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713B1 - 화물 적재 선박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1713B1 KR102081713B1 KR1020160057090A KR20160057090A KR102081713B1 KR 102081713 B1 KR102081713 B1 KR 102081713B1 KR 1020160057090 A KR1020160057090 A KR 1020160057090A KR 20160057090 A KR20160057090 A KR 20160057090A KR 102081713 B1 KR102081713 B1 KR 1020817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go
- hull
- cargo loading
- sidewalls
- deck hou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 B63B2704/00—
-
- B63B27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의 양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선체와 결합된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 위치되는 데크 하우스 및 적어도 상기 데크 하우스의 하부면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싸이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물 적재 선박은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을 통해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 적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추가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주구는 선체의 갑판 위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선박의 조종실이 마련되어 있고, 승무원들이 일상 생활과 업무를 하는 공간이다. 거주구는 최하층의 메인 데크(Main deck)로부터 최상층의 탑 데크(Top deck)까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선원들이 거주할 수 있는 선실, 조타실, 제어실, 기타 편의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컨테이너를 운송하기 위한 선박으로서, 컨테이너는 선체 내부 또는 해치 커버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적재되는 컨테이너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래싱 브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화물을 외포장 없이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화물의 파손이나 분실, 도난 등과 같은 수송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차, 선박 등으로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컨테이너의 수송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등장하였고, 컨테이너 선박은 수 천개에 이르는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은 수송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화물 적재 공간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8363호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 부유된 채 사용되는 선원들의 생활공간인 거주구와, 추진 수단으로서의 쓰러스터를 포함하며, 거주구는 평면에서 볼 때 좌우현측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쓰러스터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0927호는 선박 거주구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거주구 중심의 전방 위치에서 선박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전방부, 거주구 중심의 후방 위치에서 전방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며, 전방부보다 큰 폭 방향 길이를 갖는 후방부 및 전방부의 단부와 후방부의 단부 사이에 마련된 측면부를 포함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선박들은 거주구 및 화물 적재 공간의 공간적 제약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의 추가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을 통해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데크 하우스는 복수의 측벽들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체와 결합된 복수의 측벽들의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의 양 상단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선체와 결합된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대하여 상대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을 수 있는 벙커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벙커 스테이션은, 상기 복수의 측벽들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은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하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선박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의 각각의 표면에 위치하여, 해수의 배출을 위하여 개폐되는 배수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필라는 격벽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서로 격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크 하우스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구현되어, 상기 데크 하우스의 이동을 지원하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추가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데크 하우스와 복수의 측벽들을 통해 형성된 화물 적재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크 하우스는 복수의 측벽들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은 선체와 결합된 복수의 측벽들의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코퍼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화물 적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코퍼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화물 적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측벽들(110), 데크 하우스(120), 화물 적재부(130), 선체(140) 및 래싱 브리지(1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박(100)의 양 측면에서 선체(14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되고, 적어도 일부에서 거주구(Accommod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40)의 상부에서 상호 대응하는 위치(즉, 각각의 전단 및 후단이 동일한 연장선상에 있음)에 배치되고, 그 상부의 데크 하우스(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양단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데크 하우스(120)의 길이(즉, 선박(100)의 선수 및 선미 길이 방향)보다 길게 형성되어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여, 데크 하우스(12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화물 적재 선박(100)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길이 및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연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는 파이프 라인(145)을 통해 벙커 스테이션 및 엔진 룸(143)과 연결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크 하우스(120)의 양 측면 하부는 복수의 측벽들(110)을 향해 절곡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면들에서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층들로 구성되고 거주구의 일부 및 휠 하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화물 적재부(130)의 제1 구간에 화물(10)이 적재되는 경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화물 적재부(130)의 제2 구간에 화물(10)이 적재되는 경우 제1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적어도 데크 하우스(120)의 하면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내측면들을 통해 둘러싸이고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데크 하우스(120)의 왕복 이동을 통해 발생되는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래싱 브리지(150)에 의하여 구획된 복수의 화물 적재 공간들에 화물(10)을 적재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선체(14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해치 커버를 통해 화물창과 분리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해치 커버 하부에 배치된 화물창이 적재를 완료하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선체(140)는 복수의 측벽들(110) 및 화물 적재부(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체(140)는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을 화물창을 통해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을 형성할 수 있다. 선체(140)는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 연료 탱크(142), 엔진 룸(143), 밸브(144) 및 파이프 라인(145)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 각각은 선체(14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화물 적재 공간들을 구획할 수 있다.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은 선체(140)를 구성하고 선체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설계되고, 화물창을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로 구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은 화물창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선박 길이 방향으로 동일 간격의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은 선체 측면, 선저면,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 및 해치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은 선저면,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 및 해치를 통해 둘러싸이고,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을 통해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은 연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와 연결되어, 선저면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라인(145)은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의 하부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는 파이프 라인(145)을 통하여 벙커 스테이션으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고, 파이프 라인(145)을 통하여 엔진 룸(143)에 연료를 제공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밸브(144)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선저면을 통하여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료 탱크(142)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및 연료의 상태에 따라 구분하여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탱크(142)는 HFO(Heavy Fuel Oil)와 같이 사용하기 전에 별도의 정제 과정이 필요한 연료를 사용할 경우 정제 유무에 따라 각각 분리하여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탱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142)는 MGO(Marine Gas Oil)과 같이 별도의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연료를 사용할 경우 하나의 탱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연료 탱크(142)는 적어도 선체(140),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 및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료 탱크(142)는 적어도 선체(140)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 및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연료의 수용량, 화물 적재량 및 기타 설계 조건을 기초로 연료 탱크(142)를 선체(140),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 또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에 배치할 수 있다.
