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311B1 - 자동 솔더링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솔더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7311B1 KR102047311B1 KR1020190132617A KR20190132617A KR102047311B1 KR 102047311 B1 KR102047311 B1 KR 102047311B1 KR 1020190132617 A KR1020190132617 A KR 1020190132617A KR 20190132617 A KR20190132617 A KR 20190132617A KR 102047311 B1 KR102047311 B1 KR 1020473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piece
- soldering
- brush
- case
- flu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01L23/49816—Spherical bumps on the substrate for external connection, e.g. ball grid arrays [BG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피가공물을 자동으로 솔더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동 솔더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전달받아 솔더링(Soldering) 가공하는 솔더링 가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솔더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피가공물을 자동으로 솔더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동 솔더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기판 상에 전자 부품을 장착하기 위하여 솔더링은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대량 생산 과정에서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솔더링 과정은 수동으로 진행되기 보다는 자동화 설비를 통하여 자동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는 솔더링 공정의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수동으로 진행되는 솔더링 공정은 각 생산품에 대한 솔더링 품질이 일정하기 어려워 숙련된 작업자를 요구함으로 생산비가 높아지고 품질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마이크로 트랜스포머와 같은 미세 전자 장치의 경우에는 코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을 기판의 솔더 패드에 부착하고 솔더링 해야 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그런데 코일을 솔더링 하기 위해서는 우선 코일의 코팅막을 제거하고 솔더링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전반적으로 자동화하여 솔더링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있지 않아서 생산 현장에서는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솔더링 공정은 제품의 특징에 따라 그 방식이 다양하고 때로는 품질 향상을 위하여 오브젝트가 틸팅된 상태에서 솔더링이 수행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서 수작업으로 솔더링을 진행하는 경우 품질 관리가 어렵고 그에 따른 생산비 증가에 대한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솔더링 공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경우 각기 개별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어렵고 품질 유지가 매우 어렵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복수개의 피가공물을 병렬로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틸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자동화된 자동 솔더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코너진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고속으로 회전하는 브러쉬 롤러의 구성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양측에 남아 있는 슬러지를 모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동 솔더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피가공물을 플럭스가 담겨 있는 저장조로 직접 투입할 필요없이, 도포조만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면서 플럭스를 피가공물에 도포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자동 솔더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전달받아 솔더링(Soldering) 가공하는 솔더링 가공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솔더링 가공부의 솔더링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솔더링 가공부는, 피가공물을 전달받아 솔더링 공정에 따라 피가공물을 단계적으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 로봇; 솔더링 가공을 위한 피가공물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 로봇으로 전달하는 제품 공급부; 상기 제품 공급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플럭스(Flux)를 저장해 두는 플럭스부; 상기 플러스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로봇에 체결된 피가공물을 솔더링 처리하는 솔더링부; 상기 솔더링부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청소하는 스크랩부; 상기 솔더링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에 남아 있는 납을 제거하는 동시에 분진을 빨아들이는 석션부; 및 솔더링 공정이 마무리된 피가공물을 상기 이송 로봇으로부터 전달받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랩부는, 평평한 평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전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송 로봇에 의해 피가공물이 하강하면 상기 솔더링부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하는 고정 브러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후단에 상기 고정 브러쉬와 대향하며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브러쉬와의 사이 이격 공간으로 피가공물이 하강함에 따라 피가공물에 의해 후단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 브러쉬와의 사이 이격 공간에 안착된 피가공과 밀착되어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하는 밀착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브러쉬는, 상기 밀착 브러쉬와의 대향면이 개방되고 박스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전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측면 커버;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브러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두 개의 제1 측면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이 하강하면 회전하여 상기 솔더링부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하는 제1 롤러형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브러쉬는, 상기 고정 브러쉬와의 대향면이 개방되고 박스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후단에 연결 설치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의 후단에서 상기 제2 케이스와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지지 