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115B1 - 결합체 및 완충기 - Google Patents

결합체 및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115B1
KR102049115B1 KR1020120149374A KR20120149374A KR102049115B1 KR 102049115 B1 KR102049115 B1 KR 102049115B1 KR 1020120149374 A KR1020120149374 A KR 1020120149374A KR 20120149374 A KR20120149374 A KR 20120149374A KR 102049115 B1 KR102049115 B1 KR 102049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nnular groove
female
press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668A (ko
Inventor
유스케 마에가와
후미유키 야마오카
마코토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21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71Assembly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Abstract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결합체, 완충기 및 완충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암형부(41)를 갖는 제1 부재(21)와, 암형부(41)에 삽입되는 수형부(27)를 일단에 갖고 수형부(27)의 외주에 환형홈(28)을 갖는 제2 부재(14)를 서로 감합시켜, 암형부(41)의 측벽(85)에, 환형홈(28) 내에 압입되어 접합되는 접합부(86)가 복수 형성되고, 수형부(27)의 환형홈(28)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대향하여, 수형부(27)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99)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결합체 및 완충기{COUPLING BODY AND DAMPER}
본 발명은 결합체, 완충기 및 완충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형홈을 복수열 형성한 수형부에 암형부를 감합시켜, 지그재그형으로 기계적으로 클린치시켜 접합하는 기술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5548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과 같이, 지그재그형의 기계적 클린치를 행하는 데에는 가공에 곤란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공성을 높인 결합체, 완충기 및 완충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암형부의 측벽에, 수형부의 환형홈 내에 압입되어 접합되는 접합부가 복수 형성되고, 암형부에, 수형부의 환형홈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대향하여, 수형부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 통부의 측벽에, 환형홈 내에 압입되어 접합되는 접합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환형홈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면하여, 로드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부착 아이를 도장하는 도장 공정과, 실린더를 도장하는 도장 공정과, 로드를 도금하는 도금 공정을 각각 행하며, 그 후, 상기 부착 아이의 접속 통부에 상기 로드를 삽입하고 상기 접속 통부의 측벽을 로드의 환형홈 내에 압입하여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로드의 중심선을 포함하여 단면으로 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코킹 가공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코킹 가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7a는 평면도이며, 도 7b는 정단면도이고, 도 7c는 하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제조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로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1a는 측단면도이며, 도 11b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로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2a는 측단면도이며, 도 12b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로드의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로드의 별도의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를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로서의 완충기(11)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완충기(11)는, 자동차용 서스펜션에 이용되는 것으로, 유액 등의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12)와, 이 실린더(12)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13)과, 일단이 피스톤(13)에 연결되며 타단이 실린더(12)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제2 부재)(14)와, 로드(14)의 타단에 부착되는 부착 아이(15)와, 이 부착 아이(15)에 지지되어 로드(14)의 실린더(12)로부터의 연장 부분을 덮는 더스트 커버(16)와, 실린더(12)의 로드(14)와는 반대측에 부착되는 부착 아이(17)를 가지고 있다. 부착 아이(15)는, 로드(14)에 부착되는 외측의 아이 본체(제1 부재)(21)와, 내측의 고무 부시(22)로 이루어지고, 부착 아이(17)도, 실린더(12)에 부착되는 외측의 아이 본체(23)와, 내측의 고무 부시(24)로 이루어져 있다.
이 완충기(11)의 예컨대 부착 아이(15, 17) 중 한쪽 측은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쪽 측이 차륜측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로드(14)에 부착된 부착 아이(15)로 차체측에 연결되고, 실린더(12)에 부착된 부착 아이(17)로 차륜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실린더(12)에 부착된 부착 아이(17)로 차체측에 연결되고, 로드(14)에 부착된 부착 아이(15)로 차륜측에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드(14)의 일단에는 아이 본체(21)가 부착되게 되고, 로드(14)의 그 일단은, 단면 원형의 속이 채워진 봉형체이며, 아이 본체(21)에 감합되는 수형부(27)로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형부(27)는, 축 방향의 중간의 정해진 위치의 외주에 환형홈(28)을 가지고 있다. 수형부(27)의 외주 중 환형홈(28)을 제외한 부분은, 로드(14)의 수형부(27)에 연결되는 중간축부(29)의 외주면과 동직경으로 연속하는 일정 직경의 감합 원통면부(감합부)(30)로 되어 있다. 이 감합 원통면부(30)는, 환형홈(28)의 최소 직경의 홈 저면부(32)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환형홈(28)의 홈 저면부(32)는, 로드(14)의 축 방향의 양단을 제외하고 일정 직경이며, 로드(14)의 축 방향의 같은 위치에 일정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형홈(28)의 로드(14)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홈 벽면부(33) 및 홈 벽면부(33)는, 로드(14)의 중심축에 직교하여 홈 저면부(32)의 단부 가장자리와 감합 원통면부(30)를 연결하고 있다. 즉, 환형홈(28)은, 로드(14)의 축 방향의 일정 위치에 일정 폭으로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형부(27)의 선단의 접촉 선단면부(34)는, 로드(14)의 중심축에 직교하고 있다.
로드(14)에 부착되는 아이 본체(21)는, 원환형을 이루는 원환 부재(40)와, 원환 부재(40)의 외주부에 원환 부재(40)의 직경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암형 부재(암형부)(41)와, 원환 부재(40)와 암형 부재(41) 사이에 개재되는 유지 부재(42)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원환 부재(40)는, 그 외주부에, 직경 방향 내방으로 움푹 패인 부착 오목부(45)가 1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부착 오목부(45)는, 원환 부재(40)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탄한 원형상의 부착 저면부(46)와, 부착 저면부(46)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테이퍼형을 이루어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부착 테이퍼면부(47)를 가지고 있다. 부착 테이퍼면부(47)는, 부착 저면부(46)와 중심축이 일치하고 있으며, 원환 부재(40)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수록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암형 부재(41)는, 통형의 접속 통부(51)와, 이 접속 통부(51)의 축 방향 일측을 폐색하는 폐색 바닥부(52)와, 폐색 바닥부(52)의 접속 통부(51)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부착 축부(53)를 가지고 있다. 암형 부재(41)는, 접속 통부(51)의 폐색 바닥부(52)와는 반대측이 개구부(54)로 되어 있고, 이 개구부(54)로부터 접속 통부(51) 내에 로드(14)의 수형부(27)가 삽입되게 된다.
부착 축부(53)는, 그 외면이, 폐색 바닥부(52)로부터 원통형을 이루어 돌출하는 유지 원통면부(57)와, 유지 원통면부(57)의 폐색 바닥부(52)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끝이 가는 테이퍼형을 이루어 연장되는 부착 테이퍼면부(58)와, 부착 테이퍼면부(58)의 유지 원통면부(57)와는 반대측에 있는 평탄한 부착 선단면부(59)로 이루어져 있다. 유지 원통면부(57), 부착 테이퍼면부(58) 및 부착 선단면부(59)의 각각의 중심축은 일치하여 부착 축부(53)의 중심축으로 되어 있고, 부착 선단면부(59)는 이 중심축에 직교하고 있다.