선체(140)는 주기관(Main Machinery, 예를 들어, 엔진) 및 보조 기관(Auxiliary Machinery, 예를 들어, 보일러 등)과 이와 관련된 구조물(예를 들어, Engine Room Casing, Fun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선체(140)는 주기관 및 보조 기관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사이에 배치되어, 화물 적재부(130)를 복수의 화물 적재 공간들로 구획하는 래싱 브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싱 브리지(150)는 화물을 고정시켜 안정적인 화물 적재를 수행할 수 있고, 화물 적재 공간을 구획하여 화물 적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래싱 브리지(15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면, 후면 또는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래싱 브리지(150)는 복수의 컬럼들(151) 및 복수의 수평 부재들(152)을 포함하여,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컬럼들(151) 및 복수의 수평 부재들(152)은 화물 적재부(130)의 내부에서 격자 무늬로 설치되어 화물 적재부(130)에 적재되는 화물들을 안전하게 고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럼들(151)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선박(10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컬럼들(151)의 연장 길이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컬럼들(151)은 화물의 적재 시에 크레인의 조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수평 부재들(152)은 복수의 컬럼들(151)의 두 개의 열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층들을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 부재들(152)은 화물 적재부(130)에 적재되는 화물의 고박을 수행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수평 부재(152)는 크로스오버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체(140)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 선저면(220), 화물창(230), 해치커버(240), 해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선체(140)의 양 측면을 구성하고, 복수의 측벽들(110)은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선체(140)를 구성하고, 복수의 측벽들(110)의 폭과 동일하거나 복수의 측벽들(110)의 폭보다 넓게 설계된 폭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하중 및 양 측으로 분산된 데크 하우스(1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그 폭이 복수의 측벽들(110)의 폭과 동일하거나 복수의 측벽들(110)의 폭보다 넓게 설계되어, 복수의 측벽들(110) 및 양 측으로 분산된 데크 하우스(12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화물 적재 선박(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와 화물창(230)은 선체(140)의 폭 방향으로 동일한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의 하부와 화물창(230)의 상부는 선체(140)의 폭 방향으로 동일한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해치 커버(240)의 상단과 해치(250)의 하단은 선체(140)의 폭 방향으로 동일한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연료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를 벙커 스테이션 및 엔진 룸(143)과 연결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내부에서 선체(1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길이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을 지지하는 부분 및 그 외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선저면(220)과 함께 선체(140)를 구성할 수 있고, 복수의 측벽들(110)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해치(250)는 화물을 화물창(230)에 적재하기 위하여 선체(14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해당하고, 그 상부에 해치 커버(240)가 배치될 수 있다. 해치 커버(240)는 해치(25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화물 적재부(130)와 화물창(230)을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해치 커버(240)는 해치(250)를 개폐하는 장치로, 강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해치 커버(24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수밀이 양호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해치 커버(240)는 화물창(230)에 빗물 또는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치(250)를 밀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해치 커버(240)는 기계에 의해 작동되어 신속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해치 커버(240)는 폰툰 타입(Pontoon Type), 싱글 타입(Single Type), 폴딩 타입(Folding Type) 또는 롤링 타입(Rolling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해치 커버(240)를 열어 해치(250)를 개방하여 복수의 선체 화물 적재 공간들에 화물 적재를 완료하면, 해치 커버(240)를 닫아 해치(250)를 폐쇄하여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제1 및 제2 거주구들(121, 122), 휠 하우스(123) 및 코퍼댐(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거주구들(121, 122)은 복층으로 형성된 수평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고, 코퍼댐(260)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거주구들(121, 122)은 선원의 거주를 위한 공간에 해당하고, 그 상단에 휠 하우스(123)를 배치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화물 적재부(130)를 향하여 그 하부에 코퍼댐(260)을 형성할 수 있다. 코퍼댐(260)은 제1 및 제2 거주구들(121, 122)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코퍼댐(260)은 화물 적재부(130)를 향해 노출되며 데크 하우스(120)의 절곡과 무관하게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코퍼댐(260)은 화물 적재부(130)에서 발생한 진동 및 충격을 완충하고 데크 하우스(120)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코퍼댐(260)은 화물 적재부(130)의 화재 발생 시 열과 가스를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퍼댐(260)은 그 내부를 이중 격벽으로 구현할 수 있다. 코퍼댐(260)은 폴리우레탄이 채워진 단열재, 진공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 또는 불활성 기체를 수용하는 벽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진동 또는 소음은 코퍼댐(26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쇠(Damping)될 수 있고, 열과 가스는 코퍼댐(260)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가 ㄷ자로 구현되는 경우, 코퍼댐(260)은 데크 하우스(120)의 수평 구조 및 절곡된 구조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코퍼댐(260)은 데크 하우스(120)의 수평 구조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코퍼댐(260)은 화물 적재부(130)를 향해 노출되며 데크 하우스(120)의 절곡과 무관하게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코퍼댐(260)은 화물 적재부(130)로부터 복수의 측벽들(110)에 전달되는 진동 및 화물 적재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모두 감쇠시킬 수 있다.
