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770A -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770A
KR20170014770A KR1020150108640A KR20150108640A KR20170014770A KR 20170014770 A KR20170014770 A KR 20170014770A KR 1020150108640 A KR1020150108640 A KR 1020150108640A KR 20150108640 A KR20150108640 A KR 20150108640A KR 20170014770 A KR20170014770 A KR 20170014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ment
expert
investor
appl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동
Original Assignee
김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동 filed Critical 김해동
Priority to KR1020150108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770A/ko
Publication of KR20170014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투자전문가 및 투자자의 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부, 상기 투자전문가의 투자실적, 투자대상이 되는 상품의 정보, 투자를 위한 투자자본 규모, 투자모집 금액 및 수익배분조건, 투자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자 신청정보를 저장하는 투자 신청정보 저장부,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투자자본 규모에서 투자금의 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수정하는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 및 심사된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투자 신청정보에 응답하여 투자 여부와 투자금을 포함하는 투자 정보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투자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OTC equity investor match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장외주식 담보 대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문투자가의 장외주식을 담보로 하여 투자자로부터 대출을 받도록 하는 장외주식 담보 대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권사나 그 밖의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장중에 거래할 수 있는 주식을 상장 주식이라고 하는데, 이 상장 주식은 회사가 일정 조건을 만족해야만 거래소에서 거래가 가능해진다.
주식에는 상장 주식과 더불어 장외주식 즉, 비상장 주식이 있다. 장외주식은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지 않은 주식을 말하는 것이다.
장외시장은 원래 자연발생적 시장이라는 특성상 일정한 조직도 없고 거래방식도 정형화되어 있지 않았으나, 오늘날 여러 선진국에서는 점두시장을 중심으로 장외시장을 제도화함으로써 장외시장도 거래소 시장에 준하는 구체적인 조직적 시장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장 주식은 다양한 방법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직접적으로 기업 정보를 살피고 주식을 매매하는 방법, 유명 증권사들이 운용하는 펀드에 가입하는 방법 등 각자의 선택에 따라 투자할 수 있다. 또한, 증권사는 펀드를 통해 모집된 금액을 이용하여 수익을 남기고 있다.
그러나 비상장 주식은 개인이 매매하기 위해서는 회사정보를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거래를 위해서 장외주식 소유자들과 개별적으로 거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투자자가 투자전문가에게 위탁을 하기에는 투자전문가의 정보나 거래실적을 확인할 수 없어 투자전문가에게 신뢰를 가지기가 힘들었으며, 이로 인해 투자전문가도 투자금액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109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자전문가의 투자실적을 확인하여 투자자에게 신뢰를 제공하여 투자자로부터 투자자금을 대출받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담보비율에 따른 리스크 관리를 통해 투자자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투자전문가 및 투자자의 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부; 상기 투자전문가의 투자실적, 투자대상이 되는 상품의 정보, 투자를 위한 투자자본 규모, 투자모집 금액 및 수익배분조건, 투자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자 신청정보를 저장하는 투자 신청정보 저장부;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투자자본 규모에서 투자금의 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수정하는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 및 심사된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투자 신청정보에 응답하여 투자 여부와 투자금을 포함하는 투자 정보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투자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신청정보 저장부는, 상기 투자전문가의 투자실적을 국세청 또는 증권사의 서버와 연동하여 장외주식의 매매내역을 송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신청정보 심사부는, 건별 실현수익률, 누적수익률, 월별수익률, 비대도시 현재시점까지 현재가 대비 수익률, 고가매도시 수익률, 저가매도시 수익률 중 적어도 하나의 수익률을 산출하여 상기 투자전문가의 등급을 평가하고, 평가된 상기 투자전문가의 등급에 따라 투자정보를 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자의 투자금이 입급되는 계좌를 관리하고, 상기 투자전문가가 상기 투자 신청정보에 따라 상기 계좌를 통해 장외주식의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계좌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 신청정보와 현재 투자진행상황을 비교하여 담보 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는 경우 상기 투자전문가의 단말로 추가 보증이행금 요청명령을 송신하는 리스크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스크 관리부는, 상기 추가 보증이행금 요청명령에 대하여, 상기 투자전문가로부터 추가 보증이행금이 입금이 되지 않는 경우, 투자대상인 장외주식의 매도명령을 통해 장외주식을 