암형 부재(41)의 폐색 바닥부(52)에는, 그 접속 통부(51)측의 단부에 접속 통부(51)의 최대 외직경보다 대직경의 플랜지형의 대직경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대직경부(63)의 외주면은 대직경 원통면부(64)로 되어 있고, 폐색 바닥부(52)는, 이 대직경 원통면부(64)와 부착 축부(53)의 유지 원통면부(57)를 테이퍼형을 이루어 연결하는 유지 테이퍼면부(65)를 가지고 있다. 또한, 폐색 바닥부(52)는, 접속 통부(51)의 내측에 평탄한 접촉 저면부(66)를 가지고 있고, 접속 통부(51)의 외측에 평탄한 단차면부(67)를 가지고 있다. 폐색 바닥부(52)의 대직경 원통면부(64), 유지 테이퍼면부(65), 접촉 저면부(66) 및 단차면부(67)의 각각의 중심축은 일치하여 폐색 바닥부(52)의 중심축으로 되어 있고, 접촉 저면부(66)는 이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다. 이 중심축은 부착 축부(53)의 중심축과 일치하고 있으며, 암형 부재(41)의 중심축으로 되어 있다.
유지 부재(42)는, 원통형부(70)와, 원통형부(70)의 축 방향 일단부로부터, 원통형부(70)로부터 멀어질수록 대직경이 되도록 연장되는 테이퍼형부(71)와, 테이퍼형부(71)의 원통형부(70)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유지판부(7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원환 부재(40)와 암형 부재(41)와 유지 부재(42)가 일체화되어 아이 본체(21)를 구성한다. 이 일체화 시에, 우선, 유지 부재(42)가, 원통형부(70)에 있어서 부착 축부(53)의 유지 원통면부(57)에 감합되고, 테이퍼형부(71)에 있어서 폐색 바닥부(52)의 유지 테이퍼면부(65)에 접촉되어, 암형 부재(41)에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암형 부재(41)가, 부착 축부(53)의 부착 테이퍼면부(58)에 있어서 원환 부재(40)의 부착 테이퍼면부(47)에 접촉되고, 부착 축부(53)의 부착 선단면부(59)에 있어서 원환 부재(40)의 부착 저면부(46)에 접촉되게 되며, 유지 부재(42)가, 원통형부(70)의 테이퍼형부(71)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원환 부재(40)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 상태로, 유지 부재(42)의 원통형부(70)와 암형 부재(41)의 부착 축부(53)가, 원환 부재(4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원환 부재(40)와 암형 부재(41)와 유지 부재(42)가 일체화되어 아이 본체(2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일체화된 상태로, 암형 부재(41)의 중심축이 원환 부재(40)의 직경 방향을 따르게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42)의 유지판부(72)의 외주부에 더스트 커버(16)가 연결되고, 이에 의해, 더스트 커버(16)가 아이 본체(21)에 유지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부재(41)의 접속 통부(51)에는, 직경 방향 외측의 외측벽(75)에 직경 방향 내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형부(76)가 소성 가공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 소성 가공 전, 접속 통부(51)는, 부착 축부(53) 및 폐색 바닥부(5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원통형의 접속 통부(51)에, 로드(14)의 실린더(12)의 외부로 연장되는 타단의 수형부(27)가, 접촉 선단면부(34)를 접촉 저면부(66)에 접촉시킬 때까지 삽입된다. 즉, 아이 본체(21)의 암형 부재(41)와 로드(14)의 수형부(27)는 서로 감합된다. 따라서, 이 원통형의 접속 통부(51)의 내직경은, 로드(14)의 수형부(27)의 감합 원통면부(30)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고, 접속 통부(51) 및 로드(14)는 헐겁게 끼워지게 감합된다. 로드(14)의 수형부(27)는, 암형 부재(41)의 접속 통부(51)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고, 이 수형부(27)의 축 방향의 접촉 선단면부(34)와는 반대측의 중간 위치에 환형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의 접속 통부(51)의 외측벽(75)에 외주면으로부터 코킹 가공에 의한 소성 변형으로,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의 오목형부(76)가 형성되게 된다. 접속 통부(51)의 외측벽(75)의 오목형부(76) 이외의 외주면은 원통형의 외주 원통면부(77)로 되어 있다. 이 외주 원통면부(77)의 중심축을 접속 통부(51)의 중심축으로 하면, 이 중심축도 암형 부재(41)와 일치한다.
오목형부(76)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의 개구부(54)측에 있으며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의 깊이가 깊고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의 폭이 넓은 개구측 오목부(81)와, 개구측 오목부(81)로부터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의 폐색 바닥부(52)측으로 연장되고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의 깊이가 얕으며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의 폭이 좁은 바닥측 오목부(82)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에서 본 경우에, 오목형부(76)는 T자형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개구측 오목부(81)는,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둘레 방향의 길이 쪽이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바닥측 오목부(82)는,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 축 방향의 길이 쪽이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측 오목부(81)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부재(41)의 접촉 저면부(66)에 접촉 선단면부(34)를 접촉시킨 상태의 로드(14)의 환형홈(28)과 암형 부재(41) 및 로드(14)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맞추고 있으며,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측 오목부(81)의 위치의 직경 방향 내측의 내측벽(측벽)(85)에는, 개구측 오목부(81)의 형성에 의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로드(14)의 환형홈(28) 내에 압입되어 접합되는 접합부(8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접합부(86)도 상기한 코킹 가공에 의한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접속 통부(51)의 직경 방향 내측의 내측벽(85)의 접합부(86) 이외의 부분은, 원통형인 채이며, 내주 원통면부(87)로 되어 있다. 이 내주 원통면부(87)의 중심축도 암형 부재(41)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개구측 오목부(81)는, 가장 깊이가 깊은 위치에, 암형 부재(4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형의 저면부(90)를 가지고 있고, 저면부(90)의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54)측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벽면부(91)와, 저면부(90)의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54)와는 반대측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벽면부(92)와, 저면부(90)의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도 2 및 도 3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쪽만을 도시)의 벽면부(93)를 가지고 있다. 저면부(90)는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정 위치에 일정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54)측의 벽면부(91)는,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의 외측일수록 축 방향의 개구부(54)측에 위치하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개구부(54)와는 반대측의 벽면부(92)는,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의 외측일수록 축 방향의 개구부(5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한 쌍의 벽면부(93)도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의 외측일수록 상호 간격을 넓히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즉, 개구측 오목부(81)는, 저면부(90)측일수록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의 간격이 좁아지고, 저면부(90)측일수록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의 간격도 좁아지는, 오므라든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개구측 오목부(81)의 저면부(90)는,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에 있어서, 그 전체가, 로드(14)의 환형홈(28)의 범위 내, 즉 양측의 홈 벽면부(33) 및 홈 벽면부(3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86)는, 로드(14)의 환형홈(28) 내로 들어가, 선단의 접촉면부(94)가 홈 저면부(32)에 면접촉으로 접촉한다. 