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279B1 - 작업기 및 이앙기 - Google Patents

작업기 및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279B1
KR102082279B1 KR1020187026683A KR20187026683A KR102082279B1 KR 102082279 B1 KR102082279 B1 KR 102082279B1 KR 1020187026683 A KR1020187026683 A KR 1020187026683A KR 20187026683 A KR20187026683 A KR 20187026683A KR 102082279 B1 KR102082279 B1 KR 10208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radiator
shielding member
shroud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025A (ko
Inventor
게이시 기누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7Auxiliary drives
    • B60Y2400/89Cooling systems, e.g. fan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작업기 (1) 는,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와, 엔진을 덮는 개폐 가능한 보닛 (11) 과, 보닛 (11) 내에서 엔진의 일측부측에 배치된 슈라우드 (154) 및 라디에이터 (153) 와, 슈라우드 (154) 와 보닛 (11) 사이의 간극을 막는 차폐 부재 (146, 147)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차폐 부재 (146) 는, 라디에이터 (153) 의 외주를 둘러싸는 슈라우드 (154) 의 둘레벽부에 장착됨과 함께 라디에이터 (153) 의 급수구부 (142) 의 상방에서 단절되어 있다. 제 2 차폐 부재 (147) 는, 보닛 (11) 이 닫힘 상태일 때에 제 1 차폐 부재 (146) 의 단절 부분에 이어지도록 보닛 (11) 에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기 및 이앙기
본원 발명은, 작업기 및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작업기에 있어서, 주행 기체에 탑재된 엔진을 둘러싸는 개폐 가능한 보닛 내에, 냉각용 팬과 슈라우드와 라디에이터를 엔진측에서부터 그 순서대로 배치하는 구성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엔진의 열에 의해 승온한 보닛 내의 난공기가 슈라우드와 보닛 사이의 간극을 지나 라디에이터의 흡입측으로 돌아 들어가면 라디에이터 및 엔진의 냉각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슈라우드와 보닛 사이의 간극은 차폐 부재에 의해 막힌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슈라우드의 상단부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고, 슈라우드의 상단부에 보닛 내면에 맞닿는 차폐 부재 (트림) 가 장착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32966호
그런데, 냉각용 팬과 라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슈라우드는, 엔진의 열에 의해 승온한 난공기가 라디에이터의 흡입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라디에이터의 상방도 포함하여 라디에이터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차폐 부재를 라디에이터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하여 슈라우드에 장착하면, 예를 들어 냉각수 보충 작업 등의 라디에이터에 대한 정비 작업시에 차폐 부재가 장해가 되어, 정비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라디에이터에 대한 정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폐 부재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단절시키면, 엔진의 열에 의해 승온한 난공기가 차폐 부재의 단절 부분을 통해 라디에이터의 흡입측으로 돌아 들어가 냉각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의 현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엔진의 열에 의해 승온한 난공기가 라디에이터의 흡입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면서, 라디에이터에 대한 정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와, 엔진을 덮는 개폐 가능한 보닛과, 보닛 내에서 엔진의 일측부측에 배치된 슈라우드 및 라디에이터와, 슈라우드와 보닛 사이의 간극을 막는 차폐 부재를 구비한 작업기로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외주를 둘러싸는 상기 슈라우드의 둘레벽부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라디에이터의 급수구부의 상방에서 단절되어 있는 제 1 차폐 부재와, 상기 보닛에 장착되어 상기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 상기 제 1 차폐 부재의 단절 부분에 이어지는 제 2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작업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둘레벽부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기 급수구부의 상방이 절결된 오목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단절 부분이 상기 오목 형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둘레벽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상기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 상기 둘레벽부의 상기 오목 형상부에 맞닿도록 해도 된다.
또, 본원 발명의 작업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보닛의 좌우 일측부에 상기 슈라우드 및 상기 라디에이터에 대치하는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 1 차폐 부재가 상기 보닛의 상기 좌우 일측부의 내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차폐 부재가 상기 통기공의 외주측을 둘러싸서 상기 보닛의 내면과 상기 슈라우드 사이의 간극이 막히도록 해도 된다.
또, 본원 발명의 작업기는 예를 들어 이앙기에 적용된다. 단, 본원 발명의 작업기는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의 작업기에서는, 슈라우드와 보닛 사이의 간극을 막는 차폐 부재는, 라디에이터의 외주를 둘러싸는 슈라우드의 둘레벽부에 장착됨과 함께 라디에이터의 급수구부의 상방에서 단절되어 있는 제 1 차폐 부재와, 개폐 가능한 보닛에 장착되어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 제 1 차폐 부재의 단절 부분에 이어지는 제 2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본원 발명의 작업기는, 보닛이 엔진을 덮는 닫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 1 차폐 부재 및 제 2 차폐 부재에 의해 슈라우드와 보닛 사이의 간극을 막아, 엔진측의 난공기가 라디에이터의 흡입측으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닛이 엔진을 개방하는 열림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 2 차폐 부재는 보닛과 함께 이동되어, 제 1 차폐 부재의 단절 부분, 즉 라디에이터의 급수구부의 상방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제 1 차폐 부재의 단절 부분을 통해, 냉각수의 보충이나 라디에이터 캡의 착탈 등의 라디에이터의 급수구부에 대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라디에이터에 대한 정비성이 향상된다.
실시형태의 작업기에 있어서, 슈라우드의 둘레벽부는 라디에이터의 급수구부의 상방이 절결된 오목 형상부를 구비하고, 제 1 차폐 부재는 단절 부분이 오목 형상부에 위치하도록 둘레벽부에 장착되고,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는, 제 2 차폐 부재가 둘레벽부의 오목 형상부에 맞닿도록 하면, 보닛이 열림 상태일 때에는 제 2 차폐 부재가 라디에이터의 급수구부의 상방으로부터 제거됨과 함께, 라디에이터의 급수구부의 상방 공간이 상기 오목 형상부를 통해 크게 개방되기 때문에, 급수구부에 대한 작업 용이성이 향상되어, 라디에이터에 대한 정비성이 향상된다.
또, 실시형태의 작업기에 있어서,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보닛의 좌우 일측부에 슈라우드 및 라디에이터에 대치하는 통기공을 형성하고,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는, 제 1 차폐 부재가 보닛의 좌우 일측부의 내면에 맞닿게 하여, 제 1 및 제 2 차폐 부재가 통기공의 외주측을 둘러싸서 보닛의 내면과 슈라우드 사이의 간극이 막히도록 하면, 보닛 내의 난공기가 라디에이터의 공기 흡입측 (통기공측) 으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닛 내면과 슈라우드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통기공을 통과한 냉공기 (외기) 의 라디에이터로의 흡입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슈라우드 및 라디에이터에 대치하는 통기공이 보닛의 좌우 일측부에 형성되는 구성, 요컨대 엔진의 좌우 방향의 일측부측에 슈라우드 및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는 구성은, 슈라우드 및 라디에이터가 엔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묘 식부 장치가 주행 기체 후부 (後部) 에 연결되어 있는 이앙기에 적용된 경우, 묘 식부 작업 중의 이앙기가 논두렁가에서 정지했을 때에,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을수록 묘 식부 장치를 논두렁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논두렁가에서의 심고서 남은 폭을 작게 할 수 있어, 특히 유효하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용형 (乘用型)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주행 기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4 는 주행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조종 핸들을 생략한 운전 조작부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승용형 이앙기의 구동 계통도이다.
