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081B1 -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 방제제 - Google Patents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081B1
KR102068081B1 KR1020157012433A KR20157012433A KR102068081B1 KR 102068081 B1 KR102068081 B1 KR 102068081B1 KR 1020157012433 A KR1020157012433 A KR 1020157012433A KR 20157012433 A KR20157012433 A KR 20157012433A KR 102068081 B1 KR102068081 B1 KR 102068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control agent
plant
acid ester
polyglyc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476A (ko
Inventor
유타카 아리모토
다카유키 가시마
Original Assignee
고쿠리쓰 겐큐 가이하쓰 호징 리가가쿠 겐큐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쓰 겐큐 가이하쓰 호징 리가가쿠 겐큐소 filed Critical 고쿠리쓰 겐큐 가이하쓰 호징 리가가쿠 겐큐소
Publication of KR2015006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wherein Cn means a carbon skeleton not containing a ring;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며 방제 효과가 높은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의 방제제를 제공한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의 방제제로서,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8∼10의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과, 3∼10 개의 글리세린이 중합한 적어도 1종의 폴리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제제.

Description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 방제제{CONTROL AGENT FOR PLANT PEST AND/OR PLANT DISEASE}
본 발명은,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가루이, 진딧물, 총채벌레 등의 유시(有翅)(alate) 해충에 의한 농작물, 과일 및 야채, 과수, 화훼 등에 대한 피해는 매우 크다. 이와 같은 유시 해충 방제를 위한 수단으로서는, 약제 방제, 생물적 방제, 물리적 방제 등이 제안되어 있고, 약제로서는, 유기 인제, 카바메이트제, 합성 피레스로이드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약제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해충은 이들 약제에 대한 저항성을 획득하고, 이윽고 효과가 저감하거나, 또는 전혀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약제는 사람과 가축에 대하여 유해 작용을 가지는 경우가 많고, 다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생물적 방제나 물리적 방제에도 유효한 것이 있지만, 비용, 범용성 등의 면에서 충분히 만족할 수 없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비특허 문헌 1 참조). 따라서, 저비용으로 범용성이 높고, 사람과 가축에 대하여 안전한, 해충의 방제 수단이 절실하게 요망되고 있다.
한편, 사람과 가축에 대하여 안정성이 높은 식물 해충 방제제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디글리세린올레이트, 테트라글리세린올레이트, 헥사글리세린라우레이트, 데카글리세린라우레이트 등의 탄소수 12∼18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진드기류, 진딧물류에 대하여 살충 효과가 있는 것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폴리글리세린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소르비톨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살충, 살진드기, 식물용 항균제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기피제에서는, 주로 탄소수가 12∼18인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린, 디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환경에 대한 영향을 가능한 한 작게 하고, 또한 비용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상기한 살충제, 기피제보다 방제 효과가 높고, 각종 해충/병해에 대하여 효과를 가지는 범용성이 있는 방제제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평10-25110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11-29413호 공보
타케다 약품공업 가부시키가이샤 평성 8년 2월 발행 「타케다 식물 방역 총서 제9권 최근 화제의 신해충」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안전성이 높고, 종래의 방제제보다 우수한 방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탄소수 8∼10의 지방산과 3∼10 개의 글리세린이 중합한 폴리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약제를 사용하면, 종래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계 약제보다 방제 효과가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의 방제제로서,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8∼10의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과, 3∼10 개의 글리세린이 중합한 적어도 1종의 폴리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제제.
(2) 상기 폴리글리세린이,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및 데카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방제제.
(3) 상기 식물 해충이, 진딧물류, 가루이류, 진드기류, 총채벌레류, 및 깍지벌레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방제제.
(4) 상기 식물 병해가, 회색 곰팡이병 및 백분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제제.
(5)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에서의 에스테르화도가 20∼100 %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제제.
(6)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에서의 에스테르화도가 30∼80 %인,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제제.
(7)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제제.
(8)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을 포함하는, 상기(7)에 기재된 방제제.
(9) 유기용제를 더 포함하는,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제제.
(10) 옥소산을 더 포함하는,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제제.
(11)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제제를 식물에 산포(散布)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12)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10 mg/dL∼2000 mg/dL의 농도로 식물에 산포되는, 상기 (11)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하며 종래의 방제제보다 높은 방제 효과를 가지는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 방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 방제제>>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의 방제제로서,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8∼10의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과, 3∼10 개의 글리세린이 중합한 적어도 1종의 폴리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제제이다.
그리고, 방제(control)란, 식물에서의 식물 해충의 번식 및/또는 병해의 발생을 예방하는 기피제로서 작용하는 것, 및 식물 해충에 대한 살충제(살진드기제를 포함함) 및 식물 병해의 원인균에 대한 살균제(살진균류제)로서 작용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방제제는, 식물 해충에 대한 살충제(살진드기제를 포함함) 및 식물 병해의 원인균에 대한 살균제(살진균류제)로서 유효하게 작용한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란, 글리세린이 2 이상 중합하여 폴리글리세린을 형성하고 있고, 또한 상기 폴리글리세린 중에 포함되는 하이드록실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방산과 에스테르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 방제제에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중합수가 3∼10인 적어도 1종의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가 8∼10인 적어도 1종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중합수가 3∼10인 폴리글리세린으로서는,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펜타글리세린, 헥사글리세린, 헵타글리세린, 옥타글리세린, 노나글리세린 및 데카글리세린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및 데카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수 8∼10의 지방산은, 카프릴산 및 카프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에스테르화도」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폴리글리세린 중에 포함되는 전체 하이드록실기(개수) 중, 평균하여 몇 개의 하이드록실기가 지방산의 카르복실기와 에스테르 결합되어 있는지(%)를 나타낸 지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테르화도는, 20∼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8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6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5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스테르화도가 전술한 범위 내에 있으면, 각종 해충 및 병해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시판 중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도 있다.
