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983B1 -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983B1
KR102056983B1 KR1020180069193A KR20180069193A KR102056983B1 KR 102056983 B1 KR102056983 B1 KR 102056983B1 KR 1020180069193 A KR1020180069193 A KR 1020180069193A KR 20180069193 A KR20180069193 A KR 20180069193A KR 102056983 B1 KR102056983 B1 KR 10205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agent
tube
thermosetting resin
balloon cathete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권
Original Assignee
이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권 filed Critical 이제권
Priority to KR102018006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983B1/ko
Priority to US16/972,805 priority patent/US20210244921A1/en
Priority to PCT/KR2019/007219 priority patent/WO2019240542A1/ko
Priority to CN201980037566.2A priority patent/CN112368123B/zh
Priority to EP19818682.7A priority patent/EP3808533B1/en
Priority to JP2020569004A priority patent/JP710959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29Production methods of the balloon members, e.g. blow-moulding, extruding, deposition or by wrapping a plurality of layers of balloon material around a mandr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29C48/9105Heating, e.g. for cross linking of hollow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4Joining of shaft and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36Making parts for balloon catheter systems, e.g. shafts or distal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58Applying the releas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3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1Coat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29Production methods of the balloon members, e.g. blow-moulding, extruding, deposition or by wrapping a plurality of layers of balloon material around a mandril
    • A61M2025/1031Surface processing of balloon members, e.g. coating or deposition; Mounting additional parts onto the balloon member's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A61M2207/10Device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4Cross-head annular extrusion nozzles, i.e.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moulding material and the preform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0Thermosetting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542Catheters
    • B29L2031/7543Balloon cath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 특성을 이용하여 이형제 도포 후 건조 공정을 경화 공정과 통합함으로써 연속공정을 통해 매우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MANUFACTURING BALLOON CATHETER USING THERMOSETTING RESIN AND APPARATUS OF THE SAME}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 특성을 이용하여 이형제 도포 후 건조 공정을 경화 공정과 통합함으로써 연속공정을 통해 매우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열경화성 수지란 저분자 수지가 열, 촉매, 자외선 등에 의해 가교반응을 일으켜 3차원 망상구조의 고분자가 되는 물질을 일컫는 바, 대표적으로 실리콘 고무 등이 있다.
이러한 열경화성 수지의 특성으로 경화 전의 저분자 수지 상태일 때는 비정형 물질로서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지만, 열 등에 의한 가교반응으로 고분자 물질이 된 이후에는 불용, 불융 상태가 되어 고화되는 특성이 있다.
한편, 벌룬 카테타(2)는 튜브형태의 의학용 기구로서 인체기관에 끼운 후 공기주입관(6)을 이용하여 풍선을 부풀려 고정시킨 뒤 배출관(4)이나 약물 주입관을 통하여 약물을 주입하거나 각종 액상배설물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기구를 말하고, 일반적인 벌룬 카테타(2)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의 팽창 또는 수축을 위한 공기주입관(Inflation Lumen, 6)과 약물주입 또는 액상배설물 제거를 위한 배출관(Drainage Lumen, 4)이 하나의 튜브로 압출되는 이중관(2-way)의 구조를 갖는 압출튜브를 본체로 구성한다.
상기 압출튜브는 압출기를 통해 연질의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제조하는 바, 압출된 상기 압출튜브의 공기주입관 중 소정부를 천공하고 별도로 제작한 풍선을 조립한 뒤 접착과 코팅을 통해 풍선이 완성되며, 약물주입 또는 액상 배설물 제거를 위해 배출관에 별도의 구멍을 가공함으로써 카테타의 주요 부분이 완성된다.
상기의 카테타 제조방법은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기 때문에, 최근에는 공정을 더욱 개선하여 풍선의 조립, 접착, 코팅과정을 없앤 기술이 특허 등록번호 10-0333264와 10-0434720의 벌룬 카테테르의 제조방법에 명시되어 있다.