도 7 은 승용형 이앙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8 은 주행 기체 전부 (前部) 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9 는 보닛 내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0 은 보닛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1 은 전(前)프레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보닛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3 은 보닛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4 는 슈라우드 및 라디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라디에이터 및 슈라우드 주변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6 은 라디에이터 및 슈라우드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슈라우드 및 에어 클리너와 함께 작동유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은 슈라우드 및 흡기관을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 는 흡기구 주변의 확대 우측면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작업기인 8 조 (條) 플랜팅식의 승용형 이앙기 (1) (이하, 간단히 이앙기 (1) 라고 한다) 에 적용한 경우의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 (2) 의 진행 방향을 향해 좌측을 간단히 좌측이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진행 방향을 향해 우측을 간단히 우측이라고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서, 이앙기 (1) 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1 쌍의 전차륜 (3) 및 마찬가지로 좌우 1 쌍의 후차륜 (4) 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 (2) 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 (2) 의 전부에는 엔진 (5) 이 탑재되어 있다. 엔진 (5) 으로부터의 동력을 후방의 미션 케이스 (6) 에 전달하여, 전차륜 (3) 및 후차륜 (4) 을 구동시킴으로써, 주행 기체 (2) 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 (6) 의 좌우 측방에 프론트 액슬 케이스 (7) 를 돌출시켜, 프론트 액슬 케이스 (7) 로부터 좌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전차축 (36) 에 전차륜 (3) 이 조타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 (6) 의 후방에 통상 프레임 (8) 을 돌출시켜, 통상 프레임 (8) 의 후단측에 리어 액슬 케이스 (9) 를 고정 설치하고, 리어 액슬 케이스 (9) 로부터 좌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후차축 (37) 에 후차륜 (4) 이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2) 의 전부 및 중앙부의 상면측에는, 오퍼레이터 탑승용의 작업 스텝 (차체 커버) (10) 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 스텝 (10) 의 전부의 상방에는 보닛 (11) 이 배치되고, 보닛 (11) 의 내부에 엔진 (5) 을 설치하고 있다. 작업 스텝 (10) 의 상면 중 보닛 (11) 의 후부 측방에, 발밟기 조작용의 주행 변속 페달 (12) 이 배치되어 있다.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지만,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주행 변속 페달 (12) 의 밟기량에 따른 변속 전동 모터의 구동으로, 미션 케이스 (6) 의 유압 무단 변속기 (40) 로부터 출력되는 변속 동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보닛 (11) 의 후부 상면측에 있는 운전 조작부 (13) 에는, 조종 핸들 (14) 과 주행 주변속 레버 (15) 와 승강 조작구 (操作具) 로서의 작업 레버 (16) 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참조). 작업 스텝 (10) 의 상면 중 보닛 (11) 의 후방에는, 시트 프레임 (17) 을 개재하여 조종 좌석 (18) 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닛 (11) 의 좌우 측방에는, 작업 스텝 (10) 을 사이에 두고 좌우의 예비 묘 재치대 (24) 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 (2) 의 후단부에 링크 프레임 (19) 을 세워서 설치한다. 링크 프레임 (19) 에는, 로어 링크 (20) 및 톱 링크 (21) 로 이루어지는 승강 링크 기구 (22) 를 개재하여, 8 조 플랜팅용의 묘 식부 장치 (23) 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묘 식부 장치 (23) 의 전면 (前面) 측에, 롤링 지지점축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히치 브래킷 (38) 을 설치하고 있다. 승강 링크 기구 (22) 의 후부측에 히치 브래킷 (38) 을 연결함으로써, 주행 기체 (2) 의 후방에 묘 식부 장치 (23) 를 승강동 (昇降動)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통상 프레임 (8) 의 상면 후부에, 유압식의 승강 실린더 (39) 의 실린더 기단측을 상하 회동 (回動) 가능하게 지지시킨다. 승강 실린더 (39) 의 로드 선단측은 로어 링크 (20) 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 (39) 의 신축동 (伸縮動) 으로 승강 링크 기구 (22) 를 상하 회동시키는 결과, 묘 식부 장치 (23) 가 승강동한다. 또한, 묘 식부 장치 (23) 는 상기 롤링 지지점축 둘레로 회동하여 좌우 방향의 경사 자세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오퍼레이터는, 작업 스텝 (10) 의 측방에 있는 승강 스텝 (25) 으로부터 작업 스텝 (10) 상에 탑승하여, 운전 조작으로 포장 (圃場) 내를 이동하면서, 묘 식부 장치 (23) 를 구동시켜 포장에 묘를 이앙하는 묘 심기 작업 (모내기 작업) 을 실행한다. 또한, 묘 심기 작업 중에 있어서, 묘 식부 장치 (23) 에는, 예비 묘 재치대 (24) 상의 묘 매트를 오퍼레이터가 수시로 보급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묘 식부 장치 (23) 는, 엔진 (5) 으로부터 미션 케이스 (6) 를 경유한 동력이 전달되는 식부 입력 케이스 (26) 와,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 연결하는 8 조용 4 세트 (2 조로 1 세트) 의 식부 전동 (傳動) 케이스 (27) 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후단측에 설치된 묘 식부 기구 (28) 와, 8 조 플랜팅용의 묘 재치대 (29) 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하면측에 배치된 논바닥 균평(均平)용 플로트 (32) 를 구비하고 있다. 묘 식부 기구 (28) 에는, 1 조분 2 개의 식부 클로 (30) 를 갖는 로터리 케이스 (31) 가 설치되어 있다. 식부 전동 케이스 (27) 에 2 조분의 로터리 케이스 (31) 가 배치되어 있다. 로터리 케이스 (31) 의 1 회전에 의해, 2 개의 식부 클로 (30) 가 각각 1 주씩의 묘를 베어내어 잡고, 플로트 (32) 에 의해 정지된 논바닥에 이앙한다. 묘 식부 장치 (23) 의 전면측에는, 포장면을 고르게 하는 (정지하는) 정지 장치로서의 정지 로터 (85) 가 승강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지만, 엔진 (5) 으로부터 미션 케이스 (6) 를 경유한 동력은, 전차륜 (3) 및 후차륜 (4) 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묘 식부 장치 (23) 의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도 전달된다. 이 경우, 미션 케이스 (6) 로부터 묘 식부 장치 (23) 를 향하는 동력은, 리어 액슬 케이스 (9) 의 우측 상부에 설치된 주간 (株間) 변속 케이스 (75) 에 일단 전달되고, 주간 변속 케이스 (75) 로부터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 동력 전달된다. 당해 전달된 동력으로, 각 묘 식부 기구 (28) 나 묘 재치대 (29) 가 구동된다. 주간 변속 케이스 (75) 에는, 이앙되는 묘의 주간을 예를 들어 성기게 심기, 표준 심기 또는 배게 심기 등으로 전환하는 주간 변속 기구 (76) 와, 묘 식부 장치 (23) 로의 동력 전달을 계속하거나 중단하는 식부 클러치 (77) 가 내장되어 있다 (도 6 참조).
또한, 묘 식부 장치 (23) 의 좌우 외측에는 사이드 마커 (33) 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마커 (33) 는, 줄 긋기용의 마커륜체 (輪體) (34) 와, 마커륜체 (34) 를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마커 아암 (35) 을 가지고 있다. 각 마커 아암 (35) 의 기단측이 묘 식부 장치 (23) 의 좌우 외측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사이드 마커 (33) 는, 운전 조작부 (13) 에 있는 작업 레버 (16) 의 조작에 기초하여, 다음 공정에서의 기준이 되는 궤적을 논바닥에 착지해서 형성하는 작업 자세와, 마커륜체 (34) 를 상승시켜 논바닥으로부터 이간시킨 비작업 자세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 (2) 는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1 쌍의 기체 프레임 (50) 을 구비하고 있다. 각 기체 프레임 (50) 은 전부 프레임 (51) 과 후부 프레임 (52) 으로 2 분할되어 있다. 전부 프레임 (51) 의 후단부와 후부 프레임 (52) 의 전단부가 좌우 가로로 긴 중간 연결 프레임 (53) 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1 쌍의 전부 프레임 (51) 의 전단부는 전프레임 (54) 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1 쌍의 후부 프레임 (52) 의 후단측은 후프레임 (55) 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전프레임 (54), 좌우 양 전부 프레임 (51) 및 중간 연결 프레임 (53) 은 평면에서 볼 때 사각 프레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중간 연결 프레임 (53), 좌우 양 후부 프레임 (52) 및 후프레임 (55) 도 평면에서 볼 때 사각 프레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 전부 프레임 (51) 의 앞쪽 부위는, 전후 2 개의 베이스 프레임 (56)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당해 각 베이스 프레임 (56) 의 중간부는, 좌우 양 전부 프레임 (51) 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U 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베이스 프레임 (56) 의 좌우 단부는, 대응하는 전부 프레임 (51) 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방진 고무 (58) 를 통해, 전후 양 베이스 프레임 (56) 에 엔진 (5) 이 탑재되고 방진 지지되어 있다. 