또한, 접합부(86)는 환형홈(28)의 양측의 홈 벽면부(33) 및 홈 벽면부(33)에 대하여 적어도 홈 저면부(32)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접촉하고 있다. 접합부(86)도, 개구측 오목부(81)와 마찬가지로,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으로 짧고 둘레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닥측 오목부(82)는, 암형 부재(41)의 접촉 저면부(66)에 접촉 선단면부(34)를 접촉시킨 상태의 로드(14)의 환형홈(28)과 축 방향 위치를 상이하게 하고 있으며,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측 오목부(82)의 위치의 내측벽(85)에는, 바닥측 오목부(82)의 형성에 의해 내주 원통면부(87)보다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약간 돌출하여, 로드(14)의 환형홈(28)과 접촉 선단면부(34) 사이의 감합 원통면부(30)에 압박되는 압박부(9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압박부(99)도 상기한 코킹 가공에 의한 소성 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암형 부재(41)에는, 수형부(27)의 환형홈(28)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의 감합 원통면부(30)에 대향하여, 수형부(27)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9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 내측의 내측벽(85)에는, 환형홈(28) 내에 압입되어 접합되는 접합부(86)가 형성되고, 환형홈(28)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면하여, 로드(14)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99)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부(99)는, 돌출 선단의 접촉면부(100)에서 감합 원통면부(30)에 면접촉으로 접촉한다. 이 압박부(99)는, 상기한 접합부(86)의 양측 홈 벽면부(33) 및 홈 벽면부(33)에 접촉하는 부분 중, 개구부(54)와는 반대측인 한쪽 측과의 사이에 접촉면부(100)보다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으로 움푹 패인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아, 접촉면부(100)에 있어서 접합부(86)에 연결되어 있다. 즉, 압박부(99)는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 즉 로드(14)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접합부(86)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압박부(99)는, 적어도, 로드(14)의 환형홈(28)으로부터 접촉 선단면부(34)측의 감합 원통면부(30)의 환형홈(28)측의 단부에 항상 압박력을 가지고 접촉하고 있다. 압박부(99)는, 접합부(86)로부터, 로드(14)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형부(27)가 형성된 일단의 방향, 즉 접촉 선단면부(34)의 방향, 다시 말하면, 암형 부재(41)에 있어서의 폐색 바닥부(52)의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바닥측 오목부(8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측 오목부(81)의 폐색 바닥부(52)측의 벽면부(92)의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 개구하고 있다. 바닥측 오목부(82)는,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저면부(101)와, 저면부(101)의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도 2 및 도 3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한쪽만을 도시)의 벽면부(102)로 이루어져 있다. 저면부(101)는, 외주 원통면부(77)의 폐색 바닥부(52)측으로부터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 오목형의 원호형을 이루어 개구측 오목부(81)측으로 연장되고, 그 후,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을 대략 따르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 쌍의 벽면부(102)는 대략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벽면부(102)끼리가 이루는 각이, 개구측 오목부(81)의 한 쌍의 벽면부(93)끼리가 이루는 각보다 작게 되어 있다. 압박부(99)도 바닥측 오목부(82)와 마찬가지로,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으로 짧고 축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합부(86)보다 둘레 방향으로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압박부(99) 및 바닥측 오목부(82)를,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으로 길고 축 방향으로 짧은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개구측 오목부(81)의 평균적인 깊이는 바닥측 오목부(82)의 평균적인 깊이보다 깊게 되어 있고, 따라서, 소성 변형에 의한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에서의 바닥측 오목부(82)의 변형량은, 개구측 오목부(81)의 변형량보다 작으며, 접합부(86)에 비해서 압박부(99)의 압입량이 작게 되어 있다.
상기한 개구측 오목부(81) 및 바닥측 오목부(82)를 갖는 오목형부(76)가,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부분 형성되게 되고, 따라서 접합부(86) 및 압박부(99)도 각각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부분 형성되게 된다. 개구측 오목부(81)가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부분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 부재(41)의 개구부(54)측의 단부, 즉 개구단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모든 오목형부(76)는, 암형 부재(4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의 위치, 즉 둘레 방향으로 180도 상이한 위치에, 다른 오목형부(76)가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의 완충기(11)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코킹 가공을 행하기 전의 상태, 즉 접속 통부(51)가 원통형을 이루는 암형 부재(41)와 원환 부재(40)와 유지 부재(42)를 용접에 의해 일체화하여 아이 본체(21)를 형성하고, 이 아이 본체(21)를 카치온 도장에 의해 도장하는 도장 공정을 행한다. 또한, 실린더(12)에 대해서도, 아이 본체(23)가 용접된 상태로 카치온 도장에 의해 도장하는 도장 공정을 행한다. 또한, 로드(14)에 대해서는, 환형홈(28)이 형성된 상태로 외표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 공정을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 아이(15)의 아이 본체(21)를 도장하는 도장 공정과, 실린더(12)를 도장하는 도장 공정과, 로드(14)를 도금하는 도금 공정을 각각 따로따로 행하고,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 아이(15)의 아이 본체(21)의 접속 통부(51)에 로드(14)의 수형부(27)를 삽입하며, 접속 통부(51)의 외측벽(75)을 외측으로부터 코킹함으로써 내측벽(85)의 접합부(86)를 로드(14)의 환형홈(28) 내에 압입하여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접속 통부(51)의 내측벽(85)의 환형홈(28)과는 축 방향으로 상이한 감합 원통면부(30)의 위치를 로드(14)를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 공정을 동시에 행한다. 아울러, 둘레 방향의 복수 부분에 관해서도 동시에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아이 본체(21)의 둘레 방향의 복수 위치에, 개구측 오목부(81)와 바닥측 오목부(82)로 이루어지는 오목형부(76)를 형성하고, 그 결과, 아이 본체(21)의 둘레 방향의 복수 위치에, 로드(14)의 환형홈(28)에 들어가는 접합부(86) 및 로드(14)의 감합 원통면부(30)에 압박되는 압박부(99)를 형성하여, 아이 본체(21)를 로드(14)에 고정한다. 즉, 접속 통부(51)의 접합부(86)를 로드(14)의 환형홈(28) 내에 압입하여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행함으로써 아이 본체(21) 및 로드(14)의 축 방향의 상대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더하여, 접속 통부(51)의 환형홈(28)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의 압박부(99)를 로드(14)의 감합 원통면부(30)를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 공정을 행하여 헐거운 끼워맞춤을 위한 간극을 찌그러뜨려, 아이 본체(21)에 대한 로드(14)의 쓰러짐을 규제하게 된다. 