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561B1 -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0561B1 KR102080561B1 KR1020180045479A KR20180045479A KR102080561B1 KR 102080561 B1 KR102080561 B1 KR 102080561B1 KR 1020180045479 A KR1020180045479 A KR 1020180045479A KR 20180045479 A KR20180045479 A KR 20180045479A KR 102080561 B1 KR102080561 B1 KR 1020805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ing element
- axial direction
- rotating body
- corner
- corner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8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936 Vitellaria paradox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5—Masses mounted with play with respect to driving means thus enabling free movement over a limited ran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 of energy to absorb shocks or vib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16F15/315—Flywheels characterised by their supporting arrangement, e.g. mountings, cages, securing inertia member to shaft
- F16F15/3153—Securing inertia members to the shaf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82—Dimensional tolerances, e.g. play between mechan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전동체와 회전체의 측면의 접촉을 회피하고, 또한 제진 성능의 저하를 억제 혹은 회피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전동체(19)는,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26)와, 축부(26)에 외경이 점차 증대되는 제1 코너부(32)를 갖고, 회전체(18)는, 회전체(18)의 축선 방향 외측을 향하여 관통 구멍의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제2 코너부(35)를 갖고, 제2 코너부(35)는, 축선 방향의 길이가 최대로 되는 엔드부(18a)를 갖고, 제1 코너부(32)는, 엔드부(18a)에 축선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부(P)를 갖고, 축부(26)의 단부로부터 대향부(P)까지의 전동체(19)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B가, 제2 코너부(35)의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A보다 길다.
전동체(19)는,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26)와, 축부(26)에 외경이 점차 증대되는 제1 코너부(32)를 갖고, 회전체(18)는, 회전체(18)의 축선 방향 외측을 향하여 관통 구멍의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제2 코너부(35)를 갖고, 제2 코너부(35)는, 축선 방향의 길이가 최대로 되는 엔드부(18a)를 갖고, 제1 코너부(32)는, 엔드부(18a)에 축선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부(P)를 갖고, 축부(26)의 단부로부터 대향부(P)까지의 전동체(19)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B가, 제2 코너부(35)의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A보다 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성 질량체의 왕복 운동 혹은 진자 운동에 의해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동력원에서 발생시킨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 등의 회전 부재는, 입력되는 토크 자체의 변동이나 그 회전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부재를 구동함에 따른 부하 토크의 변동 등이 요인이 되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토크의 변동은 그 회전 부재에 대하여 비틀림 진동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종류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는, 회전체의 토크 변동이 발생함으로써, 그 회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전동면을 따라 전동체가 이동하고, 그 전동체의 진자 운동에 의해 회전체의 비틀림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체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전동실의 내부에 전동체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실의 내벽면 중 회전체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의 내벽면에 전동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는, 전동체의 단면 형상이 소위 「H」형으로 되어 있고, 그 「H」형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의 형상이 축선 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에서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의 한쪽과 다른 쪽이 상이한 형상으로 되고, 특히 「H」형의 단면 형상 중 지지축부의 외주면과 플랜지부의 교점(즉 코너부)에 있어서의 형상이, 플랜지부의 한쪽과 다른 쪽에서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체에 대하여 전동체가 그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 경우에는, 회전체와 상기 코너부가 접촉하였을 때 발생하는 회전체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평행한 힘(축선 방향력)의 크기는, 플랜지부의 한쪽의 코너부와 다른 쪽의 코너부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축선 방향력에 의해 전동체가 회전체의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고 해도, 그 왕복 이동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기 어렵고, 그 결과, 공진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체가 「H」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에 대하여 전동체가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 경우에는 플랜지부가 회전체의 양측면에 접촉하도록 걸리므로, 축선 방향에서 전동체가 전동실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축선 방향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상술한 코너부의 형상, 혹은 축선 방향에서의 회전체와 전동체의 사이의 간극의 크기에 따라서는, 회전체의 측면과 전동체가 접촉한다. 그러한 경우에는, 그 접촉이 미끄럼 이동 저항으로 되어, 상술한 전동체의 진자 운동을 저해하고, 나아가 이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의 제진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전동체와 회전체의 측면의 접촉을 회피하고, 또한 제진 성능의 저하를 억제 혹은 회피할 수 있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토크를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관통 구멍과,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관통 구멍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전동체를 구비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단부에 외경이 점차 증대되는 제1 코너부와, 상기 제1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축부와 반대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의 폭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 외측을 향하여 상기 관통 구멍의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제2 코너부를 갖고, 상기 제2 코너부는, 상기 제2 코너부 중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의 길이가 최대로 되는 엔드부를 갖고,
상기 제1 코너부는, 상기 전동체가 상기 관통 구멍의 내면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엔드부에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부를 갖고, 상기 축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대향부까지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제2 코너부의 상기 회전체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코너부는, 제1 곡면부이고, 상기 제2 코너부는, 모따기 가공부 혹은 제2 곡면부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코너부는,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을 갖는 제1 테이퍼부이며, 상기 제2 코너부는, 모따기 가공부 혹은 제2 곡면부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코너부에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속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이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을 갖는 제2 테이퍼부로 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코너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곡면부의 반경은 0.2mm 내지 2.0mm의 범위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코너부에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속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이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경사각과 상이한 제3 테이퍼부로 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상기 제3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보다 작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의 범위는 45°내지 85°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의 범위는 1°내지 84°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의 범위는 10°내지 50°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45°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동체는, 상기 축부의 양단에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1 코너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축부를 형성하고 있는 중공 원통부와 상기 중공 원통부에 일체화되어 있는 한쪽의 상기 플랜지부를 갖는 제1 분할편과, 상기 중공 원통부에 밀착되어 끼워 맞추어지는 원기둥부와 상기 원기둥부에 일체화되어 있는 다른 쪽의 상기 플랜지부를 갖는 제2 분할편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상기 축부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코너부의 형상과 상기 축부의 타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코너부의 형상이 서로 상이해도 된다.
