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60B1 -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060B1
KR102362060B1 KR1020210053597A KR20210053597A KR102362060B1 KR 102362060 B1 KR102362060 B1 KR 102362060B1 KR 1020210053597 A KR1020210053597 A KR 1020210053597A KR 20210053597 A KR20210053597 A KR 20210053597A KR 102362060 B1 KR102362060 B1 KR 10236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end
cover
link
roof
rotatab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충렬
백인천
Original Assignee
백충렬
백인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충렬, 백인천 filed Critical 백충렬
Priority to KR102021005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60P3/34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compris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5Enclosure-type carriers, e.g. containers,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공간부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도록 차량의 루프에 형성되는 확장유입구, 내부가 상기 확장유입구와 연통되도록 공간부를 갖고, 상기 루프에 구비되는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의 상측을 폐쇄시킨 상태로 확장시키 위한 확장루프상부덮개부, 및 상기 확장루프상부덮개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덮개승강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덮개의 내부 공간부를 상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어 공간을 확보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확장유입구를 통해 차량 실내공간부와 연통됨에 따라, 차량 실내공간에서의 천장 높이를 확보하여 안전감을 제공함은 물론, 실내공간에서 상측의 확장된 공간부로 이동 가능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Vehicle rooftop expansion device}
본 발명은 루프탑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루프 상측으로 공간부를 확장시키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차량 실내공간과 연통됨에 따라, 실내 공간을 확보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확장유입구를 통해 차량 실내공간부와 연통됨에 따라, 차량 실내공간에서의 천장 높이를 확보하여 안전감을 제공함은 물론, 실내공간에서 상측의 확장된 공간부로 이동 가능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벗어나 레저활동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레저용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 중 차량의 루프 위에 텐트를 설치하여 마치 이동식 주택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루프탑 텐트가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루프탑 텐트는 레저와 자동차 문화를 조화시킨 것으로서, 대형 트레일러나 캠핑카와는 달리 간편하게 자동차의 루프에 늘 장착한 상태에서 운행하고 필요에 따라 편리하면서 신속하게 설치하여 텐트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근자에 들어 점점 사용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도 캠핑 인구가 점차 늘어, 뉴스자료 등을 통해 소개된 국내 캠핑인구는 600만명으로 추산되며, 캠핑관련 시장의 규모는 추정계산을 통해서 10조 규모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 규모에 비해 국내 캠핑용품 및 기구들의 대부분은 외산브랜드를 카피하는 수준으로, 제품의 구성요소들 대부분이 이를 모방한 범위에서 벗어나질 못하여 품질면에서 유럽이나 미국제품에 대응하는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루프탑 텐트는 특허등록 제10-1748407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대체로 스프링 쇼바 방식을 이용한 관절방식으로써, 수직하중이 매우 적고 4점 발란스가 무너지면 텐트개방이 어렵기 때문에 환풍기 설치나 지붕내부 외부수납 등 제한사항이 많고 풍압에도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루프탑 텐트는 출입구가 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공간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꼭 차량 외부에서 출입해야됨에 따라, 바람이 강하거나 비가 오는 등의 날씨에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차량 루프에 공간을 확보하되, 차량과 일체로 설치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차량 실내에서도 이용이 가능하게 함에 따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차량 실내공간부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도록 차량의 루프에 형성되는 확장유입구, 내부가 상기 확장유입구와 연통되도록 공간부를 갖고, 상기 루프에 구비되는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의 상측을 폐쇄시킨 상태로 확장시키 위한 확장루프상부덮개부, 및 상기 확장루프상부덮개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덮개승강부,를 포함하여 상부덮개의 내부 공간부를 상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어 공간을 확보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확장유입구를 통해 차량 실내공간부와 연통됨에 따라, 차량 실내공간에서의 천장 높이를 확보하여 안전감을 제공함은 물론, 실내공간에서 상측의 확장된 공간부로 이동 가능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공간부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도록 차량의 루프에 형성되는 확장유입구, 내부가 상기 확장유입구와 연통되도록 공간부를 갖고, 상기 루프에 구비되는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의 공간부의 상측을 폐쇄시킨 상태로 확장시키 위한 확장루프상부덮개부, 및 상기 확장루프상부덮개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덮개승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장유입구는, 차량 루프 가장자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는, 상기 확장유입구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루프에 일체로 구비되는 