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392B1 - 루프탑 텐트구조체 - Google Patents

루프탑 텐트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392B1
KR101510392B1 KR20140020525A KR20140020525A KR101510392B1 KR 101510392 B1 KR101510392 B1 KR 101510392B1 KR 20140020525 A KR20140020525 A KR 20140020525A KR 20140020525 A KR20140020525 A KR 20140020525A KR 101510392 B1 KR101510392 B1 KR 10151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roof
vehicle
main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완곤
Original Assignee
오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완곤 filed Critical 오완곤
Priority to KR2014002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392B1/ko
Priority to PCT/KR2014/005187 priority patent/WO201512601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60P3/34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comprising flexib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탑 텐트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 상에 배치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차량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본체와, 상기 장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텐트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에 의하면, 승강유닛을 통해 텐트의 설치 작업을 매우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할 수 있고, 확장유닛을 통해 텐트 내부공간의 크기를 간편하게 확장시킬 수 있어 다수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루프탑 텐트구조체{Roof top tent structure}
본 발명은 루프탑 텐트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으면서 내부의 공간을 간편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루프탑 텐트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을 이용한 다양한 오토 캠핑 장비들이 소개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레저용 차량은 밴 타입의 차량이 주로 이용된다. 레저용 차량에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목적 기능을 부가적으로 구비한 오토 캠핑 차량이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차량의 루프(지붕) 상부에 화물이나 짐을 보관할 수 있는 캐리어를 장착하거나 루프를 개폐 가능한 구조로 변경한 차량 등이 대표적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73213호에는 '차량용 텐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차량용 텐트'는 차량 차체의 지붕면에 고정되며 하부 내측 전후 방향으로 각각 두 개씩 양측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은 막혀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양측은 각각 개방부가 형성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가이드홈에 각각 상응하여 일정 길이 양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되는 확장판과, 양측 확장판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확장판의 끝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입설 하여 상호 대응하는 끝단을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텐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조프레임과, 골조프레임을 덮도록 형성되는 방수천막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차량용 텐트'는 평상시에는 차량의 지붕에 바닥판과 확장판을 고정 장착해 놓고 사용할 때는 바닥판에서 확장판을 당겨내고 지지프레임과 골조프레임을 펼치고 위에서 방수천막을 덮어 차량 지붕에 일체화되는 차량 텐트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텐트를 차량에 수납하여 필요할 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방수천막을 접고 펼칠 때 복잡한 조작 작업이 필요하고 설치 후 풍향 및 외부 충격 등에 의한 변형을 일으켜 텐트의 견고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1009507 B1 KR 10-2013-004229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루프탑 텐트의 설치를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으면서, 텐트 내부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많은 수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루프탑 텐트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는 차량의 루프 상에 배치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차량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본체와, 상기 장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차량의 루프 상에 배치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차량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본체와, 상기 장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텐트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본체의 선단 측과 후단 일 측 바닥부에 각각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 단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덮개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와 마주하는 타 측 바닥부에 각각 고정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중심이 상기 제1링크부재의 길이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링크부재와, 상기 제3링크부재의 타 단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중심이 상기 제2링크부재의 길이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제2링크부재의 타 단과 마주하는 상기 덮개의 타 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4링크부재와, 상기 제3링크부재와 상기 제4링크부재 사이에 설치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와, 전면부와, 후면부에 대하여 상기 본체의 측면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텐트의 설치공간을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부를 각각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측으로 이동시키는 확장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본체의 바닥부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고정된 복수의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중공부에 일 측이 출입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바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본체의 일 측 측면부 내측에 결합된 제1연장바와, 상기 제1지지바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바에 인접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고정된 제2지지바와, 상기 제2중공부에 일 측이 출입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바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본체의 타 측 측면부 내측에 결합된 제2연장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덮개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기 덮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시키거나 상기 덮개의 하부로 인입시킬 수 있게 설치된 지지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와 상기 차량의 전방 측 루프 사이에 설치되는 프런트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와 상기 차량의 후방 측 루프 사이에 설치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커버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케이스를 상기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루프랙에 설치할 때, 상기 케이스의 측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측면부와 상기 루프 사이에 설치되는 사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부는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제1판부와 제2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제1판부에 대하여 상기 제2판부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판부와 상기 제2판부 사이에 설치된 승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판부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고, 내부에 