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593B1 - 고정자 코어편 및 회전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고정자 코어편 및 회전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593B1
KR102077593B1 KR1020197015172A KR20197015172A KR102077593B1 KR 102077593 B1 KR102077593 B1 KR 102077593B1 KR 1020197015172 A KR1020197015172 A KR 1020197015172A KR 20197015172 A KR20197015172 A KR 20197015172A KR 102077593 B1 KR102077593 B1 KR 102077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stator core
groove
tip por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662A (ko
Inventor
유이치로 나카무라
도모야 우치무라
신이치 야마구치
하루유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Abstract

환상의 고정자 코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11a)은, 백 요크(11a1)와, 백 요크(11a1)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티스(11a2)로 구성되며, 티스(11a2)는, 백 요크(11a1)의 둘레 방향 중심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11a22)와, 베이스부(11a22)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선단부(11a21)를 구비하고, 선단부(11a21)의 내주부에는, 둘레 방향에서의 폭이 고정자 코어의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의 홈(3)이 형성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2 교점(IP2)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으로 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3 교점(IP3)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자 코어편 및 회전 전기 기기
본 발명은 백 요크(back yoke)와 백 요크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티스(teeth)로 구성되는 고정자 코어편 및 회전(回轉) 전기(電氣) 기기(機器)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철심은, 요크와 요크에 마련되는 복수의 티스를 구비하고, 토크 맥동에 의한 진동 저감을 위해서 티스의 지름 방향 내측에는, 고정자 철심의 중심을 향해 개구되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전기 기기의 지름 방향에서의 노치부의 폭은, 회전 전기 기기의 중심축의 둘레 방향에서의 노치부의 폭보다도 넓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4114372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고정자 철심에서는,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cogging torque)와, 자석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 중 일방밖에 저감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와, 자석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 쌍방을 저감할 수 있는 고정자 코어편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정자 코어편은, 환상(環狀)의 고정자 코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으로서, 고정자 코어편은, 백 요크(back yoke)와, 백 요크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티스(teeth)로 구성되며, 티스는, 백 요크의 둘레 방향 중심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선단부의 내주부에는, 둘레 방향에서의 폭이 고정자 코어의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중심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 내에서 선단부의 내주면의 곡선을 홈까지 연장한 가상 곡선과 선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과의 제1 교점으로부터, 베이스부 및 선단부의 경계와 이등분선과의 제2 교점까지의 동경(動徑, radius vector) 방향의 폭을, 제1 폭으로 하고, 제1 교점으로부터, 홈의 저면과 이등분선과의 제3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제1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고정자 코어편은,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와, 자석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 쌍방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고정자 코어를 구비한 회전 전기 기기의 중심축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을 회전 전기 기기의 중심축의 축선 방향에서의 고정자 코어의 단면(端面)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6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7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8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고정자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 2에 관한 회전자에서 생기는 코깅 토크와 홈의 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1, 2에 관한 회전자에서 생기는 코깅 토크와 홈의 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고정자 코어편 및 회전 전기 기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고정자 코어를 구비한 회전 전기 기기의 중심축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을 회전 전기 기기의 중심축의 축선 방향에서의 고정자 코어의 단면측이 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회전 전기 기기(100)는, 고정자(1)와 고정자(1)의 내측에 마련되는 회전자(2)를 구비한다. 회전 전기 기기(100)는 10극(極) 12슬롯의 전동기이다.
회전자(2)는, 회전자 코어(21)와 회전자 코어(21)에 마련되는 샤프트(22)와 복수의 영구 자석(23)을 구비한다. 회전자(2)는, 영구 자석(23)에 의한 자극(24)의 수(數)가 10이다.
회전자 코어(21)는, 미도시의 전자 강판 모재(母材)로부터 환상(環狀)으로 타발된 복수의 박판(薄板)을, 환상의 고정자 코어(11)의 중심축(AX)의 축선 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고정자 코어(11)의 중심축(AX)의 축선 방향은, 도 2 중에 화살표(D1)로 나타내는 방향이며, 회전 전기 기기(100)의 중심축의 축선 방향과 동일하다. 복수의 박판은, 코킹,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회전자 코어(21)와 고정자(1)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복수의 영구 자석(23)은, 회전자 코어(21)에 매립된 것이라도 좋고, 회전자 코어(21)의 외주면에 마련된 것이라도 좋다. 샤프트(22)는, 회전자 코어(21)의 축심부에, 수축 끼워맞춤, 냉각 끼워맞춤 또는 압입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자(1)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11a)을 환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고정자 코어(11)와, 회전 자계를 발생시키는 코일을 고정자 코어(11)에 감아 형성되는 권선(卷線)(12)을 구비한다. 고정자 코어편(11a)은, 미도시의 전자 강판 모재로부터 T자 모양으로 타발된 복수매의 박판을 축선 방향(D1)으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박판은, 코킹,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고정자 코어편(11a)은, 축선 방향(D1)에 대해서 수직인 단면 형상이, 당해 단면 형상의 이등분선(CP10)에 대해서 대칭이다. 이등분선(CP10)은, 선단부(11a21)를 둘레 방향(D2)으로 이등분하는 선이다. 백 요크(11a1)의 둘레 방향 중심(11a111)으로부터 중심축(AX)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이다. 둘레 방향 중심(11a111)은, 둘레 방향(D2)에서의 백 요크(11a1)의 외주부(11a11)의 폭을 이등분하는 선(8) 상에 위치한다.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11a)의 각각은, 백 요크(11a1)와, 백 요크(11a1)의 내주측(11a1a)에 마련되는 티스(11a2)를 구비한다. 티스(11a2)는, 백 요크(11a1)로부터 중심축(AX)을 향해 연장된다. 티스(11a2)는, 백 요크(11a1)의 둘레 방향 중심(11a111)으로부터 중심축(AX)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11a22)와, 베이스부(11a22)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선단부(11a21)를 구비한다. 부호 11a22a로 나타내는 선은, 베이스부(11a22)와 선단부(11a21)와의 사이의 경계를 나타낸다. 복수의 티스(11a2)의 각각은, 고정자(1)의 둘레 방향(D2)으로 이간하여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둘레 방향(D2)은 고정자 코어(11)의 둘레 방향과 동일하다. 고정자(1)에는, 서로 이웃하는 티스(11a2)의 사이의 영역에 슬롯(11a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11a) 내의 1개가 나타내어진다. 티스(11a2)는, 백 요크(11a1)로부터 중심축(AX)을 향해 연장되는 베이스부(11a22)와 선단부(11a21)를 구비한다. 선단부(11a21)는, 지름 방향(D3)에서의 티스(11a2)의 고정자 코어 중심측에 형성된다. 베이스부(11a22)와 선단부(11a21)와의 사이에는 근원부(11a23)가 형성된다. 근원부(11a23)는, 베이스부(11a22)와 선단부(11a21)와의 경계(11a22a)에 위치한다. 선단부(11a21)는, 둘레 방향(D2)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는, 도 1에 나타내는 회전자(2)와 대향한다.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에는 홈(3)이 형성되어 있다. 홈(3)은, 선단부(11a2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홈(3)은, 제1 홈(31) 및 제2 홈(32)에 의해 구성되며,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다.
