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774B1 - 도체 연결 접촉 요소 - Google Patents

도체 연결 접촉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774B1
KR102646774B1 KR1020187006348A KR20187006348A KR102646774B1 KR 102646774 B1 KR102646774 B1 KR 102646774B1 KR 1020187006348 A KR1020187006348 A KR 1020187006348A KR 20187006348 A KR20187006348 A KR 20187006348A KR 102646774 B1 KR102646774 B1 KR 10264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lamping
conductor
side wall
contac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299A (ko
Inventor
한스-요젭 쾰만
헨리 슈톨체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5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레일 부재(2) 및 클램핑 스프링(3)을 갖춘,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에 관한 것이다. 전력 레일 부재(2)는, 마주 놓여 있는 제2 측벽(4, 5), 바닥 섹션(7) 및 마주 놓여 있는 덮개 섹션(6)을 갖는 판금부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4, 5)은 바닥 섹션(7) 및 덮개 섹션(6)과 함께 도체 삽입 채널(8)을 제한한다. 클램핑 스프링(3)은 전력 레일 부재(2)에 배치되어 있다. 클램핑 스프링은, 제1 단부 영역에 접촉 섹션(9)을 구비하고, 제1 단부 영역의 맞은편에 놓여 있는 제2 단부 영역에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에지(22, 36, 41)를 갖는 클램핑 섹션(11)을 구비한다. 접촉 섹션(9)은 전력 레일 부재(2)의 바닥 섹션(7)에 배치되어 있다. 클램핑 섹션(11)의 자유 운동 단부가 덮개 섹션(6) 쪽으로 연장된다. 클램핑 섹션(11)의 도체 삽입 방향(L)에 대해 횡방향으로 볼 때, 측벽(4)의 방향으로 클램핑 에지(22, 36, 41) 옆에는 작동 공구가 접근할 수 있는 작동 섹션이 존재한다. 클램핑 섹션(11)에 인접하는 도체 안내 영역(14, 34)은 제1 측벽(4)에 형성되어 있다. 도체 안내 영역(14, 34)은, 마주 놓여 있는 제2 측벽(5)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정렬된 제1 측벽(4)의 섹션이다.

Description

도체 연결 접촉 요소
본 발명은, 전력 레일 부재 및 이 전력 레일 부재 상에 배치된 클램핑 스프링을 구비한,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력 레일 부재는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의 맞은편에 놓여 있는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그 맞은편의 제2 측벽으로 연장되는 바닥 섹션, 및 바닥 섹션의 맞은편에 놓여 제1 측벽으로부터 그 맞은편의 제2 측벽으로 연장되는 덮개 섹션을 갖는 판금부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들은 바닥 섹션 및 덮개 섹션과 함께 도체 삽입 채널을 한정하며; 상기 클램핑 스프링은 제1 단부 영역에 접촉 섹션을, 그리고 제1 단부 영역의 맞은편에 놓여 있는 제2 단부 영역에는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에지를 갖는 클램핑 섹션을 구비한다. 상기 접촉 섹션은 전력 레일 부재의 바닥 섹션에 배치된다. 클램핑 섹션의 자유 운동 단부가 덮개 섹션 쪽으로 연장된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도체 연결 접촉 요소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된다. 본원의 도체 연결 접촉 요소는 주로, 탄성력에 의한 클램핑 연결을 이용해서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회로 기판 접촉부를 제공하기 위해, 회로 기판상에 직접 올려져서 회로 기판에 납땜되도록 제공 및 형성된다. 상기 도체 연결 접촉 요소는, 절연 하우징으로 에워싸이지 않은 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DE 20 2013 105 670 U1호는, 푸시 버튼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 및 이 절연 하우징 내에 있는 복수의 전도성 접촉 유닛을 갖춘, 발광 다이오드용 커넥터를 보여준다. 접촉 유닛들은 2개의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제1 금속 스트립은, 상부면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하나의 반원으로 형성된, 위로 융기된 금속 벽을 갖는다. 제2 금속 스트립의 일 단부는 제1 금속 스트립의 상측 단부와 연결되고, 제2 금속 스트립의 타측 단부에는 2개의 분기 텅(branching tongue)이 제공된다. 이들 분기 텅 중 하나는 전기 도체의 클램핑을 위해 제공된다. 다른 분기 텅은 푸시 버튼 상으로 배향됨으로써, 푸시 버튼은, 제1 분기 텅 및 제1 금속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해, 제2 금속 스트립을 향해 눌려질 수 있다.
