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990B1 - 스텐트 및 의료 기기 - Google Patents

스텐트 및 의료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990B1
KR102055990B1 KR1020177033301A KR20177033301A KR102055990B1 KR 102055990 B1 KR102055990 B1 KR 102055990B1 KR 1020177033301 A KR1020177033301 A KR 1020177033301A KR 20177033301 A KR20177033301 A KR 20177033301A KR 102055990 B1 KR102055990 B1 KR 10205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mesh
mesh structure
wire rod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086A (ko
Inventor
에이이치 나카노
후미아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52Two or more distinct overlappin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5Stomach, intest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변형 특성을 유지하면서, 그물눈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스텐트 등을 제공한다. 스텐트(1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선재(선재(W1))를 사용하여 형성된 제1 그물눈형 구조체(그물눈형 구조체(111))와, 제1 선재와 교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선재(선재(W2))를 사용하여 형성된 제2 그물눈형 구조체(그물눈형 구조체(1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서는, 제1 선재끼리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연결부(C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선재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스텐트 및 의료 기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소화관 등의 체내의 관형 기관에 적용되는 스텐트, 및 그러한 스텐트를 구비한 의료 기기에 관한 것이다.
소화관에 적용(유치)되는 스텐트(소화관 스텐트)는, 종양에 의해 협착된 소화관의 내강을 밀어 열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선재를 사용한 그물눈형 구조를 갖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표 제2009-501049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스텐트의 유치 후에, 종양의 성장에 수반하여, 스텐트의 그물눈(선재끼리의 간극)으로부터 종양이 소화관의 내강으로 침입하여, 재협착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재협착이 발생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스텐트의 그물눈은 가능한 한 작게(미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소화관 스텐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변형 특성(추종성, 직경 축소성, 직경 확장력 등)이 양호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1) 소화관의 만곡 형상에 추종하는 특성(추종성)
(2) 딜리버리 시스(스텐트를 환부까지 운반할 때 사용되는 시스)에 삽입할 때의 직경 축소성
(3) 소화관의 협착부(치료 대상의 부위)를 밀어 벌리는 직경 확장력
따라서, 스텐트의 그물눈을 작게 함으로써, 변형 특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스텐트의 변형 특성을 유지하면서, 스텐트의 그물눈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안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변형 특성을 유지하면서 그물눈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스텐트, 및 그러한 스텐트를 구비한 의료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스텐트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제1 그물눈형 구조체와, 제1 선재와 교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 대해 짜 넣어져 있는 제2 그물눈형 구조체를 구비한 것이다.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서는, 제1 선재끼리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선재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제2 그물눈형 구조체가, 이 스텐트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원주 방향 단위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연결」이란, 하나의 선재에 있어서의 굴곡부와, 다른 선재에 있어서의 굴곡부 또는 다른 선재끼리의 교차부가, 서로 걸쳐져 있는(걸림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의료 기기는, 통형 부재와, 이 통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본 발명의 스텐트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텐트 및 의료 기기에서는,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 추가하여 제2 그물눈형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스텐트 전체의 그물눈이 작아진다(미세해진다). 또한,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 있어서, 제1 선재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는(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2 선재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2 그물눈형 구조체의 추가에 수반하는 연결부의 개수 증가가 회피된다.
본 발명의 스텐트 및 의료 기기에서는,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가 복수의 제1 단위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그물눈형 구조체가 복수의 제2 단위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해도 된다.
즉, 제2 단위 구조에 있어서의 스텐트의 축 방향을 따른 길이가, 제1 단위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 이상으로 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제1 방법). 이와 같이 한 경우, 예를 들어 이하의 제2 방법의 경우와 비교하여, 적은 수의 제2 단위 구조에 의해, 스텐트 전체에 있어서의 제1 단위 구조를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스텐트 전체에 있어서의 제2 선재의 굴곡부의 개수가 적어진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딜리버리 시스 등으로부터 스텐트를 인발할 때, 스텐트에 있어서의 각 굴곡부와 딜리버리 시스 등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걸림)이 감소하고, 딜리버리 시스 등으로부터 스텐트를 인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텐트 전체에 있어서의 굴곡부의 총수가 적어진다는 점에서, 스텐트의 변형 특성(직경 축소성 등)도 향상된다.
혹은, 반대로, 제2 단위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가, 제1 단위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 미만으로 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제2 방법). 이와 같이 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한 제1 방법의 경우와 비교하여, 스텐트 전체에 있어서의 제2 선재의 굴곡부의 개수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제1 선재의 연결부의 형성 위치와 어긋난 위치에 이 굴곡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스텐트의 변형 특성(추종성, 직경 축소성 등)이 유지된다. 또한, 제2 단위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축 방향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점에서, 스텐트의 그물눈이 더 작아진다. 그 결과, 스텐트의 유치 후에 있어서의 종양의 침입에 의한 재협착이, 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구조가, 각각, 제2 그물눈형 구조체에 의해 4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제2 그물눈형 구조체(제2 선재)에 의한 제1 단위 구조에 대한 분할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텐트의 그물눈이 작아져 간다는 점에서, 스텐트의 유치 후에 있어서의 종양의 침입에 의한 재협착이, 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단위 구조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연결부의 주위에 있어서의 제2 단위 구조의 개수가 적어진다는 점에서, 스텐트의 변형 특성(추종성, 직경 축소성 등)이 향상된다.