코퍼댐(260)은 이중 격벽 및 지지 격벽을 포함하여 그 상단에 배치된 데크 하우스(120)와 연결되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을 수용할 수 있다. 이하, 이중 격벽 및 지지 격벽의 구성은 도 10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 상부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고, 화물 적재부(130)는 적어도 데크 하우스(120)의 하면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내측면들을 통해 둘러싸이는 화물 적재 공간과 복수의 측벽들(110) 상부의 타단에 화물을 적재하는 추가 적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 적재 공간은 복수의 측벽들(110) 상부의 타단, 화물 적재 공간의 후반부의 상단 및 데크 하우스(12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화물 적재 공간에 화물 적재를 완료하고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방에 위치하면,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물 적재부(130)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후방에 위치하면 화물 적재 공간의 전반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화물 적재 공간의 전반부에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화물 적재 공간의 후반부에 화물을 적재하고,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는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이 적재되면,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 적재 공간은 데크 하우스(120)가 화물 적재 과정에서 임시로 위치하거나 화물을 추가로 적재하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 각각은 함몰된 상면(320)으로부터 화물 적재부(130)를 향하여 돌출된 브라켓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모듈(3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함몰된 상면(320)과 함께 함몰된 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측벽들(110)의 함몰된 공간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화물의 일부가 함몰된 공간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 모듈(310)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 모듈(310)은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모듈(3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함몰된 공간에 수용되는 컨테이너의 크기 또는 수량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적재부(130)에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브라켓 모듈(310)의 배치가 불필요한 경우, 브라켓 모듈(310)은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외측 하부에서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이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필라가 복수의 측벽들(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배수 공간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ㄷ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가 ㄷ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데크 하우스(120) 각각의 하단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의 절곡된 하단은 각각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데크 하우스(120)는 이동 수단을 통하여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적어도 데크 하우스(120)의 하면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대향면들을 통해 둘러싸여서 선체(140)의 상부에서의 넓이가 데크 하우스(120)의 하부에서의 넓이보다 작도록 선체(140)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측벽들(110)의 내측면의 상부가 함몰되는 경우, 화물 적재부(130)의 상부가 함몰된 공간만큼 증가하여, 데크 하우스(120)의 하부와 마주한 화물 적재 공간이 선체(140)의 상부와 마주한 화물 적재 공간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측벽들(110) 상부의 폭은 그 하부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선체(140)의 상부에서 그 하부를 향해 굴곡진 베이스(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1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그 하부의 중앙이 선체(140)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410)는 복수의 측벽들(110) 및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410)는 선박의 운항, 해수의 영향 또는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에 의하여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부분적으로 부가되는 응력을 받을 수 있고, 베이스(410)와 결합되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에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140)는 베이스(410)의 구조에 대응하여 그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베이스(410)와 결합하기 위하여 그 중앙이 경사지게 오목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베이스(410)와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그 상면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길이는 선체(140)의 길이 방향으로 베이스(41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베이스(410)와 결합하는 부분 및 베이스(410)와 결합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경사지게 오목한 상면을 가지는 부분 및 수평으로 형성된 상면을 가지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해치 코밍들(420)은 베이스(410)의 굴곡진 하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해치 코밍들(420)은 베이스(410)의 굴곡진 하부와 가까워질수록 그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해치 코밍들(420)의 측면은 베이스(410)의 굴곡진 하부를 향하여 날카로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410)의 굴곡진 하부는 선체(140)와 직접 마주할 수 있고, 베이스(410)의 하부 양단은 복수의 해치 코밍들(420)의 상단과 마주할 수 있다. 베이스(410)의 굴곡진 하부는 복수의 해치 코밍들(420)의 사이에서 선원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상면에 덕트(430)가 형성되어 있다. 덕트(430)는 선체(140)와 데크 하우스(120) 간에 연결된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의 연결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덕트(43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의 고정된 연결 통로에 해당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가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데크 하우스(120)의 후방에 덕트(430)가 위치할 수 있고, 데크 하우스(120)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데크 하우스(120)의 전방에 덕트(430)가 위치할 수 있다.
