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713B1 - 화물 적재 선박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713B1
KR102081713B1 KR1020160057090A KR20160057090A KR102081713B1 KR 102081713 B1 KR102081713 B1 KR 102081713B1 KR 1020160057090 A KR1020160057090 A KR 1020160057090A KR 20160057090 A KR20160057090 A KR 20160057090A KR 102081713 B1 KR102081713 B1 KR 102081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ull
cargo loading
sidewalls
deck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157A (ko
Inventor
임홍일
황규현
이도형
류홍렬
이병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5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63B2704/00
    • B63B27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선체와 결합된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 위치되는 데크 하우스 및 적어도 상기 데크 하우스의 하부면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싸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은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을 통해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적재 선박{CARGO LOADING SHIP}
본 발명은 화물 적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추가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주구는 선체의 갑판 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선박의 조종실이 마련되어 있고, 승무원들이 일상 생활과 업무를 하는 공간이다. 거주구는 최하층의 메인 데크(Main deck)로부터 최상층의 탑 데크(Top deck)까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컨테이너는 선체 내부 또는 해치 커버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적재되는 컨테이너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래싱 브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화물을 외포장 없이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화물의 파손이나 분실, 도난 등과 같은 수송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차, 선박 등으로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컨테이너의 수송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등장하였고, 컨테이너 선박은 수 천개에 이르는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수송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화물 적재 공간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8363호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 부유된 채 사용되는 선원들의 생활공간인 거주구와, 추진 수단으로서의 쓰러스터를 포함하며, 거주구는 평면에서 볼 때 좌우현측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쓰러스터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0927호는 선박 거주구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거주구 중심의 전방 위치에서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전방부, 거주구 중심의 후방 위치에서 전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전방부보다 큰 폭 방향 길이를 갖는 후방부 및 전방부의 단부와 후방부의 단부 사이에 마련된 측면부를 포함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선박들은 거주구 및 화물 적재 공간의 공간적 제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8363호 (2014.06.09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390927호 (2014.04.24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의 추가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을 통해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데크 하우스는 복수의 측벽들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체와 결합된 복수의 측벽들의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의 양 상단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선체와 결합된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대하여 상대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을 수 있는 벙커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벙커 스테이션은, 상기 복수의 측벽들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은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하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선박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의 각각의 표면에 위치하여, 해수의 배출을 위하여 개폐되는 배수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필라는 격벽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서로 격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 하우스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구현되어, 상기 데크 하우스의 이동을 지원하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추가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을 통해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크 하우스는 복수의 측벽들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와 결합된 복수의 측벽들의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코퍼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화물 적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측벽들(110), 데크 하우스(120), 화물 적재부(130), 선체(140) 및 래싱 브리지(1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박(100)의 양 측면에서 선체(14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에서 거주구(Accommod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40)의 상부에서 상호 대응하는 위치(즉, 각각의 전단 및 후단이 동일한 연장선상에 있음)에 배치되고, 그 상부의 데크 하우스(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양단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데크 하우스(120)의 길이(즉, 선박(100)의 선수 및 선미 길이 방향)보다 길게 형성되어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여, 데크 하우스(12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화물 적재 선박(100)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연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는 파이프 라인(145)을 통해 벙커 스테이션 및 엔진 룸(143)과 연결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크 하우스(120)의 양 측면 하부는 복수의 측벽들(110)을 향해 절곡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면들에서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층들로 구성되고 거주구의 일부 및 휠 하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화물 적재부(130)의 제1 구간에 화물(10)이 적재되는 경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화물 적재부(130)의 제2 구간에 화물(10)이 적재되는 경우 제1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적어도 데크 하우스(120)의 하면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내측면들을 통해 둘러싸이고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데크 하우스(120)의 왕복 이동을 통해 발생되는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래싱 브리지(150)에 의하여 구획된 복수의 화물 적재 공간들에 화물(10)을 적재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4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해치 커버를 통해 화물창과 분리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해치 커버 하부에 배치된 화물창이 적재를 완료하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선체(140)는 복수의 측벽들(110) 및 화물 적재부(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체(140)는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을 화물창을 통해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을 형성할 수 있다. 