본 발명의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따르면, 전동체는, 회전체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와, 그 축부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외경이 점차 증대되는 제1 코너부를 갖는다. 또한, 그 제1 코너부를 사이에 두고 축부와 반대측에 관통 구멍의 폭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회전체는, 회전체의 축선 방향 외측을 향하여 관통 구멍의 직경이 점차 증대되는 제2 코너부를 갖는다. 또한, 제2 코너부는, 그 제2 코너부 중 회전체의 축선 방향의 길이가 최대로 되는 엔드부를 갖고, 또한 전동체의 제1 코너부는, 관통 구멍의 내면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엔드부에 축선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부를 갖는다. 그리고,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축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대향부까지의 길이가, 회전체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에 있어서, 전동체의 축부의 단부로부터 대향부까지의 길이 쪽이 제2 코너부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동체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축선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전동체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의 내면과 회전체의 축선 방향에서의 길이가 최대로 되는 엔드부가 접촉하지 않고, 그 축선 방향에서 전동체를 정규의 위치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스러스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전동체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의 내면과 회전체의 측면(엔드부)이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축선 방향에서 전동체와 회전체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접촉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억제 혹은 회피할 수 있고, 그 결과, 전동체의 진자 운동의 동작을 저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동체의 진자 운동의 동작을 저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 이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의 제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의 측면과 전동체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의 내면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회전체 및 전동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접촉을 요인으로 한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를 수용하는 토크 컨버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일례(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6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7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일례(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확대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6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제7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특히 회전체와 전동체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크 컨버터(2)에 내장되어 있다. 그 토크 컨버터(2)의 구성은, 종래 알려져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며, 이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엔진(3)에 연결되는 프론트 커버(4)와 펌프 셸(5)이 일체화되어, 토크 컨버터(2)의 전체로서의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다. 그 하우징의 중심축선을 따라 변속 기구의 입력축(6)이 배치되어 있다. 그 입력축(6)의 외주부에 터빈 허브(7)가 일체로 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터빈 허브(7)에 터빈 러너(8) 및 로크업 클러치(9), 그리고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1)가 연결되어 있다.
터빈 러너(8)는 종래 알려져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펌프 임펠러(10)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펌프 임펠러(10)에 의해 생기된 오일류를 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업 클러치(9)는 프론트 커버(4)의 내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유압에 의해 프론트 커버(4)에 압박되어, 토크를 전달하는 걸림 결합 상태로 되고, 또한 그 유압이 저하되어 프론트 커버(4)로부터 이격됨으로써 토크를 전달하지 않는 해방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로크업 클러치(9)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을 행하는 로크업 댐퍼(11)를 통하여 터빈 허브(7)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업 댐퍼(11)는, 로크업 클러치(9)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측 부재(12)와, 이 구동측 부재(12)에 코일 스프링(13)을 통하여 연결된 종동측 부재(14)를 구비하고 있고, 그 종동측 부재(14)가 터빈 허브(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구동측 부재(12) 및 종동측 부재(14)는, 환상의 판상 부재이다. 또한, 펌프 임펠러(10)와 터빈 러너(8)의 사이에서, 이들의 내주측의 부분에 스테이터(15)가 배치되고, 이 스테이터(15)는, 상기 입력축(6)의 외주측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고정축(16)에 일방향 클러치(17)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1)는, 상기 터빈 러너(8)와 로크업 클러치(9) 혹은 로크업 댐퍼(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그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1)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1)는, 회전체(18)에 복수의 전동체(매스)(19)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회전체(18)는 원판상의 부재이며, 토크를 받아 회전함과 함께, 그 토크의 변동에 의해 비틀림 진동한다. 이 회전체(18)는, 도 1에 도시한 엔진(3)의 크랭크축이나, 구동력을 도시하지 않은 차륜에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 혹은 차축 등의 회전 부재에 그 회전 중심선이 수평 혹은 횡방향으로 되도록 설치된다. 회전체(18)의 회전 중심(O)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 즉 소정의 반경의 원주 상에, 복수의 전동실(20)이, 회전체(18)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8개의 전동실(20)이 상기 회전 중심(O)을 사이에 두고 직경 상에서 대향하는 위치, 바꿔 말하면 회전 중심(O)에 있어서 점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동실(20)은, 그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전동체(19)가 소정의 범위에서 전동(왕복 이동)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 및 크기이며, 회전체(18)를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에 상당한다. 