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751B1 - 스텐트 및 의료 기기 - Google Patents

스텐트 및 의료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751B1
KR102459751B1 KR1020207033962A KR20207033962A KR102459751B1 KR 102459751 B1 KR102459751 B1 KR 102459751B1 KR 1020207033962 A KR1020207033962 A KR 1020207033962A KR 20207033962 A KR20207033962 A KR 20207033962A KR 102459751 B1 KR102459751 B1 KR 102459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end region
axial direction
length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645A (ko
Inventor
에이이치 나카노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4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folded prior to deployment

Abstract

치료 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스텐트 등을 제공한다. 스텐트(1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재 W1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이 스텐트(11)의 축 방향 Z를 따라서 연장되는 통형 구조를 갖는 그물눈형 구조체(1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서는, 축 방향 Z를 따른 양쪽의 단부 영역(단부 영역 Aea, Aeb) 및 비단부 영역 Am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구조(단위 구조 U1, U2)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 U1의 축 방향 Z를 따른 길이인 제1 축 방향 길이(축 방향 길이 L1)와 비교하여, 양쪽의 단부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Z를 따른 길이인 제2 축 방향 길이(축 방향 길이 L2)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텐트 및 의료 기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소화관이나 혈관 등의 체내의 관상 기관에 적용되는 스텐트, 및 그와 같은 스텐트를 구비한, 커버드 스텐트 또는 스텐트 그래프트 등의 의료 기기에 관한 것이다.
소화관에 적용(유치)되는 스텐트(소화관 스텐트)는, 종양에 의해 협착된 소화관의 내강을 밀어 열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스텐트는, 소화관 이외에도, 혈관 등의 체내의 다른 관상 기관에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체내의 관상 기관에 적용되는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선재를 사용한 그물눈형 구조를 갖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표 제2009-501049호 공보
그런데, 이와 같은 스텐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치료 시(상기한 체내의 관상 기관 내에 스텐트를 유치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치료 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스텐트, 및 그와 같은 스텐트를 구비한 의료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이 스텐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형 구조를 갖는 그물눈형 구조체를 구비한 것이다. 이 그물눈형 구조체에서는,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양쪽의 단부 영역 및 비단부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구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인 제1 축 방향 길이와 비교하여, 상기 양쪽의 단부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인 제2 축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 기기는, 통형 부재와, 이 통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 및 의료 기기에서는, 상기 비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축 방향 길이와 비교하여, 상기 양쪽의 단부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상기 제1 축 방향 길이>상기 제2 축 방향 길이).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이 스텐트가 소정의 딜리버리 시스 내에 직경 축소된 상태로 삽입되어, 이 딜리버리 시스가 관상 기관 내의 환부(치료 대상의 부위) 부근까지 운반된 후, 스텐트가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전개되어 직경 확대될 때,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축 방향을 따른 1열분의 단위 구조가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도 상기 비단부 영역과 마찬가지로, 단위 구조가 상기 제1 축 방향 길이를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텐트의 단부 영역이, 조기에 (짧은 돌출 길이로) 직경 확대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 및 의료 기기에서는,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를 갖는 단위 구조의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 열수가, 복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 내에,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를 갖는 단위 구조가 복수열 존재하기 때문에, 이 스텐트가 상기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전개될 때,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 전체로서, 점차(연속적으로) 직경 확대되는 경향이 되기 때문에, 이 스텐트의 단부 영역이, 보다 조기에 직경 확대되기 쉬워지는 결과, 치료 시의 스텐트의 위치 어긋남이 더욱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 및 의료 기기에서는, 상기 그물눈형 구조체에 있어서의 선재의 편조 패턴이, 상기 비단부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서, 서로 다르게 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편조 패턴을, 상기 비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편조 패턴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경 확대되기 쉬운 패턴으로 함으로써, 이 스텐트가 상기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전개될 때, 보다 조기에 직경 확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치료 시의 스텐트의 위치 어긋남이, 더욱 억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 및 의료 기기에서는, 상기 양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방향 길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를 갖는 단위 구조의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 열수와,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의 크기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양쪽의 단부 영역 중 한쪽의 단부 영역과 다른 쪽의 단부 영역에서, 서로 다르게 되어도 된다(서로 비대칭이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스텐트의 특성(전개 프로파일 등)을, 상기 한쪽의 단부 영역과 상기 다른 쪽의 단부 영역에서 서로 다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스텐트의 용도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서, 그 특성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텐트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 및 의료 기기에 의하면, 상기 제1 축 방향 길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예를 들어 이 스텐트가 소정의 딜리버리 시스 내에서 직경 축소된 상태로부터 전개되어 직경 확대될 때, 스텐트의 단부 영역이 조기에 직경 확대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스텐트를 환부(치료 대상의 부위)에 유치할 때, 그 환부에 대하여 스텐트가 신속하게 고정되게 되는 결과, 치료 시의 스텐트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텐트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상세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전개도이다.
도 3은 비교예에 관한 스텐트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전개도이다.
도 4는 변형예 1에 관한 스텐트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전개도이다.
도 5는 변형예 2에 관한 스텐트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전개도이다.
도 6은 변형예 3에 관한 스텐트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전개도이다.
도 7은 변형예 4에 관한 스텐트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전개도이다.
