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014B1 - 스폿용접기 - Google Patents

스폿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014B1
KR102063014B1 KR1020190122153A KR20190122153A KR102063014B1 KR 102063014 B1 KR102063014 B1 KR 102063014B1 KR 1020190122153 A KR1020190122153 A KR 1020190122153A KR 20190122153 A KR20190122153 A KR 20190122153A KR 102063014 B1 KR102063014 B1 KR 102063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eating
horizontal
spot
coupl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장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석 filed Critical 장원석
Priority to KR102019012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Abstract

본 발명은 스폿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조수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 도어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스트라이커를 생산함에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생산된 제품에 대한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결합바디에 고리를 스폿용접하는 스폿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스폿용접기는, 고리에서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이 내측에 위치하는 고리안착홀이 하방으로 관통형성되고 상측에 결합바디가 놓여지는 안착구; 상기 고리안착홀에 놓여지는 고리의 하방에서 고리와 맞닿도록 구비되는 하부용접전극봉; 및 상기 하부용접전극봉과 일직선 상을 이루며 결합바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용접전극봉;을 포함여 상기 안착구 상에서 놓여져 용접하고자 하는 고리의 부분과 맞닿은 결합바디를 향해 상부용접전극봉이 이동하여 스폿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폿용접기{Spot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스폿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조수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 도어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스트라이커를 편리하게 생산할 수 있는 스폿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박스(Glove Box)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에 설치되어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차량용 보관박스를 지칭하는 말이다.
한편, 자동차 등과 같은 각종 기계 장치에서는 금속 강판 간 접합이나, 다양한 체결구를 제작함에 있어 일명 스폿용접이라 불리는 점 용접(spot welding) 장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스폿용접은 금속판을 포개어 놓고 전극 끝을 금속판 아래 위에 대고 비교적 작은 부분에 전류 및 가압력을 집중시켜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동시에 전극으로 압력을 가하여 행하는 저항 용접을 말한다.
상술한 글로브박스에 사용되는 도어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스트라이커(striker)를 제작함에 있어서도 스폿용접이 이용된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소정의 형태로 형성되어 사출물에 결합되는 결합바디와, 상기 결합바디에 스폿용접되는 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결합바디와 고리를 스폿용접함에 있어서는, 용접전극봉이 상하로 하나씩만 구비되어 있는 스폿용접기를 사용하고 있는바, 복수의 지점을 스폿용접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자가 스폿용접되는 결합바디와 고리를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로 구비된 용접전극봉 사이에 스폿용접 지점을 위치시켜야 하는바, 생산된 제품의 품질이 일정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4742호 '인버터 용접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조수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 도어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스트라이커를 생산함에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생산된 제품에 대한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스폿용접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폿용접기는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결합바디에 고리를 스폿용접하는 스폿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스폿용접기는, 고리에서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이 내측에 위치하는 고리안착홀이 하방으로 관통형성되고 상측에 결합바디가 놓여지는 안착구; 상기 고리안착홀에 놓여지는 고리의 하방에서 고리와 맞닿도록 구비되는 하부용접전극봉; 및 상기 하부용접전극봉과 일직선 상을 이루며 결합바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용접전극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바디는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제2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는 제2 수평부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수평대와, 두 개의 수평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대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수평부와 수평대가 스폿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평부는 상기 수평대가 접하는 부분을 따라 상방을 향해 볼록한 고리수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구는 상면이 제1 수평부, 제1 경사부 및 제2 수평부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안착부, 제2 안착부 및 제3 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 안착부에는 수평대가 위치하는 고리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부와 제3 안착부에는 제1 수평부와 제2 수평부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가 접하는 고정편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은 측방향을 따라 조절홀이 관통형성되고, 조절홀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제1 안착부 또는 제3 안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평부와 제2 수평부의 폭에 맞도록 상기 조절홀을 따라 고정편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구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경사대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보조안착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리안착홀에 수평대가 위치하도록 놓여진 고리의 경사대는 보조안착구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안착구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전면(前面)의 상부가 제2 경사부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전면(前面)의 하부가 경사대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구를 더 포함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지지구는 전면(前面)이 제2 경사부와 경사대에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바디는 고리가 고리안착홀과 보조안착구에 위치하도록 놓여진 후, 지지구가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안착구와 지지구에 맞닿도록 놓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용접전극봉과 이에 대응되는 하부용접전극봉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구가 상면에 구비되는 작업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판은 고리안착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용접전극봉의 