제1 홈(31) 및 제2 홈(32)의 각각은, 도 1에 나타내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백 요크(11a1)의 외주부(11a11)를 향해 움푹 패인 형상이다. 제1 홈(31)은, 고정자 코어(11)의 중심축(AX)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티스(11a2)의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까지 연장된다. 제2 홈(32)은, 제1 홈(3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제1 홈(31)의 지름 방향(D3)의 외측에 형성된다. 제2 홈(32)은, 고정자 코어(11)의 중심축(AX)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티스(11a2)의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까지 연장된다.
선단부(11a21)에는 모서리부(5)가 형성된다. 모서리부(5)는,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와 제1 홈(31)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홈(3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1으로 하고, 티스(11a2)의 베이스부(11a2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2로 하며, 제2 홈(3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3로 했을 때, 폭(W1)은, 폭(W2)보다도 좁고 또한 폭(W3)보다도 넓다.
지름 방향(D3)에서의 제2 홈(32)의 저면(32a)으로부터 모서리부(5)까지의 폭을 W4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근원부(11a23)로부터 제1 교점(IP1)까지의 폭을 W5로 했을 때, 폭(W4)은, 폭(W5)보다도 좁다. 폭(W4)은, 홈(3)의 최대 깊이와 동일하다. 폭(W5)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선단부(11a21)와 베이스부(11a22)와의 경계(11a22a)까지의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와 동일하다. 즉 홈(3)의 최대 깊이는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보다도 얕다. 제1 교점(IP1)은, 이등분선(CP10)과 가상 곡선(11a4)과의 교점이다. 가상 곡선(11a4)은, 중심축(AX) 방향에 수직인 단면 내에서 선단부(11a21)의 내주면의 곡선을 홈(3)까지 연장한 선이다.
제1 교점(IP1)으로부터, 경계(11a22a)와 이등분선(CP10)과의 제2 교점(IP2)까지의 동경(動徑) 방향의 폭을, 제1 폭(W5)으로 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3 교점(IP3)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W4)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제1 폭보다도 좁다. 제3 교점(IP3)은, 홈(3)의 저면(32a)과 이등분선(CP10)과의 교점이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홈(3)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지름 방향(D3)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게 하는 것에 의해,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와,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와의 양쪽 모두를 저감할 수 있다.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는, 제1 홈(31)의 폭(W1)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저감되고,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는, 제2 홈(32)의 폭(W3)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저감된다.
구체적으로는, 10극 12슬롯의 회전 전기 기기의 경우,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는, 도 1에 나타내는 회전자(2)가 1회전할 때, 60차 및 120차 등과 같은 차수에서 발생한다. 60차는 10 및 12의 최소 공배수이다. 또 10극 12슬롯의 회전 전기 기기의 경우,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는, 도 1에 나타내는 회전자(2)가 1회전할 때, 12차 및 24차 등과 같은 차수에서 발생한다. 12차 및 24차는 슬롯수의 정수배이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제1 홈(31)의 폭(W1)을 조절함으로써, 60차 및 120차 등과 같은 차수에서 발생하는 코깅 토크가 저감되고, 제2 홈(32)의 폭(W3)을 조절함으로써 12차의 코깅 토크가 저감된다. 또 실시 형태 1에 관한 고정자 코어(11)에서는, 제2 홈(3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24차의 퍼미언스(permeance)가 증가하여 24차의 코깅 토크는 증가하지만, 홈(3)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지름 방향(D3)을 향해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퍼미언스의 변화가 완만하게 되기 때문에, 24차의 코깅 토크가 감소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11)에서는, 지름 방향(D3)에서의 제2 홈(32)의 저면(32a)으로부터 모서리부(5)까지의 폭(W4)을, 지름 방향(D3)에서의 근원부(11a23)로부터 제1 교점(IP1)까지의 폭(W5)보다도 좁게 하는 것에 의해, 갭 자속 밀도의 저하에 의한 토크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11)에서는, 제1 홈(31)의 저면에 제2 홈(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에 제1 홈(31) 및 제2 홈(32)이 개별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금형에 의한 타발(打拔)이 용이하게 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11)에는, W1>W3의 관계가 성립하는 형상의 홈(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갭 자속 밀도의 저하가 억제되어, 토크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 고정자 코어편(11a)의 홈(3)은, W1>W3×2의 관계가 성립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W1>W3의 관계가 성립하는 형상의 홈(3)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갭 자속 밀도의 저하가 보다 한층 억제되어, 토크의 저하가 보다 한층 억제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a)의 티스(11a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홈(3) 대신에 홈(3A)이 형성되어 있다. 홈(3A)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에서, 선단부(11a2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홈(3A)은, 제1 홈(31), 제2 홈(32) 및 제3 홈(33)에 의해 구성된다. 홈(3A)은,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며,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3단계로 변화한다.
제3 홈(33)은, 제2 홈(3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제3 홈(33)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11)의 중심축(AX)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티스(11a2)의 일단면으로부터 타단면까지 연장된다.
제2 홈(3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3로 하고, 제3 홈(33)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6로 했을 때, 폭(W6)은, 폭(W3)보다도 좁다. 또 지름 방향(D3)에서의 제3 홈(33)의 저면(33a)으로부터 모서리부(5)까지의 폭을 W4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근원부(11a23)로부터 제1 교점(IP1)까지의 폭을 W5로 했을 때, 폭(W4)은, 폭(W5)보다도 좁다. 폭(W4)은, 홈(3A)의 최대 깊이와 동일하다. 폭(W5)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선단부(11a21)와 베이스부(11a22)와의 경계(11a22a)까지의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와 동일하다. 즉 홈(3A)의 최대 깊이는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보다도 얕다.
