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002B1 -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002B1
KR102077002B1 KR1020190040663A KR20190040663A KR102077002B1 KR 102077002 B1 KR102077002 B1 KR 102077002B1 KR 1020190040663 A KR1020190040663 A KR 1020190040663A KR 20190040663 A KR20190040663 A KR 20190040663A KR 102077002 B1 KR102077002 B1 KR 102077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receiving space
steam chamber
working flui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우
김종선
김상경
최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라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라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라앤코
Priority to KR1020190040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002B1/ko
Priority to JP2019150861A priority patent/JP2020174337A/ja
Priority to DE102019125357.8A priority patent/DE102019125357A1/de
Priority to US16/577,357 priority patent/US20200323103A1/en
Priority to CN201910992745.3A priority patent/CN111800526A/zh
Priority to TW108140413A priority patent/TW20203859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36Heat pipes, e.g. wicks or capillary pu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F28D15/04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construction of the capillar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2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selected or arranged to facilitate heating or cooling
    • H01L23/427Cooling by change of state, e.g. use of heat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프레임에 증기챔버를 두께 변화없이 일체형으로 제작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프레임에 장착부를 형성하여 증기챔버를 대응장착하고, 상호간의 용이한 체결을 위해 상호간의 테두리에 단턱을 형성하며, 단턱에는 홈과 돌기를 더 형성하여 체결력을 증대시킨 것이며, 스마트폰 프레임에 증기챔버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구조 및 스마트폰 프레임 자치에 증기챔버가 형성되는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한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Smartphone integrated vapor chamber}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프레임에 두께 변화없이 장착되어 일체를 이루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기본구조를 설명하면, 현재의 스마트폰의 구조는, 내부에 스테인레스 또는 마그네슘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구조에, 프레임 앞쪽에는 Display가 장착이 되고, 뒷쪽에는 구동 회로물과 Battery가 장착이 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CPU 처리속도가 빠르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CPU 작업량이 많아서 CPU의 발열이 크다. 더욱이 스마트폰의 슬림한 구조 때문에 스마트폰에는 효과적인 냉각수단을 설치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 열이 크게 발생하는데 스마트폰에서 발생한 과도한 열은 사용자에게 불쾌감 및 불안감을 유발시킨다. 즉 스마트폰은 배터리의 불량 등으로 인해 폭발사고가 보도되어 왔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너무 뜨거워지면 사용자는 큰 불안감에 휩싸일 수 있다. 이를 차치하더라도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열은 스마트폰 내의 반도체를 파손시키거나 작동의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가능한 신속하게 열을 방열 및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기존에는 스마트폰에서 내부 CPU 및 Battery에서 발생되는 발열을 heat pipe의 구조의 방열 장치로 냉각을 하였지만, 이러한 기존의 증기챔버로는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고 냉각효율이 좋지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 자세히는, 동 재질로 이루어진 증기챔버를 채용하면서, 내부 두께가 0.5mm나 두꺼워지고, 동재질이 너무 연질이다보니 약간의 충격이나 접촉에 쉽게 파손이 되며, 스마트폰의 내부 프레임에 양면 접착을 하다보니 열저항이 발생하여 방열에 안좋은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폰에 사용가능한 증기챔버의 제조개발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97251호(2012.10.29.