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830B1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1830B1 KR102051830B1 KR1020190054390A KR20190054390A KR102051830B1 KR 102051830 B1 KR102051830 B1 KR 102051830B1 KR 1020190054390 A KR1020190054390 A KR 1020190054390A KR 20190054390 A KR20190054390 A KR 20190054390A KR 102051830 B1 KR102051830 B1 KR 1020518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olefin resin
- weight
- film
- fatty acid
- aci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resins or resin ac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복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식품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필름에 점착성을 부여하고, 방담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식품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복합 점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필름에 점착성을 부여하고, 방담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식품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복합 점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복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식품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필름에 점착성을 부여하고, 방담성이 우수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식품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복합 점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폴리염화비닐을 이용한 식품포장 필름, 구체적으로 랩(wrap)의 재활용의 어려움, 소각 시 염소가스 발생에 의한 인체 유해 문제가 큰 이슈가 되면서 폴리염화비닐 랩의 사용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폴리염화비닐 랩의 기능성을 갖는 안정한 소재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폴리올레핀 랩이 개발되었으나 점착성이 폴리염화비닐 랩에 비하여 부족하므로 액상을 포장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4425268호(1984.01.10)에는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텐, 폴리테르펜류, 비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점착부여제를 사용함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이소부텐은 점도가 높아 취급 및 작업 용이성이 떨어져 필름 제조를 위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점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마스터배치 칩 간의 뭉침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올레핀계 필름의 점착성 및 방담성을 부여할 수 있는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므로 마스터배치 제조가 용이하며, 필름 내에서 마이그레이션이 적게 발생하는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내구성 및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내한성, 점착성 및 방담성이 우수하여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 사용 가능하며, 액상을 포장하는데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정 성분들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기계적인 강도를 유지하면서 점착성 및 방담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B)디아실글리세롤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내한성이 우수하고, 점착성 및 방담성이 우수하며, 필름 내에서 마이그레이션이 적게 발생하는 물성을 모두 만족하는 놀라운 효과를 발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B)디아실글리세롤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B)디아실글리세롤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복합 점착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상용성 및 혼화성이 우수하여 마스터배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마이그레이션이 적게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점착성 및 방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포장용 필름’은 일반적으로 식품 포장을 위하여 사용하는 랩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필름 또는 시트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B)디아실글리세롤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다.
일 양태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1 ~ 5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30 ~ 80 중량%, (B)디아실글리세롤 10 ~ 30 중량%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및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반응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아비에트산과 펜타에리트리톨 및 글리세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알콜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산가가 3 ~ 8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B)디아실글리세롤은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과 글리세롤을 촉매 존재 하에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천연오일은 채종유, 대두유 및 야자유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등이며, 상기 (B)디아실글리세롤의 산가가 0.1 ~ 12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폴리글리세린과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산가가 0.1 ~ 12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일 양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일 양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제조한 식품포장용 필름이다.
일 양태로, 상기 필름은 점착력이 0.2 N/25mm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B)디아실글리세롤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복합 점착제 조성물이다.
