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111B1 - 모터의 제어 방법 및 모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의 제어 방법 및 모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111B1
KR102074111B1 KR1020197013174A KR20197013174A KR102074111B1 KR 102074111 B1 KR102074111 B1 KR 102074111B1 KR 1020197013174 A KR1020197013174 A KR 1020197013174A KR 20197013174 A KR20197013174 A KR 20197013174A KR 102074111 B1 KR102074111 B1 KR 102074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otor
estimated
estimation
low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146A (ko
Inventor
겐 이토오
고헤이 무로타
도모아키 모리
나오키 다카하시
히로미치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22Current control, e.g. using a current control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4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drawn or delivered by the motor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H02P29/64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win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2Details of stopping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1/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P1/00 - H02P5/00, H02P7/00 or H02P21/00 - H02P2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Abstract

모터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상의 권선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터가 저회전의 상태인 경우에 모터에 입력되는 입력 전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상의 권선 중 가장 온도가 높아지는 상의 권선의 최고 온도를 추정하는 추정 스텝과, 추정 스텝에서 추정되는 최고 온도에 기초하여 입력 전력을 제한하는 제한 스텝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모터의 제어 방법 및 모터의 제어 장치
본 발명은 모터의 제어 방법 및 모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기 전동기는 일반적으로 UVW상과 같은 복수의 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영구 자석형 모터에 있어서는, 각 상과 대응하여 마련되는 권선(코일)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모터가 회전 구동된다.
각 상의 권선은 전류가 흐르면 발열하는데, 발열량이 많은 경우에는 권선의 절연 부재가 열화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권선의 온도가 극히 높아지는 경우에는, 권선에 흘리는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발열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모터 내의 권선 온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어 JP2013-070485A).
여기서, 모터가 회전하지 않고 토크를 발생시키는, 로크된 저회전 상태인 경우에는, 특정한 상(예를 들어 U상)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모터의 일부만이 고온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모터 내에 온도 센서가 마련되는 기술을 이용하더라도 모터 내의 일부에 있어서 추정 온도를 상회해 버리면, 적절히 온도를 추정하지 못하여 권선의 절연부가 열화될 우려가 있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를 추정함으로써 저회전 영역에 있는 모터를 보호할 수 있는, 모터의 제어 방법 및 모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상의 권선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터가 저회전의 상태인 경우에 모터에 입력되는 입력 전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상의 권선 중 가장 온도가 높아지는 상의 권선의 최고 온도를 추정하는 추정 스텝과, 추정 스텝에서 추정되는 최고 온도에 기초하여 입력 전력을 제한하는 제한 스텝을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모터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저회전 영역 판정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권선 온도 추정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제한율 연산부의 처리에 이용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토크 명령값 연산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토크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은 전류 벡터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은 전압 위상 제어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9는 모터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모터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권선 온도 추정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2는 모터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권선 온도 추정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초기화 온도 연산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모터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의 권선 온도 추정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7은 모터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의 온도 연산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9는 모터에 있어서의 발열량을 모델화한 도면이다.
도 20은 모터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초기화 온도 연산부의 변형예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모터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모터 제어 장치(1)에 의하여 모터(2)가 제어된다. 또한 이 모터(2)는 복수의 상의 권선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동 차량 등의 구동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터 제어 장치(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 제어 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프로그램된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각 블록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서도, 컨트롤러에 프로그램으로서 기억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각 블록의 처리가 실행된다.
저회전 영역 판정부(3)에 있어서는, 회전수 연산기(15)로부터 모터(2)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회전수 검출값 N이 입력된다. 저회전 영역 판정부(3)는 입력값에 기초하여 모터(2)가 저회전 상태인지 고회전 상태인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회전 영역 판정 결과를 토크 명령값 연산부(6)로 출력한다. 저회전 영역 판정부(3)의 상세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토크 명령값 연산부(6)는, 제한 스텝을 실행하는 제한부의 일례이다.
권선 온도 추정부(4)에는 토크 제어부(7)로부터 d축 전류 추정값 id_est 및 q축 전류 추정값 iq_est가 입력됨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기준 온도 Tbase가 입력된다. 권선 온도 추정부(4)는 이들 입력값에 기초하여 추정 최고 온도 Test를 연산한다. 또한 d축 전류 추정값 id_est 및 q축 전류 추정값 iq_est 대신, UVW상→dq축 변환기(13)로부터 출력되는 d축 전류값 id 및 q축 전류값 iq를 이용해도 된다. 권선 온도 추정부(4)의 상세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권선 온도 추정부(4)는, 추정 스텝을 실행하는 추정부의 일례이다. 또한 기준 온도 Tbase는, 모터(2)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는 온도이며, 예를 들어 모터(2)가 전동 차량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기온 센서 검출값이나 냉각계의 온도 센서 검출값 등이다.
제한율 연산부(5)는 추정 최고 온도 Test에 따라, 모터(2)에 대한 구동 토크의 제한에 이용하는 토크 제한율 Rlim을 산출한다. 제한율 연산부(5)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토크 명령값 연산부(6)에는 회전 영역 판정 결과, 도시하지 않은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토크 명령값 T* 및 토크 제한율 Rlim이 입력된다. 또한 토크 명령값 T*는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개방도 등에 따라 정해진다. 또한 토크 명령값 연산부(6)는 미리, 토크의 설정 가능 범위를 정하는 토크 상한값 Trqlim_upper 및 토크 하한값 Trqlim_lower를 기억하고 있다. 토크 명령값 연산부(6)는 이들 입력값 및 기억값에 기초하여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을 연산한다. 토크 명령값 연산부(6)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토크 제어부(7)는, 전류 벡터 제어를 행하는 전류 벡터 제어부와, 전압 위상 제어를 행하는 전압 위상 제어부를 구비한다. 토크 제어부(7)는, 입력되는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과, 배터리 전압 검출값 Vdc와, 회전수 검출값 N과, UVW상→dq축 변환기(13)로부터 출력되는 d축 전류값 id 및 q축 전류값 iq에 따라, 전류 벡터 제어 또는 전압 위상 제어의 선택을 행한다. 이와 함께 토크 제어부(7)는 선택된 제어 방법에 의하여 d축 전압 명령값 v* d 및 q축 전압 명령값 v* q를 연산하고, 이들 전압 명령값을 dq축→UVW상 변환기(8)로 출력한다. 토크 제어부(7)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dq축→UVW상 변환기(8)는 다음의 식에 기초하여 d축 전압 명령값 v* d 및 q축 전압 명령값 v* q를, 모터(2)의 전기각 검출값 θ에 기초하여 3상 전압 명령값 vu *, vv *, vw *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전압 명령값을 PMW 변환기(9)로 출력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01
PMW 변환기(9)는 3상 전압 명령값 vu *, vv *, vw *과, 배터리(10)에 병설하는 전압 센서(10A)로부터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 검출값 Vdc에 기초하여 인버터(11)의 파워 소자 구동 신호 Duu *, Dul *, Dvu *, Dvl *, Dwu *, Dwl *를 출력한다.
인버터(11)는 PMW 변환기(9)에서 생성되는 파워 소자 구동 신호에 기초한 동작을 함으로써 3상 전압 vu, vv, vw를 모터(2)에 인가한다.
전류 검출기(12)는 모터 제어 장치(1)와 모터(2) 사이의 3상 배선 중 적어도 2상의 배선에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류 검출기(12)는 U상 전류값 iu 및 V상 전류값 iv를 검출한다.