도 8은 적용예에 관한 의료 기기의 개략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 형태(양쪽의 단부 영역의 복수열에 있어서, (L2<L1)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예)
2. 변형예
변형예 1(양쪽의 단부 영역의 1열에 있어서, (L2<L1)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예)
변형예 2(양쪽의 단부 영역끼리에서, 열수나 L2의 크기가 비대칭인 경우의 예)
변형예 3(비단부 영역과 단부 영역에서 선재의 편조 패턴이 다른 경우의 예)
변형예 4(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만, (L2<L1)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예)
3. 적용예(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의 스텐트를 의료 기기에 적용한 경우의 예)
4. 그 밖의 변형예
<1. 실시 형태>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의 개략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스텐트(11)는, 예를 들어 체내의 관상 기관으로서의 소화관에 적용되는 기구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양에 의해 협착된 소화관의 내강을 밀어 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텐트(11)는, 치료 대상의 부위(예를 들어 대장 등의 소화관 내)에 유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스텐트(11)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텐트」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이 스텐트(1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축 방향 Z(Z축 방향)를 따라서 연장되는 통형(원통형)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스텐트(11)는 그 축 방향 Z를 따라서, 양쪽의 단부 영역(단부 영역 Aea, Aeb)과, 비단부 영역 Am(양쪽의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을 갖고 있다(도 1 참조). 또한, 스텐트(11) 전체의 축 방향 Z를 따른 길이는, 예를 들어 3 내지 20㎝ 정도이고, 단부 영역 Aea, Aeb의 길이는, 각각, 예를 들어 3 내지 40㎜ 정도이다. 한편, 스텐트(11)의 확장 시의 외경은, 예를 들어 10 내지 50㎜ 정도이다.
스텐트(11)는,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1종류의 선재 W1(소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통형 구조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통형 구조가 그물눈형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와 같은 통형의 그물눈형 구조가, 소정의 패턴(후술하는 그물눈 패턴)으로 선재 W1을 각각 편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텐트(11)에 있어서의 그물눈형 구조(선재 W1의 편조 패턴)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2).
여기서, 이와 같은 선재 W1의 재료로서는, 금속 선재가 바람직하고, 특히 열처리에 의한 형상 기억 효과나 초탄성이 부여되는, 형상 기억 합금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단, 용도에 따라서는, 선재 W1의 재료로서, 스테인리스, 탄탈(Ta), 티타늄(Ti), 백금(Pt), 금(Au), 텅스텐(W) 등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한 형상 기억 합금으로서는, 예를 들어 니켈(Ni)-Ti 합금, 구리(Cu)-아연(Zn)-X(X=알루미늄(Al), 철(Fe) 등) 합금, Ni-Ti-X(X=Fe, Cu, 바나듐(V), 코발트(Co) 등) 합금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선재 W1로서,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금속 선재의 표면에 Au, Pt 등을 도금 등의 수단으로 피복한 것, 혹은, Au, Pt 등의 방사선 불투과성의 소재를 포함하는 코어재를 합금으로 덮은 복합적인 선재를, 선재 W1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상세 구성]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한 스텐트(11)의 상세 구성예(상기한 그물눈형 구조 등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스텐트(11)에 있어서의 주요부(전술한 단부 영역 Aea, Aeb 부근)의 상세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전개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1에 도시한 축 방향 Z 및 둘레 방향 R의 각 방향을 따라서 나타내고 있다.
이 스텐트(11)에서는,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종류의 그물눈형 구조체(111)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스텐트(11)는, 상기한 선재 W1을 사용하여 형성된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는, 상기한 통형 구조를 구성하고 있고, 스텐트(11)의 축 방향 Z를 따라서(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선재 W1의 선 직경으로서는, 예를 들어 0.18㎜ 정도를 들 수 있다.
그물눈형 구조체(1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부 s1 및 굴곡부 b1을 포함하여 파형 형상(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는 선재 W1이, 그 직선부 s1에 있어서 교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서는, 선재 W1의 직선부 s1끼리가 교차하는 부분인 교차부(선재 교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W1끼리가 굴곡부 b1에 있어서 서로 연결(걸림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연결부 C11(맞걸림부)이 형성되어 있다. 즉, 그물눈형 구조체(111)는, 직선부 s1 및 굴곡부 b1을 포함하여 파형 형상을 이루는 선재 W1을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진행시켜 형성한 그물눈 패턴이, 축 방향 Z를 따라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 열(1열분)의 그물눈 패턴은, 구체적으로는, 선재 W1이 상기한 파형 형상을 이루면서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2회 주위 회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1주째의 루프와 2주째의 루프에서는, 각 열의 그물눈 패턴 내에 있어서, 파형 형상의 위상이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서로 반피치(1/2 피치)분만큼 어긋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열의 그물눈 패턴에 있어서, 상기한 교차부가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병설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교차부에서는, 상기한 1주째의 루프와 2주째의 루프가, 교대로 오르내리도록 하여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선재 W1을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2회 주위 회전시켜, 1열분(N열째)의 그물눈 패턴(N: 1 이상의 정수)이 형성된 후, 2주째의 루프의 단부는,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즉, 다음 열((N+1)열째)의 그물눈 패턴의 형성 위치까지, 축 방향 Z를 따라서 진행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그물눈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N+1)열째의 굴곡부는, N열째의 굴곡부와 서로 연결되도록 짜여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그물눈 패턴이 축 방향 Z를 따라서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그물눈형 구조체(111)가 형성되어, 스텐트(11)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그물눈형 구조체(1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방향 Z 및 둘레 방향 R의 각각을 따라서 나란히 2차원 배치된, 복수의 단위 구조(단위 구조 U1, U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있어서, 전술한 비단부 영역 Am(중간 영역)에서는, 복수의 단위 구조 U1이 2차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전술한 단부 영역 Aea, Aeb에서는 각각, 복수의 단위 구조 U2가 2차원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환언하면, 단부 영역 Aea, Aeb를 구성하는 그물눈 패턴의 각 열은, 단위 구조 U2가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한편, 비단부 영역 Am을 구성하는 그물눈 패턴의 각 열은, 단위 구조 U1이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단위 구조 U1은,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축 방향 Z를 장축 방향으로 함과 함께 둘레 방향 R을 단축 방향으로 하고, 2개의 굴곡부 b1과 2개의 선재 교차부(상기한 선재 W1끼리의 교차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각 단위 구조 U1에 있어서의 축 방향 Z를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 L1)는,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각 선재 W1의 파고(전술한 파형 형상에 있어서의 축 방향 Z의 길이)와, 일치하고 있다(도 2 참조).