상기 10-0333264의 경우 액상실리콘을 이용한 디핑 공정을 통해 풍선을 형성하므로 풍선이 경화되기 전까지 카테타 튜브를 해수면과 정확히 수직으로 유지하지 않으면 풍선의 대칭성에 문제가 생겨 비대칭 풍선에 의한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공정을 매우 민감하게 통제하지 않으면 양산이 불가능한 방법이다.
상기 10-0434720의 경우 도 1과 같은 단면의 압출튜브를 최종 완성품의 굵기보다 얇게 먼저 압출(이하 1차 압출)한 뒤 적당한 길이로 절단 후, 공기주입관 천공, 이형제 도포, 이형제 건조 및 덧씌우기 압출(이하 2차 압출)을 통하여 풍선이 튜브에 내장된 카테타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풍선과 관련한 복잡한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종래의 방법보다 단순화 되었지만, 공기주입관 천공과 이형제 도포 및 건조 공정이 필요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1차 압출튜브를 절단하여 가공할 수밖에 없고 단속적인 작업공정에 따른 연속생산이 불가능하여 제조단가가 여전히 높은 편이다.
한편, 특허 등록번호 10-0689238은 상기 10-0434720의 단점을 보완하여 연속생산 방식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 특허의 문제점은 레이저로 공기주입관을 천공할 때 천공부위에 그을음이 남고 제조공정 중 튜브에 불이 붙을 위험이 있으며, 이형제 도포 후 건조공정이 구체화 되어있지 않은 점이다.
이 점을 보완하고자 출원번호 10-2017-89480에서는 내부 형상을 변화시켜 공기주입관 천공공정을 생략했으며, 이형제 건조공정을 열풍 집중방식으로 수초 이내로 공정을 완료시킬 것을 고안하였다. 하지만, 이 방법은 기존 수작업 방식의 가공 공정을 자동화 한 것에 불과하므로 1차 압출, 이형제 도포, 이형제 건조 및 2차 압출의 공정 자체는 그대로 유지되며, 자동화 설비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므로 제조단가를 절감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외에, 출원번호 10-2017-37885에서는 1차 압출된 튜브를 바로 2차 압출기에 투입하여 덧씌우기 압출을 수행하되, 압출기 다이스 끝부분에서 부착유도관 또는 부착방지관의 위치를 제어하여 구간별로 풍선 부분과 몸체 부분의 튜브를 연속적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이 방법은 부착유도관 또는 부착방지관 자체의 두께 때문에 풍선의 두께를 확보할 방법이 마땅치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풍선의 두께는 카테타의 제조사 마다 각기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0.35mm ~ 0.5mm 수준이다. 상기 발명에서 권장하는 생산 방식은 1차 압출 튜브를 일단 생산한 뒤에 2차 압출기에 투입하므로 1차 압출 튜브의 외경은 이미 확정된 상태로 2차 압출기에 투입하게 된다. 이후 부착방지관이 2차 압출재료와 1차 압출튜브 사이를 왕복하며 풍선과 몸체를 반복 생산하므로 부착방지관의 내경은 적어도 1차 압출튜브의 외경보다 커야 1차 튜브가 원활하게 2차 압출기에 투입되어 생산 할 수 있다.
이러한 1차 압출 튜브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부착방지관과 그 관의 두께에 의해서 풍선의 연질재료로 덧씌워지는 바깥층은 적어도 부착방지관의 두께만큼 빈 공간을 두고 압출되어야 하고, 2차 압출 후 최종 굵기는 2차 압출기의 외부 다이스 및 계획된 카테타의 최종 굵기로 정해져 있으므로 변경이 불가능 하다.
