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748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748B1
KR102082748B1 KR1020130090527A KR20130090527A KR102082748B1 KR 102082748 B1 KR102082748 B1 KR 102082748B1 KR 1020130090527 A KR1020130090527 A KR 1020130090527A KR 20130090527 A KR20130090527 A KR 20130090527A KR 102082748 B1 KR102082748 B1 KR 102082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flow path
case
cord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825A (ko
Inventor
윤민로
김현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7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4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의 배기에 비해 온도가 낮은 흡기를 이용하여 코드릴과 회로기판을 냉각시킴으로써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코드릴과 회로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유로 구조가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모터 및 회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코드릴 및 상기 코드릴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회로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코드릴 및 회로부의 냉각을 위한 흡기 유로가 형성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는, 팬과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기이다.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는, 진공 청소기의 동작 및 전원 등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이 설치된다. 회로기판에는 열을 많이 발생시키는 트라이액(triac)과 같은 발열부재 구비된다. 발열부재에 의해 회로 기판의 온도가 상승하면, 회로기판의 제어동작에 장애가 일어나 진공 청소기의 동작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진공 청소기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코드와 전원코드가 감기는 코드릴을 포함한다. 코드릴은 진공 청소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된 전원 코드 끝단의 플러그를 잡아당겨, 코드릴에 감겨진 전원코드를 진공 청소기 본체 외부로 풀리게 한 후,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코드에서는 전압에 의해 열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전원코드가 코드릴에 감겨진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전원코드로부터 열이 발산되지 못하여 전원코드가 감겨져 있는 코드릴 부위의 온도가 상승하고, 심할 경우, 전원코드의 피복이 눌러붙거나 플라스틱 코드릴이 녹아내릴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모터를 통과한 공기가 회로기판과 코드릴을 통과함으로써 회로기판 및 코드릴을 냉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경우 모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높아 회로기판 및 코드릴의 냉각 효과가 크지 않고, 배기 필터 전단에 코드릴이 위치할 경우 모터 카본 및 미세 먼지가 코드릴 접점부에 쌓여 장애가 발생될 수 있었다. 별도의 튜브나 덕트를 이용하여 회로기판 및 코드릴을 냉각시키는 경우 튜브나 덕트를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 공정이 추가되므로 제조 공정이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된 공기를 사용하여 진공 청소기의 코드릴과 회로기판을 냉각시킴으로써 코드릴과 회로부의 냉각 효율이 향상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모터 및 회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코드릴; 및 상기 코드릴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회로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회로부 측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집진실로 배출된다.
상기 유로 가이드의 내부에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의 일측면에 의해 상기 회로부 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유로 가이드의 상기 회로부 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부 측으로 이동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회로부를 냉각시킨다.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유로 가이드에는 가이드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상기 회로부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 중 나머지는 상기 가이드의 타측면에 의해 상기 집진실 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 내의 공기 중 상기 집진실 측으로 안내되는 공기는 상기 유출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로 배출된다.
상기 코드릴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외기 유입홀 및 상기 코드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외기 유출홀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외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 유로는 상기 외기 유출홀과 연결되어 상기 외기 유출홀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외기 유로로 유입된다.
상기 유로 가이드에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외기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외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외기 유로를 통해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에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과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유로 가이드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회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할 수 있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 코드릴;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코드릴로부터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회로부 측으로 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코드릴의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유로 가이드로 안내하는 외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집진실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 내의 공기의 일부는 상기 회로부 측으로 유출되어 상기 회로부를 냉각시키고, 상기 유로 가이드 내의 나머지 공기는 상기 집진실로 유출된다.
상기 유로 가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유로 가이드의 공기를 상기 회로부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회로부 측에 위치한 상기 유로가이드의 상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유로 가이드 내의 공기가 유출되어 상기 회로부를 냉각시킨다.
상기 유로 가이드의 상부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회로부로 안내될 수 있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코드릴에 형성된 공기유로를 통과하며 상기 코드릴을 냉각시킨다.
상기 코드릴에 형성된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로 가이드에 유입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회로부 측으로 유출되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회로부 측으로 유출된 공기에 의해 상기 회로부가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집진실로 유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의 배기에 비해 온도가 낮은 흡기를 이용하여 코드릴과 회로부를 냉각시킴으로써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코드릴과 회로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유로 구조가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코드릴 측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회로부 측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먼지통 측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본체(10)와,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공기 및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 헤드(21)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핸들관(30)과, 흡입 헤드(21)와 핸들관(30)을 연결하는 연장관(20)과, 핸들관(30)과 본체(10)를 연결하는 연결관(23)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하우징(11) 및 휠(12)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은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1) 내부에는 외부 공기를 본체(10) 내부로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장치, 흡입된 공기 내의 오물을 거르는 집진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휠(12)은 본체(10)에 장착되어 본체(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흡입 헤드(21)는 본체(1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 및 오물을 흡입한다. 흡입 헤드(21)는 마루바닥과 같은 하드 플로어(hard floor) 또는 카펫 등에 접촉하도록 다소 넓적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헤드(21)를 통해 흡입된 공기 및 오물은 연장관(2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연장관(20)은 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파이프일 수 있다.
