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849B1 - 전송 라인 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 라인 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849B1
KR102082849B1 KR1020180005489A KR20180005489A KR102082849B1 KR 102082849 B1 KR102082849 B1 KR 102082849B1 KR 1020180005489 A KR1020180005489 A KR 1020180005489A KR 20180005489 A KR20180005489 A KR 20180005489A KR 102082849 B1 KR102082849 B1 KR 102082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transmission
message
reques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666A (ko
Inventor
오사무 우에다
히데키 다시로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8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04Q1/22Automatic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3Performing the actions predefined by failover planning, e.g. switching to standby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을 재개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어, A계의 전송 라인(주계의 전송 라인)(3)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T)(예컨대, 5 ms) 이상 계속된 경우,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한다(스위치(5)를 스페이스 상태로 하고, 스위치(6)를 마크 상태로 함으로써, A계에서 B계로 주계를 천이시킴). 이에 따라,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의 전환 후, 다음 메시지를 송신할 때, 전원 장치(1) 내부의 전압(VS') 조정이 안정될 때까지 대기하지 않아도 되어, 통신을 재개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Description

전송 라인 전환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TRANSMISSION LINES}
본 발명은, 전류 루프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송 라인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류 루프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전류 루프 방식이란, 전류값의 변화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으로서, 루프 전류의 ON(예컨대, 30 mA)과 OFF(예컨대, 2 mA)에 의해, 전송 라인 중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 방식이다.
이 통신 방식에서는, 루프 전류를 ON으로 했을 때의 통신 신호를 마크 신호, 그 때의 루프 전류를 마크 전류, 루프 전류를 OFF로 했을 때의 통신 신호를 스페이스 신호, 그 때의 루프 전류를 스페이스 전류라고 부르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도 8은 전류 루프 방식을 채용한 전송 라인이 이중화된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전원 장치, 부호 2는 통신 단말 장치군이고, 전원 장치(1)와 통신 단말 장치군(2) 사이의 전송 라인은 이중화되어 있다. 즉, 이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전원 장치(1)와 통신 단말 장치군(2)은, A계의 전송 라인(3)과 B계의 전송 라인(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편의상, 통신 단말 장치군(2)을 2개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의 통신 단말 장치군(2)은 하나이다. 통신 단말 장치군(2)은, 직렬로 접속된 친기(親機)나 자기(子機) 등으로 이루어지고, A계의 전송 라인(3)과 B계의 전송 라인(4)의 라인 중에 공통의 부하로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 A계의 전송 라인(3)에는 스위치(5)가 설치되고, B계의 전송 라인(4)에는 스위치(6)가 설치된다. 스위치(5, 6)로서는 트랜지스터가 이용되고 있다. A계의 전송 라인(3)은, 스위치(5)를 마크 상태(전류가 흐르기 쉽게 한 상태)로 함으로써,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되어 있다. B계의 전송 라인(4)은, 스위치(6)를 스페이스 상태(전류가 흐르기 쉽게 한 상태(2 mA 이하))로 함으로써, 대기계의 전송 라인으로 되어 있다.
이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군(2)은,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즉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의 루프 전류를 ON(예컨대, 30 mA)으로 하거나, OFF(예컨대, 2 mA)로 하거나 함으로써, 메시지의 송신을 행한다.
[전송 라인 전환 장치]
이 통신 시스템(1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라인 전환 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송 라인 전환 장치(7)는,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의 메시지의 송신 요구의 유무를 감시하고,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있는 경우, 이 메시지가 송신되기 직전에, A계(주계)의 전송 라인(3) 및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양 계통의 루프가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의 루프가 확립되어 있지 않고,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루프가 확립되어 있었을 경우,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단선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한다(도 10 참조). 즉, 스위치(5)를 스페이스 상태로 하고, 스위치(6)를 마크 상태로 함으로써, A계에서 B계로 주계를 천이시킨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68856호 공보 일본 특허 제4451718호 공보
최근에는, 전원 장치(1)로서, 부하에 따라 내부의 전압(VS')을 조정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이 방식을 채용하면, 전압 조정 작업이 없어져서 조작성은 좋아지지만, 반면, 통신 단말 장치군(2)을 접속하고 나서 전원 장치(1) 내부의 전압(VS')이 안정될 때까지(최대 2초), 통신이 불가능한 기간이 생긴다.