UVW상→dq축 변환기(13)는 다음의 식에 기초하여 U상 전류값 iu 및 V상 전류값 iv에 대하여 전기각 검출값 θ에 기초하는 변환을 행함으로써 d축 전류값 id 및 q축 전류값 iq를 산출하고, 이들 전류값을 토크 제어부(7)로 출력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02
회전자 위치 센서(14)는 모터(2)에 병설되어 있으며, 모터(2)의 전기각 검출값 θ를 검출하면 검출값을 회전수 연산기(15)로 출력한다. 또한 회전자 위치 센서(14)는, 측정 스텝을 실행하는 구성의 일례이다.
회전수 연산기(15)는 전기각 검출값 θ에 관한 소정 간격에서의 변화량을 구함으로써 회전수 검출값 N을 연산한다. 회전수 연산기(15)는 회전수 검출값 N을 저회전 영역 판정부(3), 권선 온도 추정부(4) 및 토크 제어부(7)로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저회전 영역 판정부(3)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저회전 영역 판정부(3)는 절댓값 연산부(31)와 회전 영역 판정부(32)를 구비한다.
절댓값 연산부(31)는, 입력되는 회전수 검출값 N의 절댓값인 회전수 절댓값 Nabs를 구하면, 회전수 절댓값 Nabs를 회전 영역 판정부(32)로 출력한다.
회전 영역 판정부(32)는 회전수 절댓값 Nabs에 대하여 다음의 식에 기초하는 판정을 행하여, 모터(2)가 저회전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03
즉, 회전 영역 판정부(32)는, 회전수 절댓값 Nabs가 저회전 역치 Nth_low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회전 영역 판정 결과로서 저회전 영역을 나타내는 「Lo」를 출력한다. 한편, 회전수 절댓값 Nabs가 저회전 역치 Nth_low 이상인 경우에는 고회전 영역을 나타내는 「Hi」를 출력한다. 또한 저회전 역치 Nth_low는, 모터(2)의 회전수가 낮고 일부의 상의 권선으로의 통전량이 많아지는 회전수이다. 또한 저회전 영역은, 모터(2)가 로크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도 3은 권선 온도 추정부(4)의 상세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류 벡터 놈 연산부(41)는 d축 전류 추정값 id_est 및 q축 전류 추정값 iq_est의 입력에 기초하여 다음의 식으로부터 전류 벡터 놈값 Ia 2를 산출한다. 그리고 전류 벡터 놈 연산부(41)는 전류 벡터 놈값 Ia 2를 손실 연산부(42)로 출력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04
손실 연산부(42)는 전류 벡터 놈값 Ia 2에 대하여 모터(2) 전체의 열저항 Rloss를 곱함으로써 전력 손실 Ploss를 산출하고, 산출한 전력 손실 Ploss를 온도 연산부(43)로 출력한다. 또한 전력 손실 Ploss는 모터(2)에 입력되는 입력 전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터(2)의 회전 구동에 이용되는 에너지뿐 아니라 열손실의 에너지를 포함한다.
온도 연산부(43)는 열 회로 모델이다. 이 열 회로 모델은, 모터(2)가 저회전 영역인 경우의 모델이며, 전력 손실 Ploss의 입력에 대하여 모터(2)의 3상의 권선에 있어서의 최대 상승 온도인 추정 변화 온도 ΔTest를 출력으로 하는 전달 함수 G(s)에 의하여 나타난다. 온도 연산부(43)는 전력 손실 Ploss에 대하여 전달 함수 G(s)에 기초하는 연산을 함으로써 추정 변화 온도 ΔTest를 산출한다. 또한 이 전달 함수 G(s)는, 차수가 적어도 1차 이상의 동특성을 갖는 전달 함수이다.
가산기(44)는 기준 온도 Tbase와 추정 변화 온도 ΔTest를 가산함으로써, 모터(2)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의 권선 중 가장 온도가 높아지는 상의 권선 추정 최고 온도 Test를 산출한다.
도 4는, 제한율 연산부(5)에 있어서의 처리에 이용되는, 추정 최고 온도 Test와 토크 제한율 Rlim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 의하면,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토크 제한을 행하지 않는 상한 온도인 온도 역치 T100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토크 제한율 Rlim은 R100(100%)으로 된다.
여기서, 토크 제한율 Rlim에는, 권선이 고온으로 되는 것에 기인하는 절연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토크 제한 하한값 Rmin이 존재한다. 또한 모터(2)에는,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커지더라도 토크 제한 하한값 Rmin을 이용하여 제한함으로써 절연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온도가 있으며, 그 온도의 하한이 온도 역치 Tmin으로서 정해진다.
그 때문에,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온도 역치 Tmin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토크 제한 하한값 Rmin을 이용하여 전류를 제한한다. 그리고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온도 역치 T100과 온도 역치 Tmin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온도가 커질수록 토크 제한율 Rlim은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도 5는 토크 명령값 연산부(6)의 동작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승산기(61)에 있어서는, 토크 상한값 Trqlim_upper에 대하여 토크 제한율 Rlim이 곱해져 제한 후 토크 상한값 Trqupper가 산출된다. 또한 승산기(62)에 있어서는, 토크 하한값 Trqlim _lower에 대하여 토크 제한율 Rlim이 곱해져 제한 후 토크 하한값 Trqlower가 산출된다. 비교기(63)에 있어서는, 제한 후 토크 하한값 Trqlower와 토크 명령값 T*가 비교되어 그들 중의 큰 값이 비교기(64)로 출력된다. 비교기(64)는 비교기(63)으로부터의 출력값과 제한 후 토크 상한값 Trqupper를 비교하여 그들 중의 작은 값을 스위치(65)로 출력한다.
동시에 비교기(66)에 있어서는, 토크 명령값 T*과 토크 하한값 Trqlim_lower가 비교되어 큰 쪽을 비교기(67)로 출력한다. 비교기(67)는 비교기(66)로부터의 출력값과 토크 상한값 Trqlim_upper를 비교하여 그들 중의 작은 값을 스위치(65)로 출력한다.
스위치(65)에 있어서는, 저회전 영역 판정부(3)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영역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비교기(64) 또는 비교기(67)로부터의 출력 중 어느 것을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으로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Lo(저회전 영역)인 경우에는, 스위치(65)는 비교기(64)로부터의 출력을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으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토크 명령값 T*는, 토크 제한율 Rlim이 고려된 제한 후 토크 상한값 Trqupper 및 토크 제한후 하한값 Trqlower에 의하여 제한된다. 그 때문에, 모터(2)에 있어서의 발열량이 억제되어 권선의 절연 열화가 방지된다.
한편,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Hi(고회전 영역)인 경우에는, 스위치(65)는 비교기(67)로부터의 출력을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으로서 출력한다. 따라서 토크 명령값 T*는, 토크 제한율 Rlim이 고려되어 있지 않은 토크 상한값 Trqlim_upper 및 토크 하한값 Trqlim_lower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 6은 토크 제어부(7)의 상세 구성도이다.
토크 제어부(7)는 전류 벡터 제어부(71), 전압 위상 제어부(72), 제어 전환 판정부(73) 및 제어 모드 전환부(74)를 구비한다. 제어 전환 판정부(73)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 제어 모드 전환부(74)는 전류 벡터 제어부(71) 또는 전압 위상 제어부(72) 중 어느 것으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여 모터(2)를 제어한다.
전류 벡터 제어부(71)에는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 회전수 검출값 N, 배터리 전압 검출값 Vdc, d축 전류 추정값 id_est 및 q축 전류 추정값 iq_est가 입력된다. 전류 벡터 제어부(71)는 이들 입력값에 기초하여, 전류 벡터 제어에 이용하는 전류 벡터 제어용 전압 명령값 v* di, v* qi를 산출하고, 이들 명령값을 제어 모드 전환부(74)로 출력한다.