제1 교점(IP1)으로부터, 경계(11a22a)와 이등분선(CP10)과의 제2 교점(IP2)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W5)으로 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3 교점(IP3)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W4)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제1 폭보다도 좁다. 제3 교점(IP3)은, 홈(3A)의 저면(33a)과 이등분선(CP10)과의 교점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A)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12차, 24차 및 60차 등과 같은 슬롯수의 정수배의 차수에서 발생하는 코깅 토크가 저감됨과 아울러, 슬롯수의 정수배 이외의 차수에서 발생하는 코깅 토크도 저감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B)의 티스(11a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홈(3) 대신에 홈(3B)이 형성되어 있다. 홈(3B)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에서, 선단부(11a2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홈(3B)은,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이다. 환언하면 홈(3B)은,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내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다.
홈(3B)의 백 요크(11a1)측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1으로 하고, 티스(11a2)의 베이스부(11a2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2로 하고, 홈(3B)의 백 요크(11a1)와는 반대측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3로 했을 때, 폭(W1)은, 폭(W2)보다도 좁고 또한 폭(W3)보다도 넓다.
선단부(11a21)에는 모서리부(5)가 형성된다. 모서리부(5)는,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와 홈(3B)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지름 방향(D3)에서의 홈(3B)의 저면(3B1)으로부터 모서리부(5)까지의 폭을 W4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근원부(11a23)로부터 제1 교점(IP1)까지의 폭을 W5로 했을 때, 폭(W4)은, 폭(W5)보다도 좁다. 폭(W4)은, 홈(3B)의 최대 깊이와 동일하다. 폭(W5)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선단부(11a21)와 베이스부(11a22)와의 경계(11a22a)까지의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와 동일하다. 즉 홈(3B)의 최대 깊이는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보다도 얕다.
제1 교점(IP1)으로부터, 경계(11a22a)와 이등분선(CP10)과의 제2 교점(IP2)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W5)으로 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3 교점(IP3)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W4)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제1 폭보다도 좁다. 제3 교점(IP3)은, 홈(3B)의 저면(3B1)과 이등분선(CP10)과의 교점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B)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12차, 24차 및 60차 등과 같은 슬롯수의 정수배의 차수에서 발생하는 코깅 토크가 저감됨과 아울러, 슬롯수의 정수배 이외의 차수에서 발생하는 코깅 토크도 저감된다. 또 고정자 코어편(11B)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폭(W1)이 폭(W3)보다도 넓기 때문에, 슬롯 사이의 누설 자속이 저감되고, 고부하시의 토크의 저하가 억제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부하시의 회전 전기 기기(100)에서는, 선단부(11a21)를 통과하여 인접하는 티스(11a2)에 흐르는 누설 자속이 커진다. 그 때문에 슬롯 개구 폭이 큰 회전 전기 기기(100)에서는 토크의 저하가 커진다. 폭(W1)이 폭(W3)보다도 넓은 경우, 선단부(11a21)를 통과하여 인접하는 티스(11a2)에 흐르는 누설 자속이 슬롯 상단 부분에서 억제되기 때문에, 누설 자속이 작아지고, 토크의 저하가 작아진다. 슬롯 상단 부분은, 도 2에 나타내는 슬롯(11a3) 내, 선단부(11a21)보다도 근원부(11a23)측의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C)의 티스(11a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홈(3) 대신에 홈군(群)(3C)이 형성되어 있다. 홈군(3C)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에서, 선단부(11a2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홈군(3C)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에 형성되는 2개의 제1 홈(31)과,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에 형성되는 제2 홈(32)에 의해 구성된다.
제2 홈(32)은 2개의 제1 홈(31)의 사이에 마련되고, 2개의 제1 홈(31)과 제2 홈(32)은, 둘레 방향(D2)에서, 제1 홈(31), 제2 홈(32) 및 제1 홈(31)의 순서로 배열된다. 제1 홈(31)과 제2 홈(32)은, 둘레 방향(D2)에서 서로 이간하여 배열된다. 제1 홈(31)과 제2 홈(32)과의 사이에는 돌기(41)가 형성된다.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와 제1 홈(31)과의 사이에는, 모서리부(51)가 형성된다.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와 제2 홈(32)과의 사이에는, 모서리부(52)가 형성된다.
지름 방향(D3)에서의 제1 홈(31)의 저면(31a)으로부터 모서리부(51)까지의 폭을 W41으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제2 홈(32)의 저면(32a)으로부터 모서리부(52)까지의 폭을 W42로 하며, 지름 방향(D3)에서의 근원부(11a23)로부터 제1 교점(IP1)까지의 폭을 W5로 했을 때, 폭(W42)은, 폭(W5)보다도 좁고 또한 폭(W41)보다도 넓다. 폭(W42)은, 제2 홈(32)의 최대 깊이와 동일하다. 폭(W5)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선단부(11a21)와 베이스부(11a22)와의 경계(11a22a)까지의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와 동일하다. 즉 제2 홈(32)의 최대 깊이는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보다도 얕다.
제1 교점(IP1)으로부터, 경계(11a22a)와 이등분선(CP10)과의 제2 교점(IP2)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W5)으로 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3 교점(IP3)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W4)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제1 폭보다도 좁다. 제3 교점(IP3)은, 제2 홈(32)의 저면(32a)과 이등분선(CP10)과의 교점이다.
둘레 방향(D2)에서의 일방의 모서리부(51)로부터 타방의 모서리부(51)까지의 폭을 W1으로 하고, 제1 홈(3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11으로 하고, 티스(11a2)의 베이스부(11a2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2로 하고, 제2 홈(3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3로 했을 때, 폭(W1)은, 폭(W2)보다도 좁고, 폭(W11)은, 폭(W2)보다도 좁고 또한 폭(W3)보다도 넓다.
홈군(3C)은, 도 3에 나타내는 홈(3)과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C)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제1 홈(31)의 폭(W11)을 조절함으로써,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가 저감되고, 제2 홈(32)의 폭(W3)을 조절함으로써,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가 저감된다. 또 제1 홈(31) 및 제2 홈(32)의 형상이 원형 및 장방형 등과 같은 단순한 형상이 아니고, 별 형상 및 V자 형상 등과 같은 복잡한 형상인 경우, 전자 강판 모재를 타발하는 금형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금형의 제작이 곤란하게 됨과 아울러 전자 강판 모재 타발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C)를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홈군(3C)을 구성하는 제1 홈(31) 및 제2 홈(32)의 형상을 단순한 장방형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 고정자 코어(11)의 제작이 용이하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다. 이하에서는,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D)의 티스(11a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홈(3) 대신에 관통공(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6)은, 선단부(11a2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관통공(6)은, 도 1에 나타내는 축선 방향(D1)에서의 티스(11a2)의 일단면 및 타단면을 관통한다.