덕트(430)는 선체(140)와 데크 하우스(120) 간에 연결된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을 그 내부에서 감쌀 수 있다. 즉, 덕트(430)는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과 무관하게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을 데크 하우스(120)와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데크 하우스(120)는 그 이동 과정에서 덕트(430)에 의한 장애를 받지 않기 위하여, 덕트(430)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물 적재부(130)는 데크 하우스(120)의 왕복을 통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구현되어,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지원하는 이동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레일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고, 동륜은 데크 하우스(120)의 양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동륜이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 수단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데크 하우스(120)를 선박(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물 적재 선박(100)은 동작 인식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센서는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 과정에서 데크 하우스(120)의 어긋남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센서는 데크 하우스(120)에서의 모니터링을 통해 제어될 수 있고, 데크 하우스(120)의 이탈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인식 센서는 레이저 센서로 구현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에 레이저를 송신한 후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면 복수의 측벽들(110)이 어긋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레이저를 수신하지 않으면 복수의 측벽들(110)이 어긋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 하우스(120)는 화물 적재부(130)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제2 위치(540)로 이동하고, 화물 적재부(130)의 제2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제1 위치(5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데크 하우스(120)이 이동에 따른 화물 적재 과정은 도 11과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덕트(43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의 고정된 연결 통로에 해당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가 제1 위치(530)로 이동하는 경우 데크 하우스(120)의 후방에 덕트(430)가 위치할 수 있고, 데크 하우스(120)가 제2 위치(540)로 이동하는 경우 데크 하우스(120)의 전방에 덕트(430)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덕트(430)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을 감싸고 그 경로를 안내하는 드래그 체인(51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드래그 체인(510)은 그 내부를 통과하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관 라인은 데크 하우스(120)의 왕복 이동 시 형상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은 선체(140)로부터 복수의 측벽들(110)을 거쳐서 데크 하우스(1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드래그 체인(510)은 선체(140),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120)를 그 내부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에 종속하여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나, 형상의 변경과 무관하게 선체(140),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120)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 하우스(120)가 왕복 이동하는 경우, 배선 또는 배관 라인의 분리가 불필요하다.
드래그 체인(510)은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511), 복수의 배선 지지 부재들(512) 및 복수의 롤러들(51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래그 체인(510)은 적어도 두 개의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결합홀들은 연결 부재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홀 및 연결 부재를 통한 결합으로 드래그 체인(510)은 상호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의 복수의 결합홀들 중 일부는 롤러(513)와 결합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511) 중에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들(511a, 511b)은 모두 롤러(513)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특정 링크 플레이트에 대하여 해당 링크 플레이트(511a)가 롤러(513)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링크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링크 플레이트(511b)도 롤러(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들(511a, 511b)은 대향하고 있으며,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511)을 연결하는 복수의 배선 지지 부재들(512)도 대향할 수 있다. 대향하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511) 및 복수의 배선 지지 부재들(512)을 통하여 드래그 체인(510)은 폐루프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폐루프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배선 그룹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배선 그룹은 동일한 용도의 배선 별로 그룹을 지은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롤러들(513)은 롤러 가이드(520)를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고, 복수의 롤러들(513) 및 롤러 가이드(520)는 복수의 배선 수용 부재들(512)이 받는 하중을 복수의 롤러들(513) 및 롤러 가이드(520)에 분산시킬 수 있다. 롤러 가이드(520)는 복수의 측벽들(110) 내부의 양 측면에서 상호 대향하여 결합되고 복수의 롤러들(513)의 이동 방향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드래그 체인(510)은 상호 링크 결합되어 덕트(430)와 연결되고, 그 양면에 복수의 롤러들이 결합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은 복수의 단으로 결합되어, 복수의 롤러들에 의하여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드래그 체인(510)은 덕트(430)에 의하여 그 일단이 고정될 수 있으나, 다른 일단이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에 종속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화물 적재부(130) 및 화물창(230)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b는 복수의 단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래싱 브리지(150)는 크로스오버 통로(610) 및 에어 록(620)을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 오버 통로(61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래싱 브리지(150)의 수평 