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152A -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152A
KR20230125152A KR1020230108791A KR20230108791A KR20230125152A KR 20230125152 A KR20230125152 A KR 20230125152A KR 1020230108791 A KR1020230108791 A KR 1020230108791A KR 20230108791 A KR20230108791 A KR 20230108791A KR 20230125152 A KR20230125152 A KR 20230125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estate
backed securities
transaction
user
a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거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거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거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3010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152A/ko
Publication of KR2023012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1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 for e-commer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서버 및 다수의 사용자 기기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에 판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등록 요청하되, 판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인 기초 자산 평가 자료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 1사용자 기기, 상기 제 1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초 자산 평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 가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자산 가치에 기반하여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를 평가하며,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 수치가 기준치 이상으로 평가되면,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거래 플랫폼 내 판매 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내용을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 가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의 부동산 유동화증권 구매 요청에 대한 신호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 2사용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Transaction support system for real estate-backed securities}
본 발명은 디지털 자산의 거래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부동산 자산유동화 증권 등의 디지털 자산의 거래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동화증권이란 유동화 자산을 기초로 하여 자산 유동화 계획에 따라 발행하는 증권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동화증권에는 대표적으로 부동산을 기초로 하여 발행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이 있다.
부동산과 같이 금액의 단위가 큰 자산은 투자 또는 판매가 쉽지 않고, 거래가 성사되기까지 비교적 오랜 시일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부동산 자산을 기초로 한 증권인 부동산 유동화증권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부동산 유동화 증권을 이용할 경우, 소유주는 보유 부동산을 유동화하여 자금 조달이 가능하게 되고, 투자자들의 경우 기존에 투자하기 어려운 부동산의 간접 투자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부동산 유동화증권과 같은 디지털 자산 또한 거래 가능한 자산으로 인정되는 추세이며, 일각에서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재판매를 지원하는 플랫폼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자산을 온라인 상에서 재판매하기 위해서는, 해당 디지털 자산을 발행한 업체 측 서비스에 접속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에 따라 디지털 자산의 2차 판매를 위한 시장은 여전히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자산을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통합 거래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자산의 거래 이력을 투명하게 관리하며, 안정성 높고 공신력 있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서버 및 다수의 사용자 기기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에 판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등록 요청하되, 판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인 기초 자산 평가 자료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 1사용자 기기, 상기 제 1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초 자산 평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 가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자산 가치에 기반하여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를 평가하며,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 수치가 기준치 이상으로 평가되면,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거래 플랫폼 내 판매 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내용을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 가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의 부동산 유동화증권 구매 요청에 대한 신호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 2사용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자산을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통합 거래하도록 하여 디지털 자산을 보유한 다양한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의 거래 이력을 투명하게 관리하며, 이에 따라 안정성 높고 공신력 있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에서 디지털 자산이 거래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자산 인증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지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플랫폼에서의 거래대상 추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디지털 자산은 디지털 형태로 그 가치가 증명될 수 있는 자산을 의미할 수 있으며, 부동산 유동화증권, 원리금 수취권, 디지털 저작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디지털 자산은 주로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은 부동산 자산을 기초로 발행된 증권을 의미할 수 있다. 