전측의 베이스 프레임 (56) 은, 이것에 용접 고정된 전중계 프레임 (59) 을 개재하여 전프레임 (54) 에 연결되어 있다. 후측의 베이스 프레임 (56) 은, 후중계 브래킷 (60) (도 9 참조) 을 개재하여 미션 케이스 (6) 의 전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 양 전부 프레임 (51) 의 뒤쪽 부위는, 미션 케이스 (6) 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프론트 액슬 케이스 (7) 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 연결 프레임 (53) 의 중앙측에는, 측면에서 볼 때 후방으로 경사진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U 자상 프레임 (61) 의 좌우 양 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U 자상 프레임 (61) 의 중간부가 미션 케이스 (6) 와 리어 액슬 케이스 (9) 를 잇는 통상 프레임 (8) 의 중도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참조). 후프레임 (55) 의 중간부에는, 좌우 2 개의 링크 프레임 (19) 의 상단측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양 링크 프레임 (19) 의 하단측에는 좌우 가로로 긴 리어 액슬 지지 프레임 (63) 의 중간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리어 액슬 지지 프레임 (63) 의 좌우 양 단부가 리어 액슬 케이스 (9)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전부 프레임 (51) 에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스텝 지지대 (64) 의 하방에, 엔진 (5) 의 배기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 (65)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5) 의 후방에 배치된 미션 케이스 (6) 의 전부에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이 설치되어 있다.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지만,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되는 핸들 포스트 (67) 의 내부에 핸들축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핸들축의 상단측에 조종 핸들 (14) 이 고정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의 하면측에는 조타 출력축 (도시 생략) 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당해 조타 출력축에는, 좌우의 전차륜 (3) 을 조타하는 조타간 (操舵杆) (68) (도 4 참조) 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엔진 (5) 은, 출력축 (70) (크랭크축) 을 좌우 방향을 향해 전후 양 베이스 프레임 (56) 의 중간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5) 의 좌우폭은 좌우 양 전부 프레임 (51) 사이의 안치수보다 작고, 엔진 (5) 의 하부측은, 전후 양 베이스 프레임 (56) 의 중간부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좌우 양 전부 프레임 (51) 보다 하측에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 엔진 (5) 의 출력축 (70) (축선) 은, 측면에서 볼 때 좌우 양 전부 프레임 (51) 과 겹치는 위치에 있다. 엔진 (5) 의 좌우 일측면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면) 에는, 엔진 (5) 의 배기계에 연통하는 배기관 (69) 이 배치되어 있다. 배기관 (69) 의 기단측이 엔진 (5) 의 각 기통에 접속되고, 배기관 (69) 의 선단측이 머플러 (65) 의 배기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운전 조작부 (13) 에 있어서, 주행 주변속 레버 (15) 는, 조종 핸들 (14) 을 사이에 둔 좌우 일방측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에 위치하고 있다. 운전 조작부 (13) 에 형성한 가이드 홈 (83) 을 따라 주행 주변속 레버 (15) 를 조작함으로써, 이앙기 (1) 의 주행 모드를 전진, 중립, 후진, 묘 첨가 및 이동의 각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작업 레버 (16) 는, 조종 핸들 (14) 을 사이에 둔 좌우 타방측 (실시형태에서는 우측) 에 위치하고 있다. 작업 레버 (16) 는, 묘 식부 장치 (23) 의 승강 조작, 식부 클러치 (77) 의 계속 중단 조작 및 좌우 사이드 마커 (33) 의 선택 조작이라고 하는 복수의 조작을 단독으로 담당하는 것이며, 십자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작업 레버 (16) 를 1 회 앞으로 기울이기 조작하면 묘 식부 장치 (23) 가 하강하고, 다시 1 회 앞으로 기울이기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 (77) 가 온 작동한다 (동력 접속 상태가 된다). 반대로, 작업 레버 (16) 를 1 회 뒤로 기울이기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 (77) 가 오프 작동하고 (동력 차단 상태가 되고), 다시 한번 뒤로 기울이기 조작하면 묘 식부 장치 (23) 가 상승한다. 묘 식부 장치 (23) 의 승강 동작을 중지하는 경우에는, 작업 레버 (16) 를 역방향으로 경동 조작한다. 예를 들어 묘 식부 장치 (23) 의 하강동을 도중에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작업 레버 (16) 를 뒤로 기울이기 조작하면 된다. 작업 레버 (16) 를 1 회 왼쪽으로 경동 조작하면 좌측의 사이드 마커 (33) 가 작업 자세가 되고, 다시 1 회 왼쪽으로 경동 조작하면 좌측의 사이드 마커 (33) 가 비작업 자세로 되돌아간다. 작업 레버 (16) 를 1 회 오른쪽으로 경동 조작하면 우측의 사이드 마커 (33) 가 작업 자세가 되고, 다시 1 회 오른쪽으로 경동 조작하면 우측의 사이드 마커 (33) 가 비작업 자세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도 6 을 참조하면서, 이앙기 (1) 의 구동 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 (5) 의 출력축 (70) 은 엔진 (5) 의 좌우 양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출력축 (70) 중 엔진 (5) 좌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단부에 엔진 출력 풀리 (72) 를 설치하고, 미션 케이스 (6) 로부터 좌방 외측으로 돌출된 미션 입력축 (71) 에 미션 입력 풀리 (73) 를 설치하고, 양 풀리 (72, 73) 에 전달 벨트 (82) 를 감아 걸고 있다. 양 풀리 (72, 73) 및 전달 벨트 (82) 를 개재하여, 엔진 (5) 으로부터 미션 케이스 (6) 에 동력 전달한다.
미션 케이스 (6) 내에는, 유압 펌프 (40a) 및 유압 모터 (40b) 로 이루어지는 유압 무단 변속기 (40), 유성 기어 장치 (41), 유압 무단 변속기 (40) 및 유성 기어 장치 (41) 를 경유한 변속 동력을 복수 단으로 변속하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유성 기어 장치 (41) 로부터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의 동력 전달을 계속하거나 중단하는 주클러치 (43), 및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의 출력을 제동시키는 주행 브레이크 (4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미션 입력축 (71) 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유압 펌프 (40a) 를 구동시키고, 유압 펌프 (40a) 로부터 유압 모터 (40b) 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유압 모터 (40b) 로부터 변속 동력이 출력된다. 유압 모터 (40b) 의 변속 동력은, 유성 기어 장치 (41) 및 주클러치 (43) 를 개재하여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에 전달된다. 그리고,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 전후차륜 (3, 4) 과 묘 식부 장치 (23) 의 2 방향으로 분기되어 동력 전달된다.
전후차륜 (3, 4) 으로 향하는 분기 동력의 일부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 차동 기어 기구 (45) 를 개재하여, 프론트 액슬 케이스 (7) 의 전차축 (36) 에 전달되어, 좌우 전차륜 (3) 을 회전 구동시킨다. 전후차륜 (3, 4) 으로 향하는 분기 동력의 나머지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 자재 (自在) 이음축 (46), 리어 액슬 케이스 (9) 내의 리어 구동축 (47), 좌우 1 쌍의 마찰 클러치 (48) 및 기어식 감속 기구 (49) 를 개재하여, 리어 액슬 케이스 (9) 의 후차축 (37) 에 전달되어, 좌우 후차륜 (4) 을 회전 구동시킨다. 주행 브레이크 (44) 를 작동시킨 경우에는,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의 출력이 없어지므로, 전후차륜 (3, 4) 모두에 브레이크가 걸린다. 또, 이앙기 (1) 를 선회시키는 경우에는, 리어 액슬 케이스 (9) 내의 선회 내측의 마찰 클러치 (48) 를 오프 작동시켜 선회 내측의 후차륜 (4) 을 자유 회전시키고, 동력 전달되는 선회 외측의 후차륜 (4) 의 회전 구동에 의해 선회한다.
리어 액슬 케이스 (9) 내에는, 정지 로터 (85) 로의 동력 계속 중단용의 정지 클러치 (84) 를 갖는 로터 구동 유닛 (86) 을 구비하고 있다. 기어식 부변속 기구 (42) 로부터 자재 이음축 (46) 에 전달된 동력은 로터 구동 유닛 (86) 에도 분기되어서 전달되고, 로터 구동 유닛 (86) 으로부터 자재 이음축 (87) 을 개재하여 정지 로터 (85) 에 동력 전달된다. 정지 로터 (85) 의 회전 구동에 의해 포장면이 고르게 된다.
묘 식부 장치 (23) 로 향하는 분기 동력은, 자재 이음축이 부착된 PTO 전동축 기구 (74) 를 개재하여 주간 변속 케이스 (75) 에 전달된다. 주간 변속 케이스 (75) 내에는, 이앙되는 묘의 주간을 예를 들어, 성기게 심기, 표준 심기 또는 배게 심기 등으로 전환하는 주간 변속 기구 (76) 와, 묘 식부 장치 (23) 로의 동력 전달을 계속하거나 중단하는 식부 클러치 (77) 를 구비하고 있다. 주간 변속 케이스 (75) 에 전달된 동력은, 주간 변속 기구 (76), 식부 클러치 (77) 및 자재 이음축 (78) 을 개재하여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 전달된다.