매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투자 신청정보에 따라 수익을 계산하고, 상기 수익배분조건에 따른 수익을 상기 투자자의 계좌로 송금하는 투자실적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투자전문가 및 투자자가 관리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각각의 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단계; 상기 투자전문가가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투자실적, 투자대상, 투자 자본의 규모, 투자모집 금액 및 수익배분조건, 투자기간을 포함하는 투자 신청정보를 기록하고 투자를 신청하는 투자 신청단계;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평가하고, 상기 투자 자본의 규모에서 상기 투자모집 금액의 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투자신청정보를 수정하는 투자신청정보 심사단계;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한 상기 투자자가 상기 투자 신청정보에 근거하여 투자여부를 결정하고 투자금을 입금하고, 입금된 상기 투자금을 이용하여 상기 투자전문가가 상기 투자대상에 투자하는 투자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단계에 투자된 상기 투자대상의 현재가치와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담보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투자대상의 매도 여부를 결정하여 리스크를 관리하는 리스크 관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전문가가 설정한 상기 투자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수익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투자자의 계좌로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배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 신청단계는, 상기 투자전문가의 개인정보 및 장외주식에 대한 투자실적을 입력하는 투자전문가 정보입력단계, 상기 투자전문가가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 대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투자대상 정보입력 단계, 및 상기 투자 대상에 대한 투자 계획과 수익배분이나 이자율을 포함하는 투자조건을 입력하는 투자계획 및 조건입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전문가 정보입력단계에서, 상기 장외주식에 대한 투자실적은 국세청 또는 증권사의 서버와 연동하여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신청정보 심사단계는 상기 투자전문가가의 신용상태 및 장외주식에 대한 투자수익률을 평가하는 투자전문가 평가단계, 및 상기 투자수익률에 기초하여 상기 투자모집 금액의 비율을 조절하는 투자상품 구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상품 구성단계는, 상기 투자수익률을 연수익으로 환산하고, 환산된 수익률에 따라 투자모집 금액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자단계는, 상기 투자자의 단말로 전송되는 복수의 투자전문가의 정보로부터 상기 투자자가 투자전문가를 선택하는 투자전문가 선택단계, 상기 투자전문가를 선택하면, 상기 투자자의 단말로 상기 투자신청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투자자가 투자상품의 정보를 확인하는 투자상품 확인단계, 및 상기 투자자가 투자여부를 결정하고, 투자금을 관리서버로 송금하면, 상기 투자전문가가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투자를 실현하는 투자실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스크 관리단계는, 상기 투자전문가가 투자한 장외주식의 현재주가를 계산하고 투자모집 금액 및 현재투자상태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상기 투자모집 금액과 상기 현재투자상태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담보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담보비율 판단단계, 상기 담보비율 판단단계에서 상기 담보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는 경우, 상기 투자전문가에서 추가보증이행금을 요청하는 추가보증이행금 요청단계, 상기 투자전문가의 추가보증이행금의 입금여부를 확인하는 추가보증이행금 확인단계, 상기 추가보증이행금 확인단계에서 상기 투자전문가가 상기 추가보증이행금을 입금하지 않는 경우, 장외 시장에서 투자대상이 되는 장외주식을 강제로 매도하는 주식 매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담보비율 판단단계에 있어서, 상기 담보비율은 상기 전문투자가의 종래의 투자실적에 따라 조정되며, 상기 담보비율은 120~180%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외주식 담보 대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국세청의 장외주식 매매내역을 기반으로 한 투자전문가의 실적을 확인하도록 하여 투자자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담보비율과 현재의 투자상태를 비교하여 투자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투자 신청단계의 세부순서도이고,
도 5는 도 3의 투자 신청정보 심사단계의 세부순서도이고,
도 6은 도 3의 투자단계의 세부순서도이고,
도 7은 도 4의 리스크 관리단계의 세부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은 투자전문가(10)와 투자자(20)가 각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서버(30)에 접속을 하게 되며, 관리서버(30)는 외부서버와 연동한다.
투자전문가(10)는 장외주식에 대하여 투자 계획을 가진 자로써, 투자실적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자뿐 아니라, 처음 투자를 하는 사람도 이에 해당한다. 투자자(20)는 장외주식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투자하고자 하는 자가 이에 해당한다. 투자전문가(10)와 투자자(20)는 각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서버(30)에 접속하게 된다.
투자전문가(10)와 투자자(20)가 사용하는 단말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가동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투자전문가(10)와 투자자(20)가 단말을 통해 관리서버(30)에 접속시 어플리케이션 즉 임의의 프로그램이 작동할 수 있으며, 단말의 카메라기능, 저장기능, 연산기능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기반의 단말기 등을 비롯한 핸드헬드(Handheld) 기반 무선 단말기를 전부 포함한다.