일 양태로,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30 ~ 80 중량%, (B)디아실글리세롤 10 ~ 30 중량%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복합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특정한 3종의 성분, 구체적으로,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B)디아실글리세롤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마스터배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마이그레이션이 적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30 ~ 80 중량%, (B)디아실글리세롤 10 ~ 30 중량%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40 ~ 80 중량%, (B)디아실글리세롤 10 ~ 20 중량%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0 ~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함량 범위에서 점착성 및 방담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좋게는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과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혼합비율이 1 ~ 5 : 1 중량비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3 ~ 5 : 1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이 식품포장용 필름으로 사용 시 더욱 우수한 점착력을 발현하면서도 필름의 마이그레이션이 적으며, 방담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B)디아실글리세롤 및 (C)디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및 디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마스터배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마이그레이션이 더욱 적고, 필름 제조 시 점착력이 우수하며, 방담성이 우수하여 식품포장용 필름으로 사용하기에 더욱 적합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30 ~ 80 중량%, (B)디아실글리세롤 10 ~ 30 중량% 및 (C)디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및 디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1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40 ~ 80 중량%, (B)디아실글리세롤 10 ~ 20 중량% 및 (C)디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및 디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10 ~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함량 범위에서 점착성 및 방담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좋게는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과 (C)디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및 디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비율이 1 ~ 5 : 1 중량비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3 ~ 5 : 1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이 식품포장용 필름으로 사용 시 더욱 우수한 점착력을 발현하면서도 필름의 마이그레이션이 적으며, 방담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1 ~ 5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2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복합 점착제 조성물의 마이그레이션이 적게 발생하면서도 우수한 점착성 및 방담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상기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및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콜을 반응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비에트산과 펜타에리트리톨 및 글리세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콜을 반응시켜 얻은 것일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함으로써 소량 사용에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점착력을 향상시키고, 혼화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비에트산(abietic acid)과 글리세롤을 반응시켜 얻은 글리세린 로진 에스테르(이하, GRE라 함)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아비에트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며, 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아비에트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아비에트산은 다음 화학식 1-1과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며, 상기 아비에트산에서 유도된 단위는 아래 화학식 1-2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아비에트산은 순도가 75%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1]
[화학식 1-2]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리세린 로진 에스테르(GRE)는 글리세롤과 아비에트산을 촉매 하에서 반응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촉매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은 글리세롤과 아비에트산의 전체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은 200 ~ 280 ℃, 더욱 구체적으로 220 ~ 26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을 하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 시간마다 산가를 측정하여 산가가 8 mg KOH/g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3 ~ 8 mg KOH/g가 되면 반응 온도를 낮추고 인산을 상기 촉매와 1:1 당량이 되도록 첨가하여 촉매를 중화한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화 반응 후 얻어진 글리세린 로진 에스테르(GRE)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글리세릴 1-아비에이트(모노-글리세라이드)가 30 ~ 95 면적%, 글리세릴 2-아비에이트(디-글리세라이드)가 1 ~ 50 면적%, 글리세릴 3-아비에이트(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 20 면적%로 관측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고, 점착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아비에트산(abietic acid)과 펜타에리트리톨을 반응시켜 얻은 펜타에리트리톨 로진 에스테르(이하, PRE라 함)는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아비에트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며, 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아비에트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펜타에리트리톨 로진 에스테르(PRE)는 펜타에리트리톨과 아비에트산을 촉매 하에서 반응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촉매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은 펜타에리트리톨과 아비에트산의 전체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은 200 ~ 280 ℃, 더욱 구체적으로 220 ~ 26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을 하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 시간마다 산가를 측정하여 산가가 8 mg KOH/g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3 ~ 8 mg KOH/g가 되면 반응 온도를 낮추고 인산을 상기 촉매와 1:1 당량이 되도록 첨가하여 촉매를 중화한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화 반응 후 얻어진 글리세린 로진 에스테르(GRE)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펜타에리트리톨 1-아비에이트(모노-글리세라이드)가 30 ~ 95 면적%, 펜타에리트리톨 2-아비에이트(디-글리세라이드)가 1 ~ 50 면적%, 펜타에리트리톨 3-아비에이트(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 20 면적%, 펜타에리트리톨 4-아비에이트(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 10 면적%로 관측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고, 점착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B)디아실글리세롤