DE 20 2014 101 856 U1호는, 전도성 구리 웨브 및 이 전도성 구리 웨브에 설치된 가요성의 전도성 강철판을 갖는 신속 연결 클램프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구리 웨브로부터 고정 플레이트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휘어지며, 이들 고정 플레이트 상에 강철판이 지지된다.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강철판의 클램핑 섹션과 구리 웨브의 바닥 섹션 사이에서는, 클램핑할 전기 도체를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클램핑 시트 및 구리 웨브로 형성된 클램핑 조(clamping jaw)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안내 웨브가 비스듬하게 도체 삽입 채널 내부를 향해 휘어진다.
WO 2014/124475 A2호는, 하나 이상의 도체를 전기 접촉 바디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 클램프 또는 연결 클램프를 개시한다. 접속 클램프는, 접촉 바디가 배치되어 있는 절연 하우징을 구비한다. 접촉 바디는, 관통구 및 이 관통구 내에 배치된 탄성 요소를 포함하는 천공부(punched part)를 갖는다. 탄성 요소는, 접촉 섹션과, 이 접촉 섹션에 연결되는 탄성 휨부와, 상기 접촉 섹션의 맞은편에 놓이고 탄성 휨부에 연결되는 클램핑 레그를 갖는, U자 형상으로 휘어진 레그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촉 레그는 천공부의 바닥 섹션 상에 지지되어 있다. 클램핑 레그는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천공부의 덮개 섹션을 향해 정렬되어 있다. 클램핑 지점의 개방을 위해, 클램핑 레그를 천공부의 덮개 섹션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동 공구가 절연 하우징 내 개구를 통해 클램핑 레그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개선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 및 청구항 15의 특징들을 갖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전력 레일 부재 및 클램핑 스프링을 구비한 도체 연결 접촉 요소를 위해, 클램핑 섹션의 길이 연장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볼 때, 클램핑 에지 옆에 작동 공구가 접근할 수 있는 작동 섹션이 존재한다. 클램핑 섹션에 인접하는 도체 안내 영역은 제1 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도체 안내 영역은, 제1 측벽에서 그 맞은편의 제2 측벽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정렬된 섹션이다.
도체 연결 접촉 요소는, 작동 공구를 이용하여 작동 섹션에 힘을 가함으로써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이 개방될 수 있도록, 작동 섹션에 의해서 클램핑 섹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작동 섹션 옆에 놓여 있는 클램핑 섹션의 클램핑 에지는 전력 레일 부재의 덮개 섹션으로부터 멀어진다. 제1 측벽에서 그 맞은편의 제2 측벽에 대해 비스듬하게 정렬된 도체 안내 영역에 의해, 전기 도체가 클램핑 에지 쪽으로 이동되며, 이 경우 도체가 전체적으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미세 연선(stranded wire) 전기 도체의 연선이 작동 섹션의 영역 내에 도달하는 상황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측벽에 있는 상기 도체 안내 영역에 의해서는, 클램핑할 전기 도체를 클램핑 에지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측벽 섹션이 제공된다. 제1 측벽의 상기 도체 안내 영역에 의해서는 또한, 서로 나란히 배치된 클램핑 섹션 및 작동 섹션을 갖는 클램핑 스프링의 작동 섹션이 도체 삽입 방향으로 볼 때 가려진다. 이로써,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해, 작동 공구에 의해 바닥 섹션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클램핑 지점을 갖는, 콤팩트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가 제공된다.
