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863B1 - 약제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863B1
KR102083863B1 KR1020167009115A KR20167009115A KR102083863B1 KR 102083863 B1 KR102083863 B1 KR 102083863B1 KR 1020167009115 A KR1020167009115 A KR 1020167009115A KR 20167009115 A KR20167009115 A KR 20167009115A KR 102083863 B1 KR102083863 B1 KR 102083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chemical
medical agent
dru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114A (ko
Inventor
마키오 다카하마
히로쓰구 가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6006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6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 B65B35/08Separating single articles from loose masses of articles using pocketed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2039/009Multipl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Abstract

약제 용기에, 고형의 약제를 충전할 때 사용되는 약제 충전 장치로서, 약제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약제를 배출하는 복수의 약제 배출구를 가지는 약제 수용부와,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약제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를 가지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를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로터와,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상기 약제 용기에 안내하는 약제 안내로와, 상기 로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1개소의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와, 적어도 1개소의 상기 약제 배출구가 약제 배출 가능하도록 일치한 경우, 상기 일치한 상태가 아닌 각 약제 일시 수용부와 각 약제 배출구는, 약제 배출 불가능한 각도로 어긋나 있는 약제 충전 장치이다.

Description

약제 충전 장치{MEDICINE FILLING DEVICE}
본 발명은, 약제 용기에, 고형의 약제를 충전할 때 사용되는 약제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제사는 환자에게,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제 등의 고형의 약제를 건네는 경우가 있다. 약제사는 환자에게 약제를 건네기 위해, 1회의 복용분의 종류 및 양으로 나누어 약제를 포장(분포)하는 경우와, 약제를 모아서 바이알병 등의 약제 용기에 충전하는 경우가 있다.
약제를 바이알병에 충전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평10-258801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정제 포장 장치가 있다. 이 정제 포장 장치는, 정제를 처방에 따른 양만큼 바이알병에 보낼 수 있는 정제 피더(feeder)를 구비한다. 이 정제 피더는, 정제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로터를 구비한다. 로터가 회전함으로써, 용기 본체가 구비하는 배출구로부터 정제를 순차적으로 꺼낼 수 있다. 꺼내어진 정제는, 정제 포장 장치가 구비하는 정제 통과 센서에 의해 계수(計數)되어 바이알병으로 보내진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정제 피더 1대에 대하여, 배출구가 1개소 설치되어 있다.
바이알병에는 다수의 정제가 충전된다. 그러므로, 충전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로터를 고속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로터를 고속 회전시키면, 정제 피더 내에서 정제가 막히거나, 상기 정제 통과 센서의 계수 미스(miss)가 일어나, 정확한 수량의 충전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일본공개특허 평7-165202호 공보(특허 문헌 2)는, 1대의 정제 피더에 2개소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각 배출구에는 별개의 포장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특허 문헌 1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충전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로터를 고속 회전시키려고 하면, 정제 피더 내에서 정제가 막히거나, 상기 정제 통과 센서의 계수 미스가 일어나, 정확한 수량의 충전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공개특허 평10-25880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공개특허 평7-165202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충전 작업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정확한 수량의 약제를 약제 용기에 충전할 수 있는 약제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약제 용기에, 고형의 약제를 충전할 때 사용되는 약제 충전 장치로서, 약제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약제를 배출하는 복수의 약제 배출구를 가지는 약제 수용부와,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약제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를 가지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를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로터와,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상기 약제 용기에 안내하는 약제 안내로와, 상기 로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1개소의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와, 적어도 1개소의 상기 약제 배출구가 약제 배출 가능하도록 일치시킨 경우, 상기 일치한 상태가 아닌 각 약제 일시 수용부와 각 약제 배출구는, 약제 배출 불가능한 각도로 어긋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는,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는,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와는 상이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소의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와, 상기 적어도 1개소의 상기 약제 배출구가 약제 배출 가능하도록 일치한 경우, 상기 일치한 상태가 아닌 각 약제 일시 수용부와 각 약제 배출구의 어긋남의 각도는,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의 형성 간격에 대응한 각도를,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의 형성수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각도의 정수(整數)배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의 형성수에 비해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의 형성수가 많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는, 상기 로터의 외주 에지부로부터 직경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충전 장치에 사용되는 약제 수용부를 나타낸, 폭 방향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약제 충전 장치에 사용되는 약제 수용부를 나타낸, 깊이 방향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약제 충전 장치에서의 로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약제 충전 장치에 사용되는 약제 수용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약제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상기 약제 충전 장치에 사용되는 약제 수용부의 로터에서의 약제 수용 오목부와 약제 배출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약제 충전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한다. 이 약제 충전 장치는, 약제 수용부로서의 약제 카세트(1), 구동부(2), 제어부(도시하지 않음), 약제 안내로(4), 약제 용기 배치부(5), 검지부로서의 약제 통과 센서(6)를 구비한다.