통신 단말 장치군(2)을 접속하자마자 통신이 필요한 상황은 드물기 때문에, 이것 자체는 문제없다. 그러나, 전술한 전송 라인을 이중화한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이 단선되면, A계(주계)의 임피던스 부하가 극대가 되어, 전원 장치(1) 내부의 전압(VS')을 조정하는 기능이 일시적으로 불안정해진다. 이 때문에,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이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된 경우, 전원 장치(1) 내부의 전압(VS')이 안정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고, 통신을 재개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통신을 재개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전송 라인 전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전송 라인(3)과, 제2 전송 라인(4)과, 제1 전송 라인 및 제2 전송 라인을 각각 주계의 전송 라인 및 대기계의 전송 라인으로 하고, 주계의 전송 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메시지의 송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단말 장치군(2)과, 제1 전송 라인 및 제2 전송 라인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내부의 전압이 부하에 따라 조정되는 전원 장치(1)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200)에 이용되며, 제1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제2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송 라인 전환 장치(7B)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어, 제1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되었을 경우, 제1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제2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송 라인 전환부(70, 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어, 제1 전송 라인(주계의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되면, 제1 전송 라인(주계의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되어,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는 기간에,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의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의 전환이 행해진다. 또한, 전원 장치 내부의 전압 조정도,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는 기간에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의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의 전환 후, 다음 메시지를 송신할 때, 전원 장치 내부의 전압 조정이 안정될 때까지 대기하지 않아도 되어, 통신을 재개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된 후에는, 제2 전송 라인이 주계의 전송 라인, 제1 전송 라인이 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된다. 즉,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한 후에는, 제2 전송 라인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전송 라인(주계의 전송 라인)이 되고, 제1 전송 라인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발명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도면상의 구성 요소를, 괄호를 붙인 참조 부호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이상 설명한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어, 제1 전송 라인(주계의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 제1 전송 라인(주계의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의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의 전환 후, 다음 메시지를 송신할 때, 전원 장치 내부의 전압 조정이 안정될 때까지 대기하지 않아도 되어, 통신을 재개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송 라인 전환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송 라인 전환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이 전송 라인 전환 장치에 있어서의 CPU가 실행하는 처리 동작의 제1 예(실시형태 1)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이 전송 라인 전환 장치에 의해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된 상태(A계에서 B계로 주계가 천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처리 동작을 실행하는 전송 라인 전환 장치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이 전송 라인 전환 장치에 있어서의 CPU가 실행하는 처리 동작의 제2 예(실시형태 2)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처리 동작의 제2 예를 실행하는 전송 라인 전환 장치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전류 루프 방식을 채용한 전송 라인이 이중화된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되는 모습(전환 전의 상태)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되는 모습(전환 후의 상태)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송 라인 전환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200)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도 9와 동일 부호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 혹은 동등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9에 도시된 종래의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전송 라인 전환 장치(7)와 구별하기 위해서, 종래의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전송 라인 전환 장치(7)를 부호 7A로 나타내고,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200)에 있어서의 전송 라인 전환 장치(7)를 부호 7B로 나타낸다.
또한, 이 통신 시스템(200)에 있어서도, 종래의 통신 시스템(100)과 마찬가지로 A계의 전송 라인(3)에 있어서, 스위치(5)는 마크 상태(전류가 흐르기 쉽게 한 상태)로 되어 있고, B계의 전송 라인(4)에 있어서, 스위치(6)는 스페이스 상태(전류가 흐르기 어려운 상태(2 mA 이하))로 되어 있다. 즉, A계의 전송 라인(3)이 주계의 전송 라인이 되고, B계의 전송 라인(4)이 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되고 있다.