상기 작동 섹션은 제1 측벽으로부터 측면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작동 러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동 섹션이 맞은편에서 마찬가지로 클램핑 섹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또 다른 작동 러그를 갖는 점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부정 관사 개념인 "하나"를 수사로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작동 러그에 의해서, 작동 공구가 도체 연결 접촉 요소에 접근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동 공구가 작동 러그 상에 안착되어,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한 힘을 작동 러그에 가한다. 이때, 작동 공구는 바람직하게 스크루 드라이버이지만, 사용자의 손가락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체 연결 접촉 요소는 제1 측벽에 작동 러그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체 안내 영역은, 상기 도체 안내 영역에 마주 놓여 있고 개구를 제한하는, 제1 측벽의 선단 에지로부터 먼 쪽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이로써, 도체 삽입 채널 내부로 삽입되어 클램핑할 전기 도체 전체가 또는 이 전기 도체의 연선이 개구에 의해 노출된 제1 측벽의 선단 에지에 충돌하는 상황이 방지된다. 그럼으로써, 도체 안내 영역은 개구를 제한하는 선단 에지를 이용해서, 삽입되어 클램핑할 전기 도체가 없는 상태로 개구를 유지시킨다.
도체 안내 영역은, 제2 측벽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클램핑 섹션 쪽으로 배향된 제1 측벽의 재료 텅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텅은 바닥 섹션 및 덮개 섹션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 재료 텅에는 오히려 바닥 섹션 및 덮개 섹션이 없다. 이 경우, 재료 텅이 덮개 섹션과 클램핑 섹션 사이의 공간 내에 놓일 수 있음으로써, 클램핑 스프링은 바닥 섹션과 재료 텅 사이에 포지셔닝된다. 이로써, 바닥 섹션과 덮개 섹션 사이에 클램핑 스프링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며, 이 공간은 도체 안내부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재료 텅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작동 섹션은 덮개 섹션의 평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 러그를 가질 수 있다. 이 작동 러그는 클램핑 섹션의 연장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클램핑 에지 옆에 배치된다. 이로써, 작동을 위한 적용점이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덮개 섹션에 있는 상부면 쪽으로 변위된다.
또한, 작동 섹션이 제1 측벽 내에 형성된 개구 내에 측면으로 배치된 작동 러그를 가지며, 상기 작동 러그는 도체 삽입 방향으로 볼 때 재료 텅의 노출 단부 뒤에 배치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접근될 수 있다.
도체 삽입 채널에 마주 놓여 있는 전력 레일 부재의 후방 단부에서는, 최종 스토퍼가 측벽, 바닥 섹션, 또는 덮개 섹션으로부터 휘어진 재료 로브(material lobe)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전력 레일 부재의 판금부는 매우 간단하게, 도체 수집 포켓이 형성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최종 스토퍼를 형성하기 위하여, 양쪽 벽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배향된 재료 로브들이 휘어지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접촉 섹션은 측벽들과 바닥 섹션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이로써, 클램핑 스프링은 간단한 방식으로 전력 레일 부재에 클램핑될 수 있고, 그곳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접촉 섹션이 이 접촉 섹션으로부터 바닥 섹션의 개구 내부로 돌출하는 고정 섹션에 의해서 또는 바닥 섹션으로부터 접촉 섹션의 개구 내부로 돌출하는 고정 섹션에 의해서 전력 레일 부재에 위치 고정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섹션은 러그 또는 엠보싱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레일 부재 내에 걸려 있던 클램핑 스프링이 미끄러져 이탈되는 상황이 간단한 방식으로 방지될 수 있다.
클램핑 스프링은 접촉 섹션을 클램핑 섹션과 연결하는 탄성 휨부를 가질 수 있고, 이로써 예컨대 U자 형상으로 휘어진 레그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체 삽입 방향으로 볼 때 탄성 휨부 이전에 배치된 도체 안내 평면이 적어도 하나의 측벽으로부터 그 맞은편 측벽의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때, 상기 도체 안내 평면은 도체 삽입 방향으로 탄성 휨부 이전에 위치하며, 전기 도체를 탄성 휨부를 지나 클램핑 섹션 쪽으로 안내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도체 안내 평면은 비스듬하게 도체 삽입 방향으로 덮개 섹션 쪽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상기 도체 안내 평면은, 판금부에서 측벽으로부터 일 섹션을 구부리는 방식으로 매우 간단히 제공될 수 있다.
