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875B1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875B1
KR102181875B1 KR1020200011300A KR20200011300A KR102181875B1 KR 102181875 B1 KR102181875 B1 KR 102181875B1 KR 1020200011300 A KR1020200011300 A KR 1020200011300A KR 20200011300 A KR20200011300 A KR 20200011300A KR 102181875 B1 KR102181875 B1 KR 10218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olyolefin
weight
acetylated
slip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서
박상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웰스
Priority to KR102020001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resins or resin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복합 슬립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식품 포장용 사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용기에 슬립성을 부여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식품 포장용 용기을 제공하기 위한 복합 슬립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사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POLYOLEFIN BASED RESIN COMPOSITION AND FOOD PACKAGEING INJECTION MOLD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복합 슬립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성형품에 슬립성을 부여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식품 포장용 용기을 제공하기 위한 복합 슬립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사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한 용기로 포장된 제품들의 사용상 문제점은 용기의 내용물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용기를 거꾸로 세워 보관하거나, 뚜껑을 크게 제작하여 입구 방향이 아래로 만들어진 용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 시키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일본 등록특허 제04018396(2007.09.28)에는 지방산 아미드를 함유하는 슬립제를 사용함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지방산 아미드는 필름간의 부착을 방지하는 블로킹(blocking)성을 부여하는 수준으로 내용물과 용기간의 슬립 효과는 크지 않다.
미국 등록특허 US008940361B2(2015.06.27) 및 US008574704B2(2013.11.05)에는 실리콘오일과 과불화탄소액 등으로 포장재 표면을 코팅하여 슬립성을 부여함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코팅 공정은 필름제조 후 추가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상의 용이함이 떨어진다.
일본 등록특허 제04018396호(2007.09.28), 미국 등록특허 제8574704호(2013.11.05), 미국 등록특허 제8940361호(2015.06.27)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올레핀계 성형품의 슬립성을 부여할 수 있는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므로 마스터배치 제조가 용이하며, 용융압출 가공성이 우수하며, 마이그레이션이 적게 발생하는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내구성 및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내한성, 슬립성이 우수하여 식품 포장용 용기로 사용 가능하며, 드레싱 및 소스류와 같은 페이스트 상으로 된 제품들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사출 성형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정 성분들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성형품의 기계적인 강도를 유지하면서 슬립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사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A)중간사슬지방, (B)아세틸화 유지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내한성이 우수하고, 슬립성이 우수하며, 충전 물질의 잔류량이 적게 발생하는 물성을 모두 만족하는 놀라운 효과를 발현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A)중간사슬지방, (B)아세틸화 유지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중간사슬지방, (B)아세틸화 유지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복합 슬립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마스터배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용융압출 가공성이 우수하며, 마이그레이션이 적게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슬립성을 향상시키고, 충전 물질의 잔류량이 적은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은 일반적으로 식품 포장을 위하여 사용하는 성형품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병 모양의 용기 또는 시트 또는 필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A)중간사슬지방, (B)아세틸화 유지 및 (C)로진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다.
일 양태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1 ~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A)중간사슬지방 30 ~ 80 중량%, (B)아세틸화 유지 10 ~ 50 중량%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A)중간사슬지방은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릭산 및 라우르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성분과, 글리세롤 등의 다가 알코올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A)중간사슬지방은 카프릴산과 카프릭산을 글리세롤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산가가 0.01 ~ 6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B)아세틸화 유지는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으로 이우러진 모노글리세라이드(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와 트리아세틴 또는 아세트산무수물을 촉매 존재 하에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 아세틸화 디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천연오일은 대두유, 채종유, 팜유, 야자유 및 팜핵유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등이며, 상기 (B)아세틸화 유지는 산가가 0.1 ~ 6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및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반응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일 양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식품포장용 용기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일 양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제조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중간사슬지방, (B)아세틸화 유지 및 (C)로진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복합 슬립제 조성물이다.