식부 입력 케이스 (26) 내에는 묘 재치대 (29) 를 가로 이송 이동시키는 가로 이송 기구 (79) 와, 묘 재치대 (29) 상의 묘 매트를 세로 이송 반송시키는 묘 세로 이송 기구 (80) 와, 식부 입력 케이스 (26) 로부터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7) 에 동력 전달하는 식부 출력축 (81) 을 구비하고 있다. 식부 입력 케이스 (26) 에 전달된 동력에 의해, 가로 이송 기구 (79) 및 묘 세로 이송 기구 (80) 가 구동하여, 묘 재치대 (29) 를 연속적으로 왕복으로 가로 이송 이동시키고, 묘 재치대 (29) 가 왕복 이동단 (왕복 이동의 반환점) 에 도달했을 때에 묘 재치대 (29) 상의 묘 매트를 간헐적으로 세로 이송 반송한다. 식부 입력 케이스 (26) 로부터 식부 출력축 (81) 을 경유한 동력은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7) 에 전달되어, 각 식부 전동 케이스 (27) 의 로터리 케이스 (31) 및 식부 클로 (30) 를 회전 구동시킨다. 또한, 시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주간 변속 케이스 (75) 로부터 시비 장치에 동력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 7 을 참조하면서, 이앙기 (1) 의 유압 회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앙기 (1) 의 유압 회로 (90) 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40) 의 구성요소인 유압 펌프 (40a) 및 유압 모터 (40b) 와, 차지 펌프 (91) 및 작업 펌프 (92) 를 구비한다. 유압 펌프 (40a), 차지 펌프 (91) 및 작업 펌프 (92) 가 엔진 (5) 의 동력에 의해 구동한다. 유압 펌프 (40a) 와 유압 모터 (40b) 는, 폐쇄 루프 유로 (油路) (93) 를 개재하여 각각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접속하고 있다. 차지 펌프 (91) 를 폐쇄 루프 유로 (93) 에 접속하고 있다. 주행 변속 페달 (12) 의 밟기량에 따른 변속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유압 펌프 (40a) 의 경사판 각도를 조절하여, 유압 모터 (40b) 를 정전 또는 역전 구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유압 무단 변속기 (40) 의 차지 드레인 이음매 (121) (도 16 참조) 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작동유 오일 쿨러 (122) 를 통해 작동유 반환 이음매 (123) (도 16 참조) 로부터 미션 케이스 (6) 내부로 되돌려진다.
작업 펌프 (92) 는, 조종 핸들 (14) 의 조작을 보조하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에 접속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은, 조향 유압 전환 밸브 (94) 및 조향 유압 모터 (95) 를 구비하고 있다. 조종 핸들 (14) 의 조작에 의해 조향 유압 전환 밸브 (94) 를 전환 작동시켜 조향 유압 모터 (95) 를 구동시키고, 조종 핸들 (14) 의 조작을 보조한다. 그 결과, 좌우 전차륜 (3) 을 작은 조작력으로 간단하게 조타할 수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 (66) 은 플로 디바이더 (96) 에 접속되어 있다. 플로 디바이더 (96) 는 제 1 유로 (97) 와 제 2 유로 (98) 로 분기되어 있다. 제 1 유로 (97) 는, 승강 실린더 (39) 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승강 전환 밸브 (99) 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 전환 밸브 (99) 는, 승강 실린더 (39) 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위치 (99a) 와, 승강 실린더 (39) 로부터 작동유를 배출하는 배출 위치 (99b) 의 2 위치로 전환 가능한 4 포트 2 위치 전환형의 기계식 전환 밸브이다. 작업 레버 (16) 의 조작으로 승강 전환 밸브 (99) 를 전환 작동시켜 승강 실린더 (39) 를 신축동시킴으로써, 승강 링크 기구 (22) 를 개재하여 묘 식부 장치 (23) 가 승강동한다. 또한, 플로 디바이더 (96) 나 승강 전환 밸브 (99) 는, 미션 케이스 (6) 후부에 설치한 밸브 유닛 (89) 내에 수용되어 있다.
승강 전환 밸브 (99) 로부터 승강 실린더 (39) 에 이르는 실린더 유로 (100) 중에 전자 개폐 밸브 (101) 를 설치하고 있다. 전자 개폐 밸브 (101) 는, 승강 실린더 (39) 에 대해 작동유를 급배하는 개방 위치 (101a) 와, 승강 실린더 (39) 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정지하는 폐쇄 위치 (101b) 의 2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전자 제어 밸브이다. 따라서, 전자 솔레노이드 (102) 를 여자 (勵磁) 시켜 전자 개폐 밸브 (101) 를 개방 위치 (101a) 로 하면, 승강 실린더 (39) 는 신축동 가능해져, 묘 식부 장치 (23) 가 승강동 가능해진다. 전자 솔레노이드 (102) 를 비여자로 해서 리턴 스프링 (103) 에 의해 전자 개폐 밸브 (101) 를 폐쇄 위치 (101b) 로 하면, 승강 실린더 (39) 는 신축동 불능으로 유지되어, 묘 식부 장치 (23) 가 임의의 높이 위치에서 승강 정지한다.
또한, 실린더 유로 (100) 중 전자 개폐 밸브 (101) 와 승강 실린더 (39) 사이에는, 어큐뮬레이터 유로 (104) 를 개재하여 어큐뮬레이터 (105) 를 접속하고 있다. 승강 실린더 (39) 내의 급격한 작동 유압 변동시에는, 어큐뮬레이터 (105) 에 의해 작동 유압 변동을 흡수하고, 승강 전환 밸브 (99) 및 전자 개폐 밸브 (101) 의 조합에 의해 승강 실린더 (39) 를 스무스하게 신축동시켜, 묘 식부 장치 (23) 를 경쾌하게 승강동시킨다.
플로 디바이더 (96) 의 제 2 유로 (98) 는, 묘 식부 장치 (23) 의 좌우 경사 자세를 제어하는 롤링 제어 유닛 (106) 에 접속되어 있다. 롤링 제어 유닛 (106) 에는 롤링 실린더 (108) 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전자 제어 밸브 (107) 가 내장되어 있다. 전자 제어 밸브 (107) 의 전환 작동에 의해 롤링 제어 유닛 (106) 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롤링 실린더 (108) 를 작동시킨 결과, 묘 식부 장치 (23) 가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이앙기 (1) 의 유압 회로 (90) 는, 릴리프 밸브나 유량 조정 밸브, 체크 밸브, 오일 필터 등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9 를 참조하면서, 보닛 (11) 내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닛 (11) 은, 엔진 (5) 전방 및 측방을 둘러싸는 전보닛 (11a) 과, 엔진 (5) 후방을 둘러싸는 후보닛 (11b) 과, 엔진 (5) 상방을 덮는 조작 패널 (11c) 을 구비하고 있다. 전보닛 (11a) 의 좌우 양 측면의 각각에, 상통기공 (201) 및 하통기공 (202) 을 갖는 통기공 (200) 이 개구되어 있다. 통기공 (200) 에 있어서 상통기공 (201) 과 하통기공 (202) 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전보닛 (11a) 의 내벽에, 상통기공 (201) 및 하통기공 (202) 을 전보닛 (11a) 내측으로부터 덮는 망상 부재 (203) 가 전보닛 (11a) 좌우 부위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망상 부재 (203) 는 다수의 구멍을 갖고, 전보닛 (11a) 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공기를 유통시킨다.
보닛 (11) 내에 배치된 엔진 (5) 의 우측부 (일측부) 에, 엔진 (5) 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냉각용 팬 (152) 이 배치되어 있다. 냉각용 팬 (152) 은 전보닛 (11a) 의 우측부의 통기공 (200) 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열교환기의 일례인 엔진 (5) 수랭용의 라디에이터 (153) 가 냉각용 팬 (152) 의 우측방에서 냉각용 팬 (152) 과 통기공 (2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153) 와 엔진 (5) 사이에, 냉각용 팬 (152) 의 외주와 라디에이터 (153) 의 외주를 둘러싸는 슈라우드 (154) 가 배치되어 있다. 슈라우드 (154) 의 개구부에 냉각용 팬 (152) 이위치되어, 라디에이터 (153) 에 냉각용 팬 (152) 이 대치되어 있다. 또, 라디에이터 (153) 에 있어서 공기가 유통되도록 복수의 방열용 핀이 배열된 코어 부위 (153a) 는, 그 일부분,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앞쪽 부위 및 상부 중앙 부위가 통기공 (200) 에 대치되어 있다. 통기공 (200) 에 대치하는 코어 부위 (153a) 의 대부분은 하통기공 (202) 에 대치하고 있다.
