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370B1 - 도체 단자, 그리고 도체 단자와 작동 툴로 구성된 세트 - Google Patents

도체 단자, 그리고 도체 단자와 작동 툴로 구성된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370B1
KR102042370B1 KR1020187012267A KR20187012267A KR102042370B1 KR 102042370 B1 KR102042370 B1 KR 102042370B1 KR 1020187012267 A KR1020187012267 A KR 1020187012267A KR 20187012267 A KR20187012267 A KR 20187012267A KR 102042370 B1 KR102042370 B1 KR 10204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actuating
section
terminal
bottom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641A (ko
Inventor
콘라트 슈트로미델
헨리 슈톨체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8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재 하우징(2)과 탄성력 단자 연결부(3)를 포함하는 도체 단자(1)에 관한 것이다. 탄성력 단자 연결부(3)는, 시트 부재로 형성되어, 바닥 섹션(8)과; 이 바닥 섹션(8)으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측벽 섹션들(9)과;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4);을 구비한 접촉체를 포함한다. 바닥 섹션(8)은 측벽 섹션들(9)과 함께, 전기 도체(27)의 수용을 위한 도체 수용 채널을 형성하고, 측벽 섹션들(9)로부터는 판스프링 설부들(11)이 서로 대향하는 방식으로 돌출되고, 각각의 판스프링 설부는 도체 수용 채널 내에 수용된 전기 도체(27)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에지부(12)를 포함한다. 절연재 하우징(2)은 도체 수용 채널로 이어지는 도체 삽입 개구부(5)를 전면부에 포함한다.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4)은 바닥 섹션(8)의 평면으로부터 만곡되고, 바닥 섹션(8)의 평면에 상대적으로 오프셋 되어 배치되는 납땜 이음 평면을 범위 한정한다.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은 바닥 섹션(8)의 함몰 영역을 형성한다. 폐쇄 커버(40)는 상기 함몰 영역 내로 맞물려 고정되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체 단자, 그리고 도체 단자와 작동 툴로 구성된 세트
본 발명은 절연재 하우징(insulating-material housing)과 탄성력 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는 도체 단자에 관한 것이며, 탄성력 단자 연결부는, 시트 부재로 형성되어, 바닥 섹션과; 이 바닥 섹션으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측벽 섹션들과;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을 구비한 접촉체(contact body)를 포함한다. 바닥 섹션은 측벽 섹션들과 함께, 전기 도체의 수용을 위한 도체 수용 채널을 형성한다. 측벽 섹션들로부터는, 도체 수용 채널 내에 수용된 전기 도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에지부(clamping edge)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 설부(leaf-spring tongue)가 돌출된다. 절연재 하우징은 전면부(front face)에 도체 수용 채널로 이어지는 도체 삽입 개구부(conductor insertion opening)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체 단자와 작동 툴(actuating tool)로 구성되는 세트(set)에도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도체 단자들은 예컨대 절연재 하우징 내에 통합되는 푸시버튼과 함께 DE 10 2010 014 144 B4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WO 2013/176859 A1호는, 절연재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작동 슬라이더들(actuating slider)이면서 각각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 상에 형성되어 전기 도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한 상기 작동 슬라이더들을 포함하는 SMD 인쇄회로기판 단자를 개시하고 있다.
KR 10 2014 0122904 A호는, 도체 삽입 방향으로 향하는 작동 러그들(actuating lug)을 구비하는 2개의 서로 대향하는 판스프링들을 구비한 탄성력 단자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사한 SMD 인쇄회로기판 단자와; 변위 가능하게 상면 및 후면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 작동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절연재 하우징;을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배경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자동 조립 기계를 이용한 취급이 향상되고 조명 장치에서의 이용 시 도체 단자의 감지성(perceptiblity)이 감소되는, 개량된 도체 단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도체 단자와; 청구항 제17항의 특징들을 갖는 상기 도체 단자 및 작동 툴로 구성되는 세트;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인 유형의 도체 단자에 대한 제안에 따르면,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은, 바닥 섹션의 평면으로부터 만곡되고, 바닥 섹션의 평면에 상대적으로 오프셋 되어 배치되는 납땜 이음 평면을 범위 한정하며, 바닥 섹션의 함몰 영역(indented region)을 형성한다. 폐쇄 커버(closure cover)는 상기 함몰 영역 내로 맞물려 고정되기 위해 제공된다.
첫째로,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이 바닥 섹션의 평면에 상대적으로 오프셋 되어 배치되는 납땜 이음 평면을 범위 한정하도록, 바닥 섹션의 평면으로부터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을 만곡시키는 것을 통해, 도체 단자가 구비되는 전기 인쇄회로기판의 전체 높이의 감소가 달성된다. 요컨대 도체 단자들은 상기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의 개구부 안쪽에 매달려 인쇄회로기판의 후면 상에서 납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체 단자는 간단하지 않게 인쇄회로기판 상에 안착되어 상면에서 납땜 이음 접점들과 납땜된다. 또한, 이런 평면 오프셋을 통해, 폐쇄 커버가 그 내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는 접촉체의 함몰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폐쇄 커버에 의해, 도체 단자의 취급을 위한 자동 조립 기계를 위한 흡착면이 마련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 상에 적층되는 조명 요소들(예: LED 발광다이오드들)이 납땜 이음 접점들의 면 상에 위치될 때 조명 트랩(light trap) 또는 어두운 반점들(dark stain)이 형성되는 점도 방지된다. 각각 상기 조명 요소들의 배열 및 산란 파편(scattered shard)의 형성에 따라서, 도체 단자 내부의 함몰부들은 "어두운 반점"으로서의 산란 파편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폐쇄 커버에 의해서는, 조명 요소들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도체 단자의 감지성은 감소된다.
이 경우, 폐쇄 커버는, 절연재 하우징에 대해, 접촉체와 연결되어 절연재 하우징 없이도 자신의 기능을 발휘하는 별도의 부분을 형성한다.
폐쇄 커버는, 접촉체 내의 래치 개구부들(latch opening) 내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매칭되는 노즈부들(latch nose)을 포함한다. 그러나 폐쇄 커버가 접촉체의 래치 노즈부들과 걸림 고정되도록 매칭되는 래칭 개구부들 또는 래치 에지부들을 포함하는 점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접촉체와 폐쇄 커버의 상기 걸림 고정을 통해, 공기 간극 및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를 감소시킬 수도 있는 절연재 하우징 상의 래치 개구부들은 방지된다.