일 양태로,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A)중간사슬지방 30 ~ 80 중량%, (B)아세틸화 유지 10 ~ 50 중량%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삭제
이하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복합 슬립제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특정한 3종의 성분, 구체적으로, (A)중간사슬지방, (B)아세틸화 유지 및 (C)로진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마스터배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용융압축 가공성이 우수하며, 또한 마이그레이션이 적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A)중간사슬지방 30 ~ 80 중량%, (B)아세틸화 유지 10 ~ 50 중량%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A)중간사슬지방 60 ~ 80 중량%, (B)아세틸화유지 10 ~ 30 중량%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1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함량 범위에서 슬립성이 우수하고, 충전 물질의 잔류량이 적은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좋게는 (A)중간사슬지방과 (B)아세틸화유지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20 ~ 50 : 5 ~ 20 : 1 중량비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35 ~ 50 : 5 ~ 15 : 1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이 식품포장용 성형품으로 사용 시 더욱 우수한 슬립성을 발현하면서도 충전 물질의 잔류량이 적은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A)중간사슬지방, (B)아세틸화 팜유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마스터배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용융압출 가공성이 우수하여, 마이그레이션이 더욱 적고, 용기 제조 시 슬립성이 우수하고 충전 물질의 잔류량이 적은 식품포장용 성형품으로 사용하기에 더욱 적합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A)중간사슬지방 30 ~ 80 중량%, (B)아세틸화 팜유 10 ~ 50 중량%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A)중간사슬지방 60 ~ 80 중량%, (B)아세틸화 팜유 10 ~ 30 중량%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1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함량 범위에서 슬립성이 우수하고 충전 물질의 잔류량이 적은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좋게는 (A)중간사슬지방과 (B)아세틸화유지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20 ~ 50 : 5 ~ 20 : 1 중량비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35 ~ 50 : 5 ~ 15 : 1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이 식품포장용 성형품으로 사용 시 더욱 우수한 슬립성을 발현하면서도 충전 물질의 잔류량이 적은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1 ~ 2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복합 슬립제 조성물의 마이그레이션이 적게 발생하면서도 우수한 슬립성 및 우수한 충전물 회수율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삭제
다음은 본 발명의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중간사슬지방
상기 (A)중간사슬지방은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릭산 및 라우르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성분과, 글리세롤 등의 다가 알코올을 방응시켜 얻을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을 사용하는 것이 식품포장용 용기을 제조하는데 더욱 바람직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카프릴산과 카프릭산을 글리세롤과 반응시켜 트리그리세라이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A)중간사슬지방은 하기 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1016961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6 ~ C12 지방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며, 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C6 ~ C12 지방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정제된 아세틸화 유지의 상업화된 예로는 IOI ESTERCHEM (M) Sdn Bhd의 중간사슬지방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PALMSURF MCT 60/40 MEDIUM CHAIN TRIGLYCERIDES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지방산에서 유도된 단위는 C6 ~ C12의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산 잔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방산 잔기 중 카프릴산(Caprylic acid)과 카프릭산(Capric acid)이 90% 이상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A)중간사슬지방은 카프릴산과 카프릭산의 혼합 지방산과 글리세롤을 무촉매 하에서 반응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은 200 ~ 280 ℃, 더욱 구체적으로 220 ~ 26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을 하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질소를 공급하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매 시간마다 GC분석을 통해 글리세라이드 분석을 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이 95 면적% 이상이 되면 반응 온도를 낮추고 반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화 반응 후 얻어진 중간사슬지방을 분자증류 시스템을 이용하여 글리세롤, 지방산 및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제거 한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트리-글리세라이드가 95 ~ 99면적%, 디-글리세라이드가 1 ~ 5면적%로 관측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고, 슬립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산가는 0.01 ~ 6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B)아세틸화 유지
