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859A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859A
KR20190054859A KR1020170170902A KR20170170902A KR20190054859A KR 20190054859 A KR20190054859 A KR 20190054859A KR 1020170170902 A KR1020170170902 A KR 1020170170902A KR 20170170902 A KR20170170902 A KR 20170170902A KR 20190054859 A KR20190054859 A KR 20190054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ver
shell
sea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132B1 (ko
Inventor
이현우
최정훈
장현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5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Contact);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Shell); 상기 쉘에 결합된 커버(Cover); 및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가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플랜지의 전방면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쉘이 갖는 플랜지의 전방면에 결합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는 이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결합된다. 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충전 기능, 데이터 전송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최근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가 생활방수에 비해 더 강화된 완전방수 기능을 갖출 것이 요구되면서, 방수성능이 강화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커버(11),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12), 및 상기 컨택트(12)가 복수개 결합되는 절연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12)들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컨택트(1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이 상기 절연부(13)의 후면(13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절연부(13)에 결합된다.
상기 절연부(13)는 상기 커버(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11)에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커버(1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절연부(13)에 결합된 컨택트(12)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컨택트(12)들을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상기 커버(11)의 내부를 통해 수분, 분진 등이 전자기기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11)의 내부에 대해 방수구조를 구현하는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전자기기 전체에 대한 방수성능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면서,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전자기기의 사이를 통해 수분, 분진 등이 전자기기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기기와의 사이에 대해 방수구조를 구현하는 기술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자기기와의 사이에 대해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Contact); 상기 컨택트들이 결합된 절연부; 상기 절연부가 결합된 쉘(Shell); 상기 쉘에 결합된 커버(Cover); 및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은 상기 절연부를 수용하기 위한 쉘본체, 및 상기 커버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전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플랜지의 전방면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플랜지의 전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링부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와의 사이에 대한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 전체에 대한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쉘 및 실링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9 및 도 10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
도 12는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결합된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Contact)(2),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3), 상기 절연부(3)가 결합된 쉘(Shell)(4),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5), 및 상기 쉘(4)에 결합된 커버(Cover)(6)를 포함한다.
상기 쉘(4)은 상기 절연부(3)를 수용하기 위한 쉘본체(41), 및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42)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커버(6)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다. 상기 플랜지(42)는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전방면(421)을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사이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되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와의 사이에 대한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 전체에 대한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42)를 이용하여 상기 실링부(5)가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실링부(5)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가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상기 플랜지(42)가 상기 실링부(5)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력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랜지(42)가 상기 커버(6)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실링부(5)를 지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6)는 상기 플랜지(4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플랜지(42)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가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상기 실링부(5)에 대한 지지력을 더 강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택트(2), 상기 절연부(3), 상기 쉘(4), 상기 실링부(5), 및 상기 커버(6)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컨택트(2)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내부로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도전성(導電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는 상기 절연부(3)에 결합된다. 상기 절연부(3)에는 상기 컨택트(2)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접속부재(21, 도 3에 도시됨) 및 실장부재(22,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2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3)의 일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접속부재(21)가 상기 절연부(3)의 타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의 일면 및 타면은 서로 반대되는 면(面)이다. 상기 절연부(3)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3)의 상면(上面)일 수 있다. 상기 절연부(3)의 타면은, 상기 절연부(3)의 하면(下面)일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2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상기 실장부재(22)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21)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속부재(21)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실장부재(2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상기 절연부(3)의 일면에 위치한 컨택트(2)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 중에서 상기 절연부(3)의 타면에 위치한 컨택트(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부(3)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각각 연결부재(23,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접속부재(21) 및 상기 실장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3), 상기 실장부재(22), 및 상기 접속부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쉘본체(4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쉘본체(41)의 외부에 위치한 실장부재(22)들이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내부로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접속부재(21)들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속부재(21)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쉘본체(41)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절연돌기(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돌기(31)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돌기(31)는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쉘본체(41)의 외부에서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쉘본체(41)의 내부 및 상기 쉘본체(41)의 외부 모두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충분한 접속면적을 유지하면서 접속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절연부(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쉘본체(41)의 길이(41L, 도 4에 도시됨)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쉘본체(41)가 상기 전자기기에서 차지하는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쉘본체(41)의 길이(41L)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하나의 수평면에서 서로 수직한 축 방향이다.