혹은,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 모두가, 제2 단위 구조에 의해 둘러싸여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스텐트 전체의 그물눈이 더 작아지기 때문에, 스텐트의 유치 후에 있어서의 종양의 침입에 의한 재협착이, 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스텐트 및 의료 기기에 따르면,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 추가하여 제2 그물눈형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2 선재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스텐트 전체의 그물눈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제2 그물눈형 구조체의 추가에 수반하는 연결부의 개수 증가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의 변형 특성을 유지하면서, 스텐트의 그물눈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텐트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3은, 비교예 1에 관한 스텐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 2에 관한 스텐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 1에 관한 스텐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 2에 관한 스텐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 3에 관한 스텐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4에 관한 스텐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 5에 관한 스텐트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10은, 적용예에 관한 의료 기기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 형태(제1 단위 구조의 축 방향의 길이<제2 단위 구조의 축 방향의 길이인 예)
2. 변형예
변형예 1(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단위 구조를 추가 배치시킨 경우의 예)
변형예 2(제1 단위 구조의 축 방향의 길이=제2 단위 구조의 축 방향의 길이인 예)
변형예 3(제1 단위 구조의 축 방향의 길이>제2 단위 구조의 축 방향의 길이인 예)
변형예 4(변형예 3에 있어서 제2 단위 구조를 추가 배치시킨 경우의 예)
변형예 5(다른 구성예의 제1 그물눈형 구조체를 사용한 경우의 예)
3. 적용예(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의 스텐트를 의료 기기에 적용한 경우의 예)
4. 그 밖의 변형예
<1. 실시 형태>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의 개략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스텐트(11)는, 예를 들어 소화관 등의 체내의 관형 기관에 적용되는 기구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양에 의해 협착된 소화관의 내강을 밀어 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텐트(11)는, 치료 대상의 부위(예를 들어 대장 등의 소화관 내)에 유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텐트(1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통형(원통형)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스텐트(11)의 축 방향(Z)을 따른 길이는, 예를 들어 3 내지 20cm 정도이다. 또한, 스텐트(11)의 확장 시의 외경(원주 방향(R)을 따른 길이)은, 예를 들어 10 내지 50mm 정도이다.
스텐트(11)는, 선재(소선; 후술하는 2종류의 선재(W1, W2))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통형(원통형) 구조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통형 구조가 그물눈형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러한 통형의 그물눈형 구조가,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선재를 짜 넣음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텐트(11)에 있어서의 그물눈형 구조(선재의 짜 넣기 패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2).
여기서, 상기한 선재(후술하는 선재(W1, W2))의 재료로서는, 금속 선재가 바람직하며, 특히 열처리에 의한 형상 기억 효과나 초탄성이 부여되는, 형상 기억 합금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단, 용도에 따라서는, 선재의 재료로서, 스테인리스, 탄탈륨(Ta), 티타늄(Ti), 백금(Pt), 금(Au), 텅스텐(W) 등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한 형상 기억 합금으로서는, 예를 들어 니켈(Ni)-Ti 합금, 구리(Cu)-아연(Zn)-X(X=알루미늄(Al), 철(Fe) 등) 합금, Ni-Ti-X(X=Fe, Cu, 바나듐(V), 코발트(Co) 등) 합금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선재로서,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금속 선재의 표면에 Au, Pt 등을 도금 등의 수단으로 피복한 것, 혹은 Au, Pt 등의 방사선 불투과성 소재를 포함하는 코어재를 합금으로 덮은 복합적인 선재를, 선재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상세 구성]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한 스텐트(11)의 상세 구성예(상기한 그물눈형 구조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스텐트(11)의 상세 구성예를 모식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1에 도시한 축 방향(Z) 및 원주 방향(R)의 각 방향을 따라 도시하고 있다.
이 스텐트(11)는,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Z) 및 원주 방향(R)의 각각을 따라 연장되는 2차원적인 구조체인, 2종류의 그물눈형 구조체(111, 112)를 갖고 있다. 그물눈형 구조체(11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재(W1)(이 예에서는 하나의 선재(W1))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물눈형 구조체(112)는, 선재(W1)와 교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재(W2)(이 예에서는 하나의 선재(W2))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재(W1, W2)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선재」 및 「제2 선재」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그물눈형 구조체(111, 112)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그물눈형 구조체」 및 「제2 그물눈형 구조체」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그물눈형 구조체(111)는, 직선부 및 굴곡부(b1)를 포함하여 파형 형상을 이루는 선재(W1)가, 그 직선부에 있어서 교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서는, 선재(W1)의 직선부끼리 교차하는 부분인 교차부(선재 교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그물눈형 구조체(112)는, 직선부 및 굴곡부(b2)를 포함하여 파형 형상을 이루는 선재(W2)가, 그 직선부에 있어서 교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그물눈형 구조체(112)에 있어서도, 선재(W2)의 직선부끼리 교차하는 부분인 교차부(선재 교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물눈형 구조체(112)는, 선재(W2)의 직선부와 선재(W1)의 직선부가 교차함으로써,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대하여 짜 넣어져 있다.