따라서, 부착방지관의 두께만큼 풍선의 두께가 얇아질 수밖에 없는데, 부착방지관을 너무 얇게 하면 부착방지관 자체의 내구성이 확보되지 않아 양산이 불가능하며, 너무 굵게 하면 풍선 층이 얇아져서 원하는 풍선 용량을 만들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애초에 투입하는 1차 튜브를 부착방지관의 두께만큼 얇게 만들 수밖에 없으며, 이 방법 또한 1차 튜브의 무한정 얇게 만들 수는 없으므로 일정 수준 이하의 얇은 카테타의 경우 해당 발명의 적용이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출원번호 10-2017-37885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10-2017-0165637에서는 1차 압출튜브를 경화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2차 압출재료와 함께 가변형 다이스를 통해 압출하여 제조할 것을 권장하는데, 이 방법으로는 1차 압출튜브의 경화가 일어나지 않은 시점에서 위의 부착방지관과 유사한 개념인 가변다이스를 통과하게 되므로 1차 압출튜브의 굵기와 부착방지관의 두께에 관한 제약조건이 사라져 상기 출원번호 10-2017-37885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가변다이스에 의해 풍선을 형성할 때 압출기 다이스 끝부분에서 곧바로 경화를 시키지 않으면 1차 압출재료와 2차 압출 재료가 서로 접촉하여 풍선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토출 즉시 경화를 위해 압출 속도를 어느 정도 이상으로 빠르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곧 생산 속도와 직결되며 단위원가가 올라 갈 수 밖에 없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거나, 여러 가지 제약조건으로 인하여 제한적으로만 적용이 가능한 상황이므로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 특성을 이용하여 이형제 도포 후 건조 공정을 경화 공정과 통합함으로써 연속공정을 통해 매우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a) 공기주입관(16)이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1차 튜브(14)를 압출하여 생산하는 과정과; b) 비접촉 방식으로 이형제를 분사하여 1차 튜브(14) 외주연 소정부 일정구간에 이형제를 교번적으로 도포하는 과정과; c) 가열기를 통하여 수지의 열경화 및 이형제를 건조시키는 과정과; d) 풍선재료를 상기 1차 튜브(14)의 외부에 피복함으로써 반복적으로 벌룬이 형성된 장방향의 벌룬 카테타 튜브(50)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과정에서 이형제 분사시 분사제한막(26)을 통해 분사 영역과, 비분사 영역을 구분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 제한막(26)에 형성된 흡입공(34)을 통해 이형제 분사 잔량을 주기적으로 흡입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 제한막(26)에 열선을 설치하여 잔량으로 누적된 이형제를 증발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1차 튜브(14)를 제조하기 위해 열경화성 수지를 튜브 제조금형(8)에 대해 압출하는 1차 압출기(20)와; 상기 튜브제조금형(8)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1차 튜브(14)의 외주연 소정부에 교번적으로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분사장치(22)와; 상기 이형제 분사장치(22)를 통과한 1차 튜브(14) 및 도포된 이형제를 경화 및 건조시키는 1차 가열기(38)와; 상기 1차 가열기(38)를 통과한 튜브의 외주연에 피복금형(41)을 통해 피복층(46)을 압출하여 씌우는 2차 압출기(40)와; 피복층이 형성된 튜브를 경화시키는 2차 가열기(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제 분사장치(22)는 이형제를 분사하는 노즐(24)과; 그 노즐(24)로 인해 분사되는 이형제의 분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절곡된 분사 제한막(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 제한막(26)에는 내부에 관로 형상으로 이루어진 흡입관로(32)와; 그 흡입관로(32)의 내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이형제 잔량을 흡입하는 흡입공(34)과; 그 흡입관로(32)는 음압을 상기 흡입관로(32)에 가하기 위해 진공펌프와 연결된 호스(36)로 이루어진 이형제 잔량 회수장치(30)가 더 부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사 제한막(26)은 그 내부 소정부에 잔량으로 누적된 이형제를 증발시키는 가열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은 1차 튜브를 경화시키고 곧바로 2차 압출기에 투입하여 벌룬 카테타 튜브를 완성시키므로 별도의 공정을 거치는 방법보다 제조시간과 비용이 절약되며, 가변다이스 등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보다 빠르게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공정상 대기시간이 없으므로 오염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관 구조를 가진 벌룬 카테타 튜브의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차 압출튜브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제한막이 적용된 스프레이 도포 공정의 예시,