선체(140)는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 연료 탱크(142), 엔진 룸(143), 밸브(144) 및 파이프 라인(145)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 각각은 선체(14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화물 적재 공간들을 구획할 수 있다.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은 선체(140)를 구성하고 선체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설계되고, 화물창을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로 구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은 화물창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선박 길이 방향으로 동일 간격의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은 선체 측면, 선저면,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 및 해치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은 선저면,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 및 해치를 통해 둘러싸이고,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을 통해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은 연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와 연결되어, 선저면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라인(145)은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의 하부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는 파이프 라인(145)을 통하여 벙커 스테이션으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고, 파이프 라인(145)을 통하여 엔진 룸(143)에 연료를 제공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밸브(144)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선저면을 통하여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료 탱크(142)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및 연료의 상태에 따라 구분하여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탱크(142)는 HFO(Heavy Fuel Oil)와 같이 사용하기 전에 별도의 정제 과정이 필요한 연료를 사용할 경우 정제 유무에 따라 각각 분리하여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142)는 MGO(Marine Gas Oil)과 같이 별도의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연료를 사용할 경우 하나의 탱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연료 탱크(142)는 적어도 선체(140),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 및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료 탱크(142)는 적어도 선체(140)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 및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연료의 수용량, 화물 적재량 및 기타 설계 조건을 기초로 연료 탱크(142)를 선체(140),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 또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에 배치할 수 있다.
선체(140)는 주기관(Main Machinery, 예를 들어, 엔진) 및 보조 기관(Auxiliary Machinery, 예를 들어, 보일러 등)과 이와 관련된 구조물(예를 들어, Engine Room Casing, Fun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선체(140)는 주기관 및 보조 기관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사이에 배치되어, 화물 적재부(130)를 복수의 화물 적재 공간들로 구획하는 래싱 브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싱 브리지(150)는 화물을 고정시켜 안정적인 화물 적재를 수행할 수 있고, 화물 적재 공간을 구획하여 화물 적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래싱 브리지(15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면, 후면 또는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래싱 브리지(150)는 복수의 컬럼들(151) 및 복수의 수평 부재들(152)을 포함하여,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컬럼들(151) 및 복수의 수평 부재들(152)은 화물 적재부(130)의 내부에서 격자 무늬로 설치되어 화물 적재부(130)에 적재되는 화물들을 안전하게 고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럼들(151)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선박(10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컬럼들(151)의 연장 길이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컬럼들(151)은 화물의 적재 시에 크레인의 조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수평 부재들(152)은 복수의 컬럼들(151)의 두 개의 열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층들을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 부재들(152)은 화물 적재부(130)에 적재되는 화물의 고박을 수행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수평 부재(152)는 크로스오버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체(140)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 선저면(220), 화물창(230), 해치커버(240), 해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선체(140)의 양 측면을 구성하고, 복수의 측벽들(110)은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선체(140)를 구성하고, 복수의 측벽들(110)의 폭과 동일하거나 복수의 측벽들(110)의 폭보다 넓게 설계된 폭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하중 및 양 측으로 분산된 데크 하우스(1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그 폭이 복수의 측벽들(110)의 폭과 동일하거나 복수의 측벽들(110)의 폭보다 넓게 설계되어, 복수의 측벽들(110) 및 양 측으로 분산된 데크 하우스(12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화물 적재 선박(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와 화물창(230)은 선체(140)의 폭 방향으로 동일한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의 하부와 화물창(230)의 상부는 선체(140)의 폭 방향으로 동일한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해치 커버(240)의 상단과 해치(250)의 하단은 선체(140)의 폭 방향으로 동일한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연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를 벙커 스테이션 및 엔진 룸(143)과 연결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내부에서 선체(1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길이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을 지지하는 부분 및 그 외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선저면(220)과 함께 선체(140)를 구성할 수 있고, 복수의 측벽들(110)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해치(250)는 화물을 화물창(230)에 적재하기 위하여 선체(14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해당하고, 그 상부에 해치 커버(240)가 배치될 수 있다. 