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프레임에 홈과 단을 가공하고, 이러한 홈에 대응장착되어 프레임의 두께에 변화를 주지 않는 증기챔버를 구성한 것으로, 상호간의 용이한 대응장착을 위해 스마트폰 프레임의 단과 증기챔버의 테두리의 단 각각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장착은 스마트폰 프레임에 홈을 형성하여 증기챔버를 대응장착하는 경우, 스마트폰 프레임 자체에 증기챔버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용이 가능토록 한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베이스(11)에 상, 하로 관통된 장착부(12)를 천공형성하며, 상기 장착부(12)의 일면 테두리에 제 1단턱(13)을 형성하는 스마트폰 프레임(10); 상, 하부 플레이트(21, 22)가 접착되어 내부에 작동유체의 수용공간(24)을 형성하며,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의 장착부(12)에 대응장착되되, 베이스(11)의 상, 하면에 돌출되지 않고 동일수평선상을 이룰 수 있도록, 일면 테두리에 상기 제 1단턱(13)에 대응되는 제 2단턱(23)이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 프레임에 증기챔버가 프레임의 두께 변화없이 일체형으로 장착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증기챔버의 상호간 테두리에 단턱을 형성하여, 두께변화없이 스마트폰과 증기챔버 상호간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증기챔버 상호간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형성한, 각 테두리의 단턱에, 상호간 대응체결되는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력이 더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챔버가 스마트폰 프레임에 삽입장착되거나, 스마트폰 프레임 자체에 증기챔버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프레임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도 1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프레임에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프레임의 제 1단턱 및 홈과 돌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의 제 2단턱 및 홈과 돌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번째 실시예의 스마트폰 프레임 및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번째 실시예의 스마트폰 프레임 및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으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베이스(11)에 상, 하로 관통된 장착부(12)를 천공형성하며, 상기 장착부(12)의 일면 테두리에 제 1단턱(13)을 형성하는 스마트폰 프레임(10);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의 장착부(12)에 대응장착되되, 상, 하부 플레이트(21, 22)가 접착되어 내부에 작동유체의 수용공간(24)을 형성하며, 베이스(11)의 상, 하면에 돌출되지 않고 동일수평선상을 이룰 수 있도록, 일면 테두리에 상기 제 1단턱(13)에 대응되는 제 2단턱(23)이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는 상기 수용공간(24) 내에는 작동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메쉬(25)가 안착되거나, 또는 윅홈(27)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4) 테두리 주변에는 경납땜 접착제가 끼워진 후, 진공 브레이징 로에서 사전설정온도로 경납땜 공정이 진행되어 조립되며, 상기 경납땜 공정이후,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진공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면에 제 1수용부(15)를 함몰형성하는 상판(14)과, 상기 제 1수용부(15)와 대응되는 제 2수용부(17)를 함몰형성하는 하판(16)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프레임(10); 상기 상, 하판(14, 16)이 상호간 사전설정 접착수단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상, 하판(14, 16) 사이에서 제 1, 2수용부(15, 17)에 의해 작동유체의 수용공간(24)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24)은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로 사용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의 수용공간(24) 내에는 작동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메쉬(25)가 안착되거나, 또는 윅홈(27)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4) 테두리 주변에는 경납땜 접착제가 끼워진 후, 진공 브레이징 로에서 사전설정온도로 경납땜 공정이 진행되어 조립되며, 상기 경납땜 공정이후,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진공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제 1수용부(15)를 형성하며, 상기 제 1수용부(15)의 상단 테두리에 제 1단턱(13)을 형성하는 스마트폰 프레임(10); 상기 제 1단턱(13)에 대응되며 상호간 사전설정 접착수단을 통해 결합되되, 저면에는 상기 제 1수용부(15)와 대응되는 제 2수용부(17)를 형성하는 커버부(30)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2수용부(15, 17)에 의해 작동유체의 수용공간(24)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24)은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로 사용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의 수용공간(24) 내에는 작동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메쉬(25)가 안착되거나, 또는 윅홈(27)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4) 테두리 주변에는 경납땜 접착제가 끼워진 후, 진공 브레이징 로에서 사전설정온도로 경납땜 공정이 진행되어 조립되며, 상기 경납땜 공정이후,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진공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 1단턱(13)과 제 2단턱(23)에는 제 1, 2단턱(13, 23)이 상호간 대응되며 체결되는 돌기(31) 또는 홀(32)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간의 체결력을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는 상기 작동유체의 유입구(26)가 작동유체의 주입관 사용없이 직접 용접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는 스마트폰 프레임(10),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를 포함한다.