관통공(6)은, 둘레 방향(D2)에서의 폭(W1)이 베이스부(11a22)의 폭(W2)보다도 좁은 제1 영역(6a)과, 둘레 방향(D2)에서의 폭(W3)이 폭(W1)보다도 좁은 제2 영역(6b)에 의해 구성된다. 제2 영역(6b)은, 제1 영역(6a)과 연통하여, 제1 영역(6a)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제2 영역(6b)은, 제1 영역(6a)보다도 베이스부(11a22)측에 형성된다.
지름 방향(D3)에서의 제2 영역(6b)의 단면(端面)(6d)으로부터, 지름 방향(D3)에서의 제1 영역(6a)의 티스(11a2)와는 반대측의 단면(6c)까지의 폭을 W4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근원부(11a23)로부터 제1 교점(IP1)까지의 폭을 W5로 했을 때, 폭(W4)은 폭(W5)보다도 좁다. 폭(W4)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관통공(6)의 최대 깊이와 동일하다. 폭(W5)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선단부(11a21)와 베이스부(11a22)와의 경계(11a22a)까지의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와 동일하다. 즉 관통공(6)의 최대 깊이는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보다도 얕다. 제1 교점(IP1)은, 이등분선(CP10)과, 선단부(11a21)의 내주면과의 교점이다.
제1 교점(IP1)으로부터, 경계(11a22a)와 이등분선(CP10)과의 제2 교점(IP2)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W5)으로 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3 교점(IP3)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W4)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제1 폭보다도 좁다. 제3 교점(IP3)은, 관통공(6)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면(端面)과 이등분선(CP10)과의 교점이다.
이와 같이 관통공(6)은,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다. 도 7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D)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는, 제1 영역(6a)의 폭(W1)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저감되고,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는, 제2 영역(6b)의 폭(W3)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저감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D)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1개의 티스(11a2)에 복수의 관통공을 마련하지 않고, 1개의 관통공(6)만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금형에 의한 타발이 용이하게 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D)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서는,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어지는 홈(3, 3A, 3B) 및 홈군(3C)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홈(3, 3A, 3B) 및 홈군(3C)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관통공(6)의 제조 편차에 기인하는 고정자 내경의 진원도가 저하하지 않고, 고정자 코어(11)의 진원도가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5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E)의 티스(11a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홈(3) 대신에, 관통공군(6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군(6A)은, 선단부(11a2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관통공군(6A)은, 2개의 제1 관통공(61)과 제2 관통공(62)에 의해 구성된다. 제2 관통공(62)은 2개의 제1 관통공(61)의 사이에 마련되고, 2개의 제1 관통공(61)과 제2 관통공(62)은, 둘레 방향(D2)에서, 제1 관통공(61), 제2 관통공(62) 및 제1 관통공(61)의 순서로 배열된다. 제1 관통공(61)과 제2 관통공(62)은, 둘레 방향(D2)에서 서로 이간하여 배열된다.
도 8에서는, 지름 방향(D3)에서의 제1 관통공(61)의 백 요크(11a1)와는 반대측의 단면(端面)의 위치는, 제2 관통공(62)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 지름 방향(D3)에서의 제2 관통공(62)의 백 요크(11a1)와는 반대측의 단면(端面)의 위치와 동일하다.
지름 방향(D3)에서의 제1 관통공(61)의 백 요크(11a1)측의 단면으로부터, 지름 방향(D3)에서의 제1 관통공(61)의 백 요크(11a1)와는 반대측의 단면까지의 폭을 W41으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제2 관통공(62)의 백 요크(11a1)측의 단면으로부터, 지름 방향(D3)에서의 제2 관통공(62)의 백 요크(11a1)와는 반대측의 단면까지의 폭을 W42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근원부(11a23)로부터 제1 교점(IP1)까지의 폭을 W5로 했을 때, 폭(W42)은 폭(W5)보다도 좁고 또한 폭(W41)보다도 넓다. 폭(W42)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제2 관통공(62)의 최대 깊이와 동일하다. 폭(W5)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선단부(11a21)와 베이스부(11a22)와의 경계(11a22a)까지의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와 동일하다. 즉 제2 관통공(62)의 최대 깊이는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보다도 얕다. 제1 교점(IP1)은, 이등분선(CP10)과, 선단부(11a21)의 내주면과의 교점이다.
제1 교점(IP1)으로부터, 경계(11a22a)와 이등분선(CP10)과의 제2 교점(IP2)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W5)으로 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3 교점(IP3)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W4)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제1 폭보다도 좁다. 제3 교점(IP3)은, 제2 관통공(62)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면과 이등분선(CP10)과의 교점이다.
둘레 방향(D2)에서의 일방의 제1 관통공(61)의 일단면으로부터, 둘레 방향(D2)에서의 타방의 제1 관통공(61)의 타단면까지의 폭을 W1으로 하고, 제1 관통공(6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11으로 하고, 티스(11a2)의 베이스부(11a2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2로 하며, 제2 관통공(6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3로 했을 때, 폭(W1)은, 폭(W2)보다도 좁고, 폭(W11)은, 폭(W2)보다도 좁고 또한 폭(W3)보다도 넓다.
이와 같이 관통공군(6A)은,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다. 도 8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E)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는, 제1 관통공(61)의 폭(W11)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저감되고,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는, 제2 관통공(62)의 폭(W3)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저감된다.
또 고정자 코어편(11E)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도 6에 나타내는 제1 홈(31) 및 제2 홈(32)과 마찬가지로, 관통공군(6A)을 구성하는 제1 관통공(61) 및 제2 관통공(62)의 형상을 단순한 장방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 고정자 코어(11)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E)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서는,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어지는 홈(3, 3A, 3B) 및 홈군(3C)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홈(3, 3A, 3B) 및 홈군(3C)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관통공군(6A)의 제조 편차에 기인하는 고정자 내경의 진원도가 저하하지 않고, 고정자 코어(11)의 진원도가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6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F)의 티스(11a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홈(3) 대신에 관통공군(6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군(6B)은, 선단부(11a2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관통공군(6B)은, 지름 방향(D3)으로 배열되는 제1 관통공(61) 및 제2 관통공(62)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관통공(61)과 제2 관통공(62)은, 지름 방향(D3)에서 서로 이간하여 배열된다. 제1 관통공(61)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 근처에 마련되고, 제2 관통공(62)은, 제1 관통공(61)의 백 요크(11a1)측에 마련됨과 아울러, 제1 관통공(6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마련되어 있다.
