 수락 오퍼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를 확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수락 대상 오퍼 정보가 결정되면, 그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2 거래자 노드(120)에게 수락 정보(accept)를 제공하고, 제2 거래자 노드(120)로부터 그 수락 정보에 대한 수락 확인 정보(confirm)가 제1 거래자 노드(110)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를 확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즉,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거래자 노드) 사이에서 수락 정보 및 수락 확인 정보가 상호간에 주고받게 되면,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기술을 이용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 계약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거래 확정 관리부는 위의 제2 거래자 노드(120)로 제공되는 수락 정보 및 제2 거래자 노드의 거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수락 정보가 위의 제2 거래자 노드(120)로 제공되는 순서를 참조(예를 들어, 선착순)하여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위의 제2 거래자 노드(120)로 제공되는 복수의 수락 정보 중 가장 먼저 수락 정보를 제공한 거래자 노드와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위의 제2 거래자 노드(120)로 제공되는 수락 정보 중 제2 거래자 노드(120)에게 소정 수준 이상으로 이익(또는 최고 이익(예를 들어, 대여자 입장에서는 최고 수수료일 수 있고, 차입자 입장에서는 최저 수수료일 수 있음), 이익 최대화)이 되는 수락 정보를 제공한 거래자 노드와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2 거래자 노드(120)로 제공되는 복수의 수락 정보 중 제2 거래자 노드(120)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즉, 이익이 최대화되는) 수락 정보(예를 들어, 최대 수수료율, 최대 수량 등)를 제공한 거래자 노드와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복수의 거래자 노드(또는 복수의 거래자)에 대하여 부여되는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2 거래자 노드(120)의 거래 조건이 우선 순위 거래자 순 거래 방식인 경우에, 수락 정보를 제공한 거래자 노드 중 상위 우선 순위자에 해당되는 거래자 노드와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2 거래자 노드(120)의 거래 조건에 의해 특정되는 자산의 종류, 수량, 금액 및 수수료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대여 또는 차입 요구 자산과 복수의 수락 정보의 자산의 수량, 금액 및 수수료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차입 또는 대여 가능 자산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수락 정보를 제공한 거래자 노드 중 거래를 확정할 거래자 노드를 결정할 수 있고, 그 거래자 노드와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2 거래자 노드(120)의 거래 조건에 의해 설정되는 담보의 종류, 리콜 여부 및 권리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조건을 참조하여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2 거래자 노드(120)의 거래 조건에 의해 설정되는 담보의 종류(예를 들어, 현금 또는 비현금 담보 유무, 현금 담보일 경우에는 통화의 종류 등)를 참조하여 그 설정된 담보의 종류에 부합되는 수락 정보를 제공한 거래자 노드와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2 거래자 노드(120)에 의해 설정되는 선호 정보(예를 들어, 거래 조건별 선호도 또는 선호 기준)(또는 비선호 정보)를 참조하여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2 거래자 노드(120)에 의해 설정되는 최대 수수료율, 최소 수량과 같은 선호 정보에 부합되는 수락 정보를 제공한 거래자 노드와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가 확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오퍼 정보가 제공되는 시각, 수락 대상 오퍼 정보가 결정되는 시각, 수락 정보가 제2 거래자 노드(120)로 제공되는 시각 및 수락 확인 정보가 제1 거래자 노드(110)로 제공되는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거래의 확정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오퍼 정보가 제공되는 시각, 수락 대상 오퍼 정보가 결정되는 시각, 수락 정보가 제2 거래자 노드(120)로 제공되는 시각 및 수락 확인 정보가 제1 거래자 노드(110)로 제공되는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 수준 이하의 시간이 지난 경우에만 거래가 확정되도록 결정할 수 있고, 위의 소정 수준 이상으로 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거래가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조건의 복수의 오퍼 정보, 복수의 수락 대상 오퍼 정보 또는 복수의 수락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거래자 노드의 선호도에 따라 소정의 기준 시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오퍼 정보, 복수의 수락 대상 오퍼 정보 및 복수의 수락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준 시간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오퍼 정보가 제공되는 시각, 수락 대상 오퍼 정보가 결정되는 시각, 수락 정보가 제2 거래자 노드(120)로 제공되는 시각 및 수락 확인 정보가 제1 거래자 노드(110)로 제공되는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특정될 수 있다.