각 단위 구조 U2는,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축 방향 Z 및 둘레 방향 R을 각각 축 방향으로 하고, 2개의 굴곡부 b1과 2개의 선재 교차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각 단위 구조 U2에 있어서의 축 방향 Z를 따른 길이(축 방향 길이 L2)는,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의 각 선재 W1의 파고와, 일치하고 있다(도 2 참조).
또한,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의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 이와 같은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가, 축 방향 Z를 따라서, 복수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즉, 이들 단부 영역 Aea, Aeb에는 각각, 단위 구조 U2에 있어서의 축 방향 Z를 따른 열수가, 복수(이 예에서는 2열씩)로 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상기한 축 방향 길이 L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축 방향 길이」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축 방향 길이 L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축 방향 길이」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에 있어서의 그물눈형 구조체(111)에서는, 이와 같은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 U1의 축 방향 길이 L1과,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길이 L2 사이의 대소 관계가,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 L1과 비교하여,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 L2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 즉, (축 방향 길이 L2<축 방향 길이 L1)이라는 대소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스텐트(11)에서는, 단부 영역 Aea, Aeb를 구성하는 그물눈 패턴과, 비단부 영역 Am을 구성하는 그물눈 패턴에서, 파고값이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단부 영역 Am을 구성하는 그물눈 패턴에 있어서의 파고값은, 단부 영역 Aea, Aeb를 구성하는 그물눈 패턴에 있어서의 파고값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축 방향 길이 L1은, 예를 들어 8 내지 24㎜ 정도이고, 축 방향 길이 L2는, 예를 들어 1 내지 18㎜ 정도이다. 또한, 축 방향 길이 L1에 대한 축 방향 길이 L2의 비율((L2/L1)×100)의 수치 범위로서는, 예를 들어 12.5 내지 7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이다.
[작용·효과]
(A. 기본 동작)
이 스텐트(11)는, 환자에 있어서의 소화관 부근의 종양 등의 치료 시에, 그 치료 대상의 부위(예를 들어 대장 등의 소화관 내)에 유치됨으로써, 종양에 의해 협착된 소화관의 내강을 밀어 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구체적으로는 먼저, 소정의 딜리버리 시스 내에 스텐트(11)가 직경 축소된 상태로 삽입되고, 이 딜리버리 시스가 소화관 내에 삽입됨으로써, 스텐트(11)가 환부 부근까지 운반된다. 그리고, 스텐트(11)가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전개되어 직경 확대됨으로써, 스텐트(11)가 환부(치료 대상의 부위)에 유치되게 된다.
(B. 스텐트(11)에 있어서의 작용·효과)
다음에, 도 1, 도 2에 더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스텐트(11)에 있어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비교예와 비교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B-1. 비교예)
도 3은 비교예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00))에 있어서의 주요부(단부 영역 Aea, Aeb 부근)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전개도로 나타낸 것이며, 축 방향 Z 및 둘레 방향 R의 각 방향을 따라서 나타내고 있다.
이 비교예의 스텐트(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W1을 사용하여 형성된 그물눈형 구조체(10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비교예의 그물눈형 구조체(101)에서는, 양쪽의 단부 영역 Aea, Aeb에 대해서도, 본 실시 형태의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있어서의 비단부 영역 Am을 구성하는 그물눈 패턴(도 2 참조)에 의해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본 실시 형태의 그물눈형 구조체(111)와는 다르다. 즉, 이 그물눈형 구조체(101)의 전체에 있어서, 1종류의 단위 구조 U1만이, 2차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물눈형 구조체(101)에서는, 이들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단위 구조 U1)의 축 방향 길이와,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단위 구조 U1)의 축 방향 길이는, 모두 L1로 되어 있다(도 3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의 비교예의 스텐트(100)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딜리버리 시스 내에 직경 축소된 상태로 삽입되어, 이 딜리버리 시스가 소화관 내의 환부 부근까지 운반된 후,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전개되어 직경 확대될 때,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이 스텐트(100)(그물눈형 구조체(101))에서는, 단부 영역 Aea, Aeb(및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 U1의 축 방향 길이 L1이 길기 때문에, 단부 영역(단부 영역 Aea 또는 단부 영역 Aeb)이 직경 확대될(원래의 직경으로 되돌아갈) 때까지의 돌출 길이가, 길어져 버린다. 따라서, 축 방향 Z를 따른 1열분의 단위 구조 U1이,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 시간을 요하게 된다.
여기서, 이 비교예의 스텐트(100)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축 방향 Z를 따른 1열분의 단위 구조 U1이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 시간을 요하는 요인에 대하여, 이하의 문제점 (A), (B)를 예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열째, 2열째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N열째, (N+1)열째로서 일반화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것을 말할 수 있다.
(A) 1열째가 돌출되기 시작하였을 때
단부 영역(단부 영역 Aea 또는 단부 영역 Aeb) 내에 있어서의 1열째(최단열째)가,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전개되어 직경 확대될 때, 이 1열째가 돌출되기 시작해도,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 U1의 일부가, 딜리버리 시스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1열째는, 충분히는 직경 확대될 수 없게 된다.
