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683B1 -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683B1
KR102047683B1 KR1020130045151A KR20130045151A KR102047683B1 KR 102047683 B1 KR102047683 B1 KR 102047683B1 KR 1020130045151 A KR1020130045151 A KR 1020130045151A KR 20130045151 A KR20130045151 A KR 20130045151A KR 102047683 B1 KR102047683 B1 KR 102047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support tower
tower
carry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902A (ko
Inventor
김성락
김상준
김태곤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68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81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30m 이상의 비교적 높은 서포트 타워에 적용되어도 안정적이고 신속한 운반 및 조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가 개시된다.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는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바퀴가 구비되는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부와, 상기 차체부를 구동시키는 동력 구동부와, 상기 차체부에 형성되어 서포트 타워를 고정하는 타워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 고정부는 서포트 타워를 다수개의 지점에서 클램핑하는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해당 높이로 조립 작업을 마친 서포트 타워를 추가 작업 없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반이 가능하고, 좌우 동기 기능과 구동부 조향 기능을 이용하여 블록의 지주 캡 아래로 미세 조정, 정렬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원격 조정을 통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SETTLEING SUPPORT TOWER}
본 발명은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건조시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타워를 운반 및 조정하기 위한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대형화로 인하여 최근 건조되고 있는 선박의 높이는 30m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의 건조시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타워(Support Tower)의 높이도 30m에 근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박의 건조시 크레인으로 연결될 블록을 견인한 후 탑재 공정에서 블록 간의 용접 작업과 함께 블록의 지지를 위한 서포트 타워를 블록 아래의 지주 캡 위치로 운반 및 조정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20m 정도 높이의 서포트 타워의 경우에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 및 조정 작업을 수행하지만 서포트 타워의 높이가 30m 정도로 높아짐에 따라 신속하고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서포트 타워의 운반 및 조정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대형 선박 및 구조물의 지지를 위한 서포트 타워를 운반하고 조정하는 작업은 대형 지게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게차의 포크와 서포트 타워에 지게차 포크를 삽입하기 위한 포크 캡 사이의 유격과 지게차 포크 위에 올려놓는 지게차의 견인 방법으로 인하여 중량물인 20m 정도 높이의 서포트 타워의 운반 및 조정 작업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또한, 지게차는 차량 후미의 웨이트로 중량물을 운반하게 되는데 지면에 닿는 지게차 앞바퀴를 중심으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된다. 폭 대비 높은 높이를 갖는 서포트 타워의 경우에는 운반 시 하부에서 발생하는 약간의 흔들림이 상부에서는 큰 흔들림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지게차 포크의 뒤틀림이 발생하여 지게차 포크가 부러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높은 서포트 타워를 운반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되고, 운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부에 블록 진입 시 하부에서 서포트 타워의 연장 체결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블록 탑재 시에는 크레인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느린 작업으로 인하여 크레인이 계속 블록을 견인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30m 이상의 비교적 높은 서포트 타워에 적용되어도 안정적이고 신속한 운반 및 조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는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바퀴가 구비되는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부와, 상기 차체부를 구동시키는 동력 구동부와, 상기 차체부에 형성되어 서포트 타워를 고정하는 타워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 고정부는 서포트 타워를 다수개의 지점에서 클램핑하는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는 해당 높이로 조립 작업을 마친 서포트 타워를 추가 작업 없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반이 가능하고, 좌우 동기 기능과 구동부 조향 기능을 이용하여 블록의 지주 캡 아래로 미세 조정, 정렬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원격 조정을 통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가 서포트 타워를 클램핑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4a,4b,4c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를 배면에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를 배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8a,8b,8c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가 서포트 타워를 클램핑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4a,4b,4c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를 배면에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는 차체부와, 조향부와, 동력 구동부와, 타워 고정부를 포함한다.
차체부는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바퀴는 전륜 바퀴(71)와 후륜 바퀴(72)로 구성된다. 조향부는 상기 차체부의 바퀴 중 전륜 바퀴(71)를 조향시키는 기능을 한다. 동력 구동부는 상기 차체부를 구동시키며, 타워 고정부는 상기 차체부에 형성되어 서포트 타워(99)를 고정한다.