전압 위상 제어부(72)에는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 회전수 검출값 N, 배터리 전압 검출값 Vdc, d축 전류 추정값 id_est 및 q축 전류 추정값 iq_est가 입력된다. 전압 위상 제어부(72)는 이들 입력값에 기초하여, 전압 위상 제어에 이용하는 전압 위상 제어용 전압 명령값 v* dv, v* qv를 산출하고, 이들 명령값을 제어 모드 전환부(74)로 출력한다.
제어 전환 판정부(73)는 모터(2)의 제어에 전류 벡터 제어 또는 전압 위상 제어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를 판정한다. 모터(2)가 저속 회전 또는 통상의 속도 범위에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류 벡터 제어가 선택된다. 한편, 모터(2)가 고속 회전하고 있고 약계자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 등에는 전압 위상 제어가 선택된다. 제어 전환 판정부(73)는 선택한 결과를 나타내는 전환 판정 플래그를 제어 모드 전환부(74)로 출력한다.
제어 모드 전환부(74)는, 전환 판정 플래그가 전류 벡터 제어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전류 벡터 제어부(71)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벡터 제어용 전압 명령값 v* di, v* qi를 전압 명령값 v* d, v* q로서 출력한다.
한편, 제어 모드 전환부(74)는, 전환 판정 플래그가 전압 위상 제어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전압 위상 제어부(72)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위상 제어용 전압 명령값 v* dv, v* qv를 전압 명령값 v* d, v* q로서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전류 벡터 제어부(71) 및 전압 위상 제어부(72)의 구성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전류 벡터 제어부(71)의 d축에 관한 제어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q축에 관한 제어에 관한 구성은 d축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전류 벡터 제어부(71)에 있어서는,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에 따른 회전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명령값을 산출하는 전류 명령값 연산부(711)과, 전류의, 자속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명령값을 산출하는 비간섭 전압 연산부(712)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전류 명령값의 산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류 명령값 연산부(711)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 회전수 검출값 N 및 배터리 전압 검출값 Vdc의 입력에 기초하여 전류 명령값 i* d를 산출하면, 전류 명령값 i* d를 감산기(713)로 출력한다.
감산기(713)는 전류 명령값 i* d로부터 d축 전류 추정값 id_est를 빼서 감산 결과를 PI 연산부(714)로 출력한다.
PI 연산부(714)에 있어서는, 전류 명령값 i* d와 d축 전류 추정값 id_est의 편차를 PI 증폭하기 위하여,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d축 전압 명령값 vdi'이 구해진다. 또한 이 식에 있어서 Kpd는 d축 비례 게인을, Kid는 d축 적분 게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05
그리고 PI 연산부(714)는 d축 전압 명령값 vdi'을 가산기(715)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비간섭 성분의 산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간섭 전압 연산부(712)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 회전수 검출값 N 및 배터리 전압 검출값 Vdc의 입력에 기초하여 d축 전압 명령값 v* d_dcpl을 산출한다. 그리고 비간섭 전압 연산부(712)는 전압 명령값 v* d를 필터(716)로 출력한다.
필터(716)는 다음의 식의 전달 함수의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입력값인 전압 명령값 v* d_dcpl에 대하여 전류 규범 응답의 필터 처리를 행한 것을 d축 비간섭 전압값 v* d_dcpl_flt로서 가산기(715)로 출력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06
가산기(715)는 d축 전압 명령값 vdi'과 d축 비간섭 전압값 v* d_dcpl_flt를 가산한다. 그 결과, 다음의 식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류 벡터 제어용 전압 명령값 v* di를 산출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07
도 8은 전압 위상 제어부(72)의 제어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압 명령값 연산부(721)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 회전수 검출값 N 및 배터리 전압 검출값 Vdc의 입력에 기초하여 전압 진폭 명령값 Va *과 전압 위상 명령값 α* ff를 산출한다. 전압 명령값 연산부(721)는 전압 진폭 명령값 Va *를 벡터 변환부(722)로 출력함과 함께, 전압 위상 명령값 α* ff를 가산기(723)로 출력한다.
블록(724)은, (6) 식으로 나타낸 전류 규범 응답과 동일한 특성의 필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입력되는 최종 토크 명령값 T* fin에 대하여 필터 처리를 행하여 다음의 식과 같이 규범 토크 Tref를 산출한다. 그리고 블록(724)은 규범 토크 Tref를 감산기(725)로 출력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08
토크 추정부(726)는 입력되는 d축 전류 추정값 id_est 및 q축 전류 추정값 iq_est에 기초하여 추정 토크 Tcal을 산출하고, 추정 토크 Tcal을 감산기(725)로 출력한다. 또한 토크 추정부(726)에 있어서의 추정 처리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식에 있어서, Ld 및 Lq는 각각 d축 인덕턴스 및 q축 인덕턴스를 나타내고, Φa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또한 p는 소정의 상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09
감산기(725)는 규범 토크 Tref로부터 추정 토크 Tcal을 감산하고, 그 감산 결과를 PI 연산부(727)로 출력한다.
PI 연산부(727)에 있어서는, 감산기(725)로부터 산출되는 규범 토크 Tref와 추정 토크 Tcal의 편차를 PI 증폭함으로써 전압 위상 보정값 α* fb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PI 연산부(727)에 있어서는 다음의 식의 계산이 행해진다. 그리고 PI 연산부(727)는 연산 결과를 가산기(723)로 출력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10
가산기(723)는 전압 위상 명령값 α* ff와 전압 위상 보정값 α* fb를 가산하고, 그 가산 결과인 α* fin을 벡터 변환부(722)로 출력한다. 가산기(723)에 있어서의 처리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11
벡터 변환부(722)는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전압 진폭 명령값 Va *과 최종 전압 위상 명령값 α* fin을 dq축 성분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벡터 변환부(722)는 변환 결과를 전압 위상 제어용 전압 명령값 v* dv, v* qv로서 출력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12
도 9는, 모터(2)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실선으로, U상, V상 및 W상의 권선 온도 Tu, Tv 및 Tw가 각각 1점 쇄선, 2점 쇄선 및 3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각 상의 권선 온도 Tu, Tv, Tw보다도 추정 최고 온도 Test 쪽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그 때문에, 모터(2)가 저회전 영역에 있어, 예를 들어 로크되어 있음으로써 U상의 권선에만 전류가 인가되어 모터(2) 내에서 온도에 편중이 있는 경우에도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모터(2) 내의 U상의 권선 온도 Tu를 상회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모터(2) 내의 복수의 상의 권선 중 가장 온도가 높아지는 상의 권선의 최고 온도를 상회하도록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추정되고, 추정 최고 온도 Test를 이용하여 토크 제한을 행함으로써 모터(2) 내의 모든 권선에 있어서 가열에 의한 절연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권선 온도 추정부(4)가 갖추는 전달 함수 G(s)는 모터(2)에 입력되는 전력을 나타내는 전력 손실 Ploss에 따라, 모터(2) 내의 복수의 상의 권선 중 가장 온도가 높아지는 상의 권선의 최고 온도를 상회하는 온도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권선 온도 추정부(4)에 의하여 추정되는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모터(2)가 거의 회전 구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토크를 발생시키는 로크 상태를 포함하는 저회전 영역에 있으며, 일부의 상(예를 들어 U상)에만 전류가 계속해서 흐르는 경우에도, 모터(2) 내의 권선의 최고 온도로 되는 상(예를 들어 U상)의 권선에 있어서의 온도를 상회한다.