덮개 섹션 또는 바닥 섹션은 납땜 연결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 납땜 연결 영역은 예를 들어 덮개 섹션 또는 바닥 섹션이 없는 납땜 연결 러그일 수 있다. 또는, 덮개 섹션 또는 바닥 섹션의 부분들 자체가 회로 기판상에서의 납땜을 위해 이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일 측벽으로부터, 마주 놓여 있는 측벽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과하중 정지 러그가 돌출할 수 있으며, 이 과하중 정지 러그는 클램핑 섹션과 바닥 섹션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러그도 마찬가지로, 측방 개구를 형성하는 측벽 섹션 내에서 케이지 형상의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내부 공간을 향해 휘어지는 방식으로, 판금부로부터 매우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스프링이 작동 섹션을 가짐으로써, 그리고 작동 섹션이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섹션 측면에 배치되어 제1 측벽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러그로서 형성됨으로써, 동종의 도체 연결 접촉 요소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케이지 형상의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경우에는, 작동 러그가 측면에서 전력 레일 부재의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이 작동 공구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매우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성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전력 레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클램핑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클램핑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를 제2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전력 레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클램핑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전력 레일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의 클램핑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전력 레일 부재(2) 및 이 전력 레일 부재 내부에 삽입된 클램핑 스프링(3)으로 형성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전력 레일 부재(2)는 판금부로부터 케이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력 레일 부재는 제1 측벽(4) 및 그 맞은편에 놓여 있는 제2 측벽(5)을 갖는다. 이 두 측벽(4 및 5)은 하나의 덮개 섹션(6)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덮개 섹션(6)은 상기 두 측벽(4 및 5)으로부터 휘어져서 이들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력 레일 부재(2)는 덮개 섹션(6)의 맞은편에 바닥 섹션(7)을 가지며, 이 바닥 섹션도 마찬가지로 제1 측벽(4)으로부터 제2 측벽(5)으로 연장된다. 바닥 섹션(7)은 제2 측벽(5)을 접어 올려 형성되어, 제1 측벽(4)에 닿는다. 따라서, 바닥 섹션은 제1 측벽(4)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측벽(4 및 5)과, 이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마찬가지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덮개 섹션(6) 및 바닥 섹션(7)에 의해 도체 삽입 채널(8)이 한정되며, 이 도체 삽입 채널은 전기 도체를 삽입 및 안내하고 클램핑 스프링(3)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클램핑 스프링(3)은, 바닥 섹션(7) 상에 지지된 접촉 섹션(9)과; 이 접촉 섹션에 연결되는 탄성 휨부(10)와;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다시 말해 도체 삽입 채널(8)의 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상기 도체 삽입 채널(8) 내부로 돌출하는 클램핑 섹션(11);을 갖는, U자 형상으로 휘어진 레그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클램핑 섹션(11)의 자유 운동 단부가 덮개 섹션(6) 쪽으로 연장된다.
제1 측벽(4)이 클램핑 섹션(1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러그(13)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12)를 갖는다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작동력을 작동 러그(13)에 가함으로써, 클램핑 섹션(11)이 접촉 섹션(9)의 방향으로 클램핑 스프링(3)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변위될 수 있다. 이로써, 클램핑 섹션(11)의 클램핑 에지와 전력 레일 부재(2) 사이에 형성된,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이 개방된다.
