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225B1 -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 Google Patents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225B1
KR102074225B1 KR1020180107855A KR20180107855A KR102074225B1 KR 102074225 B1 KR102074225 B1 KR 102074225B1 KR 1020180107855 A KR1020180107855 A KR 1020180107855A KR 20180107855 A KR20180107855 A KR 20180107855A KR 102074225 B1 KR102074225 B1 KR 102074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iston
expansion
expansion contrac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신우에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에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신우에이엔티
Priority to KR102018010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바이저 본체 부재와, 확장 수축 부재와, 가림막 부재와, 동력 공급 부재와, 제어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도어 개폐 감지 센서의 의해 센싱되는 도어의 개폐 여부, 여기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차량에 설치된 우적 감지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강수 여부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가 자동적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되므로, 비가 오는 날에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비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Automatic extension type window viso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 바이저(window visor)는 차량의 도어 유리에 부착되는 햇빛 가리개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 유리를 감싼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다.
이러한 윈도우 바이저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윈도우 바이저에 의하면, 윈도우 바이저가 단순히 도어 유리 상단부의 햇빛만 가려주는 기능만 수행하므로, 비가 오는 날에 차량의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윈도우 바이저는 차량의 탑승자를 비로부터 보호해주는 데에는 전혀 아무런 기능을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 20-0416342호, 등록일자: 2006.05.08., 고안의 명칭: 탈,부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윈도우 바이저
본 발명은 비가 오는 날에 차량의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비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는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는 도어에 도어 유리창 및 도어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가 내장된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이저 본체 부재;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내측으로 수축되어 있다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는 확장 수축 부재; 상기 확장 수축 부재와 함께 수축되어 접혀있거나 상기 확장 수축 부재와 함께 확장되어 펼쳐질 수 있는 가림막 부재; 상기 가림막 부재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확장 수축 부재를 작동시키는 동력 공급 부재; 및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상기 동력 공급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확장 수축 부재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외부로 확장되도록 상기 동력 공급 부재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가 펼쳐지고,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확장 수축 부재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내측으로 수축되도록 상기 동력 공급 부재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가 접혀지고,
상기 동력 공급 부재는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일 측 길이 방향으로 제 1 피스톤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타 측 길이 방향으로 제 2 피스톤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는 상기 제어 부재에 의해 연동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제 2 피스톤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께 밀리거나 함께 당겨지게 되고,
상기 확장 수축 부재는 상기 제 1 피스톤의 말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그 일 측 말단부가 연결되고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제 1 확장 수축 바아와, 상기 제 2 피스톤의 말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그 일 측 말단부가 연결되고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제 2 확장 수축 바아와,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가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교차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 부재의 네 모서리 중 하나인 제 1 모서리에 상기 제 1 피스톤의 말단부 및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가 함께 연결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의 네 모서리 중 다른 하나인 제 2 모서리에 상기 제 2 피스톤의 말단부 및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가 함께 연결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의 네 모서리 중 또 다른 하나인 제 3 모서리에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의 네 모서리 중 또 다른 하나인 제 4 모서리에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제 2 피스톤이 함께 서로 당겨지도록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가 작동되면, 상기 제 1 피스톤의 말단부와 상기 제 2 피스톤의 말단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도 함께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 쪽으로 당겨져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가 서로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가 펼쳐지게 되고,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제 2 피스톤이 함께 서로 밀리도록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가 작동되면, 상기 제 1 피스톤의 말단부와 상기 제 2 피스톤의 말단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도 함께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 쪽과 점진적으로 멀어지게 되어,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가 서로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내부로 수축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가 접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에 의하면,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바이저 본체 부재와, 확장 수축 부재와, 가림막 부재와, 동력 공급 부재와, 제어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도어 개폐 감지 센서의 의해 센싱되는 도어의 개폐 여부, 여기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차량에 설치된 우적 감지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강수 여부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가 자동적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되므로, 비가 오는 날에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비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적용된 차량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접힌 모습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펼쳐진 모습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접힌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적용된 차량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접힌 모습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펼쳐진 모습을 아래에서 올려다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100)는 바이저 본체 부재(110)와, 확장 수축 부재(120)와, 가림막 부재(130)와, 동력 공급 부재(140, 145)와, 제어 부재(105)를 포함하고, 차량에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차량은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는 도어 유리창(20) 및 도어 프레임(10)이 형성되고, 상기 차량에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30)가 내장된다.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는 상기 도어 프레임(10)을 따라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확장 수축 부재(120)는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내측으로 수축되어 있다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림막 부재(130)는 상기 확장 수축 부재(120)와 함께 수축되어 접혀있거나 상기 확장 수축 부재(120)와 함께 확장되어 펼쳐질 수 있는 것으로, 유연한 재질, 예를 들어 직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림막 부재(130)는 펼쳐졌을 때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네 모서리를 가진다.