전방에 투명한 판 형태를 이루는 안전판이 구비되되, 상기 안전판은 상부용접전극봉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구 상에서 놓여져 용접하고자 하는 고리의 부분과 맞닿은 결합바디를 향해 상부용접전극봉이 이동하여 스폿용접이 이루어지므로, 자동차 조수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 도어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스트라이커를 생산함에 있어, 용접될 지점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상부용접전극봉과 하부용접전극봉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되는 결합바디와 고리가 스폿용접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복수의 지점을 한꺼번에 용접하거나 연속적으로 용접이 가능한바, 작업시간 단축과 제품의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폿용접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폿용접기에 의해 스폿용접되는 결합바디와 고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폿용접기에 의해 결합바디와 고리가 스폿용접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폿용접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폿용접기에 의해 결합바디와 고리가 스폿용접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조수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 도어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스트라이커를 생산함에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생산된 제품에 대한 일정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결합바디에 고리를 스폿용접하는 스폿용접기에 있어서, 상기 스폿용접기는, 고리에서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이 내측에 위치하는 고리안착홀이 하방으로 관통형성되고 상측에 결합바디가 놓여지는 안착구; 상기 고리안착홀에 놓여지는 고리의 하방에서 고리와 맞닿도록 구비되는 하부용접전극봉; 및 상기 하부용접전극봉과 일직선 상을 이루며 결합바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용접전극봉;을 포함여 상기 안착구 상에서 놓여져 용접하고자 하는 고리의 부분과 맞닿은 결합바디를 향해 상부용접전극봉이 이동하여 스폿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스폿용접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인 스폿용접기(A)는 자동차 조수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글로브박스 도어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스트라이커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트라이커는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결합바디(10)와, 결합바디(10)에 스폿용접되는 고리(20)로 구성된다.
결합바디(10)와 고리(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바디(10)는 일 예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제1 수평부(11)와, 제1 수평부(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제1 경사부(12)와, 제1 경사부(1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제2 수평부(13)와, 제2 수평부(1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제2 경사부(14)를 포함하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리(20)는 일 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부(13)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수평대(21)와, 두 개의 수평대(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결합바디(10)와 고리(20)는 제2 수평부(13)와 수평대(21)가 스폿용접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며, 이때, 제2 수평부(13)는 수평대(21)가 접하는 부분을 따라 상방을 향해 볼록한 고리수용돌기(13a)가 형성될 수 있다. 고리수용돌기(13a)는 볼록한 반구 형태를 이루므로 봉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을 이루는 수평대(21)가 선접촉하는 것이 아닌 면접촉을 하게 되는바, 스폿용접시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결합바디(10)에 고리(20)를 스폿용접하는 스폿용접기(A)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구(100), 하부용접전극봉 및 상부용접전극봉(200)을 포함한다.
안착구(100)는 고리(20)에서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이 내측에 위치하는 고리안착홀(131)이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며, 상측에 결합바디(10)가 놓여진다. 고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놓여진 결합바디(10)와 맞닿도록 고리안착홀(131)의 내측에 위치한다.
안착구(100)는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제1 수평부(11), 제1 경사부(12) 및 제2 수평부(13)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안착부(110), 제2 안착부(120) 및 제3 안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안착부(110)의 상면은 수평을 이루고, 제2 안착부(120)의 상면은 제1 안착부(110)의 상면 단부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며, 제3 안착부(130)의 상면은 제2 안착부(120)의 상면 단부로부터 수평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3 안착부(130)에는 수평대(21)가 위치하는 고리안착홀(131)이 형성되고, 제1 안착부(110)와 제3 안착부(130)에는 결합바디(10)가 놓여질 시 제1 수평부(11)와 제2 수평부(13)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가 접하는 고정편(14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착구(100)에 결합바디(10)를 놓음에 있어, 결합바디(10)의 제1 수평부(11)와 제2 수평부(13)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가 고정편(140)에 접하도록 하여 스폿용접되는 과정에서 결합바디(10)가 측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편(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이루어져 측방향을 따라 조절홀(141)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조절홀(14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42)에 의해 제1 안착부(110) 또는 제3 안착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바디(10)의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결합바디(10)의 제1 수평부(11)와 제2 수평부(13)의 폭에 맞도록 조절홀(141)을 따라 고정편(140)을 이동시킨 후, 고정볼트(142)로 고정시킴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결합바디(10)를 안착구(1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안착구(100)의 후방, 즉 고리(20)의 경사대(22)가 위치하는 측에 보조안착구(300)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안착구(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대(22)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고리안착홀(131)에 수평대(21)가 위치하도록 놓여진 고리(20)의 경사대(22)가 보조안착구(3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고리안착홀(131)에 수평대(21)를 끼워넣으면서, 경사대(22)가 보조안착구(30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고리(20)가 측방향으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안착구(3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구(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前面)의 상부가 제2 경사부(14)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전면(前面)의 하부가 경사대(22)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구(400)의 전면(前面)은 제2 경사부(14)와 경사대(22)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자 형태를 이룬다.