해치 커버(240)는 해치(25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화물 적재부(130)와 화물창(230)을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해치 커버(240)는 해치(250)를 개폐하는 장치로, 강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해치 커버(24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수밀이 양호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해치 커버(240)는 화물창(230)에 빗물 또는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치(250)를 밀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해치 커버(240)는 기계에 의해 작동되어 신속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해치 커버(240)는 폰툰 타입(Pontoon Type), 싱글 타입(Single Type), 폴딩 타입(Folding Type) 또는 롤링 타입(Rolling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해치 커버(240)를 열어 해치(250)를 개방하여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에 화물 적재를 완료하면, 해치 커버(240)를 닫아 해치(250)를 폐쇄하여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제1 및 제2 거주구들(121, 122), 휠 하우스(123) 및 코퍼댐(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거주구들(121, 122)은 복층으로 형성된 수평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고, 코퍼댐(260)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거주구들(121, 122)은 선원의 거주를 위한 공간에 해당하고, 그 상단에 휠 하우스(123)를 배치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화물 적재부(130)를 향하여 그 하부에 코퍼댐(260)을 형성할 수 있다. 코퍼댐(260)은 제1 및 제2 거주구들(121, 122)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코퍼댐(260)은 화물 적재부(130)를 향해 노출되며 데크 하우스(120)의 절곡과 무관하게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코퍼댐(260)은 화물 적재부(130)에서 발생한 진동 및 충격을 완충하고 데크 하우스(120)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코퍼댐(260)은 화물 적재부(130)의 화재 발생 시 열과 가스를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퍼댐(260)은 그 내부를 이중 격벽으로 구현할 수 있다. 코퍼댐(260)은 폴리우레탄이 채워진 단열재, 진공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 또는 불활성 기체를 수용하는 벽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진동 또는 소음은 코퍼댐(26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쇠(Damping)될 수 있고, 열과 가스는 코퍼댐(260)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가 ㄷ자로 구현되는 경우, 코퍼댐(260)은 데크 하우스(120)의 수평 구조 및 절곡된 구조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코퍼댐(260)은 데크 하우스(120)의 수평 구조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코퍼댐(260)은 화물 적재부(130)를 향해 노출되며 데크 하우스(120)의 절곡과 무관하게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코퍼댐(260)은 화물 적재부(130)로부터 복수의 측벽들(110)에 전달되는 진동 및 화물 적재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모두 감쇠시킬 수 있다.
코퍼댐(260)은 이중 격벽 및 지지 격벽을 포함하여 그 상단에 배치된 데크 하우스(120)와 연결되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을 수용할 수 있다. 이하, 이중 격벽 및 지지 격벽의 구성은 도 10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 상부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고, 화물 적재부(130)는 적어도 데크 하우스(120)의 하면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내측면들을 통해 둘러싸이는 화물 적재 공간과 복수의 측벽들(110) 상부의 타단에 화물을 적재하는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 적재 공간은 복수의 측벽들(110) 상부의 타단, 화물 적재 공간의 후반부의 상단 및 데크 하우스(12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화물 적재 공간에 화물 적재를 완료하고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방에 위치하면,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물 적재부(130)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후방에 위치하면 화물 적재 공간의 전반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화물 적재 공간의 전반부에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화물 적재 공간의 후반부에 화물을 적재하고,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는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이 적재되면,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 적재 공간은 데크 하우스(120)가 화물 적재 과정에서 임시로 위치하거나 화물을 추가로 적재하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 각각은 함몰된 상면(320)으로부터 화물 적재부(130)를 향하여 돌출된 브라켓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모듈(3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함몰된 상면(320)과 함께 함몰된 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측벽들(110)의 함몰된 공간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화물의 일부가 함몰된 공간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 모듈(310)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 모듈(310)은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모듈(3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함몰된 공간에 수용되는 컨테이너의 크기 또는 수량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적재부(130)에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브라켓 모듈(310)의 배치가 불필요한 경우, 브라켓 모듈(310)은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외측 하부에서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이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필라가 복수의 측벽들(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배수 공간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ㄷ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가 ㄷ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데크 하우스(120) 각각의 하단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의 절곡된 하단은 각각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데크 하우스(120)는 이동 수단을 