상기 동력 공급 부재(140, 145)는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확장 수축 부재(12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어 부재(105)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30)의 센싱값에 따라 상기 동력 공급 부재(140, 145)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어 부재(105)는 추가적으로 후술되는 우적 감지 센서(40)의 센싱값도 고려하여 상기 동력 공급 부재(140, 14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된 구성요소들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동력 공급 부재(140, 145)는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는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일 측 길이 방향으로 제 1 피스톤(141)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것으로, 소형 전동 실린더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는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타 측 길이 방향으로 제 2 피스톤(146)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것으로, 소형 전동 실린더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는 상기 제어 부재(105)에 의해 연동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제 1 피스톤(141)과 상기 제 2 피스톤(146)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께 밀리거나 함께 당겨지게 된다.
상기 확장 수축 부재(120)는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와, 제 2 확장 수축 바아와, 교차 회동축(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는 상기 제 1 피스톤(141)의 말단부(142)에 회동 가능하게 그 일 측 말단부가 연결되고, 일정 길이로 길게 바아(bar)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는 상기 제 2 피스톤(146)의 말단부(147)에 회동 가능하게 그 일 측 말단부가 연결되고, 일정 길이로 길게 바아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교차 회동축(123)은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가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는 각 중앙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교차되고, 그 교차되는 지점에 상기 교차 회동축(123)이 배치된다.
상기 가림막 부재(130)의 네 모서리 중 하나인 제 1 모서리에 상기 제 1 피스톤(141)의 말단부(142) 및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의 일 측 말단부가 함께 연결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130)의 네 모서리 중 다른 하나인 제 2 모서리에 상기 제 2 피스톤(146)의 말단부(147) 및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의 일 측 말단부가 함께 연결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130)의 네 모서리 중 또 다른 하나인 제 3 모서리에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의 타 측 말단부(126)가 연결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130)의 네 모서리 중 또 다른 하나인 제 4 모서리에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의 타 측 말단부(122)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가림막 부재(130)의 네 모서리 중 하나인 제 1 모서리 및 상기 가림막 부재(130)의 네 모서리 중 다른 하나인 제 2 모서리는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저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130)의 네 모서리 중 또 다른 하나인 제 3 모서리와 상기 가림막 부재(130)의 네 모서리 중 또 다른 하나인 제 4 모서리는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확장된 형태일 때에는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저면을 벗어났다가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수축된 형태일 때에는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저면 아래에 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30)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 부재(105)는 상기 확장 수축 부재(120)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외부로 확장되도록 상기 동력 공급 부재(140, 145)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펼쳐진다.
상세히, 상기 제어 부재(105)의 작동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피스톤(141)과 상기 제 2 피스톤(146)이 함께 서로 당겨지도록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가 작동되면, 상기 제 1 피스톤(141)의 말단부(142)와 상기 제 2 피스톤(146)의 말단부(147)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의 일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의 일 측 말단부도 함께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 쪽으로 당겨져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의 타 측 말단부(126)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의 타 측 말단부(122)가 상기 교차 회동축(123)을 중심으로 서로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펼쳐지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30)에 의해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 부재(105)는 상기 확장 수축 부재(120)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내측으로 수축되도록 상기 동력 공급 부재(140, 145)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접혀진다.
상세히, 상기 제어 부재(105)의 작동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피스톤(141)과 상기 제 2 피스톤(146)이 함께 서로 밀려서 상기 제 1 피스톤(141)과 상기 제 2 피스톤(146)이 각각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로부터 토출된 길이가 늘어나도록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가 작동되면, 상기 제 1 피스톤(141)의 말단부(142)와 상기 제 2 피스톤(146)의 말단부(147)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의 일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의 일 측 말단부도 함께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 쪽과 점진적으로 멀어지게 되어,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의 타 측 말단부(126)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의 타 측 말단부(122)가 상기 교차 회동축(123)을 중심으로 서로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내부로 수축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접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으로 떨어지는 강수량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센서(40)를 더 구비한다. 그러면, 상기 우적 감지 센서(40)에 의해 비가 내리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고, 그러한 비가 내리는지 여부의 조건이 상기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100)의 작동에 이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우적 감지 센서(40)에 의해 비가 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과 함께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30)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 부재(105)는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펼쳐지도록 상기 동력 공급 부재(140, 145)를 작동시킨다.