제 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 프레임(10)에 별도의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가 장착되어지는 경우이다.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은 스마트폰 프레임(10)의 베이스(11)에 사용자가 사전한 위치에서, 상, 하로 관통된 장착부(12)를 천공형성하고, 이러한 상기 장착부(12)의 일면 테두리(후술될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가 대응장착될 면)에 제 1단턱(13)이 함몰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는, 상, 하부 플레이트(21, 22)(상부 플레이트(21)(Vapor plate(재질: SUS)), 하부 플레이트(22)(Wick plate(재질:SUS)))가 상, 하로 접착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전술된 스마트폰 프레임(10)의 장착부(12)에 사전설정 접착수단(양면 테이프 접착, 납땜, 경납땜, 본딩의 접착방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개가 상호간 동시에 사용되어져 결합)으로 대응장착되는 것이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에 장착시 베이스(11)의 두께가 상면 또는 하면으로 더 돌출되어 스마트폰 프레임(10)이 두꺼워지지 않도록,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의 베이스(11)면과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며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는 전술된 장착부(12)에 대응되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의 일면 테두리에, 상기 제 1단턱(13)에 대응되는 제 2단턱(23)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상호간 결합되는 것이며, 이러한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는 내부에 작동유체의 수용공간(24)이 형성되어, 내부의 작동유체가 증기챔버 외부의 발열부(스마트폰 프레임(10) 내 각종 발열부(스마트폰에서 메인 컨트롤 보드 또는 밧데리 등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의 일면 일측에 밀착되어 열이 발생되는 위치))에 의해 내부 일측에서 가열되어 증기로 상승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응축되어 낙하된 후, 발열부 공간측을 향해 이동되는 순환을 반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 1, 2단턱(13, 23)에는 제 1, 2단턱(13, 23)이 상호간 대응되며 체결되는 돌기(31) 또는 홀(32)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간의 체결력을 증대되도록 할 수 있음인데, 제 1단턱(13)에 다수의 돌기(31)가 상호간 이격되며 돌출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 2단턱(23)에는 이러한 돌기(31)가 끼워질 홀(32)이 상호간 이격되며 상기 돌기(31)에 대응되어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제 1단턱(13)에 홀(32)이 형성되어 있다면 제 2단턱(23)에는 돌기(31)가 형성되어 있고, 제 1단턱(13)에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면, 제 2단턱(23)에는 홀(32)이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며,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단턱(13)과 제 2단턱(23)에 홀(32)과 돌기(31)가 교번 등으로 같이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이는 후술될 제 3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는 상기 수용공간(24) 내에는 작동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메쉬(25)(Mesh(재질: 동 또는 SUS))가 안착되고(또는 작동메쉬(25)와 함께 사용되거나 작용메쉬(25) 없이,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 내부 일면(또는 상, 하면)에 일방향을 향해 다양한 형상의 윅(wick)홈 이 연속형성), 상기 수용공간(24) 테두리 주변에는 경납땜 접착제가 끼워진 후, 진공 브레이징 로에서 사전설정온도로 경납땜 공정이 진행되어 조립되며, 상기 경납땜 공정이후,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진공처리된 후, 상기 작동유체의 유입구(26)가 작동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별도의 주입관없이 직접 용접처리되어 제작되는 것이다.
제 2, 3실시예로써는, 스마트폰 프레임(10)을 형성할 시, 이러한 스마트폰 프레임(10) 내부에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가 형성되는 경우이다.
즉, 제 2실시예의 경우, 도 7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 프레임(10)은 상판(14)과 하판(16)으로 구성되어 일체를 이루되, 일면에 제 1수용부(15)를 함몰형성하는 상판(14)과, 상기 제 1수용부(15)와 대응되는 제 2수용부(17)를 함몰형성하는 하판(16)이, 상호간 사전설정 접착수단을 통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 3실시예의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제 1수용부(15)를 형성하며, 상기 제 1수용부(15)의 상단 테두리에 제 1단턱(13)을 형성하는 스마트폰 프레임(10)과, 상기 제 1단턱(13)에 대응되며 상호간 사전설정 접착수단을 통해 결합되되, 저면에는 상기 제 1수용부(15)와 대응되는 제 2수용부(17)를 형성하여, 제 1, 2수용부(15, 17)에 의해 작동유체의 수용공간(24)이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과 일체를 이루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를 이루는 커버부(3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는, 커버부(30)가 스마트폰 프레임(10) 상부에 덮어짐으로써, 제 1, 2수용부(15, 17)에 의해 작동유체의 수용공간(24)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 내부에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가 형성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제 2, 3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의 상, 하판(14, 16)의 접착수단은, 전술된 제 1실시예에서 스마트폰 프레임(10)과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가 결합되어지는 접착수단의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 내의 작동메쉬(25) 장착 및 작동유체 주입 및 진공처리 과정 또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스마트폰 프레임 11: 베이스
