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530Y1 -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 Google Patents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530Y1
KR200392530Y1 KR20-2005-0012723U KR20050012723U KR200392530Y1 KR 200392530 Y1 KR200392530 Y1 KR 200392530Y1 KR 20050012723 U KR20050012723 U KR 20050012723U KR 200392530 Y1 KR200392530 Y1 KR 200392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furniture
joint
wedge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필
Original Assignee
정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필 filed Critical 정종필
Priority to KR20-2005-0012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5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2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구 부품 조립시 두 패널 사이에 장착하여 반복하중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기 쉬운 가장자리부 등에서의 강성을 증대시켜 가구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는 일정 두께(t')와 폭(w')을 가지며, 결착하고자 하는 두 결착패널의 접합면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그 가운데를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결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결착부상에 삽입은 용이하나 삽입후 인출이 어렵도록 경사진 형상의 걸림턱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두 결착패널간의 접합되는 부위를 견고히 결착시킴으로써, 결착부에 외부하중이 반복적으로 인가되거나, 오랜 기간의 사용에도 접합부에서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가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Joint wedge for assembling parts of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구 부품 조립시 두 패널 사이에 장착하여 반복하중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기 쉬운 가장자리부 등에서의 강성을 증대시켜 가구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여러개의 구성부품이 각각 연결되어 하나의 완성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특히 가구의 모서리부에서는 두 개의 패널이 만나 상호 접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로서, 종래에는 상기 두 패널의 접합부위에 접착제를 바른 다음, 못이나 각종 고정핀 등의 결착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이 통상 적용되어 왔다.
도 1 은 종래 가구의 일예로서 약품 기구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상기 도 1 의 모서리부(A 부)에서의 결착패널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도 1 의 모서리부(A 부)에서의 결착패널간의 결착된 상태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에 도시된 가구는 학교 교실 등에서 실험용 약품을 보관하는 약품 기구장(20)으로서, 상기 약품 기구장(20)의 하부에는 책상과 같은 형태의 받침대(10)가 놓이며, 약품 기구장(20)의 전면에는 여닫이 도어(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약품 기구장(20)에 있어서, 기구장의 모서리부(A)는 그 외측의 패널들(1,3,5)이 상호 접합되는 곳이며, 패널들(1,3,5)간의 결합을 위해 먼저, 각 패널(1,3,5)의 접합면(1a,3a,5a)상에 접착재를 바른 다음, 접합된 상태의 패널 외측에서 못(7,9)이나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패널들(1,3,5)을 결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접합된 가구에서는, 일정기간동안 사용한 후에는 접합부위가 갈라지거나 터지게 되는데, 이는 가구 도어(4)의 반복적인 개폐에 따라 패널 접합부(도3의 B 부)에 반복하중이 지속적으로 인가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가구가 학교에서의 실험용으로 설치된 경우, 도어의 개폐에 따른 반복하중의 인가로 인한 변형은 더욱 쉽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 가구의 패널 접합부에서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가구의 사용이 불안해질 뿐 아니라, 사용수명이 저하되고, 이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 모서리부 패널의 결합을 별도의 접착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히 결착시킬 수 있으며, 접합부에 인가되는 반복하중이나 외부충격에 의해서 변형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가구 결합용 조인트 쐐기는 가구 조립을 위한 두 결착패널간의 결착시 사용되는 조인트 쐐기로서, 일정 두께(t')와 폭(w')을 가지며, 상기 두 결착패널의 접합면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의 중앙선을 기점으로 양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결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결착부상에 삽입은 용이하나 삽입후 인출이 어렵도록 경사진 형상의 걸림턱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조인트 쐐기의 결착부 선단의 면적은 패널상의 접합부 면적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결착패널의 접합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쐐기의 일측 결착부의 길이(ℓ/2)는 결착패널의 두께(t)보다 작은 크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착되는 두 결착패널의 접합면상에 일정크기의 결착홈을 형성하여, 이 결착홈을 이용하여 조인트 쐐기의 삽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구 결합용 조인트 쐐기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의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인트 쐐기(30)는 가구의 구성부품인 결착패널들(1,3,5)중 하중을 많이 받는 두 결착패널(1,3)의 접합면에 삽착되는 결착부재로서, 일정 두께(t')와 폭(w')을 가지며, 길이방향 즉, 상기 두 결착패널(1,3)의 접합면(1a,3a)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인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가운데 지점(35)를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결착부(33)가 형성되며, 상기 각 결착부(33)상에는 삽입은 용이하나 삽입후 인출이 어렵도록 경사진 형상의 걸림턱(37)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때, 본 고안의 조인트 쐐기 결착부(33) 선단의 면적은 두 결착패널(1,3)상의 접합부(1a,3a)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고, 패널 접합부(1a,3a) 내측으로 삽입되는 일측 결착부(33)의 길이(ℓ/2)는 패널 두께(t)보다는 작은 크기가 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조인트 쐐기(30)의 두께(t')는 조인트 쐐기(30)가 일정한 강성을 갖는 범위내에서 가능한 얇은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고, 결착패널(1,3)의 두께(t)보다는 얇도록 한다.
본 고안의 조인트 쐐기(30)는 결착하고자 하는 두 결착패널(1,3)을 결합시키는 것과 함께 결합후 결착부를 파손시키지 않는 한 두 결착패널(1,3)의 접합부(1a, 3a)가 이탈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고안의 조인트 쐐기(30)의 재료로는 PVC 에 강성을 증대시키는 소정의 충진재를 혼합한 재료로 강성의 PVC 재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조인트 쐐기(30)를 이용하여 상기 두 결착패널(1,3)을 조립할 시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쐐기(30)가 결착되는 위치가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착되는 두 패널(1,3)의 후방에는 결착패널(5)가 결착되어 이 부위에서의 강성이 보강되기 때문이다.
결착시에는 두 결착패널(1,3)의 접합면(1a,3a)상에 쐐기 결착부(33)의 선단부 형상과 비슷한 크기의 결착홈(1b,3b)을 형성한 후, 이 결착홈(1b,3b)으로 조인트 쐐기 결착부(33)를 삽입하여 결착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측의 제1 패널(1)의 접합면(1a)상에 제1 결착홈(1b)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결착홈(3b)에 본 고안의 조인트 쐐기(30)의 일측 선단부를 삽착시킨 후, 망치 등을 이용하여 조인트 쐐기(30)의 타단부에 충격을 가하여 삽입시킨다. 이후, 조인트 쐐기(30)의 타측 단부를 종방향으로 세워진 제2 패널(3)의 접합면(3a)상에 형성된 제2 결착홈(3b) 안으로 삽입시킨 후, 제2 패널(3)의 외측에서 충격을 가하여 조인트 쐐기(30)의 타단이 제2 패널(3)의 접합면(3b)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2 패널(3)의 외측면은 충격에 의한 흔적이 생기지 않도록 충격 인가시 별도의 완충부재를 그 상측에 얹힌 후 작업을 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인트 쐐기(30)는 양측단으로 돌출되어 나온 결착부(33)상에 전방으로 경사진 톱날 형태의 걸림턱(37)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단, 상기 조인트 쐐기의 결착부(33)가 결착패널(1,3)의 접합면(1a,3a) 내부로 삽착된 후에는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는 다시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30)는 앞에서 예시한 학교 교실 등에서 사용되는 가구 구성부품의 결착시 뿐만 아니라 각종 건축 구성부품이나 기타 다양한 형태의 조립 구성부품의 결착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쐐기는 결착하고자 하는 가구의 구성부품인 결착패널의 접합부에 삽착되어 견고한 결착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결착부에 충격하중 또는 반복하중이 오랜기간 인가될 경우에도 접합부에서의 변형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가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은 종래 가구의 일예로서 약품 기구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상기 도 1 의 모서리부(A 부)에서의 결착패널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은 상기 도 1 의 모리서부(A 부)에서의 결착패널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쐐기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조인트 쐐기를 이용하여 두 패널을 결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5 : 결착패널 4 : 전면도어
7,9 : 못 10 : 받침대
20 : 가구 30 : 조인트 쐐기
31 : 쐐기 선단부 33 : 결착부
35 : 결착부 중심선 37 : 걸림턱