반면, 상기 우적 감지 센서(40)에 의해 비가 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과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30)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 중 어느 하나가 불만족되는 경우, 즉 비가 내리지 않거나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 부재(105)는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접혀지도록 상기 동력 공급 부재(140, 145)를 작동시킨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우적 감지 센서(40)에 의해 비가 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과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30)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 중 어느 하나가 불만족되는 경우, 즉 비가 내리지 않거나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 부재(105)는 상기 제 1 피스톤(141)과 상기 제 2 피스톤(146)이 함께 서로 밀려서 상기 제 1 피스톤(141)과 상기 제 2 피스톤(146)이 각각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로부터 토출된 길이가 늘어나도록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피스톤(141)의 말단부(142)와 상기 제 2 피스톤(146)의 말단부(147)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의 일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의 일 측 말단부도 함께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 쪽과 점진적으로 멀어지게 되어,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의 타 측 말단부(126)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의 타 측 말단부(122)가 상기 교차 회동축(123)을 중심으로 서로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내부로 수축되고,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접혀지게 된다.
반면, 상기 우적 감지 센서(40)에 의해 비가 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과 함께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30)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 부재(105)는 상기 제 1 피스톤(141)과 상기 제 2 피스톤(146)이 함께 서로 당겨지도록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피스톤(141)의 말단부(142)와 상기 제 2 피스톤(146)의 말단부(147)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의 일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의 일 측 말단부도 함께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140)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145) 쪽으로 당겨져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의 타 측 말단부(126)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의 타 측 말단부(122)가 상기 교차 회동축(123)을 중심으로 서로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125)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121)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100)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110)와, 상기 확장 수축 부재(120)와, 상기 가림막 부재(130)와, 상기 동력 공급 부재(140, 145)와, 상기 제어 부재(105)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차량에 설치된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30)의 의해 센싱되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 여기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차량에 설치된 상기 우적 감지 센서(40)에 의해 센싱되는 강수 여부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130)가 자동적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되므로, 비가 오는 날에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비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접힌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가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200)는 바이저 본체 부재(210)와, 가림막 부재(230)와, 제어 부재(205)와,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210)는 도어 프레임을 따라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211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2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도어 유리창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유리창 가림부이고, 도면 번호 212는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수축되어 수용될 수 있는 가림막 수용 홀이고, 도면 번호 250은 상기 가림막 수용 홀(212)을 개폐시킬 수 있는 개폐 도어이다.
상기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는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210)에 배치되되,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고압 에어를 형성시켜, 상기 고압 에어를 상기 가림막 부재(230) 내부로 고압으로 분사해줄 수 있는 것으로, 전동 에어 펌프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 부재(230)는 상기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와 연결되고,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고압 에어가 불어넣어지면 벌룬(balloon) 형태로 부풀어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부풀어 오르면, 그 부피 증가에 의해 상기 개폐 도어(250)가 자동적으로 열리게 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수축되면, 상기 개폐 도어(250)가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상기 가림막 부재(230)는 직물,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서 유연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수축된 경우에는,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복수 번 접힌 형태로 상기 가림막 수용 홀(212)에 수용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팽창된 경우에는,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팽창되어 펼쳐진 형태로 상기 가림막 수용 홀(212)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어 부재(205)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의 센싱값, 추가적으로 우적 감지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상기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 부재(205)는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부풀어 올라서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210)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에서 상기 고압 에어가 형성되도록 상기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를 작동시키다. 