상기 (B)디아실글리세롤(이하 DAG라 함)은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과 글리세롤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천연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식품포장용 필름을 제조하는데 더욱 바람직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채종유, 대두유 및 야자유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B)디아실글리세롤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며, 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지방산에서 유도된 단위는 C6 ~ C22의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산 잔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방산 잔기 중 올레산(oleic acid)이 75% 이상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B)디아실글리세롤은 채종유와 글리세롤을 촉매 하에서 반응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촉매로는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의 산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촉매의 함량은 채종유과 글리세롤의 전체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은 200 ~ 280 ℃, 더욱 구체적으로 220 ~ 26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을 하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 시간마다 GC분석을 통해 글리세라이드 분석을 하여 글리세롤의 함량이 1 면적% 이하가 되면 반응 온도를 낮추고 반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화 반응 후 얻어진 디아실글리세롤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노-글리세라이드가 20 ~ 80 면적%, 디-글리세라이드가 10 ~ 60면적%, 트리-글리세라이드가 1 ~ 30 면적%로 관측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고, 점착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산가는 0.1 ~ 12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상기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폴리글리세롤과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을 반응시켜 얻은 것일 수 있으며, 산가가 0.1 ~ 12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상기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아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4에서, 상기 R11, R12,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며, 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정제된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상업화된 예로는 (주)일신웰스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Almax-9220, Almax-9260, Almax-9280, Almax-9020, Almax-908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디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및 디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디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인 것일 수 있다. 이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더욱 향상되고, 상기 (A) 및 (B) 성분과 혼합 시 시너지 효과가 발현되어 점착성, 마이그레이션 및 방담성 등에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상기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보다 구체적으로 디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는 라우릭산을 50 중량%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50 ~ 99% 함유하는 야자유와 폴리글리세롤을 촉매 하에서 반응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촉매로는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의 산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촉매의 함량은 야자유과 폴리글리세롤의 전체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은 200 ~ 280 ℃, 더욱 구체적으로 220 ~ 26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을 하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 시간마다 GC를 이용하여 글리세라이드 분석을하여 폴리글리세롤의 함량이 3 면적% 이하가 되면 반응 온도를 낮추고 반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화 반응 후 얻어진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노-글리세라이드가 20 ~ 80면적%, 디-글리세라이드가 10 ~ 60면적%, 트리-글리세라이드가 1 ~ 30면적%, 테트라-극리세라이드 1 ~ 10면적%로 관측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고, 점착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산가는 0.1 ~ 12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D) 폴리올레핀계 수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필름으로 가공 가능한 통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올레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을 한 공중합체 및 폴리부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필름을 형성하는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230℃에서 2.16 ㎏ 하중으로 측정된 용융지수(MI)가 1 내지 50 g/10min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복합 점착 조성물과의 혼화성이 우수하고, 내구성 및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 사용하기에 우수한 연신율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더욱 구체적으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이오노머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등의 카르복실산기의 일부가 금속 양이온으로 치환되어 폴리올레핀 주쇄에 포획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이오노머를 더욱 포함함으로써 필름 가공성이 현저히 증가하고, 기계적인 물성이 더욱 향상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이오노머는 나트륨에 의하여 중화된 등급으로 SURLYN 8140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아연에 의해 중화된 등급으로는 SURLYN 991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 이오노머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복합 점착제 조성물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간의 혼화성을 더욱 향상시켜주고, 필름의 가공성이 현저히 증가하며, 제조된 필름의 기계적인 물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E)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앞서 설명된 성분들 외에 식품포장용 필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자외선안정제, 산화방지제, 무기충전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식품포장용 필름은 통상의 필름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층 또는 두층 이상이 적층된 필름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그 두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0.1 ~ 200 ㎛ 더욱 구체적으로 1 ~ 150 ㎛, 더욱 구체적으로 5 ~ 10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식품포장용 필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식품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은 필름압출기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투입하여 혼련 및 압출하여 필름 또는 시트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일축 또는 이축 연신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의 각각의 성분들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잘 혼화되도록 하기 위한 관점에서 각각의 성분을 따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용융 및 혼련하여 마스터배치 칩으로 제조한 후, 각각의 마스터배치 칩을 일정량으로 혼합하여 압출기에서 용융 및 압출함으로써 필름으로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압출은 트윈익스트루더에서 용융한 후 T-다이를 통해 압출하거나 또는 블로운 압출 등의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용융 혼련하여 제 1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B)디아실글리세롤을 용융 혼련하여 제 2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용융 혼련하여 제 3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한다. 이후에 상기 제 1 마스터배치 칩, 제 2 마스터배치 칩 및 제 3 마스터배치 칩을 각각 혼합하고 별도로 준비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혼합한 후 용융 압출하여 필름으로 제조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마스터배치 칩의 혼합 시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의 혼합비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30 ~ 80 중량%, (B)디아실글리세롤 10 ~ 30 중량%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0 ~ 50 중량%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1 ~ 50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복합 점착제 조성물의 혼화성이 우수하며, 마이그레이션이 적고, 필름 제막 안정성이 우수하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점착성 및 방담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산가
산가는 물질 1g에 존재하는 유리산(예를 들어, 지방산 또는 아비에트산)의 중화를 위해 필요한 칼륨 히드록시드의 밀리그램의 수를 측정한다.
