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682B1 -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682B1
KR102067682B1 KR1020170015162A KR20170015162A KR102067682B1 KR 102067682 B1 KR102067682 B1 KR 102067682B1 KR 1020170015162 A KR1020170015162 A KR 1020170015162A KR 20170015162 A KR20170015162 A KR 20170015162A KR 102067682 B1 KR102067682 B1 KR 102067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abricated
prefabricated member
extension
joining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138A (ko
Inventor
권기병
Original Assignee
권기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병 filed Critical 권기병
Priority to KR102017001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6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시 조립식 부재들의 접합을 위해 사용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 조립식 부재의 일면과 맞닿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폭방향 양단에서 절곡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A Junction Hardware for Prefabricated Components and A Prefabricated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시 조립식 부재들의 접합을 위해 사용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 조립식 부재의 일면과 맞닿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폭방향 양단에서 절곡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구조물이란 목재, 강재 등의 조립식 부재들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조물을 의미한다. 정자, 전원주택 등과 같이 간단한 경량 목구조 건축물은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위해 조립식으로 시공된다.
조립식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조립식 부재를 상호 결합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서로 만나는 조립식 부재를 단순히 못, 볼트 등으로 체결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다. 도 1에는 경량 목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부재의 종래 결합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일 조립식 부재(a1)의 단부와 타 조립식 부재(a3)의 단부를 못(T)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립식 구조물을 형성하는 조립식 부재들의 결합이 위와 같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못(T)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좋지 못하다. 따라서 조립식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라고 볼 수 없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는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못(T)은 통상적으로 타카(Tacker)를 이용하여 시공되는데, 무게가 있는 장비를 가지고 작업자가 정확하게 상기 못(T)의 체결 위치와 각도 등을 계산하면서 반복적으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특히, 조립식 구조물의 특성상 결합되는 조립식 부재들의 결합 부위는 도 1과 같이 직교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만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경사지게 만나는 조립식 부재들을 상호 결합시킬 때 상기 못(T)의 체결 위치와 각도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 한편, 상기 못(T)을 이용한 체결 방식은 조립식 부재 상호 간의 결합 후에 상기 못(T)의 헤드(T1)가 돌출된 형태로 남기도 하고, 상기 못(T)의 단부가 조립식 부재 밖으로 돌출되기도 한다. 따라서 조립식 구조물의 완공 후 조립식 부재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 못하고, 조립식 부재의 결합부위에 내장재나 외장재가 부착되는 경우에는 돌출 부위로 인하여 시공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1229276호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2013. 02. 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시 발생하는 조립식 부재들의 다양한 형태의 결합 부위에 모두 적용될 수 있어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켜 주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부재에 접하지 않는 잉여 면적을 가지지 않아 시공 과정이나 시공 후에 변형이나 간섭 등의 문제가 없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와 날개부가 일 조립식 부재의 세 면을 감싸고, 연장부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조립식 부재들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결합시켜주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장부가 폭방향으로 연장돌출된 확장부를 가지고 있어 조립식 부재들이 경사지게 만나는 경우에도 상기 연장부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조립식 부재들이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해주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함입부를 통해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과정에서 조립식 부재들의 결합 부위의 확인을 용이하게 해주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연장부의 코너가 모따기 처리되어 다양한 형태의 결합 부위에 적용됨에 있어 시공 후 조립식 부재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우수한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날개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비드를 통해 강도가 보강된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수단의 삽입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시 조립식 부재들의 접합을 위해 사용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로서, 일 조립식 부재의 일면과 맞닿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폭방향 양단에서 절곡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상기 날개부의 폭은 상기 일 조립식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연장부는 폭방향 양단부 중 상기 몸체에 인접한 단부에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돌출된 확장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와 접하는 부분에 폭방향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연장부의 대각선의 길이는 상기 타 조립식 부재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연장부의 코너는 모따기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날개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비드는 상기 날개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면의 폭방향 중심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연장부에 관통형성된 고정수단 삽입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고정수단 삽입공은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연장부에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날개부에 비해 상기 연장부에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더 많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를 