상기 (B)아세틸화 유지는 트리아세틴과 천연오일을 반응시켜 얻은 것일 수 있으며, 산가가 0.1 ~ 6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상기 (B)아세틸화유지는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0010169610-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천연오일 또는 트리아세틴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며, 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천연오일 또는 트리아세틴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정제된 아세틸화 유지의 상업화된 예로는 (주)일신웰스의 초산지방산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ECOCIZER, ECOCIZER-301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B)아세틸화 유지는 디-아세틸 모노-글리세라이드, 모노-아세틸 디-글리세라이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디-아세틸 모노-글리세리아드가 8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이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더욱 향상되고, 상기 (A) 및 (B) 성분과 혼합 시 시너지 효과가 발현되어 슬립성, 마이그레이션 등에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상기 (B)아세틸화 유지, 보다 구체적으로 디-아세틸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올레산을 50 중량%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50 ~ 99% 함유하는 팜유와 트리아세틴을 촉매 하에서 반응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촉매로는 티타늄 계열, 주석 계열 등의 금속 촉매와 Sodium methoxide 등의 알카리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촉매의 함량은 팜유과 트리아세틴의 전체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은 50 ~ 280 ℃, 더욱 구체적으로 90 ~ 26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을 하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 시간마다 GC를 이용하여 글리세라이드 분석을하여 디-아세틸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이 40 면적% 이상이 되면 반응 온도를 낮추고 반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화 반응 후 얻어진 디-아세틸 모노-글리세라이드를 분자증류 시스템을 통하여 트리아세틴과 모노-아세틴 디-글리세라이드 및 팜유를 제거 한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트리아세틴 0.1 ~ 1.0면적%, 디-아세틴 모노-글리세라이드가 70 ~ 95면적%, 모노-아세틴 디-글리세라이드가 5 ~ 30면적%, 팜유 0 ~ 0.2면적%로 관측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고, 슬립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산가는 0.1 ~ 6 mg KOH/g인 것일 수 있다.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상기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및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콜을 반응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비에트산과 펜타에리트리톨 및 글리세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콜을 반응시켜 얻은 것일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함으로써 소량 사용에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슬립성을 향상시키고, 혼화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비에트산(abietic acid)과 글리세롤을 반응시켜 얻은 글리세린 로진 에스테르(이하, GRE라 함)는 하기 화학식 3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0010169610-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R7,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아비에트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며, 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아비에트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아비에트산은 다음 화학식 3-1과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며, 상기 아비에트산에서 유도된 단위는 아래 화학식 3-2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아비에트산은 순도가 75%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3-1]
Figure 112020010169610-pat00004
[화학식 3-2]
Figure 112020010169610-pat00005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GRE는 글리세롤과 아비에트산을 촉매 하에서 반응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촉매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은 글리세롤과 아비에트산의 전체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은 200 ~ 280 ℃, 더욱 구체적으로 220 ~ 26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을 하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 시간마다 산가를 측정하여 산가가 8 mg KOH/g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3 ~ 8 mg KOH/g가 되면 반응 온도를 낮추고 인산을 상기 촉매와 1:1 당량이 되도록 첨가하여 촉매를 중화한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화 반응 후 얻어진 GRE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글리세릴 1-아비에이트(모노-글리세라이드)가 30 ~ 95 면적%, 글리세릴 2-아비에이트(디-글리세라이드)가 1 ~ 50 면적%, 글리세릴 3-아비에이트(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 20 면적%로 관측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고, 슬립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아비에트산(abietic acid)과 펜타에리트리톨을 반응시켜 얻은 펜타에리트리톨 로진 에스테르(이하, PRE라 함)는 하기 화학식 4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20010169610-pat00006