부재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선체(140) 및 데크 하우스(12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선체(14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의 일부 지점에 연결될 수 있고, 선원의 이동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래싱 브리지(1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크로스오버 통로(610)의 개수 및 배치는 화물 적재부(130)의 크기 및 화물 적재 상황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적어도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면, 후면 또는 내측면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화물 적재부(130)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관리 제어 공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래싱 브리지(150)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화물 적재 상황을 효율적으로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제어 공간은 제1 및 제2 거주구들(121, 122), 휠 하우스(123) 또는 기타 편의 시설과 통신을 수행하여, 화물 적재 상황을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제어 공간은 화물 적재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콘솔을 포함할 수 있다. 콘솔은 화물 적재부(130)의 전반적인 화물 적재 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콘솔은 화물 적재부(130)에 비상 상황이 발생하거나 화물 적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알람이나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솔은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직접 제어하거나,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복수의 측벽들(110) 중 하나의 내측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에어 록(Air Lock)(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 록(620)은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크로스오버 통로(610)를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로 구현될 수 있다.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에어 록(620)에 의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에어 록(620)은 출입구 등을 이중문인 제1 출입문(620a), 제2 출입문(620b)으로 하여 양쪽 문이 동시에 열리지 않도록 설계하여 거주구 내외의 압력차를 유지하여 문 개방시 급속한 공기의 유출입을 막아 악조건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안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b에서,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은 복수의 단들(2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 하부의 폭은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 상부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화물창(230)의 폭 방향의 길이는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폭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의 폭이 넓어지면, 화물창(230)의 폭 방향의 길이는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화물창(230) 상부의 폭은 화물창(230) 하부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데크 하우스(120)가 제2 위치(540)로 이동하면(또는, 데크 하우스(120)가 선박(100)의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화물창(230)의 제1 구간의 상부에 위치된 해치 커버(240)에 의하여 해치(250)가 개방되고, 화물이 크레인을 통하여 화물창(230)의 제1 구간에 적재될 수 있다. 이하, 화물 적재부(130) 및 화물창(230)의 제1 구간은 화물 적재부(130) 및 화물창(230)의 전반부를 의미하고, 화물 적재부(130) 및 화물창(230)의 제2 구간은 화물 적재부(130) 및 화물창(230)의 후반부를 의미한다. 화물창(230)의 제1 구간에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그 상부에 위치된 해치(250)가 폐쇄되고, 화물 적재부(130)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의 제1 구간에 화물이 적재되면, 데크 하우스(120)가 제1 위치(530)로 이동할 수 있다(또는, 데크 하우스(120)가 선박(100)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가 제1 위치(530)로 이동하면, 화물창(230)의 제2 구간의 상부에 위치된 해치(250)가 개방되고, 화물이 크레인을 통하여 화물창(230)의 제2 구간에 적재될 수 있다. 화물창(230)의 제2 구간에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그 상부에 위치된 해치(250)가 폐쇄되고, 화물 적재부(130)의 제2 구간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화물 적재부(130)는 제2 구간에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측벽들(110) 상부의 타단, 화물 적재 공간의 제2 구간의 상단 및 데크 하우스(120)의 후방에 화물이 추가로 적재될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추가 적재 공간에 화물이 적재되면,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 하우스(120)는 크레인의 화물 적재 작업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이동되고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710, 720)의 상단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b는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710, 720)의 상단에 화물(10)이 적재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선체(140)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710, 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해치 커버들(710)은 선체(140)의 상부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해치 커버들(710)은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과 무관하게 개폐될 수 있다. 선체(140)의 하부 공간에 화물 적재를 완료하면, 제1 해치 커버들(710)이 폐쇄되어 선체(140)의 상부 공간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제2 해치 커버들(720)은 선체(140)의 상부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해치 커버들(710)보다 적은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해치 커버들(72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면에 배치된 제1 해치 커버들(710) 및 복수의 측벽들(110)의 후면에 배치된 제1 해치 커버들(7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710, 720)의 개수 차이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폭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 배치된 제2 해치 커버들(720)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방에 배치된 제1 해치 커버들(710)의 개수 또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110)의 후방에 배치된 제1 해치 커버들(710)의 개수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해치 커버들(720)은 도 2에 있는 해치 커버(24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2 해치 커버들(720)은 데크 하우스(120)의 위치 및 화물창(230)의 화물 적재 상황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부(130)는 제2 해치 커버들(720)을 개방하여 화물창(230)에 화물 적재를 완료하면, 제2 해치 커버들(720)을 폐쇄하여 제2 해치 커버들(720)의 상단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제1 래싱 브리지(73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래싱 브리지(73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단 및 후단의 화물 적재 공간들을 구획할 수 있다. 