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981B1 -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981B1
KR100917981B1 KR1020080125664A KR20080125664A KR100917981B1 KR 100917981 B1 KR100917981 B1 KR 100917981B1 KR 1020080125664 A KR1020080125664 A KR 1020080125664A KR 20080125664 A KR20080125664 A KR 20080125664A KR 100917981 B1 KR100917981 B1 KR 10091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lding
cover
hinged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삼
Original Assignee
홍경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삼 filed Critical 홍경삼
Priority to KR102008012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는: 프레임을 구비한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본체부의 측방향으로 펼쳐져서 확장공간의 상측을 형성하는 커버부와, 본체부의 측면에 접철되었다가 커버부의 하측으로 전개되어서 확장공간의 측벽을 형성하는 접철지지부와, 접철지지부에 연결되어 접철지지부를 펼치거나 접도록 왕복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접철지지부의 내측으로 전개되어 확장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25664
본체부, 커버부, 접철지지부, 구동부재, 베이스부

Description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FOLDING TYPE EXPANSIVE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철된 지지부가 측방향으로 약 2배 또는 약 3배의 공간이 확장되어 펼쳐지는 것에 의하여, 컨테이너의 측면으로 확장 공간을 형성하는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카, 캠핑트레일러 및 화물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하는 컨테이너는 박스 형상의 구조체로 한정된 내부공간을 갖는다.
캠핑카 및 캠핑트레일러에 컨테이너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 컨테이너의 한정된 내부공간에 의해서 침대와 싱크대를 포함한 각종 편의시설이 설치되는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그리고, 컨테이너가 사무실이나 이동용 주택 등 주거공간 또는 상점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컨테이너의 내부공간이 확장되지 않는 것에 의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 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컨테이너는 하나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별도로 확장되는 공간이 구비되지 않은 것에 의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각종 용도로 사용되는 컨테이너가 확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정된 공간을 갖는 것에 의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는: 프레임을 구비한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본체부의 측방향으로 펼쳐져서 확장공간의 상측을 형성하는 커버부와, 본체부의 측면에 접철되었다가 커버부의 하측으로 전개되어서 확장공간의 측벽을 형성하는 접철지지부와, 접철지지부에 연결되어 접철지지부를 펼치거나 접도록 왕복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접철지지부의 내측으로 전개되어 확장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의 상측에는 삼각 단면 형상의 탑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에 힌지 연결되어 커버부의 회전동작을 안내하는 제1실린더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철지지부는, 본체부의 측면에 접철되어 보관되었다가 수평 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확장공간의 전후방을 차폐하는 측벽부 및 측벽부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전개하여 확장공간의 측면을 차폐하는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벽부는, 본체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1접철부재 및 제1접철부재와 격벽부재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제2접철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접철부재에 구동부재가 힌지 연결되어 본체부의 측방향으로 왕복 동작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는 왕복 동작을 갖는 제2실린더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는 종래 발명과 달리 본체부의 양측에 접철된 커버부와 접철지지부와 베이스부가 본체부의 양측으로 전개되면서 본체부의 양측에 확장공간을 형성하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 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요부구성이 드러나도록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요부구성이 드러나도록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실린더부재가 동작되어 커버부를 들어올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철지지부가 본체부의 양측으로 전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요부구성이 드러나도록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접철지지부가 본체부의 양측으로 전개가 완료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베이스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요부구성이 드러나도록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고정지지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구동부재와 제1접철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는, 프레임을 구비한 본체부(1)와, 본체부(1)의 상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본체부(1)의 측방향으로 펼쳐져서 확장공간(29)의 상측을 형성하는 커버부(10)와, 본체부(1)의 측면에 접철되었다가 커버부(10)의 하측으로 전개되어서 확장공간(29)의 측벽을 형성하는 접철지지부(19)와, 접철지지부(19)에 연결되어 접철지지부(19)를 펼치거나 접도록 왕복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재(50) 및 접철지지부(19)의 내측으로 전개되어 확장공간(29)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부(34)를 포함한다.
본체부(1)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체부(1)는 상측 뼈대를 형성하는 상측프레임(3)과 하측 뼈대를 형성하는 하측프레임(5) 및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본체부(1)는 판형상의 부재나 막대 형상의 부재 등 본체부(1)를 지지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재질과 형상을 갖는 재료들이 프레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체부(1)의 전면에는 내부공간을 드나들기 위한 통로인 도어부재(7)가 설치된다.
본체부(1)의 상측에 설치되는 탑부재(8)는 지붕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탑부재(8)는 삼각 단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빗물이나 이물질이 경사면(9)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커버부(10)는 본체부(1)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연결되며, 이를 위하여 커버부(10)와 본체부(1)의 사이에는 커버힌지부(12)가 구비된다.