또한, 이 전동실(20)의 형상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소위 긴 구멍 형상이어도 되고, 혹은 단순한 원형이어도 된다. 전동실(20)의 내벽면은, 전동체(19)를 회전체(18)의 토크의 변동, 즉 비틀림 진동에 의해 왕복 이동시키는 전동면(21)으로 되어 있다. 그 전동면(21)의 형상은, 상기 회전 중심(O)에서부터 그 전동면(21)까지의 치수(즉 회전체(18)에 있어서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원호면 혹은 원호면에 근사한 곡면이다. 또한, 이 전동면(21)에 계속되어 있는 양측의 내벽면이 각 전동실(20)을 구획하고 있는 경계면(22)으로 되어 있고, 전동체(19)는 이 경계면(22)을 한도로 하여, 혹은 경계면(22)의 사이에서 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체(19)는, 회전체(18)의 토크가 변동된 경우에 관성력으로 진자 운동을 행하는 관성 질량체이며, 전동면(21)을 따라 전동하도록, 축 길이가 짧은 원기둥상 혹은 원판상 등,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서는, 그 전동체(19)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축부(26)의 양측에 그 축부(26)의 외주면(27)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23)(23a, 23b)를 설치한, 단면 형상이 소위 「H」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플랜지부(23a)와 플랜지부(23b)의 사이의 축부(26)의 외주면(27)이 전동면(21)에 접촉하여, 전동면(21)을 따라 전동함과 함께, 플랜지부(23a) 및 플랜지부(23b)가 회전체(18)의 양측면에 접촉하도록 걸리므로, 전동체(19)가 전동실(20)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전동체(19)의 일부가 상술한 전동실(20)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부(26)의 외주면(27)에 있어서의 직경은, 전동실(20)에 있어서의 가장 개구 폭이 좁은 개소의 치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전동체(19)가 전동실(20)의 내벽면에 미끄럼 접촉하지 않고 전동면(21) 상을 전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전동체(19)의 외주면(27)과 전동실(20)의 내벽면의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 전동체(19)는, 진자 운동의 동작이 토크 컨버터(2) 내의 오일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전동체(19) 및 그 진자 운동을 행하는 영역이 액밀 상태로 밀폐되어 있다. 즉, 회전체(18)의 반경 방향에서 중간부로부터 외주단에 이르는 부분이 케이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액밀 상태로 덮여 있다. 또한, 이 케이싱은,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이 해트 형상을 이루는 2개의 케이스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의 전동체(19)와 회전체(18)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전동체(19)가, 회전체(18)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전동면(21)에 압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체(19)에는 플랜지부(23)(23a, 23b)가 설치되고, 그 전동체(19)의 단면 형상이 소위 「H」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동체(19)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동체(19)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분할 구조에 의해 구성되고, 그 전동체(19)는 제1 매스(24)와 제2 매스(2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매스(24)는, 중공 원통상의 축부(26)와 상술한 「H」형의 플랜지부(23)에 있어서의 한쪽의 플랜지부(23b)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26)의 축 길이는, 회전체(18)의 판 두께(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길고, 또한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또한 그 축부(26)의 외주면(27)에 있어서의 직경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전동실(20)의 개구 폭에 있어서의 가장 좁은 개소의 치수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축부(26)의 외주면(27)이 전동면(21)에 접촉하는 부분이며, 그 외주면(27)이 원심력에 의해 전동면(21)에 압박된다. 플랜지부(23b)는, 후술하는 전동체(19)의 제1 코너부(32)를 사이에 두고 축부(26)와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부(26)의 축선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그 축부(26)와 일체(일체화)로 되어 형성되고, 축부(26)보다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플랜지부(23b)의 외경은, 반경 방향에서 전동실(20)의 개구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매스(24)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분할편」에 상당한다.
한편, 제2 매스(25)는, 상기 제1 매스(24)에 있어서의 중공 원통상의 축부(26)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축부(28)와, 상술한 「H」형의 플랜지부(23)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플랜지부(23a)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28)의 축 길이는, 회전체(18)의 판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고, 또한 그 축부(28)의 외경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축부(26)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매스(24)에 있어서의 축부(26)는, 축선 방향에서 오목해진 중공 원통부(29)를 갖고, 이것과는 반대로, 제2 매스(25)에 있어서의 축부(28)는 그 중공 원통부(29)에 압입 혹은 밀착하여 끼워 맞추어지는 원기둥부(30)를 갖는다. 또한, 플랜지부(23a)는, 상술한 플랜지부(23b)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축부(28)와 일체(일체화)로 되어 형성되고, 반경 방향에서 전동실(20)의 개구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매스(25)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분할편」에 상당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체(19)는, 제1 매스(24)와 제2 매스(25)로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 전동체(19)는, 예를 들어 추가로 매스를 구비한 복수의 매스로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전동체(19)는, 축부(26)의 양단에 플랜지부(23a) 및 플랜지부(23b)를 갖는 「H」형으로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26)의 적어도 한쪽에, 플랜지부(23a)(23b)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체(19)는 전동실(20)에 보유 지지되고, 회전체(18)가 엔진(3)의 크랭크축 등의 회전 부재와 함께 회전하면, 그 전동체(19)는 원심력에 의해 전동면(21)에 압박되고,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26)의 외주면(27)이 전동면(21)에 접촉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회전 부재 및 이것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체(18)에 비틀림 진동이 발생하면, 전동면(21)을 따라 전동체(19)가 비틀림 진동에 따른 왕복 이동(요동)을 행한다. 따라서, 이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비틀림 진동이 저감된다.