산가는 AOCS(American Oil Chemists’Society) 표준 AOCS Cd 3a-63(mg KOH/g)에 따라 측정하였다.
250ml 삼각플라스크에 시료 3g을 넣고 에탄올 50ml을 투입하여 용해하고 1%페놀프탈레인 용액을 2 ~ 3방울 적가 한 후 0.1N KOH 용액으로 정정한다. 종말점은 용액이 분홍색을 30초가 유지하는 시점이다. 종말점의 0.1N KOH 소비량을 확인한다. 공시험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산가 = [(소비된 KOH 용액 - 공시험소비량) × 0.1N KOH Fator] / 시료량
2)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GC))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각 화합물의 면적%를 구하였다.
AOAC Official Method 993.18 및 993.24 표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분석기기 : Agilent 7890A GC System
Column : Agilent Technologies HP-5 0.32mm id x 30m, 0.25㎛ film, (5% phenyl)- methylpolysiloxane
측정조건 : split ratio 1:10, injecton port 320℃, Column initial 80℃, program rate 10℃/min, Final temperature 360℃, hold 15min, Detector(FID) 350℃, Carrier gas flow 5ml He/min, Injection volume 1㎕
전처리 : 시료 0.05g을 에펜도르프 원심분리 2ml 튜브에 넣고 피리딘을 가하여 완전히 녹인 후 Bis(trimethylsilyl)trifluoro acetamide(BSTFA) 0.2ml, Trimethylchlorsilane(TMCS) 0.1ml을 가한 후 혼합한다, 3분가 원심분리 후 시린지 필터(ADVANTEC HP045AN)을 이용하여 거른 후 GC로 분석한다.
3) 인장강도 및 연신율
제조된 필름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에이징 한 후 물성을 측정 하였다. 측정 시편은 25mm × 150mm 크기로 제작 하였으며, 인장 강도 및 연신율은 지그 간격 25mm, 측정 속도 200mm/min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LLOYD LS1 모델에 20N load cell을 부착하여 ASTM D882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4) 점착력
제조된 필름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에이징 한 후 물성을 측정 하였다.
점착력 테스트는 peel(180도 박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점착 면적은 25mm × 100mm, 속도 50mm/min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장비는 LLOYD LS1 모델에 20N load cell을 부착하여 ASTM D3330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5) 방담성
제조된 필름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에이징 한 후 저온 방담성을 측정 하였다. 500 ml 비이커에 400ml의 물을 채우고, 제조된 필름을 비이커 상부에 씌운 후 공기가 빠지지 않도록 밀봉 후 0℃ show case에 놓고 방담효과(물방울 맺히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6) 마이그레이션 평가
제조된 마스터배치 칩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에이징 한 후 마이그레이션 정도를 측정 하였다. 두께 3 mm sus 304 사각판 위에 흡수용 종이를 올리고 그 위에 마스터배치 칩(M/B)을 고루펴 놓은 후 다시 흡수용 종이와 sus 사각판을 올린 후 20kg 추를 위에 올려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24시간이 흐른 후 중량차이를 측정하여 다음 식에 의해 감량율(LOSS)을 계산하였다.
60℃ 오븐에서 진행하였으며, 흡수용 종이는 유한킴벌리 사의 킴테크 사이언스 와이퍼 미디엄 200’s를 사용하였다.
감량율(%) = (초기 마스터배치 칩의 무게 - 24시간 동안 압력을 가한 후 측정된 마스터배치 칩의 무게)/초기 마스터배치 칩의 무게 × 100
[제조예 1]
1) 글리세린 로진 에스테르(GRE)의 제조
글리세린 60.9g(0.66몰), Abietic acid 200.0g(0.66몰) 및 촉매 수산화나트륨 0.52g을 1L 4-목 유리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자력 교반 가능한 히팅맨틀에 고정시키고 에그형 마그네틱바를 투입하였다.