연장관(20)의 단부에는 핸들관(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관(30)을 잡고 흡입 헤드(21) 및 연장관(20)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핸들관(30)에는 청소기(1)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각종 조작 버튼(32)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관(30)과 본체(10) 사이에는 연결관(23)이 마련된다. 연결관(23)은 유연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핸들관(30)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체(1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서 피청소면의 공기 및 오물이 흡입 헤드(21)로 흡입되고, 연장관(20)과 핸들관(30)과 연결관(23)을 차례로 거쳐 본체(10)로 안내된다. 본체(10)에서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이 걸러지고 정화된 공기는 다시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핸들관(30)에 장착되는 크레비스 등과 같은 보조 액세서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의 본체(10)는 케이스(13), 코드릴(15), 유로 가이드(15), 모터(16) 및 회로부(17)를 포함한다. 케이스(13)는 모터(16) 및 회로부(17)가 구비되는 제1케이스(13a) 및 집진실(130)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13b)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13a)와 제1케이스(13b)는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제1케이스(13a)에는 모터(16)가 장착될 수 있다. 모터(16)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모터(16)에 의해 흡입된 공기 중의 오물은 제2케이스(13b)에 마련된 집진실(130)에 집진될 수 있다. 제1케이스(13a)에는, 청소기(1)의 동작 제어에 관계되는 회로부(17)가 장착될 수 있다. 회로부(17)는 제1케이스(13a)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회로부(17)는 발열부재를 포함하므로 청소기(1)의 원활한 동작제어를 위해 발열부재를 냉각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케이스(13)에는 코드릴(15)이 구비될 수 있다. 코드릴(15)에는 진공 청소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코드(미도시)가 감겨질 수 있다. 코드릴(15)은 원형으로 구비되어 코드(미도시)가 코드릴(15)의 외측에 감길 수 있다. 코드(미도시)를 통해 구동원의 동력이 진공 청소기(1)로 전달되면 전류가 흐르는 코드(미도시)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코드(미도시)가 코드릴(15)에 감긴 상태로 장시간 사용되고 코드(미도시)로부터 발생된 열이 발산되지 못할 경우 코드릴(15)의 온도가 상승하고 심할 경우 코드(미도시)의 피복이 눌러붙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코드릴(15)이 녹아내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드릴(15) 측에는 냉각 구조가 필요하다.
케이스(13)에는 유로 가이드(14)가 장착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는 케이스(13)에 장착되어, 모터(16)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가 케이스(13)와 유로 가이드(14)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흡입된 외부 공기는 유로 가이드(14)와 케이스(13) 사이를 통과하면서 회로부(17) 및 코드릴(15)과 열교환을 하여 회로부(17) 및 코드릴(15)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하, 유로 가이드(14)의 구조 및 외부 공기에 의해 회로부(17)와 코드릴(15)이 냉각될 수 있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을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코드릴 측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회로부 측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실 측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3)은 모터(16) 및 회로부(17)가 구비되는 제1케이스(13a) 및 집진실(130)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13b)을 포함한다. 제1케이스(13a)과 제2케이스(13b)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케이스(13b)에는, 제1케이스(13a)에 위치된 모터(16)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입구(131)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구(13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물은 집진실(130)에 집진될 수 있다.
케이스(13)에는 유로 가이드(14)가 장착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는 케이스(13)에 장착되어 모터(16)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유로 가이드(14)는 제1케이스(13a)에 장착되고, 제1케이스(13a)과 유로 가이드(14) 사이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의 일측에서 흡입된 공기는 유로 가이드(14)의 타측에서 배출될 수 있다.