또한, 그물눈형 구조체(1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Z) 및 원주 방향(R)의 각각을 따라 배열되어 2차원 배치된, 복수의 단위 구조(U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그물눈형 구조체(112)는, 축 방향(Z) 및 원주 방향(R)의 각각을 따라 배열되어 2차원 배치된, 복수의 단위 구조(U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구조(U1, U2)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단위 구조」 및 「제2 단위 구조」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각 단위 구조(U1)는, 이 예에서는, 2개의 선재(W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단위 구조(U1)는, 축 방향(Z)을 장축 방향으로 함과 함께 원주 방향(R)을 단축 방향으로 하고, 2개의 굴곡부(b1)와 2개의 선재 교차부(상기한 선재(W1)끼리의 교차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후술하는, 단위 구조(U1)에 있어서의 축 방향(Z)을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L1))는, 각 선재(W1)의 파고(전술한 파형 형상에 있어서의 축 방향(Z)의 길이)와 일치하고 있다.
한편, 각 단위 구조(U2)는, 이 예에서는, 2개의 선재(W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단위 구조(U2)는, 축 방향(Z)을 장축 방향으로 함과 함께 원주 방향(R)을 단축 방향으로 하고, 2개의 굴곡부(b2)와 2개의 선재 교차부(상기한 선재(W2)끼리의 교차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후술하는,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축 방향(Z)을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L2))는, 각 선재(W2)의 파고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대략 마름모형 형상은, 또한 대략 마름모형 형상을 포함하는 4개의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단위 구조(U1, U2)는, 축 방향(Z) 및 원주 방향(R)의 각각을 따라 서로 어긋난 위치로 되도록 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중첩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각 단위 구조(U1)가, 그물눈형 구조체(112)(2개의 선재(W2))에 의해 4개 이상(이 예에서는 주로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있어서, 선재(W1)끼리 굴곡부(b1)에 있어서 서로 연결(걸림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연결부(C1)(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그물눈형 구조체(111)는, 직선부 및 굴곡부(b1)를 포함하여 파형 형상을 이루는 선재(W1)를 원주 방향(R)을 따라 진행시켜 형성한 그물눈 패턴이, 축 방향(Z)을 따라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선재(W2)끼리는, 서로 교차되어 있기는 하지만, 굴곡부(b2)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상기한 연결부(C1)와 같은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
또한,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C1)의 적어도 일부는, 단위 구조(U2)(선재(W2))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C1)가, 단위 구조(U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연결부(C11)(제1 연결부)와, 단위 구조(U2)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연결부(C12)(제2 연결부)의 2종류의 연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구조(U1)에 있어서의 축 방향(Z)을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L1))와,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축 방향(Z)을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L2))의 사이의 대소 관계가,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즉,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2)가, 단위 구조(U1)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1) 이상으로 되어 있고(L2≥L1),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 방향 길이(L2)가 축 방향 길이(L1)보다 크게 되어 있다(L2>L1).
또한, 이 예에서는, 축 방향 길이(L1)는, 예를 들어 8 내지 24mm 정도이고, 축 방향 길이(L2)는, 예를 들어 8 내지 200mm 정도이다. 또한, 축 방향 길이(L1)에 대한 축 방향 길이(L2)의 비율((L2/L1)×100)의 수치 범위로서는, 100 내지 5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 방향 길이(L2)는, 스텐트(11)의 축 방향(Z)을 따른 길이와 동일해도 된다.
[작용ㆍ효과]
(A. 기본 동작)
이 스텐트(11)는, 환자에 있어서의 소화관 부근의 종양 등의 치료 시에, 그 치료 대상의 부위(예를 들어 대장 등의 소화관 내)에 유치됨으로써, 종양에 의해 협착된 소화관의 내강을 밀어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으로는, 우선, 소정의 딜리버리 시스 내에 스텐트(11)가 직경 축소된 상태로 삽입되고, 이 딜리버리 시스가 소화관 내에 삽입됨으로써, 스텐트(11)가 환부 부근까지 운반된다. 그리고, 스텐트(11)가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전개되어 직경 확장됨으로써, 스텐트(11)가 환부(치료 대상의 부위)에 유치되게 된다.