전방으로 이동된 지지구(400)는 전면(前面)이 제2 경사부(14)와 경사대(22)에 맞닿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바디(10)와 고리(20) 모두 전후방향으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지지구(400)의 전면(前面)이 제2 경사부(14)와 경사대(22)에 모두 맞닿도록 함에 있어, 안착구(100)에 결합바디(10)와 고리(20)를 먼저 놓은 다음, 지지구(4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지지구(4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결합바디(10)가 전방으로의 밀림이 발생되어 정확한 용접지점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바, 결합바디(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20)가 고리안착홀(131)과 보조안착구(300)에 위치하도록 놓여진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400)가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구(100)와 지지구(400)에 맞닿도록 놓여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용접전극봉(미도시)은 고리안착홀(131)에 놓여지는 고리(20)의 하방에서 고리(20)와 맞닿도록 구비된다. 즉, 고리안착홀(131)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용접전극봉(200)은 하부용접전극봉과 일직선상을 이루며 안착구(10)에 놓인 결합바디(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구(100) 상에서 놓여져 용접하고자 하는 고리(20)의 부분과 맞닿은 결합바디(10)를 향해 상부용접전극봉(200)이 이동하여 스폿용접이 이루어지므로, 결합바디(10)와 고리(20)에서의 용접될 지점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상부용접전극봉(200)과 하부용접전극봉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바, 작업시간 단축과 제품의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용접전극봉(200)과 이에 대응되는 하부용접전극봉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용접전극봉(200)과 이에 대응되는 하부용접전극봉은 두 개씩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하부용접전극봉은 두 개의 수평대(21)에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상부용접전극봉(200)이 동시에 결합바디(10)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복수 개의 지점을 한꺼번에 스폿용접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안착구(100)가 상면에 구비되는 작업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판(500)은 고리안착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대(21)의 일 지점을 스폿용접 한 후, 작업판(500)을 이동시켜 수평대(21)의 타 지점을 연속적으로 스폿용접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용접전극봉(200)과 이에 대응되는 하부용접전극봉이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면서, 안착구(100)가 상면에 구비되고 고리안착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판(500)이 구비되는 경우, 결합바디(10)와 고리(20)는 2번의 상부용접전극봉(200)의 하방이동으로 4개의 지점에 스폿용접이 이루어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용접전극봉(200)의 전방에 판 형태를 이루며 세워지는 안전판이 구비될 수 있다. 안전판은 투명하게 이루어져 안전판의 후방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을 안전판의 전방에 위치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판은 상부용접전극봉(20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하방으로 이동시 작업자를 보호하면서 상방으로 이동시 작업자가 스폿용접되어 생산된 스트라이커를 손쉽게 본 발명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 : 스폿용접기
10 : 결합바디 11 : 제1 수평부
12 : 제1 경사부 13 : 제2 수평부
13a : 고정수용돌기 14 : 제2 경사부
20 : 고리 21 : 수평대
22 : 경사대
100 : 안착구 110 : 제1 안착부
120 : 제2 안착부 130 : 제3 안착부
131 : 고리안착홀 140 : 고정편
141 : 조절홀 142 : 고정볼트
200 : 상부용접전극봉 300 : 보조안착구
400 : 지지구 500 : 작업판

Claims (11)

  1.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결합바디(10)에 고리(20)를 스폿용접하는 스폿용접기(A)에 있어서,
    상기 스폿용접기(A)는, 고리(20)에서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이 내측에 위치하는 고리안착홀(131)이 하방으로 관통형성되고 상측에 결합바디(10)가 놓여지는 안착구(100); 상기 고리안착홀(131)에 놓여지는 고리(20)의 하방에서 고리(20)와 맞닿도록 구비되는 하부용접전극봉; 및 상기 하부용접전극봉과 일직선상을 이루며 결합바디(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용접전극봉(200);을 포함하여, 상기 안착구(100) 상에서 놓여져 용접하고자 하는 고리(20)의 부분과 맞닿은 결합바디(10)를 향해 상부용접전극봉(200)이 이동하여 스폿용접이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바디(10)는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제1 수평부(11)와, 상기 제1 수평부(1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제1 경사부(12)와, 상기 제1 경사부(1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한 상태를 이루는 제2 수평부(13)와, 상기 제2 수평부(1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제2 경사부(14)를 포함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20)는 제2 수평부(13)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수평대(21)와, 두 개의 수평대(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대(22)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수평부(13)와 수평대(21)가 스폿용접되는 한편,