한편, 상기 전동체(19)가 둘레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 아울러 축선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혹은 축선 방향에서 왕복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엔진(3)의 진동이나 외란에 의해 불가피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며, 그러한 경우, 그 전동체(19)의 왕복 이동의 동작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즉, 이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면, 회전체(18)의 측면(18a)과 전동체(19)가 접촉하고, 그 접촉이 미끄럼 이동 저항으로 되어, 상술한 전동체(19)의 진자 운동을 저해함과 함께, 이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의 제진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축선 방향에서의 진동이 발생한 경우라도 상기 회전체(18)의 측면(18a)과 전동체(19)의 접촉을 억제 혹은 회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체(19)에 있어서의 플랜지부(23a, 23b)의 근원 부분이며, 축부(26)의 외주면(27)으로부터 플랜지부(23a, 23b)의 내면(31)에 이르는 제1 코너부(32)에, 만곡된 오목 곡면(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오목 곡면(33)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속된 플랜지부(23a, 23b)의 내면(31)이 경사면으로 되고, 즉 테이퍼부(이하, 테이퍼 형상이라고도 기재함)(34)로 되어 있다. 한편, 회전체(18)는, 전동면(21) 중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에서의 양측에 있어서의 단부(18b)와 회전체(18)의 측면(18a)의 제2 코너부(35)가 모따기된 모따기 가공부(36)로 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이 전동체(19)에 제1 코너부(32)가 설치되고, 또한 회전체(18)에 제2 코너부(35)가 설치됨으로써 상술한 축선 방향에서의 진동이 발생한 경우라도, 도 3 및 도 4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회전체(18)의 측면(18a)과 플랜지부(23a, 23b)의 회전체(18)측을 향한 내면(31), 즉 전동체(19)와의 사이에는, 이들 회전체(18)의 측면(18a)과 전동체(19)가 접촉하지 않는, 소위 릴리프부(37) 혹은 간극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동체(19)에 있어서의 오목 곡면(33)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곡면부」에 상당하고, 테이퍼부(34)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테이퍼부」에 상당한다.
도 4는, 그 릴리프부(37), 그리고 회전체(18)와 전동체(19)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플랜지부(23) 중 플랜지부(23a)측과 플랜지부(23b)측의 형상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23a)측만(도 3의 우측)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이후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플랜지부를 「플랜지부(23a)(23b)」라고 기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체(19)의 축부(26)의 외주면(27)으로부터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에는 제1 코너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제1 코너부(32)는, 축부(26)의 외주면(27)으로부터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을 향하여 외경이 점차 증대되는 제1 천이부(38)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코너부(32) 및 제1 천이부(38)는, 축선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축부(26)의 외주측에 곡률 중심이 있는 곡면(즉 오목 곡면(3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체(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선 방향에서 전동면(21)의 양단부(18b)에 그 전동면(21)과 회전체(18)의 측면(18a)에 제2 코너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 제2 코너부(35)는, 회전체(18)의 축선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전동실(20)의 직경이 점차 증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제2 코너부(35)에 있어서, 전동실(20)의 중심선(L)으로부터 잰 치수가 전동면(21)으로부터 회전체(18)의 측면(18a)을 향하여 점차 증대되는 부분이 제2 천이부(39)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코너부(35)에 있어서의 제2 천이부(39)의 전동면(21)측의 개시점(40)에서부터 축선 방향으로 잰 길이(거리) 혹은 치수가 최대로 되는 개소(이하, 엔드부라고 기재함)까지의 길이 A에 대하여, 제1 코너부(32)에 있어서의 제1 천이부(38)의 축부(26)측의 개시점(41)에서부터 전동체(19)의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 중 상기 엔드부에 축선 방향에서 대향하는 개소(이하, 대향부라고 기재함)(P)까지의 축선 방향으로 잰 길이(거리) B 혹은 치수 쪽이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드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18)의 측면(18a) 중 축선 방향에서 가장 돌출된 개소이며, 즉 제2 코너부(35) 중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의 길이가 최대로 되는 개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그 가장 돌출된, 혹은 축선 방향의 길이가 최대로 되는 개소는 회전체(18)의 측면(18a)이기 때문에, 그 회전체(18)의 측면(18a)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엔드부」에 상당한다.
즉, 제2 코너부(35)는, 그 제2 코너부(35) 중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의 길이가 최대로 되는 엔드부에 상당하는 측면(18a)을 갖고, 또한 제1 코너부(32)는, 전동체(19)가 전동실(2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할 때 측면(18a)에 전동체(19)의 축선 방향에서 대향하는 대향부(P)를 갖는다. 그리고, 그 전동체(19)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축부(26)의 단부로부터 상기 대향부(P)까지의 길이 B와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35)의 길이 A에서, 길이 B쪽이 길이 A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회전체(18)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35)에 있어서의 모따기 가공부(36)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A와, 전동체(19)의 외주면(27)의 직선 부분의 종점, 즉 오목 곡면(33)의 시점에서부터 회전체(18)의 측면(18a)과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의 거리가 최단 거리로 되는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 상의 개소(P)까지의 길이 B에서 이 길이 B쪽이 상기 길이 A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는, 축선 방향에서 회전체(18)에 있어서의 전동면(21)의 단부(18b)의 형상이 축선 방향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전환되는 제2 코너부(35)의 개시점(40)에서부터 회전체(18)의 측면(18a)까지의 길이 A와, 전동체(19)의 형상이 R 형상으로 전환되는 부분(즉 제1 코너부(32)의 개시점(41))에서부터,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 중 상기 회전체(18)의 측면(18a)에 축선 방향에서 대향한 대향부(P)까지의 길이 B에서, 그 길이 B쪽이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길이 B쪽이 길어지기 때문에, 그 거리가 긴 만큼 발생하는 간극이 회전체(18)의 측면(18a)과 전동체(19)가 접촉하지 않는 릴리프부(37) 혹은 간극부로 된다.