(B. 스텐트(11)의 그물눈형 구조에 대하여)
이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스텐트(11)의 그물눈형 구조에 의한 작용ㆍ효과에 대하여, 비교예(비교예 1, 2)와 비교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B-1. 비교예 1)
도 3은, 비교예 1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00))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비교예 1의 스텐트(100)는, 도 2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와는 달리, 1종류의 선재(W1)만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스텐트(100)에서는, 선재(W1)를 사용한 그물눈형 구조체(111)만이 형성되어 있고, 선재(W2)를 사용한 그물눈형 구조체(112)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이러한 소화관용 스텐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이하와 같은 재협착이 발생해 버리는 케이스가 있다. 즉, 이 소화관용 스텐트의 유치 후에, 전술한 환부 부근의 종양의 성장에 수반하여, 스텐트의 그물눈(선재끼리의 간극)으로부터 종양이 소화관의 내강으로 침입하여, 재협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재협착이 발생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 3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텐트의 그물눈은 가능한 한 작게(미세하게) 하는, 즉 스텐트의 그물눈형 구조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이 예에서는 단위 구조(U1))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B-2. 비교예 2)
한편, 도 4는, 비교예 2에 관한 스텐트(스텐트(200))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비교예 2의 스텐트(200)는, 도 2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와 마찬가지로, 2종류의 선재(W1, W2)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스텐트(200)에서는, 선재(W1)를 사용한 그물눈형 구조체(111)와, 선재(W102)를 사용한 그물눈형 구조체(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그물눈형 구조체(102)는, 도 4 중의 화살표(P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의 패턴을, 원주 방향(R)을 따라 반피치(단위 구조(U1)의 원주 방향(R)의 길이의 절반)만큼 어긋나게 배치한 것에 상당한다. 또한, 이 선재(W102)에는, 도 2에 도시한 선재(W2)와 마찬가지로, 직선부 및 굴곡부(b102)를 갖고 있다.
단, 이 그물눈형 구조체(102)에서는, 도 2에 도시한 그물눈형 구조체(112)와는 달리, 선재(W102)끼리 굴곡부(b102)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부(C10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비교예 2의 스텐트(200)에는, 선재(W1)끼리에 의한 연결부(C1)와, 선재(W102)끼리에 의한 연결부(C10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200)에서는, 2종류의 그물눈형 구조체(111, 102)가 서로 어긋난 배치로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U1)가, 그물눈형 구조체(102)(2개의 선재(W102))에 의해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즉, 이 스텐트(200)에서는, 상기 비교예 1의 스텐트(100)와 비교하여, 그물눈형 구조체(102)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만큼, 스텐트(200) 전체의 그물눈이 보다 작게(미세하게)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소화관용 스텐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변형 특성(추종성, 직경 축소성, 직경 확장력 등)이 양호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1) 소화관의 만곡 형상에 추종하는 특성(추종성)
(2) 전술한 딜리버리 시스에 삽입할 때의 직경 축소성
(3) 소화관의 협착부(치료 대상의 부위)를 밀어 벌리는 직경 확장력
또한, 일반적으로, 연결부가 설치되면 선재의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스텐트를 만곡시켰을 때 그 만곡에 반발하는 힘이 연결부에 발생하고, 추종성이 손상된다. 또한, 선재에 있어서의 굴곡부끼리 걸림 결합함으로써 연결부가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 연결부 부근에는 선재가 집중되게 되므로, 연결부가 스텐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배치되면, 직경 축소성도 손상되게 된다.
여기서, 이 스텐트(200)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Z)의 동일 위치에 있어서, 원주 방향(R)을 따라 형성된 연결부(연결부(C1, C102))의 개수가, 연결부(C102)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만큼, 스텐트(100)와 비교하여 증가(이 예에서는 2배로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스텐트(200)에서는, 그 그물눈이 작게 되어 있음으로써, 전술한 재협착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한편, 연결부의 개수 증가에 기인하여, 스텐트(100)와 비교하여 그 변형 특성(예를 들어, 상기한 추종성이나 직경 축소성 등)이 저하되어 버리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비교예 1, 2의 스텐트(100, 200)에서는, 그 변형 특성을 유지하면서, 스텐트(100, 200)의 그물눈을 작게 하여 전술한 재협착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B-3. 본 실시 형태)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W1)를 사용한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추가하여, 선재(W2)를 사용한 그물눈형 구조체(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텐트(11)에서는, 상기 비교예 2의 스텐트(200)와 마찬가지로,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U1)가, 그물눈형 구조체(112)(2개의 선재(W2))에 의해 주로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즉, 이 스텐트(11)에서는, 상기 비교예 1의 스텐트(100)와 비교하여, 그물눈형 구조체(112)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만큼, 스텐트(11) 전체의 그물눈이 보다 작아진다(미세해진다).
또한, 이 스텐트(1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있어서, 선재(W1)끼리 굴곡부(b1)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연결부(C1)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선재(W2)끼리는, 굴곡부(b2)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즉, 선재(W2)끼리는 서로 교차되어 있기는 하지만, 선재(W1)끼리에 의한 연결부(C1)와 같은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스텐트(11)에서는, 상기 비교예 2의 스텐트(200)와는 달리, 그물눈형 구조체(112)의 추가에 수반하는 연결부의 개수 증가가 회피된다. 그 결과, 이 스텐트(11)에서는, 그물눈형 구조체(112)에 있어서의 선재(W2)가 움직이는(변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스텐트(11)를 만곡시켰을 때, 그 만곡에 대하여 반발하는 힘이 발생하기 어려워짐과 함께, 원주 방향(R)을 따라 배치되는 연결부의 개수가 적어진다.