도 2에 전송 라인 전환 장치(7B)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략을 도시한다. 이 전송 라인 전환 장치(7B)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7-1)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7-2)와, 독출 전용 메모리(ROM)(7-3)와, 인터페이스(7-4, 7-5)와, 이들을 접속하는 모선(7-6)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전송 라인 전환 장치(7B)에는, 본 실시형태 특유의 프로그램으로서, 전송 라인 전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CPU(7-1)는,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RAM(7-2)이나 ROM(7-3)에 액세스하면서, 인스톨되어 있는 전송 라인 전환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한다.
[실시형태 1]
이하,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를 이용하여, 전송 라인 전환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7-1)가 실행하는 처리 동작의 제1 예(실시형태 1)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CPU(7-1)는,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의 메시지의 송신 요구의 유무를 확인하고(단계 S101),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는 경우,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흐르고 있는 전류 IM(IA)을 체크한다(단계 S102).
여기서,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어(단계 S101의 「없음」),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IM=0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T)(예컨대, 5 ms) 이상 계속된 경우(단계 S102의 YES), CPU(7-1)는,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단선(이상)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단계 S103),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한다(단계 S104, 도 4 참조). 즉, 스위치(5)를 스페이스 상태로 하고, 스위치(6)를 마크 상태로 함으로써, A계에서 B계로 주계를 천이시킨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는 기간에,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의 전환이 행해진다. 또한, 전원 장치(1) 내부의 전압(VS') 조정도,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는 기간에 행해진다. 이 때문에,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의 전환 후, 다음 메시지를 송신할 때, 전원 장치(1) 내부의 전압(VS') 조정이 안정될 때까지 대기하지 않아도 되어, 통신을 재개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도 5에, 전술한 처리 동작의 제1 예(실시형태 1)를 실행하는 전송 라인 전환 장치(7B)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전송 라인 전환 장치(7B)는, 전송 라인 전환부(70)로서,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71)와, A계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72)와, 라인 전환부(73)를 구비하고 있다.
전송 라인 전환부(70)에 있어서,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71)는,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의 메시지의 송신 요구의 유무를 확인한다. A계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72)는,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T) 이상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라인 전환부(73)는,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71)가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의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있는 상태이며, A계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72)가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T) 이상 계속된 것을 확인한 경우,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단선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이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된 후에는, B계의 전송 라인(4)이 주계의 전송 라인, A계의 전송 라인(3)이 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된다. 즉,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기 전에는, A계의 전송 라인(3)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전송 라인(주계의 전송 라인)이 되고, B계의 전송 라인(4)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되고 있던 것이, 전환 후에는, B계의 전송 라인(4)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전송 라인(주계의 전송 라인)이 되고, A계의 전송 라인(3)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된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를 이용하여, 전송 라인 전환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7-1)가 실행하는 처리 동작의 제2 예(실시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는 기간에,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의 단선을 검출하여,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는 논리를 추가하였다.
그러나, 실시형태 1에서는,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의 단선을 검출한 경우, 즉시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이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된다. 이때,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이 단선되고 있었을 경우, 이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단선이 주계의 전송 라인의 단선으로서 검출되며, 즉시 천이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버린다. 이 때문에, 단선이 개선될 때까지, A계에서 B계, B계에서 A계로의 주계의 천이를 반복하게 된다.
또한, 전원 투입 후, 전원 장치(1) 내부의 전압(VS')의 자동 조정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과전압 보호가 작용하여(최대 2초),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A계(주계)의 전송 라인(3),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 모두 단선을 검출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도, A계에서 B계, B계에서 A계로의 주계의 천이가 반복되는 것이 되어, 오동작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실시형태 2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어(단계 S201의 「없음」),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IM=0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T)(예컨대, 5 ms) 이상 계속된 경우(단계 S202의 YES),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단선(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한 후(단계 S203),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루프가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04).
여기서,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루프가 확립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만(단계 S204의 YES),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의 전환을 행한다(단계 S205). 즉,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루프가 확립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204의 NO),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의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의 전환은 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이 정상인 경우에만,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이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되는 것이 되어, 주계의 천이가 반복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 것이 된다.