더욱,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상대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접합 공정과 압박 공정을 따로따로 행하여도 좋고, 그 경우는, 접합 공정을 행하여 아이 본체(21)를 로드(14)에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한 후, 압박 공정을 행하여 아이 본체(21)에 대한 로드(14)의 쓰러짐을 규제하게 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코킹 가공 장치(120)에 의해, 상기한 접합 공정과 압박 공정을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시에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코킹 가공 장치(120)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을 이루는 테이블(121)의 중앙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 본체(21)를 그 원환 부재(40)에 있어서 지지하는 지지대(12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대(122)는, 원환 부재(40)의 하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123)와, 원환 부재(40)의 직경 방향의 양측 단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원통형의 측부 지지부(124)를 가지고 있다. 아이 본체(21)는, 원환 부재(40)를 하방을 향하게 하고 암형 부재(41)를 상방을 향하게 한 상태로 지지대(122)에 지지되게 되고, 이에 의해, 암형 부재(41)는 중심축이 테이블(121)의 중심축에 일치 가능해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121)의 외주측에는, 테이블(12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테이블(121)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구체적으로는 6개의 코킹 실린더(127)가 부착되어 있다. 코킹 실린더(127)는, 테이블(121)에 고정되는 실린더 본체(128)와, 실린더 본체(128)에 대하여 진퇴하는 로드(129)를 가지고 있으며, 로드(129)의 중심축을 테이블(121)의 직경 방향을 따르게 하며, 또한 로드(14)의 전진측을 테이블(121)의 중앙을 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테이블(121)에는, 그 중심축과 각 코킹 실린더(127)를 연결하도록 테이블(121)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도 6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레일(132)이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132)에는 그 안내에 의해 이동하는 공구 슬라이더(133)가 지지되어 있고, 각 공구 슬라이더(133)에 코킹 실린더(127)의 로드(129)가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121)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킹 실린더(127)끼리의 사이에는, 테이블(12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레일(136)이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136)에는, 그 안내에 의해 이동하는 동기 슬라이더(137)가 지지되어 있다.
코킹 실린더(127)에 연결된 공구 슬라이더(133)와, 이것에 인접하는 동기 슬라이더(137)에는, 링크 부재(140)가 개재되어 있다. 링크 부재(140)는, 일단이 공구 슬라이더(133)의 회동축(14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동기 슬라이더(137)의 회동축(14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든 공구 슬라이더(133)는, 각각 양옆의 동기 슬라이더(137)와 링크 부재(140)로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모든 공구 슬라이더(133)가 동기하여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좌측의 코킹 실린더(127)는 로드(129)의 후퇴 상태를, 우측의 코킹 실린더(127)는 로드(129)의 전진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공구 슬라이더(133)의 선단측에는, 공구 부착부(145)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구 부착부(145)에, 코킹 공구인 도 7에 나타내는 펀치(150)가 고정된다. 펀치(150)는, 평면에서 보아 끝이 가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 평행한 상면부(151) 및 하면부(152)와, 상면부(151) 및 하면부(152)에 수직을 이루어 이들 후단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후면부(153)와, 상면부(151) 및 하면부(152)에 수직을 이루며 후면부(153)에도 수직을 이루어 후면부(153)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후방부 측면부(154)와, 이들 후방부 측면부(154)의 각각의 앞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면부(151) 및 하면부(152)에 수직을 이루며 연속하는 후방부 측면부(154)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어 연장하는 한 쌍의 전방부 측면부(155)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전방부 측면부(155)는, 한 쌍의 후방부 측면부(154)와는 반대측일수록 서로 근접하고 있다.
또한, 펀치(150)는, 후면부(153)와는 반대측에, 상면부(151) 및 하면부(152)에 수직을 이루며 후방에 오목형의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면부(160)를 가지고 있다. 선단면부(160)는, 상면부(151) 및 하면부(152)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면부(151) 및 하면부(152)를 연결하는 방향에서는 일정 위치에 일정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펀치(150)는, 선단면부(160)의 상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면부(153)의 방향으로,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상면부(161)와, 연장 상면부(161)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면부(151)까지 상면부(15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상측 전면부(162)와, 선단면부(160)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양측으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하면부(163)와, 이들 연장 하면부(163)의 각각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면부(152)까지 하면부(152)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측 전면부(164)와, 선단면부(160)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중앙으로부터 하면부(152)까지 연장되는 중앙 전면부(165)와, 중앙 전면부(165)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한 쌍의 하측 전면부(164)의 내측 가장자리까지 한 쌍의 후방부 측면부(154)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단 측면부(166)를 가지고 있다. 중앙 전면부(165)는, 전체적으로 선단면부(160)보다 후면부(153)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이상의 펀치(150)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부(151)가 상측, 하면부(152)가 하측에 각각 수평으로 배치되고, 선단면부(160)가 테이블(121)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자세로, 공구 슬라이더(133)의 공구 부착부(145)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선단면부(160)를 포함하는 선단 코킹부(175)에 의해,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아이 본체(21)에 상기한 오목형부(76)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펀치(150)는, 선단면부(160)가 오목형부(76)의 개구측 오목부(81)의 저면부(90)를 형성하고, 연장 상면부(161)가 개구측 오목부(81)의 벽면부(91)를 형성하고, 연장 하면부(163)가 개구측 오목부(81)의 벽면부(92)를 형성하고, 한 쌍의 전방부 측면부(155)의 전방부가 개구측 오목부(81)의 한 쌍의 벽면부(93)를 형성하고, 한 쌍의 전단 측면부(166)가 바닥측 오목부(82)의 한 쌍의 벽면부(102)를 형성하고, 중앙 전면부(165)가 바닥측 오목부(82)의 저면부(101)를 형성하게 된다.
펀치(150)의 선단 코킹부(175)는, 이들 선단면부(160), 연장 상면부(161), 한 쌍의 연장 하면부(163), 한 쌍의 전방부 측면부(155)의 전방부, 한 쌍의 전단 측면부(166) 및 중앙 전면부(165)를 가지고 있고, 전방에서 보아 T자형을 이루고 있다. 즉, 펀치(150)의 선단 형상은 T자형으로 되어 있다. 펀치(150)에는, 상면부(151) 및 하면부(152)에 수직을 이루어 부착 나사 구멍(177)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이들 부착 나사 구멍(177)에서, 도 5에 나타내는 코킹 가공 장치(120)의 공구 부착부(145)에 고정된다.