12: 장착부 13: 제 1턱
14: 상판 15: 제 1수용부
16: 하판 17: 제 2수용부
20: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21: 상부 플레이트
22: 하부 플레이트 23: 제 2턱
24: 수용공간 25: 작동메쉬
26: 유입구 27: 윅홈
31: 돌기 32: 홀

Claims (5)

  1. 베이스(11)에 상, 하로 관통된 장착부(12)를 천공형성하며, 상기 장착부(12)의 일면 테두리에 제 1단턱(13)을 형성하는 스마트폰 프레임(10);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의 장착부(12)에 대응장착되되, 상, 하부 플레이트(21, 22)가 접착되어 내부에 작동유체의 수용공간(24)을 형성하며, 베이스(11)의 상, 하면에 돌출되지 않고 동일수평선상을 이룰 수 있도록, 일면 테두리에 상기 제 1단턱(13)에 대응되는 제 2단턱(23)이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는
    상기 수용공간(24) 내에는 작동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메쉬(25)가 안착되거나, 또는 윅홈(27)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4) 테두리 주변에는 경납땜 접착제가 끼워진 후, 진공 브레이징 로에서 사전설정온도로 경납땜 공정이 진행되어 조립되며,
    상기 경납땜 공정이후,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진공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2. 일면에 제 1수용부(15)를 함몰형성하는 상판(14)과, 상기 제 1수용부(15)와 대응되는 제 2수용부(17)를 함몰형성하는 하판(16)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프레임(10);
    상기 상, 하판(14, 16)이 상호간 사전설정 접착수단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상, 하판(14, 16) 사이에서 제 1, 2수용부(15, 17)에 의해 작동유체의 수용공간(24)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공간(24)은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로 사용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의 수용공간(24) 내에는 작동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메쉬(25)가 안착되거나, 또는 윅홈(27)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4) 테두리 주변에는 경납땜 접착제가 끼워진 후, 진공 브레이징 로에서 사전설정온도로 경납땜 공정이 진행되어 조립되며,
    상기 경납땜 공정이후,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진공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3. 내부에 제 1수용부(15)를 형성하며, 상기 제 1수용부(15)의 상단 테두리에 제 1단턱(13)을 형성하는 스마트폰 프레임(10);
    상기 제 1단턱(13)에 대응되며 상호간 사전설정 접착수단을 통해 결합되되, 저면에는 상기 제 1수용부(15)와 대응되는 제 2수용부(17)를 형성하는 커버부(30)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2수용부(15, 17)에 의해 작동유체의 수용공간(24)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24)은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로 사용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0)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의 수용공간(24) 내에는 작동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작동메쉬(25)가 안착되거나, 또는 윅홈(27)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4) 테두리 주변에는 경납땜 접착제가 끼워진 후, 진공 브레이징 로에서 사전설정온도로 경납땜 공정이 진행되어 조립되며,
    상기 경납땜 공정이후, 내부에 작동유체가 채워지고 진공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턱(13)과 제 2단턱(23)에는
    제 1, 2단턱(13, 23)이 상호간 대응되며 체결되는 돌기(31) 또는 홀(32)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간의 체결력을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20)는
    상기 작동유체의 유입구(26)가 작동유체의 주입관 사용없이 직접 용접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KR1020190040663A 2019-04-08 2019-04-08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KR102077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63A KR102077002B1 (ko) 2019-04-08 2019-04-08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JP2019150861A JP2020174337A (ja) 2019-04-08 2019-08-21 スマートフォン一体型蒸気チャンバ
DE102019125357.8A DE102019125357A1 (de) 2019-04-08 2019-09-20 In smartphone integrierte verdunstungskammer
US16/577,357 US20200323103A1 (en) 2019-04-08 2019-09-20 Vapor chamber integrated with smartphone
CN201910992745.3A CN111800526A (zh) 2019-04-08 2019-10-18 智能手机一体型均热板
TW108140413A TW202038594A (zh) 2019-04-08 2019-11-07 智慧型手機一體型均熱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63A KR102077002B1 (ko) 2019-04-08 2019-04-08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002B1 true KR102077002B1 (ko) 2020-02-13

Family

ID=6951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663A KR102077002B1 (ko) 2019-04-08 2019-04-08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23103A1 (ko)
JP (1) JP2020174337A (ko)
KR (1) KR102077002B1 (ko)
CN (1) CN111800526A (ko)
DE (1) DE102019125357A1 (ko)
TW (1) TW2020385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203A1 (ko) * 2021-02-22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베이퍼 챔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17405A4 (en) * 2020-03-24 2023-08-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IDFRAME ARRANGEMENT