플라스크 1-목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다른 1-목에 질소 퍼징 라인, 다른 1-목에 기역자 관을 설치 하였다. 다른 1-목에는 실리콘 마개를 설치하여 Sampling을 하였다.
온도를 240℃로 고정시키고, 회전은 600rpm, 질소 압력은 0.2L/min으로 하였다. 반응을 산가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 하였다. 240℃에서 3시간 반응 후부터 산가를 측정하여 5.0mg KOH/g 이하가 측정되면 온도를 150℃로 낮춰 인산(H 3 PO 4, 순도 85%)을 0.61g(촉매 수산화나트륨 1 : 1 당량) 투입하여 촉매를 중화 하였다.
생성물, 즉 글리세린 Rosin ester는 갈색 고체였다. 수율 90%(생성물 중량/원료 중량으로 계산됨) 그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산가 : 4.8mg KOH/g(AOCS Cd 3a-63)
Glyceryl 1-abietate(Mono-glyceride) : 40.1 area%
Glyceryl 2-abietate(Di-glyceride) : 39.8 area%
Glyceryl 3-abietate(Tri-glyceride) : 8.1 area%
수분 함량(%) : 0.01 %
2) GRE 마스터배치 칩의 제조
상기 제조된 글리세린 로진 에스테르(GRE) 30g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롯데 케미칼 LLDPE UT404) 270g을 1L PET Bottle에 넣고 흔들어 혼합하였다.
이후, 트윈 스크류 익스트루더에서 용융 혼련 한 후 냉각을 거쳐 GRE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이하 제조에서 마스터배치 제조에 사용된 장비 및 조건은 아래 표 1과 같다.
Twin extruder 온도(℃) | Feeder 속도 (kg/hr) |
Extruder 속도 (kg/hr) |
Die nozzle (mm) |
Die 온도 (℃) |
|||||
T1 | T2 | T3 | T4 | T5 | T6 | ||||
155 | 170 | 195 | 210 | 220 | 230 | 1.8 | 200 | 3.0 | 235 |
* Twin extruder : Haake Twin Screw Extruder
[제조예 2]
1) 펜타에리트리톨 로진 에스테르(PRE)의 제조
Pentaerythritol 90.0g(0.66몰), Abietic acid 200.0g(0.66몰) 및 촉매 수산화나트륨 0.57g을 1L 4-목 유리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자력 교반 가능한 히팅맨틀에 고정시키고 에그형 마그네틱바를 투입하였다. 플라스크 1-목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다른 1-목에 질소 퍼징 라인, 다른 1-목에 기역자 관을 설치하였다. 다른 1-목에는 실리콘 마개를 설치하여 Sampling을 하였다. 온도를 240℃로 고정시키고, 회전은 600rpm, 질소 압력은 0.2L/min으로 하였다.
반응을 산가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 하였다. 240℃에서 3시간 반응 후부터 산가를 측정하여 5.0mg KOH/g 이하가 측정되면 온도를 150℃로 낮춰 인산(H 3 PO 4, 순도 85%)을 0.68g(촉매 수산화나트륨 1 : 1 당량) 투입 하여 촉매를 중화 하였다.
생성물, 즉 Pentaerythritol Rosin ester는 갈색 고체였다. 수율 91%(생성물 중량/원료 중량으로 계산됨)
그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산가 : 4.3mg KOH/g(AOCS Cd 3a-63)
Pentaerythritol 1-abietate(Mono-glyceride) : 43.0 area%
Pentaerythritol 2-abietate(Di-glyceride) : 40.1 area%
Pentaerythritol 3-abietate(Tri-glyceride) : 9.2 area%
Pentaerythritol 4-abietate(Tetra-glyceride) : 2.2 area%
수분 함량(%) : 0.01 %
2) PRE 마스터배치 칩의 제조
상기 제조된 펜타에리트리톨 로진 에스테르(PRE) 30g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롯데 케미칼 LLDPE UT404) 270g을 1L PET Bottle에 넣고 흔들어 혼합하였다.