기존에 부동산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거액의 자금이 필요했지만, 상기 부동산 유동화 증권을 이용하면 소액으로도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동산 유동화 증권을 소유한 소유자는 해당 증권의 기초 자산인 부동산에서 발생된 수익을 배분 받을 수 있다. 부동산 유동화 증권은 하나의 자산(부동산)을 기초로 발행될 수도 있으나, 여러 기업으로부터 구매된 동일 유형의 부동산 자산(예, 토지, 건물, 공장 등)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 통계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예상 현금 흐름을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발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원리금 수취권이란 바람직하게는 P2P 투자상품에 투자한 일 투자자가, 대출자에 의해 상환되는 원리금을 수취할 수 있는 권리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일 사용자가 소유한 디지털 자산인 부동산 유동화 증권을 타인과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자산(예,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지원 서버 100와 디지털 자산(부동산 유동화 증권)을 거래하고자 하는 다수의 사용자 기기 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 기기는 자신의 소유인 디지털 자산을 매도하고자 하는 제 1사용자 기기 201와, 디지털 자산(부동산 유동화 증권)을 매수하고자 하는 제 2사용자 기기 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100는 디지털 자산을 매도하고자 하는 제 1사용자 기기 201로부터 디지털 자산 판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서버 100는 디지털 자산 판매 요청 신호와 함께 디지털 자산에 관한 정보(예, 디지털 자산 종류, 디지털 자산 발행 업체, 투자금(구매가격), 이율(수익률) 등) 및 거래 정보(예, 판매가격, 교환 가능한 자산 종류 등의 거래 조건)을 상기 제 1사용자 기기 201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00는 또한 디지털 자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디지털 자산의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신뢰도 수치가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디지털 자산을 거래 플랫폼을 통해 타 사용자에게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100는 디지털 자산을 구매하기 위해 접속한 사용자(제 2사용자)로부터 구매 조건을 입력받고, 구매 조건에 대응하는 상품을 검색 또는 추천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조건은 예컨대, 상품(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종류 정보, 매입하고자 하는 가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100는 제 2사용자가 입력한 구매 조건에 대응하는 상품을 검색하여 추천한 결과, 사용자의 구매 동의가 확인되면, 해당 상품의 판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100는 거래 플랫폼에 등록되어 게시된 상품들 중 일 상품에 대하여 제 2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고, 구매를 요청함에 따라 해당 상품의 판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00는 거래가 완료되면 해당 거래 내용을 블록체인의 거래 장부에 기록하여, 추후 동일 상품에 대한 재거래 시 기록된 내용을 참조하여 동일 상품에 대한 인증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에서 디지털 자산이 거래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폼은 일 업체에서 발행된 디지털 자산(예, 부동산 유동화증권)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 다양한 업체에서 발행된 디지털 자산(부동산 유동화증권)을 거래하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플랫폼은 일 소유자가 A업체에서 발행된 부동산 유동화 증권을 판매하고자 할 경우, 상기 소유자로부터 해당 자산(부동산 유동화증권)을 판매 상품으로 등록받을 수 있다. 그리고 기 등록된 상품에 대하여 구매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있을 경우, 상기 거래 플랫폼을 지원하는 서버 100는 해당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판매 동작이 이행됨에 따라 부동산 유동화 증권의 소유권이 원 소유자인 제 1사용자에게서 구매자인 제 2사용자로 이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제 1사용자가 제 2사용자에게 디지털 자산을 판매한 대금은 제 1사용자 계좌로 지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매 과정을 거쳐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이 변경되면, 상기 A업체로부터 추후 해당 디지털 자산(예, 부동산 유동화)의 수익을 배분받게 될 대상은 제 1사용자가 아닌 변경된 소유자인 제 2사용자가 된다.
거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00는 거래 상품(부동산 유동화증권)이 판매용으로 등록될 시, 일정 할인율이 적용된 금액으로 거래 가격이 결정되도록 하여, 거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100는 플랫폼 이용에 따른 수수료를 자동으로 거래 참여자인 사용자들에게 부과할 수 있는데, 이 때 플랫폼 이용 수수료는 거래가 이루어짐에 따라 거래 금액에 상응하는 가치가 자동으로 차감되고 플랫폼 서버 100측에 제공될 수 있다.
수수료는 예를 들어, 제 1사용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디지털 자산을 거래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또는 제 1사용자가 판매하고자 등록한 디지털 자산이 타 사용자에게 거래되는 단계에서 거래 플랫폼 측에 지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자산의 판매 대금은 현금뿐 아니라 아니라 암호화폐, 주식, 귀금속 증서 등 다양한 형식의 자금으로 지불될 수 있다.