확장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확장베이스프레임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확장베이스돌출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확장루프상부덮개부는, 상기 확장베이스돌출턱에 안착되며, 상기 확장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덮개, 다수 번 접히도록 유연성을 갖고, 상기 상부덮개와 확장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확장된 공간부를 가리기 위한 덮개가림부, 및 상기 상부덮개의 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루프 전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주행 시, 공기가 상부덮개에 직접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단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승강부는, 상기 상부덮개의 전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전단덮개승강부, 상기 상부덮개의 후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후단덮개승강부, 및 상기 전단덮개승강부와 후단덮개승강부를 제어하기 위한 승강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단덮개승강부는, 상기 확장베이스프레임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전단하부승강레일, 상기 전단하부승강레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덮개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전단상부승강레일, 상기 전단하부승강레일에 구비되는 전단하부고정블럭, 상기 전단하부승강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단하부이동블럭, 상기 전단상부승강레일에 구비되는 전단상부고정블럭, 상기 전단상부승강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단상부이동블럭, 하단부가 상기 전단하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전단상부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전단링크, 상단부가 상기 전단상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전단하부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부가 상기 제1전단링크의 중간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전단링크, 및 상기 제1전단링크와 제2전단링크를 절첩시키거나 펼침에 따라, 상기 상부덮개를 승강시키기 위한 전단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단실린더의 실린더몸체는 상기 전단하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는 상기 제2전단링크의 중앙부와 인접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후단덮개승강부는, 상기 확장베이스프레임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단하부승강레일, 상기 후단하부승강레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덮개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단상부승강레일, 상기 후단하부승강레일에 구비되는 후단하부고정블럭, 상기 후단하부승강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단하부이동블럭, 상기 후단상부승강레일에 구비되는 후단상부고정블럭, 상기 후단상부승강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단상부이동블럭, 하단부가 상기 후단하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후단상부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후단링크, 상단부가 상기 후단상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후단하부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부가 상기 제1후단링크의 중간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후단링크, 및 상기 제1후단링크와 제2후단링크를 절첩시키거나 펼침에 따라, 상기 상부덮개를 승강시키기 위한 후단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후단실린더의 실린더몸체는 상기 후단하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는 상기 제2후단링크의 중앙부와 인접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몸체가 상기 전단상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는 상기 제1전단링크의 중앙부와 인접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단실린더를 보조하여 상기 제1전단링크와 제2전단링크를 절첩시키거나 펼치기 위한 전단보조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몸체가 상기 후단상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는 상기 제1후단링크의 중앙부와 인접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후단실린더를 보조하여 상기 제1후단링크와 제2후단링크를 절첩시키거나 펼치기 위한 후단보조실린더,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단하부승강레일과 상기 전단상부승강레일, 상기 후단하부승강레일과 상기 후단상부승강레일은, 차량의 루프 전단부와 후단부에 대응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며, 각 한 쌍의 원형레일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높이를 각각 측정하기 위한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제어부는 각 위치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단덮개승강부와 후단덮개승강부를 제어하여 상부덮개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에 의하면, 상부덮개의 내부 공간부를 상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어 공간을 확보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확장유입구를 통해 차량 실내공간부와 연통됨에 따라, 차량 실내공간에서의 천장 높이를 확보하여 안전감을 제공함은 물론, 실내공간에서 상측의 확장된 공간부로 이동 가능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덮개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단덮개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조실린더와 후단보조실린더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단덮개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단덮개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단보조실린더와 후단보조실린더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10)는 확장유입구(100)와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200), 확장루프상부덮개부(300) 및 덮개승강부(400)를 포함한다.