폐쇄 커버는, 이 폐쇄 커버의 덮개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핑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각각 한 쌍의 상기 핑거부들은 서로 대향하는 방식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그리고 안착을 위한 함몰 영역 내로 밀어 넣어지기 위해 각각 인접하는 방식으로, 바닥 섹션에서부터 납땜 이음 접촉 설부로 이어지는 접촉체의 연결 웨브(connection web)에 매칭된다. 이런 방식으로, 서로 대향하는 각각 한 쌍의 상기 핑거부를 포함하는 폐쇄 커버는, 한 쌍의 상기 핑거부들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래치 요소들을 포함하는 서로 대향하는 연결 웨브들 상에서 맞물려 고정된다. 덮개판이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에 의해 범위 한정되는 평면의 상부에서 유지되는 반면, 핑거부들은 접촉체의 함몰 영역 내로 밀어 넣어진다.
핑거부들은 래치 에지부를 구비한 각각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리세스들은 각각 접촉체의 래치 노즈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래치 노즈부는 예컨대 연결 웨브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래치 노즈부는 리세스의 경계 벽부를 통해 형성된다.
핑거부 내의 상기 리세스에 의해, 핑거부의 안정성 및 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리세스를 한정하는 측벽부들은 힘 인가 및 휨 하중 시에 탄성 변형에 대한 핑거부의 저항을 증대시킨다.
그러나 핑거부들은, 접촉체의 각각 인접하는 연결 웨브의 래치 개구부 내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하나의 래치 노즈부 역시도 포함할 수 있다.
폐쇄 커버의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2개의 핑거부들 사이에서, 덮개판의 덮개 설부들(covering tongue)이 덮개판의 평면 상에서 돌출될 수 있다. 덮개 설부들은, 슬롯들을 통해, 핑거부들로 전이되는 덮개판의 섹션들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슬롯들을 통해, 특히 절연재 하우징이 상기 슬롯들 내로 밀어 넣어질 때, 공기 간극 및 연면 거리는 개선될 수 있다.
바닥 섹션에 대향하는 절연재 하우징의 덮개 섹션은, 바닥 섹션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접촉체의 측벽 섹션들 및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 설부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완전하게 폐쇄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재 하우징은, 도체 삽입 개구부에 대향하는 후면 상에, 작동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작동 개구부는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 설부의 작동 러그들 쪽으로 이어진다. 이 경우, 작동 개구부는 절연재 하우징의 덮개 섹션을 통해 한정되면서 가이드 채널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스프링 상부에서 하나 이상의 작동 러그에 인접하는 덮개 섹션은 가이드 채널의 가이드 벽부이며, 가이드 채널 상에서는 작동 도구, 또는 작동 개구부 안쪽에 삽입된 작동 도구, 또는 변위 가능하게 작동 개구부 내에 장착된 작동 요소가 안내된다. 이런 경우, 작동은, 후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작동 개구부를 통해서만 수행되며, 그럼으로써 작동력은 전단력으로서만 도체 단자의 납땜 접점들에 작용하게 된다.
덮개 섹션이 탄성력 단자 연결부에 인접하여 바닥 섹션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면에서 폐쇄되는 것을 통해,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 설부는 도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후면 측 작동 개구부로부터 전면 측(front-side) 도체 삽입 개구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지향되는 작동력을 통해서만 개방된다. 덮개 섹션으로부터 바닥 섹션 쪽으로 작용하는 힘 성분은 방지되며, 그럼으로써 도체 단자의 납땜 지점들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납땜 지점들을 손상하지 않게 된다.
작동 개구부의 가이드 채널은, 덮개 섹션을 통과할뿐만 아니라, 절연재 하우징의 서로 이격된 측면 내벽 섹션들, 및 덮개 섹션에 대향하는 베이스 섹션을 통과하여서도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이드 채널은 일면에서, 양면에서, 또는 필요한 경우 모든 면에서, 또는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방식으로 벽 섹션들을 통해 한정된다. 따라서, 별도의 작동 툴이 하나 이상의 작동 러그에 대해 최적으로 안내된다. 그러나 선택에 따라 작동 요소 역시도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작동 요소는 전면에서 후면으로의 작동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닥 섹션 방향으로 가이드 채널을 한정하는 베이스 섹션은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바닥 섹션으로부터 이격되어 도체 수용 포켓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한편으로, 도체 수용 포켓부는 바닥 섹션과 베이스 섹션 사이에서 도체 삽입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 설부의 클램핑 에지부를 통해 형성되어 전기 도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 뒷쪽에 마련된다. 또한, 도체 삽입 영역 또는 도체 수용 영역은 베이스 섹션을 통해 이 베이스 섹션 위쪽에 위치하는 작동 평면에 의해 한정되며,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의 각각의 작동 러그는 상기 작동 평면 안쪽으로 돌출된다. 그에 따라, 작동 개구부가 전기 도체의 연선들(stranded wire)에 의해 차단되는 점은 방지된다.
가이드 채널은 하나 이상의 작동 러그 직전에서 종결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가이드 채널은 작동 개구부를 통해 형성되고 그런 다음 판스프링의 작동 러그 및 이 작동 러그 위쪽에 위치하는 덮개 섹션으로 전이된다. 그에 따라, 2개의 판스프링들이 서로 대향하여 정렬되는 경우, 작동 개구부는 덮개 섹션 및 서로 이격된 두 작동 러그들을 통해 연장된다. 절연재 하우징의 덮개 섹션 내에서, 도체 삽입 개구부에 대향하는 후면 측 영역에는 함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함몰부는, 작동 러그들로 이어지는 작동 개구부로 전이된다. 상기 함몰부는, 결과적으로 작동 툴이 상부로부터, 후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또는 후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그 내로 삽입되는 포지셔닝 영역이 마련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런 경우, 함몰부의 측면 경계 벽부들 및 함몰부의 바닥부를 통해, 작동 툴은, 함몰부에 인접하는 작동 개구부 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포지셔닝된다.
바닥 섹션은, 절연재 하우징의 윤곽으로부터 돌출되는 납땜 이음 접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납땜 이음 접점들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납땜되도록 제공되며, 그리고 표면 납땜 실장을 위한 SMD 접점들일 수 있거나, 또는 관통 납땜 실장을 위한 핀 접점들(pin contact)일 수 있다.
작동 개구부는 별도의 작동 툴의 수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 개구부가 후면으로부터 전면에까지 절연재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되어, 전면 상에서 도체 삽입 개구부에 인접하여 개방되는 점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작동 역시도 전면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탄성력 단자 연결부 상에서 전압 전위의 검사 역시도 전면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가 변위 가능하게 작동 개구부 내에 수용된다. 이 경우, 작동 요소는 돌출된 작동 섹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돌출된 작동 섹션은 클램핑 에지부들을 통해 형성된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작동 러그로의 힘 인가를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런 경우, 상기 돌출된 작동 섹션은 절연재 하우징의 내부 챔버 내에서 판스프링 설부의 작동 러그의 영역에 위치된다.