상기 펀치(150)가 각각 선단 코킹부(175)를 지지대(122)를 향하게 하여 공구 슬라이더(133)의 공구 부착부(145)에 고정되게 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펀치(150)가, 테이블(121)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6개소에 배치되어, 각각 테이블(121)의 직경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지지대(122)에 지지된 아이 본체(21)의 상향으로 개구하는 암형 부재(41)에, 상측으로부터 로드(14)가 수형부(27)에 있어서 감합되게 되고, 코킹 가공 장치(120)는, 이와 같이 아이 본체(21)에 감합된 로드(14)를 수직형으로 지지하는 로드 지지 기구(180)를 가지고 있다. 로드 지지 기구(180)는, 로드(14)의 상단부를, 승강 가능한 로드 지지부(181)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코킹 가공 장치(120)의 지지대(122)에 아이 본체(21)가 지지되고, 아이 본체(21)의 암형 부재(41)에 로드(14)가 수형부(27)에 있어서 감합된 후, 로드(14)의 상단부가 로드 지지 기구(180)의 로드 지지부(181)로 지지된다. 이에 의해, 아이 본체(21) 및 로드(14)가 중심축을 일치시켜 연직 방향을 따르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모든 코킹 실린더(127)를 구동시키면, 링크 부재(140) 및 동기 슬라이더(137)에 의해 정확하게 동기되어, 복수의 공구 슬라이더(133)가 아이 본체(21)의 방향으로 전진하고, 이들에 고정된 복수의 펀치(150)가, 동시에 아이 본체(21)의 암형 부재(41)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선단 코킹부(175)에 있어서 접촉하여, 접촉 위치를 직경 방향 내방에 압입하는, 소위 쉬링킹(shrinking) 공법을 행한다. 그때에, 도 7에 나타내는 펀치(15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닥측 오목부(82)의 저면부(101)를 형성하는 중앙 전면부(165)가, 개구측 오목부(81)의 저면부(90)를 형성하는 선단면부(160)보다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 부재(41)의 직경 방향에서의 바닥측 오목부(82)보다 내측 부분의 변형량은, 개구측 오목부(81)보다 내측 부분의 변형량보다 작아지고, 그 결과, 접합부(86)에 비해서 압박부(99)의 압입량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하여, 아이 본체(21)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는 6개소의 위치에,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개구측 오목부(81)와 바닥측 오목부(82)로 이루어지는 오목형부(76)를 형성하고, 그 결과, 아이 본체(21)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는 6개소의 위치에, 로드(14)의 환형홈(28)에 들어가는 접합부(86) 및 로드(14)의 감합 원통면부(30)에 압박되는 압박부(99)를 형성하여, 아이 본체(21)를 로드(14)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아이 본체(21)를 로드(14)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결합체(182)를 얻는다.
이상의 접합 공정 및 압박 공정의 동시 공정 후에, 이들 공정에서 얻어진 상기 결합체(182)를, 도 1에 나타내는 실린더(12)에 조립한다. 그때에, 예컨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체(182)를 아이 본체(21)를 하측으로 하여 원환 부재(40)에 있어서 지지 지그(183)에 고정하고, 결합체(182)의 로드(14)에 아이 본체(21)와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 오일 시일(185), 로드 가이드(186) 및 완충체(187)를 장착하여, 로드(14)에 수용기(188)를 고정한 후, 로드(14)의 아이 본체(2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피스톤(13)을 너트(189)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오일 시일(185), 로드 가이드(186), 완충체(187), 수용기(188), 피스톤(13) 및 너트(189)가 부착된 상태의 결합체(182)를 도 1에 나타내는 실린더(12)에 삽입하여 부착한다.
대안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접합 공정 및 압박 공정 전, 즉 아이 본체(21)가 부착되기 전의 로드(14)를, 실린더(12)에 조립하고, 그 후, 상기한 접합 공정 및 압박 공정을 행하여 로드(14)에 아이 본체(21)를 부착하여 이들의 결합체(182)를 얻어도 좋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수형부에 복수의 환형홈을 형성하고, 이들 환형홈에 각각 클린치부를 압입하여, 수형부를 암형부에 접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부의 강성이 저하하여 버린다. 따라서, 품질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복수의 환형홈의 가공이 필수이며, 또한, 지그재그형으로 클린치를 행하기 때문에, 가공 공정수도 더해진다. 또한, 복수의 환형홈의 가공이 필수이기 때문에, 접속부의 축 길이가 길어진다고 하는 과제도 있다.
이에 대하여, 이상에서 서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아이 본체(21)의 암형 부재(41)의 접속 통부(51)에, 외주에 1개의 환형홈(28)을 갖는 로드(14)의 수형부(27)를 감합시켜, 접합 공정에서, 암형 부재(41)의 접속 통부(51)의 내측벽(85)에, 환형홈(28) 내에 압입되어 접합되는 접합부(86)를 복수 형성하고, 아울러, 압박 공정에서, 암형 부재(41)의 접속 통부(51)의 내측벽(85)의 환형홈(28)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대향하여(즉, 면하여), 수형부(27)의 감합 원통면부(30)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99)를 형성한다. 따라서, 접합부(86)에 의해 아이 본체(21)의 암형 부재(41)를 로드(14)에, 로드(14)의 축 방향의 입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도록 접합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아이 본체(21)의 암형 부재(41)를 축 방향으로 상이한 접합부(86)의 위치와 압박부(99)의 위치에 의해 로드(14)에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로드(14)의 아이 본체(21)에 대한 쓰러짐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14)의 아이 본체(21)에 대한 접합 상태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어,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드(14)로부터의 모멘트 입력이나 진동, 반복 입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암형 부재(41)의 접속 통부(51)의 내측벽(85)의 환형홈(28)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대향하여, 로드(14)의 수형부(27)의 감합 원통면부(30)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9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 부재(41), 즉 아이 본체(21)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이 점에서도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99)가, 접합부(86)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부(99)로 로드(14)의 보다 광범위에 아이 본체(21)의 암형 부재(41)의 접속 통부(51)를 압박할 수 있어, 로드(14)의 아이 본체(21)에 대한 쓰러짐을 더욱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14)의 아이 본체(21)에 대한 접합 상태의 적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99)와 접합부(86)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접합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99)가, 접합부(86)와 연속하여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즉, 압박부(99)와 접합부(86)를 이격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압박부(99)와 접합부(86)를 따로따로 형성하는 경우에 품질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접합부(86)가, 암형 부재(41)의 축 방향으로 짧고 둘레 방향으로 긴 형상이기 때문에, 접합부(86)에 의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99)가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으로 짧고 축 방향으로 긴 형상이기 때문에, 로드(14)의 쓰러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99)는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으로 길고 축 방향으로 짧은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압박부(99)가, 접합부(86)로부터 로드(14)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형부(27)측이 되는 일단의 방향(접촉 선단면부(34)의 방향)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홈(28) 내에 압입되는 접합부(86)가 로드(14)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접합하게 된다. 