또한, 이 스텐트(1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구조(U1)에 있어서의 축 방향(Z)을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L1))와,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축 방향(Z)을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L2))의 사이의 대소 관계가,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즉,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2)가, 단위 구조(U1)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1) 이상으로 되어 있고(L2≥L1),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 방향 길이(L2)가 축 방향 길이(L1)보다 크게 되어 있다(L2>L1). 이에 의해 스텐트(11)에서는, 반대로, 축 방향 길이(L2)가 축 방향 길이(L1)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경우(L2<L1: 예를 들어 후술하는 변형예 3, 4에 상당)와 비교하여,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적은 수의 단위 구조(U2)에 의해, 스텐트(11) 전체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U1)를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스텐트(11) 전체에 있어서의 선재(W2)의 굴곡부(b2)의 개수가 적어진다. 그 결과, 전술한 딜리버리 시스로부터 스텐트(11)를 인발할 때, 스텐트(11)에 있어서의 각 굴곡부(b1, b2)와 딜리버리 시스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걸림)이 감소하고, 딜리버리 시스로부터 스텐트(11)를 인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텐트(11) 전체에 있어서의 굴곡부(b1, b2)의 총수가 적어진다는 점에서, 스텐트(11)의 변형 특성(직경 축소성 등)도 향상된다.
더불어,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각 단위 구조(U1)가, 그물눈형 구조체(112)에 의해 4개 이상(이 예에서는 주로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그물눈형 구조체(112)(선재(W2))에 의한 단위 구조(U1)에 대한 분할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텐트(11)의 그물눈이 작아져 간다는 점에서, 스텐트(11)의 유치 후에 있어서의 종양의 침입에 의한 재협착이, 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C1)의 적어도 일부는, 단위 구조(U2)(선재(W2))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다. 즉, 이 예에서는 연결부(C1)가, 단위 구조(U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연결부(C11)와, 단위 구조(U2)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연결부(C12)의 2종류의 연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C1)의 주위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U2)의 개수가 적어진다는 점에서, 스텐트(11)의 변형 특성(추종성, 직경 축소성 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텐트(11)에 있어서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추가하여 그물눈형 구조체(112)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선재(W2)끼리 굴곡부(b2)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스텐트(11) 전체의 그물눈을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그물눈형 구조체(112)의 추가에 수반하는 연결부의 개수 증가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11)의 변형 특성을 유지하면서, 스텐트(11)의 그물눈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스텐트(11)의 유치 후에 있어서의 종양의 침입에 의한 재협착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변형예>
이어서,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변형예 1 내지 5)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변형예 1 내지 5에서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스텐트의 다른 구성예(그물눈형 구조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변형예 1 내지 5에 있어서,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1]
도 5는, 변형예 1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A))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스텐트(11A)는, 도 2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에 있어서, 그물눈형 구조체(112)에 있어서의 선재(W2)의 배치 패턴을 변경한 것에 대응하고 있으며,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C1)의 적어도 일부가, 단위 구조(U2)(선재(W2))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았다. 이에 비해, 본 변형예의 스텐트(11A)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C1) 모두가, 단위 구조(U2)(선재(W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즉, 이 스텐트(11A)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C1)가, 단위 구조(U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연결부(C11)에 의해서만 구성되어 있고, 단위 구조(U2)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연결부(C12)(도 2 참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모든 연결부(C1)의 주위에 단위 구조(U2)가 배치되게 되도록 그물눈형 구조체(112)가 구성되어 있음으로써(선재(W2)가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스텐트(11A) 전체의 그물눈이 더 작아지는 결과, 스텐트(11A)의 유치 후에 있어서의 종양의 침입에 의한 재협착을, 더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2]
도 6은, 변형예 2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B))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스텐트(11B)는, 도 5에 도시한 변형예 1의 스텐트(11A)에 있어서, 그물눈형 구조체(112)에 있어서의 선재(W2)의 배치 패턴을 변경한 것에 대응하고 있으며,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의 스텐트(11, 11A)에서는, 각각, 도 2,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2)가, 단위 구조(U1)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1)보다 크게 되어 있었다(L2>L1). 이에 비해, 본 변형예의 스텐트(11B)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2)가, 단위 구조(U1)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1)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L2=L1). 이것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U2)가, 이제까지 예시해 온 각 단위 구조(U2)(4개의 대략 마름모형 형상의 영역이 병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대략 마름모형 형상)와는 달리, 3개의 대략 마름모형 형상의 영역이 병렬 배치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변형예 1과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3]