작동 요소는, 절연재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힘 인가를 위해 접근 가능한 헤드 섹션과,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개방된 상태에서 절연재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신호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섹션에 의해, 판스프링 설부의 클램핑 에지부 상에 형성된 클램핑 지점이 개방되어 있는지 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요소는 후면의 방향으로 신호 섹션의 힘 인가를 통해 다시 휴지 위치(rest position)로 되밀릴 수 있으며, 이 휴지 위치에서 판스프링 설부는 작동 요소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탄성 고정력(elastic clamping force)을 삽입되는 고정 대상 전기 도체에 가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부정 개념(indefinite concept)인 "하나"는 수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예컨대 하나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 하나의 판스프링, 또는 하나의 도체 삽입 개구부 또는 작동 개구부에 대해 언급된다면, 이는 "하나 이상의"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절연재 하우징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도체 삽입 개구부들 역시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도체 단자는, 절연재 하우징 내에 서로 나란히 수용되어 각각의 도체 삽입 개구부 및 하나의 작동 개구부에 할당되는 복수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체 단자 및 작동 툴로 구성되는 세트를 통해서도 해결되며, 작동 툴은, 파지 섹션과; 작동 개구부 내로 삽입되어 클램핑 지점의 작동 러그들을 밀어젖히도록 형성되는 작동 핑거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결과적으로 작동 러그들을 밀어 서로 분리되도록 절연재 하우징의 전면의 방향으로 작동 핑거부의 이동을 통해 작동 러그들 사이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하나 이상의 작동 핑거부로 후면으로부터 절연재 하우징의 할당된 작동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별도의 작동 툴이 제공된다.
이 경우, 파지 섹션과 작동 핑거부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각도를 이룬다. 상기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90도 +/- 20도의 범위일 수 있다. 파지 섹션과 하나 이상의 작동 핑거부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다.
파지 섹션 상에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작동 핑거부들이 본원의 도체 단자의 절연재 하우징의 복수의 작동 개구부들 중 각각 하나의 할당된 작동 개구부 내로 삽입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다극 도체 단자의 복수의 클램핑 지점들의 개방이 동시에 달성되며, 그럼으로써 취급은 간소화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도체 단자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체 단자를 위한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원리상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추가 작동 툴을 포함하는 도 1의 도체 단자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체 단자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별도의 작동 툴과 함께 인쇄회로기판 내에 삽입된 도체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절연재 하우징을 포함하지 않은 도 5의 도체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작동 러그들 사이에 삽입된 작동 툴과 함께 도 6의 도체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도체 단자를 후면 및 하부로부터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인쇄회로기판 내로 삽입되어 납땜된 도체 단자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폐쇄 커버를 포함한 도체 단자의 제2 실시형태를 절단하여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도체 단자를 위한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원리상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폐쇄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도체 단자의 절연재 하우징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폐쇄 커버를 포함하는 도 10의 도체 단자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도체 단자를 상면에서 보고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도체 단자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추가 작동 툴을 포함하는 도 10 내지 도 16의 도체 단자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0의 제2 실시형태에 상응하는 2극 도체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0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단극 도체 단자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절연재 하우징(2)과; 절연재 하우징(2) 내에 장착된 복수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3);를 포함하는 도체 단자(1)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가 확인된다.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로부터는 전면 및 후면에서 절연재 하우징(2)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납땜 이음 접점들(4)을 확인할 수 있다.
명백하게, 절연재 하우징(2)은, 전면 상에, 절연재 하우징(2)의 챔버 내에서 각각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 상에 형성되는 클램핑 지점 쪽으로 각각 하나의 전기 도체를 삽입하기 위한 도체 삽입 개구부들(5)을 포함한다.
도체 삽입 개구부(5)를 포함한 전면에 대향하는 절연재 하우징(2)의 후면의 영역에서, 절연재 하우징(2) 내에 함몰부들(6)이 제공된다. 상기 함몰부들(6)은 후면 상에서 작동 개구부들로 전이되며, 이 작동 개구부들은 절연재 하우징(2)의 내부 챔버 내로 통해 있다.
또한, 명백하게, 전면 상에서 도체 삽입 개구부들(5)의 앞쪽에 절연재 하우징(2)의 부분으로서 형성된 각각 하나의 바닥 베이스(7a)가 배치되고, 후면 상에서는 함몰부들(6)의 앞쪽에 마찬가지로 절연재 하우징(2)의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바닥 베이스(7b)가 배치된다. 상기 바닥 베이스는, 본원의 도체 단자(1)가 인쇄회로기판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후면 상에서 납땜 이음 접점들(4)과 납땜될 때, 인쇄회로기판 상에서의 지지를 위해 이용된다.