또한, 상기 제1 코너부(32)에 있어서의 오목 곡면(33)의 형상은, R 형상의 반경이 0.2mm에서 2.0mm의 범위에서 형성된다. 또한, 테이퍼부(34)의 각도 α는, 축선 방향에 대하여(축선 방향에 수평인 선에 대하여) 그 각도가 45°내지 85°의 범위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코너부(35)에 있어서의 모따기 가공부(36)는, 예를 들어 45°에서 모따기되고, 또한 그 모따기의 범위는 1mm 이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 α를 45°내지 85°의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각도 α가 45°미만인 경우에는, 전동체(19)의 절삭량이 증대되고, 전동체(19) 그 자체의 질량이 가벼워져 제진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는 것, 그리고 각도 α가 85°보다 큰 각도인 경우에는, 회전체(18)와 전동체(19)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것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이후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35)의 길이 A를,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간단히 「길이 A」라고 기재한다. 또한, 상술한 전동체(19)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축부(26)의 단부로부터 대향부(P)까지의 길이 B를,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간단히 「길이 B」라고 기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길이 A와 길이 B에서 길이 B쪽이 길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전동면(21)을 따라 왕복 이동하고 있는 전동체(19)에 대하여 축선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전동체(19)가 회전체(18)의 측면(18a)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전동체(19)에 있어서의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과 회전체(18)의 측면(18a)이 접촉하기 전에, 전동체(19)를 정규의 위치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축선 방향의 힘(스러스트력)이 작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엔드부인 회전체(18)의 측면(18a)이,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 접촉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억제 혹은 회피할 수 있다. 즉, 축선 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회전체(18)에 있어서의 전동면(21)이 전동체(19)의 오목 곡면(33)에 올라타고, 그 결과, 전동체(19)를 정규의 위치로 복귀시키려고 하는 상기 스러스트력, 즉 원심력에 대한 분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전동체(19)의 진자 운동의 동작을 저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전동체(19)를 전동면(21)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측으로 되돌리는 소위 센터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 혹은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동체(19)의 진자 운동의 동작을 저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아울러 이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 있어서의 제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18)의 측면(18a)과 전동체(19)의 접촉이 없다는 점에서 회전체(18) 및 전동체(19)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회전체(18)와 전동체(19)의 접촉을 요인으로 한 이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혹은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 저항을 억제할 수 있음으로써, 그 미끄럼 이동 시에 발생하는 마모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마모에 있어서의 마모분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예를 들어 그 마모분에 의해 회전체(18)나 전동체(19)의 주변 부재로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회전체(18)와 전동체(19)의 관계에서, 회전체(18)의 측면(18a)은, 전동체(19)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회전체(18)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35)의 제2 천이부(39)는, 모따기 가공되고, 즉 모따기 가공부(36)를 갖는다. 또한, 전동체(19)의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은, 오목 곡면(33)으로 된 제1 코너부(32)와, 그 제1 코너부(32)에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속된 부분이 테이퍼부(34)로 구성되어 있다. 그에 비해, 이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에서는, 상술한 길이 A와 길이 B의 관계에서 길이 B쪽이 길게 구성되어 있으면 되며, 따라서,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18)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35)나 플랜지부(23a)(23b)에 있어서의 제1 코너부(32)의 형상, 그리고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의 형상을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예는, 상술한 도 4의 예에 있어서의 회전체(18)의 제2 코너부(35)에 있어서의 모따기 가공부(36)의 모따기 가공을 45° 이외의 각도로 가공한 것이다. 이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그 가공의 각도를 도 4에 도시한 모따기 각보다 큰 각도 β로 모따기 가공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35)의 길이 A와, 전동체(19)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축부(26)의 단부로부터 대향부(P)까지의 길이 B에서, 길이 B쪽이 길이 A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며, 따라서, 그 모따기 가공부(36)의 각도는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된다. 그에 의해, 도 5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회전체(18)의 측면(18a)과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고, 그 결과, 그 접촉에 의한 미끄럼 이동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아울러 제진 성능의 저하를 억제 혹은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회전체(18)의 제2 코너부(35)의 형상은, 상기 도 4나 도 5에 도시하는 모따기 가공된 구성 외에,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위 시어 드루프 등의 곡면부(42)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전동면(21)에 있어서의 회전체(18)의 단부(18b)에서부터 회전체(18)의 측면(18a) 중 그 시어 드루프의 개시점(43)까지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A와, 전동체(19)에 축부(26)와 플랜지부(23a)(23b)의 제1 코너부(32)의 개시점(41)에서부터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 중 상기 시어 드루프의 개시점(43)에 축선 방향에서 대향한 대향부(P)까지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B가, 그 길이 B쪽이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상술한 도 4나 도 5에서 설명한 회전체(18)의 단부(18b)에 있어서의 모따기 가공, 즉 제2 코너부(35)에 있어서의 모따기 가공을 요하지 않고, 그 프레스 가공의 형상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부(42)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곡면부」에 상당하고, 또한, 이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시어 드루프의 개시점(43)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엔드부」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 곡면부(42)는 시어 드루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R 형상으로 가공해도 된다.