(B) 1열째의 전영역이 돌출되고, 2열째는 아직 수납되어 있을 때
단부 영역 내에 있어서의 1열째의 전영역이,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2열째는 아직 딜리버리 시스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이 경우, 1열째에 있어서의 원위단은, 직경 확대되어 원래의 직경으로 되돌아가는 한편, 1열째에 있어서의 근위단은, 2열째에 있어서의 원위단의 직경과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원래의 직경으로는 되돌아가지 않는다(1열째의 전영역이 돌출된 단계에서는, 1열째에 있어서의 근위단의 직경은, 딜리버리 시스의 내경과 동일해진다). 이것은, 1열째에 있어서의 근위측의 굴곡부 b1과, 2열째에 있어서의 원위측의 굴곡부 b1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연결되어 있기(맞걸려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이 경우, 1열째에 있어서의 근위단은 충분히는 직경 확대되지 않고, 1열째가 비스듬히 직경 확대되는 상태(테이퍼 상태)가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하여 비교예의 스텐트(100)에서는, 그 단부 영역이 충분히 직경 확대될 때까지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이 스텐트(100)를 환부에 유치할 때(치료 시), 그 환부에 대하여 스텐트(100)가 충분히 고정될 때까지, 시간이 걸려 버린다. 그 결과, 이 비교예에서는, 스텐트(100)의 유치 위치에 어긋남(위치 어긋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비교예에서는, 스텐트(100)의 유치 후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이하의 문제점 (C)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할 수 있다.
(C) 스텐트(100)의 유치 후
일반적으로, 치료 대상이 되는 협착부에 대하여 스텐트를 유치하는 경우에는, 그 협착부에 걸치도록 하여, 스텐트가 유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협착부의 양측에 각각, 소정의 길이(예를 들어 2㎝ 이상)의 스텐트가 유치되어 있도록 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유치 시의 지연 등에 의해, 스텐트(100)의 유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나, 스텐트(100)의 유치 후에 위치 어긋남(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한 경우, 이하와 같이 된다. 즉, 딜리버리 시스가 협착부로 변경된 것만으로, 예를 들어 1열째의 일부가 종양에 의해 눌려 직경 축소된 경우, 상기 문제점 (A)와 마찬가지의 상황이 되어 버리고, 예를 들어 2열째의 일부가 종양에 의해 눌려 직경 축소된 경우, 상기 문제점 (B)와 마찬가지의 상황이 되어 버린다.
또한, 이와 같은 비교예와 반대로, 단부 영역 Aea, Aeb 및 비단부 영역 Am 모두, 단위 구조 U2를 사용하여 구성한 경우(단위 구조의 축 방향 길이를, 모두 L2로 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와 비교하여, 굴곡부 b1의 수나, 굴곡부 b1끼리의 연결부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스텐트에 있어서의 직경 축소성이 저하되거나, 딜리버리 시스로부터 스텐트를 빼낼 때의 저항이 커져 버릴 우려가 있다고 할 수 있다.
(B-2. 본 실시 형태)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 U1의 축 방향 길이 L1과 비교하여,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길이 L2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축 방향 길이 L2<축 방향 길이 L1).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텐트(11)가 소정의 딜리버리 시스 내에 직경 축소된 상태로 삽입되어, 이 딜리버리 시스가 소화관 내의 환부 부근까지 운반된 후, 스텐트(11)가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전개되어 직경 확대될 때, 이하와 같이 된다.
즉,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 축 방향 길이 L2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축 방향 Z를 따른 1열분의 단위 구조 U2가,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의 시간(돌출되는 부분의 스텐트(11)의 길이)이, 상기 비교예의 경우(단부 영역 Aea, Aeb가 단위 구조 U1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비교예와 같이,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도 비단부 영역 Am과 마찬가지로, 단위 구조(단위 구조 U1)가 축 방향 길이 L1(>축 방향 길이 L2)을 갖는 경우(도 3 참조)와 비교하여, 이하와 같이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비교예 등과 비교하여, 스텐트(11)의 단부 영역(단부 영역 Aea 또는 단부 영역 Aeb)이 조기에(짧은 돌출 길이로) 직경 확대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스텐트(11)가 딜리버리 시스 내에서 직경 축소된 상태로부터 전개되어 직경 확대될 때, 스텐트(11)의 단부 영역이, 조기에 직경 확대되기 쉬워지는(원래의 직경으로 조기에 되돌아가기 쉬워지는) 결과,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스텐트(11)의 단부 영역이 조기에 직경 확대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스텐트(11)를 환부에 유치할 때, 그 환부에 대하여 스텐트(11)가 신속하게 고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부 영역 내에 있어서의 1열째(최단열째)의 축 방향 길이 L2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전술한 문제점 (A)가 발생할 우려를 피할 수 있는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환부에 대하여 스텐트(11)가 신속하게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비교예 등과 비교하여, 치료 시의 스텐트(11)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텐트(11)의 단부 영역이 조기에 직경 확대되기 쉬워지기(원래의 직경으로 조기에 되돌아가 쉬워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효과도 얻어진다.