통하여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적어도 데크 하우스(120)의 하면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싸여서 선체(140)의 상부에서의 넓이가 데크 하우스(120)의 하부에서의 넓이보다 작도록 선체(140)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측벽들(110)의 내측면의 상부가 함몰되는 경우, 화물 적재부(130)의 상부가 함몰된 공간만큼 증가하여, 데크 하우스(120)의 하부와 마주한 화물 적재 공간이 선체(140)의 상부와 마주한 화물 적재 공간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측벽들(110) 상부의 폭은 그 하부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선체(140)의 상부에서 그 하부를 향해 굴곡진 베이스(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1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그 하부의 중앙이 선체(140)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410)는 복수의 측벽들(110) 및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410)는 선박의 운항, 해수의 영향 또는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에 의하여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부분적으로 부가되는 응력을 받을 수 있고, 베이스(410)와 결합되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에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140)는 베이스(410)의 구조에 대응하여 그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베이스(410)와 결합하기 위하여 그 중앙이 경사지게 오목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베이스(410)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그 상면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길이는 선체(140)의 길이 방향으로 베이스(41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베이스(410)와 결합하는 부분 및 베이스(410)와 결합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경사지게 오목한 상면을 가지는 부분 및 수평으로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해치 코밍들(420)은 베이스(410)의 굴곡진 하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해치 코밍들(420)은 베이스(410)의 굴곡진 하부와 가까워질수록 그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해치 코밍들(420)의 측면은 베이스(410)의 굴곡진 하부를 향하여 날카로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410)의 굴곡진 하부는 선체(140)와 직접 마주할 수 있고, 베이스(410)의 하부 양단은 복수의 해치 코밍들(420)의 상단과 마주할 수 있다. 베이스(410)의 굴곡진 하부는 복수의 해치 코밍들(420)의 사이에서 선원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상면에 덕트(430)가 형성되어 있다. 덕트(430)는 선체(140)와 데크 하우스(120) 간에 연결된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의 연결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덕트(43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의 고정된 연결 통로에 해당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가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데크 하우스(120)의 후방에 덕트(430)가 위치할 수 있고, 데크 하우스(120)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데크 하우스(120)의 전방에 덕트(430)가 위치할 수 있다.
덕트(430)는 선체(140)와 데크 하우스(120) 간에 연결된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을 그 내부에서 감쌀 수 있다. 즉, 덕트(430)는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과 무관하게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을 데크 하우스(120)와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데크 하우스(120)는 그 이동 과정에서 덕트(430)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기 위하여, 덕트(430)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물 적재부(130)는 데크 하우스(120)의 왕복을 통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구현되어,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지원하는 이동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레일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동륜은 데크 하우스(120)의 양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동륜이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 수단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데크 하우스(120)를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물 적재 선박(100)은 동작 인식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센서는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 과정에서 데크 하우스(120)의 어긋남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센서는 데크 하우스(120)에서의 모니터링을 통해 제어될 수 있고, 데크 하우스(120)의 이탈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인식 센서는 레이저 센서로 구현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에 레이저를 송신한 후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면 복수의 측벽들(110)이 어긋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레이저를 수신하지 않으면 복수의 측벽들(110)이 어긋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는 화물 적재부(130)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제2 위치(540)로 이동하고, 화물 적재부(130)의 제2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제1 위치(5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데크 하우스(120)이 이동에 따른 화물 적재 과정은 도 11과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덕트(43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의 고정된 연결 통로에 해당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가 제1 위치(530)로 이동하는 경우 데크 하우스(120)의 후방에 덕트(430)가 위치할 수 있고, 데크 하우스(120)가 제2 위치(540)로 이동하는 경우 데크 하우스(120)의 전방에 덕트(430)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덕트(430)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을 감싸고 그 경로를 안내하는 드래그 체인(51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드래그 체인(510)은 그 내부를 통과하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관 라인은 데크 하우스(120)의 왕복 이동 시 형상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은 선체(140)로부터 복수의 측벽들(110)을 거쳐서 데크 하우스(1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드래그 체인(510)은 선체(140),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120)를 그 내부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에 종속하여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나, 형상의 변경과 무관하게 선체(140),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120)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 하우스(120)가 왕복 이동하는 경우,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의 분리가 불필요하다.