보닛 (11) 내에서는, 엔진 (5) 의 전방 및 상방에 배치된 프레임상의 전프레임부 (155) 가 전프레임 (54) 과 핸들 포스트 (67) 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전프레임부 (155) 는, 전프레임 (54) 에 세워서 설치된 판상 전프레임 (171) 과, 판상 전프레임 (171) 의 상단 부위의 양 단부로부터 엔진 (5)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된 우측 전프레임 (172) 및 좌측 전프레임 (173) 을 구비하고 있다. 판상 전프레임 (171) 은 전프레임 (54)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된 평면부를 갖는다. 판상 전프레임 (171) 은, 평면부의 하단 부위에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부 돌출부가 전프레임 (54) 의 전면에 고착된 전프레임 브래킷 (174) 에 볼트 체결되어 전프레임 (54) 에 고정되어 있다. 판상 전프레임 (171) 은, 평면부의 상단 부위에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부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우측 전프레임 (172) 및 좌측 전프레임 (173) 의 각 선단부는, 판상 전프레임 (171) 의 평면부 후면 및 상부 돌출부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우측 전프레임 (172) 및 좌측 전프레임 (173) 은 굽힘 가공된 금속관에 의해 구성된다. 우측 전프레임 (172) 의 전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판상 전프레임 (171) 과의 접합 지점으로부터 우측으로 유도된 후, 후방으로 만곡되어, 원하는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만곡되면서 후방으로 경사진 위쪽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또한 엔진 (5) 상방에서 만곡되어 전후 방향 또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좌측 전프레임 (173) 은 우측 전프레임 (172) 과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고, 판상 전프레임 (171) 과의 접합 지점으로부터 좌측으로 유도된 후, 후방으로 만곡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핸들 포스트 (67) 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포스트 브래킷 (175) 이 고착되어 있다. 포스트 브래킷 (175) 의 전단부에 좌우 가로로 긴 가로 프레임 (176) 의 중앙부가 고착되어 있다. 가로 프레임 (176) 의 우단 부위에 우측 후브래킷 (177) 이 고착되어 있다. 우측 후브래킷 (177) 에 우측 전프레임 (172) 의 후단부가 볼트 체결되어 있다. 또, 가로 프레임 (176) 의 좌단 부위에 레버 가이드 브래킷 세트 (178) 가 고착되어 있다. 레버 가이드 브래킷 세트 (178) 는 주행 주변속 레버 (15) 의 이동을 규제 및 안내하는 가이드 홈 (83) (도 5 참조) 을 따른 홈을 구비하고 있다. 레버 가이드 브래킷 세트 (178) 에 좌측 전프레임 (173) 의 후단부가 볼트 체결되어 있다.
우측 전프레임 (172) 의 중앙부와 좌측 전프레임 (173) 의 중앙부는, 조작 패널 중앙 스테이 부재 (179)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조작 패널 중앙 스테이 부재 (179) 는, 우측 전프레임 (172) 상에서부터 좌측 전프레임 (173) 상으로 연장 형성된 좌우 가로로 긴 부위와, 좌우 가로로 긴 부위의 양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우측 고정 부위 및 좌측 고정 부위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패널 중앙 스테이 부재 (179) 는, 우측 고정 부위의 하단부가 우측 전프레임 (172) 에 고착된 브래킷을 개재하여 우측 전프레임 (172) 에 고정되고, 좌측 고정 부위의 하단부가 좌측 전프레임 (173) 에 고착된 브래킷을 개재하여 좌측 전프레임 (173) 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 패널 중앙 스테이 부재 (179) 는 프레임 (172, 173) 의 후단부측의 수평 부위 중 전방쪽 지점에 연결되어 있다.
또, 우측 전프레임 (172) 의 중앙부와 좌측 전프레임 (173) 의 중앙부는, 조작 패널 중앙 스테이 부재 (179) 의 고정 위치보다 전방 위치에서 프레임 (172, 173) 에 고착된 좌우 가로로 긴 봉상 가로 프레임 (180)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봉상 가로 프레임 (180) 은 프레임 (172, 173) 의 전단부측의 앞쪽이 낮고 뒤쪽이 높은 부위 중 후방쪽 지점에 연결되어 있다. 봉상 가로 프레임 (180) 의 중앙부 오른쪽 부위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조작 패널 전(前)스테이 부재 (181) 의 기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조작 패널 전스테이 부재 (181) 는 봉상 가로 프레임 (180) 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조작 패널 전스테이 부재 (181) 의 선단부에 조작 패널 전브래킷 (182) 이 볼트 체결되어 있다.
가로 프레임 (176) 의 우단 부위에 고착된 우측 후브래킷 (177) 에는 조작 패널 우측 후브래킷 (183) 이 볼트 체결되어 있다. 또, 가로 프레임 (176) 의 좌단 부위에 고착된 레버 가이드 브래킷 세트 (178) 에는 조작 패널 좌측 후브래킷 (184) 이 볼트 체결되어 있다. 조작 패널 (11c) 은, 조작 패널 중앙 스테이 부재 (179) 의 좌우 가로로 긴 부위의 양 단부와 조작 패널 고정용의 브래킷 (182, 183, 184) 에 각각 비스 고정됨으로써, 주행 기체 (2) 에 연결 고정된다.
전보닛 (11a) 은, 엔진 (5) 의 전측, 좌측 및 우측을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볼 때 대략 U 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전보닛 (11a) 의 우측부 및 좌측부의 후부 위쪽 부위가 각각 회동 지지점축 (191) 을 개재하여 주행 기체 (2) 에 연결되어 있다. 전보닛 (11a) 의 우측부의 후부 위쪽 부위에 우측 회동 스테이 부재 세트 (192) 의 일단이 비스 고정되고, 전보닛 (11a) 의 좌측부의 후부 위쪽 부위에 좌측 회동 스테이 부재 세트 (193) 의 일단이 비스 고정되어 있다. 회동 스테이 부재 세트 (192, 193) 는, 3 개의 스테이 부재가 볼트 체결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우측 회동 스테이 부재 세트 (192) 의 타단측은, 가로 프레임 (176) 의 우단 부위에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우측 후스테이 부재 (194) 의 후단 부위에, 회동 지지점축 (191) 을 구성하는 볼트를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우측 회동 스테이 부재 세트 (192) 의 타단측은, 레버 가이드 브래킷 세트 (178) 의 좌측 후방 부위에, 회동 지지점축 (191) 을 구성하는 볼트를 개재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전보닛 (11a) 은, 회동 지지점축 (191) 을 회동 지지점으로 하여, 하단부가 작업 스텝 (10) 에 맞닿아 엔진 (5) 을 덮는 폐색 위치 (닫힘 상태) 와, 전부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엔진 (5) 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열림 상태)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주행 기체 (2) 에 연결되어 있다.
전보닛 (11a) 의 전부 아래쪽 부위의 내면에, 예를 들어 강철제의 강자성체 부재 (195) 가 장착되어 있다. 또, 작업 스텝 (10) 의 전부 상면에는, 전보닛 (11a) 이 닫혀진 상태 (폐색 위치) 에서 강자성체 부재 (195) 에 대응하는 위치에 영구 자석을 수용한 보닛 고정부 (196) 가 배치되어 있다. 전보닛 (11a) 의 전부는, 폐색 위치에 있을 때, 강자성체 부재 (195) 가 자력에 의해 보닛 고정부 (196) 측으로 끌어당겨짐으로써 작업 스텝 (10) 에 고정된다.
후보닛 (11b) 은, 핸들 포스트 (67) 의 후측, 우측 및 좌측을 둘러싸도록, 조작 패널 (11c) 의 후부와 작업 스텝 (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후보닛 (11b) 은, 조작 패널 (11c) 의 후부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용 볼록조부를 따라 후보닛 (11b) 의 상단부가 배치되고, 작업 스텝 (10) 상면에 세워서 설치된 볼록조부에 형성된 걸림용 홈에 후보닛 (11b) 의 하단부가 배치되어, 조작 패널 (11c) 의 후부와 작업 스텝 (10) 사이에 위치 고정되어 있다.
전프레임부 (155) 의 우측 전프레임 (172) 에는, 슈라우드 (154) 의 상부 앞쪽 부위를 볼트 고정시키는 슈라우드 전브래킷 (156) 이 고착되어 있다. 슈라우드 (154) 의 상부 뒤쪽 부위는 가로 프레임 (176) 의 우단 부위에 고착된 상기 우측 후브래킷 (177) 의 하단부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또, 라디에이터 (153) 는, 우측의 전부 프레임 (51) 의 앞쪽 부위에 고착된 1 쌍의 라디에이터 브래킷 (158) 에 하면 양단 부위가 각각 지지됨과 함께, 슈라우드 (154) 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이로써, 라디에이터 (153) 및 슈라우드 (154) 는 보닛 (11) 내에서 우측의 전부 프레임 (51) 및 전프레임부 (155) 에 지지되어 있다.