안내구멍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나란하게 상기 제2판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구멍을 따라 상기 가이드에 출입가능하게 형성된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전면부와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 사이로 삽입되는 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텐트의 설치공간을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확장시킬 수 있도록 된 확장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바닥부 상에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출입가능하게 된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상부에 일 단이 고정배치되고, 상기 연장바가 상기 지지바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일 측을 펼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형성된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에 의하면, 승강유닛을 통해 텐트의 설치 작업을 매우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할 수 있고, 확장유닛을 통해 텐트 내부공간의 크기를 간편하게 확장시킬 수 있어 다수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루프탑 텐트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루프탑 텐트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루프탑 텐트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다른 루프탑 텐트구조체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루프탑 텐트구조체의 정면도.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루프탑 텐트구조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1)는 케이스(100)와; 승강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차량(5)의 루프(R) 상에 배치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차량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본체와, 상기 장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는 차량(5)의 루프(R) 상에 고정설치되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길이방향 측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전면부(120)와 후면부(130)를 가지며, 바닥부(110)와 전면부(120)와 후면부(13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바닥부(110)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두 개의 측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110)는 차량(5) 루프(R)의 길이와 폭에 각각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20)는 차량(5)의 운행시 바람의 저항을 줄이도록 차량(5)의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며, 텐트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텐트를 지지하는 상기 덮개(150)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유닛(200)은 고정부재(210)와, 제1링크부재(220)와, 제2링크부재(230)와, 레일부(240)와, 제3링크부재(250)와, 제4링크부재(260)와, 액추에이터(270) 및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제1링크부재(220) 내지 제4링크부재(260)는 각각 한 쌍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한 구조로 설치하였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전면부(120)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의 선단 측과 후면부(130)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의 후단 일 측 바닥부(110)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바닥부(110)의 폭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바닥부(110) 폭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제1링크부재(2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브라켓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220)는 상기 고정부재(210)에 마련된 회동브라켓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 단은 후술하는 제2링크부재(23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바닥부(110)의 폭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230)는 상기 제1링크부재(220)의 타 단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 단은 상기 덮개(150)의 일 측 하부에 마련된 회동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링크부재(220)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부(240)는 상기 고정부재(210)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220)와 마주하는 타 측 바닥부(110)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레일부(240)는 후술하는 한 쌍의 제3링크부재(250)를 연결하는 연결봉이 레일부(24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링크부재(250)는 레일부(240)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면서 레일부(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길이중심이 상기 제1링크부재(220)의 길이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제4링크부재(26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3링크부재(250)는 제1링크부재(220)와 제2링크부재(230)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4링크부재(260)는 상기 제3링크부재(250)의 타 단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중심이 상기 제2링크부재(230)의 길이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제2링크부재(230)의 타 단과 마주하는 상기 덮개(150)의 타 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덮개(150)의 하부에는 제3링크부재(250)가 레일부(240)를 따라 이동할 때, 제4링크부재(260) 또한 제3링크부재(250)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부(110)에 설치된 레일부(240)와 동일한 레일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270)는 상기 제3링크부재(250)와 상기 제4링크부재(260)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3링크부재(250)에 대하여 제4링크부재(260)를 가까워지게 잡아당기거나 멀어지게 밀어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270)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액추에이터(2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조작자가 액추에이터(270)의 작동상태를 조작하여 덮개(15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3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1)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1)는 케이스(100)와; 승강유닛(200)과; 확장유닛과; 지지폴(400);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0)와 승강유닛(200)과 확장유닛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1)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확장유닛은 텐트의 설치공간을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부(140)를 각각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제1지지바(310)와, 제1연장바(320)와, 제2지지바(330)와, 제2연장바(3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바(310)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110)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110)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바닥부(11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바(310)는 사각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복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장바(320)는 상기 제1중공부에 일 측이 출입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바(310)에 삽입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본체의 일 측 측면부(140) 내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바(330)는 상기 제1지지바(310)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바(31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바(310)에 인접되도록 상기 바닥부(11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바(330) 또한 제1지지바(310)와 대응하는 사각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복수개가 구비된다.
