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991B1 -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991B1
KR102079991B1 KR1020180129900A KR20180129900A KR102079991B1 KR 102079991 B1 KR102079991 B1 KR 102079991B1 KR 1020180129900 A KR1020180129900 A KR 1020180129900A KR 20180129900 A KR20180129900 A KR 20180129900A KR 102079991 B1 KR102079991 B1 KR 10207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locking
housing
blocking plat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문기
Original Assignee
도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문기 filed Critical 도문기
Priority to KR102018012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름철 차량의 주차 시 직사광선에 의해 차량 실내온도의 급격한 상승을 막아줄 수 있도록 간편한 조작으로 차량의 루프에 햇빛 가리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에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는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는 차량의 루프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 유리 및 후방 유리 방향으로 각각 인출되는 한 쌍의 차단판을 포함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판에 연결된 상태로 차량의 필러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가 차량의 필러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실린더 로드의 높이조절을 통해 상기 차단판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인출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복수개의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APPARATUS OF BLOCKING SUNSHIN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루프에 기계식으로 햇빛 가리개를 설치하여 간편한 조작을 통해 차량에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함으로써 여름철 주차 시 차량의 실내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는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사광선이 강하게 내리쬐는 여름철의 경우에는 단시간의 주차만으로도 차량내부 온도는 급격히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불쾌감과 함께 차량내부에 방치되는 일회용 라이터 등이 폭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운전자의 경우는 이러한 차량 내부온도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유리를 완전히 닫지 않고 일부분 열어 두기도 하며, 이러한 차량은 강도 등의 범죄의 대상물이 되기도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차량의 주차 시 차량용 커버를 이용하여 차량 전체를 덮어주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커버를 차량에 설치하거나 차량의 운행을 위해 차량에서 커버를 분리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차량은 유리창에 탈부착 가능한 햇빛 가리개를 일일이 부착하거나 탈거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또한 그 설치와 분리가 번거롭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5962호(고안의 명칭 : 차량용 간이햇빛가리개, 2001. 12. 1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4-0013227호(발명의 명칭 : 차량 햇빛 차단기, 1996. 01. 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여름철 차량의 주차 시 직사광선에 의해 차량 실내온도의 급격한 상승을 막아줄 수 있도록 간편한 조작으로 차량의 루프에 햇빛 가리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에 보다 향상된 편의를 줄 수 있는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는 차량의 루프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 유리 및 후방 유리 방향으로 각각 인출되는 한 쌍의 차단판을 포함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판에 연결된 상태로 차량의 필러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가 차량의 필러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실린더 로드의 높이조절을 통해 상기 차단판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인출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복수개의 승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단판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단판에서 펼쳐짐을 통해 상기 차단부의 햇빛 가리는 면적을 넓혀주는 보조 차단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단패널과 상기 보조 차단패널의 연결부에 핀 모터로 전진 또는 후진 동작되는 연결 핀이 설치되어, 상기 보조 차단패널과 상기 보조 차단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함께 펼쳐지는 구조이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보조 차단패널의 연결부에 커플링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고정 커플링에 구동 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기어가 상기 보조 차단패널의 이동 커플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보조 차단패널이 회전되는 구조이다.
상기 차단부의 상기 하우징 내측에는 상기 차단판의 인출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 단부에 각각 고정 홈이 형성되어 완전히 인출된 상기 차단판이 걸려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차단판은 일측 단부에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차단판을 들어 올려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 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단판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고정 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로 동작하는 스텝 모터, 상기 스텝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스텝 모터의 동작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루프에 펼치거나 접어 넣을 수 있는 햇빛 가리개가 설치되어 차량의 주차 시 필요에 따라 사용함으로써 직사광선에 의해 차량의 실내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햇빛 차단장치가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보다 편리하게 햇빛 가리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햇빛 가리개를 운전자가 직접 설치하거나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햇빛 차단장치를 필요에 따라 차량에 설치하거나 설치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시기에만 햇빛 차단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운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의 차단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의 보조 차단패널의 회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하우징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차단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의 승하강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햇빛 차단장치가 설치를 위해 차량의 루프에서 상승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햇빛 차단장치가 펼쳐져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의 차단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의 보조 차단패널의 회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1)는 차단부(10)와, 지지부(20) 및, 승하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햇빛 차단장치(1)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상기 차단부(10)에서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판(12)이 인출되어 차량에 일정 면적의 그늘을 만들어줌으로써 차량의 실내온도가 급격히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햇빛 차단장치(1)의 상기 차단부(10)는 차량의 루프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1), 및 상기 하우징(11)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 유리 및 후방 유리 방향으로 각각 인출되는 한 쌍의 차단판(12)을 포함한다.
