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206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206B1
KR102043206B1 KR1020147035346A KR20147035346A KR102043206B1 KR 102043206 B1 KR102043206 B1 KR 102043206B1 KR 1020147035346 A KR1020147035346 A KR 1020147035346A KR 20147035346 A KR20147035346 A KR 20147035346A KR 102043206 B1 KR102043206 B1 KR 102043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ceptacle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096A (ko
Inventor
죄르트 츠바르트크루이스
팀 팔켄부르크
야코버스 니콜라스 투인
마르티즌 리마이예르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2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평면 베이스 하부 벽을 갖고 커넥터에 연결될 플러그 요소를 위한 길이방향 리셉터클(116)을 형성하는 절연 재료로 만들어지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330)는 하우징(100)에 의해 수용되고 리셉터클(116)에 노출되는 내부 부분(346) 및 하우징(100)의 외부 주변에 노출되고 접촉 러그를 형성하는 외부 부분(348)을 갖고; 스프링 요소(400)가 리셉터클(116) 내에 할당되고 리셉터클(116) 내에 수용되는 플러그 요소에 대해 편향하도록 구성된다. 리셉터클 안으로 도입되는 플러그 요소를 위해 스프링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개선된 유지력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가 절단 및 굽힘 시이트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스프링 요소(400)에 의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실질적으로 평면 베이스 하부 벽을 갖고 커넥터에 연결될 플러그 요소를 위한 길이방향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절연 재료로 만들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SMD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절연 재료는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료이다. 리셉터클은 보통, 수형 및/또는 암형 접촉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정합 플러그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평면 베이스 하부 벽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접촉 요소들이 각각의 플러그 요소의 전방면에 제공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접촉부들은 각각의 플러그 요소의 둘레 표면에 제공된다. 길이방향 리셉터클은 보통 일 단부에서 폐쇄되지만, 다른 단부는 보통 단부면에 리셉터클 개구를 형성하며, 이 단부면은 평면 베이스 하부 벽과 교차하고 이 평면 베이스 하부 벽에 30°내지 90°의 각도로 연장할 수 있다. 플러그 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된 접촉부는, 플러그 요소가 커넥터에 연결되는 플러그-인 상태에서,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는 하나의 금속 접촉 요소와 협동한다. 각각의 금속 접촉 요소는 플러그 요소의 정합 접촉부와 협동하기 위해 리셉터클 내에 노출되는 내부 부분을 갖는다. 또한, 금속 접촉부는 하우징의 외부 주변에 노출되고 접촉 러그(lug)를 형성하는 외부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접촉 러그는 보통 실질적으로 평면 베이스 하부 벽에 의해 제공되는 표면과 본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연장한다. 따라서, 금속 접촉부에 의해 제공되는 각각의 접촉 러그는 전기 연결을 위해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구성은 보통 커넥터가 SMD 커넥터가 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리셉터클에 할당되고 플러그-인 상태에서 플러그 요소에 대항하여 편향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요소를 갖는다. 스프링 요소는 단지 플러그-인 상태로 그리고 리셉터클 내의 제 위치로 플러그 요소를 고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스프링 요소는 또한 플러그 요소의 정합 접촉부를 위한 전기 접촉부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비-전도성 방식으로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즉 보통 하우징의 외부 주변에 제공되는 접촉 러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스프링 요소는 정기적으로 플러그 요소를 리셉터클 내에 플러그-인 상태로 고착하기 위한 단독 기능을 갖는다.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예컨대 CN 200520075293 U 로부터 공지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원형 횡단면의 굽혀진 금속 로드의 형태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자인으로 인해, 공지된 커넥터의 스프링 요소는 플러그 요소의 직경의 변동들에 민감하다. 다시 말하면, 플러그 요소를 제 위치로 플러그-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플러그 요소에 가해지는 스프링력은 변할 수 있고 플러그 요소에 대하여 허용되는 공차 및/또는 다회의 플러그-인 및 플러그-아웃 작업들로 인한 플러그 요소의 마모에 의해 불충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지된 전기 커넥터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플러그-인 상태의 플러그 요소를 위해 스프링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개선된 유지력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본 발명은 절단 및 굽힘 시이트 금속(cut and bend sheet metal)으로 만들어지는 스프링 요소를 제공한다. 상기 언급된 종래 기술에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스프링 요소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 로드로부터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 스프링 요소는 감소된 재료 두께를 갖는 스프링 요소를 만들기에 적절한 절단 및 굽힘 시이트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이에 의해 하우징 안으로의 스프링 요소의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반면, 폭을 갖는, 즉 길이방향 리셉터클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부를 갖는 굽힘 시이트 금속을 만듦으로써 충분한 스프링력을 보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당히 감소된 폭, 즉 평면 베이스 하부 벽에 평행하고 플러그 요소의 삽입 방향에 수직인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 요소가 하우징에 의해 제공되는 스프링 요소 격벽 안으로 끼워지도록 절단 및 굽혀지는 시이트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스프링 요소는 하우징에, 그리하여 그의 폭 방향으로 그 자체로 커넥터에 더 적은 두께를 부가하면서 더 큰 스트로크를 제공하는 상당히 얇은 시이트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실제로, 스프링 요소는 상기 언급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스프링 요소보다 더 큰 스트로크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가 플러그 요소의 공차들에 대하여 덜 치명적이도록 만든다. 시이트 금속으로 만듦으로써 스프링 요소는 더 큰 힘을 제공하기 위해 확장된 폭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작은 재료 두께로 인한 힘의 감소를 상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는 베이스 및 본질적으로는 평행한 2개의 스프링 레그들을 갖는 U 형상 섹션을 갖는다. U 형상 섹션은 리셉터클을 에워싸고, 즉 플러스 요소를 수용하는 직사각형의 3개의 측들 상에 플러그-인 상태의 플러그 요소를 커버할 것이다. 