도 2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을 위한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원리상 구성의 사시도가 확인된다. 명백하게, 탄성력 단자 연결부(3)는 시트 부재에서 펀칭 및 벤딩 부품으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바닥 섹션(8)이 제공되며, 이 바닥 섹션으로부터 서로 이격된 2개의 측벽 섹션들(9)이 돌출된다. 측벽 섹션들(9) 및 바닥 섹션(8)을 통해, 전기 도체의 수용을 위한 도체 수용 채널이 형성된다. 도체 수용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벽 섹션들로부터 서로 대향하여 만곡된 제한 러그들(10)을 통해, 바닥 섹션(8)에 대향하는 측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그러나 도체 수용 채널의 상면은 절연재 하우징(2)의 섹션들을 통해 폐쇄될 수도 있다.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판스프링 설부들(11)은 측벽 섹션들(9)로부터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돌출된다. 판스프링 설부들(11)은 바닥 섹션(8)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방식으로 연장된다. 판스프링 설부들(11)의 단부들 상에는 각각 전기 도체 또는 그 박피된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에지부들(12)이 형성되어 있다. 그 대안으로, 예컨대 하나의 측벽 섹션(9) 또는 이로부터 돌출된 하나의 러그로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하나의 판스프링 설부(11)만을 포함하는 실시형태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명백하게, 판스프링 설부들(11) 상에서, 바닥 섹션(8)에 대향하는 상부 에지부들 상에 작동 러그들(13)이 돌출된다. 상기 작동 러그들(13)은 비스듬하게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노출되며, 그리고 작동 툴 또는 작동 요소의 수용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작동 러그들은 자신들의 자유 단부로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또는 판스프링 설부들(1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자신들의 자유 단부 쪽으로 갈수록 깔때기 형태로 확대된다. 작동 러그들(13)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작동 툴 또는 작동 요소에 의해, 판스프링들(11)은, 클램핑 에지부들(12) 상에 형성된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여 고정된 전기 도체를 탈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명백하게, 바닥 섹션(8)의 평면은, 측벽 섹션들(9) 및 판스프링 설부들(11)의 영역에서, 해당 방식으로 판스프링 설부들(11)에 대향하는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하면 상에서 함몰부 또는 자유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해, 납땜 이음 접점들(4)의 평면에 상대적으로 상승되거나 오프셋된다. 그에 따라, 도체 삽입 채널을 통해 형성되는 도체 삽입 평면은 납땜 이음 접점들(4)을 통해 범위 한정되는 납땜 이음 평면으로부터 전기 도체를 삽입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멀리 오프셋 되어 배치된다. 함몰부 또는 자유 공간부의 깊이는 적어도 나머지 인쇄회로기판의 두께에 상응해야 하며, 그럼으로써 납땜 이음 평면은 인쇄회로기판의 하면 상에 위치하고 도체 삽입 평면은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에서는, 도 1의 도체 단자(1)의 측면 단면도가 확인된다. 명백하게, 납땜 이음 접점들(4)은, 도체 단자(1)가 인쇄회로기판(14)의 개구부(15) 내로 삽입될 때, 인쇄회로기판(14)의 후면 상에서 인쇄회로기판과 납땜되어 있다. 절연재 하우징(2)의 바닥 베이스들(7a, 7b)은 인쇄회로기판(14)의 하면 상에서 지지된다.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은, 절연재 하우징(2)의 돌출부들(16)이 바닥 섹션(8)의 할당된 지지 개구부들(17)을 통과하여 안쪽으로 돌출됨으로써, 절연재 하우징(2) 상에 위치 고정된다.
명백하게, 바닥 섹션(8)의 평면은, 절연재 하우징(2)의 내부 챔버 내에서, 납땜 이음 접점들(4)을 통해 형성되는 평면에 비해, 절연재 하우징(2)의 덮개 섹션(18) 쪽으로 오프셋된다. 그에 따라, 납땜 이음 접점들(4)은, 결과적으로 인쇄회로기판(14) 상에서의 후면 실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계속 하부 방향으로 당겨진다.
명백하게, 덮개 섹션(18)은,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상부에서, 판스프링들(11) 및 특히 작동 러그들(13)의 영역에서 완전하게 폐쇄된다. 덮개 섹션(18)은, 결과적으로 작동 툴(20)을 삽입하기 위한 작동 개구부(19)를 한정하기 위해, 도체 삽입 개구부(5)에 대향하는 절연재 하우징(2)의 후면 쪽으로 계속 연장된다. 덮개 섹션(18)에 대향하여, 작동 개구부(19)는 베이스 섹션(21)을 통해 한정된다. 상기 베이스 섹션(21)은, 도체 수용 포켓부(22)를 한정하기 위해,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바닥 섹션(8)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에 따라, 도체 삽입 개구부(5)로부터 판스프링들(11)을 스쳐 통과하는 전기 도체는, 자신의 박피된 자유 단부로, 바닥 섹션(8) 및 이 바닥 섹션 위쪽에 있는 베이스 섹션(21)을 통과하여 도체 수용 포켓부(22) 내로 안내된다. 그에 따라, 베이스 섹션(21) 위쪽에 있는 작동 개구부(19)의 자유 공간부에는, 삽입되어 고정된 전기 도체의 뜻밖의 연선들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명백하게, 작동 러그들(13)은 도체 삽입 방향(L)으로 클램핑 단부(12)로부터 계속하여 베이스 섹션(21)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작동 툴(20)의 파지 섹션(23)으로부터 돌출된 작동 핑거부(24)가 작동 개구부(19) 내로 삽입된다면, 상기 작동 핑거부는 서로 대향하는 작동 러그들(13)에 작용하면서 작동 평면에서 상기 작동 러그들을 밀어젖힌다. 상기 작동 평면은, 클램핑 에지부들(12), 및 이 클램핑 에지부들에 연결되는 도체 수용 포켓부를 통해 형성되고 베이스 섹션(21)을 통해 상부 방향으로 작동 개구부(19)까지 한정되는 도체 고정 평면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에 따라,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클램핑 지점의 개방은 도체 삽입 방향(L)에 대해 반대되는 화살표 방향(B)으로 작용하는 작동력을 통해 수행된다. 이 경우, 작동력(B)은 납땜 이음 접점들(4)에 전단력 역시도 가한다. 인쇄회로기판(14)의 표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작용하면서 납땜 이음 접점들(4) 상의 납땜 지점들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작동력은 방지된다.
또한,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라, 하면으로부터 폐쇄 커버(40)의 형태인 하우징 부재는 바닥 섹션(8)의 함몰 영역 내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도, 래치 노즈부들(56)의 형태인 돌출부들이 바닥 섹션(8)의 박판 재료 내의 래치 개구부들 내로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 폐쇄 커버(40)에 의해, 본원의 도체 단자(1)의 취급을 위한 자동 조립 기계를 위한 흡착면이 마련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4) 상에 적층되는 조명 요소들(예: LED 발광다이오드들)이 납땜 이음 접점들(4)의 면 상에 위치될 때 조명 트랩 또는 어두운 반점들이 형성되는 점도 방지된다. 각각 상기 조명 요소들의 배열 및 산란 파편의 형성에 따라서, 도체 단자(1) 내부의 함몰부들은 "어두운 반점"으로서의 산란 파편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폐쇄 커버(40)는 선택 사항이다. 상기 폐쇄 커버(40)가 없으면, 필요에 따라 바닥 섹션(8) 자체도 자동 조립 기계를 위한 흡착면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 1 및 도 3의 도체 단자(1)의 후면 사시도가 확인된다. 명백하게, 함몰부들(6)은, 절연재 하우징(2)의 바닥면 및 서로 대향하는 내벽면들(25)로서 각각 베이스 섹션(21)을 통해 한정된다. 상기 함몰부들에 의해, 함몰부(6)가 깔때기형 삽입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작동 함몰부(19) 내로의 작동 툴(20)의 삽입은 수월해진다.