커버힌지부(12)는 경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커버부(10)와 본체부(1)를 힌지 연결시키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힌지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커버부(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접철지지부(19)는, 본체부(1)의 측면에 접철되어 보관되었다가 수평 방향으로 전개되어 확장공간(29)의 전후방을 차폐하는 측벽부(20) 및 측벽부(20)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전개하여 확장공간(29)의 측면을 차폐하는 격벽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부재(26)에는 창문부재(28)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창문부재(28)의 삭제도 가능할 것이다.
측벽부(20)는, 본체부(1)와 힌지 연결되는 제1접철부재(22) 및 제1접철부재(22)와 격벽부재(26)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제2접철부재(24)를 포함한다.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철부재(22)는 제1힌지부(46)에 의해 본체부(1)에 힌지 연결되며, 제1접철부재(22)와 제2접철부재(24)는 접철힌지부(40)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제2접철부재(24)는 제2힌지부(48)에 의해 격벽부재(26)와 힌지 연결된다.
제1힌지부(46)와 제2힌지부(48) 및 접철힌지부(40)는 경첩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웃한 두 부재의 힌지 연결을 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힌지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왕복 동작을 하는 제1실린더부재(30)의 타측은 본체부(1)에 힌지 연결된다.
제1실린더부재(30)는 본체부(1)의 외측에 설치되며, 베이스부(34)를 전개하는 제2실린더부재(32)는 본체부(1)의 내측에 설치되나,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기술사상 안에서 제1실린더부재(30)와 제2실린더부재(32)의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지지부(19)를 전개시키거나 접히도록 하는 구동부재(50)는 제1접철부재(22)에 고정된 연결부재(52)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며, 구동부재(50)의 타측은 본체부(1)에 힌지 연결된다.
제1실린더부재(30)와 제2실린더부재(32)와 구동부재(5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왕복 운동을 제공하며, 왕복운동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실린더부재 외에도 다양한 기계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격벽부재(26)의 하측에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1지지부재(66)가 구비되어 제2접철부재(24)의 하단을 지지한다.
본체부(1)에도 제1지지부재(66)와 유사한 형상의 제2지지부재(68)가 구비되어, 제1접철부재(22)의 하단을 지지한다.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커버부(10)는 본체부(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경사면(9)을 타고 흐르는 빗물 등이 커버부(10)의 상측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간다.
이를 위하여 접철지지부(19)는 본체부(1)의 측벽보다 높이가 낮게 설치된다. 즉, 접철지지부(19)가 전개하여 확장공간(29)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1접철부재(22)와 제2접철부재(24)와 격벽부재(26) 순서로 상단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부재(30)에 의해 커버부(10)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이후에 구동부재(50)에 의해 접철지지부(19)가 측방향으로 전개되어 커버부(10) 하측에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커버부(10) 하측에는 레일홈부(54)가 구비된다.
레일홈부(54)는 접철지지부(19)의 측면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면레일(56)이 접철지지부(19)의 전개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레일홈부(54)의 일단에는 엔드레일(58)이 절곡 형성되어 격벽부재(26)의 상단을 구속한다.
확장공간(29)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부(34)는 왕복 동작을 갖는 제2실린더부재(32)에 연결되어 본체부(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설치가 이루어진다.
제2실린더부재(32)는 본체부(1) 내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며, 제2실린더부재(32)의 타측은 베이스부(34)에 고정된 회전브라켓(62)에 힌지 연결된다.
회전브라켓(62)의 일측은 베이스부(34)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브라켓(62)의 타측은 하측프레임(5)에 고정된 고정브라켓(60)에 힌지 연결된다.