제2연장바(340)는 상기 제2중공부에 일 측이 출입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바(330)에 삽입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본체의 타 측 측면부(140) 내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연장바(320)와 제2연장바(340)는 제1지지바(310)와 제2지지바(330)로부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지지바(310)와 제2지지바(330)에는 각각 제1연장바(320)와 제2연장바(340)의 인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위치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일 예로, 제1연장바(320)와 제1지지바(3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핀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폴(400)은 상기 덮개(150)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기 덮개(15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시키거나 상기 덮개(150)의 하부로 인입시킬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폴(400)은 텐트 설치시 텐트의 상부 공간을 바닥부(1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확장되게 텐트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폴(400)은 덮개(150)의 폭 방향 단부에 일 단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 텐트 설치시 덮개(150) 외측으로 펼치거나, 텐트 해체시 덮개(150)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낚시대와 같이 신축 가능한 신축봉을 덮개(150) 내측에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1)는 커버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의 커버유닛은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120)와 상기 차량(5)의 전방 측 루프(R) 사이에 설치되는 프런트커버(510)와,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부(130)와 상기 차량(5)의 후방 측 루프(R) 사이에 설치되는 리어커버(520)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커버(510)와 리어커버(520)는 전면부(120)와 후면부(130)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버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를 상기 차량(5)의 루프(R)에 장착된 루프랙(6)에 설치할 때, 상기 케이스(100)의 측면부(140)를 커버하도록 상기 측면부(140)와 상기 루프 사이에 설치되는 사이드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는 본체의 측면부(140)에 구비된 승강부(28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측면부(140)는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제1판부(141)와 제2판부(145)를 포함하고, 측면부(140)에는 제1판부(141)에 대하여 제2판부(145)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제1판부(141)와 제2판부(145) 사이에 설치된 승강부(28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280)는 제1판부(141)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고, 내부에 안내구멍이 형성된 가이드(281)와, 가이드(281)와 나란하게 제2판부(145)의 내측에 고정되고, 안내구멍을 따라 가이드(281)에 출입가능하게 형성된 로드(285)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판부(141)와 제2판부(145)는 승강부(280)에 의해 폭 방향 일 측 단부가 서로 접촉되어 있다가 제2판부(145)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제2판부(145)가 가이드(281)에 삽입된 로드(285)가 가이드(281) 외부로 빠지면서 상승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2판부(145)가 상승된 상태에서 제2판부(145)를 하방으로 누르면 로드(285)가 가이드(281)로 삽입되면서 제2판부(145)를 하강 및 제1판부(141)에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가이드(281)와 로드(285)에는 제2판부(145)를 제1판부(141)로부터 상승시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위치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부의 일 예로서, 가이드(281)와 로드(285)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고정핀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면부(140)의 일부를 상방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는 텐트의 측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는 본체와 덮개(150)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덮개(150)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텐트의 설치공간을 본체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확장시킬 수 있도록 된 확장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전면부(120)와 후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150)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전면부(120)와 상기 후면부(130) 사이로 삽입되어 전면부(120)와 후면부(130) 사이를 폐쇄하는 측면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유닛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바닥부 상에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바(350)와, 상기 지지바(350)에 출입가능하게 된 연장바(360)와, 상기 연장바(360)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패널(365)과, 상기 고정패널(365)의 상부에 일 단이 고정배치되고 상기 연장바(360)가 상기 지지바(350)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일 측을 펼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형성된 패드부(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바(350)는 본체의 바닥부(110)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가 배치되어 있고,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다.