도 5에서는, 인쇄회로기판(14) 내로 삽입된 도체 단자(1)의 사시도가 확인된다. 명백하게, 인쇄회로기판(14)은, 도체 단자(1)가 하면으로부터 그 내로 삽입되는 직사각형 개구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경우, 도체 삽입 개구부(5)는 인쇄회로기판(14)의 상면의 평면 상에서 개방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약간 그보다 더 위쪽에서 개방된다. 상기 장착을 통해, 전기 장치의 전체 높이는 인쇄회로기판(14)의 상면에의 간단한 도체 단자(1)의 간단한 납땜에 비해 감소된다.
도 6에서는, 절연재 하우징(2)을 포함하지 않은 도 5의 도체 단자(1)의 사시도가 확인된다. 이 경우,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의 위치는 인쇄회로기판(14)의 수용 개구부(15) 내에서 알 수 있다. 명백하게, 바닥 섹션(8)에 대향하는 상면 상에서 판스프링들(11)로부터 각각 작동 러그들(13)이 돌출된다. 상기 작동 러그들은, 클램핑 에지부들(12)을 포함한 판스프링 설부들(11)의 단부 영역들로부터, 클램핑 에지부들(12)을 넘어서 연장된다.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한 쌍의 상기 작동 러그들(13)은, 작동 툴(20)의 작동 핑거부(24)를 위한 삽입 깔때기부(insertion funnel)를 형성하기 위해, 자신들의 자유 단부들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도시된 휴지 위치에서,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판스프링들(11)의 클램핑 에지부들(12)은 판스프링들(11)의 스프링력을 통해 서로 향해 지향된다. 이런 경우, 클램핑 에지부들(12)은, 고정된 전기 도체가 없으면, 서로 인접할 수 있다. 한편, 전기 도체가 측벽부들(9) 및 판스프링들(11)을 스쳐 통과하여 클램핑 에지부들(12) 쪽으로 안내된다면, 상기 전기 도체는 판스프링들의 고정력을 통해 탄성력 단자 연결부(3)에 고정된다.
도 7에서는, 인쇄회로기판(14) 및 이 인쇄회로기판에서 수용 개구부 내에 삽입된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을 포함하는 도 6의 어셈블리가 확인된다. 이제, 작동 툴(20)은, 작동 핑거부(24)가 작동 러그들(13)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방 우측 탄성력 단자 연결부 내로 삽입된다. 그 결과,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서로 대향하는 두 판스프링들(11)은, 서로 대향하는 클램핑 에지부들(12) 상에 형성되어 전기 도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명백하게, 작동 핑거부(24)는, 판스프링들(11)을 통해 형성되어 전기 도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평면의 상부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 또한, 명백하게, 작동 핑거부(24)는, 실질적으로 판스프링들(11)의 연장 방향에 상응하면서 인쇄회로기판(14)의 표면에 대해서는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8에서는, 도체 단자(1)의 후면 사시도가 확인된다. 여기서도 명백하게, 절연재 하우징(2)은 돌출부들(16)로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바닥 섹션(8)의 지지 개구부들(17) 내에 위치 고정된다. 또한,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라, 납땜 이음 접점들(4)은 절연재 하우징(2)의 바닥 베이스(7a, 7b)의 지지 평면에서 만곡되어 있다.
도 9에서는, 도체 단자(1)가 후면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14)의 수용 개구부(15) 내로 삽입되어 있는 조립된 상태에 있는 도 8의 도체 단자(1)의 도면이 확인된다. 명백하게, 납땜 이음 접점들(4)은, 이제, 해당 위치에서 납땜 표면 실장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4)과 납땜되도록 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14)의 후면의 표면 상에 안착된다.
작동 개구부가 작동력을 강제로 인쇄회로기판(14)의 표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작용하는 작동력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통해, 납땜 이음 접점들(4) 또는 그 위치에서의 인쇄회로기판(14)과의 납땜 이음들은 전단력으로만 하중을 받게 된다.
여기서도 바닥 섹션(8)의 함몰 섹션들을 폐쇄하는 폐쇄 커버(40)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는, 인쇄회로기판(14)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도체 단자(1)의 제1 실시형태를 절단한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체 단자(1)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3)는, 제1 실시예에서처럼, 시트 부재로 형성되어, 바닥 섹션(8)과; 이 바닥 섹션(8)으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측벽 섹션들(9)과;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4);을 구비한 접촉체를 포함한다.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4)은, 판스프링 설부들(11)이 연결되는 바닥 섹션(8)의 평면에서 만곡되며, 그리고 바닥 섹션(8)의 평면에 대해 오프셋 되어 배열되는 납땜 이음 평면을 범위 한정한다. 명백하게, 도체 단자(1)는 다시 인쇄회로기판(14)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며, 그럼으로써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4)을 포함한 납땜 이음 평면은, 도체 삽입 개구부(5)를 포함한 도체 삽입 면에 대향하는 인쇄회로기판(14)의 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평면 오프셋을 통해, 폐쇄 커버(40)를 맞물어 고정하기 위한 자유 공간부가 제공된다.
제1 실시형태와 달리, 폐쇄 커버(40)는, 폐쇄 커버의 덮개판(4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핑거부들(42a, 42b)을 포함한다. 하나의 쌍을 형성하는 상기 핑거부들(42a, 42b)은 서로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핑거부들(42a, 42b)은, 자신들이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함몰 영역 내로 밀어 넣어져 접촉 설부들(4)과 바닥 섹션(8)을 연결하는 연결 웨브들(50) 상에 안착되도록, 탄성력 단자 연결부(3)에 매칭된다. 연결 웨브들(50)은 함몰 영역을 한정하며, 그리고 바닥 섹션(8)의 평면 및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4)에 의해 범위 한정되는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다.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라, 연결 웨브들(50) 상에는, 각각 인접하는 핑거부(42a, 42b)의 래치 윤곽부와 함께, 탄성력 단자 연결부(30) 상에서 폐쇄 커버(40)의 걸림 고정을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는 래치 노즈부들(57)이 형성된다. 래치 노즈부들(57)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박판 재료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재료 러그들(material lug)은 박판 재료로부터 깔끔하게 절단되어 연결 웨브들(50)의 평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노출된다.