스프링 레그들의 적어도 대향하는 중간 섹션들은 리셉터클 안으로 도입될 때 플러그 요소를 위한 모따기 된 리드-인 구조물들을 형성하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플러그 요소가 원형 횡단면으로 만들어진다면, 모따기 된 리드-인 구조물은, 상기 적어도 대향하는 스프링 레그들이 플러그 요소가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최대 연장부를 갖는, 상기 스프링 레그들의 중간 섹션에서 플러그 요소가 U 형상 섹션에 대하여 도입될 때 플러그 요소를 중심맞춤하고, 또한 대향하는 스프링 레그들을 방사상으로 굽히는 굽힘력의 발생을 용이하게 할 깔때기 형(funnel-like) 구성을 형성하도록 시이트 금속을 굽힘으로써 달성된다. 각각의 스프링 레그들에 의해 제공되는 모따기 된 리드-인 구조물들로 인해, 더 적은 마모가 플러그 요소들에 가해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모따기 된 구성들은 스프링 레그들의 앞쪽 그리고 뒤쪽 단부들에 제공된다. 스프링 레그들의 앞쪽 단부는 리셉터클 안으로 도입될 때 플러그 요소와 협동하고, 즉 리셉터클 개구와 대면하는 반면 뒤쪽 단부는 앞쪽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이고 스프링 레그가 리셉터클로부터 빼내어질 때 플러그 요소와 협동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다회의 플러그-인 및 플러그-아웃 작업들로 인한 플러그 요소의 마모는 현저하게 감소된다. 접촉 구역의 반경이 증가된다면 마모는 또한 감소된다. 스프링 요소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접촉 지점의 반경이 그 후 스프링의 요구되는 힘 및 스트로크에 의해 결정되는 와이어 사이즈에 의해 결정되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굽힘 로드와 비교할 때, 시이트 금속 스프링은 접촉 반경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준다. 이러한 반경은 스트로크 및 힘에 대한 요건에 의존하지 않으며, 따라서 로드의 경우에서 보다 더 크게 선택될 수 있고, 이는 마모를 감소시킨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착 레그들은 스프링 요소들에 의해 제공되며 이 고착 레그들은 스프링 레그들의 자유 단부들에 연결된다. 각각의 고착 레그는 할당된 스프링 레그와 V 형상 구조물을 형성한다. 따라서, 고착 레그는 보통 스프링 요소 격벽을 형성하고 하우징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 벽에 대하여 각이진 구성으로 연장한다. 특히, 고착 레그는 둥글지 않은 자유 단부, 즉 날카로운 코너를 형성하는 자유 단부를 가진다.
따라서, 고착 레그의 자유 단부는 스프링 요소와 하우징 사이에 포지티브 잠금을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 벽에 대항하여 긁힐 것이며, 이에 의해 스프링 요소를 제 위치에 고착시키고 스프링 요소가 플러그 요소에 가해지는 상당히 높은 스프링력의 경우라도 벗어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그의 제 2 양태에 의해 개선된 스플래시 방지 성능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실제 사용에서, 물의 스플래싱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대한 노출의 특정 정도는 전기 커넥터의 사용 동안 회피될 수 없다. 하지만, 하우징 안으로 그리고 리셉터클을 통하여 들어가는 물은 예컨대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셀룰러 폰과 같은 기기 안으로 누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 2 양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명시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금속 접촉부 및 하우징을 포함하지 않지만, 그 자체로서 스프링 요소 및/또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스프링 요소를 반드시 필수적으로 포함할 필요는 없다.
개선된 스플래시 방지 성능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부 베이스 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하나 이상의 금속 접촉부 수용 개구 및/또는 스프링 요소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평면 상부 벽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에 부착되는 차폐부(shield)를 포함한다. 시일링 패드(sealing pad)가 이러한 차폐부와 상부 벽 사이에 끼워진다. 정기적으로 시일링 패드가 발포형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는 압축 가능하고 특정 두께를 가져서, 발포재는 스프링 요소 및/또는 금속 접촉 요소 및/또는 스위치 요소와 같은 기능 요소들을 하우징 안으로 도입하기 위해 평면 상부 벽에 제공되는 모든 수용 개구들을 밀봉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안으로 각각의 기능 요소들을 도입하기 위한 모든 이러한 수용 개구들은 평면 상부 벽 내에 리세스된다. 따라서, 평면 상부 벽은 리셉터클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 안으로 도입되는 물이 본 발명의 커넥터가 접근을 제공하는 기기의 내부 안으로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밀봉되어야만 하는 유일한 벽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정기적으로는, 압축 가능한 발포 재료이며, 차폐부와 상부 벽 사이에 끼워지는 시일링 패드를 제안한다. 시일링 패드는 차폐부 또는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여기에 글루잉된다(glued).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시일링 패드는 보통 하우징에 접착되거나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일링 패드는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화를 위한 시간을 요구하는 단점을 갖고, 정기적으로 상당히 시간 소모적인 방식으로 프로세스 가능한 실란트(sealant)와 같은 액체들의 사용을 회피함으로써 커넥터를 위한 비싸지 않은 스플래시 방지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일링 패드는 특정 압축력에 의해 차폐부와 상부 벽 사이에 끼워진다. 이러한 압축력은 하우징에 대항하여 차폐부를 프리텐셔닝(pretensioning)함으로써 가해질 수 있다. 다양한 테크닉들이 이러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전문가를 위해 즉시 사용될 수 있다. 차폐부는 예컨대 하우징에 차폐부를 부착하기 위해 클램프들 등과 같은 고착 수단들 사이에 제공되는 스프링력들에 의해 하우징에 대항하여 편향될 수 있다.
시일링 패드에 특정한 예비 부하를 가하기 위한 용이한 방법을 명시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일링 패드는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벽들을 둘러싸는 상부 및 측면 측벽들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시일링 벽을 형성하는 본질적으로 U 형상의 차폐부를 갖는다. 하우징의 측벽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노치 만큼 각각 돌출하며, 이 노치는 차폐부의 장착된 상태에서, 즉 차폐부가 하우징에 고착된 상태로 차폐부의 측명 측벽들에 의해 형성되는 노치 개구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하나 이상의 노치 및 차폐부는, 이러한 장착된 상태에서 차폐부의 상부 벽이 하우징의 형상에 적응하기 위해 굽힘에 의해 변형되며, 이에 의해 하우징과 차폐부 사이의 시일링 패드를 압축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하우징의 상부 벽은 보통 약간 베벨형(beveled) 구성을 갖는다. 특히, 상부 벽은 중앙 부분을 갖고, 이 중앙 부분은 2개의 측면 부분들 및 하우징의 베이스 하부 벽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이 측면 부분들은 중앙 부분과 하우징의 대응하는 측벽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측면 부분들은 하방으로, 즉 할당된 측벽을 향하여 약간 베벨형이다. 상부 벽의 측면 부분들은 직선이거나 또는 곡선일 수 있으며, 보통은 볼록하다. 각각의 구성은 정기적으로 길이방향 리셉터클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수직인 횡단면도에서 보는 것과 같은 구성이다. 측면 부분과 직선 부분 사이의 경사 각도는 보통 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2°내지 10°에서 선택된다.