확장유입구(100)는 차량 실내공간부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도록 차량의 루프(1)에 형성된다.
그리고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200)는 내부가 확장유입구(100)와 연통되도록 공간부를 갖고, 루프(1)에 구비된다.
확장루프상부덮개부(300)는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200)의 공간부의 상측을 폐쇄시킨 상태로 확장시키 위해 구비된다.
또한 덮개승강부(400)는 확장루프상부덮개부(300)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10)에 의하면, 확장루프상부덮개부(300)의 내부 공간부를 상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어 공간을 확보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확장유입구(100)를 통해 차량 실내공간부와 연통됨에 따라, 차량 실내공간에서의 천장 높이를 확보하여 안전감을 제공함은 물론, 실내공간에서 상측의 확장된 공간부로 이동 가능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유입구(100)는 차량 루프(1) 가장자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200)는 확장베이스프레임(210)과 확장베이스돌출턱(220)을 포함한다.
확장베이스프레임(210)은 확장유입구(100) 주변에 위치되어 루프(1)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고정부재(미 도시)에 의해 루프(1)에 고정 된 후, 용접되어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확장베이스돌출턱(220)은 확장베이스프레임(210)을 따라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확장루프상부덮개부(300)는 상부덮개(310)와 덮개가림부(320) 및 전단커버(330)를 포함한다.
상부덮개(310)는 확장베이스돌출턱(220)에 안착되며, 확장베이스프레임(210)의 상측에 구비된다.
또한 덮개가림부(320)는 다수 번 접히도록 유연성을 갖고, 상부덮개(310)와 확장베이스프레임(210) 사이에 구비되어 확장된 공간부를 가리기 위해 구비된다.
물론, 이 덮개가림부(320)는 방수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며, 경우에 따라, 출입도어(322)가 구비된다.
전단커버(330)는 상부덮개(310)의 전측에 위치되도록 루프(1) 전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주행 시, 공기가 상부덮개(310)에 직접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전단커버(330)는 확장베이스프레임(210)의 전단부 전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차량의 루프(1) 전단부와 앞유리창의 일부에 걸쳐서 설치된다.
이러한 전단커버(330) 역시, 복수의 고정부재와 용접 및 실린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일체로 설치된다.
그리고 덮개승강부(400)는 도 2 내지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덮개승강부(410)와 후단덮개승강부(420) 및 승강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전단덮개승강부(410)는 상부덮개(310)의 전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후단덮개승강부(420)는 상부덮개(310)의 후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승강제어부(430)는 전단덮개승강부(410)와 후단덮개승강부(42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전단덮개승강부(4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하부승강레일(411)과 전단상부승강레일(412), 전단하부고정블럭(413), 전단하부이동블럭(414), 전단상부고정블럭(415), 전단상부이동블럭(416), 제1전단링크(417), 제2전단링크(418) 및 전단실린더(419)를 포함한다.
전단하부승강레일(411)은 확장베이스프레임(210)의 전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전단상부승강레일(412)은 전단하부승강레일(411)에 대응되도록 상부덮개(310)의 전단부에 구비된다.
전단하부고정블럭(413)은 전단하부승강레일(411)에 구비된다.
또한 전단하부이동블럭(414)은 전단하부승강레일(4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전단상부고정블럭(415)은 전단상부승강레일(412)에 구비된다.
그리고 전단상부이동블럭(416)은 전단상부승강레일(4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전단링크(417)는 하단부가 전단하부고정블럭(4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가 전단상부이동블럭(41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2전단링크(418)는 상단부가 전단상부고정블럭(4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전단하부이동블럭(4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부가 제1전단링크(417)의 중간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단실린더(419)는 제1전단링크(417)와 제2전단링크(418)를 절첩시키거나 펼침에 따라, 상부덮개(310)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전단실린더(419)의 실린더몸체(4192)는 전단하부고정블럭(4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4194)는 제2전단링크(418)의 중앙부와 인접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후단덮개승강부(42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하부승강레일(421)과 후단상부승강레일(422), 후단하부고정블럭(423), 후단하부이동블럭(424), 후단상부고정블럭(425), 후단상부이동블럭(426), 제1후단링크(427), 제2후단링크(428) 및 후단실린더(429)를 포함한다.