상기 햇빛 차단장치(1)를 작동시키면, 상기 하우징(11)에서 상기 차단판(12)이 자동으로 각각 인출되어 차량의 전방 유리 및 후방 유리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전방 유리와 후방 유리를 통해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상기 차단판(12)을 이용하여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차단판(12)에 연결된 상태로 차량의 필러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21)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21)가 차량의 필러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 로드(21a)의 높이조절을 통해 상기 차단판(12)을 상기 하우징(11) 내부에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1)가 차량의 필러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판(12)을 상기 하우징(11)에 수용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의 필러에 설치된 상기 실린더(21)가 상기 차단판(12)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차단판(12)을 상기 하우징(11)에서 인출하여 햇빛을 가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30)는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차량의 루프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하우징(11)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30)는 차량의 사이드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차단부(1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햇빛 차단장치(1)의 작동 시 상기 승하강부(30)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1)을 일정 높이까지 들어 올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10)는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차단판(12)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차단판(12)에서 펼쳐짐을 통해 상기 차단부(10)의 햇빛 가리는 면적을 넓혀주는 보조 차단패널(11a,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은 상기 하우징(11)의 양측과 상기 차단판(12)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이 상기 하우징(11)과 차단판(12)에 대해 수평되게 펼쳐짐으로써 상기 차단부(10)의 전체적인 면적을 넓혀줄 수 있다.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의 넓이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장치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차량의 양 사이드 미러를 가려줄 수 있는 넓이로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과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의 연결부에 핀 모터(13)로 전진 또는 후진 동작되는 연결 핀(13a)이 설치되어,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과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을 서로 연결하여 함께 펼쳐지는 구조이다.
상기 하우징(11)에서 상기 차단판(12)이 각각 인출된 후,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을 펼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1)의 보조 차단패널(11a)을 중심으로 그 양 측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차단판(12)의 보조 차단패널(12a)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핀(13a)이 작동한다.
상기 연결 핀(13a)은 상기 차단판(12)의 보조 차단패널(12a)과 인접된 상기 하우징(11)의 보조 차단패널(11a)에 한 쌍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1)의 보조 차단패널(11a)에 설치된 상기 연결 핀(13a)이 핀 모터(13)의 동작으로 전진하여 상기 차단판(12)의 보조 차단패널(12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의 보조 차단패널(11a)과 상기 차단판(12)의 보조 차단패널(12a)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연결된 상기 하우징(11)의 보조 차단패널(11a)과 상기 차단판(12)의 보조 차단패널(12a)이 함께 회전하면서 외측으로 펼쳐지게 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햇빛 차단장치(1)의 설치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연결 핀(13a)이 핀 모터(13)의 동작으로 후진하여 상기 하우징(11)의 보조 차단패널(11a)에 연결된 상기 차단판(12)의 보조 차단패널(12a)을 분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햇빛 차단장치(1)는 상기 하우징(11)과 차단판(12)에 설치된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이 회전하여 펼쳐지거나 다시 본래의 위치로 접혀지는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의 연결부에 커플링(14)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의 고정 커플링(14a)에 구동 모터(15)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15)의 기어(15a)가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의 이동 커플링(14b)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상기 커플링(14) 중 상기 하우징(11)에 고정되는 고정 커플링(14a)에 상기 구동 모터(15)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 모터(15)의 기어(15a)는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에 고정되는 이동 커플링(14b)에 연결된다. 상기 기어(15a)의 회전을 통해 상기 이동 커플링(14b)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5)의 동작으로 상기 기어(15a)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어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이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접혀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하우징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차단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부(10)의 상기 하우징(11) 내측에는 상기 차단판(12)의 인출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11b)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11b)의 양 단부에 각각 고정 홈(11c)이 형성되어 완전히 인출된 상기 차단판(12)이 걸려 고정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차단판(12)은 일측 단부에 상기 고정 홈(11c)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2b)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2b)의 하부에는 상기 차단판(12)을 들어 올려 상기 고정부재(12b)를 상기 고정 홈(11c)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차단판(12)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조절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햇빛 차단장치(1)의 