약제 카세트(1)는, 상기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정제 피더에 상당하는 것으로,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상자형의 것이며, 복수의 정제(M)를 수용하여 적절히 꺼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카세트(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로 되어 있다. 약제 카세트(1)는 약제 충전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베이스부(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교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약제 카세트(1)에는 한 종류의 정제(M)가 수용된다.
약제 카세트(1)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벽부(底壁部)(11)와, 저벽부(11)로부터 위쪽으로 세워진 측벽부(12)를 가지고, 측벽부(12)의 위쪽에는 커버부(13)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저벽부(11)에는, 로터(17)의 하방 원반부(171)의 외경보다 약간 대경의 내주면을 가지는 통형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형부(14)의 내부에 로터(17)가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카세트(1)에는 로터(17)가 1개 설치되어 있다.
저벽부(11) 중, 상기 통형부(14)에 둘러싸인 부분,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통형부(14)의 내주면에 인접하는 부분에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가 형성되어 있다. 약제 배출구(15…1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축(173C) 기준의 각도 120°마다 균등 간격으로 3개소 형성되어 있다.
각 약제 배출구(15)의 상방 위치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 판(16)이, 통형부(14)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 판(16)은, 각 약제 배출구(15)의 상방을 덮는 것에 의하여, 2정 이상의 정제(M)가 동시에 약제 배출구(15)에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카세트(1)에는 약제 배출구(15)가 3개소 형성되어 있으므로, 칸막이 판(16)도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약제 카세트(1)의 저벽부(11)에는, 세로축(173C)(도 4 참조) 주위로 회전하는 로터(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터(17)의 회전축(173)은 저벽부(11)를 관통하고 있다. 이 회전축(173)은, 저벽부(11)의 하방에 구동부(2)로부터, 로터(17)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력이 전달되기 위한 피구동(被驅動) 기어(17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로터(17)는 스프링(175)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로터(17)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 원반부(171)와 상방 팽출부(172)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방 원반부(171)와 상방 팽출부(172)와는 별개로 되어 있고, 별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일체이어도 된다. 하방 원반부(171)와 상방 팽출부(172)를 별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므로, 상기 회전축(173)은 내외 이중의 축로 되어 있고, 각각의 축에 피 구동 기어(174)가 설치되어 있다.
상방 팽출부(172)는 경내 위치가 위쪽으로 솟아오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직경 외측 위치를 향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이 형상에 따라 정제(M)가 경사면을 미끄러져 떨어지기 때문에, 약제 카세트(1)에 수용된 정제(M)를 원활하게 아래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하방 원반부(171)는 가로 단면(斷面)이 대략 원형으로서, 로터(17)의 회전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세로축(173C) 기준의 각도 36°마다 균등 간격으로] 10개소, 약제 일시 수용부로서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가 직경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는, 로터(17)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와는 상이한 간격으로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약제 배출구(15…15)의 형성수(3개소)에 비해 약제 일시 수용부(1711…1711)의 형성수(10개소)는 많다.