(상기 화학식 4에서, 상기 R40, R11,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아비에트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며, 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아비에트산에서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PRE는 펜타에리트리톨과 아비에트산을 촉매 하에서 반응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촉매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은 펜타에리트리톨과 아비에트산의 전체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은 200 ~ 280 ℃, 더욱 구체적으로 220 ~ 26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을 하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 시간마다 산가를 측정하여 산가가 8 mg KOH/g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3 ~ 8 mg KOH/g가 되면 반응 온도를 낮추고 인산을 상기 촉매와 1:1 당량이 되도록 첨가하여 촉매를 중화한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화 반응 후 얻어진 PRE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펜타에리트리톨 1-아비에이트(모노-글리세라이드)가 30 ~ 95 면적%, 펜타에리트리톨 2-아비에이트(디-글리세라이드)가 1 ~ 50 면적%, 펜타에리트리톨 3-아비에이트(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 20 면적%, 펜타에리트리톨 4-아비에이트(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 10 면적%로 관측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고, 슬립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D) 폴리올레핀계 수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용기로 가공 가능한 통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올레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을 한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용기을 형성하는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230℃에서 2.16 ㎏ 하중으로 측정된 용융지수(MI)가 1 내지 50 g/10min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복합 슬립 조성물과의 혼화성이 우수하고, 내구성 및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한 용기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품 포장용 성형품으로 사용하기에 우수한 연신율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더욱 구체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E)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앞서 설명된 성분들 외에 식품포장용 용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자외선안정제, 산화방지제, 무기충전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식품포장용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식품포장용 성형품은 통상의 성형품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층 또는 두층 이상이 적층된 용기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그 두께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0.1 ~ 500 ㎛ 더욱 구체적으로 10 ~ 300 ㎛, 더욱 구체적으로 100 ~ 30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식품포장용 용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식품포장용 성형품의 제조방법은 압출기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투입하여 혼련, 압출 및 성형하여 용기 또는 시트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삭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잘 혼화되도록 하기 위한 관점에서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용융 및 혼련하여 마스터배치 칩으로 제조한 후, 마스터배치 칩을 일정량으로 혼합하여 압출기에서 용융, 압출 및 형성함으로써 성형품으로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압출은 트윈익스트루더에서 용융한 후 금형으로 사출하거나 또는 다이를 통한 압출 등의 방법으로 성형품 및 시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A)중간사슬지방, (B)아세틸화 유지, (C) 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로 구성된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여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한다. 이후에 상기 마스터배치 칩을 압출 및 사출하여 성형품으로 제조한다. 이때 상기 마스터배치 칩의 혼합 시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의 혼합비가 (A)중간사슬지방 30 ~ 80 중량%, (B)아세틸화 유지 10 ~ 50 중량%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1 ~ 30 중량%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으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1 ~ 20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복합 슬립제 조성물의 혼화성이 우수하며, 용융압출 가공성이 우수하며, 마이그레이션이 적고, 용기 제막 안정성이 우수하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슬립성 우수하고 충전 물질의 잔류량이 적은 용기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삭제
이하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산가
산가는 물질 1g에 존재하는 유리산(예를 들어, 지방산 또는 아비에트산)의 중화를 위해 필요한 칼륨 히드록시드의 밀리그램의 수를 측정한다.
산가는 AOCS(American Oil Chemists’Society) 표준 AOCS Cd 3a-63(mg KOH/g)에 따라 측정하였다.
250ml 삼각플라스크에 시료 3g을 넣고 에탄올 50ml을 투입하여 용해하고 1%페놀프탈레인 용액을 2 ~ 3방울 적가 한 후 0.1N KOH 용액으로 정정한다. 종말점은 용액이 분홍색을 30초가 유지하는 시점이다. 종말점의 0.1N KOH 소비량을 확인한다. 공시험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산가 = [(소비된 KOH 용액 - 공시험소비량) × 0.1N KOH Fator] / 시료량
삭제
2)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GC))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각 화합물의 면적%를 구하였다.
AOAC Official Method 993.18 및 993.24 표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분석기기 : Agilent 7890A GC System
Column : Agilent Technologies HP-5 0.32mm id x 30m, 0.25㎛ film, (5% phenyl)- methylpolysiloxane
측정조건 : split ratio 1:10, injecton port 320℃, Column initial 80℃, program rate 10℃/min, Final temperature 360℃, hold 15min, Detector(FID) 350℃, Carrier gas flow 5ml He/min, Injection volume 1㎕
전처리 : 시료 0.05g을 에펜도르프 원심분리 2ml 튜브에 넣고 피리딘을 가하여 완전히 녹인 후 Bis(trimethylsilyl)trifluoro acetamide(BSTFA) 0.2ml, Trimethylchlorsilane(TMCS) 0.1ml을 가한 후 혼합한다, 3분가 원심분리 후 시린지 필터(ADVANTEC HP045AN)을 이용하여 거른 후 GC로 분석한다.
삭제
3) 슬립성 평가
제조된 필름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에이징 한 후 슬립성을 측정 하였다.