그 때문에, 추정 최고 온도 Test에 기초하여 토크 제한을 행함으로써, 모터(2)가 저회전 영역이더라도 권선의 어느 상에 있어서도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일이 없으므로 절연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터(2)에 있어서는, 기준 온도 Tbase의 측정에 이용하는 온도계만을 마련하면 되며, 모든 상의 권선에 온도 센서를 마련할 필요는 없으므로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모터(2)의 저회전 상태는 모터(2)가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모터(2)는, 로크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회전 상태에서 특정한 상에만 전류가 계속해서 인가되게 되기 때문에 모터(2) 내의 온도의 편중이 크다. 그 때문에, 모터(2) 내의 권선의 최고 온도를 상회하도록 추정 최고 온도 Test를 추정함으로써 권선에 있어서의 절연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권선 온도 추정부(4)에 있어서 전달 함수 G(s)를 이용하여 추정 변화 온도 ΔTest를 산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달 함수 G(s)를 소정의 타이밍에 초기화함으로써, 권선 온도 추정부(4)에 의한 추정 변화 온도 ΔTest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모터 제어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도면의 모터 제어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모터 제어 장치(1)와 비교하면, 모터(2)가 어느 상(예를 들어 U상)에 있어서의 권선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6)가 더 마련되는 점, 온도 센서(16)에서 검출된 측정 온도 Tsen이 권선 온도 추정부(4)에 입력되는 점, 및 저회전 영역 판정부(3)로부터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권선 온도 추정부(4)에 입력되는 점이 상이하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권선 온도 추정부(4)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되는 권선 온도 추정부(4)는,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권선 온도 추정부(4)와 비교하면, 온도 연산부(43)에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입력되는 점과, 감산기(45)가 더 마련되어 있는 점과, 온도 연산부(43)에 감산기(45)에 의한 감산 결과가 입력되는 점이 상이하다.
권선 온도 추정부(4)에 있어서는,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Hi(고회전 영역)로부터 Lo(저회전 영역)로 전환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추정 변화 온도 ΔTest의 산출에 이용되는 전달 함수 G(s)로 나타나는 필터를, 측정 온도 Tsen으로부터 기준 온도 Tbase를 뺀 값에 의하여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이는, 최종적으로 산출되는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산출 처리에 이용하는 필터를 측정 온도 Tsen에서 초기화하는 것과 등가이다. 달리 말하면, 모터(2)가 저회전 상태로 천이한 타이밍으로부터 측정 온도 Tsen을 초기값으로 하여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처리가 개시되는 것에 진배없다.
도 12는, 모터(2)에 있어서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점선으로, U상, V상 및 W상의 권선 온도 Tu, Tv 및 Tw가 각각 1점 쇄선, 2점 쇄선 및 3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모터(2)가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하는 시각 t1에 있어서 전달 함수 G(s)의 초기화를 행하지 않는 경우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시각 t1에 전달 함수 G(s)의 초기화를 행하는 경우가 실선으로 나타나 있다.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터(2)가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하는 시각 t1에 전달 함수 G(s)의 초기화가 행해지지 않으면, 저회전 영역에 있어서도 고회전 영역의 결과를 이어받듯이 전달 함수 G(s)의 필터를 이용한 추측 스텝이 실행되어 버린다. 즉,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한 후에 있어서,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고회전 영역에 있어서의 연산 결과를 이어받아 버린다. 그 때문에,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 후에 추정 최고 온도 Test와 모터(2) 내에서의 최고 온도인 U상의 온도 Tu가 괴리되어 버려 추정 정밀도가 나빠져 버린다.
그래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 t1에 측정 온도 Tsen에 기초하여 전달 함수 G(s)의 필터를 초기화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추정 정밀도가 나쁜 고회전 상태에 있어서의 추정 결과를 이어받지 않게 되므로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 후의 추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모터(2) 제어 방법에 의하면, 권선 온도 추정부(4)의 전달 함수 G(s)의 필터는 저회전 영역에 있어서의 모터(2) 내에 있어서의 추정 최고 온도 Test를 추정하기 위하여 모터(2) 내의 온도의 편중을 고려해서 설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온도의 편중이 적은 고회전 영역에 있어서는, 검출 온도 Tu, Tv, Tw는 거의 동등해지므로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정밀도가 낮다.
고회전 영역으로부터 동일한 전달 함수 G(s)의 필터를 이용하여 계산을 계속해 버리면, 저회전 영역 상태로 천이한 직후에 있어서는,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고회전 영역의 연산 결과를 이어받아 버리므로 추정 정밀도가 나빠져 버린다.
그래서, 저회전 상태로 천이했을 때 측정 온도 Tsen에 기초하여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산출에 이용하는 전달 함수 G(s)의 필터를 초기화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추정 정밀도가 나쁜 고회전 상태에 있어서의 추정 결과를 이어받지 않게 되므로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 후에 있어서 추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고회전 영역에서는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정밀도가 낮아져 버린다는 과제에 대하여, 고회전 영역으로부터 저회전 영역으로의 천이 시에 측정 온도 Tsen에 의하여 전달 함수 G(s)의 필터를 초기화하는, 즉, 측정 온도 Tsen을 이용한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처리를 개시함으로써, 고회전 영역의 산출 결과를 이어받지 않게 되므로 저회전 영역으로의 천이 후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달 함수 G(s)의 필터의 초기화에 측정 온도 Tsen을 이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달 함수 G(s)의 필터를 초기화하는 다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선 온도 추정부(4)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도 11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선 온도 추정부(4)와 비교하면, 권선 온도 추정부(4)가 초기화 온도 연산부(46)를 더 갖는 점이 상이하다.
초기화 온도 연산부(46)는 측정 온도 Tsen 및 회전 영역 판정 결과의 입력에 따라 초기화 온도 Tini를 출력한다. 감산기(45)는 초기화 온도 Tini로부터 기준 온도 Tbase를 빼고 감산 결과를 온도 연산부(43)로 출력한다. 그리고 이 감산 결과는 온도 연산부(43)에 있어서의 전달 함수 G(s)의 필터의 초기화에 이용된다. 최종적으로 온도 연산부(43)의 연산 결과인 추정 변화 온도 ΔTest와 기준 온도 Tbase가 가산기(44)에 의하여 가산됨으로써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산출된다. 이와 같은 권선 온도 추정부(4)에 있어서의 동작은, 초기화 온도 Tini를 초기값으로 하여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스텝이 개시되는 것에 진배없다.
도 14는 초기화 온도 연산부(46)의 상세 구성도이다. 초기화 온도 연산부(46)는 초기화 온도 보정부(461)와 가산기(462)를 구비한다. 초기화 온도 보정부(461)는 보정 스텝을 실행하는 구성의 일례이다.
초기화 온도 보정부(461)에는, 수렴값인 0(제로)과, 전회값의 추정 최고 온도 Test[k-1]과,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입력된다. 그리고 이들 입력값으로부터, 초기화 온도 Tini의 보정에 이용하는 초기화 보정 온도 값 Ttrans를 출력한다.
여기서, 초기화 온도 보정부(461)는, 모터(2)가 고회전 영역의 상태인 경우에만 연산되는 필터 H(s)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필터 H(s)를 이용하여 초기화 보정 온도 Ttrans가 산출된다. 즉, 초기화 보정 온도 Ttrans는 고회전 영역으로의 천이 시부터, 천이 시의 추정 최고 온도 Test로부터 0에 수렴하도록 변화된다.