도 7에, 전술한 처리 동작의 제2 예(실시형태 2)를 실행하는 전송 라인 전환 장치(7B)의 주요부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전송 라인 전환 장치(7B)는, 전송 라인 전환부(70')로서,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71)와, A계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72)와, B계 전송 라인 확인부(74)와, 라인 전환부(75)를 구비하고 있다.
전송 라인 전환부(70')에 있어서,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71)는,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의 메시지의 송신 요구의 유무를 확인한다. A계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72)는,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T) 이상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B계 전송 라인 확인부(74)는,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라인 전환부(75)는,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71)가 통신 단말 장치군(2)에 있어서의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있는 상태이며, A계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72)가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T) 이상 계속된 것을 확인한 경우, A계(주계)의 전송 라인(3)에 단선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B계 전송 라인 확인부(74)가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이 정상인 것을 확인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도,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이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된 후에는, B계의 전송 라인(4)이 주계의 전송 라인, A계의 전송 라인(3)이 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된다. 즉, B계(대기계)의 전송 라인(4)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기 전에는, A계의 전송 라인(3)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전송 라인(주계의 전송 라인)이 되고, B계의 전송 라인(4)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되고 있던 것이, 전환 후에는, B계의 전송 라인(4)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전송 라인(주계의 전송 라인)이 되고, A계의 전송 라인(3)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전송 라인(대기계의 전송 라인)이 된다.
[실시형태의 확장]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한 내용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1: 전원 장치, 2: 통신 단말 장치군(부하), 3: A계의 전송 라인, 4: B계의 전송 라인, 5, 6: 스위치, 7(7B): 전송 라인 전환 장치, 7-1: CPU, 7-2: RAM, 7-3: ROM, 7-4, 7-5: 인터페이스, 70, 70': 전송 라인 전환부, 71: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 72: A계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 73: 라인 전환부, 73, 74: B계 전송 라인 확인부, 75: 라인 전환부, 200: 통신 시스템.

Claims (6)

  1. 전송 라인 전환 장치에 있어서,
    제1 전송 라인과, 제2 전송 라인과, 상기 제1 전송 라인 및 상기 제2 전송 라인을 각각 주계(主系)의 전송 라인 및 대기계(待機系)의 전송 라인으로 하고, 상기 주계의 전송 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메시지의 송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단말 장치군과, 상기 제1 전송 라인 및 상기 제2 전송 라인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내부의 전압이 부하에 따라 조정되는 전원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며,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상기 제2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어,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2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송 라인 전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라인 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 전환부는,
    상기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어,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2 전송 라인이 정상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제2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라인 전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 전환부는,
    상기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의 메시지의 송신 요구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와,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와,
    상기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가 상기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의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제1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가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2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라인 전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라인 전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 전환부는,
    상기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의 메시지의 송신 요구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와,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제1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와,
    상기 제2 전송 라인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제2 전송 라인 확인부와,
    상기 메시지 송신 요구 유무 확인부가 상기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의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제1 전송 라인 전류 확인부가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된 것을 확인한 경우,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2 전송 라인 확인부가 상기 제2 전송 라인이 정상인 것을 확인하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제2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라인 전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라인 전환 장치.
  5. 전송 라인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송 라인과, 제2 전송 라인과, 상기 제1 전송 라인 및 상기 제2 전송 라인을 각각 주계의 전송 라인 및 대기계의 전송 라인으로 하여, 상기 주계의 전송 라인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메시지의 송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단말 장치군과, 상기 제1 전송 라인 및 상기 제2 전송 라인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내부의 전압이 부하에 따라 조정되는 전원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고,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긴 경우, 상기 제2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며,
    상기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어,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2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는 전송 라인 전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라인 전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 전환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 장치군에 있어서 메시지의 송신 요구가 없어,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 상기 제1 전송 라인에 이상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2 전송 라인이 정상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제2 전송 라인을 주계의 전송 라인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라인 전환 방법.