벽체; 상기 지지 벽체의 상기 제2 케이스의 대향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고정 브러쉬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탄성체; 상기 제2 케이스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제2 측면 커버;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브러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두 개의 제2 측면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이 하강하면 피가공물과 밀착되어 회전하여 상기 솔더링부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하는 제2 롤러형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럭스부는, 플럭스를 저장해 두는 저장조; 플럭스가 담겨 있는 상기 저장조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피가공물이 상기 저장조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오면 상기 저장조에 담겨 있는 플럭스를 내부 공간에 일부 담은 뒤, 피가공물에 플럭스가 도포될 수 있도록 피가공물이 위치한 상기 저장조의 상측으로 승강되는 도포조; 및 상기 저장조의 전단에 설치되어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승하강 프레임, 및 상기 승하강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도포조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포조를 체결하는 체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포조를 상기 저장조로부터 승강시켜 주거나 다시 상기 저장조로 투입시켜 주는 승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포조는, 상기 체결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저장조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며, 플럭스를 내부 공간에 담을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측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피가공물이 상기 수조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피가공물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피가공물의 표면에 플럭스를 도포시켜 주는 제1 도포 롤러; 및 상기 수조의 내측 공간에 상기 제1 도포 롤러와 대향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피가공물이 상기 수조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피가공물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피가공물의 표면에 플럭스를 도포시켜 주는 제2 도포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포 롤러와 상기 제2 도포 롤러는, 피가공물이 상기 수조에 담긴 플럭스로 담기지 않는 경우에도, 피가공물을 상기 수조의 내측 공간으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러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솔과 솔 사이에 충진되는 플럭스로 피가공물의 표면을 도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복수개의 피가공물에 대한 솔더링 품질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솔더링 공정의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너진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고속으로 회전하는 브러쉬 롤러의 구성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양측에 남아 있는 슬러지를 모두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마감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가공물을 플럭스가 담겨 있는 저장조로 직접 투입할 필요없이, 도포조만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면서 플럭스를 피가공물에 도포시킬 수 있어 도포에 따른 이물질이 저장조에 누적하여 침전되어 저장조에 담겨 있는 플럭스가 오염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솔더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솔더링 가공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스크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플럭스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또는 7의 도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의 솔더링 가공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스크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플럭스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또는 7의 도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솔더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솔더링 장치(10)는, 케이스(100) 및 솔더링 가공부(2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자동 솔더링 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하며, 솔더링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 공간에 솔더링 가공부(20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100)는,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며, 솔더링 가공부(200)의 솔더링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솔더링 가공부(200)는,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피가공물(P)을 전달받아 솔더링(Soldering) 가공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동 솔더링 장치(10)는, 복수개의 피가공물(P)에 대한 솔더링 품질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솔더링 공정의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솔더링 가공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르 참조하면, 솔더링 가공부(200)는, 이송 로봇(210), 제품 공급부(220), 플럭스부(230), 솔더링부(240), 스크랩부(250), 석션부(260) 및 배출부(270)를 포함한다.
이송 로봇(210)은, 피가공물(P)을 전달받아 솔더링 공정에 따라 피가공물(P)을 단계적으로 이송시켜 준다.
도 2에 도시된 이송 로봇(210a 내지 210e)는, 각 솔더링 공정에 따라 이동된 것을 예시한 것으로, 1) 210a는 제품 공급부(220)로부터 피가공물(P)를 전달받는 경우, 2) 210b는 플럭스부(230)로 피가공물(P)을 이송한 경우, 3) 210c는 솔더링부(240)로 피가공물(P)을 이송한 경우, 4) 210d는 석션부(260)로 피가공물(P)을 이송한 경우이고, 5) 210e는 배출부(270)로 피가공물(P)을 이송한 경우이다.
즉, 이송 로봇(210)는,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설치된 레일(27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구동 또는 피가공물(P)을 틸팅하면서 공정에 따라 피가공물(P)을 이송시킬 수 있다.
제품 공급부(220)는, 솔더링 가공을 위한 피가공물(P)을 공급받아 이송 로봇(210)으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품 공급부(220)는, 무동력 컨베이어를 통해 4 개의 빠렛트가 4 개의 피가공물(P)을 공급되면, 집게 실린더를 이용하여 각 피가공물을 체결한 뒤 이송 로봇(210)으로 인계할 수 있다.
제품 공급부(220)로부터 피가공물(P)을 인계받은 이송 로봇(210)은, 피가공물(P)을 체결하고 있는 지그 본체가 90° 회전하면서 플럭스부(230)로 이동하게 된다(210b의 경우).