합성하는 경우에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합성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4413444호 공보에 기재된 합성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류 이상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전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중, 중합수가 3∼10인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가 8∼10인 지방산을 에스테르 결합하여 얻어지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비율이, 30∼10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0∼10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10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100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은, 100 질량%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농축된 원액으로 보존되고, 사용 시에 물로 희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존 시에서의 방제제 중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농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물로 희석하여 사용할 때는, 희석액 중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10 mg/dL∼2000 mg/dL의 농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1000 mg/dL의 농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500 mg/dL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방제제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외에, 조제로서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산포 용액 중의 유효 성분이 해충류, 진드기류에 부착되기 쉽게 되어, 그 표면을 덮는 것에 의해 숨구멍 봉쇄 등의 물리적 작용이 높아진다. 또한, 진균류에 대해도 마찬가지로 유효 성분이 균사나 포자의 표면에 부착되어, 그 활동을 억제한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를 예로 들 수 있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특히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 라우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양성(兩性)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틸아미노에틸글리신, 코코넛오일 지방산 아미드프로필 베타인, 이미다졸린 유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옥틸아미노에틸글리신, 코코넛오일 지방산 아미드프로필 베타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 라우릴디하이드록시에틸아민,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염화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제4급 암모늄염,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라우릴디하이드록시에틸아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칼리 비누(potash soap), 라우릴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 나트륨, 피마자유황산 나트륨, 알킬에테르인산 에스테르를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칼리 비누, 라우릴황산 나트륨, 피마자유황산 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26의 알킬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18의 알킬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라우릴디하이드록시에틸아민,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이 더욱 바람직하고,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10 질량부의 비율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장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유기용제>
본 발명의 방제제는, 유기용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냉암소에 정치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일부 성분이 솜 모양으로 응집하여, 침전하는 경우가 있지만, 유기용제를 첨가하면, 응집, 침전을 경감시킬 수 있다.
유기용제로서는, 아세톤, 이소부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벤틸알코올, 에틸에테르, 에틸 코올, 크실렌, 크레졸, 시클로헥산, 아세트산 이소부틸, 아세트산 에틸, 클로로포름, 노멀헥산, 노멀프로필알코올, 메탄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톤, 에틸알코올, 시클로헥산, 노멀헥산, 메탄올이 바람직하고, 에틸알코올, 노멀헥산, 메탄올이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알코올, 노멀헥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기용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30 질량부의 비율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10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장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옥소산>
본 발명의 방제제는, 옥소산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실내나 냉암소에 정치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일부 성분이 솜 모양으로 응집하여, 침전하는 경우가 있지만, 옥소산을 첨가하면, 응집, 침전을 경감시킬 수 있다.
옥소산으로서는, 붕산, 카르본산, 질산, 아인산, 인산, 아황산, 황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락트산, 술폰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인산, 인산, 락트산, 아세트산이 바람직하고, 인산, 락트산, 아세트산이 더욱 바람직하다.
옥소산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30 질량부의 비율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10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옥소산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장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방제제에는, 본 발명의 방제제가 가지는 효과가 방해받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상기 각 성분 외에 농약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보조제/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조제/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담체, 산화 방지제, 분산제, 방부제, 공력제(共力劑), 유화제, 현탁제, 전착제(展着劑), 습전제(濕展劑), 침투제, 점장제(粘漿劑), 안정제, 고착제, 흡착제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제제에는, 본 발명의 방제제가 가지는 효과가 방해받지 않는 한, 다른 농약, 예를 들면, 살균제, 살충제, 식물 성장 조절제, 제초제 등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병용할 수도 있다.
<해충 및 병해>
대상이 되는 식물 해충으로서는, 진딧물류, 가루이류, 진드기류, 총채벌레류, 깍지벌레류를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진딧물류, 가루이류 및 응애류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방제제는 우수한 방제 효과를 발휘한다. 진딧물류, 가루이류, 진드기류, 총채벌레류, 깍지벌레류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진드기류(ACARINA)]
(TARSONEMIDAE)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
시크라멘먼지응애(Steneotarsonemau pallidus)
갈색먼지응애(Tarsonemus bilobatus)
구상나무먼지응애(Tarsonemus confusus)
화백먼지응애(Tarsonemus waitei) 등
(PYEMOTIDAE)
폐모테스 벤트리코수스(Pyemotes ventricosus) 등
(EUPODIDAE)
펜탈레우스 메이저(Penthaleus major) 등
(TENUIPALPIDAE)
애응애(Brevipalpus californicus)
브레비팔푸스 레위시(Brevipalpus lewisi)
브레비팔푸스 오보바투스(Brevipalpus obovatus)
선인장애응애(Brevipalpus russulus)
돌리초테트라니쿠스 플로로다누스(Dolichotetranychus florodanus)
주름응애(Tenuipalpus pacificus)
테누이팔푸스 치치라쉬빌리아에(Tenuipalpus zhizhilashviliae) 등
(TUCKERELLIDAE)
세로무늬먼지진드기(Tuckerella pavoniformis) 등
(TETRANYCHIDAE)
클로버응애(Bryobia praetiosa)
작은클로버응애(Bryobia rubrioculus)
에오트라니쿠스 보레우스(Eotetranychus boreus)
에오트라니쿠스 게니쿨라투스(Eotetranychus geniculatus)
에오트라니쿠스 프루니(Eotetranychus pruni)
에오트라니쿠스 섹스마나쿨라투스(Eotetranychus sexmanaculatus)
스미드응해(Eotetranychus smithi)
에오트라니쿠스 운카투스(Eotetranychus uncatus)
올리고니쿠스 코페아에(Oligonychus coffeae)
삼나무응애(Oligonychus hondoensis)
철쭉응애(Oligonychus ilicis)
낙엽송잎응애(Oligonychus karamatus)
억새응애(Oligonychus orthius)
귤응애(Panonychus citri)
사과응애(Panonychus ulmi)
점막이응애붙이(Tetranychus cinnabarinus)
테트라니쿠스 에반시(Tetranychus evansi)
간자와응애(Tetranychus kanzawai)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nensis) 등
(ERIOPHIDAE)
아카필라 테아에(Acaphylla theae)
아세리아 피쿠스(Aceria ficus)
아세리아 리치(Aceria litchi)
아세리아 파라디안티(Aceria paradianthi)
마늘혹응애(Aceria tulipae)
토마토녹응애(Aculops lycopersici)
귤녹응애(Aculops pelekassi)
복숭아녹응애(Aculus fockeui)
사과녹응애(Aculus schlechtendali)
칼라카루스 카리나투스(Calacarus carinatus)
시사베롭투스 케냐에(Cisaberoptus kenyae)
포도혹응애(Colomerus vitis)
칼라카루스 카리나투스(Calacarus carinatus)
칼레피트리메루스 비티스(Calepitrimerus vitis)
배잎녹응애(Epitrimerus pyri)
일본배잎녹응애(Eriophyes chibaensis) 등
국화잎혹응애(Paraphytoptus kikus.)