특히 단말은 디스플레이, 터치 센서 등의 각종 센서, 진동모터, 스피커, 통신모듈 등이 포함된 스마트폰 또는 경우에 따라 소형의 스마트 패드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프로세서,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갖춰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운영 체제간에 통신을 제공하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의 처리 시스템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다른 객체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통신을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유선/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에도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과 다른 객체와 통신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는 네트워크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WWW)일 수 있다.
단말의 운영체제는 Google사의 Android, RIM사의 Blackberry OS, Apple사의 iOS, Nokia사의 Symbian OS, Microsoft사의 Windows Mobile, 삼성전자의 bada 등 어떠한 운영체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서술한 운영체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서버(30)는 투자전문가(10)의 투자 신청정보를 평가하여 투자자(20)에게로 전송하고, 투자자(20)는 투자 신청정보를 이용하여 투자여부를 결정함으로 투자전문가(10)와 투자자(20)가 매칭이 이루어진다. 관리서버(3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 다시 설명한다.
외부서버는 관리서버(30)와 연동하여 관리서버(30)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관리서버(30)는 회원정보 저장부(31), 투자 신청정보 저장부(32),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33), 투자정보 저장부(34), 계좌관리부(35), 리스크 관리부(36) 및 투자 실적 관리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정보 저장부(31)는 적어도 하나의 투자전문가(10) 및 투자자(20)의 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투자전문가(10) 및 투자자(20) 각각의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서버(30)에 접속하게 되며, 회원정보 저장부(31)는 회원가입을 위한 개인정보를 단말을 통해 송신하며, 회원정보로 저장하게 된다. 일실시예로, 회원정보 저장부(31)는 개인정보를 인증하기 위해 핸드폰을 이용한 인증시스템이나, 페이스북을 이용한 인증시스템을 사용하여 회원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회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투자 신청정보 저장부(32)는 투자전문가(10)가 투자자(20)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투자신청정보를 투자전문가(10)의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10)는 투자실적, 투자대상이 되는 상품의 정보, 투자를 위한 투자자본 규모, 투자모집 금액 및 수익배분조건, 투자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자신청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10)는 투자실적이 없는 경우에도 투자신청을 할 수 있으나, 과거 투자실적을 제시하여 투자자(20)들에게 신뢰를 획득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10)는 자신의 투자실적을 국세청 또는 증권사의 외부서버와 연동하여 장외주식의 매매내역을 수신받고 이를 투자 신청정보 저장부(32)에 송신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10)는 투자대상이 되는 상품, 즉 해당 장외주식의 정보를 저장한다. 일실시예로, 투자전문가(10)는 복수의 장외주식을 투자대상으로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투자를 위한 투자자본의 규모는 투자전문가(10)가 투자하고자 하는 전체 투자금을 의미한다. 일실시예로, 투자전문가(10)가 복수의 장외주식을 투자대상으로 지정한 경우, 각각의 장외주식에 대한 투자금액의 비율을 명시할 수 있다.