한편, 거래 확정 관리부는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2 거래자 노드(120)의 해당 수락 대상 오퍼 정보와 연관되는 자산이 홀드(hold)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의 요청에 따라 제2 거래자 노드(120)(즉,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수락 대상 오퍼를 제공한 거래자 노드)의 수락 대상 오퍼 정보와 연관되는 자산에 대하여 소정 기간 동안 다른 거래자 노드와의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동결시킬 수 있다.
또한,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2 거래자 노드(120)의 기홀드된 자산과 연관되는 제3 거래자 노드(130)에게 기홀드된 자산에 대한 전량충족조건(Fill Or Kill; FOK)이 요청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확정 관리부는 제3 거래자 노드(130)에 의해 제2 거래자 노드(120)의 소정 자산에 대하여 이미 홀드가 이루어진 경우에, 그 제3 거래자 노드(130)에게 해당 기홀드된 자산에 대한 전량충족조건이 요청되도록 함으로써, 제3 거래자 노드(130)의 거래 확정 여부를 촉구할 수 있다. 즉, 제3 거래자 노드(130)에게 제2 거래자 노드(120)의 기홀드된 자산에 대하여 소정 기간 내에 전량 또는 소정 수량의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해당 홀드가 취소될 수 있으니 거래를 확정시켜 달라는 요청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성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정보는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 개시, 오퍼 정보, 수락 정보 및 수락 확인 등 거래 시작에서부터 거래 확정(또는 실제 거래 체결)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110)로부터 요청되는 거래 개시에 관한 정보에서 특정되는 수량이 제2 거래자 노드(120)의 오퍼 정보에서 특정되는 수량보다 크거나 같은 지 여부, 수락 대상 오퍼에서 특정되는 수량이 수락 정보에서 특정되는 수량보다 크거나 같은 지 여부, 수락 정보에서 특정되는 수량이 수락 확인 정보에서 특정되는 수량보다 크거나 같은 지 여부 등을 검증할 수 있고, 그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에서 확정되는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유효성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110)로부터 요청되는 거래 개시에 관한 정보에서 특정되는 자산의 종류가 제2 거래자 노드(120)의 오퍼 정보에서 특정되는 자산의 종류와 같은 지 여부, 수락 대상 오퍼 정보에서 특정되는 자산의 종류가 수락 정보에서 특정되는 자산의 종류와 같은 지 여부, 수락 정보에서 특정되는 자산의 종류가 수락 확인 정보에서 특정되는 자산의 종류와 같은 지 여부 등을 검증할 수 있고, 그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에서 확정되는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유효성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로부터, 데이터의 손상(corruption) 없이 각 노드(110, 120)로 정보 전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 거래와 연관되는 정보가 암호화(encrypted)될 경우 암호화 이전 정보와 복호화(decrypted)된 이후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 확정되는 거래에 관한 정보가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에게 정상적으로 전달되는지 여부 등을 검증할 수 있고, 그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120) 노드 사이에서 확정되는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유효성 관리부는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에 확정되는 거래에 관한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에 거래된 자산의 종류, 수량 및 금액이 동일하게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와 연관된 시각(예를 들어, 타임 스탬프)이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에 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인적사항, IP 주소, Unique identifier(UID) 등 거래자 노드를 다른 거래자 노드와 구분 가능한 정보)가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개별 자산에 대한 가격 정보가 정확히 반영이 되어 거래가 확정된 총 금액에 대한 정보가 오류 없이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 확정되는 거래 내역이 해당 거래의 실행을 담당하는 중개 기관(intermediary) 또는 수탁 은행(custodian)에게 제공되는 데이터에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검증할 수 있고, 그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에서 확정되는 거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한편, 유효성 관리부는 확정되는 거래의 유효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 문제에 관한 정보를 연관된 거래자 노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 관리부는 확정되는 거래의 유효성에 대하여 발생되는 문제의 종류, 형식 및 내용을 포함하는 경고 메시지를 각 거래자 노드(예를 들어,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에게 제공(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UI)상에서 메시지를 통해 제공 또는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메시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산 거래가 지원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에서 유가증권 대차 거래가 지원되는 상황을 가정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래자 노드(110)는 유가 증권의 차입자일 수 있고, 제2 거래자 노드(120)는 유가 증권의 대여자일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거래자 노드(110)로부터 제1 거래 조건에 기초한 자산 거래 개시가 요청될 수 있다(210).