이후, 트윈 스크류 익스트루더에서 용융 혼련 한 후 냉각을 거쳐 PRE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1) 디아실글리세롤(DAG)의 제조
채종유 550.0g(0.52몰), 글리세린 59.5g(0.65몰) 및 촉매 Ca-stearate 1.22g을 2L 4-목 유리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자력 교반 가능한 히팅맨틀에 고정시키고 에그형 마그네틱바를 투입하였다.
플라스크 1-목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다른 1-목에 질소 퍼징 라인, 다른 1-목에 기역자 관을 설치 하였다. 다른 1-목에는 실리콘 마개를 설치하여 Sampling을 하였다.
온도를 250℃로 고정시키고, 회전은 600rpm, 질소 압력은 0.2L/min으로 하였다. 250℃에서 2.0시간 반응 후 상온으로 온도를 내려 반응을 종료 하였다.
생성물, 즉 Diacylglycerol oil은 노란색 액체였다. 수율 99%(생성물 중량/원료 중량으로 계산됨)
그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산가 : 0.8mg KOH/g(AOCS Cd 3a-63)
Mono-glyceride : 33.8 area%
Di-glyceride : 48.6 area%
Tri-glyceride : 7.2%
수분 함량(%) : 0.01 %
2) DAG 마스터배치 칩의 제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롯데 케미칼 LLDPE UT404) 270g을 트윈 스크류 익스트루더에서 용융하면서 상기 제조된 디아실글리세롤(DAG) 30g을 트원 스크류 익스트루더에 인젝션하여 용융 혼련 한 후 냉각을 거쳐 DAG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1) 디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DGML)의 제조
야자유 지방산 212.9g(1.0몰), 디글리세린 147.8g(0.89몰) 및 촉매 NaOH 0.11g을 1L 4-목 유리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자력 교반 가능한 히팅맨틀에 고정시키고 에그형 마그네틱바를 투입하였다.
플라스크 1-목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다른 1-목에 진공 라인, 다른 1-목에 진공센서를 설치하였다. 다른 1-목에는 밸브를 설치하여 진공을 파기하고 샘플링을 하였다.
온도를 245℃로 고정시키고, 회전은 600rpm, 진공은 100torr로 하였다. 반응 1시간 후 산가를 측정하여 1이하가 되었을 때 상온으로 온도를 내려 반응을 종료 하였다.
생성물, 즉 디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는 무색에 가까운 액체였다. 수율 94%(생성물 중량/원료 중량으로 계산됨)
그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산가 : 0.7mg KOH/g(AOCS Cd 3a-63)
Mono-glyceride : 42.3 area%(Mono-laurate : 19.9 area%)
Di-glyceride : 29.4 area%(Di-laurate : 13.7 area%)
Tri-glyceride : 8.6 area%(Tri-laurate : 2.1 area%)
수분 함량(%) : 0.01 %
2) DGML 마스터배치 칩의 제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롯데 케미칼 LLDPE UT404)을 270g을 트윈 스크류 익스트루더에서 용융하면서 상기 제조된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30g을 트원 스크류 익스트루더에 인젝션하여 용융 혼련 한 후 냉각을 거쳐 DGML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PIB 마스터배치 칩의 제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롯데 케미칼 LLDPE UT404)을 570g을 트윈 스크류 익스트루더에서 용융하면서 폴리이소부텐(PIB) 30g을 트원 스크류 익스트루더에 인젝션하여 용융 혼련 한 후 냉각을 거쳐 PIB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GMO 마스터배치 칩의 제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롯데 케미칼 LLDPE UT404) 270g을 트윈 스크류 익스트루더에서 용융하면서 글리세린 모노 올레이트(GMO) 30g을 트원 스크류 익스트루더에 인젝션하여 용융 혼련 한 후 냉각을 거쳐 GMO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롯데 케미칼 LLDPE UT404)에 상기 제조예 1 내지 4의 마스터배치 칩을 첨가 및 혼합하여 트윈익스트루더의 호퍼에 넣었다. 이때 상기 각각의 마스터배치 칩의 함량은 아래 표 3과 같이 전체 필름 중 각각의 성분이 함유되도록 마스터배치 칩의 함량을 조절하여 혼합하였다.
트윈 익스트루더 및 블로운 필름 프로세스 시스템을 거쳐 두께 10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 제조에 사용된 장비 및 조건은 아래 표 2와 같다.