제조된 시트를 70mm × 350mm 크기로 절단 후, 평평한 판에 부착하여 마요네즈 및 케찹 등을 일정량 로딩 후 판을 80°가 되도록 기울여 로딩된 물질이 바닥까지 미끄러져 내려오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삭제
4) 로딩 물질 Sheet 잔류% 측정
슬립성 평가에서 로딩된 물질이 바닦까지 내려온 후 중량차이를 측정하여 회수 되지 못 하고 Sheet 위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 계산하였다.
잔류% = (초기 로딩 무게 - 회수 무게) ÷ 초기 로딩 무게 × 100
삭제
[제조예 1]
1) 중간사슬지방(MCT)의 제조
카프릴산 173.04g(1.2몰), 카프릭산 206.76g(1.2몰), 글리세롤 92.1g(1.0몰)을 1L 4-목 유리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자력 교반 가능한 히팅맨틀에 고정시키고 에그형 마그네틱바를 투입하였다.
플라스크 1-목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다른 1-목에 질소 라인, 다른 1-목에 환류냉각장치를 설치하였다. 다른 1-목에는 밸브를 설치하여 샘플링을 하였다.
온도를 240℃로 고정시키고, 회전은 600rpm, 질소 압력은 0.2L/min으로 공급 하였다. 반응 3시간 후 1시간 마다 GC를 측정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이 95 area% 이상 되었을 때 상온으로 온도를 내려 반응을 종료 하였다.
생성물을 분자증류 시스템에 통과시켜 글리세롤,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디-글리세라드를 제거하였다. 분자증류 시스템의 온도는 100℃, 진공도는 8.2X10-3torr 이었다.
최종 물질, 즉 중간사슬지방는 무색에 가까운 액체였다. 수율 90%(최종 물질 중량/원료 중량으로 계산됨)
그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산가 : 0.1mg KOH/g(AOCS Cd 3a-63)
Di-glyceride : 2.1 area%
Tri-glyceride : 97.9 area%
수분 함량(%) : 0.01 %
삭제
[제조예 2]
1) 아세틸화 유지(AMG)의 제조
팜유 846.8g(1.0몰), 트리아세틴 436.4g(2.0몰) 및 촉매 Sodium methoxide 2.57g을 2L 4-목 유리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자력 교반 가능한 히팅맨틀에 고정시키고 에그형 마그네틱바를 투입하였다.
플라스크 1-목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다른 1-목에 질소 퍼징 라인, 다른 1-목에 기역자 관을 설 치 하였다. 다른 1-목에는 실리콘 마개를 설치하여 Sampling을 하였다.
온도를 150℃로 고정시키고, 회전은 600rpm, 질소 압력은 0.2L/min으로 하였다. 반응 1시간 마다 GC를 측정하여 디-아세틸 모노-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이 45 area% 이상 되었을 때 상온으로 온도를 내려 반응을 종료 하였다.
생성물을 분자증류 시스템에 2회 통과시켜 1회에 트리아세틴, 지방산을 제거하고, 2회에 모노-아세틸 디-글리세라이드 및 팜유를 제거하였다. 분자증류 시스템의 1회 온도는 140℃, 진공도는 5.5X10-1torr, 2회 온도는 190℃, 진공도는 7.2X10-3torr 이었다.
최종 물질, 즉 아세틸화유지(모노-아세틸 디-글리세라이드)는 엷은 노란색 액체였다. 수율 35%(최종 물질 중량/원료 중량으로 계산됨)
그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산가 : 0.3mg KOH/g(AOCS Cd 3a-63)
Di-acetyl Mono-glyceride : 95.1 area%
Mono-acetyl Di-glyceride : 4.9 area%
수분 함량(%) : 0.01
삭제
[제조예 3]
1) 글리세롤 로진 에스테르(GRE)의 제조
글리세롤 60.9g(0.66몰), Abietic acid 200.0g(0.66몰) 및 촉매 수산화나트륨 0.52g을 1L 4-목 유리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자력 교반 가능한 히팅맨틀에 고정시키고 에그형 마그네틱바를 투입하였다.