(ACARIDAE)
굵은다리가루진드기(Acarus siro)
저장진드기(Aleuroglyphus ovatus)
뿌리응애(Rhizoglyphus robini)
긴털가루진드기(Tyrophagus putrescentiae) 등
[총채벌레류(THYSANOPTERA)]
(THRIPIDAE)
아나포트립스 오브스쿠루스(Anaphothrips obscurus)
키로트립스 마니카투스(Chirothrips manicatus)
메칼루로트립스 디스탈리스(Megaleurothrips distalis)
덴드로트립스 미노와이(Dendrothrips minowai)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프랭클리니엘라 릴리보라(Frankliniella lilivora)
귤총채벌레(Heliothrips haemorrhoidalis)
좀머리총채벌레(Microcephalothrips abdominalis)
콩어리총채벌레(Mycterothrips glycines)
뽕나무총채벌레(Pseudodendrothrips mori)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
셀레노트립스 루브로신크투스(Selenothrips rubrocinctus)
벼총채벌레(Stenchaetothrips biformis)
파총채벌레(Thrips alliorum)
트립스 콜로라투스(Thrips coloratus)
트립스 플라바스(Thrips flavas)
트립스 하와이엔시스(Thrips hawaiiensis)
미나리총채벌레(Thrips nigropilosus)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엉겅퀴총채벌레(Thrips setosus)
글라디올러스총채벌레(Thrips simplex) 등
(PHLAEOTHRIPIDAE)
벼홀듯무지(Haplothrips aculeatus)
중국관총채벌레(Haplothrips chinensis)
무궁화관총채벌레(Haplothrips kurdjumovi)
하플로트립스 니가(Haplothrips nigar)
리우와니아 파사니(Leeuwania pasanii)
리오트립스 플로덴시스(Liothrips flordensis)
백합관총채벌레(Liothrips vaneeckei)
리토테토트립스 파사니에(Litotetothrips pasaniae)
감관총채벌레(Ponticulothrips diospyrosi) 등
[가루이류]
(ALEYRODIDAE)
귤가시가루이(Aleurocanthus spiniferus)
포도가루이(Aleurolobus taonabae)
포도가루이(Aleurolobus taonabae)
알레우로투베쿨라투스 아우쿠베(Aleurotuberculatus aucubae)
알레우로칸투스 카멜리아에(Aleurocanthus camelliae)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귤가루이(Dialeurodes citri)
딸기가루이(Trialeurodes packardi)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 등
[진딧물류]
(PHYLLOXERIDAE)
포도뿌리진딧물(Viteus vitifolii) 등
(PEMPHIGIDAE)
사과뿌리진딧물(Aphidonuguis mali)
사과면충(Eriosoma lanigerum)
사탕수수뿌리진딧물(Geoica lucifuga) 등
(APHIDIDAE)
완두수염진딧물(Acyrthosiphon pisum)
조팝나무진딧물(Aphis citricola)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버들진딧물(Aphis farinose yanagicola)
딸기뿌리진딧물(Aphis forbesi)
콩진딧물(Aphis glycines)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자두둥글밑진딧물(Brachycaudus helichrysi)
양배추가루진딧물(Brevicoryne brassicae)
튤립구근진딧물(Dysaphis tulipae)
사과면충(Eriosoma lanigerum)
유럽자작나무진딧물(Euceraphis punctipennis)
복숭아가루진딧물(Hyalopterus pruni)
무우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
국화꼬마수염진딧물(Macrosiphoniella sanborni)
감자수염진딧물(Macrosiphum euphorbiae)
긴꼬리볼록진딧물(Megoura crassicauda)
배나무긴꼬리진딧물(Melanaphis siphonella)
사과혹진딧물(Myzus malisuctus)
매화혹진딧물(Myzus mumecola)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나소노비아 니비스니그리(Nasonovia ribisnigri)
파혹진딧물(Neotoxoptera formosana)
사과진딧물(Ovatus malicolens)
연테두리진딧물(Rhopalosophum nymphaeae)
옥수수데두리진딧물(Rhopalosiphum maidis)
밀진딧물(Rhopalosophum padi)
붉은테두리진딧물(Rhopalosophum rufiabdominalis)
배나무동글밑진딧물(Sappaphis piri)
배나무두갈래진딧물(Schizaphis piricola)
꼬부랑진딧물(Semiaphis heraclei)
보리수염진딧물(Sitobion akebiae)
찔레수염진딧물(Sitobion ibarae)
탱자소리진딧물(Toxoptera aurantii)
귤소리진딧물(Toxoptera citricidus)
복숭아잎혹진딧물(Tuberocephalus momonis)
타이완진딧물(Uroeucon formosanum) 등
우엉수염진딧물(Uroleucon gobonis)
담뱃대진딧물(Vesiculaphis caricis)
[깍지벌레류]
(MARGARODIDAE)
짚신깍지벌레(Drosicha corpulenta)
이세리아깍지벌레(Icerya purchasi) 등
(PSEUDOCOCCIDAE)
버들가루깍지벌레(Crisicoccus matsumotoi)
소나무가루깍지벌레(Crisicoccus pini)
파인애플깍지벌레(Dysmicoccus brevipes)
등나무가루깍지벌레(Dysmicoccus wistariae)
철쭉솜깍지벌레붙이(Phenacoccus azaleae)
귤가루깍지벌레(Planococcus citri)
온실가루깍지벌레(Planococcus kranuhiae)
귤애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itriculus)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등
(COCCIDAE)
뿔밑깍지벌레(Ceroplastes ceriferus)
거북밑깍지벌레(Ceroplastes japonicus)
루비깍지벌레(Ceroplastes rubens)
연각깍지벌레(Coccus discrepans)
무화과깍지벌레(Coccus hesperidum)
어린목련깍지벌레(Coccus pseudomagnoliarum)
쥐똥밑깍지벌레(Ericerus pela)
공깍지벌레(Eulecanium kunoense)
말채나무공깍지벌레(Lecanium corni)