본체부(1)의 일측에는 전기장치 및 기계장치를 포함한 전장부(44)가 설치된다. 전장부(44)에는 공기조화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장치들이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34)와 본체부(1)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80)는, 베이스부(34)의 회전각도를 구속하는 동시에 베이스부(34)의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는 본체부(1)의 양측으로 확장공간(29)을 형성하기 위하여, 커버부(10)와, 격벽부재(26)와 측벽부(20)로 이루어진 접철지지부(19)와, 확장공간(29)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34)가 본체부(1)의 양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부(1)의 일측으로만 커버부(10)와 접철지지부(19)와 베이스부(34)가 구비된 것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42)에 실려져서 이동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차량(42)에서 본체부(1)를 내려서 설치장소에 본체부(1)를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사무실이나 가정집 또는 캠핑카를 포함하여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42)에 실려져서 이동되는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는 설치장소에 도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부재(30)의 로드가 전진하며 커버부(10)를 본체부(1)의 측면으로 전개한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50)의 로드가 전진하여 제1접철부재(2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2접철부재(24)와 격벽부재(26)도 이동하면서 접철지지부(19)는 본체부(1)의 측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부재(50)와 힌지 연결된 제1접철부재(22)는 본체부(1)와 힌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접철부재(22)의 회전에 따라, 제1접철부재(22)와 접철힌지부(40)에 의하여 힌지 연결된 제2접철부재(24)도 회전하면서 펼쳐진 상태의 측벽부(20)를 형성하므로, 확장공간(29)의 앞과 뒷부분의 측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접철부재(24)의 회전에 따라 제2접철부재(24)와 제2힌지부(48)에 의해 연결된 격벽부재(26)는 본체부(1)의 측방향으로 전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50) 로드의 전진이 완료되면 격벽부재(26)의 상측은 엔드레일(58)에 걸리므로 격벽부재(26)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격벽부재(26) 하측에 구비된 고정지지부(70)를 동작시켜 설치장소에 격벽부재(26)를 고정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지부(70)는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재(72)와, 상기 하우징부재(72)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동작되는 이동바(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부재(72)의 내측에는 고정돌기(74)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고정돌기(74)와 연결된 작동돌기(75)는 하우징부재(72) 외측에 구비된다.
작동돌기(75)는 스프링(76)이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작동돌기(75)를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스프링(76)의 힘에 의하여 작동돌기(75)는 하우징부재(72)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고정돌기(74)가 걸리도록 이동바(77)의 측면에는 고정홈(78)이 구비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고정지지부(70)의 동작을 설명하면, 작동돌기(75)를 잡아당기면 자중에 의하여 이동바(77)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바(77)가 고정될 위치에 이르게 되면 작동돌기(75)를 놓아서 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돌기(75) 및 고정돌기(74)는 원위치로 이동된다.
고정돌기(74)가 이동바(77)의 고정홈(78)에 들어가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이동바(77)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접철지지부(19)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부재(32)의 로드를 전진시켜 고정브라켓(60)을 중심으로 회전브라켓(62)과 베이스부(34)가 회전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4)의 회전이 완료되어 확장공간(29)의 하측면을 형성하면, 본체부(1)의 일측으로 확장공간(29)을 형성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34)의 회전시 와이어부재(80)의 길이에 의하여 베이스부(34)의 회전이 일정한 각도 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커버부(10)와 접철지지부(19)와 베이스부(34)는 본체부(1)의 양측에 구비되며, 동일한 구성과 동작상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는 본체부(1)의 일측으로만 확장공간(29)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양측에 확장공간(29)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1)의 양측으로 확장공간(29)을 형성하는 것은 본체부(1)의 일측에 확 장공간(29)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는 차량(42)에 실려진 상태에서 설치가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를 차량(42)으로부터 내려서 설치할 수 있다.
접철지지부(19)가 펼쳐지면 탑부재(8)의 경사면(9)과 연장된 형상으로 커버부(10)도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탑부재(8)와 커버부(10)는 경사진 형상의 지붕을 형성한다.
그리고, 확장공간(29)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체부(1)의 양측으로 커버부(10)와 접철힌지부(19)가 동시에 전개되어 본체부(1)의 양측에 확장공간(29)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과, 본체부(1)의 일측에 먼저 확장공간(29)을 형성한 이후에 본체부(1)의 타측에 확장공간(29)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동작순서에 의해 확장공간(29)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는 차량에 장착되거나 실려진 상태에서 본체부(1)의 일측에만 커버부(10)와 접철지지부(19)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커버부(10)와 접철지지부(19)가 전개되어 본체부(1)의 일측으로만 확장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의 일측에만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의 타측에만 확장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체부(1)의 타측에 접철지지부(19)와 커버 부(10)를 구비한 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는 캠핑카, 캠핑트레일러 및 화물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하는 컨테이너는 박스를 포함하여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무실이나 이동용 주택, 주거공간 및 상점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폴딩형 확장 컨테니어는 탑부재(8)와 커버부(10)가 지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전통 미풍양식에 의한 심미감을 추구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에 실려져서 