드래그 체인(510)은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511), 복수의 배선 지지 부재들(512) 및 복수의 롤러들(5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래그 체인(510)은 적어도 두 개의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결합홀들은 연결 부재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홀 및 연결 부재를 통한 결합으로 드래그 체인(510)은 상호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의 복수의 결합홀들 중 일부는 롤러(513)와 결합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511) 중에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들(511a, 511b)은 모두 롤러(513)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특정 링크 플레이트에 대하여 해당 링크 플레이트(511a)가 롤러(513)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링크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링크 플레이트(511b)도 롤러(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들(511a, 511b)은 대향하고 있으며,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511)을 연결하는 복수의 배선 지지 부재들(512)도 대향할 수 있다. 대향하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511) 및 복수의 배선 지지 부재들(512)을 통하여 드래그 체인(510)은 폐루프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폐루프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배선 그룹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선 그룹은 동일한 용도의 배선 별로 그룹을 지은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롤러들(513)은 롤러 가이드(520)를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고, 복수의 롤러들(513) 및 롤러 가이드(520)는 복수의 배선 수용 부재들(512)이 받는 하중을 복수의 롤러들(513) 및 롤러 가이드(520)에 분산시킬 수 있다. 롤러 가이드(520)는 복수의 측벽들(110) 내부의 양 측면에서 상호 대향하여 결합되고 복수의 롤러들(513)의 이동 방향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체인(510)은 상호 링크 결합되어 덕트(430)와 연결되고, 그 양면에 복수의 롤러들이 결합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은 복수의 단으로 결합되어, 복수의 롤러들에 의하여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은 덕트(430)에 의하여 그 일단이 고정될 수 있으나, 다른 일단이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에 종속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화물 적재부(130) 및 화물창(230)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b는 복수의 단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래싱 브리지(150)는 크로스오버 통로(610) 및 에어 록(620)을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 오버 통로(61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래싱 브리지(150)의 수평 부재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선체(140) 및 데크 하우스(12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선체(14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의 일부 지점에 연결될 수 있고, 선원의 이동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래싱 브리지(1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크로스오버 통로(610)의 개수 및 배치는 화물 적재부(130)의 크기 및 화물 적재 상황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적어도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면, 후면 또는 내측면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화물 적재부(130)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관리 제어 공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래싱 브리지(150)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화물 적재 상황을 효율적으로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제어 공간은 제1 및 제2 거주구들(121, 122), 휠 하우스(123) 또는 기타 편의 시설과 통신을 수행하여, 화물 적재 상황을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제어 공간은 화물 적재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콘솔을 포함할 수 있다. 콘솔은 화물 적재부(130)의 전반적인 화물 적재 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콘솔은 화물 적재부(130)에 비상 상황이 발생하거나 화물 적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알람이나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솔은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직접 제어하거나,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복수의 측벽들(110) 중 하나의 내측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에어 록(Air Lock)(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 록(620)은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크로스오버 통로(610)를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로 구현될 수 있다.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에어 록(620)에 의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에어 록(620)은 출입구 등을 이중문인 제1 출입문(620a), 제2 출입문(620b)으로 하여 양쪽 문이 동시에 열리지 않도록 설계하여 거주구 내외의 압력차를 유지하여 문 개방시 급속한 공기의 유출입을 막아 악조건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안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b에서,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복수의 단들(2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 하부의 폭은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 상부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화물창(230)의 폭 방향의 길이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폭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폭이 넓어지면, 화물창(230)의 폭 방향의 길이는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화물창(230) 상부의 폭은 화물창(230) 하부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데크 하우스(120)가 제2 위치(540)로 이동하면(또는, 데크 하우스(120)가 선박(100)의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화물창(230)의 제1 구간의 상부에 위치된 해치 커버(240)에 의하여 해치(250)가 개방되고, 화물이 크레인을 통하여 화물창(230)의 제1 구간에 적재될 수 있다. 이하, 화물 적재부(130) 및 화물창(230)의 제1 구간은 화물 적재부(130) 및 화물창(230)의 전반부를 의미하고, 화물 적재부(130) 및 화물창(230)의 제2 구간은 화물 적재부(130) 및 화물창(230)의 후반부를 의미한다. 