즉, 먼저,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직경 확대된 부분에, 치료 대상이 되는 협착부를 걸어 유치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유치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만약, 짧은 돌출 길이로 직경 확대할 수 없으면,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우려가 발생하는 것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우려를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짧은 돌출 길이로 직경 확대할 수 없으면, 예를 들어 협착부로부터 어긋난 경우(유치 미스나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한 경우 등)나, 의사에 의한 스텐트 사이즈의 선택 미스 등에 의해 짧은 돌출 길이로 되어 버린 경우 등에, 스텐트의 단부 영역이 직경 확대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 축 방향 길이 L2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예 등과는 달리, 전술한 문제점 (C)가 발생할 우려도, 피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에서는, 양쪽의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 축 방향 길이 L2가 축 방향 길이 L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문제점 (C)가 발생할 우려를 피할 수 있는 것은, 이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Z를 따른 열수가, 복수(2열씩)로 되어 있도록 하였으므로(도 2 참조), 이하와 같이 된다. 즉, 단부 영역 Aea, Aeb 내에서는,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가 복수열 존재하기 때문에, 스텐트(11)가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전개될 때, 단부 영역(단부 영역 Aea 또는 단부 영역 Aeb) 전체로서, 점차(연속적으로) 직경 확대되는 경향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먼저, 단부 영역 내에 있어서의 1열째(최단열째)의 전영역이,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2열째가 딜리버리 시스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이 경우, 1열째에 있어서의 원위단은, 직경 확대되어 원래의 직경으로 되돌아가는 한편, 1열째에 있어서의 근위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2열째에 있어서의 원위단의 직경과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원래의 직경으로는 되돌아가지 않는다. 다음에, 이 2열째가 돌출되는 것에 따라서, 1열째에 있어서의 근위단도 직경 확대되어 가고, 2열째의 전영역이 돌출되면, 이 2열째에 있어서의 원위단이 원래의 직경으로 되돌아감과 함께, 1열째에 있어서의 근위단도, 원래의 직경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단부 영역 내에 있어서의 1열째(최단열째)의 축 방향 길이 L2에 더하여, 2열째의 축 방향 길이 L2도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전술한 문제점 (B)가 발생할 우려도 피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1열째에 있어서의 근위단이 충분히는 직경 확대되지 않고 1열째가 비스듬히 직경 확대되어 버리는 상태(테이퍼 상태)를 피할 수 있어, 1열째의 근위단측도 신속하게 직경 확대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도 설명의 편의상, 1열째, 2열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N열째, (N+1)열째로서 일반화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것을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의 복수열(적어도 2열)을, 축 방향 길이 L2(상대적으로 작은 파고값)를 갖는 단위 구조 U2로 함으로써, 스텐트(11)의 단부 영역이, 보다 조기에 직경 확대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치료 시의 스텐트(11)의 위치 어긋남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변형예>
계속해서,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변형예 1 내지 4)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변형예 1 내지 4에 있어서,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1]
도 4는 변형예 1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A))에 있어서의 주요부(단부 영역 Aea, Aeb 부근)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전개도로 나타낸 것이며, 축 방향 Z 및 둘레 방향 R의 각 방향을 따라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변형예 1의 스텐트(11A)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텐트」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이 스텐트(11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W1을 사용하여 형성된 그물눈형 구조체(111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A)는, 실시 형태의 그물눈형 구조체(111)(도 2 참조)에 있어서, 각 단부 영역 Aea, Aeb 내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 U2의 열수를 변경한 것에 대응하고 있고,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A)에 있어서의 단부 영역 Aea, Aeb에서는,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Z를 따른 열수가, 1개(1열씩)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A)에 있어서의 단부 영역 Aea, Aeb에서는, 단위 구조 U2가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된 그물눈 패턴이, 1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변형예의 스텐트(11A)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2]
도 5는 변형예 2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B))에 있어서의 주요부(단부 영역 Aea, Aeb 부근)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전개도로 나타낸 것이며, 축 방향 Z 및 둘레 방향 R의 각 방향을 따라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변형예 2의 스텐트(11B)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텐트」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이 스텐트(11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W1을 사용하여 형성된 그물눈형 구조체(11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B)는, 실시 형태의 그물눈형 구조체(111)(도 2 참조)에 있어서, 단부 영역 Aeb 내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 U2의 열수를 변경한 것에 대응하고 있고,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B)에 있어서의 단부 영역 Aeb에서는,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Z를 따른 열수가, 1개(1열)로 되어 있다. 한편, 단부 영역 Aea에서는, 그물눈형 구조체(1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Z를 따른 열수가, 2개(2열)로 되어 있다(도 5 참조). 즉,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B)에서는,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Z를 따른 열수가, 한쪽의 단부 영역 Aea와 다른 쪽의 단부 영역 Aeb에서, 서로 다르다(서로 비대칭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물눈형 구조체(111B)에서는, 단위 구조 U2가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된 그물눈 패턴이, 단부 영역 Aea에 있어서는 2열 형성되고, 단부 영역 Aeb에 있어서는 1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변형예의 스텐트(11B)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본 변형예의 스텐트(11B)에서는,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Z를 따른 열수가, 한쪽의 단부 영역 Aea와 다른 쪽의 단부 영역 Aeb에서, 서로 다르도록 하였으므로,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이 스텐트(11B)의 특성(전개 프로파일 등)을, 한쪽의 단부 영역 Aea와 다른 쪽의 단부 영역 Aeb에서 서로 다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스텐트(11B)의 용도나 사용 상황 등에 따라서, 그 특성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텐트(11B)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한쪽의 단부 영역 Aea와 다른 쪽의 단부 영역 Aeb에서,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의 열수가, 서로 다른(서로 비대칭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되어 있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한쪽의 단부 영역 Aea와 다른 쪽의 단부 영역 Aeb에서, 축 방향 길이 L2의 크기(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한쪽의 단부 영역 Aea와 다른 쪽의 단부 영역 Aeb에서,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의 열수, 및 축 방향 길이 L2의 크기의 양쪽이, 서로 다르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3]