후단하부승강레일(421)은 확장베이스프레임(210)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후단상부승강레일(422)은 후단하부승강레일(421)에 대응되도록 상부덮개(310)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후단하부고정블럭(423)은 후단하부승강레일(421)에 구비된다.
또한 후단하부이동블럭(424)은 후단하부승강레일(4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후단상부고정블럭(425)은 후단상부승강레일(422)에 구비된다.
그리고 후단상부이동블럭(426)은 후단상부승강레일(4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후단링크(427)는 하단부가 후단하부고정블럭(4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가 후단상부이동블럭(4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2후단링크(428)는 상단부가 후단상부고정블럭(42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후단하부이동블럭(4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부가 제1후단링크(427)의 중간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단실린더(429)는 제1후단링크(427)와 제2후단링크(428)를 절첩시키거나 펼침에 따라, 상부덮개(310)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후단실린더(429)의 실린더몸체(4292)는 후단하부고정블럭(4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4294)는 제2후단링크(428)의 중앙부와 인접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전단하부승강레일(411)과 전단상부승강레일(412), 후단하부승강레일(421), 후단상부승강레일(422)은 차량의 루프(1) 전단부와 후단부에 대응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며, 각 한 쌍의 원형레일이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단하부이동블럭(414)과 전단상부이동블럭(416), 후단하부이동블럭(424), 후단상부이동블럭(426)은 각 해당 승강레일(411, 412, 421, 422)의 원형레일에 대응되도록 가이드가 형성됨이 당연하다.
또한 덮개승강부(400)는 수평유지부(460)를 더 포함한다.
이 수평유지부(460)는 중량부(462)와 제1수평유지링크(464) 및 제2수평유지링크(466)를 포함한다.
중량부(462)는 일정 중량을 갖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수평유지링크(464)는 하단부가 중량부(46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단부는 제1전단링크(417)와 제2전단링크(418)의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2수평유지링크(466)는 하단부가 제1수평유지링크(464)의 하단부와 동일한 축상에서 중량부(46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단부는 전단실린더(419)의 로드(4194)가 연결되는 제2전단링크(418)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상부덮개(310)가 차량 루프(1)에 위치될 경우, 중량부(462)는 제1전단링크(417)와 제2전단링크(418)가 연결되는 중앙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부덮개(310)가 상측으로 상승될 경우, 전단실린더(419) 방향으로 이동하여 무게 중심을 유지함에 따라, 상부덮개(310)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단실린더(419)에 의해 제1전단링크(417)와 제2전단링크(418)가 펼쳐져 상부덮개(310)가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 전단하부고정블럭(413)과 전단상부고정블럭(415)에 의해 해당 전단링크(417, 418)의 단부는 고정된 상태로, 전단하부이동블럭(414)과 전단상부이동블럭(416)에 의해 다른 단부는 각 승강레일(411, 412)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펼쳐진 제1전단링크(417)와 제2전단링크(418)는 전단하부고정블럭(413)과 전단상부고정블럭(415)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위치되어 상부덮개(310)의 하단 중앙부와 일측면부만 지지한다.
여기서, 중량부(462)는 제1전단링크(417)와 제2전단링크(418)의 중심을 일측면부 방향으로 유지시켜 상부덮개(310)에 의해 타측면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힘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수평유지부(460)는 후단덮개승강부(420)에도 구비되며, 전단덮개승강부(410)에 구비되는 방식이 동일함에 따라,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덮개승강부(400)는 전단보조실린더(440)와 후단보조실린더(450)를 더 포함한다.