US11871541B2 (en) 2021-02-22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vapor cha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239587A (zh) 2021-03-04 2022-10-16 宸寰科技有限公司 薄型化封裝接著結構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384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방열판식 배터리를 부착한 휴대폰
KR20040096390A (ko) * 2003-05-09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냉각 장치
JP2008177275A (ja) * 2007-01-17 2008-07-3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放熱構造体及び携帯端末
KR101197251B1 (ko) 2010-07-30 2012-11-05 김우진 스마트폰의 방열케이스
JP2015012586A (ja) * 2013-07-02 2015-01-1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
KR20170007093A (ko) *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Nfc 안테나 일체형 방열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JP2018091512A (ja) * 2016-11-30 2018-06-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ベーパーチャン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7786A (zh) * 2012-03-21 2013-09-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4797120A (zh) * 2014-01-21 2015-07-22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US20190027424A1 (en) * 2017-07-19 2019-01-24 Heatscape.Com, Inc. High strength high performance reinforced vapor chamber and related heatsinks
CN107949238A (zh) * 2017-11-10 2018-04-2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六研究所 一种带支撑柱结构的均热板散热装置及其制备方法
CN207518646U (zh) * 2017-11-28 2018-06-19 深圳睿思精密制造有限公司 手机中板及手机
CN108683765A (zh) * 2018-07-23 2018-10-19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384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방열판식 배터리를 부착한 휴대폰
KR20040096390A (ko) * 2003-05-09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냉각 장치
JP2008177275A (ja) * 2007-01-17 2008-07-3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放熱構造体及び携帯端末
KR101197251B1 (ko) 2010-07-30 2012-11-05 김우진 스마트폰의 방열케이스
JP2015012586A (ja) * 2013-07-02 2015-01-1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
KR20170007093A (ko) *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Nfc 안테나 일체형 방열시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JP2018091512A (ja) * 2016-11-30 2018-06-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ベーパーチャン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7405A4 (en) * 2020-03-24 2023-08-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IDFRAME ARRANGEMENT
WO2022177203A1 (ko) * 2021-02-22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베이퍼 챔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71541B2 (en) 2021-02-22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vapor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74337A (ja) 2020-10-22
CN111800526A (zh) 2020-10-20
DE102019125357A1 (de) 2020-10-08
TW202038594A (zh) 2020-10-16
US20200323103A1 (en)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002B1 (ko) 스마트폰 일체형 증기챔버
JP2015095629A (ja) 携帯型電子機器の冷却構造
EP3160029B1 (en) Inverter
WO2014103019A1 (ja) 半導体素子冷却構造、および該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6164274A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電源システム
JP2005302406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00123377A (ko) SiO2 코팅을 이용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스마트폰 증기챔버
KR102077001B1 (ko) Sus 재질의 박막 플레이트형 증기챔버 일체용 스마트폰 프레임 구조 제조방법
CN107908043A (zh) 显示装置及其壁挂式散热机构
JP2016128875A (ja) 表示装置
JP2018147568A (ja) 加熱調理器
JP4444231B2 (ja) 組み込み式誘導加熱調理器
JP6182449B2 (ja) Led照明用放熱装置
JP2017079226A (ja) ヒートシンクおよび電子機器
JP6171164B2 (ja)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および電子機器
JP2019194512A (ja) 延伸毛細管層で複数のベイパーチャンバーを連絡する統合型ベイパーチャンバーモジュール
CN210328424U (zh) 一种控制器散热结构
US11009783B2 (en) Liquid cooled heat dissipation module and projection device
JP2014107362A (ja) 電子デバイスの放熱装置および放熱方法
JP2014135119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90033931A (ko) Led 조명등용 냉각장치
US20230403823A1 (en) Vapor cha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JP4019323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8112213A (zh) 气冷散热装置及系统
KR20180074016A (ko) 전력변환장치용 전력소자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