도 6은 변형예 3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C))에 있어서의 주요부(단부 영역 Aea, Aeb 부근)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전개도로 나타낸 것이며, 축 방향 Z 및 둘레 방향 R의 각 방향을 따라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변형예 3의 스텐트(11C)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텐트」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이 스텐트(11C)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W1을 사용하여 형성된 그물눈형 구조체(11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C)는, 실시 형태의 그물눈형 구조체(111)(도 2 참조)에 있어서,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선재 W1의 편조 패턴을 변경한 것에 대응하고 있고,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한편, 각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의 선재 W1의 편조 패턴은, 그물눈형 구조체(111)에 있어서의 전술한 편조 패턴과,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도 6 참조). 즉,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C)에서는, 선재 W1의 편조 패턴이, 비단부 영역 Am과 단부 영역 Aea, Aeb에서, 서로 다르다.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편조 패턴의 구성예)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변형예의 그물눈형 구조체(111C)에 있어서의, 비단부 영역 Am에서의 편조 패턴의 구성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C)에 있어서의 비단부 영역 Am에서의 편조 패턴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부 s1 및 굴곡부 b1을 포함하여 파형 형상을 이루는, 선재 W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비단부 영역 Am에서의 편조 패턴은, 단부 영역 Aea측의 1열째 내지 3열째에 있어서의 편조 패턴에 대하여 예시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이 단부 영역 Aea측의 1열째 내지 3열째에 있어서의 편조 패턴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W11a, W11b끼리의 교차와, 선재 W12a, W12b끼리의 교차와, 선재 W13a, W13b끼리의 교차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W11a와 선재 W11b가, 그것들의 직선부 s1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선재 교차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선재 W13a와 선재 W13b가, 그것들의 직선부 s1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선재 W12a와 선재 W12b가, 그것들의 직선부 s1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W11a, W11b끼리의 교차부(선재 교차부)와, 선재 W12a 또는 선재 W12b의 굴곡부 b1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부 C12가 형성되어 있다. 선재 W13a, W13b끼리의 교차부(선재 교차부)와, 선재 W12a 또는 선재 W12b의 굴곡부 b1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부 C14가 형성되어 있다. 선재 W12a, W12b끼리의 교차부(선재 교차부)와, 선재 W11a, W13a의 굴곡부 b1, 또는, 선재 W11b, W13b의 굴곡부 b1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부 C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비단부 영역 Am에서의 편조 패턴은, 직선부 s1 및 굴곡부 b1을 포함하여 파형 형상을 이루는 선재 W1(상기한 선재 W11a, W11b, W12a, W12b, W13a, W13b 등)을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진행시켜 형성한 그물눈 패턴이, 축 방향 Z를 따라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재 W11a에 있어서의 굴곡부 b1과, 선재 W13a에 있어서의 굴곡부 b1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선재 W11b에 있어서의 굴곡부 b1과, 선재 W13b에 있어서의 굴곡부 b1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 U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선재 W1(선재 W11a, W11b, W12a, W12b, W13a, W13b 등)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단위 구조 U1은, 축 방향 Z를 장축 방향과 함과 함께 둘레 방향 R을 단축 방향으로 하고, 2개의 굴곡부 b1과 2개의 선재 교차부를 정점으로 하는,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각 단위 구조 U1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 L1은,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각 선재 W11a, W11b, W12a, W12b, W13a, W13b의 파고와, 일치하고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본 변형예의 스텐트(11C)에 있어서의 그물눈형 구조체(111C)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 U1의 축 방향 길이 L1과,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의 각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길이 L2 사이의 대소 관계가,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 L1과 비교하여,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의 축 방향 길이 L2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 즉, (축 방향 길이 L2<축 방향 길이 L1)이라는 대소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되어 있다.
(작용·효과)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변형예의 스텐트(11C)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본 변형예의 스텐트(11C)에서는, 그물눈형 구조체(111C)에 있어서의 선재 W1의 편조 패턴이, 비단부 영역 Am과 단부 영역 Aea, Aeb에서, 서로 다르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하와 같이 된다.
즉, 먼저,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C)에 있어서의 비단부 영역 Am에서의 편조 패턴에서는, 그물눈형 구조체(111, 111A, 111B)에 있어서의 비단부 영역 Am에서의 편조 패턴과 비교하여, 스텐트(스텐트(11C))에 있어서의 직경 확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스텐트(11C)에서는, 비단부 영역 Am에서의 직경 확대력을 향상시키면서, 단부 영역 Aea, Aeb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전개될 때 조기에 직경 확대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의 편조 패턴을, 비단부 영역 Am에 있어서의 편조 패턴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경 확대되기 쉬운 패턴으로 함으로써, 이 스텐트(11C)가 딜리버리 시스 내로부터 전개될 때, 보다 조기에 직경 확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변형예의 스텐트(11C)에서는, 전술한 치료 시의 위치 어긋남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4]
도 7은 변형예 4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D))에 있어서의 주요부(단부 영역 Aea, Aeb 부근)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전개도로 나타낸 것이며, 축 방향 Z 및 둘레 방향 R의 각 방향을 따라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변형예 4의 스텐트(11D)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텐트」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이 스텐트(11D)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 W1을 사용하여 형성된 그물눈형 구조체(111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D)는, 실시 형태의 그물눈형 구조체(111)(도 2 참조)에 있어서, 단부 영역 Aeb 내에 있어서의 단위 구조 U2를 단위 구조 U1로 변경한 것에 대응하고 있고, 다른 구성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눈형 구조체(111D)에 있어서의 단부 영역 Aeb는, 축 방향 길이 L1을 갖는 단위 구조 U1이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된 그물눈 패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이 스텐트(11D)의 그물눈형 구조체(111D)에 있어서는, Aeb를 구성하는 그물눈 패턴은, 비단부 영역 Am을 구성하는 그물눈 패턴과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한편, 단부 영역 Aea에서는, 그물눈형 구조체(1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Z를 따른 열수가, 2개(2열)로 되어 있다(도 7 참조). 즉, 이 그물눈형 구조체(111D)에서는,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가 둘레 방향 R을 따라서 복수개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된 그물눈 패턴은, 한쪽의 단부 영역 Aea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의 스텐트(11D)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스텐트(11, 11A 내지 11C)와는 달리, 이하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스텐트(11D)에 있어서의 양쪽의 단부 영역 Aea, Aeb 중, 한쪽의 단부 영역에서만, 축 방향 길이 L2가 축 방향 길이 L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L2<L1)을 만족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변형예의 스텐트(11D)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의 스텐트(11)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3. 적용예>
계속해서, 상기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4에 관한 스텐트(스텐트(11, 11A 내지 11D))의, 의료 기기에 대한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적용예에 관한 의료 기기(의료 기기(1))의 개략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의료 기기(1)는, 상기한 스텐트(11, 11A, 11B, 11C, 11D) 중 어느 것과, 이하 설명하는 통형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의료 기기(1)는, 예를 들어 소화관이나 혈관 등의 체내의 관상 기관에 적용되는 기기이다. 구체적으로는, 의료 기기(1)는, 예를 들어 커버드 스텐트나, 대동맥 해리의 처치용 등으로 혈관에 적응되는 스텐트 그래프트 등의, 의료 기기이다.
