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835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835B1
KR101381835B1 KR1020120050009A KR20120050009A KR101381835B1 KR 101381835 B1 KR101381835 B1 KR 101381835B1 KR 1020120050009 A KR1020120050009 A KR 1020120050009A KR 20120050009 A KR20120050009 A KR 20120050009A KR 101381835 B1 KR101381835 B1 KR 10138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guide
main body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153A (ko
Inventor
조지훈
Original Assignee
조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훈 filed Critical 조지훈
Priority to KR102012005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83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함과 함께 배출구의 방향을 절환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흡입구가 구성되고 내부에 필터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타단에 일단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임펠러 및 모터를 내장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상기 안내 가이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각도 절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먼지의 흡입과 외부 배출을 용이함과 함께 배출구의 방향을 절환 가능하도록 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모터의 구동으로 발생된 흡입력으로 청소면의 먼지 등 각종 이물질을 흡입하여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먼지봉투에 집진시켜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이러한 진공 청소기의 작용에 의하여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질과 더불어 흡입되어 상기 먼지봉투에서 걸러진 후에, 깨끗한 공기는 먼지봉투를 통과하여 본체 후면의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내부와 같이 협소한 장소에서 간편하게 소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100)는 조작 및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기 위해서 부피가 작은 소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사용자의 취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30)를 갖는 본체(110)에는 내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스위치(111)를 상부면에 구비하고, 내부공간에는 임펠러를 선단부에 장착하여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와, 충전단자에 연결된 충전부재를 갖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스냅피트(121)에 의해서 상기 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집진덮개(120)의 전방에는 흡기구(122)를 형성하여 협소한 장소에서 청소면의 이물질 및 먼지 등을 외부공기와 더불어 유입한 흡입공기를 상기 집진덮개(120)내에 설치된 필터부재로서 거른 다음, 상기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역할만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함과 함께 배출구의 방향을 절환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는 일단에 흡입구가 구성되고 내부에 필터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타단에 일단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임펠러 및 모터를 내장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공기 흡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상기 안내 가이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각도 절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기 펌프를 사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바닥에 흩어진 먼지와 같은 쓰레기를 수집할 수 있다.
둘째, 본체와 먼지통을 분리하고 외부로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는 배출구의 방향 절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구석진 곳이나 틈새 사이의 먼지를 불어내어 청소할 수 있다.
셋째, 외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배출구의 방향을 절환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청소를 진행하거나 배출구 또는 본체에 공기 분사 노즐을 부착하여 튜브내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임펠러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공기 배출구에 보조 연결기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공기 흡입구에 보조 연결기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5의 공기 배출구에 커플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커플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3의 하우징에 공기 가이드부를 구성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임펠러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공기 배출구에 보조 연결기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공기 흡입구에 보조 연결기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10), 흡입부재(220), 하우징(230), 구동모터(240), 임펠러(impeller)(250), 손잡이(260) 및 조작 스위치(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스(210)는 상기 흡입부재(220)를 통해 흡입된 외부의 먼지가 포집되는 곳으로, 내부에 주머니 형태의 필터(2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전단에는 상기 흡입부재(220)의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흡입부재(220)를 통해 흡입된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2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210)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흡입구(211)쪽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형태를 원통형 구조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흡입구(211) 반대편쪽에는 외부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본체 케이스(210)와 하우징(230)의 탈부착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흡입부재(220)는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일단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일측에 부착한 상태에서 바닥에 접하여 먼지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부재(220)는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흡입구(21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돌출된 형태를 갖고, 타측은 일측의 돌출형 형태로 더 넓은 폭을 가지면서 바닥에 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부재(220)는 필요에 따라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흡입구(211)를 흡입부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재(220)는 보조 흡입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보조 흡입부재(221)는 상기 흡입부재(220)보다 폭이 좁게 구성되어 상기 흡입부재(220)가 닫지 않는 좁은 구석까지 청소를 할 수가 있다.
상기 하우징(230)은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타측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원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 케이스(210)의 타측이 상기 하우징(230)의 일측에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230)과 본체 케이스(210)는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 또는 분리된다.
상기 하우징(230)은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전면판(231)과 배면판(232)에 의해 상기 임펠러(250)를 감싸는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케이스(210)는 상기 하우징(230)의 전면판(231)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30)의 내측에는 공기 배출구(290)로 공기가 배출되게 유도하는 안내 가이드(233)가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234)를 통해 하우징(230)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안내 가이드(233)를 통해 상기 공기 배출구(290)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290)는 상기 하우징(230)의 전면판(231)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34)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흡입구(234)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배출 방향으로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다.