또, 도 8 내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라디에이터 브래킷 (158) 중 전측의 라디에이터 브래킷 (158) 에는, 전차륜 (3) 으로부터 비산한 진흙의 부착이나 이른바 쇼트 서킷 등을 방지하는 흙받이 부재 (159) 가 볼트 체결되어 있다. 흙받이 부재 (159) 는, 오른쪽이 높고 왼쪽이 낮게 경사진 경사면 부위 (159a) 와, 전후 방향을 따라 경사면 부위 (159a) 의 좌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직면 부위 (159b) 와, 좌우 방향을 따라 경사면 부위 (159a) 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전측면 부위 (159c) 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 부위 (159a) 는, 그 상면이 라디에이터 브래킷 (158) 의 하면에 맞닿아, 라디에이터 브래킷 (158) 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전측면 부위 (159c) 는, 그 주연부의 좌변에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면 부위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출면 부위는, 슈라우드 (154) 의 전측면의 하방쪽 부위에 형성된 슬릿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 슬릿부는, 우측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돌출면 부위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함과 함께, 보닛 (11) 보다 하방측에서 전프레임 (54) 에 대치하여 슈라우드 (154) 의 전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흙받이 부재 (159) 의 수직면 부위 (159b) 는, 그 전방측 및 하방측의 주연부가 후술하는 슈라우드 (154) 의 둘레벽부 (141) 의 단변 (端面) 을 따라 배치되어, 슈라우드 (154) 의 전측 하방 부위를 덮고 있다. 또, 흙받이 부재 (159) 의 경사면 부위 (159a) 및 전측면 부위 (159c) 는, 우측의 전부 프레임 (51) 과 슈라우드 (154) 사이의 간극을 막고 있다. 이로써, 슈라우드 (154) 의 전측 하방 부위 근방에 있어서, 냉각용 팬 (152) 의 작동에 의해 슈라우드 (154) 를 통해 엔진 (5) 측으로 배출된 공기가 슈라우드 (154) 의 전측면 또는 하측면을 돌아 들어가 슈라우드 (154) 의 전측 하방 부위로부터 슈라우드 (154) 내부로 흡인되어 순환하는, 이른바 쇼트 서킷이 억제된다. 그리고, 엔진 (5) 의 열에 의해 승온한 난공기가 슈라우드 (154) 의 전측 하방 부위로부터 흡인되는 것에서 기인하는 라디에이터 (153) 및 엔진 (5) 의 냉각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 흙받이 부재 (159) 에 의해, 전차륜 (3) 으로부터 비산한 진흙의 라디에이터 (153) 로의 부착이 방지된다. 또한, 보닛 (11) 보다 하방측에서 전프레임 (54) 과 슈라우드 (154) 사이에 배치되어 보닛 (11) 의 하방에서의 쇼트 서킷을 억제하는 흙받이 부재 (159) (냉각풍 순환 억제 부재) 의 배치 및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냉각풍 순환 억제 부재의 배치 및 형상은, 엔진의 열에 의해 데워진 난공기가 보닛 하방에서 슈라우드의 외주측을 돌아 들어가 라디에이터측으로 흡인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도 8 내지 도 1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슈라우드 (154) 는, 슈라우드 (154) 의 주연부에서 라디에이터 (153) 측으로 돌출 성형된 둘레벽부 (141) 를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부 (141) 는 라디에이터 (153) 의 외주를 둘러싸고 있다. 라디에이터 (153) 의 상면 중앙부에 급수구부 (142) 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부 (141) 에는, 급수구부 (142) 의 상방이 절결된 오목 형상부 (141a) 가 형성되어 있다. 급수구부 (142) 를 통해 라디에이터 (153) 내에 냉각수의 보충 등이 이루어진다. 또, 라디에이터 (153) 의 급수구부 (142) 에 라디에이터 캡 (143) 이 장착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153) 의 급수구부 (142) 의 측면에, 냉각수를 저류하는 리졸버 탱크 (144) 에 리졸버 호스 부재 (145) 를 개재하여 접속되는 이음매부가 형성되어 있다. 리졸버 탱크 (144) 는 전프레임부 (155) 의 판상 전프레임 (171) 의 상부 돌출부에 고착된 리졸버 탱크 브래킷 (185) 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리졸버 호스 부재 (145) 는, 라디에이터 (153) 의 급수구부 (142) 로부터, 슈라우드 (154) 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 엔진 (5) 측으로 유도되고 있다. 또한, 리졸버 호스 부재 (145) 는, 우측 전프레임 (172) 및 봉상 가로 프레임 (180) 의 하방을 지나 봉상 가로 프레임 (180) 의 후방으로부터 봉상 가로 프레임 (180) 상방으로 유도되고, 봉상 가로 프레임 (180) 과 조작 패널 전스테이 부재 (181) 의 연결부의 상방을 지나 리졸버 탱크 (144) 로 유도되고 있다.
보닛 (11) 내에서, 슈라우드 (154) 의 둘레벽부 (141) 의 선단부에,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차폐 부재 (146) 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차폐 부재 (146) 는, 예를 들어, 둘레벽부 (141) 의 선단부가 끼워넣어지는 오목조 홈을 갖는 홈부와, 오목 형상 홈과는 반대측의 홈부의 부위에 연결된 원기둥상 부분을 갖는다. 제 1 차폐 부재 (146) 는, 둘레벽부 (141) 를 따라 배치되고, 둘레벽부 (141) 의 오목 형상부 (141a) 에서는 단절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차폐 부재 (146) 는 오목 형상부 (141a) 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제 1 차폐 부재 (146) 는, 전보닛 (11a) 이 닫혀져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통기공 (200) 의 외주측에서 전보닛 (11a) 의 우측부의 내면에 맞닿게 하여, 슈라우드 (154) 와 전보닛 (11a) 사이의 간극을 막는다.
전보닛 (11a) 의 우측부의 내면측에,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차폐 부재 (147) 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차폐 부재 (147) 는, 예를 들어 제 1 차폐 부재 (146) 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오목조 홈을 갖는 홈부와 홈부에 연결된 원기둥상 부분을 갖는다. 제 2 차폐 부재 (147) 는, 전보닛 (11a) 의 우측부의 내면에 슈라우드 (154)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볼록조의 제 2 차폐 부재 장착부 (148) 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 2 차폐 부재 (147) 는,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가 엔진 (5)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하여 배치되고, 전보닛 (11a) 이 닫혀져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슈라우드 (154) 의 둘레벽부 (141) 의 오목 형상부 (141a) 에 맞닿게 된다. 또, 제 2 차폐 부재 (147) 는, 전보닛 (11a) 이 닫힘 상태일 때에, 제 1 차폐 부재 (146) 의 단절 부분에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이앙기 (1) 에서는, 라디에이터 (153) 의 외주는 슈라우드 (154) 의 둘레벽부 (141) 에 둘러싸여 있다. 또한, 슈라우드 (154) 와 전보닛 (11a) 사이의 간극은 제 1 차폐 부재 (146) 및 제 2 차폐 부재 (147) 에 의해 막혀져 있다. 이들에 의해, 전보닛 (11a) 이 닫힘 상태일 때에 통기공 (200) 과 라디에이터 (153) 사이의 공간과 엔진 (5) 측의 공간이 구획된다. 또, 슈라우드 (154) 와 전보닛 (11a) 사이의 간극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이앙기 (1) 는, 엔진 (5) 의 열에 의해 승온한 보닛 (11) 내의 난공기가 라디에이터 (153) 의 공기 흡입측 (통기공 (200) 측) 으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보닛 (11a) 의 우측부에 통기공 (200) 이 라디에이터 (153) 에 대치하여 배치되고, 또한 제 1 차폐 부재 (146) 및 제 2 차폐 부재 (147) 가 통기공 (200) 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으므로, 제 1 차폐 부재 (146) 및 제 2 차폐 부재 (147) 에 의해 슈라우드 (154) 와 전보닛 (11a) 사이의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어, 통기공 (200) 을 통과한 냉공기의 라디에이터 (153) 로의 흡입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슈라우드 (154) 와 전보닛 (11a) 사이의 간극은 제 1 차폐 부재 (146) 및 제 2 차폐 부재 (147) 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우천시나 세차시에 보닛 (11) 내에 침입한 물의 라디에이터 (153) 측으로의 침입이 방지된다.
도 12 내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보닛 (11a) 이 열려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전보닛 (11a) 에 장착된 제 2 차폐 부재 (147) 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슈라우드 (154) 의 오목 형상부 (141a) 로부터 배제된다. 슈라우드 (154) 의 둘레벽부 (141) 에, 라디에이터 (153) 의 급수구부 (142) 의 상방 부분이 절결된 오목 형상부 (141a) 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추가하여, 전보닛 (11a) 개방시에 오목 형상부 (141a) 로부터 제 2 차폐 부재 (147) 가 제거됨으로써, 라디에이터 (153) 의 급수구부 (142) 및 라디에이터 캡 (143) 의 상방 공간이 크게 개방된다. 이로써, 라디에이터 캡 (143) 의 착탈 작업이나 급수구부로부터의 냉각수 보급 작업 용이성이 향상되어, 라디에이터 (153) 에 대한 정비성이 향상된다.
