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025B1 - 윈도우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윈도우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025B1
KR102075025B1 KR1020180074922A KR20180074922A KR102075025B1 KR 102075025 B1 KR102075025 B1 KR 102075025B1 KR 1020180074922 A KR1020180074922 A KR 1020180074922A KR 20180074922 A KR20180074922 A KR 20180074922A KR 102075025 B1 KR102075025 B1 KR 102075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um
wire drum
module plate
window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865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8007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0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레귤레이터로서, 윈도우 글라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자동차의 도어의 이너판넬에 장착되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 플레이트; 외면에 와이어의 일부가 감겨지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와이어드럼; 및 상기 모듈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을 감싸면서 와이어를 외부로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드럼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드럼하우징은, 상기 와이어드럼에서 상기 와이어가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와이어드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개부에 의하여 노출된 와이어드럼에 감겨진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드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레귤레이터{Windows regulator}
본 발명은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드럼에 감겨진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된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도어 내부에 마련된 모듈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윈도우 글라스를 도어의 개폐된 부분에 대해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모듈 플레이트(M)에 상하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G1,G2), 각 가이드레일(G1,G2)을 따라 움직이면서 글래스(G)를 승하강시켜 주는 슬라이드부재(S), 그리고 이들 슬라이드부재(S)를 작동시켜 주기 위한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작동수단은 모듈 플레이트(M)에 형성된 드럼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드럼(110)과, 이 케이블드럼(110)에 의해 장력으로 슬라이드부재(S)를 작동시켜 주는 케이블(C)을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블(C)은 복수의 풀리(P1~P4)에 의하여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게 된다.
특히, 케이블드럼(110)은, 도 2에서와 같이, 드럼하우징(100)에 삽입설치되는 레귤레이터모터(120)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이때, 레귤레이터모터(120)는 구동축(121)이 드럼하우징(100)의 안쪽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축지지부(130)에 장착되도록 모듈 플레이트(M)에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블드럼(110)은 구동축(121)에 고정되는데, 일부는 상기 축지지부(13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이러한 케이블드럼(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하우징에서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된 부분을 통해서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으로 와이어가 수납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블드럼(110)은 와이어(C)가 수납되고 인출되는 부분에서 와이어(C)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특히 윈도우 글라스가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과정에서 와이어(C)의 장력이 바뀌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와이어(C)가 느슨해지는 일이 있게 되고 이에 따라서 와이어(C)가 케이블드럼(110)의 외면에서 벗어나는 일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가 케이블드럼(110)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는 윈도우 글라스의 승강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드럼에 감겨진 와이어가 수납 및 인출과정에서 와이어드럼의 표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대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윈도우 글라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자동차의 도어의 이너판넬에 장착되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 플레이트;
외면에 와이어의 일부가 감겨지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와이어드럼; 및
상기 모듈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을 감싸면서 와이어를 외부로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드럼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드럼하우징은,
상기 와이어드럼에서 상기 와이어가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와이어드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개부에 의하여 노출된 와이어드럼에 감겨진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드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서 상기 와이어드럼의 두께만큼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드럼과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와이어드럼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단면을 가진 상태에서 모듈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상기 가이드돌기에서 상기 와이어드럼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모듈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와이어드럼 사이의 간격은 와이어의 직경보다 3배 이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와이어드럼으로 수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드럼에서 인출되는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서 와이어드럼에 감겨진 와이어가 와이어드럼에서 이탈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드럼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윈도우 레귤레이터(10)는 자동차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열려진 부분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윈도우 글라스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윈도우 레귤레이터(10)는, 자동차의 인너패널에 장착되는 모듈 플레이트(20)와, 상기 와이어드럼(30)과, 드럼하우징(40) 및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듈 플레이트(20)는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위에 소정의 전장품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모듈 플레이트(20)에는 윈도우 글라스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상하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하강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아걸면서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드럼(30) 및 상기 와이어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수단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모듈 플레이트(20)는 합성수지 소재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얇은 판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강도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리브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상기 와이어드럼(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모듈 플레이트(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드럼(30)은 외측면에 복수의 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권취홈(31)에 와이어가 감아걸리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드럼(3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와이어의 단부가 끼워걸려 고정될 수 있는 결합홈(3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드럼(30)의 결합홈(32)에 와이어의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드럼(3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드럼(30)은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드럼하우징(40)은, 모듈 플레이트(20) 상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드럼(30)을 감싸면서 와이어를 외부로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드럼하우징(40)은 모듈 플레이트(20)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드럼(3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모듈 플레이트(20)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드럼하우징(40)에는 와이어가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와이어드럼(3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41)가 마련된다. 즉, 드럼하우징(40)에 와이어드럼(30)의 전체가 수용되어 와이어드럼(30)을 감싸고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가 와이어드럼(30)의 외측면에 삽입 또는 인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드럼하우징(40)의 일부를 절개하여 와이어가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는 상기 절개부(41)에 의하여 노출된 와이어드럼(30)에 감겨진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드럼(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서 상기 와이어드럼(30)의 두께만큼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드럼(30)과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과 상기 와이어드럼(30) 사이의 간격은 와이어의 직경보다 3배 이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와이어드럼(30)과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와이어드럼(30)이 회전할 때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이 접촉됨으로서 와이어 드럼의 회전을 방해하는 일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한다.
또한, 와이어드럼(30)과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의 간격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와이어가 와이어드럼(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와이어 드럼과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 사이의 간격은 3배 이내인 것이 좋고, 2배 이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은, 와이어드럼(30)으로 수납되는 와이어와, 와이어드럼(30)에서 인출되는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즉, 와이어드럼(30)으로 진입하는 와이어와, 와이어에서 인출되는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서 하나의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에 의해서도 와이어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은, 와이어드럼(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단면을 가지면서 모듈 플레이트(20)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돌기(51)와, 상기 가이드돌기(51)는 지지하는 보강리브(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51)는, 와이어드럼(30)과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드럼(30)의 곡률반경을 따르는 제1부분(511)과, 상기 제1부분(511)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드럼(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5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리브(52)는, 상기 가이드돌기(51)의 중앙에서 상기 와이어드럼(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가이드돌기(51)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보강리브(52)는 상기 와이어드럼(30)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51)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리브(52)가 모듈 플레이트(20)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돌기(51)를 확실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윈도우 레귤레이터(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와이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와이어드럼(3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드럼(30)에 고정된 와이어가 와이어드럼(30)에 감아걸린 상태에서 이동한다. 이때 와이어드럼(30)에서 인출되거나 수납되는 부분에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이 마련되어 있어서 와이어가 와이어드럼(30)에서 이탈되지 않고 와이어드럼(30)에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드럼(3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드럼(30)에 감아걸린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에는 장력이 걸리고 다른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장력이 걸리는 경우가 있으며 장력이 적게 걸리는 부분은 느슨한 상태를 가지게 되므로 와이어드럼(30)에서 와이어가 이탈되는 일이 있게 된다.
이때 와이어드럼(30)에 근접하게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가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라도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에 의하여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와이어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에는 보강리브(52)를 마련하고 있어서 와이어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하중이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보강리브(52)에 의하여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보강리브(52)는 와이어드럼(30)의 외측면에 대해서 법선방향(접선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어서 와이어 이탈방지수단(50)이 변형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윈도우 레귤레이터 20...모듈 플레이트
30...와이어 드럼 31...권취홈
32...결합홈 40...드럼하우징
41...절개부 50...와이어 이탈방지수단
51...가이드돌기 511...제1부분
512...제2부분 52...보강리브