그리고 가산기(462)는 측정 온도 Tsen과 초기화 보정 온도 Ttrans를 가산함으로써 초기화 온도 Tini를 산출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감산기(45)로 출력한다. 또한 초기화 온도 Tini는 다음의 식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13
이와 같이 함으로써, 모터(2)의 저회전 상태로의 천이 시에 전달 함수 G(s)의 초기화에 이용하는 초기화 온도 Tini는 보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초기화 온도 Tini는 측정 온도 Tsen에 대하여 초기화 보정 온도 Ttrans만큼 보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터(2)가 고회전 상태인 경우에는 보정된 초기화 온도 Tini가 추정 최고 온도 Test로서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초기화 온도 Tini는, 저회전 영역으로부터 고회전 영역으로의 천이 시에 있어서는 그 전후에 있어서 동일한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이용되게 된다. 고회전 영역으로부터 저회전 영역으로의 천이 시에 있어서는 초기화 온도 Tini에 의하여 온도 연산부(43)의 전달 함수 G(s)의 필터가 초기화되게 되므로, 그 전후에 있어서 동일한 초기화 온도 Tini로 된다. 따라서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변화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권선 온도 추정부(4)에 있어서의 처리는, 모터(2)가 저회전 상태로 천이한 타이밍으로부터 측정 온도 Tsen을 초기값으로 하여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처리가 개시되는 것에 진배없다. 그리고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처리에 전달 함수 G(s)의 필터가 이용되고 있으며, 그 초기화는 초기화 온도 Tini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이와 같은 등가의 기능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동작을 고찰하면, 초기화 온도 Tini가 보정되어 있으며, 그 보정값은, 고회전 상태로 천이한 타이밍으로부터, 그 천이 타이밍에서의 추정 최고 온도 Test로부터 측정 온도 Tsen로 필터 H(s)의 특성에 따라 수렴하게 된다.
또한 필터 H(s)는 모터(2)에 있어서의 방열 특성을 갖추는 전달 함수이며, 권선 온도 추정에 이용되는 열 모델의 전달 함수 G(s)와 같다. 또한 필터 H(s)는 방열 특성으로서 G(s) 중의 지배적인 일부인 전달 특성 G'(s)이어도 된다.
도 15는, 모터 내의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V상 및 W상의 권선 온도 Tu, Tv 및 Tw가 각각 1점 쇄선, 2점 쇄선 및 3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모터(2)는, 저회전 영역에서 고회전 영역으로 이행하는 시각 t1 후에 다시 시각 t2에 있어서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한다.
시각 t1까지의 사이에는 U상에 많은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V상의 권선에 온도 센서(16)가 마련되어 있으며, 측정 온도 Tsen은 V상 온도 Tv와 동등한 것으로 한다. 또한 실선으로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나타나 있다. 시각 t2 이후에는 또한 점선으로, 본 실시 형태의 보정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의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나타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고회전 영역인 시각 t1과 시각 t2 사이에 있어서는 초기화 온도 Tini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보정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하는 시각 t2에 있어서, 측정 온도 Tsen(Tv)로 초기화되어 있다.
여기서,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의 시간, 즉, 고회전 영역의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시각 t2에 있어서 모터(2) 내에 있어서 온도의 편중이 있다. 그 때문에, 저회전 영역에 이용되는 G(s) 필터는 모터(2)에 온도의 편중이 있는 것을 전제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G(s) 필터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추정 최고 온도 Test 쪽이 측정 온도 Tsen보다도 모터(2) 내의 최고 온도를 적절히 나타내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시각 t2에 있어서는, 모터(2) 내의 최고 온도인 U상 온도 Tu는 측정 온도 Tsen(Tv)을 상회하고 있다. 그 때문에, 측정 온도 Tsen(Tv)을 이용하여 전달 함수 G(s)의 필터를 초기화해 버리면, 시각 t2 이후의 일부 구간에 있어서 추정 최고 온도 Test(점선)은 U상 온도 Tu를 하회해 버린다.
그래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화 온도 Tini를 보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시각 t2에 있어서는, 초기화 온도 Tini는 모든 상의 온도를 상회하기 때문에, 이 초기화 온도 Tini를 이용하여 필터를 초기화함으로써 적절한 추정 최고 온도 Test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고회전 구간인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추정 최고 온도 Test로서 보정된 초기화 온도 Tini를 이용함으로써, 그 회전 구간이 천이하는 시각 t1 및 시각 t2에 있어서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연속적으로 변화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모터(2)가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할 때 전달 함수 G(s)의 필터의 초기화에 이용하는 초기화 온도 Tini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정에 이용되는 보정값은, 고회전 영역으로 천이한 타이밍으로부터 보정이 개시되며, 초기화 온도 Tini는, 추정 최고 온도 Test로부터 시작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측정 온도 Tsen에 수렴하는 값이다.
고회전 영역의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모터(2) 내에 있어서 온도의 편중이 남으므로, 추정 최고 온도 Test 쪽이 측정 온도 Tsen보다도 필터의 초기화에 적합하다. 한편, 고회전 영역의 시간이 긴 경우에는, 모터(2) 내에 있어서의 온도의 편중이 시간 경과에 따라 없어지므로, 측정 온도 Tsen 쪽이 추정 최고 온도 Test보다도 필터의 초기화에 적합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초기화 온도 Tini를 추정 최고 온도 Test로부터 측정 온도 Tsen에 수렴하는 값으로 보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고회전 영역의 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초기화 온도 Tini는 추정 최고 온도 Test에 가까운 값으로 보정된다. 한편, 고회전 영역의 시간이 긴 경우에는, 초기화 온도 Tini는 측정 온도 Tsen에 가까운 값으로 보정된다.
따라서 적절한 초기화 온도 Tini를 이용하여 필터의 초기화를 행할 수 있으므로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적절히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모터 제어 방법에 의하면, 초기화 온도 Tini의 수렴은 모터(2)의 방열 특성을 갖는 H(s)에 따른다. 여기서, 저회전 영역과 고회전 영역이 전환되는 경우나 장시간 경과 후에 회전 영역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정밀도가 낮고 또한 측정 온도 Tsen의 신뢰성도 낮다.
여기서, 모터(2) 내의 온도의 편중이 있는 경우에는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정밀도가 높고, 한편, 모터(2) 내의 온도의 편중이 없는 경우에는 측정 온도 Tsen의 신뢰성이 높다. 따라서 추정 최고 온도 Test로부터 측정 온도 Tsen로의 수렴을, 모터(2) 내의 온도 변화를 결정하는 모터(2)의 방열 특성을 따르게 함으로써, 초기화 온도 Tini를 고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로부터 제3 실시 형태까지에 있어서는 모터(2)가 저회전 영역인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터(2)가 고회전 영역인 경우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권선 온도 추정부(4)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선 온도 추정부(4)와 비교하면, 스위치(47)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스위치(47)에는, 가산기(44)로부터 출력되는 가산값에 추가하여 회전 영역 판정 결과와 측정 온도 Tsen이 입력된다. 스위치(47)는,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Lo(저회전 영역)인 경우에는 가산기(44)로부터 출력되는 가산 결과를 추정 최고 온도 Test로서 출력한다. 한편, 스위치(47)는,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Hi(고회전 영역)인 경우에는 측정 온도 Tsen을 추정 최고 온도 Test로서 출력한다.
도 17에는, 고회전 영역에 있어서의 3상의 검출 온도 TU, TV, TW가 나타나 있다. 고회전 영역에 있어서는, 모터(2) 내에 온도의 편중이 없으므로 검출 온도 TU, TV, TW는 거의 동등한 온도를 나타낸다. 그래서, 고회전 영역에 있어서는 추정 최고 온도 Test로서 측정 온도 Tsen을 이용함으로써 추정 최고 온도 Test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를 제3 실시 형태와 병용하는 경우에는, 저회전 영역으로부터 고회전 영역으로 천이한 후의 일정 구간에 있어서는, 제3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된 초기화 온도 Tini를 추정 최고 온도 Test로서 이용함으로써 천이 후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켜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모터(2)가 고회전 영역인 경우에는, 저회전 영역인 경우와 비교하면 모터(2) 내의 온도의 편중이 적으므로, 측정 온도 Tsen 쪽이 추정 최고 온도 Test보다도 모터(2)의 각 상의 권선에 있어서의 온도에 가깝다. 그래서, 추정 최고 온도 Test로서 측정 온도 Tsen을 이용함으로써, 전류 제한에 의한 브레이크가 걸리기 어려워짐과 함께 절연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 또는 제3 실시 형태까지에 있어서는, 측정 온도 Tsen을 이용하여 고회전 영역과 저회전 영역 사이의 천이 기간에 있어서의 추정 최고 온도 Test를 구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측정 온도 Tsen을 이용하지 않고 천이 기간에 있어서의 추정 최고 온도 Test를 구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의 온도 연산부(43)의 상세한 구성도이다.