복숭아공깍지벌레(Lecanium persicae)
귤연각깍지벌레(Pulvinaria aurantii)
귤솜깍지벌레(Pulvinaria citricola)
단풍공깍지벌레(Pulvinaria horii)
뽕나무솜깍지벌레(Pulvinaria kuwacola) 등
(DIASPIDIDAE)
귤깍지벌레(Andaspis kashicola)
아오니델라 아우란티(Aonidiella aurantii)
귤노랑깍지벌레(Aonidiella citrina)
유리깍지벌레(Aspidiotus destructor)
아스피디오투스 헤레다에(Aspidiotus hederae)
온실갈색깍지벌레(Chrysomphalus ficus)
샌호제깍지벌레(Comstockaspis perniciosa)
듀프라스피디오투스 클라비거(Duplaspidiotus claviger)
귤나무깍지벌레(Lepidosaphes beckii)
사과굴깍지벌레(Lepidosaphes ulmi)
배깍지벌레(Lepholeucaspis japonica)
멜라나스피스 브로밀리아에(Melanaspis bromiliae)
배깍지벌레(Parlatoreopsis pyri)
팔라토리아 카멜리아에(Parlatoria camelliae)
차나무점깍지벌레(Parlatoria theae)
팔라토리아 지지피(Parlatoria ziziphi)
난초핀깍지벌레(Pinnaspis aspidistrae)
조개깍지벌레(Pseudaonidia duplex)
슈다오니디아 파에오니아에(Pseudaonidia paeoniae)
벚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runicola)
화살깍지벌레(Unaspis yanonensis) 등
식물 병해로서는, 회색 곰팡이병, 백분병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제제는, 회색 곰팡이병의 원인균인 잿빛곰팡이(Botrytis fungus) 등이나, 백분병의 병원균인 Erysiphe necator 또는 Uncinula necator(포도), Blumeria graminis(맥류), Sphaerotheca pannosa(복숭아), Sphaerotheca humuli(딸기), Oidium lycopersici(토마토), Erysiphe polygoni 및 Sphaerotheca cucurbitae(오이) Sphaerotheca pannosa 및 Uncinula simulans(장미), 및 Phyllactinia moricola(뽕나무) 등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 효과를 발휘한다.
<대상 식물>
또한, 본 발명의 방제제를 산포하는 대상 식물로서는, 상기 해충이 생육할 수 있는 식물이나 병해가 발생할 수 있는 식물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오이, 딸기, 토마토, 가지, 피망, 포도, 감귤류, 사과, 복숭아, 맥류, 장미, 뽕나무, 강낭콩, 무우, 양배추, 산다화, 피튜니아 등이 있다.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상기한 방제제를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가 존재하는 식물에 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이다.
방제제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10 mg/dL∼2000 mg/dL의 농도로 식물에 산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1000 mg/dL의 농도가 더욱 바람직하고, 50∼500 mg/dL가 특히 바람직하다. 방제제의 원액을 희석하는 경우에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전술한 범위 내로 되도록 물을 사용하여 희석하면 된다.
또한, 상기 희석된 방제제를 식물에 산포하는 경우에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1 ha 당 0.1∼100 kg의 양으로 산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ha 당 0.5∼30 kg의 양으로 산포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ha 당 1∼3 kg이 더욱 바람직하다.
산포 시기는,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가 식물 상에 존재하는 시기 또는 그 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가 식물 상에 존재하는 시기에 산포하면 현저한 살충/살진드기/살균(살진균) 효과가 발휘되므로 바람직하다.
산포는,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가 존재하거나 또는 발생할 수 있는 식물 전체에 산포할 수도 있고,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가 존재하는 부분에 직접 산포할 수도 있다.
산포 횟수는, 1회만일 수도 있고, 2회 이상 산포할 수도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방제제가 가지는 방제 효과를 구체적으로 예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표 중, 각각의 약호는 하기와 같다.
C8: 카프릴산
C10: 카프르산
C12: 라우르산
C18-1: 올레산
C18-2: 리놀레산
트리·테트라글리세린은, 트리글리세린과 테트라글리세린의 혼합물(1:1)(질량비)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표에 있어서, 예를 들면, 트리글리세린, C8, 에스테르화도 40%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트리글리세린 중의 전체 하이드록실기 중, 평균하여 약 40%의 하이드록실기가 카프릴산과 에스테르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
표 1에 기재된 각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유효 성분):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상품명: 소르폴 7643(토호 화학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제조))(99:1)(질량비)(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00 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 약 1 질량부)으로 혼합하여, 공시약제를 조제하였다.
마찬가지로, 표 2에 기재된 각 화합물을,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상품명: 소르폴 7643(토호 화학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으로 99:1(질량비)로 혼합하여, 공시약제를 조제하였다.