거래를 통해 디지털 자산의 소유자가 변경됨에 따라, 해당 증권에 대한 수익 배당금은 변경된 소유자인 제 2사용자 측에 전달되어야 하는데, 제 2사용에게 수익이 전달되는 과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A업체에서 발행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제 2사용자가 제 1사용자로부터 구매한 경우, 상기 서버 100는 기 제휴된 A업체 측에 변경된 소유자 정보(예, 계좌 정보)를 제공하고 승인받는 과정을 통해 수익 배당금이 제 2사용자의 계좌로 직접 입금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 100는 부동산 유동화 증권을 판매한 제 1사용자에게 제공될 해당 금액이 플랫폼 서버 100측 계좌로 1차 원리금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서버 100 측에서 디지털 자산 구매자인 제 2사용자에게 2차 원리금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만약 이와 같이 플랫폼 서버 100 측을 거쳐 타 업체에서 이루어진 투자금에 대한 상환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서버 100는 원리금 상환 시 소정의 수수료를 공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100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및 제어부 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 5G(Five Generation)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110는 다수의 사용자 기기 200와의 디지털 자산(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 200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판매 또는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 110는 디지털 자산을 판매하고자 하는 제 1사용자 기기 201로부터 거래될 디지털 자산에 대한 자산 정보 및 거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 110는 제 2사용자 기기 202로부터 제 2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디지털 자산의 정보 및 판매상품으로 등록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110는 디지털 자산에 대하여 수행된 각종 인증 결과(자산 가치, 진위 여부 등)에 대한 정보 및 거래가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 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20는 디지털 자산의 통합 거래를 수행하는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 120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가치 평가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간 디지털 자산의 거래 시 요구되는 결제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구제척으로, 상기 저장부 120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주요 거래 대상인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요구되는 평가용 정보를 관련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의 종류, 위치, 평당 임대료 등이 평가용 정보에 해당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해당 자료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20는 기 제휴된 디지털 자산 발행 업체와, 회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20는 다양한 업체로부터 발행된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기 위해 요구되는 발행업체 인증 알고리즘, 블록체인 키 생성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 13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130는 발행 주체가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동일 플랫폼 상에서 거래하는 데 요구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130는 거래 자산 인증부 131, 블록체인 관리부 132 및 거래 지원부 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각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제어부 130는 거래 대상이 되는 디지털 자산의 가치를 확인하고, 거래 대상으로서의 적합성(신뢰도)을 인증하는 동작, 거래 대상으로 적합성(기준치 이상의 신뢰도)이 인증된 상품(부동산 유동화 증권)에 대한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의 관리 동작, 거래 대상(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실질적인 거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30의 구성요소 중 먼저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 13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 131는 사용자가 거래하고자 하는 디지털 자산의 진위에 대한 확인이 완료됨에 따라 거래 가능한 자산으로 인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거래 플랫폼에서 거래될 수 있는 자산은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자산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거래 플랫폼에서 거래되는 자산은 부동산을 기초 자산으로 하여 발행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 131는 거래하고자 하는 상품의 소유자의 개인 인증 항목의 수와(기준 1), 해당 상품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한 결과와 매도자의 판매 요청 금액과의 격차(기준 2)를 기반으로 해당 상품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00는 해당 상품의 신뢰도에 따라 상품 등록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100는 거래 자산 인증부 131에서 판단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해당 증권이 판매 상품으로 등록될 수 없음을 고지하고 등록을 거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서버 100는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 131에서 평가한 상품의 신뢰도 수치가 기준치 이상이면, 해당 증권의 상품 등록을 승인하고, 신뢰도 수치를 플랫폼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고지하여 거래 시 사용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 131는 소유자 확인부 131a, 자산가치 확인부 1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 131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 132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플랫폼 상에서의 거래가 중앙 집중적이며, 안전한 관리 하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신뢰도 수치가 기준값 이상인 디지털 자산에 대하여 거래 가능한 상품으로 승인하고, 해당 자산에 대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의 관리를 시작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공유원장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 132는 거래 적합성이 인증된 디지털 자산이 통합 거래 플랫폼 상에서 거래되면, 해당 디지털 자산의 거래 정보(소유자 변경 정보, 거래 대금 등)를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기록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사용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이 누구나 데이터에 접근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는 것과 달리 법적 책임을 지는 허가받은 주체(기관)만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방식을 의미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대상이 분명하기 때문에 인센티브 제도인 암호화폐를 발행하지 않아도 되며, 읽기, 쓰기, 합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참여자가 미리 지정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주체가 새로 추가되거나 제거 가능하기 때문에 금융기관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 방식이며, 인가된 대상만을 트랜잭션 생성에 참여시킨다는 점 등에서 퍼블릭 블록체인과 많은 차이가 있다. 특히,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정보 공유 범위가 설정 가능하고, 운영 주체가 존재한다는 점은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같은 특징은 익명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인가된 대상만이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참여자 모두에게 거래내역을 일일이 확인받는 과정을 거치는 퍼블릭 블록체인 방식에 비해 거래 처리 속도가 빠르고 처리할 수 있는 거래량이 월등이 많아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 132는 거래 지원부 133를 통해 수행된 거래 이력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장부에 기록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거래 플랫폼을 통해 거래된 모든 디지털 자산의 거래 정보(예, 동일 상품의 소유권 이전 이력 등)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장부에 기록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 132는 거래 유효성이 판단된 일 상품의 거래에 대하여, 거래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의 공용 장부에 기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기록된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데이터는 추후 거래 시 그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될 수 있다.
