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368A -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 Google Patents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368A
KR20090120368A KR1020080046366A KR20080046366A KR20090120368A KR 20090120368 A KR20090120368 A KR 20090120368A KR 1020080046366 A KR1020080046366 A KR 1020080046366A KR 20080046366 A KR20080046366 A KR 20080046366A KR 20090120368 A KR20090120368 A KR 20090120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winding drum
drum
windin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102008004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0368A/ko
Publication of KR2009012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65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pivotably mounted drums or barr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장치 등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때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취드럼에 감긴 상기 와이어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드럼은,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외부로 연통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부는 타측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면의 곡률반경과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을 제공한다.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드럼, 권취드럼, 가이드드럼

Description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DRUM FOR WINDING WIRE IN STAGE SETTING}
본 발명은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장치 등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때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에 관한 것이다.
공연무대에는 무대막과 조명 및 각종 배경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무대장치들은 필요에 의해 상하로의 승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구동원으로 권취기구가 활용된다.
즉, 와어이로프가 감긴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로프를 풀거나 감는 방식이다.
물론, 상기 와이어로프의 말단에는 각종 무대장치들이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권취용 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겨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권취용 드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드럼(100)은 모터(미도시됨)와 연동되는 회전축(140)으로부터 동력원을 받아 회전되는 감김디스크(110)와, 감김디스크(110)에 감기는 와이어로프(13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일방향으로만 권취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디스크(120)를 포함한다.
와이어로프(130)는 가이드디스크(120)의 안내를 받아 순차로 적층되면서 감긴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대장치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권취기구의 특성 상 무대장치의 부드러운 상하이동을 위한 것이다.
감김디스크(110)는 와이어로프(13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113)가 형성된다.
또한, 와이어로프(130)의 일단이 홀더(113)로 인입되기 위한 인입로(1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로프(130)의 일단은 인입로(114)를 통해 홀더(113)로 삽입되고, 와이어로프(130)의 일단에 구비되어진 직경이 확대된 걸림구(131)로 인해 재 이탈되지 못하면서 와이어로프(130)와 감김디스크(110)가 상호 고정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무대장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면서 와이어로프가 권취되거나 풀리면서 무대장치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드럼이 구비되고, 이 드럼의 감김디스크에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고정되기 때문에 와이어로프가 고정되는 부위가 볼 록하게 돌출되므로 계속해서 해서 감기는 와이어로프를 원형으로 감지 못하고 돌부를 형성시키면서, 드럼의 회전시 편심을 발생시킴은 물론 이로 인한 진동에 의해 권취장치에 오작동 및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의 권취가 돌출부 상에서 이루어질 경우에는 권취 속도가 순간적으로 변하면서 무대장치의 부드러운 이동을 방해하므로, 섬세함과 부드러움이 요구되는 무대장치의 구동을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럼의 감김디스크에는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구속되는 홀더가 형성되고, 홀더로부터 감김디스크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인입로가 구비되는데, 인입로는 감김디스크의 접선과 수직에 가깝게 형성되기 때문에 인입로에서 돌출되어 감김디스크에 권취되는 와이어로프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접히게 되므로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는 작동이 반복되면 와이어로프가 접혔다 펴졌다 하는 작동이 반복되어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권취장치에 오작동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푸는 작동이 이루어질 때에 권취 속도가 가변되는 것을 억제하여 무대장치의 구동을 섬세하고 부드럽게 행할 수 있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작동이 다수 차례 반복되어도 오작동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취드럼에 감긴 상기 와이어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드럼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삽입홀부; 상기 삽입홀부 일측에 구비되는 연장부; 및 상기 삽입홀부 타측에 구비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장부와 상기 곡면부는 서로 단차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삽입홀부와 상기 권취드럼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은 삽입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연장부, 및 삽입홀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곡면부가 서로 단차를 이룸으로써, 삽입홀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로프가 곡면부 측으로 감기면 상 기한 단차가 보상되면서 드럼의 측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므로 드럼이 회전할 때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하고,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가 감긴 상태에서 원형 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릴 때에 균일한 속도가 유지되므로 무대장치의 승강 및 하강을 무대 상황에 맞게 섬세하고 부드럽게 구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은 삽입홀부가 형성되는 방향이 권취드럼의 접선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이룸으로써, 삽입홀부로부터 연장되어 권취드럼에 감기는 와이어로프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는 작동이 반복되어도 와이어로프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승강 또는 하강 작동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에 포함되는 권취드럼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10)은 와이어로프(70)가 감기는 권취드럼(50)과, 권취드럼(50)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권취드럼(50)에 감긴 와이어로프(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드럼(60)을 포함한다.