제1 연산부(431)에 있어서는, 도 4의 손실 연산부(42)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손실 Ploss가 입력된다. 제1 연산부(431)에 있어서는, 다음의 식에 나타나는 전달 함수를 갖추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상승 온도 ΔT1을 산출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14
스위치(432)에는 0값과 전력 손실 Ploss와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입력된다.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Hi(고회전 영역)인 경우에는 스위치(432)는 0을 출력하고, 회전 영역 판정 결과가 Lo(저회전 영역)인 경우에는 스위치(432)는 전력 손실 Ploss를 출력한다.
제2 연산부(433)는 다음의 식에 나타나는 전달 함수를 갖추고 있으며, 스위치(432)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제2 상승 온도 ΔT2를 산출한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15
가산기(434)에 있어서는, 제1 연산부(431)로부터 출력되는 제1 상승 온도 ΔT1과 제2 연산부(433)로부터 출력되는 제2 상승 온도 ΔT2를 가산함으로써 추정 변화 온도 ΔTest가 산출된다.
또한 제1 연산부(431)는 제1 추정 스텝을 실행하는 구성의 일례이다. 제2 연산부(433)는 제2 추정 스텝을 실행하는 구성의 일례이다. 가산기(434)는 가산 스텝을 실행하는 구성의 일례이다.
여기서, 제1 연산부(431) 및 제2 연산부(43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구성은, 도 19에 도시하는 회로에 기초하여 산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U, V, W상의 권선으로의 입력 전력의 크기가 Wu, Wv, Ww로서 나타나 있음과 함께, U, V, W상의 권선에 있어서의 증가 온도가 ΔTu, ΔTv, ΔTw로서 나타나 있다. 또한 U, V, W상의 각각에는 저항 성분 Rd와 콘덴서 성분 Cd가 나타나 있고, U, V, W상의 각각의 사이에 있어서의 저항 성분 Rx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회로를 전제로 하여 먼저, 모터(2)가 고회전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2)가 고회전 상태인 경우에는, U, V, W상에는 대략 동등한 크기의 전력이 더해지게 되기 때문에 전력 손실 Ploss는 Wu, Wv 및 Ww에 각각 1/3씩 분배된다.
따라서 증가 온도 ΔTu, ΔTv, ΔTw는 다음의 행렬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우변의 제1 항은 열전도에 기인하는 성분이고, 우변의 제2 항은 입력 전력에 따른 발열 성분이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16
이 행렬식에 의하여, 고회전 영역에서의 U상의 증가 온도 ΔTu인 고회전 증가 온도 ΔTu_hi는 이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17
다음으로, 모터(2)가 저회전 상태, 예를 들어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 대하여 검토한다.
모터(2)가 저회전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U상 권선에 최대의 전력이 인가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U상에 입력되는 전류와 비교하면, V, W상에 있어서는 U상과 120도의 위상차가 있으므로, U상의 절반 크기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력은 전류에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Wu는 Wv 및 Ww의 4배 크기로 된다. 따라서 입력되는 전력 손실 Ploss는 Wu에 2/3, Wv 및 Ww에 1/6씩 분배된다.
따라서 증가 온도 ΔTu, ΔTv, ΔTw는 다음의 행렬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16) 식과 마찬가지로 우변의 제1 항은 열전도에 기인하는 성분이고, 우변의 제2 항은 입력 전력에 따른 발열 성분이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18
이 행렬식을 전개할 때 상술한(17) 식을 고려하면, 저회전 상태의 U상의 증가 온도 ΔTu인 저회전 증가 온도 ΔTu_lo는 다음의 식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112019046718224-pct00019
여기서, (19) 식의 우변 제1 항은 (17) 식의 우변과 동등하다. 이는, (19) 식의 우변 제1 항이 고회전 상태에 있어서의 고회전 증가 온도 ΔTu_hi를 나타내고, 우변 제2 항이 저회전 상태에 기인하는 추가적인 증가 온도를 나타내게 된다.
즉, 고회전 상태인 경우에는 (17) 식에 의하여 고회전 증가 온도 ΔTu_hi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저회전 상태인 경우에는 (17) 식의 결과에 (19) 식의 우변 제2 항을 더함으로써 저회전 증가 온도 ΔTu_lo를 구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17) 식과 동등한 (19) 식의 제1 항은, 고회전 상태에서도, 저회전 상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존재하기 때문에, 회전 상태에 구애받지 않는 증가 온도에 상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19) 식의 제2 항은 저회전 상태에 기인하는 증가 온도를 나타내게 된다.
도 20에는 모터(2)의 온도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20에는, 상부에 모터(2)의 위상이 나타나 있고 하부에 모터(2)의 온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점선으로, U상, V상 및 W상에 있어서의 권선의 온도인 Tu, Tv 및 Tw가 각각 1점 쇄선, 2점 쇄선 및 3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모터(2)는, 시각 t0부터 시각 t1까지의 사이 및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의 사이는 저회전 영역이다.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의 사이는 고회전 영역이다. 시각 t3 이후에 있어서는 고회전 영역이어서,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의 사이보다도 회전수는 높다.
시각 t0부터 시각 t1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모터(2)가 로크되어 있어 U상 배선에 주로 전력이 인가되므로, U상 온도 Tu가 V상 온도 Tv 및 W상 온도 Tw보다도 높다. 그리고 제1 연산부(431) 및 제 2 연산부(433)에 의하여, (19) 식을 따라 저회전 증가 온도 ΔTu_lo가 산출되므로, 저회전 증가 온도 ΔTu_lo인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W상 온도 Tw를 상회하지 않는다.
시각 t1부터 시각 t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모터(2)는 회전하고 있어 각 상의 권선에는 전력이 차례대로 인가되므로, U상 온도 Tu, V상 온도 Tv 및 W상 온도 Tw는 진동하면서 동일한 값에 수렴한다. 시각 t1에 있어서는 고회전 영역으로 천이하므로, 스위치(432)는 출력을 0으로 전환한다. 그 때문에, 제2 연산부(433)로부터 출력되는 제2 상승 온도 ΔT2는 0에 수렴하게 되므로,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기준 온도 Tbase와 제1 상승 온도 ΔT1의 합에 수렴한다. 제1 연산부(431)에 의하여, (17) 식을 따라 고회전 증가 온도 ΔTu_hi가 산출되므로, 고회전 증가 온도 ΔTu_hi인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각 상의 권선의 최고 온도를 상회하지 않는다.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모터(2)가 로크되어 있어 W상 배선에 주로 전력이 인가되므로, W상 온도 Tw가 U상 온도 Tu 및 V상 온도 Tv보다도 높다. 시각 t2에 있어서는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하므로, 스위치(432)는 출력을 전력 손실 Ploss로 전환한다. 그 때문에, 제2 연산부(433)로부터 출력되는 제2 상승 온도 ΔT2는 전력 손실 Ploss에 따른 값으로 되므로, 시간 경과에 따라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커지게 된다. 제1 연산부(431) 및 제 2 연산부(433)에 의하여, (19) 식을 따라 저회전 증가 온도 ΔTu_lo가 산출되므로, 저회전 증가 온도 ΔTu_lo인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W상 온도 Tw를 상회하지 않는다.