상기 절연돌기(31)는 상기 컨택트(2)들의 접속부재(21)들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접속부재(21)들에서 상기 절연돌기(31)에 지지된 부분이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접속부재(21)들에서 상기 절연돌기(31)에 지지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3)는 제1절연부재(32, 도 5에 도시됨) 및 제2절연부재(33,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절연부재(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돌기(31) 및 상기 제2절연부재(3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절연부재(32)가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는 일부가 상기 쉘본체(41)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재(32) 및 상기 쉘본체(41)의 내벽 사이는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에는 상기 절연돌기(3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돌기(31)는 상기 제1절연부재(32)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재(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 및 상기 절연돌기(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32), 상기 절연돌기(31), 및 상기 컨택트(2)들은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33)는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절연부재(33)는 상기 제1절연부재(31)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실장부재(22)들이 상기 제2절연부재(33)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컨택트(2)들은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2절연부재(33)가 상기 쉘본체(4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절연부재(33)는 상기 쉘본체(41)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제1절연부재(3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제1절연부재(3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제1절연부재(32)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제1절연부재(32) 각각에 결합된 미드플레이트(Mid-Plate)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드플레이트 및 상기 컨택트(2)들은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제1절연부재(3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재(33) 및 상기 제1절연부재(32)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절연부재(33)는 상기 제1절연부재(32)에 대해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재(3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절연부재(33), 상기 제1절연부재(32), 및 상기 절연돌기(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쉘(4)은 상기 절연부(3)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는 일부가 상기 쉘(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4)은 딥드로잉(Deep Drawing) 공법을 통해 가공되어서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4)은 상기 쉘본체(41) 및 상기 플랜지(42)를 포함한다.
상기 쉘본체(41)는 상기 절연부(3)를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절연부(3)는 일부가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본체(41)는 내부에 위치한 컨택트(2)들 및 상기 절연부(3)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쉘본체(41)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타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컨택트(2)들 및 상기 절연부(3)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절연돌기(31)가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절연부재(32)가 상기 쉘본체(41)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절연부재(33)가 상기 쉘본체(41)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본체(41)는 수용공(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411)은 상기 쉘본체(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제1절연부재(32)가 상기 수용공(411)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쉘본체(41)의 바깥쪽은, 상기 쉘본체(41)에서 상기 수용공(411)을 향하는 안쪽에 대해 반대되는 쪽이다.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방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2) 및 상기 쉘본체(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42) 및 상기 쉘본체(41)는 딥드로잉 공법을 통해 가공되어서 이음매가 없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2)는 전체적으로 내측이 비어 있는 타원형의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실링부(5)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200, 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플랜지(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실링부(5)가 압착되도록 상기 실링부(5)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실링부(5)가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200) 및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커버(6)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커버(6)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실링부(5)가 압착되도록 상기 실링부(5)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쉘본체(41)의 전단(前段)(412)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쉘본체(41)의 전단(412)은, 상기 쉘본체(41)에서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끝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쉘본체(41)의 전단(412)은, 상기 커버(6)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전방면(4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면(421)은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전방면(421)은 상기 플랜지(42)에서 전방(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面)일 수 있다. 상기 전방면(421)은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200)와 상기 플랜지(42) 사이에 위치한 실링부(5)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상기 실링부(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면(421)은 평면(平面)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42)는 후방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면(422)은 후방(B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후방면(422)은 상기 플랜지(42)에서 후방(BD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面)일 수 있다. 상기 후방면(422)은 상기 커버(6)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후방면(422)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된 실링부(5)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와의 사이에 대한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기기 전체에 대한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는 전체적으로 내측이 비어 있는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으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200) 및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의해 양측이 가압됨에 따라 압착됨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200) 및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200)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200) 및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의해 양측이 가압됨에 따라 압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5)가 압착되면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실링부(5)는 일부가 상기 쉘본체(41)의 수용공(411)의 일부를 가리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5)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기 