플럭스부(230)는, 제품 공급부(220)의 전단에 설치되며, 플럭스(F)(Flux)를 저장해 준다.
여기서, 플러스라 함은, 1) 용제(溶劑), 용가재(溶加材)로서 납땜 작업에서 접합부를 깨끗이 하고, 접합시에 산화물(酸化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접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조성제(助成劑), 2) 금속 용해시 산화물의 환원, 유독 가스의 제거, 용탕 표면을 피복하여 산화를 방지하고, 슬래그 제거 촉진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添加劑) 또는 3) 단접부(鍛接部)의 산화막의 생성을 방지하거나 또는 산화물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여 단접부로부터 이를 제거하는 단접제(鍛接劑) 등을 지칭할 수 있다.
플럭스부(230)로 이동한 이송 로봇(210)은, 플럭스가 담긴 플럭스부(230)로 피가공물(P)을 담갔다 들어 올려 피가공물(P)에 플러스를 묻혀 준다.
솔더링부(240)는, 플러스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이송 로봇(210)에 체결된 피가공물(P)을 솔더링 처리한다.
여기서, 솔더링부(240)는, 피가공물(P)을 납땜하는 솔더링 가공을 위한 납이 담겨 있는 납조로서, 플럭스부(230)에 의해 피가공물(P)이 하강하여 디핑됨에 따라 솔더링 가공을 할 수 있다.
스크랩부(250)는, 솔더링부(240)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청소한다.
즉, 스크랩부(250)는, 이송 로봇(210)이 플럭스부(230)에서 피가공물(P)에 플러스 작업 중 솔더링부(240)에 묻어 있는 슬러지 등의 찌꺼기를 긁어서 제거한다.
석션부(260)는, 솔더링부(240)의 전단에 설치되며, 피가공물(P)에 남아 있는 납을 제거하는 동시에 분진을 빨아들인다.
솔더링 가공이 마무리되고 피가공물(P)이 석션부(260)로부터 전달되면, 에어 블로워로 납을 제거하며, 동시 언더건을 사용하여 석션하여 분진을 빨아들이게 된다.
배출부(270)는, 솔더링 공정이 마무리된 피가공물(P)을 이송 로봇(210)으로부터 전달받아 배출시킨다.
석션부(260)까지의 공정이 마무리되면, 이송 로봇(210)은 피가공물(P) 배출부(270)에서 낙하시켜 미끄럼틀(27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스크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랩부(250)는, 석션부(26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석션부(260)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피가공물(P)이 이동되어 오면 피가공물(P)에 남아 있는 슬러지를 긁어서 청소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51), 고정 브러쉬(252) 및 밀착 브러쉬(253)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51)는, 평평한 평면을 형성하여 상부 전단에 고정 브러쉬(252)가 고정 설치되고, 상부 후단에 밀착 브러쉬(253)가 연결 설치된다.
고정 브러쉬(252)는, 베이스 플레이트(251)의 상부 전단에 밀착 브러쉬(253)와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며, 이송 로봇(210)에 의해 피가공물이 밀착 브러쉬(253)와의 이격 공간으로 하강하면 솔더링부(240)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한다.
밀착 브러쉬(253)는, 베이스 플레이트(251)의 상부 후단에 고정 브러쉬(252)와 대향하며 이격되어 설치되며, 고정 브러쉬(252)와의 사이 이격 공간으로 피가공물이 하강함에 따라 피가공물에 의해 후단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고정 브러쉬(252)와의 사이 이격 공간에 안착된 피가공과 밀착되어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크랩부(250)는, 코너진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고속으로 회전하는 브러쉬 롤러의 구성을 이용하여 피가공물(P)의 양측에 남아 있는 슬러지를 모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제품의 마감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브러쉬(252)는, 제1 케이스(2521), 두 개의 제1 측면 커버(2522) 및 제1 롤러형 브러쉬(2523)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2521)는, 밀착 브러쉬(253)와의 대향면이 개방되고 박스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51)의 상부 전단에 고정 설치되며, 양측이 제1 측면 커버(2522)에 의해 각각 밀폐되고, 제1 측면 커버(2522)의 사이에 제1 롤러형 브러쉬(2523)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측면 커버(2522)는, 제1 케이스(252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사이에 제1 롤러형 브러쉬(2523)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커버(2522)는, 제1 롤러형 브러쉬(2523)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제1 롤러형 브러쉬(2523)는, 제1 케이스(2521)의 개구부를 통해 브러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두 개의 제1 측면 커버(2522)의 사이에 설치되며, 피가공물(P)이 하강하면 회전하여 솔더링부(240)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한다.