그러면, 상기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에서 형성된 상기 고압 에어가 상기 가림막 부재(230)로 공급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부풀어 올라 외부로 팽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됨과 함께 상기 우적 감지 센서에 의해 강수가 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와 같이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부풀어 올라 확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 부재(205)는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수축되어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2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에서 부압이 형성되도록 상기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고압 에어 형성 부재(240)에서 형성된 상기 부압에 의해 상기 가림막 부재(230)가 수축되어, 상기 가림막 수용 홀(212) 내부로 수용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에 의하면, 비가 오는 날에 차량의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상기 차량의 탑승자를 비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105 : 제어 부재
110 : 바이저 본체 부재
120 : 확장 수축 부재
130 : 가림막 부재
140, 145 : 동력 공급 부재

Claims (5)

  1. 도어에 도어 유리창 및 도어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가 내장된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이저 본체 부재;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내측으로 수축되어 있다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는 확장 수축 부재;
    상기 확장 수축 부재와 함께 수축되어 접혀있거나 상기 확장 수축 부재와 함께 확장되어 펼쳐질 수 있는 가림막 부재;
    상기 가림막 부재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확장 수축 부재를 작동시키는 동력 공급 부재; 및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상기 동력 공급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확장 수축 부재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외부로 확장되도록 상기 동력 공급 부재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가 펼쳐지고,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확장 수축 부재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내측으로 수축되도록 상기 동력 공급 부재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가 접혀지고,
    상기 동력 공급 부재는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일 측 길이 방향으로 제 1 피스톤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타 측 길이 방향으로 제 2 피스톤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는 상기 제어 부재에 의해 연동되도록 작동되어,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제 2 피스톤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께 밀리거나 함께 당겨지게 되고,
    상기 확장 수축 부재는
    상기 제 1 피스톤의 말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그 일 측 말단부가 연결되고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제 1 확장 수축 바아와,
    상기 제 2 피스톤의 말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그 일 측 말단부가 연결되고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제 2 확장 수축 바아와,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가 교차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교차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 부재의 네 모서리 중 하나인 제 1 모서리에 상기 제 1 피스톤의 말단부 및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가 함께 연결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의 네 모서리 중 다른 하나인 제 2 모서리에 상기 제 2 피스톤의 말단부 및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가 함께 연결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의 네 모서리 중 또 다른 하나인 제 3 모서리에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가림막 부재의 네 모서리 중 또 다른 하나인 제 4 모서리에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제 2 피스톤이 함께 서로 당겨지도록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가 작동되면, 상기 제 1 피스톤의 말단부와 상기 제 2 피스톤의 말단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도 함께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 쪽으로 당겨져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가 서로 점진적으로 근접되도록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외부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가 펼쳐지게 되고,
    상기 제 1 피스톤과 상기 제 2 피스톤이 함께 서로 밀리도록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가 작동되면, 상기 제 1 피스톤의 말단부와 상기 제 2 피스톤의 말단부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일 측 말단부도 함께 상기 제 1 동력 공급 실린더와 상기 제 2 동력 공급 실린더 쪽과 점진적으로 멀어지게 되어,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의 타 측 말단부가 서로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확장 수축 바아와 상기 제 2 확장 수축 바아가 상기 바이저 본체 부재의 내부로 수축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림막 부재가 접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으로 떨어지는 강수량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우적 감지 센서에 의해 비가 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과 함께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가림막 부재가 펼쳐지도록 상기 동력 공급 부재를 작동시키고,