원래는, 즉 비 장착된 상태에서, 차폐부는 직사각형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장착된 상태에서 그리고 하우징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노치에 의해 하우징에 차폐부를 고정시킴으로써, 차폐부의 중앙 부분, 즉 차폐부의 측면 측벽들 사이에 배열되는 차폐부의 중간 섹션이 하우징의 형상에 적응하도록, 즉 하우징의 형상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하방으로 굽혀진다. 차폐부는 정기적으로 굽힘에 의해 특정한 탄성 변형도를 저장하는 굽힘 시이트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러한 탄성 변형은 시일링 패드의 바람직한 압축을 유지하면서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과 차폐부 사이의 보상 설정을 위해 적절할 것이다.
따라서, 패드의 차폐부 압축의 굽힘에 의해 그리하여 시일링이 보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일링 패드는 하나 이상의 층이 차폐부 또는 하우징에 대항하여 접착제 발포재를 글루잉하기에 적절한 접착제 그리고 접착제 접합 층에 의해 접착제의 내부 층에 접착되는 하나 이상의 압축 가능한 재료인 다층 발포재이며, 이 압축 가능한 재료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일 수 있고 0.1 내지 0.4㎜,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5㎜의 두께를 가질 것이다. 다층 발포재의 외부 층은 - 정기적으로 - 발포 재료를 커버하는 중합 필름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중합 필름은 납땜 동안 더 높은 온도들로부터 시일링 패드를 보호하는 폴리이미드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활성 요소를 갖고 오용을 방지하기 위해 개선된 방식으로 디자인된 스위치 수단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다른 그리고 제 3 양태에 따르면, 활성 요소는 리셉터클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활성 요소는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와 협동하고, 즉 보통 이러한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에 연결된다.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는 정합 전기 접촉부와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와 정합 전기 접촉부 모두는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벽 뒤에 배열된다. 따라서, 접촉부들은 리셉터클로부터 다소 차폐되며, 그리하여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벽에 의해 리셉터클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으로 잠재적으로 들어가는 임의의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차폐된다. 또한, 각각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뒤쪽 표면은 기준 표면,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와 정합 전기 접촉부 모두를 위해 하나의 평면에 기준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이 기준 표면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 및/또는 정합 전기 접촉부가 접한다. 따라서, 스위치의 전기 접촉부들은 하우징 내의 기준 위치에 할당되고, 이에 의해 스위치의 필수 요소들을 활성 요소의 이동에 의한 과부하(overstress)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 3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응력 보호를 더 개선하기 위해, 멈춤부가 제공되며, 이는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고 리셉터클로부터 멀어지는 활성 요소의 운동을 멈추기 위해 구성된다. 정기적으로, 이러한 멈춤부는 리셉터클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의 그의 이동시 활성 요소 뒤에 형성되고, 그리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활성 요소가 멈춤부와 협동한다면, 스위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기 접촉부들의 임의의 추가의 이동 및/또는 굽힘이 멈춰진다. 정기적으로, 이러한 멈춤부는 하우징 자체에 의해 제공되며 활성 요소의 주요 표면이 대항하여 접하는 평면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제 3 양태의 커넥터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커넥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 및/또는 정합 전기 접촉부는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언급된 기준 표면에 대항하여 접하는 내부 자유 접촉 레그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으로 정합 전기 접촉부를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를 위해, 할당된 기준 표면들이 보통 제공되고, 이 기준 표면들은 연속체(continuum)를 형성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 및 정합 전기 접촉부를 위한 이러한 기준 표면들은 동일한 평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활성 요소가 리셉터클 안으로 돌출하고 플러그 요소가 길이방향 리셉터클 안으로 도입되지 않는 최초 상태에서,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의 내부 자유 접촉 레그 및/또는 정합 전기 접촉부의 각각의 내부 자유 접촉 레그는 보통 기준 표면에 대항하여 접하고, 이에 의해 활성 요소의 특정한 최초 위치를 형성한다.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와 정합 전기 접촉부를 위한 공통 기준 표면은 스위칭 시스템 외의 공차들을 수용하며, 스위치는 활성 요소의 작은 그리고 예측 가능한 스트로크에서 작동한다. 시스템에 더 많은 공차들이 있을 때, 더 큰 스트로크가 요구되고, 이는 더 가요적이고 복잡한 스위치 접촉부들을 요구하고, 커넥터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내부 자유 접촉 레그는 -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 굽힘 시이트 금속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굽힘 시이트 금속은 금속 접촉부 또는 스위치 격벽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에 의해 제공되는 림 섹션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U 형상 체결 섹션을 형성한다. 또한, 시이트 금속은 스위치 요소의 전기 접촉을 유도하거나 금속 접촉부가 플러그 요소의 정합 접촉부와 접촉되는 것을 유도하는 접촉 러그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 및/또는 정합 전기 접촉부를 위한 U 형상 체결 섹션이 각각의 접촉 요소의 내부 자유 접촉 레그들과 각각의 접촉 요소의 접촉 러그 사이에 배열된다. 동일한 것이, 마찬가지로 접촉 러그, 즉 외부 부분과 내부 부분 사이에 U 형상 체결 섹션을 포함할 수 있는 금속 접촉 요소에 대하여 참이다.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 요소는 보통 정합 전기 접촉부와 중첩된다. 따라서, 길이방향 리셉터클의 연장 방향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의 연장부가 바람직하다.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는 U 형상 체결 섹션을 제공하는 굽힘 시이트 금속의 단일(unitary) 부품을 형성하는 굽힘 시이트 금속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이러한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 요소는 다른 굽힘 시이트 금속 스트립에 연결되는 시이트 금속 스트립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 요소는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를 형성하는 시이트 금속 스트립 주위에 사출 성형된다.