화물창(230)의 제1 구간에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그 상부에 위치된 해치(250)가 폐쇄되고, 화물 적재부(130)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면, 데크 하우스(120)가 제1 위치(530)로 이동할 수 있다(또는, 데크 하우스(120)가 선박(100)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가 제1 위치(530)로 이동하면, 화물창(230)의 제2 구간의 상부에 위치된 해치(250)가 개방되고, 화물이 크레인을 통하여 화물창(230)의 제2 구간에 적재될 수 있다. 화물창(230)의 제2 구간에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그 상부에 위치된 해치(250)가 폐쇄되고, 화물 적재부(130)의 제2 구간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제2 구간에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측벽들(110) 상부의 타단, 화물 적재 공간의 제2 구간의 상단 및 데크 하우스(120)의 후방에 화물이 추가로 적재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이 적재되면,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 하우스(120)는 크레인의 화물 적재 작업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이동되고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710, 720)의 상단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b는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710, 720)의 상단에 화물(10)이 적재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선체(140)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710, 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해치 커버들(710)은 선체(140)의 상부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해치 커버들(7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과 무관하게 개폐될 수 있다. 선체(140)의 하부 공간에 화물 적재를 완료하면, 제1 해치 커버들(710)이 폐쇄되어 선체(140)의 상부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제2 해치 커버들(720)은 선체(140)의 상부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해치 커버들(710)보다 적은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해치 커버들(72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면에 배치된 제1 해치 커버들(710)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후면에 배치된 제1 해치 커버들(7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710, 720)의 개수 차이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폭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 배치된 제2 해치 커버들(720)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방에 배치된 제1 해치 커버들(710)의 개수 또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110)의 후방에 배치된 제1 해치 커버들(710)의 개수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해치 커버들(720)은 도 2에 있는 해치 커버(24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2 해치 커버들(720)은 데크 하우스(120)의 위치 및 화물창(230)의 화물 적재 상황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제2 해치 커버들(720)을 개방하여 화물창(230)에 화물 적재를 완료하면, 제2 해치 커버들(720)을 폐쇄하여 제2 해치 커버들(720)의 상단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제1 래싱 브리지(73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래싱 브리지(73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단 및 후단의 화물 적재 공간들을 구획할 수 있다. 제1 래싱 브리지(73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단 및 후단에 적재되는 화물들을 고정시켜 안정적인 화물 적재를 수행할 수 있고, 화물 적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2 래싱 브리지(74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래싱 브리지(730)보다 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래싱 브리지(740)는 화물 적재부(130) 내에 배치되어, 화물 적재부(130)를 복수의 화물 적재 공간들로 구획할 수 있다. 즉, 제2 래싱 브리지(74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구조에 의하여 제1 래싱 브리지(730)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래싱 브리지(740)은 도 1에 있는 래싱 브리지(15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2 래싱 브리지(74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그 양단이 복수의 측벽들(110)에 고정되는 크로스오버 통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면, 후면 또는 내측면에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록(6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해치 코밍들(8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일단이 각각 함몰되어 그 사이에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해치 코밍들(810)은 서로 대향하는 일단이 경사지게 함몰되어, 화물창(230)에 빗물 또는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치(250)를 밀봉할 수 있고, 그 상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해치 코밍들(810)의 다른 일단은 그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외측면들 각각에 벙커 스테이션(820)을 형성할 수 있다. 벙커 스테이션(820)은 복수의 측벽들(110)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벙커 스테이션(820)은 외부의 선박 또는 연료 공급원으로부터 공급 받은 연료를 연료 탱크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 각각은 그 외측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해치 코밍들(810)에 의하여 형성된 이동 통로와 연결되는 출입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구(830)와 연결되는 이동 통로는 선체(140)의 외측과 연결되어 화물 적재 선박(100)의 운항 상황을 용이하게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다. 출입구(830)와 이동 통로는 선원들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외측면의 하부가 함몰될 수 있고,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필라(Support Pillar)(8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필라(840)는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필라(840)는 복수의 측벽들(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거나, 복수의 측벽들(110)의 부분별 하중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40)와 결합된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920)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필라(9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거나, 복수의 측벽들(110)의 부분별 하중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필라(920)는 도 8의 지지 필라(840)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필라(920)는 격벽의 형태로 구현되어,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을 서로 격리할 수 있다. 외부 필라(920)가 격벽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을 분할하고 복수의 측벽들(110)에 대한 지지를 강화할 수 있다.