접합시켜주는 상기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는 각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몸체와 상기 날개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의 인접한 세 면에 맞닿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타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은, 상기 일 조립식 부재는 2개의 타 조립식 부재와 접하고, 상기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몸체와 상기 날개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의 인접한 세 면에 맞닿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2개의 타 조립식 부재의 각 양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시 발생하는 조립식 부재들의 다양한 형태의 결합 부위에 모두 적용될 수 있어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켜 주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조립식 부재에 접하지 않는 잉여 면적을 가지지 않아 시공 과정이나 시공 후에 변형이나 간섭 등의 문제가 없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함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몸체와 날개부가 일 조립식 부재의 세 면을 감싸고, 연장부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조립식 부재들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결합시켜주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장부가 폭방향으로 연장돌출된 확장부를 가지고 있어 조립식 부재들이 경사지게 만나는 경우에도 상기 연장부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조립식 부재들이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해주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함입부를 통해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과정에서 조립식 부재들의 결합 부위의 확인을 용이하게 해주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연장부의 코너가 모따기 처리되어 다양한 형태의 결합 부위에 적용됨에 있어 시공 후 조립식 부재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우수한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날개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비드를 통해 강도가 보강된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고정수단의 삽입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조립식 부재의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의 좌측면도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일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조립식 부재는 경량목구조를 형성하는 경량목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조립식 부재가 경량목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조립식 부재는 사전에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시공될 수 있는 각종 부재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4에는 도 2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의 정면도 및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내지 9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일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 나타나 있다.
도 2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1)은,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시 조립식 부재들의 접합을 위해 사용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로서, 일 조립식 부재(c1)의 일면과 맞닿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폭방향 양단에서 절곡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의 양 측면에 맞닿는 날개부(13)와, 상기 날개부(13)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c3, c5)의 양 측면에 맞닿는 연장부(15)와, 상기 날개부(13)와 상기 연장부(15)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비드(17)와, 상기 날개부(13) 및 상기 연장부(15)에 관통형성된 고정수단 삽입공(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는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의 일면과 맞닿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11)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1)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의 일면에 밀착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plate)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1)의 폭은 각재로 이루어진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의 두께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13)는 상기 몸체(11)의 폭방향 양단에서 절곡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의 양 측면에 맞닿는 부분이다. 상기 날개부(13)는 상기 몸체(11)의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몸체(11)를 중심으로 한 쌍이 대칭을 이루고 있다.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가 사각형의 각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날개부(13)는 상기 몸체(11)에 접하고 있는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의 일면과 인접한 두개의 측면에 접하게 된다. 결국, 상기 날개부(13)와 상기 몸체(11)는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의 세 개의 면을 감싸며 수용하는 형태의 거싯(gusset)을 형성한다.
상기 날개부(13)의 폭은 상기 조립식 부재의 측면의 폭보다는 작거나 같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13)의 외측 코너는 모따기 처리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하여 조립식 부재의 결합 부위의 형태에 관계없이 상기 날개부(13)의 일부분이 시공 후 조립식 부재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3)는 상기 몸체(11)와 일체로 프레스 가공되어 만들어진 뒤 절곡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5)는 상기 날개부(13)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c3, c5)의 양 측면에 맞닿는 부분이다. 상기 연장부(15)는 상기 날개부(1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날개부(13)와 일체로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몸체(11)를 기준으로 한 쌍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함입부(151)와 확장부(15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장부(15)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c3, c5)의 양 측면에 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15)는 조립식 부재 상호 간의 결합 부위의 형태에 따라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하나의 타 조립식 부재(c3)와 접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타 조립식 부재(c3, c5)와 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5)는 조립식 부재 상호 간의 결합 부위의 형태에 따라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와도 접할 수 있다.