시각 t3 이후에 있어서는 모터(2)가 회전하고 있으며, 그 회전수는 시각 t2부터 시각 t3까지의 사이보다도 높다. 각 상의 권선에는 전력이 차례대로 인가되므로 U상 온도 Tu, V상 온도 Tv 및 W상 온도 Tw는 동일한 값에 수렴한다. 시각 t3에 있어서는, 스위치(432)는 출력을 0으로 전환하기 때문에, 제2 연산부(433)로부터 출력되는 제2 상승 온도 ΔT2는 0에 수렴하게 된다. 따라서 (17) 식을 따라 고회전 증가 온도 ΔTu_hi가 산출되므로, 고회전 증가 온도 ΔTu_hi인 추정 최고 온도 Test는 각 상의 권선의 최고 온도를 상회하지 않는다.
또한 도 21은, 본 실시 형태의 권선 온도 추정부(4)의 변형예의 일부이다. 가산기(435)가 제1 연산부(431)의 출력과 기준 온도 Tbase를 가산하여 제1 추정 온도 Test_1을 산출한다. 그리고 가산기(434)가, 제1 추정 온도 Test_1과, 제2 연산부(433)에 의하여 산출되는 저회전 상태에 기인하는 제2 상승 온도 ΔT2를 가산함으로써, 추정 최고 온도 Test를 구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고회전 영역으로부터 저회전 영역으로 천이하면, 제1 연산부(431)에 의하여 산출되는 제1 추정 온도 Test_1에 대하여 제2 연산부(433)에 의하여 산출되는 제2 상승 온도 ΔT2가 더해져 최고 온도 Test가 예측된다. 제1 추정 온도 Test_1은 모터(2)로의 인가 전력에 따라 정해지며, 회전 상태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다. 한편, 제2 상승 온도 ΔT는, 모터(2)가 저회전 상태인 것에 기인하는 제1 추정 온도 Test_1로부터의 상승 온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다른 구성으로서, 고회전 영역과 저회전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추정 온도를 구하고, 회전 영역이 천이하는 경우에 각각의 추정 온도에 필터 처리를 행하여 합산하는 것에 의해서도 천이 시의 추정 온도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필터 처리를 행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천이 상태를 모델화하지 못하여 추정 정밀도가 낮아져 버린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영역이 천이한 후의 천이 기간을 포함하는 전 구간에 있어서 모델화된 (19) 식에 의하여 추정 온도를 구할 수 있으므로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필터의 초기화 등의 처리가 필요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와 같은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소한 연산으로 고정밀도의 추정을 실현하고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모터(2)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스위치(432)는, 저회전 영역인 경우에는 제2 연산부(433)에 전력 손실 Ploss를 출력한다. 이는, 저회전 영역에 있어서는, (19) 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산부(431)에 상당하는 우변 제1 항과 제2 연산부(433)에 상당하는 우변 제2 항의 합에 의하여 추정 최고 온도 Test가 산출되기 때문이다. 한편, 스위치(432)는, 고회전 영역인 경우에는 제2 연산부(433)에 0을 출력한다. 이는, 고회전 영역에 있어서는, 제2 연산부(433)에 의하여 산출되는 저회전 영역에 기인하는 증가 온도의 영향이 없기 때문이다.
제2 연산부(433)에 상당하는 우변 제2 항에는 미분 성분인 「s」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위치(432)를 전환한 후에 있어서는 전환 후의 증가 온도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영역의 전환 후에 있어서의 천이 기간에 대해서도 모델화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정밀도로 추정 최고 온도 Test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데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적절히 조합 가능하다.

Claims (15)

  1. 복수의 상의 권선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저회전의 상태인 경우에 상기 모터에 흐르는 d축 전류와 q축 전류로부터 전류 벡터 놈을 산출하고, 상기 전류 벡터 놈과 상기 모터 전체의 열저항으로부터 전력 손실을 산출하고, 상기 전력 손실과 차수가 1차 이상인 전달 특성을 갖는 전달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상의 권선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를 추정하는 추정 스텝과,
    상기 추정 스텝에서 추정되는 상기 최고 온도에 기초하여 입력 전력을 제한하는 제한 스텝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회전의 상태는 상기 모터가 로크되는 상태를 포함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의 권선 중의 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추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의 상태로 천이했을 때 상기 측정 스텝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초기값으로 하여 상기 최고 온도의 추정이 개시되는, 모터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이 아닌 상태로 천이할 때부터, 상기 추정 스텝에서 추정되는 상기 최고 온도로부터 시작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측정 스텝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수렴하는 보정값을 정하고, 상기 추정 스텝의 개시 시에 있어서의 해당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초기값을 보정하는 보정 스텝을 더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모터의 방열 특성에 따라 수렴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스텝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의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추정 스텝에서 추정되는 상기 최고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로의 인가 전력을 제한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의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측정 스텝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로의 인가 전력을 제한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스텝은,
    상기 입력 전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 상태에 구애받지 않는 제1 추정 온도를 추정하는 제1 추정 스텝과,
    상기 제1 추정 온도에 대한, 상기 모터의, 상기 저회전의 상태인 것에 기인하는 증가 온도를 추정하는 제2 추정 스텝과,
    상기 제1 추정 온도와 상기 증가 온도를 가산하고, 가산 결과를 상기 최고 온도로 하는 가산 스텝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의 상태로 천이할 때 상기 증가 온도는 상기 입력 전력에 따른 추정을 개시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이 아닌 상태로 천이할 때 상기 증가 온도는 0의 입력에 따른 추정을 개시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9. 복수의 상의 권선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저회전의 상태인 경우에 상기 모터에 입력되는 입력 전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의 권선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를 추정하는 추정 스텝과,
    상기 추정 스텝에서 추정되는 상기 최고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전력을 제한하는 제한 스텝과,
    상기 복수의 상의 권선 중 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추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의 상태로 천이했을 때 상기 측정 스텝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초기값으로 하여 상기 최고 온도의 추정이 개시되는, 모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이 아닌 상태로 천이할 때부터, 상기 추정 스텝에서 추정되는 상기 최고 온도로부터 시작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측정 스텝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수렴하는 보정값을 정하고, 상기 추정 스텝의 개시 시에 있어서의 해당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초기값을 보정하는 보정 스텝을 더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상기 모터의 방열 특성에 따라 수렴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스텝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의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추정 스텝에서 추정되는 상기 최고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로의 인가 전력을 제한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의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측정 스텝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로의 인가 전력을 제한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13. 복수의 상의 권선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저회전의 상태인 경우에 상기 모터에 입력되는 입력 전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의 권선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를 추정하는 추정 스텝과,
    상기 추정 스텝에서 추정되는 상기 최고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전력을 제한하는 제한 스텝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추정 스텝은,
    상기 입력 전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 상태에 구애받지 않는 제1 추정 온도를 추정하는 제1 추정 스텝과,
    상기 제1 추정 온도에 대한, 상기 모터의, 상기 저회전의 상태인 것에 기인하는 증가 온도를 추정하는 제2 추정 스텝과,
    상기 제1 추정 온도와 상기 증가 온도를 가산하고, 가산 결과를 상기 최고 온도로 하는 가산 스텝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정 스텝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의 상태로 천이할 때 상기 증가 온도는 상기 입력 전력에 따른 추정을 개시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저회전이 아닌 상태로 천이할 때 상기 증가 온도는 0의 입력에 따른 추정을 개시하는, 모터의 제어 방법.