한편, 플랜지부(23a)(23b)의 제1 코너부(32)에 있어서의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오목 곡면(33)과, 또한 반경 방향의 외측에서 그 R 형상에 연속된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이 테이퍼부(34)로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들 형상은 예를 들어 도 7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예에서는, 제1 천이부(38)는 오목 곡면(33)으로 되고, 그 오목 곡면(33)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서 연속된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이 단면 형상에서 전동면(21)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4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오목 곡면(33) 대신에, 그 부분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경사면, 즉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45)로 되어도 된다. 또한, 이 테이퍼부(45)의 각도 γ는, 축선 방향에 수평인 선에서 잰 각도가 1°내지 84°의 범위에서 형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8의 테이퍼부(45)와, 그 테이퍼부(45)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속된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이 테이퍼부(45)의 경사각과는 상이한 테이퍼부(46)로 되어도 된다. 그때의, 테이퍼부(45)와 테이퍼부(46)의 관계는, 테이퍼부(45)의 각도 γ쪽이 테이퍼부(46)의 각도 δ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퍼부(45)의 각도 γ는 도 8과 마찬가지로, 그 각도 γ가 1°내지 84°의 범위에서 형성되고, 테이퍼부(46)의 각도 δ는, 축선 방향에 대하여 각도가 45°내지 85°의 범위에서 형성된다. 더욱 적합하게는, 각도 γ는 10°내지 50°의 범위이며, 또한 가장 적합한 각도는 45°이다. 또한, 상기 각도 δ를 45°내지 85°의 범위로 형성하는 것의 효과는, 상술한 도 4의 예와 마찬가지이며, 즉 각도 δ가 45°미만인 경우에는, 그 각도를 형성하기 위해 전동체(19)의 절삭량이 증대되고, 전동체(19) 그 자체의 질량이 가벼워져 제진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는 것, 그리고 각도 δ가 85°보다 큰 각도인 경우에는, 회전체(18)와 전동체(19)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것의 양방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 γ인 테이퍼부(45)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테이퍼부」에 상당하고, 각도 δ인 테이퍼부(46)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테이퍼부」에 상당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체(18)의 제2 코너부(35)나 그 제2 코너부(35)에 있어서의 제2 천이부(39)의 형상, 및 전동체(19)의 제1 코너부(32)나 그 제1 코너부(32)에 있어서의 제1 천이부(38)의 형상, 그리고 플랜지부(23a)(23b)의 내면(31)의 형상은, 상술한 어느 형상이어도 되며, 혹은 그것들의 형상을 조합한 형상이어도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35)의 길이 A와, 전동체(19)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축부(26)의 단부로부터 상기 대향부(P)까지의 길이 B에서 길이 B쪽이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바꿔 말하면,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힘이 작용하여 그 축선 방향에서 전동체(19)가 왕복 이동할 때, 전동체(19)와 회전체(18)의 측면(18a)이 접촉하지 않는 릴리프부(37)나 간극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R(곡면) 형상이나 테이퍼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구성 혹은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도 3 내지 도 9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H」형의 전동체(19)에 있어서의 플랜지부(23a) 및 플랜지부(23b)에 있어서의 제1 코너부(32)의 형상이 상술한 바와 같이 곡면이나 테이퍼 형상이며, 또한 그들 형상이 플랜지부(23)의 축선 방향의 일방측(23a)과 타방측(23b)에서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에 비해,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그 제1 코너부(32)의 형상이 플랜지부(23)의 일방측(23a)과 타방측(23b)에서 상이한 형상, 즉 축부(26)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제1 천이부(38)의 형상과 축부(26)의 타단측에 있어서의 제1 천이부(38)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23a)측의 제1 코너부(32)의 형상이, 도 9에서 도시한 테이퍼 형상(45)으로 구성되고, 또한 그 제1 코너부(32)에 연속된 플랜지부(23a)의 내면(31)이 테이퍼 형상(4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플랜지부(23b)측의 제1 코너부(32)의 형상은, 도 4에 도시한 오목 곡면(33)으로 구성되고, 또한 그 제1 코너부(32)에 연속된 플랜지부(23a)의 내면(31)이 테이퍼 형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회전체(18)의 측면(18a)과 전동체(19)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고, 그 결과, 미끄럼 이동 저항을 억제 혹은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전동체(19)의 진자 운동을 저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제진 성능의 저하를 억제 혹은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플랜지부(23)의 일방측(23a)과 타방측(23b)에서 제1 코너부(32)의 형상을 상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축선 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해 전동체(19)가 그 축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고 해도, 그 왕복 이동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기 어렵고, 그 결과, 공진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동체(19)가 축부(26)와 플랜지부(23a, 23b)를 구비하고, 단면 형상이 소위 「H」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플랜지부(23a, 23b)가 회전체(18)의 양측면에 걸리기 때문에 축선 방향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구성은, 예를 들어 전동체(19)에 상기 플랜지부(23a, 23b)를 설치하지 않고, 회전체(18)의 중앙부에서 걸리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단면 형상에서 회전체(18)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를 형성하고, 전동체(19)는 축부(26)와, 그 축부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환상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그 돌기부를 상기 회전체(18)의 오목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1)에 있어서도, 회전체(18)와 전동체(19)의 관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축선 방향에서 접촉하지 않는 릴리프부(37)를 형성함으로써, 제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1: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18: 회전체
18a: 측면(엔드부)