이는 도 11에서 더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1에는,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원리상 구성을 하면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도 2에 대한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기재내용이 참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폐쇄 커버(40)의 걸림 고정을 위해, 래치 개구부들이 아니라, 래치 노즈부들(57)이 연결 웨브들(50)의 평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노출된 재료 러그들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래치 노즈부들은 폐쇄 커버(40)의 래치 윤곽부를 위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도 12에는, 도 10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폐쇄 커버(4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명백하게, 각각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3)를 위해 각각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핑거부들(42a, 42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핑거부들(42a, 42b)은 덮개판(41)의 평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된다. 래치 노즈부들(57)과의 걸림 고정을 위한 핑거부들(42a, 42b)의 래치 윤곽부는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핑거부(42a, 42b) 내에 구성되는 각각 하나의 리세스(45)를 통해 형성된다.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돌출된 래치 노즈부(57)와의 걸림 고정을 위해, 어느 경우든 래치 윤곽부는 래치 노즈부(57)와 상호작용하는 정지면을 포함해야 하지만, 이 정지면은 반드시 리세스(45)를 구비하여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라, 각각 2개의 인접한 핑거부들(42a 및 42b) 사이에 덮개판(41)의 덮개 설부들(43)이 제공되며, 덮개 설부들은 덮개판(41)의 평면 상에서 돌출되어, 슬롯들(44)을 통해, 핑거부들(42a, 42b)로 전이되는 덮개판(41)의 섹션들로부터 노출된다. 상기 슬롯들(44)은 절연재 하우징(2)의 하우징 벽 섹션들의 수용을 위해 이용되며, 그리고 탄성력 단자 연결부(3)와 외면 사이의 공기 간극 및 연면 거리의 확대에, 그리고 그에 따라 향상된 전기 절연에 기여한다.
도 13에는, 절연재 하우징(2)의 하면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라, 상기 절연재 하우징(2)은 중간 벽부들(46)을 통해 챔버들로 분할된다. 이 경우, 빈 챔버를 통해 서로 이격된 수용 챔버들은 각각 하나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수용을 위해 제공된다. 중간 벽부들(46)의 상면 상에서 웨브 유형으로 잔존하는 벽 섹션들(47)은 폐쇄 커버(40)의 각각 하나의 할당된 슬롯(44) 내로 밀어 넣어지기 위해 제공된다. 폐쇄 커버(40)는, 절연재 하우징(2)의 하면의 평면과 같은 높이에서 종결되기 위해, 중간 벽부들(46)의 함몰 영역 내로 멀어 넣어진다.
또한,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라,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을 위한 수용 챔버들은 전면 및 후면 쪽으로 함몰부들(48)을 포함하며, 이 함몰부들을 통해, 납땜 이음면들이, 다시 말하면 연결 웨브들(50)에 이어지는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섹션들이 밀어 넣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함몰부들(48)의 양측으로는 로킹 돌출부들(49a)(locking protrusion)이 돌출된다. 이 로킹 돌출부들은 도시된 것처럼 부분 원형일 수 있다. 다른 형태들도 생각해볼 수 있다. 하나의 수용 챔버 내로 삽입되는 하나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은 상기 로킹 돌출부들(49a)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이를 위해,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대응하는 로킹 함몰부들(49b)(locking depression)을 포함하고 이 로킹 함몰부들 내로 로킹 돌출부들(49a)이 밀어 넣어진다.
도 14에서는, 도체 단자(1)의 제2 실시형태를 하면으로부터 보고 도시한 사시도가 확인된다. 절연재 하우징(2)에는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이 장착되며, 이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의 납땜 이음면들은 절연재 하우징(2)으로부터 돌출된다. 명백하게, 폐쇄 커버(40)는 평면이 되도록 절연재 하우징(2)의 함몰부들 내로 삽입되며, 그럼으로써 핑거부들(42a, 42b)은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의 함몰 영역 안쪽으로 돌출되어 그 해당 위치에서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과 걸림 고정된다.
또한,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라, 덮개 설부들(43)은, 벽 섹션들(47)이 웨브 유형일 경우 덮개부의 중간 챔버들 내에서, 각각 하나의 덮개 설부(43)와, 하나의 펑거부(42a, 42b)로 전이되는 덮개판(41)의 섹션들 사이의 슬롯들(44) 안쪽으로 돌출된다. 그에 따라, 폐쇄 커버(40)는 위치 고정되고 공기 간극 및 연면 거리는 최적화된다.
도 15에는, 도 14의 도체 단자(1)가 상면으로부터 후면으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후면 상에는,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작동 러그들(13)로 이어지는 작동 개구부들(19)이 제공된다.
절연재 하우징(2)의 상면 상에는 선택적으로 검사 개구부들(51)이 구성된다. 탄성력 단자 연결부(3) 상에 위치하는 전기 전위를 측정하기 위해, 검사 핀들이 검사 개구부들(5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검사 개구부들(51)이 작동 개구부들로서 이용되는 점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명백하게, 절연재 하우징(2)은 특히 전면 및 후면 상에 칼라부(52)(collar)를 포함한다. 상기 칼라부(52)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도체 단자(1)를 안착시키고 인쇄회로기판과의 납땜 이음면들 상에서 납땜 이음들에 작용하는 힘을 최대한 많이 감소시키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의 하면 상에서의 지지를 위해 제공된다.
도 16에는, 도 15의 도체 단자(1)가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확인할 수 있는 점에 따라, 정면에 도체 삽입 개구부들(5)이 구성되어 있다.
도 15에서처럼, 여기서도, 명백하게, 폐쇄 커버(40)는 평면이 되도록 절연재 하우징(2)의 칼라부(52)로 전이되며, 그럼으로써 칼라부(52)는 폐쇄 커버(40)와 함께 하면에서 절연재 하우징(2)을 덮게 된다.
도 17에는, 도 10의 도체 단자(1)가 추가 작동 툴(20)과 함께 측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작동 툴(20)은 파지부(53)를 포함하며, 이 파지부로부터 작동 핑거부(24)가 돌출되어 있다. 작동 핑거부(24)는 판형 또는 막대형 부재로서 원형 횡단면 또는 바람직하게는 각형 횡단면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작동 개구부(19)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런 경우, 작동 핑거부(24)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한 쌍의 작동 러그들(13)과 각각 연결된 판스프링 설부들(11)을 밀어젖히고 그에 따라 판스프링 설부들(11)을 통해 형성되어 전기 도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해,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2개의 작동 러그들(13) 사이에 도달한다.
그 밖의 점에서, 도 10에 대한 설명내용들이 참조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명백하게, 도체 단자(1)의 하면은 폐쇄 커버(40)를 통해 덮힌다.
도 18에는, 도 14에 따른 도체 단자(1)의 제2 실시형태가 여기서는 2극 실시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다시 도 14에 대한 설명내용들이 참조될 수 있다. 상기 2극 도체 단자(1)의 경우, 중간에 위치하는 각각 하나의 중간 챔버를 통해 서로 공간상 분리되는 2개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은 각각 할당된 도체 삽입 개구부들(5)과 함께 절연재 하우징(2) 내에 제공된다.