작동으로 상기 하우징(11)에 내장된 양 측의 상기 차단판(12)이 각각 인출되는 바, 상기 차단판(12)은 상기 하우징(11)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11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차단판(12)이 완전히 인출된 경우, 상기 차단판(12)의 고정과 상기 하우징(11)과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높이조절부(40)를 통해 상기 차단판(12)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차단판(12)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재(12b)를 상기 높이조절부(40)를 통해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재(12b)가 상기 고정 홈(11c)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의 내측에 와이어(16)와 연결된 모터(16a)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16)가 상기 차단판(12)의 연결 고리(12c)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모터(16a)의 동작으로 와이어(16)를 감아줄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과 차단판(12)이 와이어(16)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차단판(12)이 동작되기 때문에 차단판(12)이 하우징(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
상기 차단판(12)이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모터(16a)가 와이어(16)를 감아줌으로써 상기 차단판(12)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조절부(40)는 상기 고정 홈(11c)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12b)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41)의 신호로 동작하는 스텝 모터(42), 상기 스텝 모터(42)에 연결되어 상기 스텝 모터(42)의 동작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스크류(43), 및 상기 스크류(43)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12b)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받침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텝 모터(42)의 작동으로 상기 받침부재(44)와 연결된 상기 스크류(43)를 상승시켜 상기 받침부재(44)가 상기 차단판(12)의 고정부재(12b)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고정 홈(11c)에 고정부재(12b)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판(12)이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11)과 높이를 맞춰줄 수 있다.
즉, 상기 차단판(12)이 완전히 인출되어 차단판(12)의 고정부재(12b)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41)가 신호를 보내어 상기 지지부(20)의 실린더(21) 동작을 멈추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부(40)의 스텝 모터(42)가 동작하여 스크류(43) 및 받침부재(44)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차단판(12)의 고정부재(12b)를 상승시켜 상기 고정 홈(11c)에 고정하는 구조이다.
상기의 동작을 통해 상기 하우징(11)의 양 측에 설치된 각각의 차단판(12)이 완전히 인출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차단판(12)의 양 단부에 고정되어 차단판(12)을 상기 하우징(11)에서 인출하거나 하우징(11)에 삽입하는 실린더(21)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21)의 하단부는 차체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차단판(12)에 고정된 상태로 평상시에는 차체의 필러에 접촉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햇빛 차단장치(1)를 작동하여 상기 차단판(12)을 인출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21)가 이동하면서 상기 차단판(12)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실린더(21)의 하단에 설치된 스텝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동작하여 실린더(21)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21)의 상부를 이루는 실린더 로드(21a)의 높이가 가변되면서 실린더(21)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 로드(21a)의 높이는 상기 차단판(12)의 위치에 따라 가변되기 때문에 차단판(12)의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의 승하강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햇빛 차단장치(1)의 동작을 위해 상기 차단부(10)를 차량(2)의 루프(2a)에서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야 한다. 이를 위해 차량(2)의 루프(2a)에는 상기 승하강부(30)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승하강부(30)는 차량 루프(2a)의 사이드부재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부재는 차량(2)의 루프(2a)에 루프 랙을 설치할 수 있도록 차량(2)에 기 설치된 부품이다. 상기 사이드부재는 홈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 홈에 상기 승하강부(30)를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승하강부(30)는 상기 스크류 모터(31)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 모터(31)의 동작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스크류(32), 및 상기 스크류(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되게 하는 리프팅 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30)는 상기 하우징(11)의 배면에 접촉되는 상기 리프팅 부재(33)의 상승을 통해 하우징(11)을 차량(2)의 루프(2a)에 대해 일정 높이만큼 들어 올리게 된다. 상기 승하강부(30)는 상기 스크류 모터(31)의 작동으로 상기 스크류(32)를 상승시킴으로써 스크류(32)와 연결된 상기 리프팅 부재(33)를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햇빛 차단장치(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승하강부(30)의 상부에는 커버(34)가 설치되어 승하강부(3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커버(34)의 설치 시 차량(2)의 루프(2a)가 평평하지 않고 라운드가 진 경우, 상기 커버(34)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루프(2a)와 접촉되지 못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34)와 루프(2a)의 사이 공간에 고무 패킹(35)을 삽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햇빛 차단장치가 설치를 위해 차량의 루프에서 상승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햇빛 차단장치가 펼쳐져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햇빛 차단장치(1)는 평상 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차량(2)의 주행 시에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햇빛 차단장치(1)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장치 상승단계와 차단판(12) 펼침 단계 및 보조 차단패널(11a,12a) 펼침 단계를 거치면서 햇빛 차단장치(1)가 차량(2)의 상부에 설치된다.