플라스크 1-목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다른 1-목에 질소 퍼징 라인, 다른 1-목에 기역자 관을 설치 하였다. 다른 1-목에는 실리콘 마개를 설치하여 Sampling을 하였다.
온도를 240℃로 고정시키고, 회전은 600rpm, 질소 압력은 0.2L/min으로 하였다. 반응을 산가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 하였다. 240℃에서 3시간 반응 후부터 산가를 측정하여 5.0mg KOH/g 이하가 측정되면 온도를 150℃로 낮춰 인산(H 3 PO 4, 순도 85%)을 0.61g(촉매 수산화나트륨 1 : 1 당량) 투입하여 촉매를 중화 하였다.
생성물, 즉 글리세롤 Rosin ester는 갈색 고체였다. 수율 90%(생성물 중량/원료 중량으로 계산됨)
그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산가 : 4.8mg KOH/g(AOCS Cd 3a-63)
Glyceryl 1-abietate(Mono-glyceride) : 40.1 area%
Glyceryl 2-abietate(Di-glyceride) : 39.8 area%
Glyceryl 3-abietate(Tri-glyceride) : 8.1 area%
수분 함량(%) : 0.01
삭제
[제조예 4]
1) 펜타에리트리톨 로진 에스테르(PRE)의 제조
Pentaerythritol 90.0g(0.66몰), Abietic acid 200.0g(0.66몰) 및 촉매 수산화나트륨 0.57g을 1L 4-목 유리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자력 교반 가능한 히팅맨틀에 고정시키고 에그형 마그네틱바를 투입하였다. 플라스크 1-목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다른 1-목에 질소 퍼징 라인, 다른 1-목에 기역자 관을 설치하였다. 다른 1-목에는 실리콘 마개를 설치하여 Sampling을 하였다. 온도를 240℃로 고정시키고, 회전은 600rpm, 질소 압력은 0.2L/min으로 하였다.
반응을 산가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 하였다. 240℃에서 3시간 반응 후부터 산가를 측정하여 5.0mg KOH/g 이하가 측정되면 온도를 150℃로 낮춰 인산(H 3 PO 4, 순도 85%)을 0.68g(촉매 수산화나트륨 1 : 1 당량) 투입 하여 촉매를 중화 하였다.
생성물, 즉 Pentaerythritol Rosin ester는 갈색 고체였다. 수율 91%(생성물 중량/원료 중량으로 계산됨)
그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산가 : 4.3mg KOH/g(AOCS Cd 3a-63)
Pentaerythritol 1-abietate(Mono-glyceride) : 43.0 area%
Pentaerythritol 2-abietate(Di-glyceride) : 40.1 area%
Pentaerythritol 3-abietate(Tri-glyceride) : 9.2 area%
Pentaerythritol 4-abietate(Tetra-glyceride) : 2.2 area%
수분 함량(%) : 0.01
삭제
삭제
[제조예 5]
1) 마스터배치 칩의 제조
상기 제조된 중간사슬유지(MCT) 80g, 아세틸화 유지(AMG) 20g, 글리세린 로진 에스테르 2g을 100℃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혼합 후 냉각시켜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저밀도폴리에틸렌(한화 케미칼 LDPE 5602S) 576g을 트윈 스크류 익스트루더에서 용융하면서 상기 제조된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64g을 트원 스크류 익스트루더에 인젝션하여 용융 혼련 한 후 냉각을 거쳐 복합 슬립제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이하 제조에서 마스터배치 제조에 사용된 장비 및 조건은 아래 표 1과 같다.
Twin extruder 온도(℃) Feeder
속도
(kg/hr)
Extruder
속도
(kg/hr)
Die
nozzle
(mm)
Die
온도
(℃)
T1 T2 T3 T4 T5 T6
150 165 185 195 205 215 1.8 200 3.0 220
* Twin extruder : Haake Twin Screw Extruder
삭제
[제조예 6] 에루카아미드(Erucamide) 마스터배치 칩의 제조
에루카아미드(HAIHANG INDUSTRY) 40g 및 저밀도폴리에틸렌(한화 케미칼 LDPE 5602S) 360g을 1L PET Bottle에 넣고 흔들어 혼합하였다.