따라서, 로드(14)의 아이 본체(21)에 대한 쓰러짐을 더욱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14)의 아이 본체(21)에 대한 접합 상태의 적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부(99) 및 이것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82)를, 접합부(86) 및 이것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81)로부터 로드(14)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형부(27)와는 반대측이 되는 타단의 방향(접촉 선단면부(34)와는 반대의 방향)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로드(14)의 쓰러짐 방향의 힘에 대한 암형 부재(41)의 접속 통부(51)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99) 및 이것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82)를, 접합부(86) 및 이것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81)로부터 로드(14)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 방향 및 타단 방향의 양방향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도, 압박부(99)를 암형 부재(41)의 둘레 방향으로 짧고 축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하거나, 둘레 방향으로 길고 축 방향으로 짧은 형상으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가공성은 떨어지지만, 오목부(81)와 오목부(82)를 이격하여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접합부(86)에 비해서 압박부(99)의 압입량이 작기 때문에, 암형 부재(41)의 접속 통부(51)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암형 부재(41)의 개구단에 플랜지부(10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14)의 쓰러짐에 의한 모멘트가 가해지는 암형 부재(41)의 개구단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 아이(15)의 아이 본체(21)를 도장하는 도장 공정과, 실린더(12)를 도장하는 도장 공정과, 로드(14)를 도금하는 도금 공정을 각각 행하고, 그 후, 아이 본체(21)의 접속 통부(51)에 로드(14)를 삽입하여 접속 통부(51)의 내측벽(85)을 환형홈(28) 내에 압입하여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행하기 때문에, 로드(14)의 도금이 도장 공정에 의한 영향(특히 열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어, 도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아이 본체(21)에 로드(14)를 용접하는 경우에는 용접 후에 도장하게 되기 때문에, 도장 후의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로로부터의 입열에 의해 도금의 품질이 저하하며, 내식성이 저하하여 버리게 되지만, 아이 본체(21)에 로드(14)를 용접하지 않고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로드(14)의 도금의 품질, 즉 방청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용접을 폐지함으로써, 로드(14)의 미끄럼 이동부에 악영향을 끼치는 용접 스퍼터나 용접 버(burr) 등의 발생이 없어, 이 점으로부터도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용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로드(14)의 소재에 S45C 등의 고탄소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로드(14)의 표면 경도, 네크 강도, 항장력을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로드(14)의 표면 경도를 올림으로써, 미끄럼 이동면의 상처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합 공정 후에, 로드(14)를 실린더(12)에 조립함으로써, 접합 공정에서는 실린더(12)가 없어,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접합 공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접합 공정 전에, 로드(14)를 실린더(12)에 조립한 경우, 로드(14)를 실린더(12)에 조립하는 데에 아이 본체(21)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어, 이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조립 순서의 선택지가 늘어남으로써 제조 공정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도장 공정에서, 도장 건조 시에 있어서의 건조 온도가 특히 높은 카치온 도장으로 도장되기 때문에, 건조로에 로드(14)를 입로(入爐)하지 않는 것에 의한 도금의 품질 저하 즉 방청력의 저하를 막는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또한, 방청을 위해서는 건조 온도를 올릴 필요가 있어, 카치온 도장 이외에도, 건조로 온도가 오르는 도장이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합 공정과 압박 공정을 동시에 행하기 때문에, 이들 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접합 공정 및 압박 공정을 동시에 행하는 펀치(150)의 선단 형상이 T자형이기 때문에, 접합부(86)를 폭이 넓은 형상으로, 그리고 압박부(99)를 폭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 본체(21)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면서 효과적으로 접합부(86) 및 압박부(99)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환형홈(28)을 1개로 할 수 있기 때문에(2개로 하여도 좋음) 가공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축 방향 치수를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11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14)의 환형홈(28)의 홈 저면부(32)에 홈 저면부(32)보다 움푹 패인 스폿 페이싱(200)이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스폿 페이싱(200)은, 로드(14)의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1개소 이상, 구체적으로는 180도 상이한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환형홈(28) 내에 스폿 페이싱(200)에 의한 오목한 부분과, 스폿 페이싱(200)끼리의 사이의 볼록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로드(14)를, 상기한 코킹 가공 장치(120)로 아이 본체(21)에 부착하게 되지만, 그때에, 코킹 가공 장치(120)의 6개의 펀치(150) 중, 180도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어느 2개의 펀치(150)를 연결하는 선 상에, 상기한 2개소의 스폿 페이싱(200)이 위치하도록 위상을 맞추어, 로드(14)의 수형부(27)를 아이 본체(21)에 삽입한다.
그리고, 접합 공정에서, 6개의 펀치(150)로, 아이 본체(21)의 암형 부재(41)에 6개소의 접합부(86)를 형성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한 2개의 펀치(150)에 의한 코킹 가공에 의해 형성된 2개소의 접합부(86)에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14)의 환형홈(28)의 홈 저면부(32)에 접촉하는 접촉면부(94)보다 더욱 돌출하여 스폿 페이싱(200)에 들어가는 돌출부(201)가 형성된다.
이상에 서술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형홈(28) 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하게 되는 스폿 페이싱(20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부(86)의 돌출부(201)를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접촉압에 의해서만 로드(14)와 아이 본체(21)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제1 실시형태보다, 상대 회전의 토크에 대한 강도가 증가하여,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컨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14)에 아이 본체(21)를 고정한 후, 아이 본체(21)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로, 너트(189)를 체결할 때에, 보다 높은 토크에서의 체결이 가능해진다. 또한, 환형홈(28) 내의 한 쌍의 홈 벽면부(33) 중 적어도 한쪽을 요철로 하여도 좋고, 이것에 홈 저면부(32)의 요철을 부가하여도 좋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제3 실시형태를 도 12∼도 14에 기초하여 주로 제2 실시형태와의 상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스폿 페이싱(200) 대신에, 로드(14)의 환형홈(28)의 홈 저면부(32)에, 세레이션홈(210)이 전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세레이션홈(210)은, 로드(1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환형홈(28) 내에 세레이션홈(210)에 의한 오목한 부분과, 인접하는 세레이션홈(210)끼리의 사이의 볼록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로드(14)를, 상기한 코킹 가공 장치(120)로 아이 본체(21)에 부착하게 되지만, 그때에,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위상 맞춤은 불필요하며, 임의의 각도로 로드(14)의 수형부(27)를 아이 본체(21)에 삽입한다.