상기 언급된 설명은 전기 커넥터를 참조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커넥터는 다양한 기기들에, 특히 셀룰러 폰들, 태블릿 PC 또는 음악 플레이어와 같은 모바일 전자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은 마찬가지로 랩탑들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들, 텔레비젼 등과 같은 고정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양태들의 각각은 본 발명을 독립적으로 실현하는 것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양태를 위해, 스프링 요소는 필수적인 피쳐는 아니다. 따라서, 스프링 요소는 생략될 수 있고 플러그 요소는 다른 수단에 의해 커넥터에 고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도면과 조합한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함으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실시예의 사시 분해도이고;
도 2는 장착된 상태의 실시예의 도 1에 따른 사시 정면도이고;
도 3은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 스프링 요소 및 금속 접촉 요소들을 갖는 실시예의 하우징의 평면도(top view)이고;
도 4는 도 3의 라인 Ⅳ-Ⅳ 를 따른 장착 상태의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라인 Ⅴ-Ⅴ 를 따른 장착 상태의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의 하우징에 포함되는 스위치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라인 Ⅷ-Ⅷ 을 따라 취해진 장착된 상태이고 조립된 상태의 스위치와 교차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따른 라인 Ⅸ-Ⅸ 를 따라 장착된 상태이고 조립된 상태의 스위치와 교차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아래측으로부터의 차폐부의 사시도이고; 및
도 11은 스프링 요소의 실시예의 사시 입면 정면도이다.
도 1은 사출 성형에 의해 중합 재료로 만들어지는 하우징(100) 및 이 하우징(100)에 부착되는 차폐부(200)에 의해 이후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필수 요소들을 묘사한다.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그리고 차폐부(200)에 의해 커버되어, 하우징(100) 안으로 도입될 수 있고 플러그-인 상태에서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플러그 요소(도시되지 않음)와 하우징(100)의 외부 주변 사이에 전기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의 다수의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330)가 배열된다. 또한, 하우징(100)은 플러그-인 상태에서 하우징(100) 내에 플러그 요소를 고착하기 위해 스프링 요소(400)를 수용한다. 마지막으로, 그리고 하우징(100) 내의 마지막 기능 요소로서, 본 발명의 스위치 수단의 예로서 스위치(500)가 묘사된다.
하우징(100)은 4개의 금속 접촉 격벽(102)들을 형성하며, 각각은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330)들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할당된다. 각각의 금속 접촉 격벽(102)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베이스 하부 벽(108)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부 벽(106)에 리세스되는 수용 개구(104)를 갖고, 이 베이스 하부 벽(108)은 커넥터가 그 위에 제공될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벽(106, 108)들은 하우징(100)의 장측을 따라 연장하는 측벽(110)들에 의해 연결된다. 전방면(112)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방향 리셉터클(116)을 위한 리셉터클 개구(114)를 형성하고, 전방면의 다른 길이방향 단부는 하우징(100)의 대향하는 전방면(118)에 의해 폐쇄된다(도 3과 비교).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상부 벽(106)이 중앙 부분(106C) 및 2개의 측면 부분(106L)을 포함하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며, 이 측면 부분(106L)들은 하방으로, 즉 측벽(110)들을 향하여 약간 굽혀진다. 상부 벽(106)의 중앙 부분(106C)은 베이스 하부 벽(108)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반면 측면 부분(106L)은 3°의 각도로 중앙 부분(106C)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다.
특히 도 1로부터 명백할 것과 같이, 그루브(120)들이 하나의 측벽(110)에 리세스되고, 이 그루브(120)들은 각각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330)들에 할당된다. 각각의 그루브(122)들은 스위치(500)의 접촉부(510, 530)들을 위해 대향 측벽(110)에 제공된다. 이러한 스위치(500)를 위해, 하우징(100)은 스위치 수용 개구(126)를 통하여 상부 벽(106)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스위치 격벽(124)을 형성한다(도 3과 비교).
스위치 격벽(124)은 벽(128)에 의해 리셉터클(116)로부터 분리된다(도 8, 도 9와 비교). 도 8 및 도 9에 따른 단면도들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스위치 격벽(124)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100)의 림 섹션(130)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림 섹션(132)은 각각의 금속 접촉 격벽(102)의 외부 벽을 형성한다(도 5와 비교).
스위치 격벽(124)의 2개의 이웃하는 림 섹션(130)들 사이에, 하우징(100)은 멈춤부(134)를 형성하며 이 멈춤부(134)는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110)의 활성 요소(5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에 의해 제공되며, 이 활성 요소(512)는 리셉터클(116)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의 아암(514) 주위에 사출 성형된다(도 1 및 도 7과 비교). 활성 요소(512)는 활성 요소 유지 슬롯(136) 내에 리셉터클(116)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고, 이 유지 슬롯(136)은 활성 요소(512)를 긴밀하게 수용한다. 다시 말하면, 활성 요소(512)와 유지 슬롯(136)을 에워싸는 벽(128)의 리세스 주위의 둘레에 단지 작은 갭이 존재하고, 이 벽(128)은 스위치 격벽(124)으로부터 리셉터클(116)을 분리시킨다.