지름 방향(D3)에서의 제2 관통공(62)의 백 요크(11a1)측의 단면으로부터, 지름 방향(D3)에서의 제1 관통공(61)의 백 요크(11a1)와는 반대측의 단면까지의 폭을 W4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근원부(11a23)로부터 제1 교점(IP1)까지의 폭을 W5로 했을 때, 폭(W4)은, 폭(W5)보다도 좁다. 폭(W4)은, 제1 관통공(61)의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제2 관통공(62)의 지름 방향의 외측까지의 최대폭과 동일하다. 폭(W5)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선단부(11a21)와 베이스부(11a22)와의 경계(11a22a)까지의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와 동일하다. 즉 제1 관통공(61)의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제2 관통공(62)의 지름 방향의 외측까지의 최대폭은,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보다도 좁다. 제1 교점(IP1)은, 이등분선(CP10)과, 선단부(11a21)의 내주면과의 교점이다.
제1 교점(IP1)으로부터, 경계(11a22a)와 이등분선(CP10)과의 제2 교점(IP2)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W5)으로 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3 교점(IP3)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W4)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제1 폭보다도 좁다. 제3 교점(IP3)은, 제2 관통공(62)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면과 이등분선(CP10)과의 교점이다.
제1 관통공(6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1으로 하고, 티스(11a2)의 베이스부(11a2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2로 하고, 제2 관통공(6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3로 했을 때, 폭(W1)은, 폭(W2)보다도 좁고 또한 폭(W3)보다도 넓다.
이와 같이 관통공군(6B)은,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다. 도 9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F)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는, 제1 관통공(61)의 폭(W1)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저감되고,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는, 제2 관통공(62)의 폭(W3)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저감된다. 또 고정자 코어편(11F)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도 6에 나타내는 제1 홈(31) 및 제2 홈(32)과 마찬가지로, 관통공군(6B)을 구성하는 제1 관통공(61) 및 제2 관통공(62)의 형상을 단순한 장방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 고정자 코어(11)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 도 8에 나타내어지는 고정자 코어편(11E)에서는 티스(11a2)에 마련되는 관통공이 3개인 것에 대해, 도 9에 나타내어지는 고정자 코어편(11F)에서는 티스(11a2)에 마련되는 관통공이 2개이기 때문에, 관통공의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내어지는 고정자 코어편(11F)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은 고정자 코어(11)의 제작이 용이하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7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G)의 티스(11a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홈(3) 대신에, 홈(3D) 및 관통공(6C)이 형성되어 있다. 홈(3D)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에서, 선단부(11a2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관통공(6C)은, 선단부(11a2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관통공(6C)은, 지름 방향(D3)에서의 홈(3D)의 백 요크(11a1)측에 형성된다.
선단부(11a21)에는 모서리부(5)가 형성된다. 모서리부(5)는,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와 홈(3D)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지름 방향(D3)에서의 관통공(6C)의 백 요크(11a1)측의 단면으로부터 모서리부(5)까지의 폭을 W4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근원부(11a23)로부터 제1 교점(IP1)까지의 폭을 W5로 했을 때, 폭(W4)은, 폭(W5)보다도 좁다. 폭(W4)은, 선단부(11a21)의 내주면과 홈(3D)과의 사이의 모서리부(5)로부터 관통공(6C)의 지름 방향의 외측까지의 최대폭과 동일하다. 폭(W5)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선단부(11a21)와 베이스부(11a22)와의 경계(11a22a)까지의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와 동일하다. 제1 교점(IP1)은, 이등분선(CP10)과 가상 곡선(11a4)과의 교점이다.
제1 교점(IP1)으로부터, 경계(11a22a)와 이등분선(CP10)과의 제2 교점(IP2)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W5)으로 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3 교점(IP3)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W4)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제1 폭보다도 좁다. 제3 교점(IP3)은, 관통공(6C)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면과 이등분선(CP10)과의 교점이다.
홈(3D)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1으로 하고, 티스(11a2)의 베이스부(11a2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2로 하고, 관통공(6C)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3로 했을 때, 폭(W1)은, 폭(W2)보다도 좁고 또한 폭(W3)보다도 넓다.
도 10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G)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홈(3D)의 폭(W1)을 조절함으로써,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가 저감되고, 관통공(6C)의 폭(W3)을 조절함으로써,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가 저감된다. 또 고정자 코어편(11G)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도 6에 나타내는 제1 홈(31) 및 제2 홈(32)과 마찬가지로, 관통공(6C) 및 홈(3D)의 형상을 단순한 장방형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 고정자 코어(11)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 고정자 코어편(11G)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관통공(6C)의 폭(W3)보다도 홈(3D)의 폭(W1)을 크게 함으로써, 갭 자속 밀도의 저하가 억제되고, 토크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홈(3D)의 폭(W1)이 관통공(6C)의 폭(W3)보다도 넓은 경우의 예를 설명했지만, 홈(3D)의 폭(W1)은 관통공(6C)의 폭(W3)보다도 좁게 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의 제8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H)의 티스(11a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홈(3) 대신에, 2개의 홈(3E) 및 관통공(6D)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홈(3E) 및 관통공(6D)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에서, 선단부(11a21)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관통공(6D)은, 2개의 홈(3E)의 사이에 마련되고, 2개의 홈(3E)과 관통공(6D)은, 둘레 방향(D2)에서, 홈(3E), 관통공(6D) 및 홈(3E)의 순서로 배열된다.