또, 이 실시형태의 이앙기 (1) 에서는, 냉각용 팬 (152), 라디에이터 (153) 및 슈라우드 (154) 는, 주행 기체 (2) 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엔진 (5) 의 우측부측 (좌우 방향의 일측부측) 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용 팬, 슈라우드 및 라디에이터가 엔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주행 기체 (2) 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묘 식부 작업 중의 이앙기 (1) 가 논두렁가에서 정지했을 때에, 주행 기체 (2) 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을수록 묘 식부 장치 (23) (도 1 및 도 2 참조) 를 논두렁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논두렁가에서의 심고서 남은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9 를 참조하면서, 엔진 (5) 의 흡기계 및 작동유 오일 쿨러 주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닛 (11) 내에서, 엔진 (5) 의 상부에 에어 클리너 (160) 가 배치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 (160) 는, 엔진 (5) 의 상부, 예를 들어 실린더 헤드 커버의 상면에 볼트 체결된 에어 클리너 브래킷 (161) 상에 탑재됨과 함께, 양단이 각각 에어 클리너 브래킷 (161)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용 벨트 (162) 가 에어 클리너 (160) 외주에 둘러 감겨져 위치 고정된다. 에어 클리너 (160) 에는,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흡기관 (163) 의 일단측과, 흡기관 (163) 으로부터의 공기를 에어 클리너 (160) 내에서 정화한 후에 엔진 (5) 에 공급하는 공급관 (164) 의 일단측이 접속된다. 공급관 (164) 의 타단측은 엔진 (5) 의 신기 (新氣) 취입구, 예를 들어 흡기 매니폴드에 접속된다.
흡기관 (163) 의 타단측은 슈라우드 (154) 에 일체로 성형된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에 접속되어 있다. 흡기구 형성 부위 (165) 는, 라디에이터 (153) 수납 위치의 상방에서 슈라우드 (154) 의 엔진 (5) 측의 면으로부터 라디에이터 (153) 측의 면을 향하여 팽출되어 형성되어, 엔진 (5) 측에서 볼 때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 형성 부위 (165) 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라디에이터 (153) 상방 영역 중 후방쪽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 형성 부위 (165) 는 그 외주측면에 흡기구 (166) 를 구비하고 있다. 흡기구 (166) 는 하방, 이 실시형태에서는 경사진 전측 하방을 향하여,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의 원통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윤곽의 대체로 절반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의 대략 원 형상의 팽출 단면은 닫혀져 있다. 흡기구 형성 부위 (165) 및 흡기구 (166) 는 통기공 (200),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통기공 (201) 에 대치하여 배치된다.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에 엔진 (5) 측으로부터 흡기관 (163) 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흡기구 (166) 와 에어 클리너 (160) 가 흡기관 (163) 을 통해 유통 접속된다.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에서는, 흡기구 (166) 를 2 분할하도록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의 기단측 부위와 팽출 단면을 연결하는 외주 측면 부위가 형성되어 있고, 이 외주 측면 부위에 의해 팽출 단면의 강도가 향상되어 있다. 또,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의 외주 측면은, 슈라우드 (154) 의 주연부에서 라디에이터 (153) 측으로 돌출 성형된 둘레벽부 (141) 와 연결되어 있어,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의 강도가 향상되어 있다.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의 팽출 단면에 예를 들어 판상의 차폐 부재 (167) 가 장착되어 있다. 차폐 부재 (167) 는, 2 개의 고정용 비스 (168) 에 의해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의 팽출 단면의 2 개 지점에 고착되어, 흡기구 (166) 와 통기공 (200) 사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흡기구 (166) 와 상통기공 (201) 사이에 배치된다. 차폐 부재 (167) 는,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의 팽출 단면에 대해 전측 하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고, 우측방에서 볼 때 흡기구 (166) 를 덮고 있다.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의 외주 측면에는, 고정용 비스 (168) 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기단 부위에서부터 팽출 단면까지 연장 형성된 2 개의 리브부가 외주 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다. 이들 리브부는 고정용 비스 (168) 의 장착 위치를 확보함과 함께 흡기구 형성 부위 (165) 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도 15 내지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보닛 (11a) 우측면의 통기공 (200) 과 라디에이터 (153) 사이에, 작동유 오일 쿨러 (122) 의 코어 부분 (124) 이 배치되어 있다. 코어 부분 (124) 은,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사행하는 사행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라디에이터 (153) 의 전방쪽 부위에서부터 중앙 부위에 대치하여 배치된다. 작동유 오일 쿨러 (122) 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 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된 2 개의 장착 스테이 부재 (125, 125) 가 코어 부분 (124) 의 라디에이터 (153) 측의 면에 고착되어 있다. 코어 부분 (124) 은, 장착 스테이 부재 (125, 125) 의 양 단부가 라디에이터 (153) 의 양단 부위에 고정됨으로써, 라디에이터 (153) 에 지지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 (11) 의 우측면의 통기공 (200) 측에서 볼 때, 코어 부분 (124) 과 흡기구 (166) 는 수평 방향에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 오일 쿨러 (122) 의 코어 부분 (124) 의 작동유 입구측은, 작동유 이송 배관 (126) 및 작동유 이송 튜브 (127) 를 통해 유압 무단 변속기 (40) 의 차지 드레인 이음매 (121) 에 접속된다. 코어 부분 (124) 의 작동유 출구측은, 작동유 반환 배관 (128) 및 작동유 반환 튜브 (129) 를 통해 미션 케이스 (6) 의 작동유 반환 이음매 (123) 에 접속된다. 차지 펌프 (91) (도 7 참조) 의 작동에 의해, 미션 케이스 (6) 내부의 작동유는, 유압 무단 변속기 (40), 차지 드레인 이음매 (121), 작동유 이송 튜브 (127), 작동유 이송 배관 (126), 작동유 오일 쿨러 (122) 의 코어 부분 (124), 작동유 반환 배관 (128) 및 작동유 반환 튜브 (129) 를 통해 순환 냉각된다.
이 실시형태의 승용형 이앙기 (1) 는, 보닛 (11) 의 우측면에 형성된 통기공 (200) 에 대치하여 엔진 (5) 의 흡기구 (166) 가 배치됨과 함께, 흡기구 (166) 와 통기공 (200) 사이에 통기공 (200) 측에서 볼 때 흡기구 (166) 를 덮는 차폐 부재 (167) 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세차시 등, 보닛 (11) 에 우측방으로부터 물이 가해지는 상황이더라도 차폐 부재 (167) 에 의해 흡기구 (166) 로의 물의 침입이 저지되어, 흡기관 (163) 이나 에어 클리너 (160), 공급관 (164) 등의 엔진 (5) 의 흡기 경로로의 흡기구 (166) 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승용형 이앙기 (1) 에서는, 냉각용 팬 (152) 을 둘러싸는 슈라우드 (154) 에 흡기구 (166) 가 일체로 성형됨과 함께, 슈라우드 (154) 에 차폐 부재 (167) 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차폐 부재 (167) 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슈라우드 (154) 와는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차폐 부재 (167) 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승용형 이앙기 (1) 에서는, 흡기구 (166) 는 경사진 전측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보닛 (11) 의 우측방으로부터 통기공 (200) 을 향하여 물이 가해지는 상황이더라도, 차폐 부재 (167) 에 의한 흡기구 (166) 로의 물의 침입 방지의 효과에 더하여, 보다 확실하게 흡기구 (166) 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승용형 이앙기 (1) 에서는, 작동유 오일 쿨러 (122) 의 코어 부분 (124) 이 보닛 (11) 의 우측면의 통기공 (200) 과 라디에이터 (153) 사이에 배치되고, 흡기구 (166) 가 라디에이터 (153)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닛 (11) 의 우측면의 통기공 (200) 측에서 볼 때, 코어 부분 (124) 과 흡기구 (166) 가 수평 방향에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유 오일 쿨러 (122), 특히 코어 부분 (124) 에 머물러 발생하는 열이 흡기구 (166) 에 직접 흡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흡기구 (166) 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연소용 공기에 관하여, 작동유 오일 쿨러 (122) 의 발열에서 기인하는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엔진 (5) 의 출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닛 (11) 의 우측면의 통기공 (200) 은, 상통기공 (201) 과 하통기공 (202) 으로 상하로 분할되어 있고, 흡기구 (166) 는 상통기공 (201) 에 대치하고, 코어 부분 (124) 은 하통기공 (202) 에 대치하고 있다. 또, 라디에이터 (153) 에 있어서 공기가 유통되는 코어 부위 (153a) 는, 코어 부위 (153a) 의 상부 앞쪽 부위 및 상부 중앙 부위가 통기공 (200) 에 대치되고, 그 대부분이 하통기공 (202) 에 대치하고 있다. 또, 냉각용 팬 (152) 의 작동에 의해 보닛 (11) 의 우측면의 통기공 (200) 으로부터 보닛 (11) 의 내부로 흘러 들어오는 공기는, 라디에이터 (153) 의 코어 부위 (153a) 및 슈라우드 (154) 를 통해 엔진 (5) 측으로 유통된다. 