그리고, 밀착 브러쉬(253)는, 제2 케이스(2531), 지지 벽체(2532), 탄성체(2533), 두 개의 제2 측면 커버(2534) 및 제2 롤러형 브러쉬(2535)를 포함한다.
제2 케이스(2531)는, 고정 브러쉬(252)와의 대향면이 개방되고 박스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51)의 상부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양측이 제2 측면 커버(2534)에 의해 각각 밀폐되고, 제2 측면 커버(2534)의 사이에 제2 롤러형 브러쉬(2535)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후단에 설치된 지지 벽체(2532)에서 탄성체(2533)에 의한 탄성력으로 지지된다.
지지 벽체(2532)는, 제2 케이스(2531)의 후단에서 제2 케이스(2531)와 이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51)의 상측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며, 제2 케이스(2531)와 대향하고 있는 대향면(즉, 전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체(2533)가 설치된다.
탄성체(2533)는, 지지 벽체(2532)의 제2 케이스(2531)의 대향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케이스(2531)를 고정 브러쉬(252) 방향으로 밀착시켜 준다.
제2 측면 커버(2534)는, 제2 케이스(253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사이에 제2 롤러형 브러쉬(2535)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측면 커버(2534)는, 제2 롤러형 브러쉬(2535)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제2 롤러형 브러쉬(2535)는, 제2 케이스(2531)의 개구부를 통해 브러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두 개의 제2 측면 커버(2534)의 사이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이 하강하면 피가공물과 밀착되어 회전하여 제1 롤러형 브러쉬(2523)와 함께 솔더링부(240)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플럭스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플럭스부(230)는, 저장조(231), 도포조(232) 및 승하강부(233)를 포함한다.
저장조(231)는, 플럭스(F)를 저장해 둔다.
이때, 저장조(231)는, 내부 공간에 담긴 플럭스(F)를 자신의 내부 공간에 담기 위해 안착될 수 있도록 도포조(232)의 크기보다 크고 깊이가 깊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포조(232)는, 플럭스(F)가 담겨 있는 저장조(231)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피가공물이 저장조(231)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오면 저장조(231)에 담겨 있는 플럭스(F)를 내부 공간에 일부 담은 뒤, 피가공물에 플럭스(F)가 도포될 수 있도록 승하강부(233)의 구동에 따라 피가공물이 위치한 저장조(231)의 상측으로 승강된다.
승하강부(233)는, 도 7을 참조하면 저장조(231)의 전단에 설치되어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승하강 프레임(2331), 및 승하강 프레임(2331)으로부터 도포조(232)로 연장 형성되어 도포조(232)를 체결하는 체결 프레임(2332)으로 이루어지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조(232)를 저장조(231)로부터 승강시켜 주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저장조(231)로 투입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럭스부(230)는, 피가공물(P)을 플럭스(F)가 담겨 있는 저장조(231)로 직접 투입할 필요없이, 도포조(232)만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면서 플럭스(F)를 피가공물(P)에 도포시킬 수 있어 도포에 따른 이물질이 저장조(231)에 누적하여 침전되어 저장조(231)에 담겨 있는 플럭스(F)가 오염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또는 7의 도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포조(232)는, 수조(2321), 제1 도포 롤러(2322) 및 제2 도포 롤러(2323)를 포함한다.
수조(2321)는, 체결 프레임(2332)에 체결되어 저장조(231)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며, 플럭스(F)를 내부 공간에 담을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 공간에 제1 도포 롤러(2322) 및 제2 도포 롤러(2323)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도포 롤러(2322)는, 수조(2321)의 내측 공간에 제2 도포 롤러(2323)와 대항하면 길이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피가공물이 수조(23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피가공물의 표면에 플럭스(F)를 도포시켜 준다.