케이스(13)에는 모터(16)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외기 유로(134)가 형성될 수 있다. 외기 유로(134)의 일측은 후술할 코드릴(15)에 형성된 외기 유출홀(141)과 연통되고, 외기 유로(134)의 타측은 유로 가이드(14)의 유입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13)의 집진실(130) 측에는 유출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외기 유로(134)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회로부(17) 측으로 유출되고, 외기 유로(134)를 통과한 공기의 나머지는 유로 가이드(14)를 따라 안내되어 유출홀(135)을 통해 집진실(13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는 케이스(13)에 장착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유로 가이드(14)는 제1케이스(13a)에 장착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는 외기 유로(134)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회로부(17) 측으로 안내하고, 외기 유로(134)를 통과한 공기의 나머지를 집진실(130)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케이스(13)에는 삽입홀(132,136,137)이 형성되고, 유로 가이드(14)에는 케이스(13)에 형성된 삽입홀(132,136,137)에 대응하는 체결홀(143,144,145)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32,136,137)과 체결홀(143,144,145)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유로 가이드(14)가 케이스(13)에 장착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에는 케이스(13)의 외기 유로(134)와 연결될 수 있는 유입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외기 유로(134)를 통과한 공기는 유입부(140)를 통해 유로 가이드(14)와 케이스(13)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는 회로부(17) 측으로부터 집진실(130) 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로부(17) 측에 위치한 유로 가이드(14)의 일측에는 개구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의 개구부(141) 측에는 개구부(14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회로부(17) 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커버(146)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41)는 유로 가이드(14)의 상부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커버(146)는 개구부(141) 측에 위치한 유로 가이드(14)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커버(146)는 개구부(14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회로부(17) 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만곡된 형상으로 유로 가이드(14)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의 내부에는 유입부(14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외기 유로(134)를 통과한 공기는 유입부(140)를 통해 유로 가이드(14)와 케이스(13)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부(142)의 일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개구부(14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개구부(141)를 통해 회로부(17)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개구부(141)를 통해 회로부(17) 측으로 배출된 공기는 회로부(17)를 통과하면서 회로부(17)에 포함된 발열부재(170)와 열교환을 하여 발열부재(17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회로부(17) 측으로 배출된 공기를 제외한 나머지 공기는 가이드부(142)의 타측면에 의해 안내되어 유로 가이드(14)의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의 타측으로 이동한 공기는 케이스(13)에 형성된 유출홀(135)을 통해 집진실(130)로 배출될 수 있다.
케이스(13)에는 코드릴(15)이 장착될 수 있다. 코드릴(15)에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본체(10)에 동력을 전달하는 코드(미도시)가 감길 수 있다. 코드릴(15)에는 코드(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외기 유입홀(150) 및 외기 유출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외기 유입홀(150)과 외기 유출홀(151)은 연통되어 코드릴(15)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외기 유입홀(150)은 코드릴(15)의 전방에 형성되고, 외기 유출홀(151)은 코드릴(15)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16)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는 외기 유입홀(150)을 통해 유입되어 외기 유출홀(151)로 배출될 수 있다. 외부 공기가 코드릴(15)을 지나면서 코드릴(15)과 열교환을 하여 코드릴(15)을 냉각시킬 수 있다.
외기 유출홀(151)은 케이스(13)에 형성된 외기 유로(134)와 연결될 수 있다. 코드릴(15)의 외기 유입홀(15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외기 유출홀(151)을 통해 케이스(13)에 형성된 외기 유로(134)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로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 구비된 모터(16)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코드릴(15) 및 회로부(17)가 냉각될 수 있다.
코드(미도시)가 구동원과 연결되어 모터(16)가 구동되면, 모터(16)의 흡입력에 의해 코드릴(15)의 외기 유입홀(15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외기 유입홀(15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외기 유출홀(151)을 통해 외기 유로(134)로 유입될 수 있다. 외기 유로(134)를 통과한 공기는 유입부(140)를 통해 유로 가이드(14)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 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부(142)의 일측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유로 가이드(14)의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의 일측으로 이동한 공기 중 일부는 개구부(141)를 통해 회로부(17)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의 일측으로 이동한 공기 중 개구부(141)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제외한 나머지는 유로 가이드(14)의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로 가이드(14)의 타측으로 이동한 공기는 케이스(13)에 형성된 유출홀(135)를 통해 집진실(130)로 배출될 수 있다. 집진실(130)로 이동된 공기는 집진 필터(미도시)를 통과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코드릴(15)에 형성된 공기 유로와 유로 가이드(14)에 의해 형성된 유로가 연통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모터(16)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코드릴(15)을 통과하고, 코드릴(15)을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유로 가이드(14)에 의해 안내되어 회로부(17)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모터(16)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코드릴(15) 및 회로부(17)가 차례로 냉각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회로부 등을 냉각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코드릴과 회로부를 냉각하므로 냉각 효율이 높고 배기 누설의 위험이 적다. 냉각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튜브 연결, 사출물의 조립 등과 같은 복잡한 조립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프레임에 유로 가이드를 장착하여 냉각 구조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온도가 낮은 코드릴(15)이 먼저 냉각되고, 고온의 발열부재(170)를 포함하는 회로부(17)가 나중에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코드릴(15)과 회로부(17)가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1: 진공 청소기 10: 본체
11: 하우징 13: 케이스
14: 유로 가이드 15: 코드릴
16: 모터 17: 회로부
130: 집진실 135: 유출홀
140: 유입부 141: 개구부
142: 가이드 146: 가이드커버
150: 외기 유입홀 151: 외기 유출홀

Claims (20)

  1. 모터 및 회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코드릴; 및
    상기 코드릴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회로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회로부 측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집진실로 배출되는 진공 청소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의 내부에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의 일측면에 의해 상기 회로부 측으로 안내되는 진공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의 상기 회로부 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부 측으로 이동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회로부를 냉각시키는 진공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유로 가이드에는 가이드 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상기 회로부 측으로 안내하는 진공 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 중 나머지는 상기 가이드의 타측면에 의해 상기 집진실 측으로 안내되는 진공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 내의 공기 중 상기 집진실 측으로 안내되는 공기는 상기 유출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로 배출되는 진공 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릴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외기 유입홀 및 상기 코드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외기 유출홀이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외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 유로는 상기 외기 유출홀과 연결되어 상기 외기 유출홀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상기 외기 유로로 유입되는 진공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에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외기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외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상기 외기 유로를 통해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되는 진공 청소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에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과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유로 가이드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진공 청소기.