제1 래싱 브리지(73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단 및 후단에 적재되는 화물들을 고정시켜 안정적인 화물 적재를 수행할 수 있고, 화물 적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2 래싱 브리지(74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래싱 브리지(730)보다 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래싱 브리지(740)는 화물 적재부(130) 내에 배치되어, 화물 적재부(130)를 복수의 화물 적재 공간들로 구획할 수 있다. 즉, 제2 래싱 브리지(74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구조에 의하여 제1 래싱 브리지(730)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래싱 브리지(740)은 도 1에 있는 래싱 브리지(150)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2 래싱 브리지(74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그 양단이 복수의 측벽들(110)에 고정되는 크로스오버 통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로스오버 통로(61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전면, 후면 또는 내측면에 복수의 측벽들(110)로부터 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 록(6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해치 코밍들(8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일단이 각각 함몰되어 그 사이에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해치 코밍들(810)은 서로 대향하는 일단이 경사지게 함몰되어, 화물창(230)에 빗물 또는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치(250)를 밀봉할 수 있고, 그 상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해치 코밍들(810)의 다른 일단은 그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외측면들 각각에 벙커 스테이션(820)을 형성할 수 있다. 벙커 스테이션(820)은 복수의 측벽들(110)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벙커 스테이션(820)은 외부의 선박 또는 연료 공급원으로부터 공급 받은 연료를 연료 탱크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 각각은 그 외측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복수의 해치 코밍들(810)에 의하여 형성된 이동 통로와 연결되는 출입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구(830)와 연결되는 이동 통로는 선체(140)의 외측과 연결되어 화물 적재 선박(100)의 운항 상황을 용이하게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다. 출입구(830)와 이동 통로는 선원들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외측면의 하부가 함몰될 수 있고,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필라(Support Pillar)(8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필라(840)는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측벽들(1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필라(840)는 복수의 측벽들(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거나, 복수의 측벽들(110)의 부분별 하중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체(140)와 결합된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920)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필라(9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을 지지하기 위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거나, 복수의 측벽들(110)의 부분별 하중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필라(920)는 도 8의 지지 필라(840)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필라(920)는 격벽의 형태로 구현되어,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을 서로 격리할 수 있다. 외부 필라(920)가 격벽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을 분할하고 복수의 측벽들(110)에 대한 지지를 강화할 수 있다.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은 복수의 측벽들(110)의 하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측벽들(110)에 유입되는 해수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이 악화되거나 선박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수가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120)에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은 유입된 해수를 배출하여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고, 안전을 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의 각각의 표면에 위치하여, 해수의 배출을 위하여 개폐되는 배수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커버는 해수의 배출 시에 개방되고, 이외의 상황에는 폐쇄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을 수 있는 벙커 스테이션(9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9의 벙커 스테이션(930)은 도 8의 벙커 스테이션(820)과 동일한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화물 적재 선박(100)은 내부에 저장된 연료를 모두 소모하거나, 추후 선박의 운항을 위하여 벙커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화물 적재 선박(100)은 외부의 선박 또는 연료 공급원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벙커 스테이션(820)이 복수의 측벽들(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벙커 스테이션(820)은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9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벙커 스테이션(820)은 복수의 측벽들(110) 및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210)을 통해 선저면(220)의 파이프 라인(145)과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45)은 벙커 스테이션(820)을 통해 공급받은 연료를 연료 탱크(142)에 저장하고, 엔진 룸(143)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외측에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 및 벙커 스테이션(820)을 포함하여,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들(110)은 데크 하우스(120)를 지지하고,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사이에 화물 적재부(130)를 형성하여 화물 적재 공간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측벽들(110)은 선박의 운항 및 유지에 필요한 복수의 배수 공간들(910) 및 벙커 스테이션(820)을 배치하여 선박의 안전을 