18b: 단부
19: 전동체
20: 전동실(관통 구멍)
23a, 23b: 플랜지부
24: 제1 매스
25: 제2 매스
26, 28: 축부
29: 중공 원통부
30: 원기둥부
32: 제1 코너부
33: 오목 곡면
34, 45, 46,: 테이퍼부
35: 제2 코너부
36: 모따기 가공부
42: 곡면부
A, B: 길이(거리)
X: 회전 중심축선
P: 대향부
18: 회전체
18a: 측면(엔드부)
18b: 단부
19: 전동체
20: 전동실(관통 구멍)
23a, 23b: 플랜지부
24: 제1 매스
25: 제2 매스
26, 28: 축부
29: 중공 원통부
30: 원기둥부
32: 제1 코너부
33: 오목 곡면
34, 45, 46,: 테이퍼부
35: 제2 코너부
36: 모따기 가공부
42: 곡면부
A, B: 길이(거리)
X: 회전 중심축선
P: 대향부
Claims (13)
- 토크를 받아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으로서, 복수의 관통 구멍 각각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관통 구멍과, 상기 회전체에 작용하는 토크의 변동에 의해 진동하는 전동체와, 복수의 관통 구멍 중 하나의 내면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에 형성되고 전동체가 원심력에 의해 압박되는 전동면을 포함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이며,
상기 전동체는,
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기 길이는 상기 회전체의 두께보다 긴 축부,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중 어느 하나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축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축부의 외주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중 하나의 전동면과 상기 회전체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중 하나의 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전동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측면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제2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너부는, 모따기 가공부와, 상기 모따기 가공부가 시작되는 개시점과, 상기 모따기 가공부의 끝 부분이며 회전체의 두께가 최대가 되는 엔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너부는 상기 회전체의 상기 엔드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대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너부의 개시점과 상기 제1 코너부의 상기 대향부 사이의 축 방향 길이가 상기 모따기 가공부의 상기 개시점과 상기 모따기 가공부의 상기 엔드부 사이의 축 방향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코너부의 상기 개시점은 상기 제2 코너부의 상기 개시점과 같은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코너부의 외경은 상기 제1 코너부의 개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코너부의 대향부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너부는, 제1 곡면부이고,
상기 제2 코너부는, 모따기 가공부 혹은 제2 곡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너부는,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을 갖는 제1 테이퍼부이며,
상기 제2 코너부는, 모따기 가공부 혹은 제2 곡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너부에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속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이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을 갖는 제2 테이퍼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너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곡면부의 반경은 0.2mm 내지 2.0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너부에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속된 상기 플랜지부의 내면이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경사각과 상이한 제3 테이퍼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상기 제3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의 범위는 45°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의 범위는 1°내지 8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의 범위는 10°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의 축선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는, 상기 축부의 양단에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1 코너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축부를 형성하고 있는 중공 원통부와 상기 중공 원통부에 일체화되어 있는 한쪽의 상기 플랜지부를 갖는 제1 분할편과, 상기 중공 원통부에 밀착하여 끼워 맞추어지는 원기둥부와 상기 원기둥부에 일체화되어 있는 다른 쪽의 상기 플랜지부를 갖는 제2 분할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코너부의 형상과 상기 축부의 타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코너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085545 | 2017-04-24 | ||
JP2017085545A JP6551454B2 (ja) | 2017-04-24 | 2017-04-24 | 捩り振動低減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9123A KR20180119123A (ko) | 2018-11-01 |
KR102080561B1 true KR102080561B1 (ko) | 2020-02-24 |
Family
ID=6206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5479A KR102080561B1 (ko) | 2017-04-24 | 2018-04-19 |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10487912B2 (ko) |
EP (1) | EP3396200A1 (ko) |
JP (1) | JP6551454B2 (ko) |
KR (1) | KR102080561B1 (ko) |
CN (1) | CN108730408B (ko) |
AU (1) | AU2018202673B2 (ko) |
BR (1) | BR102018008249A2 (ko) |
CA (1) | CA3001591C (ko) |
MX (1) | MX2018004996A (ko) |
MY (1) | MY193263A (ko) |
PH (1) | PH12018000109A1 (ko) |
RU (1) | RU2684980C1 (ko) |
TW (1) | TWI66742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63253B2 (ja) * | 2017-12-06 | 2021-04-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捩り振動低減装置 |
JP7167905B2 (ja) * | 2019-11-27 | 2022-11-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捩り振動低減装置および捩り振動低減装置の制御装置 |
JP7120206B2 (ja) * | 2019-11-29 | 2022-08-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遠心振り子式ダンパ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17840A1 (fr) | 2012-02-07 | 2013-08-15 | Valeo Embrayages |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coupl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