제2 도포 롤러(2323)는, 수조(2321)의 내측 공간에 제1 도포 롤러(2322)와 대향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피가공물이 수조(23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피가공물의 표면에 플럭스(F)를 도포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도포 롤러(2322)와 제2 도포 롤러(2323)는, 피가공물이 수조(2321)에 담긴 플럭스(F)로 담기지 않는 경우에도, 피가공물을 수조(2321)의 내측 공간으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롤러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솔(B)과 솔(B) 사이에 충진되는 플럭스(F)로 피가공물(P)의 표면을 도포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포조(232)는, 피가공물(P)이 수조(2321)에 충분히 잠기지 못한 경우에도 제1 도포 롤러(2322)와 제2 도포 롤러(2323)을 따라 들어올려지는 플러스(F)를 이용하여 피가공물(P)를 도포시켜 줌으로써 충분한 플럭스(F)의 미도포 인해 솔더링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포조(232)는, 피가공물(P)이 이송되어 오면 내부 공간에 담긴 플럭스(F)에 피가공물(P)의 솔더링 부위(T)가 담길 수 있도록 승하강부(233)에 의하여 승강된 뒤, 제1 도포 롤러(2322) 및 제2 도포 롤러(2323)가 회전하면서 피가공물(P)의 표면에 플럭스(F)를 충분히 도포시켜 솔더링부(240)에 의한 솔더링 가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자동 솔더링 장치
100: 케이스
200: 솔더링 가공부
210: 이송 로봇
220: 제품 공급부
230: 플럭스부
240: 솔더링부
250: 스크랩부
260: 석션부
270: 배출부
100: 케이스
200: 솔더링 가공부
210: 이송 로봇
220: 제품 공급부
230: 플럭스부
240: 솔더링부
250: 스크랩부
260: 석션부
270: 배출부
Claims (2)
-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피가공물을 전달받아 솔더링(Soldering) 가공하는 솔더링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솔더링 가공부의 솔더링 가공에 따라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솔더링 가공부는, 피가공물을 전달받아 솔더링 공정에 따라 피가공물을 단계적으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 로봇; 솔더링 가공을 위한 피가공물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 로봇으로 전달하는 제품 공급부; 상기 제품 공급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플럭스(Flux)를 저장해 두는 플럭스부; 상기 플럭스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로봇에 체결된 피가공물을 솔더링 처리하는 솔더링부; 상기 솔더링부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청소하는 스크랩부; 상기 솔더링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에 남아 있는 납을 제거하는 동시에 분진을 빨아들이는 석션부; 및 솔더링 공정이 마무리된 피가공물을 상기 이송 로봇으로부터 전달받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랩부는, 평평한 평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전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송 로봇에 의해 피가공물이 하강하면 상기 솔더링부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하는 고정 브러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후단에 상기 고정 브러쉬와 대향하며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브러쉬와의 사이 이격 공간으로 피가공물이 하강함에 따라 피가공물에 의해 후단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 브러쉬와의 사이 이격 공간에 안착된 피가공과 밀착되어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하는 밀착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브러쉬는, 상기 밀착 브러쉬와의 대향면이 개방되고 박스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전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측면 커버; 및 상기 제1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브러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두 개의 제1 측면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이 하강하면 회전하여 상기 솔더링부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하는 제1 롤러형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 브러쉬는, 상기 고정 브러쉬와의 대향면이 개방되고 박스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후단에 연결 설치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의 후단에서 상기 제2 케이스와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지지 벽체; 상기 지지 벽체의 상기 제2 케이스의 대향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고정 브러쉬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탄성체; 상기 제2 케이스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제2 측면 커버;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브러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두 개의 제2 측면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이 하강하면 피가공물과 밀착되어 회전하여 상기 솔더링부에서 솔더링 처리에 따라 발생되는 슬러지를 긁어서 제거하는 제2 롤러형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플럭스부는, 플럭스를 저장해 두는 저장조; 플럭스가 