강화하고 연료의 공급 및 수요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내부에 거주구의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주구 및 벙커 스테이션(820)의 배치는 서로 일정 거리를 확보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 라인(145)은 벙커 스테이션(820)으로부터 복수의 연료 탱크들까지 최단 거리를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파이프 라인(145)은 벙커 스테이션(82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는 라인과 복수의 연료 탱크들에 연료를 공급하는 라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료 탱크(142)는 복수의 연료 카트리지들로 구현되어, 복수의 벌크 헤드들(1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료 카트리지들은 선박의 운항에 사용되는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연료 카트리지들에 연료가 충분한 경우, 벙커 스테이션(820)을 통한 연료 공급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복수의 연료 카트리지들은 교환이 가능하도록 적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벽들(110)은 그 전면 및 후면의 상단에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멈추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9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940)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제2 위치에서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또한, 스토퍼(940)는 데크 하우스(120)가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면, 제1 위치에서 데크 하우스(120)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데크 하우스(120)는 스토퍼(940)에 의하여 이동 범위가 한정되어 제1 및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데크 하우스 하부의 코퍼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코퍼댐(260)은 이중 격벽(262) 및 지지 격벽(2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 격벽(262)은 복수의 측벽들(110) 및 데크 하우스(120) 간의 진동, 소음 또는 화재의 열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이중 격벽(262)은 데크 하우스(120)의 수평 구조물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중 격벽(262)의 상단은 데크 하우스(120)의 수평 구조물의 하단과 마주하고, 이중 격벽(262)의 하단은 화물 적재부(130)의 상단과 마주할 수 있다. 이중 격벽(262)은 그 사이에 지지 격벽(264) 및 지지 격벽(264)을 통과하는 배선 또는 배관 라인(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격벽(264)은 이중 격벽(262)의 사이에 격자 구조로 배치되어 데크 하우스(1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격벽(264)은 데크 하우스(120)를 지지하기 위하여 이중 격벽(262)의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격벽(264)은 배선 또는 배관 라인(20)이 통과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선 또는 배관 라인(20)은 지지 격벽(264)을 통과하여 데크 하우스(1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있는 화물 적재 선박의 화물 적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물 적재 선박(100)은 크레인을 통해 현재 데크 하우스(120)의 위치를 제외한 복수의 화물창들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a). 화물 적재 선박(100)은 복수의 화물창들에 화물이 적재된 후 선체(140)의 상부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b). 데크 하우스(120)는 복수의 측벽들(110)의 상부에서 선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c). 화물 적재 선박(100)은 크레인을 통해 제1 위치의 화물창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d). 화물 적재 선박(100)은 제1 위치의 화물창에 화물이 적재된 후 선체(140)의 그 상부에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e).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물 적재 선박
110: 복수의 측벽들 120: 데크 하우스
121, 122: 제1 및 제2 거주구들 123: 휠 하우스
130: 화물 적재부 140: 선체
141: 복수의 벌크 헤드들 142: 연료 탱크
143: 엔진 룸 144: 밸브
145: 파이프 라인 150: 래싱 브리지
151: 복수의 컬럼들 152: 복수의 수평 부재들
210: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 220: 선저면
230: 화물창 240: 해치 커버
250: 해치 260: 코퍼댐
262: 이중 격벽 264: 지지 격벽
310: 브라켓 모듈 410: 베이스
420: 복수의 해치 코밍들 430: 덕트
510: 드래그 체인 511: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
512: 복수의 배선 지지 부재들 513: 복수의 롤러들
520: 롤러 가이드
610: 크로스오버 통로 620: 에어 록
710, 720: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
730, 740: 제1 및 제2 래싱 브리지들
810: 복수의 해치 코밍들 820: 벙커 스테이션
830: 출입구 840: 지지 필라
910: 복수의 배수 공간들 920: 외부 필라
930: 벙커 스테이션 940: 스토퍼
10: 화물 20: 배선 또는 배관 라인
110: 복수의 측벽들 120: 데크 하우스
121, 122: 제1 및 제2 거주구들 123: 휠 하우스
130: 화물 적재부 140: 선체
141: 복수의 벌크 헤드들 142: 연료 탱크
143: 엔진 룸 144: 밸브
145: 파이프 라인 150: 래싱 브리지
151: 복수의 컬럼들 152: 복수의 수평 부재들
210: 복수의 선체 종격벽들 220: 선저면
230: 화물창 240: 해치 커버
250: 해치 260: 코퍼댐
262: 이중 격벽 264: 지지 격벽
310: 브라켓 모듈 410: 베이스
420: 복수의 해치 코밍들 430: 덕트
510: 드래그 체인 511: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들
512: 복수의 배선 지지 부재들 513: 복수의 롤러들
520: 롤러 가이드
610: 크로스오버 통로 620: 에어 록
710, 720: 제1 및 제2 해치 커버들
730, 740: 제1 및 제2 래싱 브리지들
810: 복수의 해치 코밍들 820: 벙커 스테이션
830: 출입구 840: 지지 필라
910: 복수의 배수 공간들 920: 외부 필라
930: 벙커 스테이션 940: 스토퍼
10: 화물 20: 배선 또는 배관 라인
Claims (8)
- 선체의 양 상단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선체와 결합된 하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를 통해 구획되는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벽들;
상기 복수의 측벽들에 대하여 상대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단에 배치되는 데크 하우스; 및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오픈된 화물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 받을 수 있는 벙커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벙커 스테이션은, 상기 복수의 측벽들 외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필라에 의하여 지지되는 화물 적재 선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은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하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각각 배치되어 선박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의 각각의 표면에 위치하여, 해수의 배출을 위하여 개폐되는 배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필라는