각 약제 수용 오목부(1711)에 정제(M)가 끼워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로터(17)가 회전한다. 그러므로, 로터(17)는,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에 복수의 정제(M…M)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 판(16)에 의하여, 2정 이상의 정제(M)가 동시에 각 약제 배출구(15)에 낙하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에 정제(M)가 끼워진 로터(17)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정제(M)가 1정씩 각 약제 배출구(15)로 이동(낙하)한다. 이 약제 수용 오목부(1711)와 약제 배출구(15)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동부(2)는, 약제 충전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베이스부(도시하지 않음)에 위치하고 있고,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원으로서의 모터(21)와, 모터(21)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동력 전달 기구로서의 구동 기어(22)를 구비한다. 이 구동 기어(22)는, 약제 충전 장치의 본체에 약제 카세트(1)가 장착되었을 때, 약제 카세트(1)의 피구동 기어(174)와 맞물린다. 구동부(2)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로터(17)의 회전 및 정지가 제어된다. 이 구동부(2)에 의하여, 약제 카세트(1)로부터 약제 안내로(4)에 대하여 약제를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약제 안내로(4)는, 약제 충전 장치의 본체 내에 위치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 카세트(1)의 약제 배출구(15)(15a∼15c)와, 바이알병 등의 약제 용기(B)가 배치되는 약제 용기 배치부(5)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약제 카세트(1)로부터 배출된 약제는, 이 약제 안내로(4)를 통하여 약제 용기(B)의 입구까지 이동한다. 약제 안내로(4)는, 입구(41)가 상기 약제 수용부의 약제 배출구(15)(15a∼15c)에 대응하여 복수(3개소) 위치한다. 그리고, 약제 용기(B)에 대하여 개구된 출구(42)는 1개소로 되어 있다.
이 약제 안내로(4) 중, 약제 충전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베이스부(도시하지 않음)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하는 정제(M)를 검지하는 검지부로서의 약제 통과 센서(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약제 통과 센서(6)의 검지 신호는 제어부에 보내어져 처리된다. 제1 약제 배출구(15a)에 대응하여 제1 약제 통과 센서(6a)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약제 배출구(15b)에 대응하여 제2 약제 통과 센서(6b)가 설치되어 있고, 제3 약제 배출구(15c)에 대응하여 제3 약제 통과 센서(6c)가 설치되어 있다. 각 약제 통과 센서(6)(6a∼6c)는, 각 약제 배출구(15)(15a∼15c)로부터 배출되는 정제(M)를 각각 검지한다.
상기와 같이, 약제 카세트(1)의 저벽부(11)에는,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17)의 하방 원반부(171)에는, 복수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17)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 중 1개소와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 중 1개소가 일치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 중 어느 하나에 일치해도, 상기 1개소를 제외한 잔여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와, 상기 1개소를 제외한 잔여의 약제 배출구(15…15)가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 및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가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는, 로터(17)의 회전 방향을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는, 로터(17)의 회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각 약제 배출구(15)는, 로터(17)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가장 가까운 약제 수용 오목부(1711)에 대한 어긋남의 각도[세로축(173C) 기준]가 서로 상이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 중 1개소가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 중 1개소에 일치할 때, 상기 1개소를 제외한 잔여의 약제 배출구(15)는, 로터(17)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가장 가까운 약제 수용 오목부(1711)에 대하여, 소정 각도의 정수배만큼 어긋난다. 상기 소정 각도는, 균등한 상기 복수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의 간격에 대응한 각도[세로축(173C) 기준]를,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의 형성수로 나눔으로서 얻어지는 각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약제 카세트(1)의 저벽부(11)에는 약제 배출구(15)가 3개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17)의 하방 원반부(171)에는, 약제 수용 오목부(1711)가 10개소 형성되어 있다. 로터(17)의 회전에 따른, 약제 수용 오목부(1711)와 1개소의 약제 배출구(15)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17)의 회전에 따라, 1개소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와 1개소의 약제 배출구(15)(15a)가 정제(M)의 배출 가능한 상태로 일치한 경우에, 상기 1개소를 제외한 약제 일시 수용부(1711…1711)와 상기 1개소를 제외한 약제 배출구(15, 15)(15b, 15c)가 정제(M)의 배출 불가능한 각도로 어긋나 있다.
상기 어긋남의 각도는, 복수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의 형성 간격에 대응한 각도[세로축(173C) 기준의 각도 36°)를,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의 형성수[3(개소)]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각도[세로축(173C) 기준의 각도 12°]의 정수배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1개소를 제외한 약제 배출구(15, 15)(15b, 15c) 중, 도 6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약제 배출구(15b)는, 상기 약제 배출구(15b)의 주위 방향 중심을 협지하는 위치에 있는 2개소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 1711)와의 각도가, 반시계 방향으로 12°(12°의 1배), 시계 방향으로 24°(12°의 2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약제 배출구(15c)는, 상기 약제 배출구(15c)의 주위 방향 중심을 협지하는 위치에 있는 2개소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 1711)와의 거리가, 반시계 방향으로 24°(12°의 2배), 시계 방향으로 12°(12°의 1배)의 위치에 있다.