강낭콩 모종에 점박이응애(two-spotted spider mite)를 1잎당 약 200마리 방충(放蟲)하고, 3일간 온실에서 배양하고 산란시키고, 그 후에 소정 농도로 되도록 물로 희석한 표 1∼표 2의 각 공시약제(100 mg/dl)를 분무기로 산포하고, 또한 온실에서 재배하고 2주일 후에 성충수를 계수하였다. 또한, 무처리 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성충수를 계수하였다. 이하의 식에 의해 살점박이응애율을 구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살응애 효과를 결정했다.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살점박이응애율)
살점박이응애율={1-(각 공시약제로 처리한 군에서의 산포 후 2주일 후의 성충수)/(무처리 군의 성충수)}×100
(평가 기준)
A: 살점박이응애율이 95% 이상
B: 살점박이응애율이 80% 이상∼95% 미만
C: 살점박이응애율이 60% 이상∼80% 미만
D: 살점박이응애율이 60%미만
[표 1]
Figure 112019101059842-pct00001
[표 2]
Figure 112019101059842-pct00002
<결과>
모노글리세린, 디글리세린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조성물이나 탄소수 12∼18의 지방산과 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조성물에 비하여, 3∼10 개의 글리세린이 중합한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8∼10의 지방산과의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살점박이응애율이 높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이외의 화합물(모노글리세린디아세트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시트르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을 유효 성분으로 한 조성물에 비해서도, 살점박이응애율이 높았다.
[실시예 2]
표 3에 기재된 각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유효 성분):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상품명: 소르폴 7643(토호 화학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제조))(99:1)(질량비)(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00 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 약 1 질량부)로 혼합하여, 공시약제를 조제하였다.
마찬가지로, 표 4에 기재된 각 화합물을,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상품명: 소르폴 7643(토호 화학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제조))과 99:1(질량비)로 혼합하여, 공시약제를 조제하였다.
강낭콩 모종에 차응애를 1잎당 약 200마리 방충하고, 3일간 온실에서 배양하고 산란시키고, 그 후에 소정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표 3∼4의 각 공시약제(100 mg/dl)를 분무기로 산포하고, 또한 온실에서 재배하여 2주일 후에 성충수를 계수하였다. 또한, 무처리 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성충수를 계수하였다. 이하의 식에 의해 살응애율을 구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살차응애 효과를 결정했다. 그 결과를 표 3∼4에 나타내었다.
(살차응애율)
살차응애율={1-(각 공시약제로 처리한 군에서의 산포 후 2주일 후의 성충수)/(무처리 군의 성충수)}×100
(평가 기준)
A: 살차응애율이 95% 이상
B: 살차응애율이 80% 이상∼95% 미만
C: 살차응애율이 60% 이상∼80% 미만
D: 살차응애율이 60%미만
[표 3]
Figure 112019101059842-pct00003
[표 4]
Figure 112019101059842-pct00004
<결과>
모노글리세린, 디글리세린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조성물이나 탄소수 12∼18의 지방산과 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조성물에 비하여, 3∼10 개의 글리세린이 중합한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8∼10의 지방산과의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살차응애율이 높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이외의 화합물(모노글리세린디아세트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시트르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을 유효 성분으로 한 조성물에 비해서도, 살점박이응애율이 높았다.
[실시예 3]
표 5에 기재된 각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유효 성분):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상품명: 소르폴 7643(토호 화학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제조))(99:1)(질량비)(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00 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 약 1 질량부)로 혼합하여, 공시약제를 조제하였다.
마찬가지로, 표 6에 기재된 각 화합물을,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상품명: 소르폴 7643(토호 화학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제조)과 99:1(질량비)로 혼합하여, 공시약제를 조제하였다.
무우 모종에 목화진딧물 생육시켜, 벌레 수를 계수한 후, 거기에 소정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표 5∼6의 각 공시약제(100 mg/dl)를 분무기로 산포하고, 또한 온실에서 재배하여 1주간 후에 살아 있는 벌레 수를 계수하였다. 처리 전의 벌레 수와 처리 후의 벌레 수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살진딧물율을 산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살진딧물 효과를 결정했다. 그 결과를 표 5∼6에 나타낸다.
(살진딧물율)
살진딧물율={1-(각 공시약제의 산포 1주일 후의 성충수)/(산포 전의 성충수)}×100
(평가 기준)
A: 살진딧물율이 95% 이상
B: 살진딧물율이 80% 이상∼95% 미만
C: 살진딧물율이 60% 이상∼80% 미만
D: 살진딧물율이 60% 미만
[표 5]
Figure 112019101059842-pct00005
[표 6]
Figure 112019101059842-pct00006
<결과>
모노글리세린, 디글리세린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조성물이나 탄소수 12∼18의 지방산과 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조성물에 비하여, 3∼10 개의 글리세린이 중합한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8∼10의 지방산과의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살목화진딧물율이 높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이외의 화합물(모노글리세린디아세트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시트르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을 유효 성분으로 한 조성물에 비해서도, 살점박이응애율이 높았다.
[실시예 4]
표 7에 기재된 각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유효 성분):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상품명: 소르폴 7643(토호 화학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제조))(99:1)(질량비)(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00 질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 약 1 질량부)로 혼합하여, 공시약제를 조제하였다.
마찬가지로, 표 8에 기재된 각 화합물을,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상품명: 소르폴 7643(토호 화학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제조)과 99:1(질량비)로 혼합하여, 공시약제를 조제하였다.
강낭콩 모종에 담배가루이 성충을 3일간 방충하고 산란시킨 후, 성충를 제외하고 또한 온실에서 배양하고, 3령 유충수를 계수하였다. 그 후, 소정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표 7∼8의 각 공시약제(100 mg/dl)를 분무기로 산포하고, 또한 온실에서 재배하여 우화(羽化)한 성충수를 계수하고, 처리 전의 마리수와 우화수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살담배가루이율을 산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살담배가루이 효과를 결정했다. 그 결과를 표 7∼8에 나타내었다.