즉, 운전자의 스위치 동작으로 상기 햇빛 차단장치(1)를 작동시키면, 우선 차량(2)의 루프(2a)에 설치된 상기 승하강부(30)가 작동하여 상기 하우징(11)을 차량(2)의 루프(2a)에서 일정 높이만큼 들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을 차량(2)의 루프(2a)에서 들어 올리는 이유는 햇빛 차단장치(1)에 의해 생기는 그림자가 차량(2)을 보다 넓게 덮어줄 수 있고, 상기 햇빛 차단장치(1)와 차량(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2)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승된 상기 하우징(11)에서 상기 지지부(20)의 이동을 통해 상기 차단판(12)을 각각 인출하여 차단판(12)이 차량(2)의 전방 유리 및 후방 유리 상부에 배치되게 한다. 상기 차단판(12)을 이용하여 직사광선이 차량(2)의 전방 유리 및 후방 유리로 투과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단판(12)이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과 차단판(12)에 각각 설치된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을 펼쳐줌으로써 햇빛 차단 면적을 넓혀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이 차량(2)의 양 사이드미러 상부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햇빛 차단장치(1)의 작동으로 차량(2)의 상부에 그늘막과 같은 차단판(12) 및 보조 차단패널(11a,12a)이 설치되어 직사광선으로 인한 차량 내부 온도의 급격한 상승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햇빛 차단장치(1)의 설치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햇빛 차단장치(1)의 설치 순서와 반대로 진행된다. 상기 보조 차단패널(11a,12a)을 접고, 상기 차단판(12)이 하우징(11) 내부로 이동된 다음, 상기 하우징(11)을 하강시켜 차량(2)의 루프(2a)에 접촉시킨다.
따라서, 상기 차량(2)의 루프(2a)에 펼치거나 접어 넣을 수 있는 상기 햇빛 차단장치(1)가 설치되어 차량(2)의 주차 시 필요에 따라 사용함으로써 직사광선에 의해 차량(2)의 실내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2)의 루프(2a)에 설치된 햇빛 차단장치(1)가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2)의 햇빛 가리개를 운전자가 직접 설치하거나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햇빛 차단장치(1)를 필요에 따라 차량(2)에 설치하거나 설치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시기에만 햇빛 차단장치(1)를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운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햇빛 차단장치 2: 차량
2a: 루프 10: 차단부
11: 하우징 11a: 보조 차단패널
11b: 가이드 홈 11c: 고정홈
12: 차단판 12a: 보조 차단패널
12b: 고정부재 12c: 연결 고리
13: 핀 모터 13a: 연결 핀
14: 커플링 14a: 고정 커플링
14b: 이동 커플링 15: 구동 모터
15a: 기어 16: 와이어
16a: 모터 20: 지지부
21: 실린더 21a: 실린더 로드
30: 승하강부 31: 스크류 모터
32: 스크류 33: 리프팅 부재
34: 커버 35: 고무 패킹
40: 높이조절부 41: 리미트 스위치
42: 스텝 모터 43: 스크류
44: 받침부재

Claims (7)

  1. 차량의 루프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 유리 및 후방 유리 방향으로 각각 인출되는 한 쌍의 차단판을 포함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판에 연결된 상태로 차량의 필러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가 차량의 필러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실린더 로드의 높이조절을 통해 상기 차단판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인출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복수개의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의 상기 하우징 내측에는 상기 차단판의 인출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 단부에 각각 고정 홈이 형성되어 완전히 인출된 상기 차단판이 걸려 고정되며,
    상기 차단판은 일측 단부에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차단판을 들어 올려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 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단판의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단판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차단판에서 펼쳐짐을 통해 상기 차단부의 햇빛 가리는 면적을 넓혀주는 보조 차단패널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차단패널과 상기 보조 차단패널의 연결부에 핀 모터로 전진 또는 후진 동작되는 연결 핀이 설치되어, 상기 보조 차단패널과 상기 보조 차단패널을 서로 연결하여 함께 펼쳐지는 구조의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보조 