그리고, 접합 공정에서, 6개의 펀치(150)로, 아이 본체(21)의 암형 부재(41)에 6개소의 접합부(86)를 형성한다. 그렇게 하면, 각 펀치(150)에 의한 코킹 가공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86)에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레이션홈(210)에 들어가는 돌출부(211)가 형성된다. 또한, 세레이션홈(210)의 배치 간격은, 로드(14)의 아이 본체(21)에 대한 위상을 임의로 하여도, 반드시 접합부(86)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에 서술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형홈(28) 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하게 되는 세레이션홈(21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부(86)의 돌출부(211)를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세레이션홈(210)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조 효율이 향상되는데다가, 다수의 오목부를 좁은 배치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로드(14)의 아이 본체(21)에 대한 위상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제조 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도, 환형홈(28) 내의 한 쌍의 홈 벽면부(33) 중 적어도 한쪽을 요철로 하여도 좋고, 이것에 홈 저면부(32)의 요철을 부가하여도 좋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14)의 수형부(27)의 환형홈(28)을 제외한 감합 원통면부(30)의 환형홈(28)보다 접촉 선단면부(34)측에, 세레이션홈(215)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압박 공정에서, 아이 본체(21)의 압박부(99)에 접촉면부(100)보다 돌출하여 세레이션홈(215)에 들어가는 돌출부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로드(14)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감합 원통면부(30)의 환형홈(28)보다 접촉 선단면부(34)측에, 세레이션홈(215) 대신에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스폿 페이싱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14)의 수형부(27)의 환형홈(28)을 제외한 감합 원통면부(30)의 환형홈(28)으로부터 접촉 선단면부(34)와는 반대측에, 세레이션홈(220)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압박 공정에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14)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합부(86)의 접촉 선단면부(34)와는 반대측에 압박부(99)를 형성하게 된다. 그 결과, 아이 본체(21)의 압박부(99)에 접촉면부(100)보다 돌출하여 세레이션홈(220)에 들어가는 돌출부가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도, 감합 원통면부(30)의 환형홈(28)으로부터 접촉 선단면부(34)와는 반대측에, 세레이션홈(215) 대신에 제2 실시형태와 같은 스폿 페이싱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에 서술한 실시형태는, 암형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암형부에 삽입되는 수형부를 일단에 갖고 상기 수형부의 외주에 환형홈을 갖는 제2 부재를 서로 감합시켜, 상기 암형부의 측벽에, 상기 환형홈 내에 압입되어 접합되는 접합부가 복수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암형부에는, 상기 수형부의 상기 환형홈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대향하여, 상기 수형부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부재의 암형부를 제2 부재에, 접합부에 의해 제2 부재의 축 방향의 입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도록 접합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암형부를 축 방향으로 상이한 접합부의 위치와 압박부의 위치에 의해 제2 부재에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부재의 제1 부재에 대한 쓰러짐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재의 제1 부재에 대한 접합 상태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어,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암형부의 환형홈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대향하여, 수형부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부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가, 상기 접합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부로부터 제2 부재의 보다 광범위에 제1 부재의 암형부를 압박할 수 있어, 제2 부재의 제1 부재에 대한 쓰러짐을 더욱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재의 제1 부재에 대한 접합 상태의 적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가, 상기 접합부로부터 상기 제2 부재의 일단의 방향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형홈 내에 압입되는 접합부가 제2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접합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부재의 제1 부재에 대한 쓰러짐을 더욱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재의 제1 부재에 대한 접합 상태의 적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가, 상기 접합부로부터 상기 제2 부재의 타단의 방향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부재의 쓰러짐 방향의 힘에 대한 제1 부재의 암형부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에 비해서 상기 압박부의 압입량이 작기 때문에, 암형 부재의 접속 통부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형홈 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하게 되는 부분에 접합부를 넣음으로써,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형부의 상기 환형홈을 제외한 상기 제1 부재와의 감합부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부재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형부의 개구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부재의 쓰러짐에 의한 모멘트가 가해지는 암형부의 개구단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부착되는 부착 아이를 구비하는 완충기로서, 상기 부착 아이는, 상기 로드의 타단이 삽입되는 접속 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의 타단의 상기 접속 통부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환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접속 통부의 측벽에는, 상기 환형홈 내에 압입되어 접합되는 접합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환형홈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면하여, 상기 로드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 아이를 접합부에 의해 로드에, 로드의 축 방향의 입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도록 접합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부착 아이를 축 방향으로 상이한 접합부의 위치와 압박부의 위치에 의해 로드에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로드의 부착 아이에 대한 쓰러짐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의 부착 아이에 대한 접합 상태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어,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접속 통부의 측벽의 환형홈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면하여 로드를 향하여 압박되는 압박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아이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이 점에서도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부착되는 부착 아이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아이는, 상기 로드의 타단이 삽입되는 접속 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의 타단의 상기 접속 통부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환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 통부의 측벽에는, 상기 환형홈 내에 압입되어 접합되는 접합부가 복수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완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부착 아이를 도장하는 도장 공정과, 상기 실린더를 도장하는 도장 공정과, 상기 로드를 도금하는 도금 공정을 각각 행하고, 그 후, 상기 부착 아이의 상기 접속 통부에 상기 로드를 삽입하여 상기 접속 통부의 측벽을 상기 환형홈 내에 압입하여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로드의 도금이 도장 공정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이 없어, 도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공정 후에, 상기 로드를 상기 실린더에 조립함으로써, 접합 공정에 있어서는 실린더가 없기 때문에, 접합 공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 공정 전에, 상기 로드를 상기 실린더에 조립함으로써, 로드를 실린더에 조립하는 데에 부착 아이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어, 이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도장 공정의 도장은, 카치온 도장이기 때문에, 도금의 품질 저하를 막는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상기 접속 통부의 측벽의 상기 환형홈과는 축 방향의 상이한 위치를 상기 로드를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 공정을 행함으로써, 로드의 부착 아이에 대한 쓰러짐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접합 공정과 상기 압박 공정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접합 공정과 압박 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접합 공정 및 상기 압박 공정은, 복수의 펀치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하여 직경 방향으로 압입함으로써 행해지게 되고, 상기 펀치의 선단 형상을 T자형으로 함으로써 폭이 넓은 부분과 폭이 좁은 부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 아이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면서 효과적인 접합 및 압박이 가능해진다.