격벽의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복수의 배수 공간들을 서로 격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하우스는
상기 복수의 측벽들의 상부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들은
동륜, 슬라이딩 레일 또는 랙-피니언 기어를 통해 구현되어, 상기 데크 하우스의 이동을 지원하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151902 | 2015-10-30 | ||
KR1020150151902 | 2015-10-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1157A KR20170051157A (ko) | 2017-05-11 |
KR102081713B1 true KR102081713B1 (ko) | 2020-02-26 |
Family
ID=58741887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8354A KR101735601B1 (ko) | 2015-10-30 | 2016-04-20 | 화물 적재 선박 |
KR1020160048356A KR101735603B1 (ko) | 2015-10-30 | 2016-04-20 | 화물 적재 선박 |
KR1020160048349A KR101732094B1 (ko) | 2015-10-30 | 2016-04-20 | 화물 적재 선박 |
KR1020160057090A KR102081713B1 (ko) | 2015-10-30 | 2016-05-10 | 화물 적재 선박 |
KR1020160057091A KR101807542B1 (ko) | 2015-10-30 | 2016-05-10 | 화물 적재 선박 |
KR1020160057093A KR20170051159A (ko) | 2015-10-30 | 2016-05-10 | 화물 적재 선박 |
KR1020160073358A KR102150304B1 (ko) | 2015-10-30 | 2016-06-13 | 화물 적재 선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8354A KR101735601B1 (ko) | 2015-10-30 | 2016-04-20 | 화물 적재 선박 |
KR1020160048356A KR101735603B1 (ko) | 2015-10-30 | 2016-04-20 | 화물 적재 선박 |
KR1020160048349A KR101732094B1 (ko) | 2015-10-30 | 2016-04-20 | 화물 적재 선박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7091A KR101807542B1 (ko) | 2015-10-30 | 2016-05-10 | 화물 적재 선박 |
KR1020160057093A KR20170051159A (ko) | 2015-10-30 | 2016-05-10 | 화물 적재 선박 |
KR1020160073358A KR102150304B1 (ko) | 2015-10-30 | 2016-06-13 | 화물 적재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7) | KR10173560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3758A (ko) | 2020-04-29 | 2021-11-08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컨테이너선용 선수 및 선미의 컨테이너 적재량 증가방법 |
CN113715960A (zh) * | 2021-09-18 | 2021-11-30 |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船舶上层建筑 |
CN113665731B (zh) * | 2021-09-22 | 2022-07-22 |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 上层建筑移动结构及集装箱船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53793B2 (ja) * | 1993-07-05 | 2002-12-03 |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 コンテナ船の居住区構造 |
KR20100073587A (ko) * | 2008-12-23 | 2010-07-01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 선박 |
KR101122776B1 (ko) | 2009-08-19 | 2012-04-1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휠 하우스가 구비된 선박 |
KR101390927B1 (ko) | 2012-05-04 | 2014-05-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거주구 |
KR101985451B1 (ko) | 2012-11-28 | 2019-06-0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거주구 구조 |
KR101693366B1 (ko) * | 2013-12-10 | 2017-01-0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KR101634150B1 (ko) * | 2014-02-11 | 2016-06-3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
2016
- 2016-04-20 KR KR1020160048354A patent/KR1017356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4-20 KR KR1020160048356A patent/KR1017356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4-20 KR KR1020160048349A patent/KR1017320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5-10 KR KR1020160057090A patent/KR10208171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5-10 KR KR1020160057091A patent/KR10180754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5-10 KR KR1020160057093A patent/KR20170051159A/ko unknown
- 2016-06-13 KR KR1020160073358A patent/KR10215030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0304B1 (ko) | 2020-09-02 |
KR20170051151A (ko) | 2017-05-11 |
KR20170051152A (ko) | 2017-05-11 |
KR20170051159A (ko) | 2017-05-11 |
KR101735603B1 (ko) | 2017-05-29 |
KR20170051157A (ko) | 2017-05-11 |
KR101807542B1 (ko) | 2017-12-12 |
KR101735601B1 (ko) | 2017-05-16 |
KR20170051162A (ko) | 2017-05-11 |
KR20170051158A (ko) | 2017-05-11 |
KR101732094B1 (ko) | 2017-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1713B1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20180011343A (ko) | 액화가스 저장설비를 구비한 부체 구조물 및 그 설계 방법 | |
JP6122608B2 (ja) | 潜在的な危険性を持つ液体製品の移送のためのゾーンが設けられた船 | |
JP2018030467A (ja) | バラ積み船 | |
KR101704434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
TW202335903A (zh) | 貨櫃堆疊協助裝置、具有貨櫃堆疊協助裝置的貨櫃載具及裝載/卸載貨櫃的方法 | |
KR101280491B1 (ko) | 컨테이너선용 래싱 브리지 | |
KR20170137443A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102027907B1 (ko) | 선박의 거주구 구조 | |
KR101642391B1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101552925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 |
KR20150067716A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
KR20130041541A (ko) |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 |
KR20120012869A (ko) |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 |
KR102166802B1 (ko) | 탱커 건조 방법 | |
KR101668453B1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101609659B1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 |
Roh et al. | General Arrangement Design | |
KR20130045962A (ko) | 셀가이드 지지부재 | |
KR20150133104A (ko) | 화물 적재 선박 | |
KR20120012707A (ko) |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 |
KR20150133102A (ko) |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