    상기 안착구(100)는 상면이 제1 수평부(11), 제1 경사부(12) 및 제2 수평부(13)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안착부(110), 제2 안착부(120) 및 제3 안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안착부(130)에는 수평대(21)가 위치하는 고리안착홀(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0)와 제3 안착부(130)에는 제1 수평부(11)와 제2 수평부(13)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가 접하는 고정편(140)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편(140)은 측방향을 따라 조절홀(141)이 관통형성되고, 조절홀(14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42)에 의해 제1 안착부(110) 또는 제3 안착부(13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평부(11)와 제2 수평부(13)의 폭에 맞도록 상기 조절홀(141)을 따라 고정편(1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부(13)는 상기 수평대(21)가 접하는 부분을 따라 상방을 향해 볼록한 고리수용돌기(1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구(10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경사대(22)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보조안착구(3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리안착홀(131)에 수평대(21)가 위치하도록 놓여진 고리(20)의 경사대(22)는 보조안착구(30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안착구(3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전면(前面)의 상부가 제2 경사부(14)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전면(前面)의 하부가 경사대(22)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지지구(400)를 더 포함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지지구(400)는 전면(前面)이 제2 경사부(14)와 경사대(22)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디(10)는 고리(20)가 고리안착홀(131)과 보조안착구(300)에 위치하도록 놓여진 후, 지지구(400)가 전방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안착구(100)와 지지구(400)에 맞닿도록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접전극봉(200)과 이에 대응되는 하부용접전극봉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지점을 한꺼번에 스폿용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구(100)가 상면에 구비되는 작업판(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판(500)은 고리안착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여, 복수 개의 지점을 연속적으로 스폿용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접전극봉(200)의 전방에 투명한 판 형태를 이루는 안전판이 구비되되,
    상기 안전판은 상부용접전극봉(20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에 위치한 작업자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22153A 2019-10-02 2019-10-02 스폿용접기 KR102063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153A KR102063014B1 (ko) 2019-10-02 2019-10-02 스폿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153A KR102063014B1 (ko) 2019-10-02 2019-10-02 스폿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014B1 true KR102063014B1 (ko) 2020-01-06

Family

ID=6915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153A KR102063014B1 (ko) 2019-10-02 2019-10-02 스폿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895B1 (ko) * 2020-10-07 2021-03-02 장원석 스폿용접기
CN112676686A (zh) * 2020-12-17 2021-04-20 长春师范大学 一种电阻点焊电极和定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186B1 (ko) * 2012-09-28 2014-03-04 주식회사화신 글로브박스용 스트라이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186B1 (ko) * 2012-09-28 2014-03-04 주식회사화신 글로브박스용 스트라이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895B1 (ko) * 2020-10-07 2021-03-02 장원석 스폿용접기
CN112676686A (zh) * 2020-12-17 2021-04-20 长春师范大学 一种电阻点焊电极和定位装置
CN112676686B (zh) * 2020-12-17 2022-02-25 长春师范大学 一种电阻点焊电极和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014B1 (ko) 스폿용접기
JP5806803B2 (ja) 車両シート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8362390B2 (en) Method for welding motor vehicle seat members
JP4041599B2 (ja) 部品保持用溶接ブラケット
CN105026208B (zh) 用于座椅、特别是车辆座椅的靠背框架,以及车辆座椅
KR101228301B1 (ko) 레이저 용접용 클램핑 장치
KR102221895B1 (ko) 스폿용접기
JP5966849B2 (ja) 車両用部品の製造方法
FR3065658B1 (fr) Outil et procede de formation d’une patte sur une piece en tole
KR101876442B1 (ko) 자동차의 루프프레임 조립체 제조용 지그
KR102381350B1 (ko) 자동차 범퍼용 센서브래킷 설치 장치 및 방법
JPH01311967A (ja) 車体組立方法
US2854743A (en) Method of displacing and removing flash from a welded joint
CN210334898U (zh) 翻转角锁组装工装
CN211360995U (zh) 一种b柱加工装置
US59927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welding run-off tabs in a coil end joiner
JP2021134828A (ja) 取付部材の取付構造
KR20210051667A (ko) 자동차 도어 프레임 내부 수용부에 이형 제품을 동시 성형하는 제조방법
JPH0692278A (ja) 車両シートの搭載装置
JP2001087833A (ja) へッドレストステーの凹部の加工方法
JP2003275883A (ja) 板材の突き合わせ接合方法
JPH06238472A (ja) 薄板材の突き合わせレーザ溶接方法
JPS6015408B2 (ja) 板曲機におけるブランクホルダ装置
CN108422646A (zh) 一种消除汽车仪表板副司机侧激光弱化痕迹的方法
JP3227402U (ja) 曲がり防止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