이후, 투윈 스크류 익스트루더에서 용융 혼현 한 후 냉각을 거쳐 에루카아미드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삭제
[제조예 7] 올레오아미드(Oleamide) 마스터배치 칩의 제조
올레오아미드(HAIHANG INDUSTRY) 40g 및 저밀도폴리에틸렌(한화 케미칼 LDPE 5602S) 360g을 1L PET Bottle에 넣고 흔들어 혼합하였다.
이후, 투윈 스크류 익스트루더에서 용융 혼현 한 후 냉각을 거쳐 올레오아미드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삭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
저밀도폴리에틸렌(한화 케미칼 LDPE 5602S)에 상기 제조예 5 내지 6 내지 7의 마스터배치 칩을 첨가 및 혼합하여 트윈익스트루더의 호퍼에 넣었다. 이때 상기 각각의 마스터배치 칩의 함량은 아래 표 3과 같이 전체 시트 중 각각의 성분이 함유되도록 마스터배치 칩의 함량을 조절하여 혼합하였다.
트윈 익스트루더 및 시트 다이 프로세스 시스템을 거쳐 두께 100 ㎛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트 제조에 사용된 장비 및 조건은 아래 표 2와 같다.
Twin extruder 온도(℃) Feeder
속도
(kg/hr)
Extruder
속도
(kg/hr)
Die
온도
(℃)
T1 T2 T3 T4 T5 T6
150 160 175 185 195 205 2.5 200 210
* Twin extruder : Haake Twin Screw Extruder
삭제
[비교예 7]
하기 표 3과 같이 저밀도폴리에틸렌(한화 케미칼 LDPE 5602S)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100 ㎛의 시트을 제조하였다.
복합 슬립제
(중량%)
Erucamide
(중량%)
Olemide
(중량%)
실시예 1 1 - -
실시예 2 2 - -
실시예 3 4 - -
비교예 1 - 1 -
비교예 2 - 2 -
비교예 3 - 4 -
비교예 4 - - 1
비교예 5 - - 2
비교예 6 - - 4
비교예 7 - - -
제조된 Sheet의 슬립성(Sec/300mm)을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삭제
삭제
골드 마요네즈 하프 마요네즈 케찹
실시예 1 545 808 177
실시예 2 317 380 97
실시예 3 88 134 68
비교예 1 - 1,811 267
비교예 2 18,000 1,123 82
비교예 3 705 785 64
비교예 4 - 1,811 184
비교예 5 6,000 942 129
비교예 6 740 907 59
비교예 7 650 820 112
삭제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Sheet의 슬립성에서 비교예보다 더욱 우수한 물성을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1,2,4,5의 골드 마요네즈 슬립성은 80°에서도 흐르지 않아 측정이 불가할 정도로 미미하였다.
또한, 제조된 Sheet의 로딩 물질의 Sheet 위에 잔류량을 평가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삭제
골드 마요네즈 하프 마요네즈 케찹
실시예 1 1.3 21.0 57.6
실시예 2 0.4 12.2 39.7
실시예 3 3.0 14.9 34.6
비교예 1 - 25.7 55.3
비교예 2 - 12.8 58.1
비교예 3 5.6 17.5 55.5
비교예 4 - 18.4 68.8
비교예 5 - 12.9 66.4
비교예 6 2.4 23.3 66.7
비교예 7 6.8 26.0 42.0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Sheet는 로딩 물질의 잔류에 의한 손실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3의 경우 Sheet 제조 시 Fume 발생이 많고, Sheet의 색상이 황색으로 변하여 제조되었다. 이는 Oleamide 및 Erucamide의 열안정성 문제로 가공성이 좋지 않음을 보여준다.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삭제

Claims (12)

  1. 고밀도폴리에틸렌 수지 및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및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A)중간사슬지방, (B)아세틸화 유지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을 1 ~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A)중간사슬지방 30 ~ 80 중량%, (B)아세틸화 유지 10 ~ 50 중량%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중간사슬지방은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릭산 및 라우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성분과, 글리세롤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산가가 0.01 ~ 6 mg KOH/g인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아세틸화 유지는 천연오일 또는 C6 ~ C22 지방산으로 이우러진 모노글리세라이드(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와 트리아세틴 또는 아세트산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 아세틸화 디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오일은 대두유, 채종유, 팜유, 야자유 및 팜핵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등이며, 상기 (B)아세틸화 유지는 산가가 0.1 ~ 6 mg KOH/g인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및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산성분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디펜타에리트리톨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콜을 반응시켜 얻은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아비에트산과 펜타에리트리톨 및 글리세롤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콜을 반응시켜 얻은 것이며, 산가가 3 ~ 8 mg KOH/g인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사출 성형품
  10. 제 1항 내지 제 8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식품포장용 용기
  11. (A)중간사슬지방, (B)아세틸화 유지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용 복합 슬립제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슬립제 조성물은 (A)중간사슬지방 30 ~ 80 중량%, (B)아세틸화 유지 10 ~ 50 중량% 및 (C)로진 에스테르계 화합물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슬립제 조성물.