또한, 투자전문가(10)는 전체 투자금 대비 투자모집 금액을 명시하고, 이에 대한 수익배분조건 및 투자기간을 저장할 수 있다. 수익배분조건은 투자자(20)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수익배분조건은 투자기간 동안에 일정한 비율로 이자를 받도록 이자율이 제시될 수 있으며, 당해 기간동안 투자시 전체 수익 중 일정비율의 수익을 가지는 형태로 제시될 수도 있다.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33)는 투자 신청정보 저장부(32)에 저장된 투자 신청정보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투자자본 규모에서 투자금의 비율을 조정하여 투자 신청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33)는 투자전문가(10)가 신청한 투자 신청정보를 심사한다.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33)는 투자전문가(10)에 의해서 저장된 투자실적으로부터 건별 실현수익률, 누적수익률, 월별수익률, 비대도시 현재시점까지 현재가 대비 수익률, 고가매도시 수익률, 저가매도시 수익률 중 적어도 하나의 수익률을 산출하여 상기 투자전문가(10)의 등급을 평가하고, 평가된 상기 투자전문가(10)의 등급에 따라 투자정보를 심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자전문가(10)의 수익률을 평가하여 투자금의 비율이 적절한지 판단하고, 적절한 투자금의 비율로 조정하여 투자자(20)의 손실피해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33)는 수익률에 따라 투자전문가(10)의 등급을 나눌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투자전문가(10)의 투자등급평가 기준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등급 기준 가산점수
1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100% 이상의 수익률 20%
2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90% 이상의 수익률 18%
3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80% 이상의 수익률 16%
4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70% 이상의 수익률 14%
5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60% 이상의 수익률 12%
6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50% 이상의 수익률 10%
7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40% 이상의 수익률 8%
8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30% 이상의 수익률 6%
9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20% 이상의 수익률 4%
10 연수익으로 환산할 경우 10% 이상의 수익률 2%
상기의 표 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투자전문가(10)의 투자실적을 연수익률로 환산한 수익률이 50%인 경우 가산점수를 10%를 받게 된다. 투자전문가(10)의 전체 투자규모가 2억인 경우, 투자금 모집규모를 1억으로 지정시 모집규모의 10%를 가산하여 1억1천만원의 투자금 모집규모로 수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익률이 좋은 전문투자가일수록 투자금 모집규모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수익률에 따른 가산점수 및 전체 투자규모에 따른 투자금 모집규모는 투자전문가(10)의 등급 및 시스템 관리 규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투자정보 저장부(34)는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33)에 의해서 수정된 투자 신청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20) 단말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투자 신청정보에 응답하여 투자 여부와 투자금을 포함하는 투자 정보를 인가받아 저장할 수 있다.
투자자(20)는 관리서버(30)에 접속하게 되며, 단말로 전송되는 투자 신청정보를 검토하여 투자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투자자(20)가 투자를 결정하는 경우, 자신이 투자할 금액을 결정하며, 투자한 금액에 대한 수익을 어떻게 분배받을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자신이 투자한 금액의 일정부분은 이자수익을, 남는 부분은 수익배분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투자자(20)는 투자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투자금을 관리계좌로 입금하게 된다. 투자정보 저장부(34)는 투자자(20)의 투자 결정내용과 관리계좌로 입금된 투자금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인가하여 투자자(20)의 투자정보를 저장한다.
계좌관리부(35)는 투자자(20)의 투자금이 입금되는 계좌를 관리하고, 투자전문가(10)가 투자 신청정보에 따라 계좌를 통해서 장외주식의 매매가 이뤄지도록 한다.
계좌관리부(35)는 투자전문가(10)가 모금된 투자금의 유용을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투자 신청정보에 따른 장외주식의 매매가 관리서버(30)에 의해 관리되는 계좌를 통해서 거래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10)는 계좌관리부(35)를 통해 자식이 지정한 종목의 장외주식을 매매할 수 있다.
리스크 관리부(36)는 투자 신청정보와 현재 투자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담보 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는 경우 투자전문가(10)의 단말로 추가 보증이행금 요청명령을 송신한다. 리스크 관리부(36)는 투자자(20)의 원금이 보호될 수 있도록 투자전문가(10)가 매수한 장외주식의 현재가치를 평가하고, 투자자(20)의 투자금와 장외주식의 현재가치를 비교하여 담보비율을 산출하게 된다. 산출된 담보비율이 기설정된 담보비율의 위험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추가 보증이행금의 요청을 투자전문가(10)의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담보비율이 150%로 설정되고 산출된 담보비율이155%에 도달하는 경우 투자전문가(10)에게 추가 보증이행금을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투자전문가(10)의 평가에 따라 담보비율과 담보비율의 위험영역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리스크 관리부(36)는 추가보증이행금 요청명령에 대하여 투자전문가(10)로부터 추가보증이행금이 입금되지 않는 경우, 투자대상인 장외주식의 매도명령을 통해 장외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 장외주식 매도명령은 별도의 장외주식 거래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장외주식을 매각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리스크 관리부(36)를 통해 투자자(20)의 투자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투자자(20)는 이를 통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투자 실적 관리부(37)는 투자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투자 신청정보에 따라 수익을 계산하고, 수익배분 조건에 따른 수익을 투자자(20)의 계좌로 송금한다.