도 7은, 변형예 3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C))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스텐트(11C)는, 도 2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에 있어서, 그물눈형 구조체(112)에 있어서의 선재(W2)의 배치 패턴을 변경한 것에 대응하고 있으며,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2의 스텐트(11, 11A, 11B)에서는, 각각, 도 2,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2)가, 단위 구조(U1)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1) 이상으로 되어 있었다(L2≥L1). 이에 비해, 본 변형예의 스텐트(11C)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2)가, 단위 구조(U1)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1) 미만으로 되어 있다(L2<L1). 이것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U2)가, 이제까지 예시해 온 각 단위 구조(U2)(3개 또는 4개의 대략 마름모형 형상의 영역이 병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형상)와는 달리, 하나의 대략 마름모형 형상만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축 방향 길이(L2)는, 예를 들어 2 내지 23mm 정도이고, 축 방향 길이(L1)에 대한 축 방향 길이(L2)의 비율((L2/L1)×100)의 수치 범위로서는, 25 내지 9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2의 스텐트(11, 11A, 11B)와 비교하여,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스텐트(11C) 전체에 있어서의 선재(W2)의 굴곡부(b2)의 개수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선재(W1)의 연결부(C1)의 형성 위치와 어긋난 위치에 이 굴곡부(b2)가 배치되기 때문에, 스텐트(11C)의 변형 특성(추종성, 직경 축소성 등)이 유지된다. 또한, 단위 구조(U2)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2)가 짧아진다는 점에서, 스텐트(11C)의 그물눈이 더 작아진다. 그 결과, 스텐트(11C)의 유치 후에 있어서의 종양의 침입에 의한 재협착을, 더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4]
도 8은, 변형예 4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D))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스텐트(11D)는, 도 7에 도시한 변형예 3의 스텐트(11C)에 있어서, 그물눈형 구조체(112)에 있어서의 선재(W2)의 배치 패턴을 변경한 것에 대응하고 있으며,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변형예 3의 스텐트(11C)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C1) 모두(각 연결부(C12))가, 단위 구조(U2)(선재(W2))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았다. 이에 비해, 본 변형예의 스텐트(11D)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변형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C1) 모두가, 단위 구조(U2)(선재(W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즉, 이 스텐트(11D)에서는, 연결부(C1)가, 단위 구조(U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연결부(C11)에 의해서만 구성되어 있고, 단위 구조(U2)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연결부(C12)(도 7 참조)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이 스텐트(11D)에서는, 도 7에 도시한 스텐트(11C)에 대하여, 도 8 중의 화살표(P2)로 나타낸 라인에 위치하는 단위 구조(U2)(편의상, 파선으로 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변형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스텐트(11D) 전체의 그물눈이 더 작아지는 결과, 스텐트(11D)의 유치 후에 있어서의 종양의 침입에 의한 재협착을, 더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변형예 5]
도 9는, 변형예 5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E))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스텐트(11E)는, 이제까지 설명해 온 스텐트(11, 11A 내지 11D)에 있어서,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있어서의 선재의 배치 패턴을 변경한 것에 대응하고 있으며,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로 된다. 즉, 본 변형예의 스텐트(11E)는, 이하에 설명하는 본 변형예의 그물눈형 구조체(111)와,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대응하는 그물눈형 구조체(112)를 갖고 있다.
본 변형예의 그물눈형 구조체(111)는,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부 및 굴곡부(b1)를 포함하여 파형 형상을 이루는 선재(W11(W11a, W11b), W12(W12a, W12b), W13(W13a, W13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재(W11a)와 선재(W11b)가, 그들 직선부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선재 교차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선재(W13a)와 선재(W13b)가, 그들 직선부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선재 교차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선재(W12a)와 선재(W12b)가, 그들 직선부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선재 교차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선재(W11(W11a, W11b), W12(W12a, W12b), W13(W13a, W13b))는, 각각,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선재」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그물눈형 구조체(111)에서는, 선재(W11a, W11b)끼리의 교차부(선재 교차부)와, 선재(W12a) 또는 선재(W12b)의 굴곡부(b1)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부(C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재(W13a, W13b)끼리의 교차부(선재 교차부)와, 선재(W12a) 또는 선재(W12b)의 굴곡부(b1)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부(C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재(W12a, W12b)끼리의 교차부(선재 교차부)와, 선재(W11a, W13a) 또는 선재(W11b, W13b)의 굴곡부(b1)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부(C1)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그물눈형 구조체(111)는, 직선부 및 굴곡부(b1)를 포함하여 파형 형상을 이루는 선재(W11, W12, W13)를 원주 방향(R)을 따라 진행시켜 형성한 그물눈 패턴이, 축 방향(Z)을 따라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재(W11a)에 있어서의 굴곡부(b1)와, 선재(W13a)에 있어서의 굴곡부(b1)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선재(W11b)에 있어서의 굴곡부(b1)와, 선재(W13b)에 있어서의 굴곡부(b1)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9 중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선재(W2)끼리는 서로 교차되어 있기는 하지만,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상기한 연결부(C1)와 같은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U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선재(선재(W11a, W11b, W12a, W12b, W13a, W13b))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단위 구조(U1)는, 축 방향(Z)을 장축 방향으로 함과 함께 원주 방향(R)을 단축 방향으로 하고, 2개의 굴곡부(b1)와 2개의 선재 교차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단위 구조(U1)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L1)는, 각 선재(W11, W12, W13)의 파고와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4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3. 적용예>
이어서, 상기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5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 11A 내지 11E)), 의료 기기에 대한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적용예에 관한 의료 기기(의료 기기(1))의 개략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의료 기기(1)는, 스텐트(11, 11A 내지 11E) 중 어느 하나와, 이하에 설명하는 통형 부재(12)를 구비하고 있고, 이제까지 설명한 스텐트(11, 11A 내지 11E)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소화관 등의 체내의 관형 기관에 적용되는 기기이다.