이로써, 무대장치가 승강될 때에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권취드럼(50) 및 가이드드럼(60)이 회전되면 와이어로프(70)가 권취드럼(50)에 감기면서 무대장치가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감긴 와이어로프(70)는 가이드드럼(60)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와이어로프(70)가 권취드럼(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드럼(60)은 권취드럼(50)과 비교하여 지름이 큰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권취드럼(50)의 양측면에 설치되므로 권취드럼(50)에 감기는 와이어로프(70)는 한 쌍의 가이드드럼(60)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권취드럼(50)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이렇게 권취드럼(50)과 가이드드럼(60)은 다수 개가 교호로 회전축(62)에 삽입되므로 모터에 연결되는 회전축(62)이 구동되면 다수 개의 권취드럼(50)에 와이어로프(70)가 감기거나 풀리게 되고, 가이드드럼(60)에 의해 와이어로프(70)의 이탈이 방지된다.
권취드럼(50)은, 와이어로프(7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52)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부(52)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권취드럼(50)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외부로 연통되는 삽입홀부(5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홀부(54)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52)에 고정되어 상기 권취드럼(50)의 외주면에 감기는 와이어로프(70)가 급격하게 구부러지는 부위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타측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커지는 형상 즉, 상기 권취드럼(50)의 외주면의 곡률반경과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홀부(54)의 타측 중 상기 권취드럼(50)의 중심부와 먼 지점에는 상기 권취드럼(50)의 외주면 방향으로 만곡 연장되는 연장부(56)가 형성되고, 삽입홀부(54) 타측 중 상기 권취드럼(50)의 중심부와 가까운 지점에는 상기 와이어로프(70)가 안착될 수 있는 곡면부(58)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52)는 권취드럼(50)에 형성되는 홀부로서, 와이어로프(70)의 단부가 삽입홀부(54)를 따라 고정부(52)까지 삽입되고, 와이어로프(70)의 단부에 삽입홀부(54)의 지름보다 큰 걸림부재(72)가 설치되어 와이어로프(70)가 고정부(52) 및 삽입홀부(54)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삽입홀부(54)는 권취드럼(50)의 외주면으로부터 고정부(52)까지 형성되는 홀부로서, 삽입홀부(54)의 방향이 권취드럼(50)의 접선 방향에 가깝도록 곡률반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삽입홀부(54)를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로프(70)가 권취드럼(50) 외주면에 감길 때에 와이어로프(7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와이어로프(70)가 접히는 것을 억제하므로 와이어로프(70)가 권취드럼(50)에 감기거나 풀리는 작업이 다수 차례 반복되어도 와이어로프(5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삽입홀부(54)와 권취드럼(50)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이룸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7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삽입홀부(54)와 권취드럼(50)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연장부(56)와 곡면부(58)는 와이어로프(70)의 지름만큼 단차를 이루는데, 이는 와이어로프(70)가 상기 곡면부(58)에 안착된 후 상기 권취드럼(50)을 한바퀴 감아 상기 곡면부(58)에 안착된 와이어로프(70) 상에 적층되었을 때 와이어로프(70)에 도 1에 도시된 돌부가 형성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연장부(56)는 곡면부(58)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권취드럼(5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와이어로프(70)가 곡면부(58) 방향으로 감기게 되면 곡면부(58)가 와이어로프(70)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효과가 나타나므로 와이어로프(70)가 감긴 곡면부(58)의 높이가 연장부(56)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게 되므로 단차가 없어지게 된다.
이로써, 와이어로프(70)가 곡면부(58) 방향으로 감긴 권취드럼(50)은 그 측면 형상이 원을 이루게 되므로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에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10)을 설치할 때에는 회전축(62)에 가이드드럼(60)과 권취드럼(50)을 교호로 삽입하는데, 이때, 권취드럼(50)의 고정부(52) 내측에는 걸림부재(72)가 삽입되고, 삽입홀부(54)에는 와이어로프(70)가 삽입되게 한다.
권취드럼(50) 및 가이드드럼(60)이 모두 회전축(62)에 삽입된 후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권취드럼(50)과 가이드드럼(60)을 결합함으로써, 드럼(10) 및 와이어로프(7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렇게 설치가 완료된 후에 모터가 구동되면 회전축(62)이 회전하면서 가이드드럼(60)과 가이드드럼(60) 사이의 공간, 즉 권취드럼(50)의 외주면에 와이어로프(70)가 감기게 된다.
이때, 와이어로프(70)는 곡면부(58) 방향으로 감기므로 와이어로프(70)가 감 긴 곡면부(58)의 높이가 연장부(58)의 높이와 유사하게 되므로 권취드럼(50)이 편심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권취드럼(50)은 편심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고, 권취드럼(50)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70)의 권취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조용하고 섬세하며 부드러운 무대장치의 승강 또는 하강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무대장치에 사용되는 드럼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권취용 드럼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권취용 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감겨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권취용 드럼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에 포함되는 권취드럼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럼 50 : 권취드럼
52 : 고정부 54 : 삽입홀부
56 : 연장부 58 : 곡면부
60 : 가이드드럼 62 : 회전축
70 : 와이어로프 72 : 걸림부재