투자 실적 관리부(37)는 투자전문가(10)가 신청한 투자기간이 만료되면 투자자(20)가 투자시 선택한 수익배분 조건에 따라 투자자(20)의 계좌로 원금과 함께 수익이 송금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자 매칭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투자 신청단계의 세부순서도이고, 도 5는 투자 신청정보 심사단계의 세부순서도이고, 도 6은 투자단계의 세부순서도이고, 도 7은 리스크 관리단계의 세부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은 회원정보 저장단계(S100), 투자 신청단계(S200), 투자신청정보 심사단계(S300), 투자단계(S400), 리스크 관리단계(S500) 및 수익배분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정보 저장단계(S100)는 적어도 하나의 투자전문가(10) 및 투자자(20)가 관리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해 각각의 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전송받아 관리서버(30)에 저장한다. 회원정보 저장단계(S100)는 회원정보 저장부(31)를 통해 투자전문가(10) 및 투자자(20)의 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저장한다. 회원정보 저장단계(S100)를 통해 기본적인 신원확인을 할 수 있으며, 개인의 기본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투자 신청단계(S200)는 투자전문가(10)가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자신의 투자실적, 투자대상, 투자 자본의 규모, 투자모집 금액 및 수익배분조건, 투자기간을 포함하는 투자 신청정보를 기록하고 투자를 신청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자 신청단계는, 투자전문가 정보입력단계(S110), 투자대상 정보입력 단계(S120), 및 투자계획 및 조건입력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10) 정보 입력단계(S110)는 투자전문가(10)의 개인정보 및 장외주식에 대한 투자실적을 입력한다. 투자전문가(10)는 자신의 경력과 종래에 장외주식에 투자한 투자실적을 기재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10)가 장외주식에 대한 종래의 투자실적을 입력시, 관리서버(30)는 국세청 또는 증권사의 서버와 연동하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로, 투자전문가(10)가 국세청의 자료를 사진파일로 저장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투자대상 정보입력 단계(S120)는 투자전문가(10)가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 대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투자전문가(10)는 자신이 투자하고자 하는 장외주식을 기재할 수 있다. 이때 투자전문가(10)는 복수의 장외주식을 묶어서 투자대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모집 투자금액 대비 복수의 장외주식 각각의 투자비율을 지정할 수 있다.
투자계획 및 조건입력단계(S130)는 투자 대상에 대한 투자 계획과 수익배분이나 이자율을 포함하는 투자조건을 입력한다. 투자전문가(10)는 투자기간과 수익에 대한 배분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투자전문가(10)가 복수의 장외주식을 묶어서 투자대상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각각의 장외주식에 대한 이자율과 수익배분조건을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투자신청정보 심사단계(S300)는 투자 신청정보를 평가하고, 평가된 투자 신청정보를 바탕으로 투자 자본의 규모에서 상기 투자모집 금액의 비율을 조정하여 투자 신청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자신청정보 심사단계(S300)는 투자전문가 평가단계(S310) 및 투자상품 구성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 평가단계(S310)는 투자전문가(10)의 신용상태 및 장외주식에 대한 투자수익률을 평가할 수 있다.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33)는 관리서버(30)에 저장된 투자신청 정보를 평가하게 된다. 투자전문가 평가단계(S310)는 투자전문가(10)의 신용상태 및 투자전문가(10)의 종래의 투자실적을 평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투자전문가 평가단계(S310)는 투자전문가(10)가 투자를 진행했던 종목에 대한 정보, 주가흐름(고점, 저점), 재무정보에 대해 평가하고, 투자 수익률을 평가하여 투자전문가(10)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투자상품 구성단계(S320)는 투자전문가(10)의 투자수익률에 기초하여 투자모집 금액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 평가단계(S310)에서 평가한 등급에 기초하여 전체 투자자본 금액에서 투자모집금액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투자전문가(10)가 신청한 투자신청 정보를 나타내는 예시이다.
전체 투자금 2억
투자 모집금액 1억 2천
종래 수익률(연수익률) 50%
투자자(20)의 등급 6등급
표 2를 참조하면, 투자전문가(10)가 전체 투자금액을 2억으로 지정하고 투자모집금액을 1억 2천으로 신청하였다. 이때, 투자전문가(10)의 종래의 투자실적이 연수익률 50%라고 할 때, 투자전문가(10)의 신용등급은 상기 표 1을 기준으로 할때 6 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기본 투자모집금액을 전체 투자금액의 50%라고 설정하는 경우, 투자전문가(10)가 신청할 수 있는 투자모집금액은 1억이며, 거기에 신용등급에 따른 가산점수가 10%이므로 가산점수에 따른 추가 투자모집금액은 1천만원이다.