(살담배가루이율)
살담배가루이율={1-(각 공시약제 산포 후에 우화한 담배가루이의 수)/(산포전의 3령 유충수)}×100
(평가 기준)
A: 살담배가루이율이 95% 이상
B: 살담배가루이율이 80% 이상∼95% 미만
C: 살담배가루이율이 60% 이상∼80% 미만
D: 살담배가루이율이 60% 미만
[표 7]
Figure 112019101059842-pct00007
[표 8]
Figure 112019101059842-pct00008
<결과>
모노글리세린, 디글리세린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조성물이나 탄소수 12∼18의 지방산과 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조성물에 비하여, 3∼10 개의 글리세린이 중합한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8∼10의 지방산과의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살담배가루이율이 높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이외의 화합물(모노글리세린디아세트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시트르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을 유효 성분으로 한 조성물에 비해서도, 살점박이응애율이 높았다.
[실시예 5]
하기 표 9에 기재된, 유효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공시약제 또는 유효 성분과 조제로 이루어지는 공시약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하여, 점박이응애, 차응애, 복숭아혹진딧물, 담배가루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비교 대상으로서, 시판 중인 살충 살균제인 산크리스탈 유제(유효 성분: 데카옥타노일글리세롤(디글리세린, C10 및 C8))(물로 희석한 후의 농도: 200 mg/dL)을 사용하였다.
방제가=100-(시험군의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시험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의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의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100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112019101059842-pct00009
표 9 중, 시험을 행한 것에 대하여, 방제가가 나타나 있다.
표 9 중, 예를 들면, 트리글리세린(C10, 에스테르화도 40%)이란, 탄소수 10의 지방산과 트리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에스테르화도 약40%)를 의미한다.
또한, 「7643」은,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상품명: 소르폴 7643(토호 화학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의미한다.
[실시예 6]
하기 표 10에 기재된, 유효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공시약제 또는 유효 성분과 조제으 이루어지는 공시약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4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하여, 점박이응애, 차응애, 복숭아혹진딧물, 담배가루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비교 대상으로서, 시판 중인 살충 살균제인 산크리스탈 유제(유효 성분: 데카옥타노일글리세롤(디글리세린, C10 및 C8)(물로 희석한 후의 농도: 125 mg/dL)을 사용하였다.
방제가=100-(시험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시험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100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10]
Figure 112019101059842-pct00010
표 10 중, 시험을 행한 것에 대하여, 방제가가 나타나 있다.
표 10 중, 예를 들면, 트리글리세린(C8, 에스테르화도 30%)이란, 탄소수 8의 지방산과 트리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에스테르화도 약30%)를 의미한다.
또한, 「7643」은,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상품명: 소르폴 7643(토호 화학공업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의미한다.
<실시예 5, 6의 결과>
표 9,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제제는, 종래의 살충·살진드기제인 산크리스탈 유제에 비해, 점박이응애, 차응애, 복숭아혹진딧물, 담배가루이에 대한 방제 작용이 높았다.
<실시예 7∼16>
실시예 7∼16에서는, 표 11에 기재된 각 유효 성분(각 지방산과 테트라글리세린으로 구성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에스테르화도 50%) 0.5 g을 물 100 ml로 500배로 희석한 것(농도 500 mg/dL)을 사용하여, 각 해충 및 병해에 대한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시예 7]
<점박이응애에 대한 효과>
·포트(pot)에 심은 강낭콩잎(품종: 타이쇼킨토키사사게)의 초생잎에 점박이응애를 1잎당 약 200마리 접종했다.
·접종 2일 후에, 강낭콩잎 상의 처리 전의 성충수를 카운트하고,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충분한 양으로 산포하였다.
·온실 내에 정치하고, 처리 12일 후에 성충수를 카운트하여, 방제가를 구하였다.
방제가=100-(시험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시험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100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차응애에 대한 효과>
·포트에 심은 강낭콩잎(품종: 타이쇼킨토키사사게)의 초생잎에 차응애를 1잎당 약 200마리 접종했다.
·접종 2일 후에, 강낭콩잎 상의 처리 전의 성충수를 카운트하고,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충분한 양으로 산포하였다.
·온실 내에 정치하고, 처리 12일 후에 성충수를 카운트하여, 방제가를 구하였다.
방제가=100-(시험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시험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100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차먼지응애에 대한 효과>
·먼지응애의 기생이 확인된 가지(품종: 센료 2호)의 새잎에,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충분한 양으로 산포하였다.
·처리 14일 후에, 처리 잎의 전개 정도와 새잎의 발생 정도로부터,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효과 판정을 행하였다.
평가 기준:
A: 회복됨
B: 약간 회복됨
C: 회복되지 않음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토마토녹응애에 대한 효과>
·토마토녹응애가 기생하고 있는 토마토 떡잎 상의 녹응애수를 조사하였다.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충분한 양으로 산포하였다.
·실온 조건 하에서 5일간 두고, 생존 개체수를 조사하고, 방제가를 구하였다.
방제가=100-(시험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시험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100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효과>
·플라스틱제의 구멍 뚫린 용기(멍거셀(Munger cell: 내경(內徑) 20×20×10 ㎜)에 꽃노랑총채벌레 성충 10-15 마리를 넣었다.
·실온에서 수 시간 정치하고, 거기에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충분한 양으로 산포하였다.
·처리 2일 후에 생존 개체수를 조사하고, 방제가를 구하였다.
방제가=100-(시험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시험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100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효과>
·무우잎(품종: 이자벨)에 기생하고 있는 복숭아혹진딧물을 카운트하고,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복숭아혹진딧물가 기생하고 있는 무우잎에 충분한 양으로 산포하였다.
·처리한 무우잎을, 건전(healthy) 무우잎 상에 두고, 온실 내에서 4일간 정치했다.