(통형 부재(12))
통형 부재(12)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스텐트(11)(11A 내지 11E)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통형 부재(12)가 스텐트(11)(11A 내지 11E)의 외주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통형 부재(12)는, 예를 들어 재봉이나 접착, 용착 등의 수단에 의해 스텐트(11)(11A 내지 11E)에 연결되어 있고, 이 스텐트(11)(11A 내지 11E)를 피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통형 부재(12)와 스텐트(11)(11A 내지 11E)의 연결부는, 예를 들어 스텐트(11)(11A 내지 11E)의 양단부나 중간부 등에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예에서는, 통형 부재(12)의 축 방향(Z)을 따른 모든 영역에, 스텐트(11)(11A 내지 11E)가 배치되어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통형 부재(12)의 축 방향(Z)을 따른 일부의 영역에만, 스텐트(11)(11A 내지 11E)가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즉, 의료 기기(1)가 그 축 방향(Z)을 따라, 스텐트(11)(11A 내지 11E)가 배치된 영역(스텐트 배치 영역)과, 스텐트(11)(11A 내지 11E)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스텐트 비배치 영역)을 갖고 있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통형 부재(12)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 성형이나 블로우 성형 등의 성형 방법으로 통형으로 형성한 것, 통형으로 형성한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나 극세의 금속선을 포함하는 편직물, 통형으로 형성한 열가소성 수지나 극세의 금속을 포함하는 부직포, 통형으로 형성한 가요성 수지의 시트나 다공질 시트, 용제에 용해된 수지를 일렉트로 스피닝법에 의해 박육의 통형으로 형성한 구조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편직물로서는, 평직, 능직 등의 공지된 편물이나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림프 가공 등의 주름이 잡힌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중, 특히 원통형으로 형성한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의 편직물, 나아가 통형으로 형성한 열가소성 수지의 섬유의 평직의 직물이, 강도나 유공도, 생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불화에틸렌이나 폴리불화프로필렌 등의 불소 수지 등, 내구성 및 조직 반응이 적은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특히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내구성이 크고, 또한 조직 반응이 적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불화에틸렌이나 폴리불화프로필렌 등의 불소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적용예의 의료 기기(1)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5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4. 그 밖의 변형예>
이상, 실시 형태, 변형예 및 적용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설명한 각 부재의 형상이나 배치 위치, 사이즈, 개수, 재료 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이나 배치 위치, 사이즈, 개수, 재료 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형 부재가, 스텐트의 내주측을 덮고 있거나, 스텐트의 내주측 및 외주측의 양쪽을 덮고 있거나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텐트에 있어서의 각 선재의 배치 형상(짜 넣기 패턴)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배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적용예에서는, 의료 기기 내에 하나의 스텐트만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의료 기기 내에 2개 이상의 스텐트가 개별적으로(예를 들어, 축 방향(Z)을 따라 서로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주로, 대장 등의 소화관에 대한 치료에 적용되는 스텐트 및 의료 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스텐트 및 의료 기기는, 각각, 대장 이외의 다른 소화관이나, 소화관 이외의 다른 체내의 관형 기관에 대한 치료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소정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스텐트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제1 그물눈형 구조체와,
    상기 제1 선재와 교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 대해 짜 넣어져 있는 제2 그물눈형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서는, 상기 제1 선재끼리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선재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2 그물눈형 구조체가, 상기 스텐트의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원주 방향 단위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는, 복수의 제1 단위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그물눈형 구조체는, 복수의 제2 단위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단위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가, 상기 제1 단위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 이상인,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는, 복수의 제1 단위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그물눈형 구조체는, 복수의 제2 단위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단위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가, 상기 제1 단위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 미만인, 스텐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구조가, 각각, 상기 제2 그물눈형 구조체에 의해 4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스텐트.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단위 구조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스텐트.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연결부 모두가, 상기 제2 단위 구조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스텐트.