담겨 있는 상기 저장조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피가공물이 상기 저장조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오면 상기 저장조에 담겨 있는 플럭스를 내부 공간에 일부 담은 뒤, 피가공물에 플럭스가 도포될 수 있도록 피가공물이 위치한 상기 저장조의 상측으로 승강되는 도포조; 및 상기 저장조의 전단에 설치되어 구동 장치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는 승하강 프레임, 및 상기 승하강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도포조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포조를 체결하는 체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포조를 상기 저장조로부터 승강시켜 주거나 다시 상기 저장조로 투입시켜 주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자동 솔더링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2617A KR102047311B1 (ko) | 2019-10-24 | 2019-10-24 | 자동 솔더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2617A KR102047311B1 (ko) | 2019-10-24 | 2019-10-24 | 자동 솔더링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7311B1 true KR102047311B1 (ko) | 2019-11-21 |
Family
ID=68692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2617A KR102047311B1 (ko) | 2019-10-24 | 2019-10-24 | 자동 솔더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731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86528A (zh) * | 2023-10-18 | 2023-11-21 | 常州市福莱姆车辆配件有限公司 | 一种汽车零部件生产用焊接设备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9018Y1 (ko) | 1987-04-28 | 1989-12-12 | 이광복 | 회로기판의 자동 솔더링 장치 |
JPH026051A (ja) * | 1988-06-27 | 1990-01-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自動半田付け機の半田ごてクリーニング方法 |
JPH04125057U (ja) * | 1991-04-19 | 1992-11-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自動半田付装置 |
JP2003069210A (ja) * | 2001-08-28 | 2003-03-07 | Nichiden Eletec Corp | 自動半田付け装置 |
KR20190064140A (ko) | 2017-11-30 | 2019-06-10 |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 차량용 창유리의 터미널 솔더링 장치 및 방법 |
-
2019
- 2019-10-24 KR KR1020190132617A patent/KR1020473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9018Y1 (ko) | 1987-04-28 | 1989-12-12 | 이광복 | 회로기판의 자동 솔더링 장치 |
JPH026051A (ja) * | 1988-06-27 | 1990-01-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自動半田付け機の半田ごてクリーニング方法 |
JPH04125057U (ja) * | 1991-04-19 | 1992-11-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自動半田付装置 |
JP2003069210A (ja) * | 2001-08-28 | 2003-03-07 | Nichiden Eletec Corp | 自動半田付け装置 |
KR20190064140A (ko) | 2017-11-30 | 2019-06-10 |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 차량용 창유리의 터미널 솔더링 장치 및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86528A (zh) * | 2023-10-18 | 2023-11-21 | 常州市福莱姆车辆配件有限公司 | 一种汽车零部件生产用焊接设备 |
CN117086528B (zh) * | 2023-10-18 | 2024-02-27 | 常州市福莱姆车辆配件有限公司 | 一种汽车零部件生产用焊接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37638B2 (ja) | 現像処理装置 | |
KR102047311B1 (ko) | 자동 솔더링 장치 | |
CN115178435A (zh) | 一种自动化晶圆涂胶机 | |
JP4807621B2 (ja) | 塗装処理装置及び塗装処理方法 | |
JP3075610B2 (ja) | ハンダコーテイング装置 | |
JP2002305372A (ja) | 部分半田付け装置及び方法 | |
JP2004167602A (ja) | 亜鉛メッキ鋼板の端末処理方法及び端末処理装置 | |
JPH067888A (ja) | 消失模型の塗型装置 | |
JPH06188304A (ja) | リングフレーム自動洗浄装置 | |
JPH06269717A (ja) | 浸漬塗装方法および装置 | |
JP2011080135A (ja) | ワークの内面処理方法とワークの内面処理装置 | |
JP3071686B2 (ja) | リング状金属部品へのコーティング材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 |
JPH0134706B2 (ko) | ||
CN106444110B (zh) | 基板支撑杆以及涂覆防静电液的方法 | |
JP3051052B2 (ja) | 鋳造用上ノズルのモルタル塗布装置とその塗布方法 | |
JP2003073870A (ja) | 端末処理装置 | |
JP2816138B2 (ja) | 被メッキ物搬送用通路の構造 | |
JP4451430B2 (ja) | 磁気記録媒体用基板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 |
JP4026483B2 (ja) | 揮発性液体の塗布装置 | |
JPH1197399A (ja) |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 |
JPS61149467A (ja) | 金属灰除去装置 | |
JP2003306226A (ja) | 基板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 |
JP3362351B2 (ja) | プリント基板の自動はんだ付方法及びその自動はんだ付装置 | |
TW202435970A (zh) | 狹縫噴嘴及基板處理裝置 | |
JPS62234572A (ja) | 基板の回転塗布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