이후에, 스위치(500)의 세부 사항들이 특히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스위치(500)는 본질적으로는 굽혀지는 2개의 시이트 금속 피스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이트 금속 피스들 중 하나는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를 형성하기 위해 굽혀지는 반면 다른 시이트 금속 피스는 정합 전기 접촉부(530)를 형성하기 위해 굽혀진다. 정합 전기 접촉부(530) 및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는 부분적으로 동일한 디자인을 가지며 이는 단지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를 참조하여서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시이트 금속 재료는 림 섹션(132)을 둘러싸고 이에 의해 림 섹션에 대항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U 형상 체결 섹션(516)을 형성하기 위해 굽혀진다(도 8 및 도 9와 비교). U 형상 체결 섹션(516)의 외부 단부는 베이스 하부 벽(108)의 표면과 본질적으로 일치하여 연장하는 접촉 러그(518)를 형성하기 위해 굽혀진다. U 형상 체결 섹션(516)의 외부 부분은 하우징(100)의 그루브(122) 내에 수용된다. 시이트 금속 피스는 외부 측에 U 형상 체결 섹션(516) 그리고 내부 측에 반대로 굽혀진 U 형상 접촉 섹션(520)을 갖는 이중 U 형상 구조물을 본질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굽혀지고, U 형상 섹션(516, 520)들 모두는 공통으로 하나의 레그(522)를 갖는다. U 형상 접촉 섹션(520)의 내부 레그(524)는 벽(128)에 의해 형성되는 기준 표면(138)에 대항하여 동일면으로 놓이도록 굽혀지는 단부 섹션(526)을 갖는다(도 8 및 도 9와 비교). 이러한 단부 섹션(526)으로부터 아암(514)은 리셉터클(116)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이 아암(514)은 정합 전기 접촉부(530)의 내부 레그(532)와 중첩된다(도 9와 비교). 이러한 중첩에서 아암(514)의 자유 단부 내부 레그(532)와 협동하는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볼록한 돌출부(528)를 형성하기 위해 냉각 가공된다. 또한, 아암(514)은 기준 표면(138)에 대항하여 접한다.
도 9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정합 전기 접촉부(530)의 내부 레그(532)의 자유 단부는 마찬가지로 기준 표면(138)에 대항하여 접히도록 굽혀진다. 따라서, 스위치(500)의 모든 접촉부(510, 530)들은 활성 요소(512)가 리셉터클 내에 수용되는 플러그 요소의 부재시 리셉터클(116) 안으로 돌출한다면 기준 표면(138)에 대항하여 푸시된다. 따라서, 접촉부(510, 530)들은 오용 및 과부하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플러그 요소가 리셉터클(116) 안으로 도입된다면, 활성 요소(512)는 활성 요소(512)가 멈춤부(134)에 대항하여 접할 때까지 활성 요소 유지 슬롯(136)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운동의 코스에서, 전기 접촉부는 돌출부(528)와 내부 레그(532) 사이에 그리고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와 정합 전기 접촉부(530) 사이에 만들어진다. 다시, 그리고 활성 요소(512)에 대한 멈춤부(134)의 할당으로 인해,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 및/또는 정합 전기 접촉부(530)의 과도한 굽힘에 의한 손상은 회피된다.
또한, 스위치(500)는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리셉터클(116)에 대한 유일한 개방 구역은 활성 요소(512)가 통과하여 돌출하는 유지 슬롯(136)이다. 스위치(500)의 나머지는, 예컨대 리셉터클(116) 안으로의 플러그 요소의 다회의 도입들에 의한, 실시예의 사용으로부터의 오염을 가능한 한 많이 제거하기 위해 벽(128) 뒤에 배열된다. 기준 표면(138)으로 인하여,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 및 정합 전기 접촉부(530), 즉 모든 접촉부(510, 530)들의 V 형상 접촉 섹션(520)은 미리 결정된 예비 부하를 받은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스위치 격벽 내에서 조립되고, 이는 조립 공차들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그리고 스위치(500)의 기능 요소들 뿐만 아니라 모든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330)들이 동일한 측으로부터, 즉 상부 벽(106)을 통하여 도입되기 때문에, 묘사된 실시예를 조립할 때 하우징(100)의 회전은 요구되지 않으며, 이는 제조 비용들을 감소시킨다.
이후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이러한 이점은 스프링 요소(400)가 마찬가지로 하우징(100)의 상부 벽(106)을 통하여 도입될 때 더 보강된다.
이후에, 스프링 요소(400)가, 특히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스프링 요소(400)는 2개의 동일한 스프링 레그(406)들이 이로부터 연장하는 베이스(404)를 갖는 U 형상 섹션(402)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프링 레그(406)들은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U 형상 섹션(402)의 편평한 베이스(404)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스프링 요소(400)는 도 11에 묘사된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 절단되고 굽힘되는 시이트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특히 스프링 레그(406)들의 중간 섹션의 시이트 금속의 굽힘 작업에 의해, 모따기 된 리드-인 구조물(412)이 앞쪽 단부(408)에 제공된다. 각각의 모따기 된 리드-아웃 구조물(414)이 뒤쪽 단부(410)에 제공된다. 이러한 모따기 된 리드-인 및 리드-아웃 구조물(412, 414)들을 통하여, 리셉터클(116) 안으로 삽입될 플러그 요소의 앞쪽 팁의 통과가 용이하게 되고 마모는 감소된다. 스프링 요소(400)가 두께, 즉 리셉터클(116)에 대한 방사상의 방향으로의 연장부보다 상당히 더 큰 폭, 즉 플러그 요소의 연장 방향으로의 연장부를 갖는 시이트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동시에 플러그 공차들에 대응하기 위해 긴 스트로크를 제공하면서 충분한 스프링력이 플러그 요소를 하우징(100) 내에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플러그 요소에 가해질 수 있다.