제어부 130의 구성 중 상기 거래 지원부 133는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디지털 자산(부동산 유동화증권)이 통합 거래 플랫폼 상에서 타인에게 거래되는 데 요구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지원부 133는 거래 조건 확인부 133a, 거래조건 조정부 133b, 거래대상 추천부 133c, 거래 수행부 133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래 지원부 133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자산 인증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 131는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유자 확인부 131a, 자산가치 확인부 13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 131는 거래하고자 하는 상품의 소유자의 개인 인증 항목과(기준 1), 해당 상품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한 결과와 매도자의 판매 요청 금액과의 격차(기준 2)를 기반으로 해당 상품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 중 상기 기준 1에 대한 정보는 소유자 확인부 131a에서 평가하고, 기준 2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자산 가치 확인부 131b에서 평가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소유자 확인부 131a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항목에서 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유자 확인부 131a는 제 1사용자(판매자)의 개인 인증 항목의 수에 비례하여 해당 판매자가 소유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를 높은 수치로 평가할 수 있다.
개인 인증 항목으로는 예컨대, 전화번호 인증, 주소 인증, 이메일 인증, 판매하고자 하는 디지털 자산을 발행한 업체측 계정 인증, 거래 이력 인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거래 이력 인증은 판매 상품을 등록하려는 사용자의 부정 거래 이력 또는 사기행위가 발견된 이력이 없음을 확인하여 인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유자 확인부 131a는 거래 플랫폼에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부정 거래 시도 이력(사기 이력)을 조회하고, 해당 사용자의 부정 거래 이력이 없음을 확인하는 인증동작(거래 이력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유자 확인부 131a는 일 사용자의 판매뿐 아니라 구매 시에 확인된 부정 거래 이력을 모두 조회하여 불량 사용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소유자 확인부 131a는 블록체인 기반의 장부에 기록된 거래 이력을 토대로, 해당 사용자의 전체 거래 이력 대비 부정 거래 확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확률 정보에 대응하여 신뢰도를 산출(부정 거래 확률이 낮을수록 신뢰도 높은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부정거래 이력이 동일하게 없는 사용자 A와 B가 있다고 하더라도 거래 이력이 없는 A보다 거래 이력이 많은 B의 경우 신뢰도 수치가 더 높은 값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유자 확인부 131a는 일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소유자 정보가 변경 예정인지 여부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유자 확인부 131a는 상품에 대한 현재 소유자 정보는 일치하나, 해당 상품에 대한 예약 판매 이력이 있는지 여부, 소유자 변경 일정을 확인하고, 예약 판매가 예정된 상품인 경우 해당 판매자의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판매 요청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소유자 확인부 131a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거래 플랫폼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부정 거래 이력이 없다고 확인된 경우, 기준 1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유자 확인부 131a는 부정 거래 이력 뿐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개인 인증 정도에 대응하여 기준 1의 만족 여부 및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 신상 정보가 상세히 기재되고, 본인 인증을 완료한 사용자의 상품일수록 상기 소유자 확인부 131a는 신뢰도 수치를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자산가치 확인부 131b는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가치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해당 상품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신뢰도는 해당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상품 등록을 허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기준치 이하의 신뢰도를 획득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경우 플랫폼에 상품으로 등록되는 것이 거절될 수 있다.