상기 연장바(360)는 지지바(350)의 일 측과 타 측 단부에서 각각 지지바(350)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지지바(350) 내부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지지바(350)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지지바(35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패널(365)은 연장바(36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연장바(360)가 외측으로 인출될 때 연장바(360)와 함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후술하는 패드부(370)의 하단 일부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패드부(370)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텐트 내부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통상의 쿠션이나 깔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370)는 제1패드(371)부와 제2패드(375)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패드(371)부와 제2패드(375)부는 접을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패드부(370)는 지자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고정패널(365)의 상부에 제1패드(371)부의 외측 하단이 고정되어 있어, 고정패널(365)이 외측으로 이동할 때 고정패널(365)과 함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패드부(370)는 상기 고정패널(365)과 함께 이동시킨 후 제1패드(371)부에 대하여 제2패드(375)부를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펼치면 본체의 바닥부(110) 내지 연장바(360)의 상부 전체를 덮기 때문에 사용자가 텐트 내부에서 안락한 휴식이나 취침을 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덮개(150)에 구비된 측면부(140)는 고정패널(365)을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으로 확장시키는 구조와 같이 덮개(150)로부터 측면부(140)를 분리 및 외측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텐트의 상부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탑 텐트구조체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바닥부
120 : 전면부
130 : 후면부
140 : 측면부
200 : 승강유닛
210 : 고정부재
220 : 제1링크부재
230 : 제2링크부재
240 : 레일부
250 : 제3링크부재
260 : 제4링크부재
270 : 액추에이터
310 : 제1지지바
320 : 제1연장바
330 : 제2지지바
340 : 제2연장바
400 : 지지폴
510 : 프런트커버
520 : 리어커버

Claims (9)

  1. 차량의 루프 상에 배치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차량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본체와, 상기 장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텐트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와 상기 차량의 전방 측 루프 사이에 설치되는 프런트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후면부와 상기 차량의 후방 측 루프 사이에 설치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커버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텐트구조체.
  2. 차량의 루프 상에 배치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차량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본체와, 상기 장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텐트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본체의 선단 측과 후단 일 측 바닥부에 각각 고정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 단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덮개의 일 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와 마주하는 타 측 바닥부에 각각 고정된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중심이 상기 제1링크부재의 길이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링크부재와, 상기 제3링크부재의 타 단에 일 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중심이 상기 제2링크부재의 길이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제2링크부재의 타 단과 마주하는 상기 덮개의 타 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4링크부재와, 상기 제3링크부재와 상기 제4링크부재 사이에 설치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텐트구조체.
  3. 차량의 루프 상에 배치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차량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본체와, 상기 장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덮개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텐트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와, 전면부와, 후면부에 대하여 상기 본체의 측면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텐트의 설치공간을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측면부를 각각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확장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본체의 바닥부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고정된 복수의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중공부에 일 측이 출입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바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본체의 일 측 측면부 내측에 결합된 제1연장바와,
    상기 제1지지바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바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바에 인접되도록 상기 바닥부에 고정된 제2지지바와,
    상기 제2중공부에 일 측이 출입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바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본체의 타 측 측면부 내측에 결합된 제2연장바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는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제1판부와 제2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제1판부에 대하여 상기 제2판부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판부와 상기 제2판부 사이에 설치된 승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판부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고, 내부에 안내구멍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나란하게 상기 제2판부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구멍을 따라 상기 가이드에 출입가능하게 형성된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텐트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케이스를 상기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루프랙에 설치할 때, 상기 케이스의 측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측면부와 상기 루프 사이에 설치되는 사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탑 텐트구조체.