스프링 레그(406)들의 자유 단부에서 고착 레그(416)들이 제공되고 이 고착 레그(416)들은 베이스(404)를 향하여 스프링 레그(406)들의 하부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굽혀진다. 각각의 스프링 레그(406)는 연관된 고착 레그(416)와 V 형상 구조물을 형성한다. 도 4로부터 특히 명백한 것과 같이, 고착 레그(416)들은 본질적으로 직선 연장부를 갖고 하우징(100)의 내부 벽(140)에 대항하여 접하여 대략 20°내지 40°의 날카로운 각도를 갖는 스프링 격벽(142)을 형성한다. 따라서, 고착 레그(416)들의 자유 단부는 내부 벽(140)에 대항하여 긁히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포지티브 잠금에 의해 스프링 요소(400)를 하우징(100) 내에 고정시킨다. 도 4로부터 더 명백한 것과 같이, 스프링 요소(400)의 U 형상 섹션(402)은 직사각형의 3개의 측들에 의해 플러그 요소를 에워싼다. 플러그 요소의 최저 한계가 하우징(100)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한 베이스 표면(144)에 의해 제공된다(도 4와 비교). 이러한 베이스 표면(144)에 의해 지지되어, 원형 횡단면을 갖는 플러그 요소가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즉 모따기 된 리드-인 및 리드-아웃 구조물(412, 414)들의 레벨에서의 베이스 하부 벽(108)의 연장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그의 최대 연장부를 가질 것이다. 플러그 요소는 플러그 요소의 외부 둘레에 리세스되는 그루브 등을 가질 것이며, 이러한 그루브 또는 리세스는 리드-인 및 리드-아웃 구조물(412; 414)들 사이에서 나머지 인접면(418)과 협동한다. 스프링 레그(406)들의 중간 섹션에서, 이 중간 섹션은 플러그 요소가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최대 직경을 갖는 플러그 요소의 위치와 대응한다(도 4와 비교). 이를 위해, 높이 배향된 스프링 레그(406)들의 연장부는 스프링 격벽(142)의 지면과 협동하도록 구성되며, 바닥은 하우징(1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스프링 요소(400)는 스프링 수용 개구(146)를 통하여 하우징(100) 안으로 삽입된다(도 4와 비교).
다음에,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330)가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금속 접촉 요소들은 각각 U 형상 체결 섹션(340)을 가지며, 이 체결 섹션(340)은 연관된 금속 접촉 격벽(102)의 연관된 림 섹션(132)과 협동한다(도 5와 비교). 이에 의해,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및 330)들은 각각 하우징(100)에 고착된다. 금속 접촉 격벽(102)은 U 형상 굽힘 섹션(342)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이 U 형상 굽힘 섹션(342)은 상기 U 형상 체결 섹션(340)과 공통인 U 형상 체결 섹션(340)의 내부 레그(344)를 갖는다(도 5와 비교). 각각의 금속 접촉 격벽(102)은 리셉터클(116)을 에워싸고 하우징(100)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한 벽들 내에 리세스되는 접촉 개구(148)를 갖는다. 각각의 접촉 개구(148)를 통하여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330)의 내부 부분(346)이 리셉터클(116) 안으로 돌출하여 플러그 요소가 플러그-인 상태에서 리셉터클(160) 내에 수용될 때 플러그 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정합 접촉부와 협동하고, 이 플러그-인 상태는 스프링 요소(400)에 의해 고착된다. 따라서, 각각의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330)는 플러그 요소의 연관된 접촉 요소와 하우징(100)의 외부 주변에 노출되고 접촉 러그(350)들을 형성하는(도 5와 비교) 외부 부분(348) 사이에 전도 경로를 제공하고, 이 접촉 러그(350)들은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될 것이다.
다음에, 차폐부(200)의 세부 사항들이 특히 도 10을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특히 도 1 및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차폐부(200)는 시일링 벽(202)을 형성하기 위해 U 형상이고, 이 시일링 벽(202)은 평면 상부 벽(106)의 표면 섹션들 또는 표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장하도록 디자인된다. 하우징(100)의 구성에 따라, 차폐부(200)는 중앙 부분(202C)과 차폐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측면 부분(202L)들을 갖는 시일링 벽(202)을 형성한다. 비 장착 상태에서, 즉 도 10에 묘사된 상태에서, 모든 부분(200, C, L)들은 서로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즉 미리 정해진 라인을 따른 굽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앙 부분(202C)과 이웃하는 측면 부분(202L)들 사이에 굽힘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인은 도 10에서 확인된다.
차폐부(200)는 2개의 측면 측벽(204)들을 또한 형성하고, 이 측면 측벽(204)들은 하우징(100)의 대향하는 측벽(110)들을 둘러싼다. 하우징(100)의 각각의 측벽(110)들은 노치(150)들에 의해 돌출되며, 이 노치(150)들은 측면 측벽(204) 내에 리세스되는 노치 개구(206)들과 협동하도록 배열된다. 노치(150)들은 경사진 슬라이딩 표면(152)을 가지며 이에 대항하여 측면 측벽(204)들의 자유 단부가 접하고 슬라이딩할 것이며, 이에 의해 측면 측벽(204)들을 외방으로 굽혀서 최종적으로 스냅핑 운동을 실행하며 여기서 노치(150)들이 연관된 노치 개구(206)들에 스냅 연결되고 이에 의해 하우징(100)에 대항하여 차폐부(200)를 고착시킨다. 상부 벽(106)과, 차폐부(200)가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상기 언급된 장착 상태에서 상부 벽(106)에 인접하는 내부 표면 사이에, 시일링 패드(208)가 제공되고 이 시일링 패드(208)는 차폐부(200)에 부착된다. 시일링 패드(208)는 하나 이상의 압축 가능한 층을 가지며, 이 압축 가능한 층은 발포 층일 수 있으며, 이 층은 얇은 가요성 폴리머 시이트 들과 같은 다른 층에 의해 커버된다.
특히 도 2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노치(150)들은 차폐부(200)의 노치 개구(206)들과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를 위해 차폐부(200)는, 원래 본질적으로 직선 시일링 벽(202)을 갖는 U 형상 형태를 갖는 차폐부가 변형될 굽힘 형상을 취해야만 한다. 따라서, 측면 부분(202L)은 상부 벽(106)의 측면 부분(106L)들과 본질적으로 평행한 형상을 취하도록 하방으로 굽혀질 것이며 이들 사이에 시일링 패드(208)를 압축시킨다. 시일링 벽(202)의 이러한 탄성 변형이 원인이 되어 시일링 패드(208)는 하우징(100)에 대항하여 프레스되고 이에 의해 하우징(100)의 외부 측의 시일링을 보강한다. 또한, 그리고 시이트 재료로 만들어지는 시일링 벽(202)의 탄성 변형의 반응으로서, 시일링 패드(208)는 하우징(100)의 측면 단부에 가깝게 제공되는 약간의 리세스들 안으로 프레스될 것이며 여기서 접촉 요소(300, 310, 320, 330)들 또는 스위치(500)의 접촉부들이 림 섹션(130 또는 132)의 틈(apex)을 지나간다. 여기서 각각의 U 형상 체결 섹션(340 또는 516)의 반원 반경은 상부 벽(106)과 반드시 동일면이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압축 가능한 시일링 패드(208)는 길이방향 리셉터클(116)을 통하여 들어간 물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벽에 제공되는 리세스들 안으로 집어넣어질 것이다.