KR1020180005489A 2017-01-17 2018-01-16 전송 라인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2082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5756 2017-01-17
JP2017005756A JP6760855B2 (ja) 2017-01-17 2017-01-17 伝送ライン切替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666A KR20180084666A (ko) 2018-07-25
KR102082849B1 true KR102082849B1 (ko) 2020-02-28

Family

ID=6292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489A KR102082849B1 (ko) 2017-01-17 2018-01-16 전송 라인 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60855B2 (ko)
KR (1) KR102082849B1 (ko)
CN (1) CN108337113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8620A (ja) * 1998-11-02 2000-05-16 Nec Shizuoka Ltd 遠隔給電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3309597A (ja) * 2002-04-17 2003-10-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調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と調停方法
JP2004040341A (ja) * 2002-07-02 2004-02-05 Yokogawa Electric Corp 光経路切替装置
JP2005348549A (ja) * 2004-06-04 2005-12-15 Yamatake Corp 電源装置および電源供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6600A (en) * 1995-01-12 1997-07-08 General Electric Company Instrument for detecting potential future failures of valves in critical control systems
JPH1168856A (ja) 1997-08-12 1999-03-09 Yamatake Honeywell Co Ltd 通信制御装置
CN103956902B (zh) * 2007-06-15 2016-12-07 费希尔控制产品国际有限公司 功率收集应用中用于功率储存控制的双向dc-dc转换器
CN101350636B (zh) * 2008-09-04 2012-12-12 北京星网锐捷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光电复用端口的链路冗余备份方法与系统
CN101807986A (zh) * 2010-04-20 2010-08-18 杭州和利时自动化有限公司 一种冗余串行总线的实现方法及装置
US8774621B2 (en) * 2010-11-25 201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line switching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station-side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unit
CN104113476A (zh) * 2014-07-22 2014-10-22 深圳市邦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线路的切换方法及系统
KR101752454B1 (ko) * 2015-06-03 2017-07-03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파이버 채널 이중화 통신 채널 자동 절체 시 데이터 손실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8620A (ja) * 1998-11-02 2000-05-16 Nec Shizuoka Ltd 遠隔給電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3309597A (ja) * 2002-04-17 2003-10-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調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と調停方法
JP2004040341A (ja) * 2002-07-02 2004-02-05 Yokogawa Electric Corp 光経路切替装置
JP2005348549A (ja) * 2004-06-04 2005-12-15 Yamatake Corp 電源装置および電源供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37113B (zh) 2020-12-01
KR20180084666A (ko) 2018-07-25
JP6760855B2 (ja) 2020-09-23
JP2018117209A (ja) 2018-07-26
CN108337113A (zh)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7405B (zh) 主从设备间双链路的实现方法
CN110785327B (zh) 车辆控制装置
CN107070731B (zh) 一种主从仲裁方法及系统
CN110099402B (zh) 具有额外主控器的无线io链路通信网络和所述无线io链路通信网络的操作方法
CN109120386B (zh) 无线通信装置、系统和方法
US8804750B2 (en) Field device
CN102394734B (zh) 无极性连接的rs485通讯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082849B1 (ko) 전송 라인 전환 장치 및 방법
JP2008544678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1698157B (zh) 一种链路管理方法、板卡及交换机
CN102037419B (zh) 控制系统、控制计算机以及用于运行控制系统的方法
US10234841B2 (e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lave device, and duplex system
CN109557453B (zh) 一种多主控芯片识别处理方法及系统
US20060214667A1 (en) Power supply system
US20180233933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US2019011427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uto switching linking path giving priority to a priority port
US93130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fail protection of communication equipment, and power controller
JP2011060189A (ja) 電源断対処システムおよび電源断対処方法
JP2010146363A (ja) 二重化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系切替方式
CN104683153A (zh) 一种集群路由器主备mpu控制方法及其系统
JP2019062484A (ja) 受電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7205439B2 (ja) 電子制御装置
JP4593135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周辺装置並びに周辺装置の試験方法
JP2007134906A (ja) 監視制御装置
CN110968019A (zh) 一种电流信号传输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