    상기 우적 감지 센서에 의해 비가 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과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되는 조건 중 어느 하나가 불만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가림막 부재가 접혀지도록 상기 동력 공급 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5. 삭제
KR1020180107855A 2018-09-10 2018-09-10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KR102074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55A KR102074225B1 (ko) 2018-09-10 2018-09-10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55A KR102074225B1 (ko) 2018-09-10 2018-09-10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225B1 true KR102074225B1 (ko) 2020-02-07

Family

ID=6957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855A KR102074225B1 (ko) 2018-09-10 2018-09-10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2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4288A1 (en) * 2020-03-03 2021-09-10 Curved Earth Designs Pty Ltd Automotive awning system
US11801736B2 (en) 2020-07-09 2023-10-31 Autoclover Co., Ltd. Door visor
CN117400761A (zh) * 2023-12-11 2024-01-16 欣思路(山西)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撞结构的新能源电力节能装置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4092A (ko) * 1997-09-10 1997-12-10 김효태 건물 출입구와 차량간의 빗물 막음 장치 겸 야외 햇빛 가리개
KR19980036396U (ko) * 1996-12-14 1998-09-15 박병재 파라솔 격납장치
KR19990011413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차량의 빗물 유입 방지장치
JP2000108671A (ja) * 1998-10-01 2000-04-18 Sakura Gomme Kk 車両用の雨除け装置
JP2005119590A (ja) * 2003-10-20 2005-05-12 Shigero Makishima 自動車ドアの雨覆い装置
JP3120429U (ja) * 2005-11-02 2006-04-06 成義 藏本 自動車用雨除けシート収納装置。
KR20060030376A (ko) * 2004-10-05 2006-04-10 유영일 승용차용 빗물 막이
KR200416342Y1 (ko) 2006-02-28 2006-05-15 이용현 탈,부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윈도우 바이저
KR200433237Y1 (ko) * 2006-09-12 2006-12-08 최희섭 자동차용 비가리개
KR20070052480A (ko) * 2005-11-17 2007-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우천시 운전자 보호용 가림 구조
JP2007176213A (ja) * 2005-12-27 2007-07-12 Asmo Co Ltd 車両用雨除け装置
KR20100137028A (ko) * 2009-06-20 2010-12-30 허윤호 버스 승하차시 비를 막아주는 자동어닝
KR20140114654A (ko) * 2013-03-19 2014-09-29 임윤택 차량 도어용 차우막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396U (ko) * 1996-12-14 1998-09-15 박병재 파라솔 격납장치
KR19990011413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차량의 빗물 유입 방지장치
KR970074092A (ko) * 1997-09-10 1997-12-10 김효태 건물 출입구와 차량간의 빗물 막음 장치 겸 야외 햇빛 가리개
JP2000108671A (ja) * 1998-10-01 2000-04-18 Sakura Gomme Kk 車両用の雨除け装置
JP2005119590A (ja) * 2003-10-20 2005-05-12 Shigero Makishima 自動車ドアの雨覆い装置
KR20060030376A (ko) * 2004-10-05 2006-04-10 유영일 승용차용 빗물 막이
JP3120429U (ja) * 2005-11-02 2006-04-06 成義 藏本 自動車用雨除けシート収納装置。
KR20070052480A (ko) * 2005-11-17 2007-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우천시 운전자 보호용 가림 구조
JP2007176213A (ja) * 2005-12-27 2007-07-12 Asmo Co Ltd 車両用雨除け装置
KR200416342Y1 (ko) 2006-02-28 2006-05-15 이용현 탈,부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윈도우 바이저
KR200433237Y1 (ko) * 2006-09-12 2006-12-08 최희섭 자동차용 비가리개
KR20100137028A (ko) * 2009-06-20 2010-12-30 허윤호 버스 승하차시 비를 막아주는 자동어닝
KR20140114654A (ko) * 2013-03-19 2014-09-29 임윤택 차량 도어용 차우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4288A1 (en) * 2020-03-03 2021-09-10 Curved Earth Designs Pty Ltd Automotive awning system
US11801736B2 (en) 2020-07-09 2023-10-31 Autoclover Co., Ltd. Door visor
CN117400761A (zh) * 2023-12-11 2024-01-16 欣思路(山西)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撞结构的新能源电力节能装置
CN117400761B (zh) * 2023-12-11 2024-02-13 欣思路(山西)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撞结构的新能源电力节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225B1 (ko) 자동 확장형 차량용 윈도우 바이저
US6920954B2 (en)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system
KR100983626B1 (ko) 측면패널이 확장되는 캠핑카
CN106564416B (zh) 房车全自动遮阳蓬
CN107949502A (zh) 夹持装置和防护篷
KR20070052480A (ko) 우천시 운전자 보호용 가림 구조
CN108454356B (zh) 显示交通信号灯的遮阳板
CN113734051B (zh) 一种商用车隐藏式自动踏步及控制系统
JP4781830B2 (ja) 車外用エアバッグ装置
CN106476588A (zh) 一种汽车遮阳罩
JP6041602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160318377A1 (en) Device for blacking-out a picture window actuated by an inflatable element
US8439397B1 (en) Airbags comprising hingedly affixed non-inflatable support members
KR101023466B1 (ko) 차량용 접이식 지붕
KR200409405Y1 (ko)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차단막장치
KR20140114654A (ko) 차량 도어용 차우막
KR102580298B1 (ko) 버스 비막이 장치
KR20200064429A (ko) 자동 어닝 장치
CN216268605U (zh) 一种用于汽车车门的挡雨装置
CN215662872U (zh) 用于交通工具的遮阳组件
KR20200048420A (ko) 스마트 그늘막
JP2006213238A (ja) 車両用雨よけ装置
TWM522872U (zh) 車用遮雨裝置及具有遮雨裝置的車
CN114312255B (zh) 一种防淋雨装置及车辆
TWI814518B (zh) 感應式自動伸縮遮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