특히 도 1 및 도 10으로부터 더 명백한 것과 같이, 차폐부(200)는 그의 측면 측벽(204)에 2개의 가이딩 슬롯(212)들을 갖고 이 가이딩 슬롯(212)들은 차폐부를 하우징(100)에 장착할 때 차폐부(200)를 안내하기 위해 그리고 하우징(100)에 대한 차폐부(200)의 오배치(misplacement)를 회피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측벽(110)에 돌출하는 돌출부(154)와 협동한다. 또한, 그리고 차폐부(200)의 앞쪽의 노치 개구(206)의 돌출시, 접촉 러그(214)들이 차폐부(200)를 형성하는 시이트 금속을 외방으로 굽힘으로써 형성되고, 이에 의해 접촉 러그(214)는 차폐부(200)와 접지하기 위한 질량부에 차폐부(200)를 연결하게 된다.
100 하우징 102 금속 접촉 격벽
104 금속 접촉부 수용 개구 106 상부 벽
106C 상부 벽의 중앙 부분 106L 상부 벽의 측면 부분
108 베이스 하부 벽 110 측벽
112 전방면 114 리셉터클 개구
116 길이방향 리셉터클 118 대향하는 전방면
120 금속 접촉 요소를 위한 그루브 122 스위치 요소를 위한 그루브
124 스위치 격벽 126 스위치 수용 개구
128 벽 130 스위치 격벽의 림 섹션
132 금속 접촉 격벽의 림 섹션 134 멈춤부
136 활성 요소 유지 슬롯 138 기준 표면
140 내부 벽 142 스프링 격벽
144 베이스 표면 146 스프링 수용 개구
148 접촉 개구 150 노치
152 슬라이딩 표면 154 돌출부
200 차폐부 202 시일링 벽
202C 시일링 벽의 중앙 부분 202L 시일링 벽의 측면 부분
204 측면 측벽 206 노치 개구
208 시일링 패드 210 코너 섹션
212 가이딩 슬롯 214 접촉 러그
300 금속 접촉 요소 310 금속 접촉 요소
320 금속 접촉 요소 330 금속 접촉 요소
340 U 형상 체결 섹션 342 U 형상 굽힘 섹션
344 내부 레그 346 내부 부분
348 외부 부분 350 접촉 러그
400 스프링 요소 402 U 형상 섹션
404 베이스 406 스프링 레그
408 앞쪽 단부 410 뒤쪽 단부
412 모따기 된 리드-인 구조물 414 모따기 된 리드-아웃 구조물
416 고착 레그 418 인접면
500 스위치 510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
512 활성 요소 514 아암
516 U 형상 체결 섹션 518 접촉 러그
520 U 형상 접촉 섹션 522 공통 레그
524 내부 레그 526 단부 섹션
528 돌출부 530 정합 전기 접촉부
532 내부 레그

Claims (15)

  1. 평면 베이스 하부 벽을 갖고 커넥터에 연결될 플러그 요소를 위한 길이방향 리셉터클(116)을 형성하는 절연 재료로 만들어지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의해 수용되고 리셉터클(116)에 노출되는 내부 부분(346) 및 하우징(100)의 외부 주변에 노출되고 접촉 러그를 형성하는 외부 부분(348)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330); 및
    상기 리셉터클(116)에 할당되고 상기 리셉터클(116) 내에 수용되는 플러그 요소에 대항하여 편향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요소(400)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400)는 길이방향 리셉터클의 연장 방향으로 폭을 갖는 절단 및 굽힘 시이트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스프링 요소(400)는 베이스(404) 및 평행한 2개의 스프링 레그(406)들을 갖는 U 형상 섹션(402)을 갖고, 상기 U 형상 섹션(402)은 상기 U 형상 섹션(402)의 3개의 측들 상에 플러그-인 상태의 플러그 요소를 커버하도록 리셉터클(116)을 에워싸고, 상기 스프링 레그(406)들의 적어도 대향하는 중간 섹션들은 리셉터클(116) 안으로 도입될 때 플러그 요소를 위한 모따기 된 리드-인 구조물(4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레그(406)들의 대향하는 중간 섹션들은 이들의 앞쪽 및 뒤쪽 단부(408; 410)들에서 모따기 된 리드-인 및 리드-아웃 구조물(412; 414)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 레그(406)들의 자유 단부들에 연결되는 고착 레그(416)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레그(416)들의 각각은 할당된 스프링 레그(406)와 V 형상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베이스 하부 벽(108)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하나 이상의 금속 접촉 수용 개구(104) 및/또는 스프링 요소 수용 개구(146)를 형성하는 평면 상부 벽(106)을 형성하고, 차폐부(200)가 차폐부(200)와 상부 벽(106) 사이에 끼워지는 시일링 패드(208)에 의해 하우징(10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400) 및/또는 금속 접촉 요소(300, 310, 320, 330) 및/또는 스위치 수단(500)을 하우징(100) 안으로 도입하기 위한 모든 수용 개구(104; 146; 126)들은 단지 상부 벽(106) 내에 리세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200)는 상부 벽(106)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시일링 벽(202) 및 상기 하우징(100)의 대향하는 측벽(110)들을 둘러싸는 측면 측벽(204)들을 형성하기 위해 U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110)들은, 상기 차폐부(200)가 하우징(100)에 고착되는 장착 상태에서 차폐부(200)의 노치 개구(206) 내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노치(150)에 의해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100), 하나 이상의 노치(150) 및 차폐부(200)는 장착 상태에서, 상기 차폐부(200)가 하우징(100)의 형상을 채택하고 차폐부(200)와 하우징(100) 사이의 시일링 패드(208)를 압축하기 위해 굽힘으로써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08)는 차폐부(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08)는 적어도 접착제 층 및 압축 가능한 재료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발포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08)는 폴리이미드로 만들어지는 외부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116)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활성 요소 유지 슬롯(136)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활성 요소(512)를 하우징(100) 내에 갖고 정합 전기 접촉부(530)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와 협동하는 스위치 수단(5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 및 정합 전기 접촉부(530)는 리셉터클(116)을 형성하는 벽(128) 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하우징(100)에 의해 형성되고 리셉터클(116)로부터 멀어지는 활성 요소(512)의 운동을 멈추도록 구성되는 멈춤 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 및/또는 정합 전기 접촉부(530)는 내부 자유 접촉 레그(524, 532)에, 또는 상기 하우징(100)에 의해 형성되는 기준 표면(138)에 접하는 아암(51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자유 접촉 레그(524, 532)는 하우징(100)에 의해 형성되는 림 섹션(132)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U 형상 체결 섹션(516)을 형성하는 굽힘 시이트 금속의 일부를 형성하고, U 형상 체결 섹션(516)은 하우징(100)의 외부 주변에 노출되는 접촉 러그(518)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요소(512)는 이동 가능한 전기 접촉부(510)를 형성하는 시이트 금속 주위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47035346A 2012-05-16 2013-05-15 전기 커넥터 KR102043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003881.5 2012-05-16
EP12003881.5A EP2665140B1 (en) 2012-05-16 2012-05-16 Electric connector
PCT/EP2013/001442 WO2013170961A1 (en) 2012-05-16 2013-05-15 Electric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096A KR20150027096A (ko) 2015-03-11