상기 어긋남의 각도로 되도록 3개소의 약제 배출구(15…15)와 10개소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가 형성됨으로써, 로터(17)가 1회전함에 따라 3개소의 약제 배출구(15…15)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제(M)를 배출할 수 있다. 즉, 로터(17)가 1회전함에 따라, 계산 상으로는, 약제 카세트(1)로부터 30개(10×3)의 정제(M)가 배출된다. 한편, 약제 배출구가 1개소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약제 수용부(약제 카세트)에서는, 로터가 1회전함에 따라, 1개소의 약제 배출구로부터밖에 정제를 배출할 수 없다. 즉, 로터가 1회전함에 따라, 약제 카세트(1)에서 10개의 정제만이 배출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17)의 회전 속도가 같아도 계산 상 3배의 개수의 정제(M)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 속도로 고속 충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로터(17)의 회전에 따라, 1개소의 약제 수용 오목부(1711)와 1개소의 약제 배출구(15)(15a)가 정제(M)의 배출 가능한 상태로 일치한 경우에, 상기 1개소를 제외한 약제 일시 와 1개소를 제외한 약제 배출구(15, 15)(15b, 15c)가 정제(M)의 배출 불가능한 상태로 어긋나 있다. 그러므로, 상기 1개소의 약제 배출구(15)(15a)로부터 정제(M)가 배출되는 순간에, 상기 1개소를 제외한 약제 배출구(15, 15)(15b, 15c)로부터는 정제(M)가 배출되지 않는다. 즉, 3개소의 약제 배출구(15…15)로부터 동시에 정제(M)가 배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약제 통과 센서(6)의 검지에 기초하여, 정제(M)를 1개씩 계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제 용기(B)로의 충전 대상이 되는 약제는 정제에 한정되지 않고, 캡슐제 등, 고형의 약제 전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약제는 처방약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의사의 처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약제이어도 된다. 또한, 「약제」는 약효 성분을 함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형의 영양제(서플리먼트)도 포함된다. 또한, 약제 배출구(15) 및 약제 일시 수용부(1711)의 형성수는 본 실시 형태의 것[약제 배출구(15)가 3개소, 약제 일시 수용부(1711)가 10개소]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형성수로 할 수 있다. 약제 배출구(15)의 형성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2개소∼4개소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약제 수용 오목부(1711)의 형성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5개소∼15개소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배출구(15…15)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균등 간격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불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동시에 2개소 이상의 약제 일시 수용부(1711)와 약제 배출구(15)가 약제 배출 가능하도록 일치해도 된다. 또한, 검지부(약제 통과 센서)(6)는, 약제 안내로(4)를 통과하는 약제를 검지할 수 있으면 되고, 약제 안내로(4)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약제 카세트(1)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1대의 약제 카세트(1)가 로터(17)를 2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약제 충전 장치의 본체에는 복수의 약제 카세트(1…1)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약제 카세트(1…1)에 대하여, 약제 안내로(4)의 복수의 입구(41…41)가 위치한다. 이 약제 안내로(4)는 도중에 합류하고, 약제 용기(B)에 대하여 개구된 출구(42)는 1개소로 된다. 단, 컨태미네이션(contamination) 방지 등의 목적에 의하여, 약제 안내로(4)가 도중에 전부 합류하지 않아, 약제 안내로(4)에 2개소 이상의 출구(4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 형태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정리한다. 본 실시 형태는, 약제 용기(B)에, 고형의 약제(정제)(M)를 충전할 때 사용되는 약제 충전 장치로서, 약제(정제)(M)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약제(정제)(M)를 배출하는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를 가지는 약제 수용부(약제 카세트)(1)와, 상기 약제 수용부(약제 카세트)(1) 내에 위치하고 있고, 약제(정제)(M)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를 가지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에 수용된 약제(정제)(M)를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로 이동시키는 로터(17)와,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로부터 배출되는 약제(정제)(M)를 상기 약제 용기에 안내하는 약제 안내로(4)와, 상기 로터(17)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2)를 구비하고, 적어도 1개소의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와, 적어도 1개소의 상기 약제 배출구(15)가 약제 배출 가능하도록 일치한 경우, 상기 일치한 상태가 아닌 각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와 각 약제 배출구(15)는, 약제 배출 불가능한 각도로 어긋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로터(17)의 회전에 따라, 상기 1개소의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와 상기 1개소의 약제 배출구(15)가 약제 배출 가능한 상태로 일치한 경우, 상기 1개소를 제외한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와 