도 19에는, 상기 도체 단자(1)의 일 실시형태가 단극 변형예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단일 탄성력 단자 연결부(3)만이 제공되며, 이 탄성력 단자 연결부는 폐쇄 커버(40)를 통해 덮히는 절연재 하우징(2)의 수용 개구부 내로 밀어 넣어진다.

Claims (19)

  1. 절연재 하우징(2)과 탄성력 단자 연결부(3)를 포함하는 도체 단자(1)로서, 탄성력 단자 연결부는, 시트 부재로 형성되어, 바닥 섹션(8)과; 이 바닥 섹션(8)으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측벽 섹션들(9)과;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4);을 구비한 접촉체를 포함하고, 바닥 섹션(8)은 측벽 섹션들(9)과 함께, 전기 도체(27)의 수용을 위한 도체 수용 채널을 형성하고, 측벽 섹션들(9)로부터는, 도체 수용 채널 내에 수용된 전기 도체(27)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에지부(12)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 설부(11)가 돌출되며, 절연재 하우징(2)은 도체 수용 채널로 이어지는 도체 삽입 개구부(5)를 전면부에 포함하는, 상기 도체 단자에 있어서,
    납땜 이음 접촉 설부들(4)은 바닥 섹션(8)의 평면으로부터 만곡되고, 바닥 섹션(8)의 평면에 상대적으로 오프셋 되어 배치되는 납땜 이음 평면을 범위 한정하며, 바닥 섹션(8)의 함몰 영역을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함몰 영역 내로 맞물려 고정되기 위한 폐쇄 커버(4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2. 제1항에 있어서, 폐쇄 커버(40)는, 접촉체 내의 래치 개구부들(17) 내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매칭되는 래치 노즈부들(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3. 제1항에 있어서, 폐쇄 커버(40)는, 접촉체의 래치 노즈부들(57)과 걸림 고정되도록 매칭되는 래치 개구부들 또는 래치 에지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폐쇄 커버(40)는 폐쇄 커버(40)의 덮개판(4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핑거부들(42a, 42b)을 포함하며, 각각 한 쌍의 핑거부들(42a, 42b)은, 서로 대향하는 방식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안착을 위한 함몰 영역 내로 밀어 넣어지기 위해 각각 인접하는 방식으로, 바닥 섹션(8)에서부터 납땜 이음 접촉 설부(4)로 이어지는 접촉체의 연결 웨브(50)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5. 제4항에 있어서, 핑거부들(42a, 42b)은 각각 하나의 래치 윤곽부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윤곽부들은 각각 접촉체의 하나의 래치 노즈부(57)와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6. 제4항에 있어서, 핑거부들(42a, 42b)은, 접촉체의 각각 인접하는 연결 웨브(50)의 래치 개구부(17) 내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하나의 래치 노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7. 제4항에 있어서, 폐쇄 커버(40)의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2개의 핑거부들(42a, 42b) 사이에서, 덮개판(41)의 덮개 설부들(43)이 덮개판(41)의 평면 상에서 돌출되며, 덮개 설부들(43)은, 슬롯들(44)을 통해, 핑거부들(42a, 42b)로 전이되는 덮개판(41)의 섹션들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닥 섹션(8)에 대향하는 절연재 하우징(2)의 덮개 섹션(18)은, 바닥 섹션(8)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접촉체의 측벽 섹션들(9) 및 판스프링 설부들(11)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완전하게 폐쇄되고; 판스프링 설부들(11)로부터는 작동 러그들(13)이 바닥 섹션(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면서 돌출되며; 그리고 절연재 하우징(2)은, 도체 삽입 개구부(5)에 대향하는 후면 상에, 작동 러그들(13) 쪽으로 이어지는 작동 개구부(19)를 포함하며, 작동 개구부(19)는 절연재 하우징(2)의 덮개 섹션(18)을 통해 한정되면서 가이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9. 제8항에 있어서, 작동 개구부(19)의 가이드 채널은, 덮개 섹션(18)을 통과하여, 절연재 하우징(2)의 서로 이격된 측면 내벽 섹션들을 통과하여, 그리고 덮개 섹션(18)에 대향하는 베이스 섹션(21)을 통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10. 제9항에 있어서, 베이스 섹션(21)은 탄성력 단자 연결부(3)의 바닥 섹션(8)으로부터 이격되어 도체 수용 포켓부(2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은 작동 러그들(13) 직전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12. 제8항에 있어서, 작동 개구부들(19)은 후면으로부터 전면에까지 절연재 하우징(2)을 통과하여 연장되어, 전면 상에서 도체 삽입 개구부(5)에 인접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13. 제12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는 변위 가능하게 작동 개구부 내에 수용되고, 작동 요소는 돌출된 작동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된 작동 섹션은 클램핑 에지부들을 통해 형성된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해 작동 러그들로의 힘 인가를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14. 제13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는, 절연재 하우징의 후면으로부터 힘 인가를 위해 접근 가능한 헤드 섹션과, 탄성력 단자 연결부의 개방된 상태에서 절연재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신호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연재 하우징(2)의 덮개 섹션(18) 상에서, 도체 삽입 개구부(5)에 대향하는 후면 측 영역에, 작동 개구부(19)로 전이되는 함몰부(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연재 하우징(2)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도체 삽입 개구부들(5)을 포함하며, 도체 단자(1)는, 절연재 하우징(2) 내에 서로 나란히 수용되어 각각의 도체 삽입 개구부(5)에 할당되는 복수의 탄성력 단자 연결부들(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1).
  17. 제8항에 따른 도체 단자(1)와 작동 툴(20)로 구성되는 세트에 있어서,
    작동 툴(20)은 파지 섹션(23)과; 작동 개구부(19) 내로 삽입되고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한 작동 러그들(13)을 밀어젖히도록 형성되는 작동 핑거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와 작동 툴로 구성된 세트.
  18. 제17항에 있어서, 파지 섹션(23)과 작동 핑거부(24)는 서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와 작동 툴로 구성된 세트.
  19. 제17항에 있어서, 파지 섹션(23) 상에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작동 핑거부들(24)이 도체 단자(1)의 절연재 하우징(2)의 복수의 작동 개구부들(19) 중 각각 하나의 할당된 작동 개구부(19) 내로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단자와 작동 툴로 구성된 세트.