·건전 무우잎으로 이동한 개체수를 카운트하고, 밀도 지수를 구하였다.
밀도 지수=(시험군 처리 후의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후의 벌레수)×100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담배가루이에 대한 효과>
·양배추(품종: 시키도리)에 성충을 1잎당 약 200마리 방충하고, 2일간 산란시키고, 성충을 제거하였다.
·온실 내에 10일간 정치하고, 어린 유충을 카운트했다.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충분한 양으로 산포하였다.
·또한 온실 내에 10일간 두고, 생존 개체수를 조사하고, 방제가를 구하였다.
방제가=100-(시험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시험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100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알레우로칸투스 카멜리아에에 대한 효과>
·산다화에 기생하고 있는 가루이 어린 유충을 카운트했다.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충분한 양으로 산포하였다.
·실온에 7일간 두고, 생존 개체수를 조사하고, 방제가를 구하였다.
방제가=100-(시험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시험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100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무화과깍지벌레에 대한 효과>
·플라스틱제의 구멍낸 용기(멍거 셀: 내경 20×20×10 ㎜)에 무화과깍지벌레의 어린 유충 10-15 마리를 넣었다.
·실온에서 수 시간 정치하고, 거기에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충분한 양으로 산포하였다.
·처리 2일 후에 생존 개체수를 조사하고, 방제가를 구하였다.
방제가=100-(시험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시험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전의 생존 벌레수/무처리 군 처리 후의 생존 벌레수)×100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회색 곰팡이병에 대한 효과>
·물에 현탁한 회색 곰팡이병 포자(107 포자/ml)와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혼화(混和)했다.
·피튜니아의 꽃잎 상에 접종하고, 처리 2일 후에 고사한 꽃의 비율을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평가 기준:
1: 꽃고사율=0%
2: 꽃고사율=1∼20 %
3: 꽃고사율=20∼50 %
4: 꽃고사율=50∼100 %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백분병에 대한 효과>
·포트에 심은 오이잎(품종: 사가미한지로후시나리)의 발병 정도를 처리 전에 조사하였다.
·소정 농도로 희석 조정한 약액(0.2 g/100 ml)을 충분한 양으로 산포하였다.
·실온에 5일간 두고, 병반의 정도를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평가 기준:
A: 병반없음
B: 병반이 있고, 잎에서 차지하는 병반 면적 비율이 1/4 미만
C: 병반이 있고, 잎에서 차지하는 병반 면적 비율이 1/4 이상 1/2 미만
D: 병반이 있고, 잎에서 차지하는 병반 면적 비율이 1/2 이상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표 11]
Figure 112019101059842-pct00011
<결과>
표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제제는, 탄소수 12∼18의 지방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종래의 방제제에 비해, 각종 식물 해충 및 식물 병해에 대하여 현저한 방제 작용을 나타낸다.
[실시예 17]
원통형 플라스틱 용기(직경 27 m×높이 77 ㎜, 용량 25 ml)에,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인산의 혼합 비율이 90:10(질량비)(인산 10 질량%(폴리글리세린 지방산 100 질량부당 인산 약 11.1 질량부)를 첨가) 또는 99.9:0.1(질량비)(인산 0.1 질량%(폴리글리세린 지방산 100 질량부당 인산 약 0.1 질량부)를 첨가)이 되도록, 전자 천칭으로 칭량하였다. 총량은 20 ml로 되도록 조제하고, 그 후 제제가 균일하게 되도록 충분히 교반하고, 혼합하였다. 냉암소에 정치 2개월 후에,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응집과 침전 정도를, 하기 판정 기준에 기초하여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인산 대신에, 아세트산, 락트산, 에틸알코올, 또는 노멀 헥산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옥소산이나 유기용제를 첨가하고 있지 않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만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험을 행하였다.
<판정 기준>
지수 1: 대조군과 비교하여, 동등한 응집, 침전이 인정된다.
지수 2: 대조군과 비교하여, 응집, 침전이 3/4 정도이다.
지수 3: 대조군과 비교하여, 응집, 침전이 1/2 정도이다
지수 4: 대조군과 비교하여, 응집, 침전이 1/4 정도이다.
지수 5: 응집과 침전은 인정되지 않는다.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표 12]
Figure 112019101059842-pct00012
<시험 결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단독의 경우와 비교하여,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에 옥소산이나 유기용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응집, 침전이 경감하였다.
본 명세서는 본원의 우선권의 기초인 일본 특허 출원 2012-227006호의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기재되는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을 그대로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서 원용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방제제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제제 및 방제 방법은 산업상 극히 유용하다.

Claims (12)

  1.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의 방제제로서,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탄소수 8∼10의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지방산과, 3∼10 개의 글리세린이 중합한 적어도 1종의 폴리글리세린과의 에스테르이고,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에서의 에스테르화도가 20∼100 %인, 방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린이,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및 데카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방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해충이, 진딧물류, 가루이(white fly)류, 진드기류, 총채벌레류, 및 깍지벌레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방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해가, 회색 곰팡이병 및 백분병(powdery mildew)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방제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에서의 에스테르화도가 30∼80 %인, 방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방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코코아민을 포함하는, 방제제.
  9. 제1항에 있어서,
    유기용제를 더 포함하는 방제제.
  10. 제1항에 있어서,
    옥소산을 더 포함하는 방제제.
  11. 제1항에 기재된 방제제를 식물에 산포(散布)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10 mg/dL∼2000 mg/dL의 농도로 식물에 산포되는, 방법.