  8. 삭제
  9. 삭제
KR20140020525A 2014-02-21 2014-02-21 루프탑 텐트구조체 KR101510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0525A KR101510392B1 (ko) 2014-02-21 2014-02-21 루프탑 텐트구조체
PCT/KR2014/005187 WO2015126015A1 (ko) 2014-02-21 2014-06-12 루프탑 텐트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0525A KR101510392B1 (ko) 2014-02-21 2014-02-21 루프탑 텐트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392B1 true KR101510392B1 (ko) 2015-04-09

Family

ID=5303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0525A KR101510392B1 (ko) 2014-02-21 2014-02-21 루프탑 텐트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0392B1 (ko)
WO (1) WO201512601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132A (ko) 2015-07-21 2017-02-02 박병섭 접철식 확장형 루프탑 텐트
US10543771B2 (en) 2016-06-05 2020-01-28 Yakima Products, Inc. Vehicle rooftop rack assembly
KR102362060B1 (ko) * 2021-04-26 2022-02-14 백충렬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KR20220139695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나인텍 루프 확장형 캠핑카
KR102489122B1 (ko) 2022-10-04 2023-01-18 주식회사 디자인오공일 차량용 루프 데크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652018U (zh) * 2015-09-11 2016-10-19 赵鹿 一种多功能房车
CN107554399A (zh) * 2017-09-30 2018-01-09 林桂炳 车辆扩展空间升降装置
CN111535652B (zh) * 2020-04-21 2023-03-17 上海城建职业学院 一种装配式建筑钢管支撑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556A (ja) * 1998-12-22 2000-07-04 Webasto Japan Kk 昇降ルーフのテント装置
KR200373213Y1 (ko) * 2004-10-27 2005-01-15 황철 차량용 텐트
JP2009528199A (ja) * 2006-01-09 2009-08-06 パトリス ジャンマリ アラン ブロシエ 自動車用折り畳み式ルーフテント
KR100917980B1 (ko) * 2008-11-27 2009-09-18 홍경삼 지붕형 확장 컨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028U (ko) * 2008-07-22 2010-02-01 방명석 직화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556A (ja) * 1998-12-22 2000-07-04 Webasto Japan Kk 昇降ルーフのテント装置
KR200373213Y1 (ko) * 2004-10-27 2005-01-15 황철 차량용 텐트
JP2009528199A (ja) * 2006-01-09 2009-08-06 パトリス ジャンマリ アラン ブロシエ 自動車用折り畳み式ルーフテント
KR100917980B1 (ko) * 2008-11-27 2009-09-18 홍경삼 지붕형 확장 컨테이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132A (ko) 2015-07-21 2017-02-02 박병섭 접철식 확장형 루프탑 텐트
US10543771B2 (en) 2016-06-05 2020-01-28 Yakima Products, Inc. Vehicle rooftop rack assembly
KR20220139695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나인텍 루프 확장형 캠핑카
KR102519660B1 (ko) * 2021-04-08 2023-04-10 주식회사 나인텍 루프 확장형 캠핑카
KR102362060B1 (ko) * 2021-04-26 2022-02-14 백충렬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KR102489122B1 (ko) 2022-10-04 2023-01-18 주식회사 디자인오공일 차량용 루프 데크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6015A1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392B1 (ko) 루프탑 텐트구조체
KR101367939B1 (ko) 캠핑카의 지붕 덮개 절첩장치
KR101376300B1 (ko) 캠핑카의 지붕 천막 절첩 유도장치
KR20140068881A (ko) 루프박스, 루프박스를 장착한 차량루프와 루프박스를 내장한 자동차
CN210363467U (zh) 车辆座椅和车辆
KR102403573B1 (ko) 자동 루프탑 텐트가 구비된 차량
KR102365923B1 (ko) 이동식 캠핑하우스
KR101009507B1 (ko) 휴식공간 탑재한 차량
KR200453229Y1 (ko) 오토바이 수리용 리프트
KR101241369B1 (ko) 캠핑하우스
KR101367938B1 (ko) 캠핑카의 루프 바닥 구조
JP4534236B2 (ja) キャンバストップ構造
JP6976825B2 (ja) 高所作業車
KR101876121B1 (ko) 폴딩식 시트와 연동되는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JP6255199B2 (ja) 脚立式作業台
CN203996374U (zh) 儿童推车
JP2012121335A (ja) スライド式拡張ハウス
JP2016049845A (ja) 多機能を有するスロープ装置
KR200496779Y1 (ko) 양측 전개식 차량용 루프탑 텐트
CN215361104U (zh) 一种车载帐篷和车辆
JP4198829B2 (ja) 車両用自動幌装置
JP6522804B2 (ja) キャンプコンテナ
CN216805192U (zh) 适于无人驾驶的可伸缩座椅
CN210970883U (zh) 滑动式顶杆组件及其应用的车顶帐篷
KR200496067Y1 (ko) 화물차의 적재함 탑재용 승강 하우징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