전단보조실린더(440)는 실린더몸체(442)가 전단상부고정블럭(4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444)는 제1전단링크(417)의 중앙부와 인접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단실린더(419)를 보조하여 제1전단링크(417)와 제2전단링크(418)를 절첩시키거나 펼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후단보조실린더(450)는 실린더몸체(452)가 후단상부고정블럭(42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454)는 제1후단링크(427)의 중앙부와 인접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단실린더(429)를 보조하여 제1후단링크(427)와 제2후단링크(428)를 절첩시키거나 펼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상부덮개(31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단실린더(419), 후단실린더(429), 전단보조실린더(440), 후단보조실린더(45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실린더로 일반적인 구성임에 따라,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10)는 위치센서(500)를 더 포함한다.
이 위치센서(500)는 상부덮개(310)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높이를 각각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위치센서(500)의 신호는 승강제어부(430)가 수신하여 전단덮개승강부(410)와 후단덮개승강부(420)를 제어하여 상부덮개(3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상부덮개(3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이게 승강시킬 수 있다.
10 : 루프탑 확장장치 100 : 확장유입구
200 :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 300 : 확장루프상부덮개부
310 : 상부덮개 320 : 덮개가림부
330 : 전단커버 400 : 덮개승강부
410 : 전단덮개승강부 420 : 후단덮개승강부
430 : 승강제어부 440 : 전단보조실린더
450 : 후단보조실린더 500 : 위치센서

Claims (10)

  1. 차량 실내공간부를 상측으로 개방시키도록 차량의 루프에 형성되는 확장유입구;
    내부가 상기 확장유입구와 연통되도록 공간부를 갖고, 상기 루프에 구비되는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
    상기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의 공간부의 상측을 폐쇄시킨 상태로 확장시키 위한 확장루프상부덮개부; 및
    상기 확장루프상부덮개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덮개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유입구는,
    차량 루프 전단, 후단, 양측단 가장자리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는,
    상기 확장유입구 주변에 위치되어 상기 루프에 일체로 구비되는 확장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확장베이스프레임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확장베이스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루프상부덮개부는,
    상기 확장유입구와 루프확장베이스프레임부의 공간부가 연통됨에 따라, 상측으로 확장된 차량 실내공간부를 제공하며,
    상기 확장베이스돌출턱에 안착되며, 상기 확장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덮개;
    다수 번 접히도록 유연성을 갖고, 상기 상부덮개와 확장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확장된 공간부를 가리기 위한 덮개가림부; 및
    상기 상부덮개의 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루프 전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주행 시, 공기가 상부덮개에 직접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단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승강부는,
    상기 상부덮개의 전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전단덮개승강부;
    상기 상부덮개의 후단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후단덮개승강부;
    상기 전단덮개승강부와 후단덮개승강부를 제어하기 위한 승강제어부; 및
    상기 상부덮개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덮개승강부는,
    상기 확장베이스프레임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전단하부승강레일;
    상기 전단하부승강레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덮개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전단상부승강레일;
    상기 전단하부승강레일에 구비되는 전단하부고정블럭;
    상기 전단하부승강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단하부이동블럭;
    상기 전단상부승강레일에 구비되는 전단상부고정블럭;
    상기 전단상부승강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단상부이동블럭;
    하단부가 상기 전단하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전단상부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전단링크;
    상단부가 상기 전단상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전단하부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부가 상기 제1전단링크의 중간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전단링크; 및
    상기 제1전단링크와 제2전단링크를 절첩시키거나 펼침에 따라, 상기 상부덮개를 승강시키기 위한 전단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덮개승강부는,
    상기 확장베이스프레임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단하부승강레일;
    상기 후단하부승강레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덮개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후단상부승강레일;
    상기 후단하부승강레일에 구비되는 후단하부고정블럭;