선단부(11a21)의 내주부(4)와 홈(3E)과의 사이에는 모서리부(5)가 형성된다. 지름 방향(D3)에서의 관통공(6D)의 백 요크(11a1)측의 단면으로부터 모서리부(5)까지의 폭을 W41으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홈(3E)의 저면(3E1)으로부터 모서리부(5)까지의 폭을 W42로 하고, 지름 방향(D3)에서의 근원부(11a23)로부터 제1 교점(IP1)까지의 폭을 W5로 했을 때, 폭(W41)은, 폭(W5)보다도 좁고 또한 폭(W42)보다도 넓다. 또 폭(W42)은, 지름 방향(D3)에서의 관통공(6D)의 폭보다도 좁다. 폭(W4)은, 선단부(11a21)의 내주면과 홈(3E)과의 사이의 모서리부(5)로부터 관통공(6D)의 지름 방향의 외측까지의 최대폭과 동일하다. 폭(W5)은, 선단부(11a21)의 내주부(4)로부터 선단부(11a21)와 베이스부(11a22)와의 경계(11a22a)까지의 선단부(11a21)의 지름 방향 최소 두께와 동일하다. 제1 교점(IP1)은, 이등분선(CP10)과, 선단부(11a21)의 내주면과의 교점이다.
제1 교점(IP1)으로부터, 경계(11a22a)와 이등분선(CP10)과의 제2 교점(IP2)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W5)으로 하고, 제1 교점(IP1)으로부터 제3 교점(IP3)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W4)으로 했을 때, 제2 폭은, 제1 폭보다도 좁다. 제3 교점(IP3)은, 관통공(6D)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면과 이등분선(CP10)과의 교점이다.
둘레 방향(D2)에서의 일방의 홈(3E)의 일단면으로부터, 둘레 방향(D2)에서의 타방의 홈(3E)의 타단면까지의 폭을 W1으로 하고, 홈(3E)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11으로 하고, 티스(11a2)의 베이스부(11a22)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2로 하고, 관통공(6D)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을 W3로 했을 때, 폭(W1)은, 폭(W2)보다도 좁고, 폭(W3)는, 폭(W1)보다 좁고 또한 폭(W11)과 동일하다.
도 11에 나타내는 고정자 코어편(11H)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2개의 홈(3E)을 포함하는 폭(W1)을 조절함으로써,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가 저감되고, 관통공(6D)의 폭(W3)을 조절함으로써,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가 저감된다. 또 고정자 코어편(11H)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도 6에 나타내는 제1 홈(31) 및 제2 홈(32)과 마찬가지로, 관통공(6D) 및 홈(3E)의 형상을 단순한 장방형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 고정자 코어(11)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 고정자 코어편(11H)을 이용한 고정자 코어(11)에 의하면, 복수의 홈(3E)을 마련함으로써,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가 보다 한층 저감된다.
실시 형태 2.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고정자 코어의 사시도이다. 고정자 코어(1A)는, 도 1에 나타내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11a)을 대신하여,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11J)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자 코어편(11J)의 티스(11a2)의 선단부(11a21)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홈(3)이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홈(3)의 각각은, 축선 방향(D1)에서 서로 이간하여 배열된다. 고정자 코어편(11J)은, 홈(3)이 형성된 복수의 박판에 의해 구성되는 제1 강판군(7a)과, 당해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박판에 의해 구성되는 제2 강판군(7b)이 축선 방향(D1)으로 교호로 적층된 것이다.
고정자 코어(1A)에서는, 제1 강판군(7a)에서 생기는 코깅 토크와 제2 강판군(7b)에서 생기는 코깅 토크와의 각각의 위상이 반전하도록, 도 3에 나타내는 제1 홈(31) 및 제2 홈(32)의 각각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조절된다.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의 위상 및 진폭은, 제1 홈(31)의 폭(W1)에 의해 조절되고, 영구 자석(23)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의 위상 및 진폭은, 제2 홈(32)의 폭(W3)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제1 강판군(7a) 및 제2 강판군(7b)의 축선 방향(D1)에서의 적층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각 티스에서 위상이 반전한 코깅 토크의 진폭이 조절되고, 각 티스에서 발생하는 코깅 토크를 모두 더함으로써 고정자 전체의 코깅 토크가 저감된다. 또 선단부(11a21)에 홈(3)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선단부(11a21)의 축선 방향(D1)에서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전체에 걸쳐 홈(3)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갭 자속 밀도의 저하가 억제되고, 토크가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축선 방향(D1)에서의 선단부(11a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3개의 홈(3)이 형성되어 있지만, 홈(3)의 수는 2개 이상이면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홈(3)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홈(3)을 대신하여,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어지는 홈, 또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관통공을, 축선 방향(D1)에서의 선단부(11a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2개 이상 형성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홈(3)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홈(3)을 대신하여, 도 10 또는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홈 및 관통공의 세트를, 축선 방향(D1)에서의 선단부(11a2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2개 이상 형성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실시 형태 1, 2에서는, 회전 전기 기기의 고정자 코어에 마련된 티스에 홈 또는 관통공을 형성한 예를 설명했지만, 실시 형태 1, 2에서 설명한 홈 또는 관통공은,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에 적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홈 또는 관통공이 티스 선단부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홈 또는 관통공은 티스 선단부의 둘레 방향(D2)에서의 단부 근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홈 또는 관통공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면,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홈 또는 관통공을 티스 선단부의 둘레 방향(D2)에서의 중심부에 대해서 둘레 방향(D2)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홈 또는 관통공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면, 비대칭이라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을 환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고정자 코어를 설명했지만,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으로 구성된 고정자 코어 대신에, 환상으로 타발된 고정자 코어편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고정자 철심과, 고정자 철심의 일부가 연결되어 있는 조인트 랩(joint lap) 철심과, 고정자 철심이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는 조인트 랩 철심과, 코어 백 및 티스가 분리하는 고정자 내외 분할 철심 중 어느 것에서도, 홈 또는 관통공의 둘레 방향(D2)에서의 폭이 지름 방향(D3)의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홈 또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13은 실시 형태 1, 2에 관한 회전자에서 생기는 코깅 토크와 홈의 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도이다. 도 13의 세로축은, 자석의 자력의 편차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T1)를 나타내고, 도 13의 가로축은, 기준값을 1로 하여 도 3 등에 나타내는 제2 홈(32)의 폭(W3)을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1, 2에 관한 회전자에서 생기는 코깅 토크와 홈의 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도이다. 도 14의 세로축은, 자극수 및 슬롯수의 조합에 기인하여 생기는 코깅 토크(T2)를 나타내고, 도 14의 가로축은, 기준치를 1로 하여 도 3 등에 나타내는 제1 홈(31)의 폭(W1)을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제2 홈(32)의 폭(W3)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갭의 퍼미언스 분포가 변화하고, 퍼미언스가 원인으로 생기는 코깅 토크의 진폭과 위상이 변화한다. 제2 홈(32)의 폭(W3)이 0.4[p.u]보다도 작은 영역에서의 코깅 토크의 기울기와, 제2 홈(32)의 폭(W3)이 0.4[p.u]보다도 큰 영역에서의 코깅 토크의 기울기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1 홈(31)의 폭(W1)이 0.4[p.u]보다도 작은 영역에서의 코깅 토크의 기울기와, 제1 홈(31)의 폭(W1)이 0.7[p.u]보다도 큰 영역에서의 코깅 토크의 기울기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1 홈(31)의 폭(W1)이 0.4[p.u] 내지 0.7[p.u]까지의 코깅 토크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고정자 코어에서는, 이러한 코깅 토크와 홈폭과의 관계가 고려되어, 홈 또는 관통공의 폭이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고정자 2 : 회전자
3, 3A, 3B, 3D, 3E : 홈
3B1, 3E1, 31a, 32a, 33a : 저면
3C : 홈군 4 : 내주부
5, 51, 52 : 모서리부 6, 6C, 6D : 관통공
6A, 6B : 관통공군 6a : 제1 영역
6b : 제2 영역 6c, 6d : 단면
7a : 제1 강판군 7b : 제2 강판군
8 : 선 11 : 고정자 코어
11a, 11A, 11B, 11C, 11D, 11E, 11F, 11G, 11H, 11J : 고정자 코어편
11a1 : 백 요크 11a1a : 내주측
11a22a : 경계 11a11 : 외주부
11a111 : 둘레 방향 중심 11a2 : 티스
11a21 : 선단부 11a22 : 베이스부
11a23 : 근원부 11a3 : 슬롯
11a4 : 가상 곡선 12 : 권선
21 : 회전자 코어 22 : 샤프트
23 : 영구 자석 24 : 자극
31 : 제1 홈 32 : 제2 홈
33 : 제3 홈 41 : 돌기
61 : 제1 관통공 62 : 제2 관통공
100 : 회전 전기 기기 IP1 : 제1 교점
IP2 : 제2 교점 IP3 : 제3 교점

Claims (20)

  1. 환상(環狀)의 고정자 코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으로서,
    상기 고정자 코어편은, 백 요크(back yoke)와, 상기 백 요크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티스(teeth)로 구성되며,
    상기 티스는, 상기 백 요크의 둘레 방향 중심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의 내주부에는, 둘레 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고정자 코어의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상기 폭은 비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상기 중심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 내에서 상기 선단부의 내주면의 곡선을 상기 홈까지 연장한 가상 곡선과 상기 선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과의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선단부의 경계와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2 교점까지의 동경(動徑, radius vector) 방향의 폭을, 제1 폭으로 하고,