위한 쉘본체(41)의 입구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쉘본체(41)의 입구를 가린 실링부(5)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쉘본체(41)의 내부로 삽입되어서 컨택트(2)들에 접속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링부(5) 및 상기 쉘(4)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으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제1거리(5a, 도 10에 도시됨)로 돌출되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명(4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거리(5a)는 상기 실링부(5)가 압착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실링부(5)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으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5)는 상기 플랜지(42)가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공(411)으로부터 제2거리(5b)로 이격되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거리(5b)는 상기 실링부(5)가 압착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실링부(5)가 상기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41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일 수 있다. 상기 돌출방향은 상기 플랜지(42)가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방사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제2거리(5b) 및 상기 제1거리(5a)가 동일하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제2거리(5b)가 상기 제1거리(5a)에 비해 더 크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가 압착되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411) 쪽으로 최대한 늘어나더라도, 상기 실링부(5)가 상기 수용공(411)을 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에 대한 가압력 증대를 통해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착에 의해 변형된 실링부(5)가 상기 수용공(411)을 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컨택트(2)들에 원활하게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실링부(5)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플랜지(42)에는 상기 실링부(5)를 상기 수용공(411)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공(41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플랜지(42)의 플랜지면(42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면(423)은 상기 플랜지(42)에서 상기 돌출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面)이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5)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서 상기 돌출방향 쪽으로 치우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랜지(42)에서 상기 실링부(5)를 상기 수용공(411)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42)가 상기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은 내측면(421a, 도 8에 도시됨) 및 외측면(421b, 도 8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해칭이 표시된 부분이 상기 외측면(421b)에 해당하고, 상기 외측면(421b)의 내측에 해칭 없이 표시된 부분이 상기 내측면(421a)에 해당한다.
상기 내측면(421a)은 상기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실링부(6)에서 상기 수용공(411) 쪽을 향하는 안쪽에 위치한 것이다. 상기 내측면(421a)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의 일부에 해당한다.
상기 외측면(421b)은 상기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측면(421a)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상기 플랜지면(423)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외측면(421b)은 상기 내측면(421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면(421a)은 상기 외측면(421b)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421b)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서 상기 내측면(421a)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에 해당한다.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외측면(421b)의 전면(全面)을 가리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부(5)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서 상기 돌출방향 쪽으로 최대한 치우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랜지(42)에서 상기 실링부(5)를 상기 수용공(411)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42)가 상기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실링부(5)는 실링본체(51, 도 11에 도시됨) 및 삽입부재(52,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본체(51)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으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실링본체(51)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52)는 상기 실링본체(51)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상기 삽입부재(52)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형성된 플랜지홈(43, 도 11에 도시됨)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플랜지홈(43)에 삽입된 삽입부재(5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본체(5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홈(43)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서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홈(43)은 전체적으로 내측이 비어 있는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부재(52)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홈(43)은 상기 외측면(421b)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52)는 상기 실링본체(51)에 비해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52)는 상기 실링본체(51)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실링본체(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52) 및 상기 실링본체(5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5)는 실링재료를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디스펜싱(Dispensing)한 후에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홈(43)에는 실링재료가 채워진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상기 삽입부재(52)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는 실링재료가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상기 실링본체(51)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 및 상기 플랜지(42) 간의 접착면적 증대를 통해 결합력을 증시킴으로써, 상기 실링부(5)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및 상기 전자기기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위치에서 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커버(6)는 상기 쉘(4)을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6)는 상기 쉘(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표면실장기술((Su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부분적으로 용접이 수행됨으로써, 상기 쉘(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커버본체(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1)는 상기 쉘본체(41)를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본체(61)는 내부에 상기 쉘본체(41)가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1)는 상기 플랜지(4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61)는 상기 플랜지(42)의 후방면(422)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실링부(5)가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사이에서 압착되는 경우, 상기 커버본체(61)가 상기 플랜지(42)의 후방면(422)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랜지(42)가 상기 실링부(5)에 의해 밀려서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사이에서 상기 실링부(5)를 강하게 압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타원형의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커버돌기(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돌기(62)는 상기 플랜지(4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본체(6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돌기(62)는 상기 플랜지(42)의 후방면(422)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랜지(42)가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커버돌기(62)를 이용하여 상기 플랜지(42)의 후방면(422)을 지지하는 지지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플랜지(42)가 상기 실링부(5)에 밀려서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사이에서 상기 실링부(5)를 더 강하게 압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커버돌기(62)는 상기 커버본체(6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61)의 바깥쪽은, 상기 커버본체(61)에서 상기 쉘본체(41)를 향하는 안쪽에 대해 반대되는 쪽이다. 