상기 함입부(151)는 상기 연장부(15) 중 상기 몸체(11)와 접하는 부분에 폭방향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몸체(11)와 상기 연장부(15)가 접하는 부분은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c3, c5)의 결합 부위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함입부(151)는 이러한 결합 부위를 작업자가 시공 과정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함입부(151)를 통해 조립식 부재 상호 간의 배치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조립식 부재 상호 간의 밀착이 이루어졌는지 여부 등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시공의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확장부(153)는 상기 연장부(15)의 폭방향 양단부 중 상기 몸체(11)에 인접한 단부가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확장부(153)를 통하여 상기 연장부(15)가 이와 같이 상기 날개부(1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11)에 인접한 단부가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6과 같이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c3, c5)가 비스듬하게 만나는 경우에도 상기 연장부(15)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c3, c5)의 접촉 면적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1)에 의하면 조립식 부재들이 경사지게 만나는 경우에도 조립식 부재들이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장부(15)의 폭과 길이는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후 상기 연장부(15)가 상기 조립식 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의 접촉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상기 연장부(15)의 코너 역시 모따기 처리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난 조립식 구조물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연장부(15)의 대각선 길이(d1)이 상기 조립식 부재의 폭(d3)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5)의 대각선 길이(d1)는 상기 연장부(15)에서 가장 긴 부분인데, 이것이 상기 조립식 부재의 폭(d3)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경우 상기 연장부(15)는 상기 조립식 부재 상호 간의 결합형태가 어떠하든지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후 상기 조립식 부재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가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공 과정이나 시공 후에 상기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이 변형되거나 상기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에 의한 간섭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없다.
한편, 상기 연장부(15)는 상기 몸체(11) 및 상기 날개부(13)와 일체로 프레스 가공되어 만들어진 뒤 상기 날개부(13)와 함께 절곡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1)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조립식 부재 간의 결합 부위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간단한 공정을 통해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있어 각각의 결합 부위의 형태에 맞추어 적합한 접합철물을 별도로 성형 제작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금형비용 및 제작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비드(17)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기 날개부(13)와 상기 연장부(15)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비드(17)는 판금 성형 가공의 일종인 비딩(beading)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드(17)는 편편하게 성형된 상기 날개부(13) 및 상기 연장부(15)의 강도를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비드(17)의 돌출 정도는 상기 날개부(13) 및 상기 연장부(15)의 두께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비드(17)의 두께는 상기 날개부(13) 및 상기 연장부(15)의 두 배가 될 수 있다.
상기 비드(17)는 상기 날개부(13) 및 상기 연장부(15)의 외면에 폭방향 중심을 따라 줄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상기 비드(17)가 형성될 경우 상기 고정수단 삽입공(19)의 형성 위치를 상기 날개부(13) 및 상기 연장부(15)의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핀, 못,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S)이 상기 날개부(13) 및 상기 연장부(15)의 좌우 양측에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 삽입공(19)은 상기 날개부(13) 및 상기 연장부(15)에 고정수단의 삽입을 위해 관통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고정수단(S)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핀, 못, 나사못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도 5 내지 9에서는 나사못이 상기 고정수단(S)으로 사용되었다. 상기 고정수단 삽입공(19)의 내경은 상기 고정수단(S)의 헤드부(S1)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수단 삽입공(19)은 상기 날개부(13) 및 상기 연장부(15)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1)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조립식 부재 간의 결합 부위에 사용되는 것을 예정하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S)의 결합 위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 삽입공(19)은 상기 날개부(13)에 비해 상기 연장부(15)에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더 많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장부(15)에 조립식 부재 상호 간의 결합 부위가 형성되고 결합 부위에 상기 고정수단(S)이 집중적으로 결합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5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은,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c3, c5)와,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c3, c5)를 접합시켜주는 상기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는 경량목재 등과 같은 각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식 구조물은,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c3)가 서로 직교하고, 상기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1)은 상기 몸체(11)와 상기 날개(13)가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의 인접한 세 면에 맞닿고, 상기 연장부(15)가 상기 타 조립식 부재(c3)의 양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식 구조물은,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가 2개의 타 조립식 부재(c3, c5)와 접하고, 상기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1)은, 상기 몸체(11)와 상기 날개(13)가 상기 일 조립식 부재(c1)의 인접한 세 면에 맞닿고, 상기 연장부(15)가 상기 2개의 타 조립식 부재(c3, c5)의 양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 및 8에 나타난 실시예들은 지붕 트러스 구조물을 형성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실시예들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1)은 조립식 부재가 상호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만나거나 어느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1)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조립식 부재의 결합 부위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시 효율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켜준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11: 몸체