    상기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홈의 저면과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3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으로 했을 때,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상기 홈은, 제1 홈과, 상기 제1 홈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중심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홈의 상기 지름 방향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홈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홈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폭은, 상기 제2 홈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폭은, 상기 제2 홈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폭의 2배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8개 이상의 모서리부에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고정자 코어의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홈은, 8개 이상의 모서리부에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고정자 코어의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홈은, 8개 이상의 모서리부에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고정자 코어의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7. 환상의 고정자 코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으로서,
    상기 고정자 코어편은, 백 요크와, 상기 백 요크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티스로 구성되며,
    상기 티스는, 상기 백 요크의 둘레 방향 중심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의 내주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홈과, 복수의 상기 제1 홈의 각각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 코어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홈의 폭은, 상기 지름 방향에서의 상기 제1 홈의 폭보다도 넓고,
    상기 중심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 내에서 상기 선단부의 내주면의 곡선을 상기 제2 홈까지 연장한 가상 곡선과 상기 선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과의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선단부의 경계와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2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으로 하고,
    상기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선단부의 내주부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상기 제2 홈의 저면과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3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으로 했을 때,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8. 환상의 고정자 코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으로서,
    상기 고정자 코어편은, 백 요크와, 상기 백 요크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티스로 구성되며,
    상기 티스는, 상기 백 요크의 둘레 방향 중심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의 내주부에는, 둘레 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고정자 코어의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 내에서 상기 선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선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과의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선단부의 경계와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2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으로 하고,
    상기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면(端面)과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3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으로 했을 때,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9. 환상의 고정자 코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으로서,
    상기 고정자 코어편은, 백 요크와, 상기 백 요크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티스로 구성되며,
    상기 티스는, 상기 백 요크의 둘레 방향 중심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의 내주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제1 관통공과, 복수의 상기 제1 관통공의 각각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 코어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기 제2 관통공의 폭은, 상기 제1 관통공의 상기 지름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넓고,
    상기 중심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 내에서 상기 선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선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과의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선단부의 경계와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2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으로 하고,
    상기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제2 관통공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면(端面)과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3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으로 했을 때,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10. 환상의 고정자 코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으로서,
    상기 고정자 코어편은, 백 요크와, 상기 백 요크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티스로 구성되며,
    상기 티스는, 상기 백 요크의 둘레 방향 중심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의 내주부에는,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백 요크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공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은, 상기 제1 관통공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좁고,
    상기 중심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 내에서 상기 선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선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과의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선단부의 경계와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2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으로 하고,
    상기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제2 관통공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면(端面)과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3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으로 했을 때,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11. 환상의 고정자 코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으로서,
    상기 고정자 코어편은, 백 요크와, 상기 백 요크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티스로 구성되며,
    상기 티스는, 상기 백 요크의 둘레 방향 중심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의 내주부에는,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홈과 이간하여 상기 홈과 상기 백 요크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둘레 방향에서의 폭은, 상기 관통공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넓고, 또는 상기 관통공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좁으며,
    상기 중심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 내에서 상기 선단부의 내주면의 곡선을 상기 홈까지 연장한 가상 곡선과 상기 선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과의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선단부의 경계와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2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으로 하고,
    상기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면(端面)과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3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으로 했을 때,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12. 환상의 고정자 코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으로서,
    상기 고정자 코어편은, 백 요크와, 상기 백 요크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티스로 구성되며,
    상기 티스는, 상기 백 요크의 둘레 방향 중심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내주측에 마련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의 내주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의 상기 홈의 각각의 사이에 마련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 내에서 상기 선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선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과의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선단부의 경계와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2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1 폭으로 하고,
    상기 제1 교점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의 지름 방향 외측의 단면(端面)과 상기 이등분선과의 제3 교점까지의 동경 방향의 폭을, 제2 폭으로 했을 때,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선단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상기 홈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선단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의 세트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선단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상기 관통공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선단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의 세트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선단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의 세트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선단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상기 홈과 상기 관통공의 세트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코어편.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자 코어의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선단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상기 홈과 상기 관통공의 세트가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고정자 코어편.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고정자 코어편을 환상으로 늘어 놓아 구성되는 고정자 코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기.