따라서, 투자전문가(10)가 모집할 수 있는 금액은 기설정된 투자모집금액 1억에 추가 투자모집금액 1천만원을 더한 1억 1천만원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기본 투자모집금액의 설정비율과 가산점수의 비율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의 투자단계의 세부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투자단계(S400)는 투자전문가 선택단계(S410), 투자상품 확인단계(S420) 및 투자실현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 선택단계(S410)는 관리서버(30)로부터 투자자(20)의 단말로 전송되는 복수의 투자전문가(10)의 정보로부터 투자자(20)가 투자전문가(10)를 선택할 수 있다. 투자전문가 선택단계(S410)는 투자신청정보 심사단계(S300)에서 심사된 정보가 투자자(20)의 단말로 전송된다. 이때 투자자(20)의 단말에는 복수의 투자전문가(10)의 정보가 전송되며, 투자자(20)는 그 중에서 마음에 드는 투자자(20)를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투자자(20)의 화면으로 전송되는 화면에는 투자전문가(10)의 등급과 평균수익률, 이자률과 수익률 및 상환방식이 나타날 수 있다.
투자상품 확인단계(S420)는 투자자(20)가 투자전문가(10)를 선택하면, 투자자(20)의 단말로 투자신청정보가 전송되어, 투자자(20)가 투자상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투자자(20)의 단말로 전송되는 화면에는 전문투가자가의 등급 이자율, 모집금액과 현재 모인 모집금액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기타 전문투자가가 신청한 프로필이 나타날 수 있다.
투자금 입금 및 투자실현단계(S430)는 투자자(20)가 투자 여부를 결정하고, 투자금을 관리서버(30)로 송금하면, 투자전문가(10)가 관리서버(30)를 이용하여 자신이 신청한 신청정보에 따라 장외주식을 매수하여 투자를 실현할 수 있다. 투자자(20)는 투자전문가(10)의 신청정보를 평가하여 투자전문가(10)를 선택하고 그에 따른 투자금액을 결정한다. 투자자(20)는 투자금액을 관리서버(30)와 연동되는 관리계좌로 송금하게 되며, 투자전문가(10)는 관리계좌를 통해 장외주식을 매수하여 투자를 실현할 수 있다. 관리계좌를 통해 매매금액을 관리하게 되어 전문투자가가 투자금을 유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투자자(20)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방법의 리스크 관리단계의 세부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리스크 관리단계(S500)는 비교단계(S510), 담보비율 판단단계(S520), 추가보증이행금 요청단계(S530), 추가보증이행금 확인단계(S540), 주식 매도단계(S550) 및 투자금 상환판단단계(S560)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단계(S510)는 투자전문가(10)가 투자한 장외주식의 현재주가를 계산하고 투자모집금액과 현재투자상태를 비교한다.
담보비율 판단단계(S520)는 투자모집금액과 현재투자상태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담보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때, 담보비율은 전문투자가의 종래의 투자실적에 따라 조정되며, 담보비율은 120~180%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체투자금액이 2억이고 투자모집금액이 1억인 경우 담보비율이 150%이라 할 때, 현재투자상태의 가치가 1억 5천만원인 경우 담보비율은 150%를 만족한다. 담보비율은 현재투자상태에서 투자모집금액을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다만, 투자금에 대한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계산되는 담보비율보다 일정비율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일정비율의 가산은 투자모집규모 및 전문투자가의 평가등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2~5%에서 결정될 수 있다.
추가보증이행금 요청단계(S530)는 담보비율 판단단계(S520)에서 담보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는 경우, 투자전문가(10)게 추가보증이행금을 요청할 수 있다. 추가이행보증금 요청단계(S530)는 기설정된 담보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는 경우, 전문투자가에게 계속 투자를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이다. 추가보증이행금은 담보비율을 높일 수 있는 범위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추가보증이행금 확인단계(S540)는 투자전문가(10)가 추가보증이행금을 계좌로 입금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추가보증이행금이 계좌로 입금되면, 계속적으로 투자상태를 진행하고 투자금상환 판단단계가 진행된다.
주식 매도단계(S550)는 추가보증이행금 확인단계(S540)에서 투자전문가(10)가 추가보증이행금을 입금하지 않는 경우, 장외 시장에서 투자대상이 되는 장외주식을 강제로 매도하고 그 매각대금을 투자자(20)에게 돌려주는 단계이다. 투자전문가(10)로부터 추가보증이행금의 입금이 없는 경우, 투자전문가(10)가 투자유지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투자된 장외주식을 매각하여 투자자(20)에게 돌려줌으로써 투자금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투자금 상환판단단계(S560)는 담보비율 판단단계(S520)에서 주가가 담보비율을 초과하거나, 추가보증이행금 확인단계(S540)에서 투자전문가(10)로부터 추가이행보증금이 입금되면 투자기간의 만료 여부를 비교하게 되며, 투자기간이 만료되는 경우에는 수익배분단계(S600)가 진행하게 된다.