도 3b는 이형제 도포장치와 분사제한막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제 잔량 회수장치를 설치한 예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압출 공정의 다이스 단면도와 제조 상태의 예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압출이 완료된 튜브의 구간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설비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차 압출튜브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제한막이 적용된 스프레이 도포 공정의 예시, 도 3b는 이형제 도포장치와 분사제한막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형제 잔량 회수장치를 설치한 예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압출 공정의 다이스 단면도와 제조 상태의 예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압출이 완료된 튜브의 구간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설비 구조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은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 특성을 이용하여 이형제 도포 후 건조 공정을 경화 공정과 통합함으로써 연속공정을 통해 매우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은 1차 튜브를 경화시키기 전에 이형제를 분사, 도포하여 1차 튜브의 경화와 동시에 이형제를 건조시키고 2차 압출기에 바로 투입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부착 밀도가 우수한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하는 1차 튜브(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형상의 1차 튜브(14)를 제조할 때에는 공기주입관의 천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즉,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브 제조금형(8)은 내부에 원형의 중공부(9)가 형성되어져 있는 외부 금형(10)이 마련되는 바, 그 외부 금형(10)의 내주연 소정부에는 공기 주입관을 형성하는 공기주입관 형성돌기(13)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외부금형(10)의 내부에는 배출관을 형성하는 배출관 형성금형(12)이 마련되어져 있다.
이와 같은 튜브제조 금형(8)을 이용하여 1차 튜브(14)를 제조하면, 공기주입관(16)이 1차 튜브(14)의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2차 압출의 피복공정으로 최종적으로 공기주입관이 완성되므로 별도의 공기 주입용 천공 공정이 필요 없으며 연속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튜브 제조금형(8)은 1차 압출기(20)와 연결되어 튜브 재료를 튜브 제조금형(8)으로 압출되게 이루어진 바, 상기 1차 압출기(20)를 통해 생산된 튜브(14)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1차 가열기(38)를 통해 가교반응을 일으켜 경화를 시키기 전에는 형상이 확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반드시 가열기를 통과시켜야만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1차 가열기(38)를 통과하기 전에 이형제 도포를 완료하여 가열기의 열로서 이형제의 건조와 수지의 경화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장치(22)를 압출기의 튜브제조금형(8)과 1차 가열기(38)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상기 이형제 도포장치(22)는 이형제를 분사하는 노즐(24)과, 그 노즐(24)로 인해 분사되는 이형제의 분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절곡된 분사 제한막(26)이 구성된다.
상기 제 1압출기(38)를 통해 생산된 1차 튜브(14)는 1차 가열기(38)를 통해 경화시키기 전에는 형상이 확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이형제의 도포를 위해 튜브에 무엇인가가 접촉하게 되면 튜브의 형태에 변화를 주어 원하는 형태의 생산이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는 방법인 스프레이 방식을 통한 이형제 도포 방식이 제공된다.
이러한 스프레이 방식의 이형제 도포를 이용하면 접촉하지 않으면서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으나, 스프레이 방식의 특성으로 인하여 풍선인 부분과 풍선이 아닌 부분, 즉 이형제가 도포되어야 할 부분과 이형제가 도포되지 말아야 할 부분의 경계선이 확실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하는 풍선길이를 제외한 부분에 분사제한막(26)을 설치하여 이형제의 도포를 막는 방법이 제공된다.