Claims (6)

  1. 윈도우 글라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자동차의 도어의 이너판넬에 장착되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 플레이트;
    외면에 와이어의 일부가 감겨지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와이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와이어드럼; 및
    상기 모듈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을 감싸면서 와이어를 외부로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드럼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드럼하우징은,
    상기 와이어드럼에서 상기 와이어가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와이어드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는 상기 절개부에 의하여 노출된 와이어드럼에 감겨진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드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와이어드럼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단면을 가진 상태에서 모듈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에서 상기 와이어드럼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서 상기 가이드돌기를 지지하기 위해 모듈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와이어드럼과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드럼의 곡률반경을 따르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와이어드럼의 측면과 예각을 이루고 있는 제2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드럼하우징과 분리되어 있어서 와이어드럼의 측면과 예각을 이루는 제2부분과 상기 와이어드럼의 사이 공간을 통해서 와이어가 와이어드럼의 측면으로 진입가능하게 하고,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드럼하우징과 분리된 가이드 돌기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가이드돌기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이 마련된 윈도우 레귤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서 상기 와이어드럼의 두께만큼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드럼과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와이어드럼 사이의 간격은 와이어의 직경보다 3배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와이어드럼으로 수납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드럼에서 인출되는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20180074922A 2018-06-28 2018-06-28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2075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922A KR102075025B1 (ko) 2018-06-28 2018-06-28 윈도우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922A KR102075025B1 (ko) 2018-06-28 2018-06-28 윈도우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65A KR20200001865A (ko) 2020-01-07
KR102075025B1 true KR102075025B1 (ko) 2020-02-10

Family

ID=6915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922A KR102075025B1 (ko) 2018-06-28 2018-06-28 윈도우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0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457A (ja) 2004-09-09 2006-03-23 Nippon Cable Syst Inc ドアパネル構造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1578402B1 (ko) * 2014-07-02 2015-12-17 평화정공(주) 차량용 도어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741B2 (ja) * 1992-03-31 2001-06-2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タのワイヤ巻取装置
JP3679895B2 (ja) * 1997-06-12 2005-08-03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ワイヤ式パワー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457A (ja) 2004-09-09 2006-03-23 Nippon Cable Syst Inc ドアパネル構造およ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1578402B1 (ko) * 2014-07-02 2015-12-17 평화정공(주) 차량용 도어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65A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56677B2 (ja) ケーブルウインドーリフタ
JP6384292B2 (ja) 車両ドアモジュール
KR102075025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EP3480403B1 (en) Window lifte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605287B1 (ko) 차량용 도어 모듈
US20130133265A1 (en) Window regulator
JP6393065B2 (ja)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KR102163077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090120368A (ko)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JP4627844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ケーブル係止構造
KR102648404B1 (ko) 자동차 도어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설치되는 와이어 풀림 방지구조
CN108699879B (zh) 车辆用拉线式车窗调节器
US11408217B2 (en) Cable routing structure and window-glass lifting device using same
JP6435823B2 (ja) スライドドアモジュール
JP7315521B2 (ja) キャリアプレート及び対象物移動装置
CN117627498A (zh) 对象物移动装置及车窗开闭调节器
JP7393314B2 (ja) キャリアプレート及び対象物移動装置
EP0342142B1 (en) Simplified manual drive system with reducer, for automobile vehicle window winder
WO2021241631A1 (ja) ワイヤー駆動装置及び窓ガラス昇降装置
KR101409866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와이어 권취구조
JP2023078813A (ja) ガイドレール及び対象物移動装置
KR101212799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케이블 장착 보조구
JP6348323B2 (ja)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JP2022053205A (ja) 方向転換部材及び対象物移動装置
KR20190060402A (ko) 드럼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