(통형 부재(12))
통형 부재(1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스텐트[11(11A 내지 11D)] 중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피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통형 부재(12)가 스텐트[11(11A 내지 11D)]의 외주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통형 부재(12)는, 예를 들어 봉착이나 접착, 용착 등의 수단에 의해 스텐트[11(11A 내지 11D)]에 연결되어 있고, 이 스텐트[11(11A 내지 11D)]를 피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통형 부재(12)와 스텐트[11(11A 내지 11D)]의 연결부는, 예를 들어 스텐트[11(11A 내지 11D)]에 있어서의 단부 영역 Aea, Aeb나 비단부 영역 Am(중간 영역) 등에, 적절히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이 도 8의 예에서는, 통형 부재(12)의 축 방향 Z를 따른 모든 영역(단부 영역 Aea, Aeb 및 비단부 영역 Am)에, 스텐트[11(11A 내지 11D)]가 배치되어 있다. 단, 이 예에 한하지는 않고, 통형 부재(12)의 축 방향 Z를 따른 일부의 영역에만, 스텐트[11(11A 내지 11D)]가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즉, 의료 기기(1)가 그 축 방향 Z를 따라서, 스텐트[11(11A 내지 11D)]가 배치된 영역(스텐트 배치 영역)과, 스텐트[11(11A 내지 11D)]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스텐트 비배치 영역)을 갖고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통형 부재(12)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를 압출 성형이나 블로우 성형 등의 성형 방법으로 통형으로 형성한 것, 통형으로 형성한 수지제 섬유나 극세의 금속선을 포함하는 편직물, 통형으로 형성한 수지나 극세의 금속을 포함하는 부직포, 통형으로 형성한 수지제 시트나 다공질 시트, 용제에 용해된 수지를 사용하여 박육의 통형으로 형성한 구조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편직물로서는, 평직, 능직 등의 공지의 편물이나 직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림프 가공 등의 주름이 잡힌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비닐 수지, 폴리불화에틸렌이나 폴리불화프로필렌 등의 불소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실리콘 수지, 천연 고무 등, 내구성 및 조직 반응이 적은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특히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내구성이 크며, 또한 조직 반응이 적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불화에틸렌이나 폴리불화프로필렌 등의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적용예의 의료 기기(1)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4와 마찬가지의 작용에 의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대동맥류나 대동맥 해리의 처치용 등으로 혈관에 적용되는 스텐트 그래프트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와 같은 혈관에 적용되는 스텐트 그래프트에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유치 시에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없어, 목적의 부위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케이스가 있다. 또한, 마이그레이션에 의해, 유치한 부위로부터, 스텐트 그래프트가 이동해 버리는 케이스가 있다. 그렇게 되면, 혹 내에 혈액이 유입되어 파열되거나, 또한 위강 내에 혈액이 유입되어, 혈관의 외막까지 찢어져, 출혈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들의 점에서, 본 적용예의 의료 기기(1)와 같이, 치료 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은, 임상상의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4. 그 밖의 변형예>
이상, 실시 형태, 변형예 및 적용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설명한 각 부재의 형상이나 배치 위치, 사이즈, 개수, 재료 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이나 배치 위치, 사이즈, 개수, 재료 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단부 영역 Aea, Aeb에 있어서, 축 방향 길이 L2를 갖는 단위 구조 U2의 축 방향 Z를 따른 열수가, 1개(1열) 또는 2개(2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예에 한하지는 않는다. 즉, 이와 같은 열수가, 스텐트 전체의 길이나, 축 방향 길이 L2의 길이에 따라서, 1 내지 10열 정도여도 된다. 또한, 통형 부재가, 스텐트의 내주측을 덮고 있거나, 스텐트의 내주측 및 외주측의 양쪽을 덮고 있거나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텐트에 있어서의 각 선재의 배치 형상(편조 패턴)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로 든 것에 한하지는 않고, 다른 배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적용예에서는, 의료 기기 내에 1개의 스텐트만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는 않고, 의료 기기 내에 2개 이상의 스텐트가 개별로(예를 들어, 축 방향 Z를 따라서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게다가,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1종류의 선재(소선)를 사용하여 스텐트를 구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경우에 한하지는 않는다. 즉, 예를 들어 선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2종류 이상)의 선재(소선)를 사용하여, 스텐트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등에서는, 주로, 대장 등의 소화관에 대한 치료에 적용되는 스텐트 및 의료 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스텐트 및 의료 기기는 각각, 대장 이외의 다른 소화관이나, 예를 들어 대동맥 등의 혈관 등의 소화관 이외의 체내의 관상 기관에 대한 치료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체내의 관상 기관에 적용되는 스텐트이며,
    동일한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형 구조를 갖는 그물눈형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그물눈형 구조체에서는,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양쪽의 단부 영역 및 비단부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선재를 사용하여 구성된 복수의 단위 구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비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단위 구조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인 제1 축 방향 길이와 비교하여, 상기 양쪽의 단부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단위 구조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인 제2 축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고,
    상기 그물눈형 구조체에 있어서의 상기 선재의 편조 패턴이, 상기 비단부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서, 서로 다르게 되어 있고,