수익배분단계(S600)는 투자전문가(10)가 신청한 투자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투자신청정보에서 설정되었던 수익배분조건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명의 장외주식 담보 대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국세청의 장외주식 매매내역을 기반으로 한 투자전문가의 실적을 확인하도록 하여 투자자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담보비율과 현재의 투자상태를 비교하여 투자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투자전문가
20 : 투자자
30 : 관리서버
31 : 회원정보 저장부
32 : 투자 신청정보 저장부
33 :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
34 : 투자정보 저장부
35 : 계좌관리부
36 : 리스크 관리부
37 : 투자실적 관리부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투자전문가 및 투자자의 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부;
    상기 투자전문가의 투자실적, 투자대상이 되는 상품의 정보, 투자를 위한 투자자본 규모, 투자모집 금액 및 수익배분조건, 투자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자 신청정보를 저장하는 투자 신청정보 저장부;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상기 투자자본 규모에서 투자금의 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수정하는 투자 신청정보 심사부; 및
    심사된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 단말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기 투자 신청정보에 응답하여 투자 여부와 투자금을 포함하는 투자 정보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투자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신청정보 저장부는,
    상기 투자전문가의 투자실적을 국세청 또는 증권사의 서버와 연동하여 장외주식의 매매내역을 송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신청정보 심사부는,
    건별 실현수익률, 누적수익률, 월별수익률, 비대도시 현재시점까지 현재가 대비 수익률, 고가매도시 수익률, 저가매도시 수익률 중 적어도 하나의 수익률을 산출하여 상기 투자전문가의 등급을 평가하고, 평가된 상기 투자전문가의 등급에 따라 투자정보를 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자의 투자금이 입급되는 계좌를 관리하고, 상기 투자전문가가 상기 투자 신청정보에 따라 상기 계좌를 통해 장외주식의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계좌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신청정보와 현재 투자진행상황을 비교하여 담보 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는 경우 상기 투자전문가의 단말로 추가 보증이행금 요청명령을 송신하는 리스크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크 관리부는,
    상기 추가 보증이행금 요청명령에 대하여, 상기 투자전문가로부터 추가 보증이행금이 입금이 되지 않는 경우, 투자대상인 장외주식의 매도명령을 통해 장외주식을 매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상기 투자 신청정보에 따라 수익을 계산하고, 상기 수익배분조건에 따른 수익을 상기 투자자의 계좌로 송금하는 투자실적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8. 적어도 하나의 투자전문가 및 투자자가 관리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각각의 단말로부터 회원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단계;
    상기 투자전문가가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투자실적, 투자대상, 투자 자본의 규모, 투자모집 금액 및 수익배분조건, 투자기간을 포함하는 투자 신청정보를 기록하고 투자를 신청하는 투자 신청단계;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평가하고, 평가된 투자 신청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투자 자본의 규모에서 상기 투자모집 금액의 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투자신청정보를 수정하는 투자신청정보 심사단계;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한 상기 투자자가 상기 투자 신청정보에 근거하여 투자여부를 결정하고 투자금을 입금하고, 입금된 상기 투자금을 이용하여 상기 투자전문가가 상기 투자대상에 투자하는 투자단계
    를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단계에 투자된 상기 투자대상의 현재가치와 상기 투자 신청정보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담보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투자대상의 매도여부를 결정하여 리스크를 관리하는 리스크 관리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전문가가 설정한 상기 투자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수익배분조건에 따라 상기 투자자의 계좌로 수익을 배분하는 수익배분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신청단계는,
    상기 투자전문가의 개인정보 및 장외주식에 대한 투자실적을 입력하는 투자전문가 정보입력단계,
    상기 투자전문가가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 대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투자대상 정보입력 단계, 및
    상기 투자 대상에 대한 투자 계획과 수익배분이나 이자율을 포함하는 투자조건을 입력하는 투자계획 및 조건입력단계
    를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전문가 정보입력단계에서,
    상기 장외주식에 대한 투자실적은 국세청 또는 증권사의 서버와 연동하여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신청정보 심사단계는
    상기 투자전문가가의 신용상태 및 장외주식에 대한 투자수익률을 평가하는 투자전문가 평가단계, 및
    상기 투자수익률에 기초하여 상기 투자모집 금액의 비율을 조절하는 투자상품 구성단계
    를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상품 구성단계는,
    상기 투자수익률을 연수익으로 환산하고, 환산된 수익률에 따라 투자모집 금액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단계는,
    상기 투자자의 단말로 전송되는 복수의 투자전문가의 정보로부터 상기 투자자가 투자전문가를 선택하는 투자전문가 선택단계,
    상기 투자전문가를 선택하면, 상기 투자자의 단말로 상기 투자신청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투자자가 투자상품의 정보를 확인하는 투자상품 확인단계, 및