KR1020157012433A 2012-10-12 2013-10-11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 방제제 KR102068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7006 2012-10-12
JPJP-P-2012-227006 2012-10-12
PCT/JP2013/077825 WO2014058065A1 (ja) 2012-10-12 2013-10-11 植物害虫及び/又は植物病害用防除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476A KR20150068476A (ko) 2015-06-19
KR102068081B1 true KR102068081B1 (ko) 2020-01-20

Family

ID=5047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433A KR102068081B1 (ko) 2012-10-12 2013-10-11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 방제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504249B2 (ko)
EP (1) EP2907388B1 (ko)
JP (1) JP6281845B2 (ko)
KR (1) KR102068081B1 (ko)
CL (1) CL2015000872A1 (ko)
ES (1) ES2677481T3 (ko)
IL (1) IL238100B (ko)
MA (1) MA38077B2 (ko)
MX (1) MX363777B (ko)
PH (1) PH12015500793A1 (ko)
PL (1) PL2907388T3 (ko)
PT (1) PT2907388T (ko)
WO (1) WO2014058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9194058A1 (ja) * 2018-04-02 2021-05-27 株式会社大阪製薬 シラミ駆除剤
WO2023176614A1 (ja) * 2022-03-15 2023-09-21 日本化薬株式会社 農用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509A (ja) 2001-04-20 2003-01-29 Goldschmidt Ag 酵素的に調製されたポリグリセロールエステルを有効量で含有する微生物防除用組成物
WO2011108220A1 (ja) * 2010-03-01 2011-09-09 日本化薬株式会社 有害生物防除組成物
JP2013170146A (ja) 2012-02-21 2013-09-02 Earth Chemical Co Ltd 有害生物防除剤及び有害生物防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3902A (ja) * 1987-03-23 1988-09-29 Rikagaku Kenkyusho 農薬製剤
JP3228571B2 (ja) * 1991-10-31 2001-11-12 花王株式会社 農薬用効力増強剤及び農薬組成物
JPH05271014A (ja) * 1992-03-24 1993-10-19 Nippon Oil & Fats Co Ltd 甜菜用防カビ剤
JP3738430B2 (ja) 1997-03-07 2006-01-25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殺虫殺ダニ組成物及び殺虫殺ダニ方法
JPH1129413A (ja) 1997-05-14 1999-02-02 Meiji Milk Prod Co Ltd 殺虫、殺ダニ、植物用抗菌剤
US6277738B1 (en) * 1999-06-23 2001-08-21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reducing contact resistance
JP4413444B2 (ja) 2001-03-19 2010-02-10 理研ビタミン株式会社 食品包装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に低温防曇性及び高温防曇性を併せ付与する方法
JP4568031B2 (ja) * 2004-06-08 2010-10-27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植物の害虫及び病害防除剤
ES2605883T3 (es) * 2004-09-08 2017-03-16 Riken Repelente de insectos nocivos para las plantas y método para repelerlos
JP5493872B2 (ja) * 2008-02-18 2014-05-14 日油株式会社 除草用組成物
TW200939956A (en) * 2008-03-26 2009-10-01 Riken Agent for controlling post-harvest dise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t-harvest dise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509A (ja) 2001-04-20 2003-01-29 Goldschmidt Ag 酵素的に調製されたポリグリセロールエステルを有効量で含有する微生物防除用組成物
WO2011108220A1 (ja) * 2010-03-01 2011-09-09 日本化薬株式会社 有害生物防除組成物
JP2013170146A (ja) 2012-02-21 2013-09-02 Earth Chemical Co Ltd 有害生物防除剤及び有害生物防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58065A1 (ja) 2016-09-05
MA38077B1 (fr) 2016-05-31
ES2677481T3 (es) 2018-08-02
JP6281845B2 (ja) 2018-02-21
PH12015500793B1 (en) 2015-06-15
EP2907388A4 (en) 2016-03-30
US20150313217A1 (en) 2015-11-05
MX363777B (es) 2019-04-03
US9504249B2 (en) 2016-11-29
KR20150068476A (ko) 2015-06-19
PT2907388T (pt) 2018-10-08
WO2014058065A1 (ja) 2014-04-17
EP2907388A1 (en) 2015-08-19
MA20150380A1 (fr) 2015-10-30
EP2907388B1 (en) 2018-06-27
PH12015500793A1 (en) 2015-06-15
PL2907388T3 (pl) 2019-04-30
IL238100B (en) 2018-05-31
CL2015000872A1 (es) 2015-10-02
MA38077B2 (fr) 2017-12-29
MX2015004539A (es) 201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683B1 (ko) 살진균 조성물
US20110229589A1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TW201517798A (zh) 殺真菌組成物及其用途
JP5048512B2 (ja) 除草用組成物
KR102068081B1 (ko) 식물 해충 및/또는 식물 병해용 방제제
CN111655035A (zh) 苯并氧杂硼杂环戊烯化合物和其制剂
JP2013518075A (ja) 殺虫剤の併用物
JP2017512761A (ja) 殺虫特性を有する活性化合物組合せ
WO2011151766A2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DE60222438T2 (de) Zusammensetzung zur bekämpfung von pflanzenpathogenen bakterien und verfahren zur bekämpfung von pflanzenpathogenen bakterien
JP4578943B2 (ja) 農薬組成物
RU2587045C2 (ru) Адъюванты для инсектицидов
JP2022537465A (ja) 相乗的殺菌組成物
TW201622569A (zh) 具有殺蟲性質之活性化合物組合物
JP7220341B2 (ja) 防除剤及び活力剤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及び使用
TW201620386A (zh) 具有殺昆蟲性質之活性化合物組合物
JPH1129413A (ja) 殺虫、殺ダニ、植物用抗菌剤
KR20210003792A (ko) 점적 및 관주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케토엔올 부류의 살곤충제를 갖는 고도로 로딩된 제제
KR20150144776A (ko) 살충성을 가지는 활성 화합물의 배합물
US4402951A (en) Insecticidal composition
WO2023176614A1 (ja) 農用組成物
JP2003104820A (ja) 有害生物防除剤
CA2977666A1 (en) Nove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oil borne pathogens of agricultural crops
JP2022507775A (ja) 植物破壊昆虫およびダニ目(acari)の制御のための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の使用
WO2024095171A1 (en) Stable synergistic insecticidal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