Twin extruder 온도(℃) | Feeder 속도 (kg/hr) |
Extruder 속도 (kg/hr) |
Die 온도 (℃) |
|||||
T1 | T2 | T3 | T4 | T5 | T6 | |||
160 | 180 | 200 | 215 | 225 | 235 | 2.2 | 200 | 240 |
* Twin extruder : Haake Twin Screw Extruder
[비교예 7]
하기 표 3과 같이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롯데 케미칼 LLDPE UT404)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GRE (중량%) |
PRE (중량%) | DAG (중량%) |
DGML (중량%) |
PIB (중량%) |
GMO (중량%) |
|
실시예 1 | 1 | - | 0.5 | 1 | - | - |
실시예 2 | 3 | - | 0.5 | 1 | - | - |
실시예 3 | 5 | - | 0.5 | 1 | - | - |
실시예 4 | - | 1 | 0.5 | 1 | - | - |
실시예 5 | - | 3 | 0.5 | 1 | - | - |
실시예 6 | - | 5 | 0.5 | 1 | - | - |
비교예 1 | 1 | - | 0.5 | - | - | - |
비교예 2 | - | 1 | 0.5 | - | - | - |
비교예 3 | - | - | - | - | 1 | - |
비교예 4 | - | - | - | - | 1 | 1 |
비교예 5 | - | - | - | - | 3 | - |
비교예 6 | - | - | - | - | 5 | - |
비교예 7 | - | - | - | - | - | - |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MPa) | 연신율(%) | 점착력(N/25mm) | |
실시예 1 | 38.2 | 771.5 | 0.234 |
실시예 2 | 38.1 | 775.3 | 1.620 |
실시예 3 | 39.2 | 758.8 | 17.437 |
실시예 4 | 41.8 | 781.6 | 0.201 |
실시예 5 | 40.1 | 785.2 | 1.720 |
실시예 6 | 39.8 | 760.3 | 10.498 |
비교예 1 | 37.9 | 762.9 | 0.090 |
비교예 2 | 40.5 | 780.5 | 0.056 |
비교예 3 | 37.4 | 772.9 | - |
비교예 4 | 39.2 | 785.5 | 0.107 |
비교예 5 | 39.5 | 779.6 | 0.358 |
비교예 6 | 38.3 | 750.1 | 0.543 |
비교예 7 | 37.8 | 762.9 | - |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은 필름의 인장강도, 연신율 및 점착력에서 비교예보다 더욱 우수한 물성을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물 방울 맺힘 시간(min) | 감량율(%) | |
실시예 1 | 10,080 min 이상 맺힘 없음 | 0.000 |
실시예 2 | 10,080 min 이상 맺힘 없음 | 0.000 |
실시예 3 | 10,080 min 이상 맺힘 없음 | 0.001 |
실시예 4 | 10,080 min 이상 맺힘 없음 | 0.000 |
실시예 5 | 10,080 min 이상 맺힘 없음 | 0.001 |
실시예 6 | 10,080 min 이상 맺힘 없음 | 0.002 |
비교예 1 | 0.1 | 0.000 |
비교예 2 | 0.1 | 0.000 |
비교예 3 | 0.1 | 0.016 |
비교예 4 | 0.2 | 0.032 |
비교예 5 | 0.1 | 0.041 |
비교예 6 | 0.1 | 0.172 |
비교예 7 | 0.1 | 0.000 |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필름은 방담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신선식품의 냉장보관(0~4℃) 상태에서 1주일 이상 필름이 맑고 투명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필름은 마이그레이션에 의한 감량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B)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과 글리세롤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인 디아실글리세롤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을 1 ~ 5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30 ~ 80 중량%, (B)디아실글리세롤 10 ~ 30 중량%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및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디펜타에리트리톨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콜을 반응시켜 얻은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아비에트산과 펜타에리트리톨 및 글리세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콜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산가가 3 ~ 8 mg KOH/g인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이오노머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오일은 채종유, 대두유 및 야자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B)디아실글리세롤의 산가가 0.1 ~ 12 mg KOH/g인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폴리글리세롤과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산가가 0.1 ~ 12 mg KOH/g인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점착력이 0.2 N/25mm이상인 것인 식품포장용 필름. -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B)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과 글리세롤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모노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인 디아실글리세롤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복합 점착제 조성물.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점착제 조성물은 (A)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30 ~ 80 중량%, (B)디아실글리세롤 10 ~ 30 중량% 및 (C)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0 ~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점착제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4390A KR102051830B1 (ko) | 2019-05-09 | 2019-05-09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