따라서, 보닛 (11) 의 우측면의 상통기공 (201) 으로부터 왼쪽으로 경사진 하방의 코어 부위 (153a) 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기기 때문에, 라디에이터 (153) 상방에 흡기구 (166) 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작동유 오일 쿨러 (122) 에서 방사되는 열이 흡기구 (166) 에 직접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엔진의 연소용 공기를 받아들이는 흡기구가 보닛 내에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흡기구는 보닛 측면에 형성된 통기구의 근방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예를 들어 세차시 등, 보닛에 측방으로부터 물이 가해지는 상황에 있어서, 통기구는 공기뿐만 아니라 물도 통과시키므로, 통기구로부터 보닛 내에 침입한 물이 흡기구를 통해 엔진의 흡기 경로에 침입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주행 기체에 탑재된 엔진과, 엔진의 일측부에 배치된 냉각용 팬과, 엔진을 덮음과 함께 냉각용 팬에 대향하는 측면에 통기구를 갖는 보닛을 구비한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흡기구가 상기 통기구에 대치하여 배치됨과 함께, 상기 흡기구와 상기 통기구 사이에 상기 통기구측에서 볼 때 상기 흡기구를 덮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있도록 하면, 상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요컨대, 보닛에 측방으로부터 물이 가해지는 상황이더라도 차폐 부재에 의해 흡기구로의 물의 침입이 저지되어, 엔진 흡기 경로로의 흡기구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용 팬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에 상기 흡기구가 일체로 성형 됨과 함께, 상기 팬 슈라우드에 상기 차폐 부재가 장착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차폐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차폐 부재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상기 흡기구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측방으로부터의 흡기구로의 물의 침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냉각용 팬과 상기 통기구 사이에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작동유 오일 쿨러의 코어 부분이 상기 통기구와 상기 라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가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기구측에서 볼 때 상기 코어 부분과 상기 흡기구가 수평 방향에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작동유 오일 쿨러에 머물러 발생하는 열이 흡기구에 직접 흡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흡기구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연소용 공기에 관하여, 작동유 오일 쿨러의 발열에서 기인하는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엔진 출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양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각 부의 구성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원 발명의 작업기는, 승용형 이앙기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농업용 트랙터나 토목 건설용의 휠 로더 등, 다른 작업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승용형 이앙기 (작업기)
2 : 주행 기체
5 : 엔진
11 : 보닛
11a : 전보닛
146 : 제 1 차폐 부재
147 : 제 2 차폐 부재
141 : 둘레벽부
141a : 오목 형상부
142 : 급수구부
153 : 라디에이터
154 : 슈라우드

Claims (4)

  1.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와, 엔진을 덮는 개폐 가능한 보닛과, 보닛 내에서 엔진의 일측부측에 배치된 슈라우드 및 라디에이터와, 슈라우드와 보닛 사이의 간극을 막는 차폐 부재를 구비한 작업기로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외주를 둘러싸는 상기 슈라우드의 둘레벽부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라디에이터의 급수구부의 상방에서 단절되어 있는 제 1 차폐 부재와, 상기 보닛에 장착되어 상기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 상기 제 1 차폐 부재의 단절 부분에 이어지는 제 2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닛이 개방시에는, 상기 제 2 차폐 부재가 제거됨으로써 상기 라디에이터의 급수구부의 상방 공간이 개방되는, 작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부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기 급수구부의 상방이 절결된 오목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차폐 부재는 상기 단절 부분이 상기 오목 형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둘레벽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차폐 부재는 상기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 상기 둘레벽부의 상기 오목 형상부에 맞닿는, 작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보닛의 좌우 일측부에 상기 슈라우드 및 상기 라디에이터에 대치하는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 1 차폐 부재가 상기 보닛의 상기 좌우 일측부의 내면에 맞닿게 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차폐 부재가 상기 통기공의 외주측을 둘러싸서 상기 보닛의 내면과 상기 슈라우드 사이의 간극이 막히는, 작업기.
  4. 엔진을 탑재한 주행 기체와, 엔진을 덮는 개폐 가능한 보닛과, 보닛 내에서 엔진의 일측부측에 배치된 슈라우드 및 라디에이터와, 슈라우드와 보닛 사이의 간극을 막는 차폐 부재를 구비한 작업기로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외주를 둘러싸는 상기 슈라우드의 둘레벽부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라디에이터의 급수구부의 상방에서 단절되어 있는 제 1 차폐 부재와, 상기 보닛에 장착되어 상기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 상기 제 1 차폐 부재의 단절 부분에 이어지는 제 2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보닛의 좌우 일측부에 상기 슈라우드 및 상기 라디에이터에 대치하는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공에 대치하여 상기 엔진의 흡기구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흡기구와 상기 통기공 사이에 상기 통기공 측에서 볼 때 상기 흡기구를 덮는 제 3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기.
KR1020187026683A 2016-05-02 2017-04-12 작업기 및 이앙기 KR102082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2515A JP6612175B2 (ja) 2016-05-02 2016-05-02 作業機及び田植機
JPJP-P-2016-092515 2016-05-02
PCT/JP2017/014973 WO2017191740A1 (ja) 2016-05-02 2017-04-12 作業機及び田植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165A Division KR102195667B1 (ko) 2016-05-02 2017-04-12 작업기 및 이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025A KR20180112025A (ko) 2018-10-11
KR102082279B1 true KR102082279B1 (ko) 2020-02-27

Family

ID=602029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683A KR102082279B1 (ko) 2016-05-02 2017-04-12 작업기 및 이앙기
KR1020207005165A KR102195667B1 (ko) 2016-05-02 2017-04-12 작업기 및 이앙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165A KR102195667B1 (ko) 2016-05-02 2017-04-12 작업기 및 이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12175B2 (ko)
KR (2) KR102082279B1 (ko)
CN (1) CN109070731B (ko)
TW (1) TWI637682B (ko)
WO (1) WO201719174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444A (ja) * 2009-05-07 2010-11-18 Yanmar Co Ltd 農業機械
JP2015223870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2016032966A (ja) * 2014-07-31 2016-03-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原動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75314D1 (en) * 1981-11-14 1986-10-16 Deere & Co Cleaning device to clean the air filter of a cooling air-casing comprising a fan-blown radiator
JP2756344B2 (ja) * 1990-04-07 1998-05-25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機構
JP3474738B2 (ja) * 1997-09-26 2003-12-08 株式会社クボタ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内区画構造
JPH11350960A (ja) * 1998-06-05 1999-12-21 Iseki & Co Ltd エアコン用コンデンサの冷却風装置
JP4847073B2 (ja) * 2005-08-29 2011-12-28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JP2009013794A (ja) * 2007-06-29 2009-01-2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CN102612458B (zh) * 2009-11-10 2015-05-20 洋马株式会社 乘用型农用作业机
US8347994B2 (en) * 2011-04-13 2013-01-08 Deere & Company Tractor hood airflow system
CN204055326U (zh) * 2014-09-03 2014-12-31 安徽安凯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客车冷却模块总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444A (ja) * 2009-05-07 2010-11-18 Yanmar Co Ltd 農業機械
JP2015223870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2016032966A (ja) * 2014-07-31 2016-03-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原動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0731B (zh) 2021-11-30
WO2017191740A1 (ja) 2017-11-09
JP2017200787A (ja) 2017-11-09
TW201740795A (zh) 2017-12-01
KR102195667B1 (ko) 2020-12-28
KR20200022523A (ko) 2020-03-03
TWI637682B (zh) 2018-10-11
JP6612175B2 (ja) 2019-11-27
KR20180112025A (ko) 2018-10-11
CN109070731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295B2 (en) Cooling structure for a work vehicle
CN111492765B (zh) 作业机
US20230010534A1 (en) Electric work vehicle
US7931301B2 (en) Traveling vehicle
KR101050371B1 (ko) 작업차
KR102082279B1 (ko) 작업기 및 이앙기
JP2017178246A (ja) 作業車両
JP4812201B2 (ja) 移動農機
JP2000300036A (ja) 草刈り機
JP2020023317A (ja) 作業機
JP5008109B2 (ja) 田植機
JP2018172083A (ja) 水田作業機
JP4369399B2 (ja) 走行車両
JP2003291853A (ja) 作業機の機体構造
JP4739610B2 (ja) 移動農機
JP4352021B2 (ja) 走行車両
JP2008087490A (ja) 作業車
JP7445559B2 (ja) 作業車両
JP5524661B2 (ja) 作業車両
JP2003079211A (ja) 田植機
KR100963485B1 (ko) 엔진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앙기
JP2008087489A (ja) 乗用型作業車
JP2005104227A (ja) 作業車両のhst搭載装置
JP2007309267A (ja) 作業車両
JP2000354407A (ja) Hstを有する乗用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