즉, 상기 공기 배출구(29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ㄱ"자 형태로 구부러진 형상을 갖고 있는데, 상기 "ㄱ"자 형태의 방향을 절환하여 공기의 배출 방향을 임의로 조절한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구(290)는 "ㄱ"자 형태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일자로 펼쳐지거나 다른 형태로 제작하여 정면을 향해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구(290)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공기 배출구(290)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바꿀 수가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바람을 분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본체 케이스(210)와 체결된 하우징(230) 전체를 틀어서 바람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상기 공기 배출구(290)의 방향만 절환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29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 또는 별도의 보조 연결기구(300) 등이 끼워지도록 접속구가 부설되어 있다. 상기 접속구에 끼워지는 보조 연결기구(300)를 이용하여 보트나 튜브와 같은 공기 유입에 필요한 제품에 사용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 연결기구(300)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흡입구(234)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보트나 튜브와 같이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빼낼 수도 있다.
상기 구동모터(240)는 상기 손잡이(260)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임펠러(25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작 스위치(270)를 ON하게 되면 동작하여 상기 임펠러(2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외부의 공기를 공기 흡입구(234)를 통해 흡입하게 된다.
상기 임펠러(250)는 상기 하우징(230)의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임펠러(250)는 상기 하우징(230)의 내부에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취부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250)는 상기 구동모터(240)의 동작에 의해 고속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임펠러(250)의 동작에 의한 공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부재(220)를 통해 상기 본체 케이스(210)로 먼지를 포함한 쓰레기를 흡입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260)는 상기 하우징(230)의 배면판(23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240)를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취부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260)의 내부에는 별도의 충전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충전부재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콘센트(차량의 경우 시거잭)와 같은 전원공급장치에 연결하여 충전한 후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스위치(270)는 상기 손잡이(260)의 타측에 부착되어 상기 구동모터(2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임펠러(250)가 취부되는 상기 하우징(230)에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된 본체 케이스(210)가 결합되어 구동모터(240)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상기 임펠러(250)의 공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본체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30)의 배면판(23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임펠러(25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40)가 취부되는 손잡이(260)에는 다수개의 통풍구(261)가 형성되어 상기 통풍구(261)로 입,출력되는 대기중의 공기를 이용하여 구동모터(24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고 있다.
상기 손잡이(260)의 외주면에는 환형돌기(262)가 설치되며, 상기 환형돌기(262)는 배면판(232)과 소정의 폭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돌출되게 손잡이(26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일체형으로 되어 기기의 사용 후 구동모터(2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길게 인출되는 케이블(263)을 상기 환형돌기(262)와 하우징(230)의 배면판(232) 사이에 감아 정리 정돈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진공 청소기(100)는 외부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콘센트(차량의 경우 시거잭)와 같은 전원공급장치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손잡이(260)에 부설된 조작 스위치(27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240)전원을 인가시키면 하우징(230)에 취부된 임펠러(250)를 회전시키고, 상기 임펠러(250)가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230)의 전면판(231)에는 상기 임펠러(250)의 회전 원심력에 의해 강한 흡인력이 작용하게 될 때, 대기중의 공기는 상기 흡입부재(220)를 통해 본체 케이스(210)의 흡입구(211)로 이물질과 함께 흡입된다.
이때 상기 본체 케이스(210)로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은 필터(280)에 모두 포집되어 순수한 공기만이 필터(280)를 통과하여 하우징(230)의 중앙부에 뚫고 있는 공기 흡입구(234)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230)의 공기 흡입구(234)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임펠러(250)에 의해 하우징(23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안내 가이드(233)를 따라 공기 배출구(2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기 배출구(290)의 방향을 임의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기 배출구(290)를 통해 배출된 바람의 방향을 임의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구(290)에 보조 연결기구(300)를 연결하여 보트나 튜브와 같은 공기매트 등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펌프로 이용하거나, 상기 공기 흡입구(234)에 상기 보조 연결기구(300)를 연결하여 보트나 튜브와 같은 공기매트 등에 공기를 빼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소파 먼지를 털어 내고자 하거나 차량의 에어밴트내에 쌓여 있는 먼지 등을 불어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기 배출구(290)에 보조연결기구 대신 소정의 길이로 되는 호스를 연결하여 상기 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소파나 에어벤트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기펌프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 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공 청소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10)의 일면에 태양전지 모듈(310)을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2의 진공 청소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310)은 태양광이나 조명등을 통해 공급되는 광을 입사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310)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부(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여 구동모터(240)를 동작하게 된다.
도 8은 도 5의 공기 배출구에 커플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커플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공기 배출구(29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고 바람의 세기가 세기 때문에 이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공기 배출구(290)의 전단에 탈부착이 가능한 커플러(320)를 부착한다.