KR1020197015172A 2017-04-05 2017-04-05 고정자 코어편 및 회전 전기 기기 KR102077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4241 WO2018185879A1 (ja) 2017-04-05 2017-04-05 固定子コア片及び回転電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662A KR20190064662A (ko) 2019-06-10
KR102077593B1 true KR102077593B1 (ko) 2020-02-17

Family

ID=6190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172A KR102077593B1 (ko) 2017-04-05 2017-04-05 고정자 코어편 및 회전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09178B1 (ko)
KR (1) KR102077593B1 (ko)
CN (1) CN110036552B (ko)
TW (1) TWI672891B (ko)
WO (1) WO2018185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030A1 (ja) * 2018-10-26 2020-04-30 日本電産株式会社 表面磁石型モータおよびモータモジュール
DE102019214076B3 (de) * 2019-09-16 2020-11-12 Magna powertrain gmbh & co kg Elektrische Maschine für ein Kraftfahrzeug
CN112564320A (zh) * 2020-11-30 2021-03-26 安徽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定子铁芯、定子、永磁同步电机、压缩机和制冷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136A (ja) 2004-02-20 2005-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及び密閉型圧縮機及びファンモータ
JP2015192592A (ja) 2014-03-31 2015-11-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7063599A (ja) 2015-09-01 2017-03-30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これを利用する動力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1575U (ko) * 1980-05-21 1981-12-18
JP2002165391A (ja) * 2000-11-27 2002-06-07 Nissan Motor Co Ltd 同期電動機
JP4114372B2 (ja) 2002-03-08 2008-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機
US7414347B2 (en) * 2004-03-23 2008-08-19 Emerson Electric Co. End cap for segmented stator
FR2887697B1 (fr) * 2005-06-28 2010-11-19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possedant des moyens de reduction de pertes
CN2927464Y (zh) * 2006-07-31 2007-07-25 日荣盛电机(深圳)有限公司 风扇用电容式电机定子芯片和转子芯片
CN101626188B (zh) * 2008-07-09 2012-11-07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一种电机、电机定子及电机定子芯片
CN102064619B (zh) * 2009-11-17 2014-08-13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串激电机、串激电机定子结构、串激电机定子芯片结构
WO2012026158A1 (ja) * 2010-08-26 2012-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及びそのステータコアを製造するためのステータコアの製造装置
EP2615721B1 (en) * 2010-09-06 2018-05-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ermanent magnet type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electrical power steering device using same
TWI454021B (zh) * 2011-12-21 2014-09-21 Fang Fu Chang Span is a capacitor running motor
JP2014068495A (ja) * 2012-09-27 2014-04-1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回転電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4236576A (ja) * 2013-05-31 2014-12-15 日本電産サーボ株式会社 インナーロータ型モータ
JP2015070663A (ja) * 2013-09-27 2015-04-13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CN103595153B (zh) * 2013-11-08 2016-09-28 上海赢双电机有限公司 优化设计加大槽面积的七槽旋转变压器
JP2015096024A (ja) * 2013-11-14 2015-05-18 アスモ株式会社 コア及びモータ
CN103746473A (zh) * 2014-01-13 2014-04-23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用于压缩机的电机及具有该电机的压缩机
JP6411833B2 (ja) * 2014-09-22 2018-10-24 株式会社ミツバ ブラシレスモータ
JP6328272B2 (ja) * 2014-12-09 2018-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固定子の製造方法、回転電機の製造方法、および鉄心ブロック
CN204578225U (zh) * 2015-05-10 2015-08-19 余姚市爱优特电机有限公司 一种有刷电机定子芯片与磁环的装配结构
CN205882876U (zh) * 2016-06-27 2017-01-11 中山市优威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串激通用电机所使用的定子芯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136A (ja) 2004-02-20 2005-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及び密閉型圧縮機及びファンモータ
JP2015192592A (ja) 2014-03-31 2015-11-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7063599A (ja) 2015-09-01 2017-03-30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単相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これを利用する動力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38290A (zh) 2018-10-16
KR20190064662A (ko) 2019-06-10
CN110036552B (zh) 2020-09-22
TWI672891B (zh) 2019-09-21
CN110036552A (zh) 2019-07-19
JP6309178B1 (ja) 2018-04-11
WO2018185879A1 (ja) 2018-10-11
JPWO2018185879A1 (ja)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7116B2 (en) Multi-gap rotary machine with dual stator and one rotor with dual permanent magnets and salient poles with dimensions and ratios for torque maximization
KR101911978B1 (ko) 토크 리플을 감소시킨 스포크 영구 자석 머신 및 그 제조 방법
US10020698B2 (en) Multi-gap type rotary electric machine including inner and outer stators and a rotor with inner and outer magnets
US7884508B2 (en) Linear motor
JP5382156B2 (ja) 回転電機
JP5813254B2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
US10284063B2 (en)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KR102077593B1 (ko) 고정자 코어편 및 회전 전기 기기
US10432043B2 (en) Slotted rotor-bridge for electrical machines
JP6497173B2 (ja) スイッチトリラクタンス回転機
JP2011147255A (ja) リラクタンスモータ
US20060108878A1 (en) Linear motor and stator core therefor
JPH11136892A (ja) 永久磁石電動機
JP2009106002A (ja) 電磁回転機械
US20220368183A1 (en) Rotor for a synchronous machine
KR102242638B1 (ko) 슬롯리스 전동기의 공극 자속 최대화를 위한 회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슬롯리스 전동기
JP2014212599A (ja) 誘導同期電動機
JP6355859B1 (ja) 回転子及び回転電機
CN216564692U (zh) 电机转子和电机
JP5309609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及び界磁子用コア
JP2009060721A (ja) リラクタンスモータ用回転子積層鉄心
US11296585B2 (en) Single stack multiphase transverse flux machines
US11316390B2 (en) Transverse flux machines
EP4329152A1 (en) Rotor
KR101745963B1 (ko) 동기릴럭턴스 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