상기 커버돌기(62)는 상기 커버본체(61)의 외주면에서 일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본체(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돌기(62) 및 상기 커버본체(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돌기(62)는 상기 커버본체(61)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에 굽힘(Bending) 가공함으로써 상기 커버본체(61)의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제1커버본체(611) 및 제2커버본체(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본체(611)는 상기 쉘본체(41)의 일측에 배치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1커버본체(611)는 상기 쉘본체(41)의 상측 및 상기 쉘본체(41)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본체(612)는 상기 쉘본체(41)의 타측에 배치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2커버본체(612)는 상기 쉘본체(41)의 하측 및 상기 쉘본체(41)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본체(612) 및 상기 제1커버본체(611)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쉘본체(41)는 상기 제2커버본체(612) 및 상기 제1커버본체(6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6)는 제1커버돌기(621) 및 제2커버돌기(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돌기(621)는 상기 플랜지(4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커버본체(6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본체(611)가 상기 쉘본체(41)의 상측 및 상기 쉘본체(41)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는 경우, 상기 제1커버돌기(621)는 상기 제1커버본체(61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돌기(621) 및 상기 제1커버본체(6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커버돌기(621)는 상기 제1커버본체(611)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에 굽힘 가공함으로써 상기 제1커버본체(6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돌기(622)는 상기 플랜지(4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커버본체(61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본체(612)가 상기 쉘본체(41)의 하측 및 상기 쉘본체(41)의 양측면 일부를 가리는 경우, 상기 제2커버돌기(622)는 상기 제2커버본체(612)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돌기(622) 및 상기 제2커버본체(6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커버돌기(622)는 상기 제2커버본체(612)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에 굽힘 가공함으로써 상기 제2커버본체(612)의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돌기(622) 및 상기 제1커버돌기(621)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42)의 후방면(422)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랜지(42)가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커버돌기(622) 및 상기 제1커버돌기(621)를 이용하여 상기 플랜지(42)의 후방면(422)을 지지하는 지지면적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커버돌기(622) 및 상기 제1커버돌기(621)가 상기 플랜지(42)의 후방면(422)에 대해 서로 다른 부분을 지지하므로, 상기 플랜지(42)가 부분적으로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돌기(622)는 상기 제1커버돌기(621)에 비해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커버돌기(622)의 두께(622a, 도 12에 도시됨)가 상기 제1커버돌기(621)의 두께(621a, 도 11에 도시됨)에 비해 더 얇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커버돌기(621)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 제1공간(621b)에 비해 상기 제2커버돌기(62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 제2공간(622b)이 더 넓게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공간(622b)이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연성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과 같은 부품을 배치하는데 활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커버본체(612)는 상기 제1커버본체(611)에 비해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커버본체(612)의 두께(612a, 도 12에 도시됨)가 상기 제1커버본체(611)의 두께(611a, 도 11에 도시됨)에 비해 더 얇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간(622b)이 상기 제1공간(621b)에 비해 더 넓게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공간(622b)이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연성회로기판(FPC) 등과 같은 부품을 배치하는데 활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본체(612)의 두께(612a)가 상기 제1커버본체(611)의 두께(611a)에 비해 더 얇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커버돌기(622)의 두께(622a)가 상기 제1커버돌기(621)의 두께(621a)에 비해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간(622b)의 크기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공간(622b)에 대한 활용도를 더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방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7)는 상기 쉘(4)의 내부에 대한 방수구조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방수부(7)는 상기 절연부(3)의 외면 및 상기 쉘(4)의 내면 사이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쉘(4)의 내부에 대한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7)는 상기 컨택트(2)들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컨택트(2)들에 대한 방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3)가 상기 쉘(4)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쉘(4)의 내부에 포팅액을 도포한 후에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방수부(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컨택트
3 : 절연부 4 : 쉘
5 : 실링부 6 : 커버
7 : 방수부 21 : 접속부재
22 : 실장부재 23 : 연결부재
31 : 절연돌기 32 : 제1절연부재
33 : 제2절연부재 41 : 쉘본체
42 : 플랜지 43 : 플랜지홈
51 : 실링본체 52 : 삽입부재
61 : 커버본체 62 : 커버돌기

Claims (11)

  1. 플러그 커넥터 및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컨택트(Contact)(2);
    상기 컨택트(2)들이 결합된 절연부(3);
    상기 절연부(3)가 결합된 쉘(Shell)(4);
    상기 쉘(4)에 결합된 커버(Cover)(6); 및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쉘(4)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5)를 포함하고,