이때 상기 공기 배출구(290)는 각도 절환이 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즉, 상기 공기 배출구(29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커플러(320)를 부착하여 공기의 흐름을 측면 방향으로 배출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커플러(320)는 도 9에서와 같이, 둘레를 따라 측면에 관통되어 다수의 홀(321)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배출구(290)와 연결되는 일단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배출구(290)와 결합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290)와 연결되지 않는 타단은 막힘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홀(321)들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320)의 일단은 상기 공기 배출구(290)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타단보다 넓은 지름을 가지고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커플러(320)의 일단 지름을 작게 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290)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러(320)는 상기 공기 배출구(290)에 부착되어 공기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소음을 줄이기 위해 설치된다. 즉, 측면에 다수의 홀(321)들을 통해 공기를 분산시킴으로써 공기압을 줄일 수가 있고, 배출되는 공기압을 줄이면서 소음을 줄일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커플러(320)의 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홀(321)들의 크기를 줄여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320)의 내부에 필터(도시되지 않음)를 내장하여 공기를 정화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도 3의 하우징에 공기 가이드부를 구성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30)의 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공기 가이드부(330)를 구성하고, 상기 공기 가이드부(330)에 대응되게 공기 배출구(290)를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230)의 본체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230)의 측면에는 관통하여 공기 통기공(233)을 구성하여 상기 공기 가이드부(3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10 : 본체 케이스 220 : 흡입부재
230 : 하우징 240 : 구동모터
250 : 임펠러 260 : 손잡이
270 : 조작 스위치 280 : 필터
290 : 공기 배출구 300 : 보조 연결기구
310 : 태양전지 모듈

Claims (6)

  1. 일단에 흡입구가 구성되고 내부에 필터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타단에 일단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임펠러 및 모터를 내장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공기 흡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구성되고 상기 안내 가이드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각도 절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공기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표면에 형성되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ㄱ"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4. 삭제
  5. 일단에 흡입구가 구성되고 내부에 필터를 구비한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타단에 일단이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부에 임펠러 및 모터를 내장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공기 흡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구성되고 상기 안내 가이드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각도 절환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측면에 형성된 홀들을 통해 배출하는 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6. 삭제
KR1020120050009A 2012-05-11 2012-05-11 진공 청소기 KR10138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009A KR101381835B1 (ko) 2012-05-11 2012-05-11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009A KR101381835B1 (ko) 2012-05-11 2012-05-11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153A KR20130126153A (ko) 2013-11-20
KR101381835B1 true KR101381835B1 (ko) 2014-04-07

Family

ID=4985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009A KR101381835B1 (ko) 2012-05-11 2012-05-11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8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969A (ko) * 1994-05-25 1995-12-18 이준식 진공청소기의 배출공기를 이용한 틈새 먼지제거장치
KR200174649Y1 (ko) 1998-04-30 2000-04-01 조규호 다용도 청소기
KR200299352Y1 (ko) 2002-08-27 2003-01-03 연 태 최 다용도 진공 청소기
KR101021292B1 (ko) 2008-10-27 2011-03-11 임병옥 순환식 도료공급용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969A (ko) * 1994-05-25 1995-12-18 이준식 진공청소기의 배출공기를 이용한 틈새 먼지제거장치
KR200174649Y1 (ko) 1998-04-30 2000-04-01 조규호 다용도 청소기
KR200299352Y1 (ko) 2002-08-27 2003-01-03 연 태 최 다용도 진공 청소기
KR101021292B1 (ko) 2008-10-27 2011-03-11 임병옥 순환식 도료공급용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153A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5154B1 (en) Rod handheld two-in-one split-type vacuum cleaner having independent dust-air separation and dust storage device
KR101821908B1 (ko) 전기청소기
KR200491534Y1 (ko) 핸디형 진공청소기
US20130142676A1 (en) Bladeless fan
JP2010508884A (ja) 真空掃除方法
CN108652517B (zh) 手持吸尘器及预滤器组件
CN103536248A (zh) 吸尘器
CN215777744U (zh) 真空吸尘器
WO2018065069A1 (en) Low noise stick vaccum cleaner
KR20040107083A (ko) 불기기능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KR101381835B1 (ko) 진공 청소기
US8635741B2 (en) Auxiliary apparatus for better vacuuming effect
KR100730944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구조
CN205493717U (zh) 便携式吸尘器
CN110403525A (zh) 一种手持式表面清洁装置
JP2020178976A (ja) クリーナ
CN114376438B (zh) 清洁设备
CN115227137B (zh) 真空吸尘器
CN216090289U (zh) 一种手持式衣物除毛器
CN218009526U (zh) 一种吸尘器
CN219473897U (zh) 空气净化装置
CN216868749U (zh) 一种空气净化器
CN102144907A (zh) 高效空气过滤器
CN208524750U (zh) 手持式吸尘器
KR200174649Y1 (ko) 다용도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