상기 1개소를 제외한 약제 배출구(15)가 약제 배출 불가능한 상태로 어긋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로터(17)가 1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로부터 약제(정제)(M)를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약제 배출구가 1개소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약제 수용부(약제 카세트)에서는, 로터(17)가 1회전함에 따라, 1개소의 약제 배출구로부터밖에 약제(정제)(M)를 배출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 속도로 고속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로부터 동시에 약제(정제)(M)가 배출되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약제(정제)(M)를 1개씩 확실하게 계수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수용부(약제 카세트)(1) 내에서 약제(정제)(M)가 막히거나, 약제 통과 센서(6)의 계수 미스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는, 상기 로터(17)의 회전 방향을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는, 상기 로터(17)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와는 상이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17)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적어도 1개소의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와, 상기 적어도 1개소의 상기 약제 배출구(15)가 약제 배출 가능하도록 일치한 경우, 상기 일치한 상태가 아닌 각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와 각 약제 배출구(15)의 상기 어긋남의 각도는,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의 형성 간격에 대응한 각도를,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의 형성수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각도의 정수배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15…15)의 형성수에 비해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의 형성수가 많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약제 수용 오목부)(1711…1711)는, 상기 로터(17)의 외주 에지부로부터 직경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약제 충전 장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 속도로 고속 충전이 가능하므로, 약제 수용부(약제 카세트)(1) 내에서 약제(정제)(M)가 막히거나, 약제 통과 센서(6)의 계수 미스가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작업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정확한 수량의 약제(정제)(M)를 약제 용기(B)에 충전할 수 있다.
1 : 약제 수용부, 약제 카세트
15 : 약제 배출구
17 : 로터
1711 : 약제 일시 수용부, 약제 수용 오목부
2 : 구동부
4 : 약제 안내로
B : 약제 용기
M : 약제, 정제

Claims (4)

  1. 약제 용기에, 고형의 약제를 충전할 때 사용되는 약제 충전 장치로서,
    약제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약제를 배출하는 복수의 약제 배출구를 가지는 약제 수용부,
    상기 약제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약제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를 가지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를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로터,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상기 약제 용기에 안내하는 약제 안내로, 및
    상기 로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 중 1개소의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 중 1개소의 상기 약제 배출구가 약제 배출 가능하도록 일치한 경우,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 중 상기 1개소의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를 제외한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 중 상기 1개소의 상기 약제 배출구를 제외한 상기 약제 배출구는, 약제 배출 불가능한 각도로 어긋나 있는,
    약제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는,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는,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와는 상이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1개소의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와, 상기 1개소의 상기 약제 배출구가 약제 배출 가능하도록 일치한 경우,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 중 상기 1개소의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를 제외한 상기 약제 일시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 중 상기 1개소의 상기 약제 배출구를 제외한 상기 약제 배출구와의 상기 어긋남의 각도는,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의 형성 간격에 대응한 각도를,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의 형성수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각도의 정수배인, 약제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약제 배출구의 형성수에 비해 상기 복수의 약제 일시 수용부의 형성수가 많은, 약제 충전 장치.