KR102043206B1 true KR102043206B1 (ko) 2019-11-11

Family

ID=4843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346A KR102043206B1 (ko) 2012-05-16 2013-05-15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3856B2 (ko)
EP (2) EP2793318A1 (ko)
KR (1) KR102043206B1 (ko)
CN (1) CN104471800B (ko)
WO (1) WO2013170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44492U (zh) * 2014-08-22 2015-0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KR102344836B1 (ko) * 2015-05-12 2021-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 장치, 그의 제작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663754B2 (ja) * 2016-03-09 2020-03-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7799943B (zh) * 2016-09-07 2024-04-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端口
USD831572S1 (en) * 2017-11-20 2018-10-23 The Charles Machine Works, Inc. Electrical connection cover
EP3496211B1 (de) * 2017-12-07 2020-09-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ktrische verbindungslei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978B2 (ja) * 1994-12-15 2001-01-29 鹿島建設株式会社 移動体からの画像受信装置
CN2831493Y (zh) * 2005-09-05 2006-10-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音频连接器
CN2831490Y (zh) * 2005-08-05 2006-10-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音频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1887A (en) * 1963-01-16 1965-03-02 Pyle National Co Shielding and sealing gasket construction
US3514737A (en) * 1968-02-21 1970-05-26 Amp Inc Printed circuit board socket connector
US4165147A (en) * 1978-06-05 1979-08-21 Magnetic Controls Company Printed circuit board jack
US4529257A (en) * 1983-02-22 1985-07-16 International-Telephone & Telegraph Corp. Combined electrical shield and environmental seal for electrical connector
US4684190A (en) * 1986-03-05 1987-08-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roud
US4702543A (en) * 1986-04-30 1987-10-27 G & H Technology, Inc. Environmental seal and alignment means for an electromagnetically formed backshell
TW415673U (en) * 1998-10-17 2000-12-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onnector
US6309742B1 (en) * 2000-01-28 2001-10-30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EMI/RFI shielding gasket
JP3683151B2 (ja) * 2000-02-04 2005-08-1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ジャック
JP3711002B2 (ja) * 2000-08-31 2005-10-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6612875B1 (en) * 2002-07-05 2003-09-02 Sheng Hsin Liao Multifunctional vehicle adapter
US7647111B2 (en) * 2003-07-31 2010-01-12 Medtronic, Inc.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lead and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TWM294114U (en) * 2005-11-25 2006-07-11 Advanced Connectek Inc Audio frequency socket connector
JP4505424B2 (ja) * 2006-03-17 2010-07-21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ャック
CN201113010Y (zh) * 2007-07-16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336452Y (zh) * 2008-12-15 2009-10-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1800375B (zh) * 2009-02-07 2012-06-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与其配合的插头连接器
CN201667469U (zh) * 2009-11-02 2010-1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978B2 (ja) * 1994-12-15 2001-01-29 鹿島建設株式会社 移動体からの画像受信装置
CN2831490Y (zh) * 2005-08-05 2006-10-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音频连接器
CN2831493Y (zh) * 2005-09-05 2006-10-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音频连接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27978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5140B1 (en) 2014-12-03
CN104471800B (zh) 2016-12-14
WO2013170961A1 (en) 2013-11-21
CN104471800A (zh) 2015-03-25
KR20150027096A (ko) 2015-03-11
US20150155663A1 (en) 2015-06-04
US9343856B2 (en) 2016-05-17
EP2793318A1 (en) 2014-10-22
EP2665140A1 (en)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206B1 (ko) 전기 커넥터
US1031262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orward and rearward waterproof sealing
KR101603493B1 (ko) 커넥터
TWI506879B (zh) 電連接器
US8986027B2 (en) Connector
US20180287290A1 (en) Electronic part and connector
US9444178B2 (en) Waterproof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compressed into an opening in the housing
CN103858286A (zh) 能够外部连接的电子电路单元
TW201444193A (zh) 連接器
US11196207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protective cover
US20160149345A1 (en) Receptacle structure
US9407017B2 (en) Terminal attachment base, terminal and audio apparatus
KR20210045379A (ko) 전기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951520B1 (ko) 절연 성능을 높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TW201906248A (zh) 電連接器
JP2015088233A (ja) コネクタ
US10971829B2 (en) Connector and package body
CN100405670C (zh) 壳体以及具备该壳体的连接件构造
JP2014143069A (ja) 同軸コネクタ
CN210111155U (zh) 插接座及电子设备
JP2024030590A (ja) 多重嵌合するコネクタを備えるコネクタ組立体
JP2013080673A (ja) 外部接続が可能な電子回路ユニット
JP2013080674A (ja) 外部接続が可能な電子回路ユニット
KR20190054859A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17045666A (ja) ジ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