    상기 후단하부승강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단하부이동블럭;
    상기 후단상부승강레일에 구비되는 후단상부고정블럭;
    상기 후단상부승강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단상부이동블럭;
    하단부가 상기 후단하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후단상부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후단링크;
    상단부가 상기 후단상부고정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후단하부이동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부가 상기 제1후단링크의 중간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후단링크; 및
    상기 제1후단링크와 제2후단링크를 절첩시키거나 펼침에 따라, 상기 상부덮개를 승강시키기 위한 후단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유지부는,
    일정 중량을 갖도록 구비되는 중량부;
    하단부가 중량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단부는 제1전단링크와 제2전단링크의 연결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수평유지링크; 및
    하단부가 제1수평유지링크의 하단부와 동일한 축상에서 중량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단부는 전단실린더의 로드가 연결되는 제2전단링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수평유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높이를 각각 측정하기 위한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제어부는 각 위치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단덮개승강부와 후단덮개승강부를 제어하여 상부덮개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실린더를 보조하여 상기 제1전단링크와 제2전단링크를 절첩시키거나 펼치기 위한 전단보조실린더; 및
    상기 후단실린더를 보조하여 상기 제1후단링크와 제2후단링크를 절첩시키거나 펼치기 위한 후단보조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하부승강레일과 상기 전단상부승강레일, 상기 후단하부승강레일과 상기 후단상부승강레일은,
    차량의 루프 전단부와 후단부에 대응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며, 각 한 쌍의 원형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10. 삭제
KR1020210053597A 2021-04-26 2021-04-26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KR10236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97A KR102362060B1 (ko) 2021-04-26 2021-04-26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97A KR102362060B1 (ko) 2021-04-26 2021-04-26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060B1 true KR102362060B1 (ko) 2022-02-14

Family

ID=8025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597A KR102362060B1 (ko) 2021-04-26 2021-04-26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0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589B1 (ko) * 2014-04-11 2014-07-17 박순규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KR101510392B1 (ko) * 2014-02-21 2015-04-09 오완곤 루프탑 텐트구조체
KR2018007791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화이트하우스코리아 캠핑카용 루프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392B1 (ko) * 2014-02-21 2015-04-09 오완곤 루프탑 텐트구조체
KR101420589B1 (ko) * 2014-04-11 2014-07-17 박순규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KR2018007791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화이트하우스코리아 캠핑카용 루프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939B1 (ko) 캠핑카의 지붕 덮개 절첩장치
WO2004080756A1 (ja) キャンピングカー
JP2005536666A (ja) 移動式伸張可能構造体の組立体支持システム
CN211969275U (zh) 一种车顶可升降式房车
KR102403573B1 (ko) 자동 루프탑 텐트가 구비된 차량
KR101949166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102362060B1 (ko) 차량용 루프탑 확장장치
CA2325059A1 (en) Extendable bay window for mobile living quarters
US6874283B1 (en) Stationary building construction with movable shuttle section
KR100917981B1 (ko)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KR102266162B1 (ko) 차량용 팝업루프 텐트
KR20150142480A (ko) 원터치식 차량용 텐트의 바닥면 세팅장치
KR20120108299A (ko) 캠핑카용 테이블
KR101241369B1 (ko) 캠핑하우스
KR101823049B1 (ko) 루프탑 텐트 리프트
KR101987486B1 (ko) 차량용 스텝 시스템
KR200496779Y1 (ko) 양측 전개식 차량용 루프탑 텐트
NL1044366B1 (en) Automotive tent
KR20210092913A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102519660B1 (ko) 루프 확장형 캠핑카
ES1291851U (es) Modulo escamoteable y habitable para techos de vehiculos
CN115822359A (zh) 一种汽车顶置可折叠小屋
KR200496067Y1 (ko) 화물차의 적재함 탑재용 승강 하우징 프레임
RU223175U1 (ru) Куз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трансформируемый в сцену
CN219904184U (zh) 组合式折叠厢体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