  4. 삭제
KR1020167009115A 2013-10-09 2013-10-09 약제 충전 장치 KR102083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7479 WO2015052797A1 (ja) 2013-10-09 2013-10-09 薬剤充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114A KR20160065114A (ko) 2016-06-08
KR102083863B1 true KR102083863B1 (ko) 2020-03-03

Family

ID=5281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115A KR102083863B1 (ko) 2013-10-09 2013-10-09 약제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409959B2 (ko)
EP (1) EP3056184A4 (ko)
JP (1) JP6310932B2 (ko)
KR (1) KR102083863B1 (ko)
CN (1) CN105744922B (ko)
AU (1) AU2013402591A1 (ko)
CA (1) CA2926540A1 (ko)
SG (1) SG11201602737PA (ko)
WO (1) WO2015052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602739WA (en) * 2013-10-09 2016-05-30 Takazono Technology Inc Medicine filling apparatus
EP3389022A1 (de) * 2017-04-11 2018-10-17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Vorratsbehälter für eine vorrats- und abgabestation
EP3616675B1 (de) * 2018-08-31 2021-04-14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Vorratsbehälter für eine vorrats- und abgabestation für arzneimittel
US11155378B2 (en) 2019-04-05 2021-10-26 Blue Sky Ventures? (Ontario) Inc. Gating system for accumulating items and related filling machine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6721A (en) * 1970-11-12 1974-09-11 List H Article separa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3921851A (en) * 1974-02-25 1975-11-25 Billy N Nilson Disabling device for dispenser for tablets
JPS624401A (ja) 1985-06-28 1987-01-10 Tamagawa Kikai Kk ドラムドライヤとそのドラムドライヤを使用した蒸発乾燥方法
JP2768614B2 (ja) * 1992-05-07 1998-06-25 正二 湯山 錠剤収納取出し装置
JPH0865202A (ja) 1994-08-19 1996-03-08 Fujitsu General Ltd スペクトラム拡散信号受信装置
JP2835289B2 (ja) 1994-11-22 1998-12-14 正二 湯山 錠剤フィーダ
JP2831951B2 (ja) * 1995-08-02 1998-12-0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JP2909433B2 (ja) * 1996-05-31 1999-06-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JPH10258801A (ja) 1997-03-17 1998-09-29 Yuyama Seisakusho:Kk 錠剤フィーダ
JP3211078B2 (ja) * 1997-06-26 2001-09-25 章 石塚 錠剤の自動高速計数装置
KR200247469Y1 (ko) * 1998-07-14 2002-02-19 김준호 정제자동분포기용정제카셋트
JP4298834B2 (ja) * 1999-01-14 2009-07-2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フィーダ
US7165202B2 (en) * 2001-03-22 2007-01-16 Landesk Software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customized error handling
KR100821669B1 (ko) * 2001-08-20 2008-04-1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피이더
JP3828520B2 (ja) 2003-07-25 2006-10-04 高園産業株式会社 錠剤等の薬剤選択供給装置用の薬剤収容容器
JP2006151451A (ja) 2004-11-30 2006-06-15 Wakunaga Pharmaceut Co Ltd 錠剤フィーダ及び計数充填機
JP2006230763A (ja) 2005-02-25 2006-09-0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KR100800290B1 (ko) * 2006-11-01 2008-02-0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용 카세트 장치
CN201058117Y (zh) 2007-05-14 2008-05-14 苏伟 片剂药品定量分配装置
US8430269B2 (en) * 2008-09-30 2013-04-30 Jvm Co., Ltd. Tablet cassette of automatic tablet packing apparatus
US8967426B2 (en) * 2009-04-17 2015-03-03 Yuyama Mfg. Co., Ltd. Medicine feeder and medicine dispenser
CN103108619B (zh) 2010-12-09 2015-07-08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送出装置及药剂计数装置
JP5795966B2 (ja) * 2012-01-30 2015-10-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53474A1 (en) 2016-09-01
CN105744922B (zh) 2019-07-30
AU2013402591A1 (en) 2016-05-12
US10409959B2 (en) 2019-09-10
KR20160065114A (ko) 2016-06-08
CA2926540A1 (en) 2015-04-16
EP3056184A4 (en) 2017-06-28
EP3056184A1 (en) 2016-08-17
JPWO2015052797A1 (ja) 2017-03-09
JP6310932B2 (ja) 2018-04-11
CN105744922A (zh) 2016-07-06
WO2015052797A1 (ja) 2015-04-16
SG11201602737PA (en)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863B1 (ko) 약제 충전 장치
KR101591989B1 (ko) 작은 입자 약제 정량 배출 장치 및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시스템
KR101573513B1 (ko) 약제 카트리지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20160068769A (ko) 약제 충전 장치
US20160251094A1 (en) Medicine Filling Apparatus
KR101595906B1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JP4401233B2 (ja) 薬剤フィーダ
KR101616107B1 (ko) 약제 카트리지
US10445970B2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JP6894157B1 (ja) 薬剤保管放出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KR20170049785A (ko) 의약품 불출 장치
KR101449716B1 (ko)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KR101107664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CN213721041U (zh) 药剂排出装置
KR20090091532A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KR101014873B1 (ko) 약제포장장치
KR20150141800A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KR20140112680A (ko) 약제불출장치
CN113143771A (zh) 智能提醒可分药药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