예를 들어, 위의 제1 거래 조건은, 제1 거래자 노드(110)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텍스트(Text) 파일, 확장 가능 마크 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파일 등의 형식의 정보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TP(File Transfer Protocol), FIX(Financial Information eXchange) 등의 다양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거래 조건과 연관되는 오퍼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제공될 수 있다(220).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서는 제1 거래 조건에 대응하여 오퍼 정보가 빠르게 설정 또는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자동 오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서 설정되는 수량(310), 수수료율(320) 등의 조건과 위의 제1 거래 조건을 비교하여 소정 기준이 만족되는 경우에, 소정 수량 또는 소정 수수료율을 기준으로 특정되는 오퍼 정보가 제1 거래자 노드(110)로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서 제공되는 오퍼 정보 중 제1 거래 조건을 참조(예를 들어, 오퍼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수량 및 수수료율과 제1 거래 조건으로부터 특정되는 수량 및 수수료율을 서로 비교)하여 수락(accept) 대상 오퍼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오퍼 정보 중 수락 대상 오퍼가 빠르게 수락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자동 수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거래자 노드(110)에서 설정되는 수량(410), 수수료율(420)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오퍼 정보가 수락 대상 오퍼 정보로서 자동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거래자 노드(110)로부터 위의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2 거래자 노드(120)에게 수락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230).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거래자 노드(120)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수락 확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240).
그 다음에, 위의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가 확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거래 확정은 분산원장 네트워크에서 지원되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에,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위의 확정되는 거래의 유효성이 검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성 검증은, 반드시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자산 거래 개시 단계, 오퍼 정보 제공 단계, 수락 정보 제공 단계, 수락 확인 정보 제공 단계 및 거래 확정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유효성 검증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그 다음에,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에게 거래된 내역 정보(예를 들어, 거래 내역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거래자 노드(110)와의 자산 거래가 지원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앞서 살펴본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에서 유가증권 대차 거래가 지원된 이후에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부족한 수량에 대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3 거래자 노드(130) 사이에서 유가증권 대차 거래가 추가 지원되는 상황을 가정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래자 노드(110)는 유가 증권의 차입자일 수 있고, 제2 거래자 노드(120) 및 제3 거래자 노드(130)는 유가 증권의 대여자일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거래자 노드(110)로부터 제3 거래 조건에 기초한 자산 거래 개시가 요청될 수 있다(250). 위의 제3 거래 조건은 앞서 살펴본 제2 거래자 노드(120)의 수락 대상 오퍼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수량과 제1 거래 조건에 의해 특정되는 수량 사이의 차이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거래 조건과 연관되는 오퍼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제공될 수 있다(260).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의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에서 제공되는 오퍼 정보 중 제3 거래 조건을 참조하여 수락 대상 오퍼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의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3 거래자 노드(130)에게 수락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270).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거래자 노드(130)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110)에게 수락 확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280).
그 다음에, 위의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3 거래자 노드(130) 사이의 거래가 확정될 수 있다.