PCT/KR2020/005555 WO2020226318A1 (ko) | 2019-05-09 | 2020-04-28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4390A KR102051830B1 (ko) | 2019-05-09 | 2019-05-09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1830B1 true KR102051830B1 (ko) | 2019-12-04 |
Family
ID=6900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4390A KR102051830B1 (ko) | 2019-05-09 | 2019-05-09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1830B1 (ko) |
WO (1) | WO202022631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26318A1 (ko) * | 2019-05-09 | 2020-11-12 | 주식회사 일신웰스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25268A (en) | 1980-02-02 | 1984-01-10 | Bemis Company, Inc. | Polymer blend composition for stretch wrap film |
JP2001138441A (ja) * | 1999-11-09 | 2001-05-22 | Kao Corp | ラッピングフィルム |
JP2002225206A (ja) * | 2001-02-05 | 2002-08-14 | Ci Sanplus Kk | 包装用ストレッチフィル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1921A (ko) * | 1996-11-22 | 1999-11-15 | 나까니시 히로유끼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된 필름 |
CN1294613A (zh) * | 1998-03-05 | 2001-05-09 | 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 聚烯烃系树脂组合物、其层压体及其制造方法 |
KR20080114278A (ko) * | 2007-06-27 | 2008-12-31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염화비닐수지 랩 필름 조성물 |
KR102051830B1 (ko) * | 2019-05-09 | 2019-12-04 | 주식회사 일신웰스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
-
2019
- 2019-05-09 KR KR1020190054390A patent/KR1020518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4-28 WO PCT/KR2020/005555 patent/WO202022631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25268A (en) | 1980-02-02 | 1984-01-10 | Bemis Company, Inc. | Polymer blend composition for stretch wrap film |
JP2001138441A (ja) * | 1999-11-09 | 2001-05-22 | Kao Corp | ラッピングフィルム |
JP2002225206A (ja) * | 2001-02-05 | 2002-08-14 | Ci Sanplus Kk | 包装用ストレッチフィル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26318A1 (ko) * | 2019-05-09 | 2020-11-12 | 주식회사 일신웰스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226318A1 (ko) | 2020-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597056B (zh) | 耐水解性聚酯膜 | |
EP2636701B1 (en) | Resin mixture and multilayer structure | |
CN102149760B (zh) | 含有金属羧酸盐的乙烯-乙烯醇组合物 | |
CA2341550A1 (en) | Pva-containing compositions | |
JP2014513752A (ja) | デンプン−ポリマー−ワックス−油組成物のフィルム | |
CN101717537B (zh) | 一种聚烯烃薄膜及其制造方法 | |
EP0779325A2 (en) | Porous film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 |
KR102051830B1 (ko)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 |
CN109679263B (zh) | 一种高强的阻燃气泡膜 | |
US20220135778A1 (en) | Resin composition | |
JP2015083377A (ja) | 熱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912591B2 (ja) | ローカラーpvb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2234975A (ja) | アイオノマー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 |
EP2554373B1 (en) | Multilayer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KR20010043523A (ko) | 압출성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중합체 조성물 | |
CN111690327B (zh) | 一种三层共挤胶膜 | |
EP2123451A1 (en) | Multilayer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EP1952979A1 (en) | Multilayer struc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CN109609066B (zh) | 一种用于塑钢缠绕排水管的热熔胶及其制备方法 | |
KR102181875B1 (ko)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 | |
JP5220086B2 (ja) | アイオノマー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 |
JP2013256577A (ja) | 太陽電池用樹脂封止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JP6423217B2 (ja) | 熱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183197C (zh) | 聚烯烃可伸薄膜及其制造方法 | |
EP4253277A1 (en) | Ptp lidding material and ptp pack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