상기 타워 고정부는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다. 클램핑 수단은 서포트 타워(99)를 다수개의 지점에서 클램핑한다. 상기 클램핑 수단은 서포트 타워(99)의 측면 양측을 클램핑하는 제1 클램핑부(90a)(90c)와, 서포트 타워의 측면 중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의 지지면과 직교하는 일면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부(90b)로 구성된다.
결국, 클램핑 수단은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가 "ㄷ"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총 6개 지점에서 클램핑을 수행한다. 따라서, 서포트 타워(99)의 안정적인 견인이 가능하고 기존의 지게차 포크 위에만 얹어 놓는 방식과 비교하여 유격없이 강하게 클램핑할 수 있어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는 각각 클램핑 가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는 미세조정 구동부를 더 구비한다. 미세조정 구동부는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를 슬라이드 구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서포트 타워(99)는 측면에 요입부(991)가 형성되고, 클램핑 수단이 요입부(991)에 삽입 가능하게 차체부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는 도 4a,4b,4c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차체부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면서, 서포트 타워(99)의 요입부(991)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되고 이로 인해 서포트 타워(99)의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동기되게 구동한다.
결국, 서포트 타워(99)는 설치된 원위치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고, 최초 설계에 의한 서포트 타워(99)의 정해진 위치가 다양한 환경적 영향에 의해 변경될 때 상황에 따라 적절히 위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특정 도크에서 서포트 타워가 설치된 상태에서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서포트 타워를 임시 이동하기가 용이해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는 승강 구동부를 더 구비한다. 승강 구동부는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차체부는 본체(10)와, 포크부(20)와, 제1 승강 부재(40) 및 제2 승강 부재(30)를 포함한다. 포크부(20)는 상기 본체(10)로부터 후방으로 한 쌍이 이격되게 연장된다. 하지만, 포크부(20)는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승강 부재(40)는 상기 본체(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 측에 제2 클램핑부(90b)가 구비된다. 제2 승강 부재(30)는 상기 본체(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 측에 제1 클램핑부(90a)(90c)가 구비된다.
한편, 전륜 바퀴(71)는 상기 본체(10) 측에 배치되고, 후륜 바퀴(72)는 상기 포크부(20) 측에 배치된다. 이를 위헤, 후륜 바퀴(72)는 포크부(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승강 부재(40)는 본체(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크부(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서포트 타워(99)를 약 100mm 정도로 상하 리프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는 조작 리모콘(80)이 더 구비된다. 조작 리모콘(80)은 상기 차체부의 전후 구동 및 조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직접 차체부를 운전하지 않고 약 30m 이상의 원거리에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어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를 배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8a,8b,8c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클램핑 포인트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총 12개의 지점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는 차체부와, 조향부와, 동력 구동부와, 타워 고정부를 포함한다.
차체부는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바퀴는 전륜 바퀴(171)와 후륜 바퀴(172)로 구성된다. 조향부는 상기 차체부의 바퀴 중 전륜 바퀴(171) 또는 후륜 바퀴(172) 중 적어도 하나를 조향시키는 기능을 한다. 동력 구동부는 상기 차체부를 구동시키며, 타워 고정부는 상기 차체부에 형성되어 서포트 타워(199)를 고정한다.
상기 타워 고정부는 클램핑 수단을 구비한다. 클램핑 수단은 서포트 타워(199)를 다수개의 지점에서 클램핑한다. 상기 클램핑 수단은 서포트 타워(199)의 측면 양측을 클램핑하는 제1 클램핑부(190a)(190c)와, 서포트 타워의 측면 중 상기 제1 클램핑부(190a)(190c)의 지지면과 직교하는 일면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부(190b)로 구성된다. 아울러, 제1 클램핑부(190a)(190c) 및 제2 클램핑부(190b)는 높이 방향으로 2단 이상 형성된다.