    상기 비단부 영역에서 상기 편조 패턴이 추가됨에 따라, 상기 비단부 영역의 상기 편조 패턴에서의 상기 선재의 배치 밀도가,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의 상기 편조 패턴에서의 상기 선재의 배치 밀도와 비교하여 높게 되어 있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를 갖는 상기 단위 구조의,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 열수가, 복수인 스텐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부 영역의 상기 단위 구조에서의 상기 축 방향과 직교하는 둘레 방향에 따른 길이인 제1 둘레 방향 길이와,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의 상기 단위 구조에서의 상기 둘레 방향에 따른 길이인 제2 둘레 방향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는 스텐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방향 길이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를 갖는 상기 단위 구조의, 상기 축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 열수와, 상기 제2 축 방향 길이의 크기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양쪽의 단부 영역 중 한쪽의 단부 영역과 다른 쪽의 단부 영역에서, 서로 다르게 되어 있는 스텐트.
  5. 통형 부재와,
    상기 통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텐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텐트는,
    동일한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형 구조를 갖는 그물눈형 구조체를 갖고 있고,
    상기 그물눈형 구조체에서는,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양쪽의 단부 영역 및 비단부 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선재를 사용하여 구성된 복수의 단위 구조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상기 비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단위 구조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인 제1 축 방향 길이와 비교하여, 상기 양쪽의 단부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단위 구조의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길이인 제2 축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있고,
    상기 그물눈형 구조체에 있어서의 상기 선재의 편조 패턴이, 상기 비단부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에서, 서로 다르게 되어 있고,
    상기 비단부 영역에서 상기 편조 패턴이 추가됨에 따라, 상기 비단부 영역의 상기 편조 패턴에서의 상기 선재의 배치 밀도가,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단부 영역의 상기 편조 패턴에서의 상기 선재의 배치 밀도와 비교하여 높게 되어 있는 의료 기기.
KR1020207033962A 2018-09-21 2018-09-21 스텐트 및 의료 기기 KR102459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4958 WO2020059101A1 (ja) 2018-09-21 2018-09-21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45A KR20210002645A (ko) 2021-01-08
KR102459751B1 true KR102459751B1 (ko) 2022-10-28

Family

ID=6988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962A KR102459751B1 (ko) 2018-09-21 2018-09-21 스텐트 및 의료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85526B2 (ko)
KR (1) KR102459751B1 (ko)
WO (1) WO202005910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6755A1 (en) 2006-04-20 2009-12-10 Site Specific Therap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fluid flow through body passages
JP2012523922A (ja) * 2004-05-25 2012-10-11 タイコ ヘルスケア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動脈瘤のための血管内ステント留置術
JP2016508833A (ja) * 2013-03-08 2016-03-24 リムフロウ・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体内通路を通る流体の流れを提供又は維持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8365C2 (de) * 1980-05-14 1983-07-14 Ernst Michalke GmbH & Co, 8901 Langweid Falschdralltexturiermaschine
KR100633020B1 (ko) 2005-07-15 2006-10-11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스텐트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1810057B1 (ko) * 2016-05-12 2017-12-18 주식회사 엠아이텍 자극에 기인한 조직 과성장 방지용 스텐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3922A (ja) * 2004-05-25 2012-10-11 タイコ ヘルスケア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動脈瘤のための血管内ステント留置術
US20090306755A1 (en) 2006-04-20 2009-12-10 Site Specific Therapi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fluid flow through body passages
JP2016508833A (ja) * 2013-03-08 2016-03-24 リムフロウ・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体内通路を通る流体の流れを提供又は維持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85526B2 (ja) 2021-12-22
KR20210002645A (ko) 2021-01-08
JPWO2020059101A1 (ja) 2021-03-11
WO2020059101A1 (ja)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0150B2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EP1813224B1 (en) Self-expandable shape memory alloy st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8495605B (zh) 支架和医疗机器
CN113329716A (zh) 不透射线的血管假体
KR102459751B1 (ko) 스텐트 및 의료 기기
JP2004049806A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JP6850242B2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JP4327548B2 (ja) ステント
JP4429833B2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7063570B2 (ja) 拡張用カテーテル
JP6892623B2 (ja) ステント
JP2005211292A (ja) 管状器官の治療具
JP2004049804A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4608672B2 (ja) ステント付きグラフト
JP4327573B2 (ja) ステントグラフト
JP6931134B2 (ja)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4159962B2 (ja) ステント及びステントグラフト
JP7277988B2 (ja) 開窓用部分を有するステントグラフト
JP6955679B2 (ja) ステント
JP2003000723A (ja) ステントグラ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