차단패널의 연결부에 커플링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고정 커플링에 구동 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기어가 상기 보조 차단패널의 이동 커플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보조 차단패널이 회전되는 구조의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고정 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로 동작하는 스텝 모터, 상기 스텝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스텝 모터의 동작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KR1020180129900A 2018-10-29 2018-10-29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KR10207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00A KR102079991B1 (ko) 2018-10-29 2018-10-29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00A KR102079991B1 (ko) 2018-10-29 2018-10-29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991B1 true KR102079991B1 (ko) 2020-02-21

Family

ID=6967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900A KR102079991B1 (ko) 2018-10-29 2018-10-29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9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227A (ko) 1992-11-30 1994-06-25 오오가 노리오 동화상 복호화 장치
KR960028605U (ko) * 1995-02-08 1996-09-17 이구호 이동식 덮개판을 갖는 자동차
KR200164578Y1 (ko) * 1999-07-20 2000-02-15 이정태 비,눈막이창을갖는승객운송용차량의구조
KR200255962Y1 (ko) 2001-08-30 2001-12-13 석영태 차량용 간이햇빛가리개
JP2003034150A (ja) * 2001-07-24 2003-02-04 Kunio Harada 自動車カバーシート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227A (ko) 1992-11-30 1994-06-25 오오가 노리오 동화상 복호화 장치
KR960028605U (ko) * 1995-02-08 1996-09-17 이구호 이동식 덮개판을 갖는 자동차
KR200164578Y1 (ko) * 1999-07-20 2000-02-15 이정태 비,눈막이창을갖는승객운송용차량의구조
JP2003034150A (ja) * 2001-07-24 2003-02-04 Kunio Harada 自動車カバーシート装置
KR200255962Y1 (ko) 2001-08-30 2001-12-13 석영태 차량용 간이햇빛가리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6912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закрыванием крыш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510392B1 (ko) 루프탑 텐트구조체
JP543183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2079991B1 (ko)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EP1363804B1 (en) Sheltered aircraft supply vehicle
ES2394989T3 (es) Perfil de estanqueidad para puertas elástico como caucho
US7891729B2 (en) Sliding roof structur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US20030070775A1 (en) Retractable window shades for an automobile
KR101551103B1 (ko) 폴딩이 가능한 차량의 링크유닛
CN112848860A (zh) 一种汽车遮阳装置
JP2009215747A (ja) 建物
JP3047135B2 (ja) サンルーフ装置
KR100844420B1 (ko) 중대형차량의 전동식 선바이저 장치
KR102659087B1 (ko)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KR20040106744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JPH02212220A (ja) 電動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US20050039867A1 (en) Advanced extendible window covering system for a vehicle
JP3184938B2 (ja) サンルーフ装置
KR100435861B1 (ko)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커튼 작동장치
KR20230059350A (ko) 차량용 태양광 발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6442734A (zh) 一种玻璃升降背门系统及车辆
KR19990019143A (ko) 도어 내장용 블라인드
KR200325116Y1 (ko) 차량용 차양막
KR20220103662A (ko) 확대형 프레임, 포스트 시스템, 및 텐트 내장식 확장형 트럭
CN117485106A (zh) 一种遮阳装置、车辆以及遮阳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