  12. 회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통과할 수 있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 코드릴;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코드릴로부터 유출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회로부 측으로 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회로부 측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집진실로 배출되는 진공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코드릴의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유로 가이드로 안내하는 외기 유로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유로 가이드의 공기를 상기 회로부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 측에 위치한 상기 유로가이드의 상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유로 가이드 내의 공기가 유출되어 상기 회로부를 냉각시키는 진공 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의 상부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회로부로 안내될 수 있게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커버가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코드릴에 형성된 공기유로를 통과하며 상기 코드릴을 냉각시키는 진공 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릴에 형성된 공기 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로 가이드에 유입되고, 상기 유로 가이드는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회로부 측으로 유출되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회로부 측으로 유출된 공기에 의해 상기 회로부가 냉각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로 유입된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집진실로 유출되는 진공 청소기.
KR1020130090527A 2013-07-30 2013-07-30 진공 청소기 KR102082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27A KR102082748B1 (ko) 2013-07-30 2013-07-30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27A KR102082748B1 (ko) 2013-07-30 2013-07-30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825A KR20150014825A (ko) 2015-02-09
KR102082748B1 true KR102082748B1 (ko) 2020-04-14

Family

ID=5257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527A KR102082748B1 (ko) 2013-07-30 2013-07-30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7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0815U1 (ko) * 1990-02-05 1991-04-11 Siemens Ag, 8000 Muenchen, De
JP2001161613A (ja) 1999-12-09 2001-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2001178668A (ja) 1999-12-27 2001-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DE102006009269A1 (de) 2006-02-28 2007-09-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iegeschutz für den Kühlschlauch einer Kabelaufrollvorrichtung eines Staubsauge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317A (ja) * 1991-02-28 1993-02-19 Hitachi Ltd 電気掃除機
KR20090030653A (ko) * 2007-09-20 2009-03-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전원코드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0815U1 (ko) * 1990-02-05 1991-04-11 Siemens Ag, 8000 Muenchen, De
JP2001161613A (ja) 1999-12-09 2001-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2001178668A (ja) 1999-12-27 2001-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DE102006009269A1 (de) 2006-02-28 2007-09-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iegeschutz für den Kühlschlauch einer Kabelaufrollvorrichtung eines Staubsau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825A (ko) 201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6154A (ko) 공기청정기
RU2506878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всасываемого потока и пылесос, оснащенный им
MY150951A (en) Air conditioner
US7231687B2 (en) Vacuum cleaner with flow channel switch for blowing and sucking air
JP7201070B2 (ja) 送風機
KR102082748B1 (ko) 진공 청소기
US8635741B2 (en) Auxiliary apparatus for better vacuuming effect
CN211381100U (zh) 一种清洁设备
KR100761667B1 (ko) 무배기 로봇 청소기
TWI626918B (zh) 電動吸塵器
JP2020178976A (ja) クリーナ
EP2789282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602239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동 구조
KR100778708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보호장치
KR20040050217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0836808B1 (ko) 진공청소기용 회로기판의 방열구조
JP6860042B2 (ja) 電気掃除機
JP2017023293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1178664A (ja) 電気掃除機
JP2001346725A (ja) 電気掃除機
CN112438654A (zh) 一种清洁设备
JP2004263983A (ja) 空気調和機
JP2002224003A (ja) 電気掃除機
KR100787061B1 (ko) 진공 청소기의 전원선 냉각장치
KR101381835B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