상기 자산가치 확인부 133b는 판매 상품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한 결과와 매도자의 판매 요청 금액과의 격차의 정도에 대응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자산가치 확인부 133b는 상기 격차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발행 기초가 된 부동산(이하, 발행 기초 부동산)을 분석하고, 해당 부동산의 운영에 따라 발생될 수익을 추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산가치 확인부 133b는 분석된 발행 기초 부동산의 현재 시세 및 예상 수익(임대료, 매각 수익)을 기반으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자산가치 확인부 133b는 매도자(제 1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상품의 판매 가격과 상기 환산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가치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차액의 정도에 따라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차액이 증가할수록 신뢰도는 낮은 수치로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자산가치 확인부 131b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가치를 판단할 시,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판매하고자 하는 제 1사용자 기기 또는 연계된 부동산 유동화증권 발행업체로부터 발행 기초 부동산에 대한 기초 자산 평가 자료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기초 자산 평가 자료를 토대로 해당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초 자산 평가 자료란, 발행 기초 부동산의 위치, 유형별 분류 정보(예, 토지, 건물 등), 용도별 분류 정보(예, 농지, 상가 등), 부동산 매입 금액, 수익률, 증권 발행의 기초가 된 부동산의 수, 발행 기초 부동산의 건설 업체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자산가치 확인부 131b는 발행 기초 부동산에 관한 정보 외에, 해당 증권이 발행된 시점, 해당 증권을 발행한 업체 등 증권 발행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자산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산가치 확인부 131b는 상품이 판매용으로 등록되기 전 신뢰도를 평가하려는 목적 외에도, 구매자에게 해당 상품에 대한 가치를 알리기 위해 자산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자산가치 확인부 131b에 의해 수치로 환산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가치는 디지털 자산을 구매하기 위해 플랫폼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공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지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거래 지원부 133는 판매상품으로 등록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일 상품(부동산 유동화증권)이 판매 상품으로 등록 요청되면,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 131는 해당 상품의 신뢰도 수치를 확인하고, 해당 상품의 신뢰도 수치가 기준치 이상이면 이를 플랫폼에 판매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 지원부 133는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일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조건이 충분히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고, 입력된 거래 조건이 해당 상품의 자산 가치에 대비하여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 사용자로부터 구매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해당 상품(부동산 유동화증권)의 판매(구매자에게 상품의 소유권 이전 및 판매자에게 결제대금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지원부 133는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래 조건 확인부 133a, 거래 조건 조정부 133b, 거래대상 추천부 133c 및 거래 수행부 133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래 조건 확인부 133a는 제 1사용자가 판매 요청 시 입력한 거래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거래를 요청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거래 조건의 항목으로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판매 가격, 거래 가능한 지불 수단(교환 대상), 거래 마감일, 상품 신용도 수치의 최솟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거래 요청 시 거래 조건에 거래 가능한 지불 수단(교환 대상)을 입력할 수 있는데, 이 때 현금, 상이한 종류의 부동산 유동화증권, 부동산 대출 채권, P2P 원리금 수취권, 주식, 암호화폐 등이 교환 대상의 항목에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교환 대상에는 자산 가치가 책정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거래 조건 확인부 133a는 제 1사용자가 요구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판매 가격(현금 기준) 또는 교환 가능한 자산의 가치 정보(현금 이외의 수단 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조건 확인부 133a는 이와 같이 제 1사용자가 거래 요청 시, 등록한 다양한 종류의 거래 조건을 열람하고, 거래 조건 정보의 입력이 불충분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추가 입력하도록 제 1사용자 기기 201 측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조건 조정부 133b는 제 1사용자가 입력한 거래 조건(판매 조건)이 해당 부동산 유동화증권에 대하여 거래 자산 인증부 131에 의해 산출된 가치와 기준치 이상의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거래 조건을 조정하도록 제 1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 조건 조정부 133b는 일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현금이 아닌 다른 종류의 부동산 유동화증권으로 거래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거래 참여자들에게 교환 가능 범위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사용자가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다른 상품(부동산 유동화증권)으로 교환하고자 요청하는 경우 요구되는 거래 조건으로는 수익률 정보(수익률의 변동 범위, 수익률의 평균값), 판매금액, 부동산 유동화증권 발행 업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거래 조건 조정부 133b는 교환될 상품 간의 가치 차가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일 측에 비해 가치가 적다고 판단된 타 측에서 추가로 지불하게 될 현금 액수를 제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거래 조건 조정부 133b는 일 사용자가 1000만원의 가치에 상응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500만원 가치의 부동산 유동화증권과 거래하고자 할 경우, 양 측간 가치의 차이인 500만원을 구매자측에서 추가로 지불할 수 있도록 거래 조건의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거래 조건 조정부 133b는 상품끼리의 교환으로 거래가 이루어질 시, 동일한 수준의 가치가 교환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거래대상 추천부 133c는 본 발명의 거래 플랫폼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들의 특성을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매 가능한 디지털 자산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거래 대상 추천부 133c는 판매 상품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플랫폼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 또는 회원가입한 모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전 거래 이력, 사용자 기입 정보 등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 부동산 유형 및 거래 패턴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품 항목별 해당 사용자의 거래 가능성 수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거래 대상 추천부 133c는 일 사용자에 대하여 거래 가능성 수치가 기준치 이상인 판단되는 상품을 추출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 대상 추천부 133c는 플랫폼에 등록된 다수의 상품들을 대상으로, 상품들 간 교환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교환 대상으로 추천할 수 있다. 