    상기 쉘(4)은 상기 절연부(3)를 수용하기 위한 쉘본체(41), 및 상기 커버(6)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42)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42)는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전방면(421)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전자기기 및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4)은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형성된 플랜지홈(43)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5)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실링본체(51), 및 상기 플랜지홈(43)에 삽입되도록 상기 실링본체(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삽입부재(52)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플랜지홈(43)에 삽입된 삽입부재(52)를 지지하여 상기 실링본체(51)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본체(4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공(411)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5)는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으로부터 전방으로 제1거리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42)가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공(411)으로부터 제2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되되, 상기 제2거리가 상기 제1거리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거리에 비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실링부(5)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상기 쉘본체(4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쉘본체(4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공(411)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돌출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플랜지면(423)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5)는 상기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공(41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상기 플랜지면(42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은 상기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실링부(5)에서 상기 수용공(411) 쪽을 향하는 안쪽에 위치한 내측면(421a), 및 상기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측면(421a)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상기 플랜지면(423)에 연결된 외측면(421b)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5)는 상기 외측면(421b)의 전면(全面)을 가리도록 상기 플랜지(42)의 전방면(42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3)는 상기 쉘본체(4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절연돌기(31)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돌기(31)는 상기 컨택트(2)들이 상기 쉘본체(41)의 외부에서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도록 상기 컨택트(2)들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는 상기 쉘본체(41)를 수용하기 위한 커버본체(61), 및 상기 플랜지(4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본체(6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커버돌기(62)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42)는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후방면(422)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돌기(62)는 상기 플랜지(42)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플랜지(42)의 후방면(422)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는 상기 쉘본체(41)의 일측에 배치된 제1커버본체(611), 상기 쉘본체(41)의 타측에 배치된 제2커버본체(612), 상기 플랜지(4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커버본체(6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커버돌기(621), 및 상기 플랜지(4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커버본체(612)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2커버돌기(622)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42)는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후방면(4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커버돌기(621) 및 상기 제2커버돌기(622)는 상기 플랜지(42)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플랜지(42)의 후방면(422)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돌기(622)는 상기 제1커버돌기(621)에 비해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본체(612)는 상기 제1커버본체(611)에 비해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70170902A 2017-11-14 2017-12-13 리셉터클 커넥터 KR102337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790 2017-11-14
KR20170151790 2017-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859A true KR20190054859A (ko) 2019-05-22
KR102337132B1 KR102337132B1 (ko) 2021-12-09

Family

ID=6668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902A KR102337132B1 (ko) 2017-11-14 2017-12-13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1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90A (ko) * 2014-06-26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05944583U (zh) * 2016-07-12 2017-0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6004057U (zh) * 2016-07-27 2017-03-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776642B1 (ko) * 2016-06-24 2017-09-12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KR20170107902A (ko) * 2016-03-16 2017-09-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용 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090A (ko) * 2014-06-26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107902A (ko) * 2016-03-16 2017-09-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용 쉘 제조방법
KR101776642B1 (ko) * 2016-06-24 2017-09-12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CN205944583U (zh) * 2016-07-12 2017-0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6004057U (zh) * 2016-07-27 2017-03-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132B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72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998539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761988B1 (en) Waterproof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R101301982B1 (ko)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CN111656621B (zh) 插座连接器
US6227872B1 (en) Moisture resistant electrical connector for a cellular telephone
KR20170036529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US20080008468A1 (en) Camera module
US10367293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80166921A1 (en) Shielded connector
KR102043206B1 (ko) 전기 커넥터
CN108475878B (zh) 插座连接器
CN113382592A (zh) 电子设备
CN112821129B (zh) 背板连接器组件及背板连接器用密封组件
KR10265477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123174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제조방법
CN208385715U (zh) 电子设备
KR20180098060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90054859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6667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CN210405454U (zh) 摄像头和具有其的机器人
TWI699050B (zh) 電連接器
JP2021166158A (ja) 電子機器
CN211629407U (zh) 插座连接器
CN114080735B (zh) 插座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