즉, 상기 분사 제한막(26)을 통해 이형제가 도포되는 범위를 명확하게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사 제한막(26)을 설치하고 적절한 거리에서 이형제를 스프레이 분사하게 되면 미 경화 상태의 1차 튜브(14) 표면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원하는 길이만큼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미 경화 상태이지만 튜브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확실한 경계선을 갖는 이형제의 도포가 가능하므로 이후에 1차 가열기(38)를 통하여 수지의 경화와 이형제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하여 다음 공정으로 곧바로 투입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분사제한막(26)을 설치한 이형제 분사 공정은 분사제한막(26)에 이형제의 잔량이 남아서 흘러내리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확실한 경계선을 위하여 분사제한막(26) 방향으로 분사되는 이형제는 반복되는 분사가 이루어지면 이루어질수록 분사제한막(26)에 남아 있다가 흘러내리거나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어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사제한막(26)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형제 잔량 회수장치(30)를 부가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이형제 잔량 회수장치(30)는 분사 제한막(26)에 부가되어 설치됨으로써 분사 제한막(26)에 의해 외부방향으로 분사되지 못하여 흘러내리는 이형제를 흡입할 수 있게 구성된 바, 상기 분사 제한막(26)은 내부에 관로 형상으로 이루어진 흡입관로(32)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흡입관로(32)의 내주연 즉, 상기 분사제한막(26)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흡입공(34)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흡입관로(32)는 음압을 상기 흡입관로(32)에 가하기 위한 호스(36)가 결합되어져 있다.
따라서, 컴프레셔(미도시)와 같은 흡입수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로(32)에 주기적으로 음압을 가하면 상기 분사제한막(26)의 내벽에 흘러내리는 이형제 잔량을 상기 흡입공(34)을 통해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제한막(26) 자체를 가열시켜 분사된 이형제의 분사제한막(26) 누적부분을 즉시 증발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즉, 분사제한막(26)의 소정부에 열선(미도시)을 설치하여 이형제의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시키면 분사된 이형제의 잔량은 분사제한막(26)에 접촉하는 즉시 증발하여 이후의 불량을 야기시키지 않는다.
또한, 이 방법은 분사제한막(26)의 열로써 어느 정도 1차 튜브(14)를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형제 도포 이후의 1차 가열기(38)의 부담을 줄이는 장점도 있다.
상기 이형제의 분사 도포 공정은 튜브의 압출 속도를 감안하여 일정 튜브 길이마다 분사 도포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분사 도포하는 방식으로 반복 수행한다.
다음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형제가 도포된 미 경화 튜브는 1차 가열기(38)에 투입된다. 본 가열기(38)는 일반적으로 600℃수준이며, 튜브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복사 및 대류의 방식으로 튜브를 가열하여 열경화 소재의 가교반응을 일으켜 경화시킨다. 이때 상기 분사 도포된 이형제도 충분한 열에 의하여 건조된다.
이형제가 건조되고 경화가 완료된 1차 튜브(14)는 도 5의 구조를 갖는 2차 압출기(40)에 투입되어 풍선 재료로 피복된다. 상기 1차 튜브(14)는 이전의 공정에 의하여 경화와 이형제 건조가 완료되었으므로 별도의 가공 없이도 2차 압출기(40)에 바로 투입하여 벌룬 카테타 튜브(50)의 생산이 가능하다.
2차 압출기(40)에서 피복되어 형성되는 피복층(46)의 풍선 재료 역시 열경화성 수지이므로 2차 압출기(40) 이후에 또 다른 2차 가열기(42)를 거쳐 2차 압출재료를 경화시킨다. 이 역시 상기 1차 압출기(20)에 위치한 가열기(38)와 유사한 구조이며 비 접촉 상태로 풍선재료를 경화시켜 도 6과 같은 형태의 벌룬 카테타 튜브가 반복적으로 연결된 튜브가 완성된다. 이 튜브를 위에서 설정한 이형제 도포 구간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절단하면 최종적으로 벌룬 카테타 튜브가 완성된다.