추천 동작 이후, 거래 조건의 유사도가 기준치 이상이나, 거래 조건 및 상품의 가치가 100%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거래 조건 조정부 133b는 거래 조건(예, 판매 금액)의 조정을 상품 등록자 측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거래 대상 추천부 133c는 제 1사용자(판매자)에게 뿐 아니라, 제 2사용자(구매자)에게 구매하기 적합 상품을 추천하고, 추천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거래 대상 추천부 133c는 사용자 게시 정보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관리부(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게시판에 게시되는 자료에 대한 진위 여부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관리부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들로부터 부동산 시세 상승 요인이 되는 호재 또는 부동산 시세 하락 요인이 되는 악재에 관한 정보(이하, 시세 관련 정보)를 등록받고 게시판에 게시할 수 있다. 이 때 게시판에 게시되는 시세 관련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이미지, 정부 기관 홈페이지 게시자료, 신문 기사 또는 기사 링크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텍스트 자료의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관리부는 게시된 자료들 중 사용자의 '추천수'가 기준치 이상이 되거나, 동일 내용인 게시자료의 수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해당 자료에 대하여, 사실 확인이 시급한 게시 자료로 분류하고 우선적으로 관리자의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자료에 대한 관리자 검증이 완료되면 이를 유효 자료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관리부는 게시 자료에 대한 사용자의 추천수 또는 기준치 이상의 개수로(예, 5개 이상) 동일 게시자료가 확인(예, 지하철역 개통 확정에 관한 다수의 신문사별 신문기사가 확인)될 경우, 해당 내용에 관하여 별도의 관리자 검증 과정 없이 자동으로 유효 자료로 분류할 수도 있다.
상기 거래 대상 추천부 133c는 나아가, 사용자 게시 정보 매칭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매칭부는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관리부에 의해 유효 자료로 분류된 게시 자료에 대하여 부동산 유동화증권과 매칭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매칭부는 일 게시 자료에 다수개의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매칭할 수 있으며, 일 부동산 유동화증권에 다수 개의 게시 자료를 매칭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매칭부(미도시)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발행 기초가 된 부동산의 위치 지역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명칭이 포함된 게시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매칭부(미도시)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발행기초가 된 부동산의 위치가 '광명' 이라는 지역이라고 할 경우, '광명' 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게시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관련 게시 정보로 매칭할 수 있다. 이 때 관련 게시 정보는 광명 지역의 인프라 관련 정보(예, 지하철역, 병원 유치) 및 정책 관련 정보(예, 투기 과열지역 선정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매칭부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발행 기초가 된 부동산이 건물일 경우, 지역 명칭뿐 아니라, 해당 건물의 건설 업체명의 일치 여부를 기반으로 게시 정보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매칭부는 이 밖에도, 발행 기초 부동산과 관련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게시 자료를 탐색하여 매칭할 수 있는데, 이 때 발행 기초 부동산과 관련된 키워드는 유형별 분류 정보(예, 토지, 건물 등), 용도별 분류 정보(예, 농지, 상가 등), 사이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게시 정보 매칭부에서 매칭한 부동산 유동화증권 별 게시 자료(이하, 매칭 게시 자료)는 거래 대상 추천부의 상품 추천 시, 상품에 대한 정보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매칭 게시 자료는 추천된 부동산 유동화증권 항목들 중 일 상품을 선택할 시 측면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매칭 게시 자료는 상품 구매 결정을 할 때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거래 수행부 133d는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상품(부동산 유동화증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제 2사용자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고, 해당 상품에 대한 거래 조건을 상기 제 2사용자가 확인하고 동의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상품에 대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현금으로 교환하는 거래 외에도, 일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다른 종류의 부동산 유동화증권으로 교환하는 거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일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다른 종류의 부동산 유동화증권으로 교환할 경우에, 상기 거래 수행부 133d는 제 1사용자가 원하는 거래 조건에 상응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탐색하고, 이를 거래 상품으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 수행부 133d는 일 사용자가 등록한 상품(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시, 해당 상품을 구매하려는 제 2사용자에게로 소유권을 이전하고, 제 2사용자로부터 판매대금을 결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래 수행부 133d는 거래가 이루어지면, 이와 같은 소유권 이전 정보, 결제 대금 정보 등의 거래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 관리부 132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 132는 거래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 수행부 133d는 기 검증되어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되고 있던 상품에 대하여, 이전 트랜잭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타 사용자와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플랫폼에서의 거래대상 추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100는 거래 플랫폼 601의 운영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사용자들은 상기 거래 플랫폼 601에 자신이 매도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하여 타인의 구매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매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 100는 거래 플랫폼 601 상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디지털 자산에 대하여 거래 조건이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거래 조건이 부합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디지털 자산을 