    상기 투자자가 투자여부를 결정하고, 투자금을 관리서버로 송금하면, 상기 투자전문가가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투자를 실현하는 투자실현단계
    를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방법.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크 관리단계는,
    상기 투자전문가가 투자한 장외주식의 현재주가를 계산하고 투자모집 금액 및 현재투자상태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상기 투자모집 금액과 상기 현재투자상태를 비교하여 기설정된 담보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담보비율 판단단계,
    상기 담보비율 판단단계에서 상기 담보비율 이하로 주가가 조정되는 경우, 상기 투자전문가에서 추가보증이행금을 요청하는 추가보증이행금 요청단계,
    상기 투자전문가의 추가보증이행금의 입금여부를 확인하는 추가보증이행금 확인단계,
    상기 추가보증이행금 확인단계에서 상기 투자전문가가 상기 추가보증이행금을 입금하지 않는 경우, 장외 시장에서 투자대상이 되는 장외주식을 강제로 매도하는 주식 매도단계
    를 포함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비율 판단단계에 있어서,
    상기 담보비율은 상기 투자전문가의 종래의 투자실적에 따라 조정되며, 상기 담보비율은 120~180%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방법.
KR1020150108640A 2015-07-31 2015-07-31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4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640A KR20170014770A (ko) 2015-07-31 2015-07-31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640A KR20170014770A (ko) 2015-07-31 2015-07-31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770A true KR20170014770A (ko) 2017-02-08

Family

ID=5815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640A KR20170014770A (ko) 2015-07-31 2015-07-31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7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949A (ko) * 2017-07-20 2019-01-30 김지억 재화/용역 담보 기반의 개인간 대출 제공 방법
KR102141310B1 (ko) * 2019-06-19 2020-08-04 설융석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통합 투자 관리 시스템
KR102217998B1 (ko) * 2020-06-30 2021-02-19 최종탁 투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098A (ko) 2008-04-21 2009-10-26 (주)에스앤씨시스템즈 리스크 관리 중심의 주식담보대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098A (ko) 2008-04-21 2009-10-26 (주)에스앤씨시스템즈 리스크 관리 중심의 주식담보대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949A (ko) * 2017-07-20 2019-01-30 김지억 재화/용역 담보 기반의 개인간 대출 제공 방법
KR102141310B1 (ko) * 2019-06-19 2020-08-04 설융석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통합 투자 관리 시스템
KR102217998B1 (ko) * 2020-06-30 2021-02-19 최종탁 투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136B2 (en) Methods for risk portfolio management within an electronic trading system
US6996540B1 (en) Systems for switch auctions utilizing risk position portfolios of a plurality of traders
US20100299239A1 (en) Systems for risk portfolio management
US200702395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verse auction of financial instruments
US20040044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change traded insurance funds
US2014017267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n Online Secured Loan Manager
KR101805404B1 (ko) P2p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82653B1 (ko)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70133301A (ko) 주식 담보를 이용한 피어 투 피어 기반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119111A (ko) 부동산 공동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4770A (ko)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101666083B1 (ko) 매출채권 담보대출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KR20230125152A (ko)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US20220309493A1 (en) Expediting transaction settlement
WO201409879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n online secured loan manager
KR101161359B1 (ko) 웹 스크린 스크랩핑 기술을 이용한 주식매입자금 대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66084B1 (ko) 매출채권 담보대출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70099321A (ko) 조건 맞춤형 p2p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805409B1 (ko) 주식 담보를 이용한 피어 투 피어 기반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4213642A5 (ko)
KR20180021047A (ko) P2p 무심사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US11551298B1 (en)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an exchange-traded fund
KR20180021054A (ko) P2p 대출 채권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00114A (ko) 담보물 가치 상승에 따른 수익 배분 조건부 p2p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43587A (ko)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