  7. 통형 부재와,
    상기 통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텐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텐트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제1 그물눈형 구조체와,
    상기 제1 선재와 교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 대해 짜 넣어져 있는 제2 그물눈형 구조체를 갖고,
    상기 제1 그물눈형 구조체에서는, 상기 제1 선재끼리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선재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2 그물눈형 구조체가, 상기 스텐트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원주 방향 단위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KR1020177033301A 2015-09-03 2016-04-04 스텐트 및 의료 기기 KR102055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3619 2015-09-03
JP2015173619A JP6470150B2 (ja) 2015-09-03 2015-09-03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PCT/JP2016/061023 WO2017038145A1 (ja) 2015-09-03 2016-04-04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086A KR20170139086A (ko) 2017-12-18
KR102055990B1 true KR102055990B1 (ko) 2019-12-13

Family

ID=5818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301A KR102055990B1 (ko) 2015-09-03 2016-04-04 스텐트 및 의료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70150B2 (ko)
KR (1) KR102055990B1 (ko)
WO (1) WO20170381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48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이중 구조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9540B2 (en) 2011-01-14 2017-12-12 W. L. Gore & Associates, Inc. Stent
US9283072B2 (en) 2012-07-25 2016-03-15 W. L. Gore & Associates, Inc. Everting transcatheter valve and methods
US9931193B2 (en) 2012-11-13 2018-04-03 W. L. Gore & Associates, Inc. Elastic stent graft
US9968443B2 (en) 2012-12-19 2018-05-15 W. L. Gore & Associates, Inc. Vertical coaptation zone in a planar portion of prosthetic heart valve leaflet
US9101469B2 (en) 2012-12-19 2015-08-11 W. L. Gore & Associates, Inc. Prosthetic heart valve with leaflet shelving
US9144492B2 (en) 2012-12-19 2015-09-29 W. L. Gore & Associates, Inc. Truncated leaflet for prosthetic heart valves, preformed valve
US10842918B2 (en) 2013-12-05 2020-11-24 W.L. Gore & Associates, Inc. Length extensible implantable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such devices
US9827094B2 (en) 2014-09-15 2017-11-28 W. L. Gore & Associates, Inc. Prosthetic heart valve with retention elements
JP7248430B2 (ja) 2016-04-21 2023-03-29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直径を調節可能な内部人工器官ならびに関連した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3072814C (en) 2017-09-27 2023-01-03 W.L. Gore & Associates, Inc. Prosthetic valve with expandable fram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00237497A1 (en) * 2017-10-09 2020-07-30 W. L. Gore & Associates, Inc. Matched stent cover
WO2019089136A1 (en) 2017-10-31 2019-05-09 W. L. Gore & Associates, Inc. Medical valve and leaflet promoting tissue ingrowth
JP6850242B2 (ja) * 2017-10-31 2021-03-31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CN109662818A (zh) * 2018-12-12 2019-04-23 常州新区佳森医用支架器械有限公司 食道用柔性支架
US11497601B2 (en) 2019-03-01 2022-11-15 W. L. Gore & Associates, Inc. Telescoping prosthetic valve with retention element
CN113613601A (zh) * 2019-03-28 2021-11-05 株式会社Jms 合成树脂支架
JP7305256B2 (ja) * 2019-07-25 2023-07-1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ステン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6401A1 (en) 2003-05-23 2004-11-25 Taewoong Medical Co., Ltd. Flexible self-expandable st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60271165A1 (en) 2002-12-30 2006-11-30 Yip Philip S Drug-eluting stent cover and method of use
US20130060327A1 (en) 2008-01-10 2013-03-07 Telesis Research, Llc Biodegradable self-expanding prosthesis
JP2014217487A (ja) * 2013-05-02 2014-11-20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テン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020B1 (ko) 2005-07-15 2006-10-11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DE102007025921A1 (de) * 2007-06-02 2008-12-04 Biotronik Vi Patent Ag Medizinisches Implantat, insbesondere Stent
WO2012057587A2 (ko) * 2010-10-29 2012-05-03 메디소스플러스(주) 스텐트와이어, 스텐트와이어 및 스텐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1165A1 (en) 2002-12-30 2006-11-30 Yip Philip S Drug-eluting stent cover and method of use
US20040236401A1 (en) 2003-05-23 2004-11-25 Taewoong Medical Co., Ltd. Flexible self-expandable st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130060327A1 (en) 2008-01-10 2013-03-07 Telesis Research, Llc Biodegradable self-expanding prosthesis
JP2014217487A (ja) * 2013-05-02 2014-11-20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ステ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48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이중 구조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47003A (ja) 2017-03-09
WO2017038145A1 (ja) 2017-03-09
KR20170139086A (ko) 2017-12-18
JP6470150B2 (ja)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990B1 (ko) 스텐트 및 의료 기기
KR102096689B1 (ko) 카테터
JP6470219B2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KR101796430B1 (ko)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
KR20200072567A (ko) 스텐트 그래프트
EP3881800A1 (en) Stent graft having fenestration part
JP4327548B2 (ja) ステント
JP2004049806A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JP4429833B2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4608673B2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KR102442417B1 (ko)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
KR102459751B1 (ko) 스텐트 및 의료 기기
JP6850242B2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CN113613600A (zh) 合成树脂支架及支架递送系统
JP2004049804A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4327573B2 (ja) ステントグラフト
JP4159962B2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7277988B2 (ja) 開窓用部分を有するステントグラフト
CN113367865A (zh) 一种医用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