13: 날개부
15: 연장부
151: 함입부 153: 확장부
17: 비드
19: 고정수단 삽입공

Claims (14)

  1.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 시 조립식 부재들의 접합을 위해 사용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로서,
    일 조립식 부재의 일면과 맞닿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폭방향 양단에서 절곡연장되어 상기 일 조립식 부재의 일면에 이웃한 양 측면에 맞닿는 날개부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접합되는 타 조립식 부재 측에 위치한 상기 날개부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연장부의 폭방향 양단부 중 상기 몸체에 인접한 단부가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돌출되어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여,
    조립식 부재에 접하지 않는 잉여 면적의 발생을 차단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폭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와 접하는 부분에 폭방향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대각선의 길이는 상기 타 조립식 부재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연장부의 코너는 모따기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상기 날개부와 상기 연장부의 외면의 폭방향 중심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연장부에 관통형성된 고정수단 삽입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삽입공은 상기 날개부 및 상기 연장부에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날개부에 비해 상기 연장부에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으로 더 많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11. 일 조립식 부재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접하는 타 조립식 부재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를 접합시켜주는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을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는 각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 조립식 부재와 상기 타 조립식 부재는 서로 직교하고,
    상기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몸체와 상기 날개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의 인접한 세 면에 맞닿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타 조립식 부재의 양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 조립식 부재는 2개의 타 조립식 부재와 접하고,
    상기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은,
    상기 몸체와 상기 날개가 상기 일 조립식 부재의 인접한 세 면에 맞닿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2개의 타 조립식 부재의 각 양 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KR1020170015162A 2017-02-02 2017-02-02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 KR10206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62A KR102067682B1 (ko) 2017-02-02 2017-02-02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62A KR102067682B1 (ko) 2017-02-02 2017-02-02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138A KR20180090138A (ko) 2018-08-10
KR102067682B1 true KR102067682B1 (ko) 2020-01-17

Family

ID=6322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162A KR102067682B1 (ko) 2017-02-02 2017-02-02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6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944A (ja) * 2001-10-15 2003-04-23 Nisshin Steel Co Ltd 鋼製大引きの接合支持金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045A (ja) * 1982-07-30 1984-02-07 根本 繁雄 十字取合接合方法及び装置
JPS63300142A (ja) * 1987-05-29 1988-12-07 株式会社 第一ホ−ム 金属薄板製木造用金物
JPH01219238A (ja) * 1988-02-27 1989-09-01 Daiichi Horm Co Ltd 交差状構造材接合金物
KR101229276B1 (ko) 2009-11-26 2013-02-04 권기병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KR20140003950U (ko) * 2012-12-18 2014-06-26 김칠규 사각 파이프 고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944A (ja) * 2001-10-15 2003-04-23 Nisshin Steel Co Ltd 鋼製大引きの接合支持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138A (ko)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9173B2 (en) Structure attached with vibration control device
KR102067682B1 (ko)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
KR101229276B1 (ko)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KR20140128853A (ko) 철근 커플러
JP2018016978A (ja) 構造部材
JP6964537B2 (ja) 木造建物用筋交い接続金物
KR20100119029A (ko)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0392530Y1 (ko)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JP7377155B2 (ja) I型ジョイスト部材連結具、i型ジョイスト部材連結具を用いたi型ジョイスト部材の連結方法およびi型ジョイスト部材連結具を用いた木造建物
JP6370123B2 (ja) 梁接合構造及び建造物
KR200436867Y1 (ko) 코너 조인트
KR100516333B1 (ko) 폐단면 경량형강용 접합철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골조
JP2002013201A (ja) 木造建築物の接合構造
JP2017002481A (ja) 下地構造体の施工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接合用下地材
JP3144706U (ja) 木造建築用連結金具
JP5760068B2 (j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と接合構造
JP3211790U (ja) 構造体の補強具
KR200399754Y1 (ko) 합성수지 창틀의 코너부 접합구조
JP3092312U (ja) 床板、それを使った建築物構造物
JPH11200587A (ja) 外壁用出隅材とその製造方法
JP3207573U (ja) 建材連結金物
JP4084577B2 (ja) 組立部材の結合方法
JP6288961B2 (ja) 建具枠接続構造及び該構造の組立方法
KR100343004B1 (ko) 창틀이나 문틀용 틀구조
JP6564606B2 (ja) 木・鋼重ね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