결국, 제1 클램핑부(190a)(190c) 및 제2 클램핑부(190b)의 상측에 또 하나의 제1 클램핑부(190a')(190c') 및 제2 클램핑부(190b')로 이루어진 그룹이 구비되어 서포트 타워(199)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아울러, 차체부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제2 프레임(120)에는 바퀴(171)(172)이 설치되고, 제1 프레임(110)에는 제1 클램핑부(190a)(190c)(190a')(190c') 및 제2 클램핑부(190b)(190b')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0)은 제2 프레임(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 이동을 위한 승강 구동부가 구비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90a,90c : 제1 클램핑부 90b : 제2 클램핑부
10 : 본체 20 : 포크부
30 : 제2 승강 부재 40 : 제1 승강 부재
71 : 전륜 바퀴 72 : 후륜 바퀴

Claims (9)

  1.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바퀴가 구비되는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부와, 상기 차체부를 구동시키는 동력 구동부와, 상기 차체부에 형성되어 서포트 타워를 고정하는 타워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 고정부는 서포트 타워를 다수개의 지점에서 클램핑하는 클램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핑 수단은 서포트 타워의 측면 양측을 클램핑하는 제1 클램핑부(90a)(90c)와, 서포트 타워의 측면 중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의 지지면과 직교하는 일면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부(9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는 "ㄷ"자 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를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차체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한 쌍이 이격되게 연장되는 포크부(20)와, 상기 본체(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클램핑부(90b)가 구비되는 제1 승강 부재(40) 및 상기 본체(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가 구비되는 제2 승강 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는 각각 클램핑 가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를 슬라이드 구동시키는 미세조정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전륜 바퀴는 상기 본체(10) 측에 배치되고, 후륜 바퀴는 상기 포크부(20)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의 전후 구동 및 조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작 리모콘(8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타워는 측면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 수단이 상기 요입부에 삽입 가능하게 상기 차체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부(90a)(90c) 및 제2 클램핑부(90b)는 높이 방향으로 2단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KR1020130045151A 2013-04-24 2013-04-24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KR10204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151A KR102047683B1 (ko) 2013-04-24 2013-04-24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151A KR102047683B1 (ko) 2013-04-24 2013-04-24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02A KR20140126902A (ko) 2014-11-03
KR102047683B1 true KR102047683B1 (ko) 2019-11-22

Family

ID=5245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151A KR102047683B1 (ko) 2013-04-24 2013-04-24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6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1436A (ja) * 2011-03-24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把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7199Y2 (ko) * 1987-11-09 1992-11-06
JP3899670B2 (ja) * 1998-05-13 2007-03-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ロールクランプ装置
KR100615900B1 (ko) * 2004-11-17 2006-08-28 정영옥 벌통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1436A (ja) * 2011-03-24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把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02A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8147B (zh) 用于叉式升降机货车的联动系统
JP2008156047A (ja) 自走式リフター装置
CN104439862B (zh) 双侧翻焊接工装
KR102047683B1 (ko)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JP2005271790A (ja) 重量物の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18043577A (ja) 作業車両のアウトリガジャッキ動作制御装置
JP2009107825A (ja) 伸縮ブーム
CN105905838B (zh) 一种叉车
KR20130000863A (ko) 방향키 탑재용 대차
CN108001332A (zh) 用于运输由地面接合单元自推进的大型铣刨机的方法
KR20170039848A (ko) 지렛대식 견인간 장착형 카트
CN105133514A (zh) 箱涵车
JP2006144302A (ja) 走行レール研磨装置
JP2016011066A (ja) 連結器着脱装置
US8256052B2 (en) Boom of a laying mechanism and method of moving the boom into a vehicle transport position
CN204277355U (zh) 双侧翻焊接工装
KR20130007135U (ko) 수동 용접용 용접 토치 캐리지
WO2020059842A1 (ja) コンテナクレーン装置及びコンテナクレーン装置の制御方法
JP6664626B2 (ja) タイヤ運搬台車
KR101824898B1 (ko) 트럭크레인의 웨이트 이송 및 장탈착장치
US20190345012A1 (en) Outrigger Pad Hoist Apparatus
JP2009274779A (ja) リーチスタッカのコンテナ保持装置
KR101553634B1 (ko) 차량견인용 언더리프트장치의 무게분산 링크구조
JP2010111134A (ja) トレーラ
CN215326750U (zh) 一种可移动货物的叉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