이동되는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캠핑카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운반체에 연결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캠핑 용도를 포함하여 사무실이나 상점 등 다양한 용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요부구성이 드러나도록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요부구성이 드러나도록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실린더부재가 동작되어 커버부를 들어올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철지지부가 본체부의 양측으로 전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요부구성이 드러나도록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접철지지부가 본체부의 양측으로 전개가 완료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베이스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요부구성이 드러나도록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고정지지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구동부재와 제1접철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부 10: 커버부
19: 접철지지부 20: 측벽부
22: 제1접철부재 24: 제2접철부재
26: 격벽부재 29: 확장공간
30: 제1실린더부재 32: 제2실린더부재
34: 베이스부 40: 접철힌지부
50: 구동부재 52: 연결부재
54: 레일홈부 70: 고정지지부
80: 와이어부재

Claims (7)

  1. 프레임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측방향으로 펼쳐져서 확장공간의 상측을 형성하는 커버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접철되었다가 상기 커버부의 하측으로 전개되어서 상기 확장공간의 측벽을 형성하는 접철지지부;
    상기 접철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접철지지부를 펼치거나 접도록 왕복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접철지지부의 내측으로 전개되어 상기 확장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철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접철되어 보관되었다가 수평 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확장공간의 전후방을 차폐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전개하여 상기 확장공간의 측면을 차폐하는 격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본체부와 힌지 연결되는 제1접철부재; 및
    상기 제1접철부재와 상기 격벽부재에 양측이 힌지 연결되는 제2접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철부재에 상기 구동부재가 힌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의 측방향으로 왕복 동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는 삼각 단면 형상의 탑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의 회전동작을 안내하는 제1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왕복 동작을 갖는 제2실린더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KR1020080125664A 2008-12-11 2008-12-11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KR10091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664A KR100917981B1 (ko) 2008-12-11 2008-12-11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664A KR100917981B1 (ko) 2008-12-11 2008-12-11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981B1 true KR100917981B1 (ko) 2009-09-18

Family

ID=4135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664A KR100917981B1 (ko) 2008-12-11 2008-12-11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9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130A1 (ko) * 2012-07-16 2014-01-23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절첩식 컨테이너
KR101503905B1 (ko) 2013-09-17 2015-03-19 강신구 캠핑컨테이너
WO2016143918A1 (ko) * 2015-03-10 2016-09-15 강신구 캠핑컨테이너
WO2016159506A1 (ko) * 2015-04-02 2016-10-06 한국차량공업(주) 확장식 쉘터 박스
KR101800585B1 (ko) * 2017-06-14 2017-11-22 김범수 전개 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373U (ko) 1980-07-09 1982-02-02
KR20000009076A (ko) * 1998-07-21 2000-02-15 양완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
KR200356213Y1 (ko) 2004-04-19 2004-07-14 김준기 트럭의 화물칸에 설치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메인 컨테이너
KR20070003392A (ko) * 2005-07-01 2007-01-05 황철 캠핑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373U (ko) 1980-07-09 1982-02-02
KR20000009076A (ko) * 1998-07-21 2000-02-15 양완 유개차 및 컨테이너의 실내공간을 자동으로 확장시키는 장치
KR200356213Y1 (ko) 2004-04-19 2004-07-14 김준기 트럭의 화물칸에 설치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메인 컨테이너
KR20070003392A (ko) * 2005-07-01 2007-01-05 황철 캠핑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130A1 (ko) * 2012-07-16 2014-01-23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절첩식 컨테이너
KR101503905B1 (ko) 2013-09-17 2015-03-19 강신구 캠핑컨테이너
WO2016143918A1 (ko) * 2015-03-10 2016-09-15 강신구 캠핑컨테이너
WO2016159506A1 (ko) * 2015-04-02 2016-10-06 한국차량공업(주) 확장식 쉘터 박스
KR101800585B1 (ko) * 2017-06-14 2017-11-22 김범수 전개 구조의 컨테이너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552B1 (ko) 폴딩형 확장 컨테이너
KR100917981B1 (ko) 접철형 확장 컨테이너
KR101420589B1 (ko)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CN105905024B (zh) 一种内部空间可扩展的旅居车
KR101367939B1 (ko) 캠핑카의 지붕 덮개 절첩장치
KR20070003392A (ko) 캠핑카
KR101510392B1 (ko) 루프탑 텐트구조체
CN205930460U (zh) 一种内部空间可扩展的旅居车
KR100917980B1 (ko) 지붕형 확장 컨테이너
KR101540013B1 (ko) 차량 적재형 캠핑하우스
KR20190070013A (ko) 접이식 건축 구조물
AU2013101700B4 (en) Folding Camper
KR20110096209A (ko) 공간 확장을 위한 폴딩형 공간구조물
CN202788082U (zh) 墙式隐形车库
KR100928556B1 (ko) 폴딩형 하우스
KR101096917B1 (ko) 캠핑 트레일러
KR101241369B1 (ko) 캠핑하우스
KR102519660B1 (ko) 루프 확장형 캠핑카
KR100894556B1 (ko) 확장형 컨테이너
CN206625356U (zh) 一种展开活动房
KR200402023Y1 (ko) 캠핑카
CN201254076Y (zh) 固定在物体一定高度上的卷轴式汽车遮阳篷
KR102023364B1 (ko) 확장 가능한 이동형 캠핑 하우스
KR20230036173A (ko) 공간활용도를 높인 확대형 컨테이너 트레일러
CN114892816A (zh) 一种展开活动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