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하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측벽들(110)에 유입되는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이 악화되거나 선박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수가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120)에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은 유입된 해수를 배출하여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고, 안전을 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의 각각의 표면에 위치하여, 해수의 배출을 위하여 개폐되는 배수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커버는 해수의 배출 시에 개방되고, 이외의 상황에는 폐쇄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을 수 있는 벙커 스테이션(9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9의 벙커 스테이션(930)은 도 8의 벙커 스테이션(820)과 동일한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내부에 저장된 연료를 모두 소모하거나, 추후 선박의 운항을 위하여 벙커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화물 적재 선박(100)은 외부의 선박 또는 연료 공급원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벙커 스테이션(820)이 복수의 측벽들(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벙커 스테이션(820)은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9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벙커 스테이션(820)은 복수의 측벽들(110) 및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을 통해 선저면(220)의 파이프 라인(145)과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벙커 스테이션(820)을 통해 공급받은 연료를 연료 탱크(142)에 저장하고, 엔진 룸(143)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외측에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 및 벙커 스테이션(820)을 포함하여,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데크 하우스(120)를 지지하고,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사이에 화물 적재부(130)를 형성하여 화물 적재 공간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박의 운항 및 유지에 필요한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 및 벙커 스테이션(820)을 배치하여 선박의 안전을 강화하고 연료의 공급 및 수요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내부에 거주구의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주구 및 벙커 스테이션(820)의 배치는 서로 일정 거리를 확보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 라인(145)은 벙커 스테이션(820)으로부터 복수의 연료 탱크들까지 최단 거리를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파이프 라인(145)은 벙커 스테이션(82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는 라인과 복수의 연료 탱크들에 연료를 공급하는 라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료 탱크(142)는 복수의 연료 카트리지들로 구현되어,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료 카트리지들은 선박의 운항에 사용되는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연료 카트리지들에 연료가 충분한 경우, 벙커 스테이션(820)을 통한 연료 공급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복수의 연료 카트리지들은 교환이 가능하도록 적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전면 및 후면의 상단에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멈추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9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940)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제2 위치에서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또한, 스토퍼(940)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면, 제1 위치에서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스토퍼(940)에 의하여 이동 범위가 한정되어 제1 및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데크 하우스 하부의 코퍼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코퍼댐(260)은 이중 격벽(262) 및 지지 격벽(2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 격벽(262)은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120) 간의 진동, 소음 또는 화재의 열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이중 격벽(262)은 데크 하우스(120)의 수평 구조물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중 격벽(262)의 상단은 데크 하우스(120)의 수평 구조물의 하단과 마주하고, 이중 격벽(262)의 하단은 화물 적재부(130)의 상단과 마주할 수 있다. 이중 격벽(262)은 그 사이에 지지 격벽(264) 및 지지 격벽(264)을 통과하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격벽(264)은 이중 격벽(262)의 사이에 격자 구조로 배치되어 데크 하우스(1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격벽(264)은 데크 하우스(120)를 지지하기 위하여 이중 격벽(262)의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격벽(264)은 배선 또는 배관 라인(20)이 통과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선 또는 배관 라인(20)은 지지 격벽(264)을 통과하여 데크 하우스(1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화물 적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크레인을 통해 현재 데크 하우스(120)의 위치를 제외한 복수의 화물창들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a).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화물창들에 화물이 적재된 후 선체(140)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b).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c). 화물 적재 선박(100)은 크레인을 통해 제1 위치의 화물창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d). 화물 적재 선박(100)은 제1 위치의 화물창에 화물이 적재된 후 선체(140)의 그 상부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e).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복수의 측벽들 120: 데크 하우스
121, 122: 제1 및 제2 거주구들 123: 휠 하우스
130: 화물 적재부 140: 선체
141: 복수의 벌크 헤드들 142: 연료 탱크
143: 엔진 룸 144: 밸브
145: 파이프 라인 150: 래싱 브리지
151: 복수의 컬럼들 152: 복수의 수평 부재들
210: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 220: 선저면
230: 화물창 240: 해치 커버
250: 해치 260: 코퍼댐
262: 이중 격벽 264: 지지 격벽
310: 브라켓 모듈 410: 베이스
420: 복수의 해치 코밍들 430: 덕트
510: 드래그 체인 511: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
512: 복수의 배선 지지 부재들 513: 복수의 롤러들
520: 롤러 가이드
610: 크로스오버 통로 620: 에어 록
710, 720: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