한편, 위의 거래 개시 과정, 위의 오퍼 정보 제공 과정, 위의 수락 정보 제공 과정, 위의 수락 확인 정보 제공 과정 및 거래 확정 과정에서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3 거래자 노드(130)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각 거래 과정에서의 유효성이 검증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또는 제3 거래자 노드(130))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산 거래 개시, 오퍼 정보, 오퍼 정보가 수락되는 내역 또는 수락 확인 정보가 제공되는 내역이 제1 거래자 노드(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실시간 또는 소정 시간마다 제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자산 거래 개시, 오퍼 정보, 오퍼 정보가 수락되는 내역 또는 수락 확인 정보가 제공되는 내역이 제2 거래자 노드(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실시간 또는 소정 시간마다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거래자 노드(110) 및 제2 거래자 노드(120) 사이의 확정된 거래 내역이 각 거래자 노드(110, 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실시간 또는 소정 시간마다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복수의 노드
110: 제1 거래자 노드
120: 제2 거래자 노드
200: 자산 거래 시스템

Claims (3)

  1.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거래 지원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 상기 거래 지원 시스템은 오퍼 정보 관리부 및 거래 확정 관리부를 포함함 - ,
    (a) 상기 오퍼 정보 관리부가, 오퍼(offer)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 및
    (b) 상기 거래 확정 관리부가, 상기 오퍼 정보 중 상기 제1 거래자 노드의 제1 거래 조건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수락(accept) 대상 오퍼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거래자 노드 및 상기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2 거래자 노드 사이의 거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오퍼 정보 관리부 및/또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거래 확정 관리부가, 거래 정보가 제공되는 순서, 거래자 노드별로 부여되는 우선 순위, 가중치 및 거래 조건별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거래가 오퍼 또는 수락되도록 하는
    방법.
  2.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3.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오퍼(offer) 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거래자 노드로부터 제1 거래자 노드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오퍼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오퍼 정보 중 상기 제1 거래자 노드의 제1 거래 조건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수락(accept) 대상 오퍼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거래자 노드 및 상기 수락 대상 오퍼 정보를 제공한 제2 거래자 노드 사이의 거래를 확정하는 거래 확정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퍼 정보 관리부 및/또는 상기 거래 확정 관리부는, 거래 정보가 제공되는 순서, 거래자 노드별로 부여되는 우선 순위, 가중치 및 거래 조건별 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거래가 오퍼 또는 수락되도록 하는
    시스템.
KR1020230125112A 2020-05-13 2023-09-19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301435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83 2020-05-13
KR20200057383 2020-05-13
KR20200076070 2020-06-22
KR1020200076070 2020-06-22
KR1020200093394 2020-07-27
KR20200093394 2020-07-27
KR1020210131229A KR102582653B1 (ko) 2020-05-13 2021-10-01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229A Division KR102582653B1 (ko) 2020-05-13 2021-10-01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587A true KR20230143587A (ko) 2023-10-12

Family

ID=8829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112A KR20230143587A (ko) 2020-05-13 2023-09-19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5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821A (ko) 2007-04-05 2009-01-08 주식회사 트리플리치매니지먼트 온라인 공매방식의 대부거래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821A (ko) 2007-04-05 2009-01-08 주식회사 트리플리치매니지먼트 온라인 공매방식의 대부거래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2653B1 (ko)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80202B1 (ko) 디지털적으로 암호화된 증권 플랫폼 및 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2000511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assets among parties through tokenization of assets
US10504178B2 (en) System for physically delivering virtual currencies
US8301547B2 (en) Trading system
US2014017267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n Online Secured Loan Manager
KR101805404B1 (ko) P2p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RU2449369C2 (ru) Система сделок с недвижимостью, использующая ценные бумаги под недвижимость, и ее способ
JP2003533793A (ja) デリバティブ取引を電子的に実行するシステムとその方法
US201302187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initiating and executing securities lending transactions
KR2020010676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식재산권거래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70133301A (ko) 주식 담보를 이용한 피어 투 피어 기반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22139A (ko) 주식 대차 거래 방법
KR101444272B1 (ko) 주소록을 이용하여 대차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00265515A1 (en) Framework for digital asset lending and hedging using stable coin
KR20170014770A (ko)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6102A (ko) P2p 대출 채권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89745A (ko) 진성 확인된 중개사의 부동산 거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7445648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97244B1 (ko) P2p 지식 재산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43587A (ko)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30028091A (ko) 계정별로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70099321A (ko) 조건 맞춤형 p2p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805409B1 (ko) 주식 담보를 이용한 피어 투 피어 기반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57555B1 (ko) 결제 화폐 선택 절차를 내포하는 개인 단말기 간의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