KR1020200011300A 2020-01-30 2020-01-30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 KR102181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300A KR102181875B1 (ko) 2020-01-30 2020-01-30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300A KR102181875B1 (ko) 2020-01-30 2020-01-30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875B1 true KR102181875B1 (ko) 2020-11-23

Family

ID=7368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300A KR102181875B1 (ko) 2020-01-30 2020-01-30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8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396A (ja) 1990-05-11 1992-01-22 Minori Denki Koji:Kk 当日指示カレンダ
JPH0641327A (ja) * 1992-07-24 1994-02-15 Morishita Kagaku Kogyo Kk 合成樹脂ペレットの輸送コンテナの内袋、内袋支持具および輸送方法
US20070066731A1 (en) * 2003-09-10 2007-03-22 Tattum Steven B Slip additive compositions in thermoplastic polymer proces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396A (ja) 1990-05-11 1992-01-22 Minori Denki Koji:Kk 当日指示カレンダ
JPH0641327A (ja) * 1992-07-24 1994-02-15 Morishita Kagaku Kogyo Kk 合成樹脂ペレットの輸送コンテナの内袋、内袋支持具および輸送方法
JP3343372B2 (ja) * 1992-07-24 2002-11-11 森下化学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及びそれからなる合成樹脂ペレット輸送コンテナの内袋
US20070066731A1 (en) * 2003-09-10 2007-03-22 Tattum Steven B Slip additive compositions in thermoplastic polymer proces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5892B1 (en) Polymeric compositions and articles comprising polylactic acid and polyolefin
KR101986123B1 (ko) 탄소저감형 바이오매스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스트레치 필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6846859B2 (en) Polyolefin composition having reduced color bodies
CN102282205A (zh) 具有增强的机械性质和气体阻挡性质的pet容器和组合物
EP3296084A1 (en) Filament for material extrusion-type three-dimensional printers, wound body composed of said filament, cartridge containing said fila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molded article using said filament
EP2939948B1 (en) Wrap film
WO2015023053A1 (ko) 내백화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181875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사출 성형품
EP3222419B1 (en) Secondary molded article having layer containing saponified ethylene/vinyl ester copoly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ottomed container
KR102051830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품포장용 필름
CA2377237A1 (en) Extruded products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reduced acetaldehyde content and process of their production
KR20210067265A (ko)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축필름
IL137768A (en) Integrated additive composition containing anti-blocking agents,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US4812282A (en) Process for forming polymer container having inorganic filter and coupling agent
CN100460457C (zh) 高阻隔性改性聚酯的制造方法
KR102316896B1 (ko)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성형품
CN1186379C (zh) 医用吹塑成型用聚烯烃组合物和制备方法
CN111349273A (zh) 一种高淀粉填充的hdpe吹膜专用料及其制备方法
US1178792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polypropylene for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H04214343A (ja) 薬包材用積層体
JP3843143B2 (ja) 包装容器
EP3495126A1 (en) Process for extrusion of a film based on thermoplastic material
EP2918409A1 (en) Stretch wrapping film
CN112812411B (zh) 一种聚乙烯组合物、聚乙烯塑料粒子、包装制品及应用
JPH056417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