만일, 절단하는 적절한 길이의 설정이 벌룬 카테타 튜브(50) 자체의 탄성에 의해 오차를 발생시켜 안정적인 양품의 생산이 불가능 하다면, 이형제가 도포된 구간을 카메라로 감지하여 절단하거나, 또는 좀 더 확실한 구분을 위하여 위의 이형제 분사 도포 공정에 잉크 분사 공정을 포함시켜 튜브를 연속 생산한 후 잉크부분을 감지하여 절단하고 잉크가 인쇄된 부분은 폐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르면, 도 7과 같이 상기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비를 이용하여 벌룬 카테타의 튜브(50)를 빠르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8:튜브제조금형, 9:중공부,
10:외부금형, 12:배출관 형성금형,
13:공기주입관 형성돌기, 14:1차 튜브,
20:1차 압출기, 22:이형제 도포장치,
24:노즐, 26:분사 제한막,
30:이형제 잔량 회수장치, 32:흡입관로,
34:흡입공, 36:호스,
38:1차 가열기, 40:2차 압출기,
41:피복금형, 42:2차 가열기,
50:벌룬 카테타 튜브.

Claims (8)

  1. a) 공기주입관(16)이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1차 튜브(14)를 압출하여 생산하는 과정과;
    b) 비접촉 방식으로 이형제를 분사하여 1차 튜브(14) 외주연 소정부 일정구간에 이형제를 교번적으로 도포하되, 이형제 분사시 분사제한막(26)을 통해 분사 영역과, 비분사 영역을 구분하는 과정과;
    c) 가열기를 통하여 수지의 열경화 및 이형제를 건조시키는 과정과;
    d) 풍선재료를 상기 1차 튜브(14)의 외부에 피복함으로써 반복적으로 벌룬이 형성된 장방향의 벌룬 카테타 튜브(50)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제한막(26)에 형성된 흡입공(34)을 통해 이형제 분사 잔량을 주기적으로 흡입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제한막(26)에 열선을 설치하여 잔량으로 누적된 이형제를 증발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5. 1차 튜브(14)를 제조하기 위해 열경화성 수지를 튜브 제조금형(8)에 대해 압출하는 1차 압출기(20)와;
    상기 튜브제조금형(8)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1차 튜브(14)의 외주연 소정부에 교번적으로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분사장치(22)와;
    상기 이형제 분사장치(22)를 통과한 1차 튜브(14) 및 도포된 이형제를 경화 및 건조시키는 1차 가열기(38)와;
    상기 1차 가열기(38)를 통과한 튜브의 외주연에 피복금형(41)을 통해 피복층(46)을 압출하여 씌우는 2차 압출기(40)와;
    피복층이 형성된 튜브를 경화시키는 2차 가열기(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형제 분사장치(22)는 이형제를 분사하는 노즐(24)과; 그 노즐(24)로 인해 분사되는 이형제의 분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절곡된 분사 제한막(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장치.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제한막(26)에는 내부에 관로 형상으로 이루어진 흡입관로(32)와;
    그 흡입관로(32)의 내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이형제 잔량을 흡입하는 흡입공(34)과;
    그 흡입관로(32)는 음압을 상기 흡입관로(32)에 가하기 위해 진공펌프와 연결된 호스(36)로 이루어진 이형제 잔량 회수장치(30)가 더 부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제한막(26)은 그 내부 소정부에 잔량으로 누적된 이형제를 증발시키는 가열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장치.