730, 740: 제1 및 제2 래싱 브리지들
810: 복수의 해치 코밍들 820: 벙커 스테이션
830: 출입구 840: 지지 필라
910: 복수의 배수 공간들 920: 외부 필라
930: 벙커 스테이션 940: 스토퍼
10: 화물 20: 배선 또는 배관 라인

Claims (8)

  1. 선체의 양 상단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선체와 결합된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대하여 상대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을 수 있는 벙커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벙커 스테이션은, 상기 복수의 측벽들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에 의하여 지지되는 화물 적재 선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은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하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선박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의 각각의 표면에 위치하여, 해수의 배출을 위하여 개폐되는 배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필라는
    격벽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서로 격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하우스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구현되어, 상기 데크 하우스의 이동을 지원하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57090A 2015-10-30 2016-05-10 화물 적재 선박 KR102081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1902 2015-10-30
KR1020150151902 2015-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157A KR20170051157A (ko) 2017-05-11
KR102081713B1 true KR102081713B1 (ko) 2020-02-26

Family

ID=58741887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354A KR101735601B1 (ko) 2015-10-30 2016-04-20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48356A KR101735603B1 (ko) 2015-10-30 2016-04-20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48349A KR101732094B1 (ko) 2015-10-30 2016-04-20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57090A KR102081713B1 (ko) 2015-10-30 2016-05-10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57091A KR101807542B1 (ko) 2015-10-30 2016-05-10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57093A KR20170051159A (ko) 2015-10-30 2016-05-10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73358A KR102150304B1 (ko) 2015-10-30 2016-06-13 화물 적재 선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354A KR101735601B1 (ko) 2015-10-30 2016-04-20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48356A KR101735603B1 (ko) 2015-10-30 2016-04-20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48349A KR101732094B1 (ko) 2015-10-30 2016-04-20 화물 적재 선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091A KR101807542B1 (ko) 2015-10-30 2016-05-10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57093A KR20170051159A (ko) 2015-10-30 2016-05-10 화물 적재 선박
KR1020160073358A KR102150304B1 (ko) 2015-10-30 2016-06-13 화물 적재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1735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758A (ko) 2020-04-29 2021-1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용 선수 및 선미의 컨테이너 적재량 증가방법
CN113715960A (zh) * 2021-09-18 2021-11-30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上层建筑
CN113665731B (zh) * 2021-09-22 2022-07-2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上层建筑移动结构及集装箱船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793B2 (ja) * 1993-07-05 2002-12-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船の居住区構造
KR20100073587A (ko) * 2008-12-23 2010-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
KR101122776B1 (ko) 2009-08-19 2012-04-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휠 하우스가 구비된 선박
KR101390927B1 (ko) 2012-05-04 2014-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거주구
KR101985451B1 (ko) 2012-11-28 2019-06-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101693366B1 (ko) * 2013-12-10 2017-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634150B1 (ko) * 2014-02-11 2016-06-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304B1 (ko) 2020-09-02
KR20170051151A (ko) 2017-05-11
KR20170051152A (ko) 2017-05-11
KR20170051159A (ko) 2017-05-11
KR101735603B1 (ko) 2017-05-29
KR20170051157A (ko) 2017-05-11
KR101807542B1 (ko) 2017-12-12
KR101735601B1 (ko) 2017-05-16
KR20170051162A (ko) 2017-05-11
KR20170051158A (ko) 2017-05-11
KR101732094B1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713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80011343A (ko) 액화가스 저장설비를 구비한 부체 구조물 및 그 설계 방법
JP6122608B2 (ja) 潜在的な危険性を持つ液体製品の移送のためのゾーンが設けられた船
JP2018030467A (ja) バラ積み船
KR101704434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TW202335903A (zh) 貨櫃堆疊協助裝置、具有貨櫃堆疊協助裝置的貨櫃載具及裝載/卸載貨櫃的方法
KR101280491B1 (ko) 컨테이너선용 래싱 브리지
KR20170137443A (ko) 화물 적재 선박
KR102027907B1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552925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20150067716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20130041541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KR20120012869A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KR102166802B1 (ko) 탱커 건조 방법
KR101668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609659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Roh et al. General Arrangement Design
KR20130045962A (ko) 셀가이드 지지부재
KR20150133104A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20012707A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KR20150133102A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