매칭하여 거래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 A 604가 판매 의뢰한 부동산 유동화증권 602의 결제 가능 수단에 현금 외에P2P 원리금 수취권이 더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 B 605가 판매 의뢰한 P2P 원리금 수취권 603의 결재 가능 수단에 현금 외에 부동산 유동화증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서버 100는 가치의 가격대가 동일 범위(예, 1000~1100만원대)에 있는 부동산 유동화 증권 602과 P2P원리금 수취권 603을 매칭하여 거래를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매칭된 부동산 유동화 증권 602과 P2P 원리금 수취권의 자산 가치가 100%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서버 100는 각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판매 금액을 조정하도록 유도하여 상이한 종류의 상품간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 100는 A사용자가 판매 의뢰한 상품의 환산가치가 B 사용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환산가치보다 큰 경우, B 사용자에게 가치의 차액만큼을 추가 지불할 경우 거래가 가능하다는 내용을 고지하고, 이에 대한 양 사용자의 동의가 확인됨에 따라 상품의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서버 및 다수의 사용자 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에 판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등록 요청하되, 판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인 기초 자산 평가 자료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 1사용자 기기, 상기 제 1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초 자산 평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 가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자산 가치에 기반하여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를 평가하며,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 수치가 기준치 이상으로 평가되면,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거래 플랫폼 내 판매 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내용을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 가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의 부동산 유동화증권 구매 요청에 대한 신호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 2사용자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기초 자산 평가 자료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발행의 기초가 되는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써,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발행 기초가 되는 부동산의 위치, 유형별 분류 정보, 용도별 분류 정보, 매입 금액, 수익률, 건설 업체 및 증권 발행의 기초가 된 부동산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판매 상품으로 등록 요청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에 대하여 신뢰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뢰도 수치를 기준으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상품 등록을 허가하는 거래 자산 인증부,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에 의해 상품 등록이 허가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 관리를 수행하되,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트랜잭션 상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관리부, 상기 제 2사용자 기기로부터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구매 요청이 확인되면, 결제 및 소유권 이전 동작을 지원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거래 지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판매하려는 제 1사용자의 개인 인증 항목의 수에 비례하여, 해당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 수치를 산출하고, 블록체인 장부에 기록된 상기 제 1사용자의 거래 이력을 기반으로 전체 거래 이력 대비 부정 거래 확률을 산출하며, 부정 거래 확률이 낮을수록 제 1사용자가 소유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 수치를 높은 값으로 산출하는 소유자 확인부 및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한 결과와 제 1사용자의 판매 요청 금액과의 격차를 기반으로 해당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자산가치 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산가치 확인부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발행 기초가 된 부동산의 현재 시세, 임대료 및 매각 수익을 기반으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가치를 금액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거래 지원부는 제 1사용자가 판매 요청 시 입력한 거래 조건인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판매 가격 및 거래 가능한 지불 수단을 확인하는 거래 조건 확인부, 제 1사용자가 입력한 거래 조건이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에 의해 산출된 자산 가치와 기준치 이상의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거래 조건을 조정하도록 제 1사용자에게 요청하는 거래 조건 조정부, 거래 플랫폼에 접속한 사용자들의 거래 이력을 기반으로 거래 패턴 및 관심 부동산 유형을 확인하고, 사용자 거래 패턴 및 관심 부동산 유형에 해당하는 상품을 거래 대상으로 추천하는 거래 대상 추천부,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구매하고자 하는 제 2사용자의 구매 요청 신호를 확인하고, 해당 상품에 대한 거래 조건을 상기 제 2사용자가 확인하고 동의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및 소유권 이전 동작을 수행하는 거래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래 대상 추천부는 사용자들로부터 부동산 시세와 관련된 정보를 등록받고 게시판에 게시하되, 게시된 자료들 중 사용자의 추천수가 기준치 이상인 자료를 유효 자료로 분류하는 사용자 게시 정보 관리부 및 유효 자료로 분류된 게시 자료를 부동산 유동화증권과 매칭하되, 부동산이 위치한 지역 명칭이 일치하는 유효 자료를 해당 부동산 유동화증권에 매칭하는 사용자 게시 정보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서버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제어부
131 : 거래 자산 인증부
131a: 소유자 확인부
131b : 자산가치 확인부
132 : 블록체인 관리부
133 : 거래 지원부
133a: 거래 조건 확인부
133b : 거래 조건 조정부
133c : 거래대상 추천부
133d : 거래 수행부

Claims (1)

  1. 서버 및 다수의 사용자 기기로 구성되는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판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등록 요청하되, 판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인 기초 자산 평가 자료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 1사용자 기기;