JP2015200328A (ja) * | 2014-04-04 | 2015-11-1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捩り振動低減装置 |
WO2015185056A1 (de) | 2014-06-05 | 2015-12-10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Rollenelement |
WO2016015725A1 (de) * | 2014-07-28 | 2016-02-04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Fliehkraftpendel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U375423A1 (ru) * | 1971-03-25 | 1973-03-23 | А. П. К. Каволелис , Б. П. Спруогис Вильнюсский инженерно строи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 Виброгаситель крутильных колебаний |
JPS5928515B2 (ja) | 1976-10-01 | 1984-07-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タの乗場表示装置 |
JP2000145750A (ja) * | 1998-11-06 | 2000-05-26 | Toyota Motor Corp | コネクティングロッドの重量調整方法 |
JP2013185598A (ja) * | 2012-03-05 | 2013-09-19 | Toyota Motor Corp | 捩り振動減衰装置 |
CN104662327B (zh) * | 2012-07-31 | 2017-04-12 |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 用于离心力摆的摆质量的滚子、摩擦离合器及其机动车 |
JP5991085B2 (ja) * | 2012-08-29 | 2016-09-14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トルク変動吸収装置 |
DE102014225965A1 (de) * | 2013-12-17 | 2015-06-18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Fliehkraftpendel |
JP2015129559A (ja) * | 2014-01-08 | 2015-07-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捩り振動低減装置 |
WO2018006905A1 (de) * | 2016-07-05 | 2018-01-11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Pendelrolle für fliehkraftpendeleinrichtung |
-
2017
- 2017-04-24 JP JP2017085545A patent/JP6551454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4-16 CA CA3001591A patent/CA3001591C/en active Active
- 2018-04-17 PH PH12018000109A patent/PH12018000109A1/en unknown
- 2018-04-18 MY MYPI2018701515A patent/MY193263A/en unknown
- 2018-04-18 AU AU2018202673A patent/AU2018202673B2/en not_active Ceased
- 2018-04-19 TW TW107113284A patent/TWI66742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8-04-19 KR KR1020180045479A patent/KR1020805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4-20 RU RU2018114680A patent/RU2684980C1/ru active
- 2018-04-23 MX MX2018004996A patent/MX2018004996A/es unknown
- 2018-04-23 US US15/959,440 patent/US10487912B2/en active Active
- 2018-04-24 CN CN201810369623.4A patent/CN108730408B/zh active Active
- 2018-04-24 BR BR102018008249-3A patent/BR102018008249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8-04-24 EP EP18169074.4A patent/EP339620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17840A1 (fr) | 2012-02-07 | 2013-08-15 | Valeo Embrayages |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coupl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
JP2015200328A (ja) * | 2014-04-04 | 2015-11-1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捩り振動低減装置 |
WO2015185056A1 (de) | 2014-06-05 | 2015-12-10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Rollenelement |
WO2016015725A1 (de) * | 2014-07-28 | 2016-02-04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Fliehkraftpend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001591C (en) | 2020-07-21 |
CN108730408A (zh) | 2018-11-02 |
AU2018202673A1 (en) | 2018-11-08 |
EP3396200A1 (en) | 2018-10-31 |
PH12018000109B1 (en) | 2018-10-29 |
KR20180119123A (ko) | 2018-11-01 |
JP2018184975A (ja) | 2018-11-22 |
CN108730408B (zh) | 2020-08-25 |
JP6551454B2 (ja) | 2019-07-31 |
PH12018000109A1 (en) | 2018-10-29 |
MX2018004996A (es) | 2018-11-09 |
US20180306271A1 (en) | 2018-10-25 |
TWI667423B (zh) | 2019-08-01 |
CA3001591A1 (en) | 2018-10-24 |
AU2018202673B2 (en) | 2020-01-02 |
BR102018008249A2 (pt) | 2018-12-18 |
US10487912B2 (en) | 2019-11-26 |
RU2684980C1 (ru) | 2019-04-16 |
TW201842282A (zh) | 2018-12-01 |
MY193263A (en) | 2022-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1400B1 (ko) | 비틀림 진동 감쇠 장치 | |
KR102080561B1 (ko) | 비틀림 진동 저감 장치 | |
KR102048594B1 (ko) | 개선된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진자 진동자형 감쇠 시스템 | |
KR101445587B1 (ko) | 토크 컨버터용 록업 장치 | |
US9803718B2 (en) | Torsional vibration reducing device | |
KR101366107B1 (ko) | 축진동 유압식 진동 댐퍼 겸용 유연 커플링 | |
US20150377320A1 (en) | Vibration damping device | |
US10240658B2 (en) | Torsional vibration damping device | |
US9739341B2 (en) | Torsional vibration reducing device | |
US10781907B2 (en) | Filtering pulley comprising an improved damping device | |
JP2019032046A (ja) | 振り子式捩り振動低減装置 | |
JP4632792B2 (ja) | ダンパ機能を備えたプーリ | |
JP6837858B2 (ja) | トーショナルダンパ | |
KR101861155B1 (ko) |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 장치 | |
KR101866937B1 (ko) | 차량용 토크 컨버터 | |
JP7264738B2 (ja) | バランサシャフト | |
KR101918402B1 (ko) | 오일펌프용 전동장치 | |
KR20040037781A (ko) | 진동 감쇠 댐퍼 | |
JP6485376B2 (ja) | 捩り振動低減装置 | |
JP2020106070A (ja) | 振り子式捩り振動低減装置 | |
JP2019100497A (ja) | 捩り振動低減装置 | |
JP2019035457A (ja) | プーリユニット | |
JP2019086054A (ja) | 捩り振動低減装置 | |
JP2019002464A (ja) | プーリユニット | |
KR20200079053A (ko) | 내장형 진자 및 이를 이용한 진자 댐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