  15. 복수의 상의 권선을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저회전의 상태인 경우에 상기 모터에 흐르는 d축 전류와 q축 전류로부터 전류 벡터 놈을 산출하고, 상기 전류 벡터 놈과 상기 모터 전체의 열저항으로부터 전력 손실을 산출하고, 상기 전력 손실과 차수가 1차 이상인 전달 특성을 갖는 전달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상의 권선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를 추정하는 추정부와,
    상기 추정부에서 추정되는 상기 최고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로의 입력 전력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모터의 제어 장치.
KR1020197013174A 2016-11-01 2016-11-01 모터의 제어 방법 및 모터의 제어 장치 KR102074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2495 WO2018083744A1 (ja) 2016-11-01 2016-11-01 モータの制御方法、及び、モータ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146A KR20190057146A (ko) 2019-05-27
KR102074111B1 true KR102074111B1 (ko) 2020-02-05

Family

ID=6207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174A KR102074111B1 (ko) 2016-11-01 2016-11-01 모터의 제어 방법 및 모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715077B2 (ko)
EP (1) EP3537601B1 (ko)
JP (1) JP6673494B2 (ko)
KR (1) KR102074111B1 (ko)
CN (1) CN109923780B (ko)
BR (1) BR112019008849B1 (ko)
CA (1) CA3042156C (ko)
MX (1) MX2019004756A (ko)
MY (1) MY183093A (ko)
RU (1) RU2706025C1 (ko)
WO (1) WO201808374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947A (ko) 2020-10-15 2022-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영구자석 과온 보호를 위한 철손 저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80502A (ko) 2020-12-07 202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구자석의 불가역 감자를 방지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 및 모터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4219B1 (fr) * 2018-07-18 2020-06-19 Renault S.A.S Procede et systeme de correction de temperature mesuree de bobinage d'une machine electrique, notamment pour un vehicule a propulsion electrique ou hybride
DE112018008007B4 (de) * 2018-11-13 2022-09-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emperaturschätzvorrichtung, Motorsteuervorrichtung, und Temperaturschätzverfahren
CN113141145B (zh) * 2020-01-16 2023-04-1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工作设备系统及其适用的控制方法
CN113031673B (zh) * 2021-01-28 2022-04-12 浙江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纯电动车辆驱动系统温度控制方法
MX2022001398A (es) * 2021-05-17 2023-01-24 Nissan Motor Metodo para controlar motor, dispositivo para controlar mo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4185A (ja) 2001-11-27 2003-06-06 Denso Corp 三相交流モータ制御装置
JP2005080485A (ja) 2003-09-03 2005-03-24 Aisin Aw Co Ltd 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5229661A (ja) 2004-02-10 2005-08-25 Denso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制御装置
JP2010111265A (ja) 2008-11-06 2010-05-2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操舵制御装置
JP2010148322A (ja) 2008-12-22 2010-07-01 Aisin Seiki Co Ltd モータ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8437A (en) * 1987-12-08 1990-07-03 National Standard Company Rubberless tire bead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3046147B2 (ja) 1992-07-20 2000-05-29 オークマ株式会社 交流モータのサーボ制御装置
CA2593889C (en) * 2006-07-26 2011-09-27 Sumitaka Ogawa Motor protection system
JP4254864B2 (ja) * 2007-01-25 2009-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017707A (ja) * 2007-07-05 2009-01-22 Aisin Seiki Co Ltd モータ制御装置
CN102135453A (zh) * 2010-12-10 2011-07-2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电机温度监测方法及系统、功率控制方法及系统
JP5149431B2 (ja) * 2011-07-29 2013-02-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の可動子の温度を検出する温度検出装置
JP5397785B2 (ja) 2011-08-01 2014-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3相回転機の制御装置
JP5276700B2 (ja) 2011-09-21 2013-08-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の巻線過熱防止装置および電動機の制御装置
KR101920080B1 (ko) 2012-05-04 2018-1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터 회전자 온도를 이용한 구동모터제어방법
JP5607698B2 (ja) 2012-10-18 2014-10-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の温度を推定する温度推定装置
GB201222284D0 (en) * 2012-12-11 2013-01-23 Nidec Sr Drives Ltd Estimation of resistance in electrical machines
US9735722B2 (en) * 2014-02-19 2017-08-15 Deere & Company Methods of controlling a machine using a torque command limit derived from a current limit and systems thereof
JP6098581B2 (ja) * 2014-07-11 2017-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6061726A1 (zh) * 2014-10-20 2016-04-2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无人机电机驱动智能功率控制系统和方法以及无人机
JP6274077B2 (ja) 2014-11-04 2018-02-07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
RU2587162C1 (ru) * 2015-02-11 2016-06-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ого двухзон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корости асинхро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в системе прямого управления моментом
RU2605458C1 (ru) * 2015-06-15 2016-12-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ого двухзон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корости асинхронного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с гибким ограничением мощност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4185A (ja) 2001-11-27 2003-06-06 Denso Corp 三相交流モータ制御装置
JP2005080485A (ja) 2003-09-03 2005-03-24 Aisin Aw Co Ltd 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5229661A (ja) 2004-02-10 2005-08-25 Denso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制御装置
JP2010111265A (ja) 2008-11-06 2010-05-2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操舵制御装置
JP2010148322A (ja) 2008-12-22 2010-07-01 Aisin Seiki Co Ltd モータ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947A (ko) 2020-10-15 2022-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영구자석 과온 보호를 위한 철손 저감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563400B2 (en) 2020-10-15 2023-01-24 Hyundai Motor Company Iron loss redu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tor permanent magnet overtemperature protection
KR20220080502A (ko) 2020-12-07 202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구자석의 불가역 감자를 방지하는 모터 구동 시스템 및 모터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08849A2 (pt) 2019-07-09
US10715077B2 (en) 2020-07-14
US20190305713A1 (en) 2019-10-03
BR112019008849B1 (pt) 2022-07-26
JPWO2018083744A1 (ja) 2019-09-19
EP3537601A1 (en) 2019-09-11
MX2019004756A (es) 2019-07-04
WO2018083744A1 (ja) 2018-05-11
EP3537601B1 (en) 2020-09-09
CA3042156A1 (en) 2018-05-11
CA3042156C (en) 2021-06-01
JP6673494B2 (ja) 2020-03-25
EP3537601A4 (en) 2019-11-13
CN109923780A (zh) 2019-06-21
MY183093A (en) 2021-02-12
CN109923780B (zh) 2021-07-27
KR20190057146A (ko) 2019-05-27
RU2706025C1 (ru)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111B1 (ko) 모터의 제어 방법 및 모터의 제어 장치
JP6647822B2 (ja) トルク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モーター制御器
CN106208855B (zh) 同步电动机的温度估计装置
JP6179389B2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6965303B2 (ja) 交流回転電機の制御装置
JP2010124610A (ja) Pmモータの制御方法
JP5050387B2 (ja) モーター制御装置
JP2023048833A (ja) モータユニットの状態推定方法及び状態推定装置
JP5708373B2 (ja) 回転機の制御装置
JP5996485B2 (ja) 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2012114974A (ja) 電気車制御装置
JP6680104B2 (ja) モ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WO2019093064A1 (ja) 誘導電動機の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JP2009268183A (ja) 三相交流モータの駆動装置
JP6508021B2 (ja) モータ温度推定装置
JP7180793B1 (ja) モータの制御方法及びモータの制御装置
JP7033973B2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JP7226211B2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インバータ装置の制御方法
JP2018046615A (ja) 温度推定装置、鎖交磁束推定装置及びモータ制御装置
JP2023074608A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2023067623A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2021158868A (ja) 永久磁石同期電動機における回転子磁石の温度推定装置
JP2015106974A (ja) 電動機および電動機システム
JP2009005513A (ja) 永久磁石形同期電動機の制御装置
JP2015073415A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