Claims (4)

  1.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취드럼에 감긴 상기 와이어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드럼은,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외부로 연통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홀부는 타측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면의 곡률반경과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부의 타측 중 상기 권취드럼의 중심부와 먼 지점에는 상기 권취드럼의 외주면 방향으로 만곡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삽입홀부 타측 중 상기 권취드럼의 중심부와 가까운 지점에는 상기 와이어로프가 안착될 수 있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곡면부는 서로 단차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부와 상기 권취드럼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KR1020080046366A 2008-05-19 2008-05-19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KR20090120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366A KR20090120368A (ko) 2008-05-19 2008-05-19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366A KR20090120368A (ko) 2008-05-19 2008-05-19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368A true KR20090120368A (ko) 2009-11-24

Family

ID=4160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366A KR20090120368A (ko) 2008-05-19 2008-05-19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03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370B1 (ko) * 2011-04-29 2013-03-18 주식회사 일진하이텍 무대장치
FR3036387A1 (fr) * 2015-05-20 2016-11-25 Bc Caire Dispositif dit tendeur pour regler la tension d'au moins un cable pour lequel est leve ou abaisse le decor de theatre
KR20220162552A (ko) * 2021-06-01 2022-12-08 (주)코스텍 무대시설 견인용 윈치 드럼
KR102650156B1 (ko) * 2023-04-12 2024-03-20 김종열 수직 권취 드럼을 구비한 무대장치용 리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370B1 (ko) * 2011-04-29 2013-03-18 주식회사 일진하이텍 무대장치
FR3036387A1 (fr) * 2015-05-20 2016-11-25 Bc Caire Dispositif dit tendeur pour regler la tension d'au moins un cable pour lequel est leve ou abaisse le decor de theatre
KR20220162552A (ko) * 2021-06-01 2022-12-08 (주)코스텍 무대시설 견인용 윈치 드럼
KR102650156B1 (ko) * 2023-04-12 2024-03-20 김종열 수직 권취 드럼을 구비한 무대장치용 리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0368A (ko) 무대장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JP6812749B2 (ja) 線条体の巻取装置および巻取方法
EP1407995A3 (en) Yarn slack eliminating device for spinning machine
KR100819907B1 (ko) 밑실가드가 구비된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KR101296890B1 (ko) 감속모터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드럼브라켓
KR100701460B1 (ko) 와이어로프의 권취용 드럼
JP2010031481A (ja) ブラインド
JP2012196033A (ja) スキュー付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1416983B1 (ko) 무대 커튼 승,하강용 와이어 안내장치
JP6605850B2 (ja) ガイド機構と巻き取り装置
JP6414578B2 (ja) ロープ繰り出し装置
KR101628075B1 (ko) 높이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소형 무대 승강장치
US20030098381A1 (en) A yarn winder, a method for producing a yarn package and a motor
KR200394569Y1 (ko) 와이어로프의 권취용 드럼
JP2007039824A (ja) 糸条の無撚引出し装置
KR20050053813A (ko) 해초류의 종묘사 회권기
JP2002068676A (ja) 昇降装置
JP6516578B2 (ja) 巻き取り装置
JP5054429B2 (ja) ケーブルビード成形機
JP3795444B2 (ja) ブラインド用の昇降コード巻取装置
CN205646727U (zh) 一种电线挥舞控制装置
WO2021241631A1 (ja) ワイヤー駆動装置及び窓ガラス昇降装置
EP3296243B1 (en) Cylindrical paper bobbin for winding yarns
KR20110077471A (ko) 무대장치의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
KR102075025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