KR1020187012267A 2015-12-11 2016-11-23 도체 단자, 그리고 도체 단자와 작동 툴로 구성된 세트 KR102042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21638.8A DE102015121638B4 (de) 2015-12-11 2015-12-11 Leiteranschlussklemme und Set aus Leiteranschlussklemme und Betätigungswerkzeug
DE102015121638.8 2015-12-11
PCT/EP2016/078543 WO2017097591A1 (de) 2015-12-11 2016-11-23 Leiteranschlussklemme und set aus leiteranschlussklemme und betätigungswerk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641A KR20180088641A (ko) 2018-08-06
KR102042370B1 true KR102042370B1 (ko) 2019-11-07

Family

ID=5739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267A KR102042370B1 (ko) 2015-12-11 2016-11-23 도체 단자, 그리고 도체 단자와 작동 툴로 구성된 세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0389049B2 (ko)
EP (2) EP3387709B1 (ko)
JP (1) JP6932699B2 (ko)
KR (1) KR102042370B1 (ko)
CN (3) CN108352630B (ko)
DE (2) DE102015121638B4 (ko)
PL (2) PL3387709T3 (ko)
TW (1) TWI710172B (ko)
WO (1) WO2017097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21638B4 (de) * 2015-12-11 2017-10-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und Set aus Leiteranschlussklemme und Betätigungswerkzeug
USD900029S1 (en) * 2017-03-06 2020-10-2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Electrical connector
USD854502S1 (en) * 2017-05-11 2019-07-2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Cable connector
TWI628884B (zh) * 2017-12-15 2018-07-01 町洋企業股份有限公司 端子台
US10249964B1 (en) 2018-02-12 2019-04-02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CN111106471A (zh) * 2018-10-26 2020-05-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端子和连接器组件
DE102020103554A1 (de) 2020-02-12 2021-08-12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SMD-Klemme sowie SMD-Klemmenanordnung
DE102020104417B4 (de) 2020-02-19 2022-08-11 Bjb Gmbh & Co. Kg Anschlussklemme
CN112993633A (zh) * 2021-03-02 2021-06-18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连接端子的胶壳和连接端子
DE202022106498U1 (de) 2022-11-21 2022-11-30 Bjb Gmbh & Co. Kg Leiteranschlussklemme
DE102022130746A1 (de) 2022-11-21 2024-05-23 Bjb Gmbh & Co. Kg Leiteranschlussklemm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202022107065U1 (de) 2022-12-19 2024-03-2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plattenanschlussklemme, Kontaktteil und Leiterplat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960B1 (ko) * 2013-03-29 2014-05-0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포크인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2121A (en) * 1967-09-11 1970-05-12 Curtis Dev & Mfg Co Terminal block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2000251989A (ja) * 1999-03-01 2000-09-14 Yazaki Corp コネクタの基板接続構造及び基板接続方法
US7513793B2 (en) * 2006-12-22 2009-04-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urface mount poke in connector
JP5366688B2 (ja) * 2009-07-16 2013-12-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基板組立体及びそれを備える装置
DE102010014143B4 (de) * 2010-04-07 2016-07-0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Anschlussklemme
DE202010018177U1 (de) * 2010-04-07 2014-07-1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Anschlussklemme
US8550838B2 (en) * 2011-07-25 2013-10-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US8882533B2 (en) * 2012-05-25 2014-1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US8851903B2 (en) * 2012-07-17 2014-10-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US8968022B2 (en) * 2013-02-25 2015-03-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KR101978926B1 (ko) * 2013-04-11 2019-05-15 몰렉스 엘엘씨 포크인 커넥터
DE102013103658B4 (de) * 2013-04-11 2014-10-2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AT14381U1 (de) * 2014-03-06 2015-10-15 Tridonic Gmbh & Co Kg Anschluss- oder Verbindungsklemme sowie Leiterplatte und Leuchtsystem
TWI511394B (zh) * 2014-06-10 2015-12-01 Tarn Yu Entpr Co Ltd Activation of electrical connectors
TWI568114B (zh) * 2014-10-03 2017-01-21 Excel Cell Electronic Co Ltd Terminal block
TWM499668U (zh) * 2014-11-06 2015-04-21 Switchlab Inc 接線端子結構之改良
TWM507609U (zh) * 2015-02-17 2015-08-21 Switchlab Inc 接線端子夾制結構
CN204966753U (zh) * 2015-07-31 2016-01-1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205039288U (zh) * 2015-08-27 2016-02-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CN205051062U (zh) * 2015-09-14 2016-02-2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连接器组件
DE102015121638B4 (de) * 2015-12-11 2017-10-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und Set aus Leiteranschlussklemme und Betätigungswerk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960B1 (ko) * 2013-03-29 2014-05-02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포크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21638A1 (de) 2017-06-14
TWI710172B (zh) 2020-11-11
DE102015121638B4 (de) 2017-10-05
EP3595091B1 (de) 2021-10-20
DE202016106552U1 (de) 2017-03-15
CN111092309A (zh) 2020-05-01
WO2017097591A1 (de) 2017-06-15
KR20180088641A (ko) 2018-08-06
TW201728016A (zh) 2017-08-01
EP3387709B1 (de) 2020-06-10
PL3387709T3 (pl) 2020-11-16
CN111092309B (zh) 2022-05-10
US20180294584A1 (en) 2018-10-11
CN108352630A (zh) 2018-07-31
US20190393628A1 (en) 2019-12-26
JP2019502234A (ja) 2019-01-24
US11600934B2 (en) 2023-03-07
JP6932699B2 (ja) 2021-09-08
EP3387709A1 (de) 2018-10-17
US10389049B2 (en) 2019-08-20
US11121486B2 (en) 2021-09-14
PL3595091T3 (pl) 2022-03-28
CN110571543B (zh) 2021-08-13
EP3595091A1 (de) 2020-01-15
US20220013936A1 (en) 2022-01-13
CN108352630B (zh) 2020-02-04
CN110571543A (zh)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370B1 (ko) 도체 단자, 그리고 도체 단자와 작동 툴로 구성된 세트
KR101368118B1 (ko) 전기 접속 단자용 작동 장치
US7544103B2 (en) Terminal block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KR102646774B1 (ko) 도체 연결 접촉 요소
JP6317164B2 (ja) 導体接続端子
KR102145876B1 (ko)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US9614301B2 (en) Spring force connection terminal and plug connector
US8591271B2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N109997280B (zh) 低高度的边缘连接器及采用该边缘连接器的系统
KR100897900B1 (ko) 커넥터 또는 장치 어댑터
JP6861841B2 (ja) 小型導体接続端子
KR101515313B1 (ko) 전자장치용 접속구조
KR20180053297A (ko) 도체 연결 접촉 요소
CN110854554B (zh) 导线接线端子
CN115207681A (zh) 接触保护元件和电插接器
JPH11260479A (ja) 電気コネクタ
EP1439611B1 (en) Connector for a ribbon cable
JP7106090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