KR1020180069193A 2018-06-15 2018-06-15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205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93A KR102056983B1 (ko) 2018-06-15 2018-06-15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16/972,805 US20210244921A1 (en) 2018-06-15 2019-06-14 Method for Manufacturing Balloon Catheter by Using Heat-Curable Resin and Apparatus Therefor
PCT/KR2019/007219 WO2019240542A1 (ko) 2018-06-15 2019-06-14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01980037566.2A CN112368123B (zh) 2018-06-15 2019-06-14 使用热固性树脂的球囊导管制造方法及其装置
EP19818682.7A EP3808533B1 (en) 2018-06-15 2019-06-14 Method for manufacturing balloon catheter by using heat-curable resin and apparatus therefor
JP2020569004A JP7109598B2 (ja) 2018-06-15 2019-06-14 熱硬化性樹脂を利用したバルーンカテーテル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193A KR102056983B1 (ko) 2018-06-15 2018-06-15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983B1 true KR102056983B1 (ko) 2019-12-17

Family

ID=6884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193A KR102056983B1 (ko) 2018-06-15 2018-06-15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44921A1 (ko)
EP (1) EP3808533B1 (ko)
JP (1) JP7109598B2 (ko)
KR (1) KR102056983B1 (ko)
CN (1) CN112368123B (ko)
WO (1) WO2019240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0778B (zh) * 2020-07-03 2022-04-11 貝斯美德股份有限公司 氣囊導管之製備方法及其所製成之氣囊導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340B1 (ko) * 2015-04-02 2015-06-09 이윤호 일체형 도뇨관 풍선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2384A (en) * 1977-11-09 1980-09-16 Biomedical Engineering Associates, Inc. Catheter
JP2617314B2 (ja) * 1987-07-02 1997-06-04 小峰ゴム工業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スプレー装置
FR2673110B1 (fr) * 1991-02-25 1998-10-16 Synthelabo Procede de realisation d'un catheter a ballonnet, et catheter obtenu.
AU9458398A (en) * 1997-10-08 1999-04-27 Kaneka Corporation Balloon catheter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EP1029658A4 (en) * 1997-11-07 2004-09-08 Ube Nitto Kasei Co HOLLOW FIBER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PPARATUS THEREFOR
KR100333264B1 (ko) 1999-06-03 2002-04-24 이근호 발룬 카테테르의 제조방법
KR100434720B1 (ko) 2001-01-03 2004-06-07 이근호 발룬 카테테르의 제조방법
KR100689238B1 (ko) * 2005-06-17 2007-03-02 이근호 발룬 카테테르 제조장치 및 그 방법
JP6066931B2 (ja) * 2011-02-25 2017-01-25 マイクロベン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補強された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20170104205A1 (en) 2014-07-22 2017-04-13 Zeon Corporation Composite particles for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electrochemic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articles for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KR101666944B1 (ko) * 2015-05-06 2016-10-17 주식회사 노아닉스 약물용출풍선 카테터의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KR102377002B1 (ko) 2016-01-27 2022-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340B1 (ko) * 2015-04-02 2015-06-09 이윤호 일체형 도뇨관 풍선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68123B (zh) 2022-07-12
CN112368123A (zh) 2021-02-12
JP2021526427A (ja) 2021-10-07
EP3808533A1 (en) 2021-04-21
JP7109598B2 (ja) 2022-07-29
EP3808533A4 (en) 2022-03-16
EP3808533B1 (en) 2023-09-06
WO2019240542A1 (ko) 2019-12-19
US20210244921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2191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US5305740A (en) Sealing means for endotracheal tubes
US7670540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alloon catheter and method the same
KR102056983B1 (ko)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20170065781A1 (en) Tracheostomy tube assemblies, inner cannulae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170173286A1 (en) Tracheostomy tube assemblies, inner cannulae and methods of making inner cannulae
KR101527340B1 (ko) 일체형 도뇨관 풍선 제조방법
GB2187670A (en) Manufacture of catheters
US6929766B2 (en) Dispense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nnulae
KR102168072B1 (ko)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US3458611A (en) Method of making smooth bore reinforced hose
JP2529462B2 (ja) 医療用チュ―ブの製造方法
JP2017169654A (ja) 医療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医療用チューブ
JPH03199034A (ja) 曲がりホースの製造方法
JP2017169663A (ja) 医療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18174660A1 (ko) 벌룬 카테라 제조방법
WO2019013577A1 (ko) 벌룬 카테타 제조방법
JP3810900B2 (ja) 中空パイプの製造方法
JP2010179106A (ja) 外シースを備えた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上にカフ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6718265B2 (ja) 医療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6621692B2 (ja) 医療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S60120040A (ja) 合成樹脂製ホ−スの製造方法
JP2017169653A (ja) 医療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H03199033A (ja) 曲がりホースの製造方法
JPS5824432A (ja) 耳付きゴム弾性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