Claims (3)

  1. 가구 조립을 위한 두 결착패널간의 결착시 사용되는 조인트 쐐기로서,
    상기 조인트 쐐기는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지며, 상기 두 패널의 접합면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가운데를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결착부가 형성되며, 이 결착부상에는 삽입은 용이하나 삽입후 인출이 어렵도록 경사진 형상의 걸림턱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쐐기의 결착부 선단의 면적은 결착패널의 접합부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결착패널 접합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쐐기의 일측 결착부의 길이(ℓ/2)는 패널 두께(t)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결착패널의 접합면상에 조인트 쐐기의 삽입전 상태에서, 쐐기 결착부의 선단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일정크기의 결착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KR20-2005-0012723U 2005-05-06 2005-05-06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KR200392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723U KR200392530Y1 (ko) 2005-05-06 2005-05-06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723U KR200392530Y1 (ko) 2005-05-06 2005-05-06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530Y1 true KR200392530Y1 (ko) 2005-08-19

Family

ID=4369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723U KR200392530Y1 (ko) 2005-05-06 2005-05-06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5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607B1 (ko) * 2018-04-06 2018-10-15 (주)큰산인디컴 조립용 커넥터
KR20240006434A (ko) * 2022-07-06 2024-01-15 김민석 의자다리 고정용 연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607B1 (ko) * 2018-04-06 2018-10-15 (주)큰산인디컴 조립용 커넥터
KR20240006434A (ko) * 2022-07-06 2024-01-15 김민석 의자다리 고정용 연결구
KR102630137B1 (ko) * 2022-07-06 2024-01-29 김민석 의자다리 고정용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0150B2 (ja) 引き出しの組み立て
KR200392530Y1 (ko) 가구 조립용 조인트 쐐기
RU2006108562A (ru) Угл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оединения такого типа
JP7472061B2 (ja) 板材の接合構造、板材の接合方法、及びキャビネット
KR20110088861A (ko) 가구 프레임용 코너 결합구
JP2008306960A (ja) シート止め材のt形ジョイント
CN211691185U (zh) 拼接型材
KR200490980Y1 (ko)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JP4982904B2 (ja) パネル接続用連結具。
KR102591375B1 (ko) 패널 결합 구조체
KR200377437Y1 (ko) 문짝용 프레임 구조체
JP7463312B2 (ja) 吊式キャビネットの壁面組立方法
JP2022135711A (ja) 板材の接合構造、板材の接合方法、及びキャビネット
JP6499350B1 (ja) 組立式家具及びこれに用いる組立金具
JP3211790U (ja) 構造体の補強具
KR20230131597A (ko) 판재 연결브래킷
WO2016021301A1 (ja) 接続部材、キャビネットおよびキャビネットの組立方法
KR200248154Y1 (ko) 수납상자
JP3841802B2 (ja) 接合具およびその接合具が用いられた家具、建材ならびに建築物
JPH1061011A (ja) 柱接合具
KR102067682B1 (ko) 조립식 부재용 접합철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구조물
KR200186942Y1 (ko) 피,브이,시 창짝 및 창틀의 조립용 조이너
JP4312661B2 (ja) L型金具
KR200297133Y1 (ko) 다기능 캐비닛 연결구조
JPH09256477A (ja) 金 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