    상기 제 1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초 자산 평가 자료에 근거하여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 가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자산 가치에 기반하여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를 평가하며,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 수치가 기준치 이상으로 평가되면,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거래 플랫폼 내 판매 상품으로 등록하고,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내용을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자산 가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의 부동산 유동화증권 구매 요청에 대한 신호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제 2사용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판매 상품으로 등록 요청되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에 대하여 신뢰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뢰도 수치를 기준으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상품 등록을 허가하는 거래 자산 인증부;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에 의해 상품 등록이 허가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 관리를 수행하되, 상기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트랜잭션 상에 기록하는 블록체인 관리부;
    상기 제 2사용자 기기로부터 판매 상품으로 등록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구매 요청이 확인되면, 결제 및 소유권 이전 동작을 지원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거래 지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자산 인증부는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판매하려는 제 1사용자의 개인 인증 항목의 수에 비례하여, 해당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 수치를 산출하고,
    블록체인 장부에 기록된 상기 제 1사용자의 거래 이력을 기반으로 전체 거래 이력 대비 부정 거래 확률을 산출하며, 부정 거래 확률이 낮을수록 제 1사용자가 소유한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 수치를 높은 값으로 산출하는 소유자 확인부; 및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한 결과와 제 1사용자의 판매 요청 금액과의 격차를 기반으로 해당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자산가치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지원부는
    일 부동산 유동화증권을 다른 종류의 부동산 유동화증권으로 거래하려는 거래 참여자에게 교환 가능 범위를 안내하는 거래 조건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30108791A 2020-10-07 2023-08-21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KR20230125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791A KR20230125152A (ko) 2020-10-07 2023-08-21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333A KR102571009B1 (ko) 2020-10-07 2020-10-07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0230108791A KR20230125152A (ko) 2020-10-07 2023-08-21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333A Division KR102571009B1 (ko) 2020-10-07 2020-10-07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152A true KR20230125152A (ko) 2023-08-29

Family

ID=812113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333A KR102571009B1 (ko) 2020-10-07 2020-10-07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0230108791A KR20230125152A (ko) 2020-10-07 2023-08-21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333A KR102571009B1 (ko) 2020-10-07 2020-10-07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1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997B1 (ko) * 2022-08-10 2023-02-23 장규오 플랫폼간 자산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2055A1 (en) * 2007-12-21 2009-07-02 Youn, Hyun Jin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real estate securities and method thereof
KR101730531B1 (ko) * 2013-03-14 2017-05-11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유가증권 거래 방법 및 장치
KR20200018893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티켓소켓코리아 자산의 토큰화를 통한 당사자간 자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91A (ko) 2022-04-14
KR102571009B1 (ko)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7590A1 (en) Secure execution of an exchange item acquisition request
US11887077B2 (en) Generating exchange item utilization solutions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US20210287268A1 (en) Injecting exchange items into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KR102103931B1 (ko) 식별 가능 태그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결제수단과 문서 전산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164228B2 (en) Method and medium for determining exchange item compliance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US20150220892A1 (en) Platform for the purchase and sale of digital currency
KR10248123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거래 서비스 지원 시스템
US74010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ssuing securities and fixed rate financing instruments, method for establishing a market with the system
CN110827023A (zh) 根据资产标记化的当事人之间的资产交易系统及方法
CN102282593A (zh) 用于处理与在线商家交易的系统和方法
EP3937110A1 (e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rade system using blockchai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040019562A1 (en) Term allowance clearinghouse
CN103154983A (zh) 支付系统、购买系统以及执行多个支付流程的方法
JP2002531887A (ja) 電子的ファクタリング
KR20230125152A (ko)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KR20180119111A (ko) 부동산 공동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12773A1 (en) Automated Private Financing Network
KR102373711B1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중개 시스템
KR20080071211A (ko) 실시간 대출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2367A (ko) 상품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169553A1 (en) Determining an automatic acquisition approach for an exchange item request
US20230125124A1 (en) Obtaining conditions data for utilizing an exchange item
KR20200055439A (ko) 셀러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9100A (ko) 디지털 자산용 등기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동산의 디지털 자산화 방법
KR20180127732A (ko) 서버 기반의 담보설정된 판매물품 관리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