11 완충기 12 실린더 13 피스톤 14 로드(제2 부재) 15 부착 아이 21 아이 본체(제1 부재) 27 수형부 28 환형홈 30 감합 원통면부(감합부) 41 암형 부재(암형부) 51 접속 통부 85 내측벽(측벽) 86 접합부 99 압박부 108 플랜지부 150 펀치 182 결합체

Claims (9)

  1. 암형부(41)를 갖는 제1 부재(21)와,
    상기 암형부(41)에 삽입되는 수형부(27)를 일단에 갖고, 상기 수형부(27)의 외주에 환형홈(28)과 상기 환형홈(28)을 제외한 부분에 상기 환형홈(28)의 홈 저면부(32)보다 대직경의 감합부(30)를 갖고, 상기 제1 부재(21)와 상호 감합되는 제2 부재(14)를 포함하고,
    상기 암형부(41)의 측벽에,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오목부(81)와, 상기 제1 오목부(81)의 위치의 직경 방향 내측에 상기 환형홈(28) 내에 압입되어 접합되는 접합부(86)가 상기 암형부(41)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암형부(41)의 측벽에는, 상기 제1 오목부(81)와는 축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오목부(82)와, 상기 제2 오목부(82)의 위치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감합부(30)를 향하여 압박되어 면접촉으로 접촉하는 압박부(99)가 상기 암형부(41)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박부(99)는 상기 접합부(86)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82)가 상기 제1 오목부(81)에 개구하고 있고,
    상기 압박부가, 상기 제1 부재(21)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가, 상기 접합부로부터 상기 제2 부재의 일단의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가, 상기 접합부로부터 상기 제2 부재의 타단의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 비해서 상기 압박부의 압입량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홈 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부의 상기 환형홈을 제외한 상기 제1 부재와의 감합부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부의 개구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체.
  9. 완충기로서,
    제1항에 기재된 결합체와,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부착되는 부착 아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부착 아이의 상기 로드의 타단이 삽입되는 접속 통부이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KR1020120149374A 2011-12-27 2012-12-20 결합체 및 완충기 KR102049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86639 2011-12-27
JP2011286639A JP5909358B2 (ja) 2011-12-27 2011-12-27 結合体、緩衝器および緩衝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668A KR20130075668A (ko) 2013-07-05
KR102049115B1 true KR102049115B1 (ko) 2019-11-26

Family

ID=4857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374A KR102049115B1 (ko) 2011-12-27 2012-12-20 결합체 및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4559B2 (ko)
JP (1) JP5909358B2 (ko)
KR (1) KR102049115B1 (ko)
CN (1) CN103398133B (ko)
CZ (1) CZ2012954A3 (ko)
DE (1) DE102012224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3600B2 (ja) * 2013-02-04 2016-11-09 Kyb株式会社 緩衝器
DE202013100700U1 (de) * 2013-02-15 2013-03-11 Stabilus Gmbh Kolben-Zylinder-Einheit
DE102014211264A1 (de) * 2014-06-12 2015-12-17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CN105715729A (zh) * 2016-03-30 2016-06-29 无锡市中亚减震器有限公司 用于减震器的连接杆
US10920847B2 (en) 2018-07-25 2021-02-16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damper tube
CN113454361A (zh) * 2019-02-26 2021-09-28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缓冲器
CN117043491A (zh) * 2021-04-28 2023-11-10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致动器装置的制造方法以及致动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112A (ja) * 2003-10-10 2005-04-28 Kayaba Ind Co Ltd ブラケット連結構造
JP2008055483A (ja) * 2006-08-31 2008-03-13 Hitachi Ltd 突合せ接合方法、メカニカルクリンチ装置、接合ロッドおよびシリンダ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3158A (en) * 1929-05-15 1931-09-15 Clark Equipment Co Ax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163197A (en) * 1961-01-09 1964-12-29 Rosan Eng Corp Two-piece insert
DE2619176C2 (de) * 1976-04-30 1982-10-21 Stabilus Gmbh, 5400 Koblenz Gasfeder mit aufgehobener Ausschubkraft bei eingefahrener Kolbenstange
DE2659491A1 (de) * 1976-12-30 1978-07-13 Stabilus Gmbh Belastungsabhaengig absperrbare gasfeder
US4097163A (en) * 1977-01-10 1978-06-27 Tyee Aircraft, Inc. Method of swage joining a rod end to a tube and the product thereof
JPS60123410A (ja) 1983-12-08 1985-07-02 Tokyo Organ Chem Ind Ltd 病害防除剤
JPS60123410U (ja) * 1984-01-30 1985-08-20 リズム自動車部品製造株式会社 ボ−ルジヨイントの取付け構造
AU636667B2 (en) * 1989-09-11 1993-05-06 Stabilus Gmbh Self-blocking gas spring with temperature-responsive bypass valve
JPH04249632A (ja) * 1990-12-28 1992-09-04 Atsugi Unisia Corp ガススプリ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548139C2 (de) * 1995-12-21 1998-09-24 Stabilus Gmbh Gasfeder mit einstellbarer Endposition
JP2001343044A (ja) * 2000-06-01 2001-12-14 Showa Corp ガススプリング
JP3420754B2 (ja) * 2000-10-10 2003-06-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プロペラシャフト
JP2005291302A (ja) * 2004-03-31 2005-10-20 Hitachi Ltd 油圧緩衝器
JP2008055843A (ja) 2006-09-01 2008-03-13 Fujifilm Corp 感熱記録材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4112A (ja) * 2003-10-10 2005-04-28 Kayaba Ind Co Ltd ブラケット連結構造
JP2008055483A (ja) * 2006-08-31 2008-03-13 Hitachi Ltd 突合せ接合方法、メカニカルクリンチ装置、接合ロッドおよびシリンダ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1141A1 (en) 2013-06-27
CN103398133B (zh) 2016-06-22
JP2013133927A (ja) 2013-07-08
DE102012224402A1 (de) 2013-06-27
CN103398133A (zh) 2013-11-20
JP5909358B2 (ja) 2016-04-26
US9234559B2 (en) 2016-01-12
KR20130075668A (ko) 2013-07-05
CZ2012954A3 (cs)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115B1 (ko) 결합체 및 완충기
US7784394B2 (en) Butt joining method
CN101512166B (zh) 组件及其制造方法
US20100140920A1 (en) Pipe joint including a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a joint section of a pipe joint
KR20090018932A (ko) 내연 기관용 피스톤 및 그 제조 방법
US20110252595A1 (en) Fitting member
KR101886456B1 (ko) 내연기관용 피스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07319919A (ja) パイプのエキスパンド加工装置
US5167310A (en) Hub part for a clutch disc
CN107178562B (zh) 离合器环形齿轮组件及其构造方法
KR101872982B1 (ko) 실린더 장치
KR101967642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101668192B1 (ko) 원웨이 클러치용 인너레이스 앗세이의 제조방법
JP4188053B2 (ja) シフトスリーブのベースボディ
US20040060160A1 (en) Method for joining rod and collar and joining die set therefor
KR102137995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JP2004232789A (ja) 管接合体及びその接合方法
JP2006150397A (ja) リング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方法およびリング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部材
KR100551814B1 (ko) 자동차용 분할형 프레임 접합구조
KR101415820B1 (ko) 캠 샤프트 어셈블리 제조방법 및 캠 샤프트용 분할형 엔드피스 제조방법
JP4999675B2 (ja) 機械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42925A (ja) ステアリングステムコンポーネントの結合
JP2007107624A (ja) 継手構造
JP2023125628A (ja) 結合体、結合体の製造方法、及び緩衝器
CN103362918A (zh) 用于与构件相连的套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