작동 섹션을 형성하는 작동 러그(13)는 클램핑 섹션(11)의 세로 연장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볼 때 상기 클램핑 에지 옆에 놓인다. 전력 레일 부재(2)의 내부 공간에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클램핑 섹션에는, 제1 측벽(4)에 형성되어 있는 도체 안내 영역(14)이 접한다. 이를 위해, 클램핑 섹션 쪽으로의 삽입 영역과 작동 섹션 사이에 놓여 있는 제1 측벽(4)의 섹션은, 그 맞은편의 제2 측벽(5)의 방향으로 그리고 클램핑 섹션(11)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정렬된다. 도체 삽입 채널(8) 내로 삽입된 전기 도체는 상기 도체 안내 영역(14)에 의해 클램핑 에지 쪽으로 안내되고, 상기 도체 또는 미세 연선 도체의 연선이 작동 섹션에 도달하며, 경우에 따라 작동 러그(13)의 영역에서 개구(12)를 통해 전력 레일 부재(2) 밖으로 이탈되는 상황이 방지된다.
또한, 제1 측벽(4)에 제2 측벽(5) 쪽으로 향하는 과하중 정지 러그(15)가 존재하고, 이 과하중 정지 러그가 클램핑 섹션(11)을 위한 최종 스토퍼를 형성한다는 것도 명백히 드러난다. 클램핑 섹션은 다만, 접촉 섹션(9)이 과하중 정지 러그(15)에 충돌할 정도까지만 접촉 섹션(9)의 방향으로 아래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과하중 정지 러그(15)에 의해 추가로, 클램핑 스프링(3)이 전력 레일 부재(2)에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은 위치 고정은 추가로 접촉 섹션(9) 내 리세스 또는 개구(16)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리세스 또는 개구 내로 바닥 섹션(7)의 엠보싱이 압입된다. 선택적으로는, 접촉 섹션(9)이 바닥 섹션(7)에 용접, 리벳 결합, 나사 결합, 또는 여타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접촉 섹션(9)으로부터 예컨대 러그 형상의 고정 섹션이 하강하여, 바닥 섹션(7)의 개구 내부로 돌출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탄성 휨부(10) 직전에 있는 영역에서 도체 안내 평면(17)이 2개의 측벽(4 및 5)으로부터 휘어지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이처럼 도체 안내부를 형성하는 전력 레일 부재(2)의 판금 섹션들은 비스듬하게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덮개 섹션(6) 쪽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이로써, 깔때기 형상의 도체 삽입 채널(8)이 제공되며, 이 경우 전기 도체가 적어도 하부 영역에서 탄성 휨부(10)를 지나, 클램핑 섹션(11)의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평면 쪽으로 안내된다.
도면에 도시된, 2개의 측벽(4 및 5)으로부터 휘어진 도체 안내 평면(17)의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 도체 안내 평면(17)이 일측 측벽(4 또는 5)으로부터 휘어진 판금부로만 형성되고, 이 판금부는 맞은편 측벽에 인접하며 이 측벽까지 연장되는 점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덮개 섹션(6)이 서로 마주 놓여 있는 단부 영역들에 덮개 섹션(6)이 없는 좁고 긴 러그(18a, 18b)를 가지며, 이들 러그가 생산 공구 내에서의 제조 동안 전력 레일 부재(2)의 연결을 위해 이용된다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회로 기판상에서 접촉부의 납땜은 바닥 섹션(7)의 하부 면에서 수행된다. 덮개 섹션(6)의 상부 면은, 회로 기판에 흡인 패드를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평평한 흡인 면으로서 필요하다. 또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가 상황에 따라 덮개 섹션(6)에 의해 회로 기판상에 지지되고, 그곳에서 러그(18a, 18b)에 의해 회로 기판상의 도체 레일과 납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러그(18a, 18b)는 납땜 연결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도체 삽입 채널(8)에 마주 놓여 있는 전력 레일 부재(2)의 후방 단부에, 최종 스토퍼(19)가 하나 이상의 측벽(4, 5)으로부터 휘어진 재료 로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재료 로브가 최종 스토퍼(19)의 형성을 위해, 제1 측벽(4)으로부터 그 맞은편의 제2 측벽(5)의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여기서, 과하중 정지 러그(15)가 접촉 섹션(9)에 직접 인접하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이로써, 도체 삽입 방향(L)으로의 클램핑 스프링(3)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도체 안내 평면(17)이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볼 때 탄성 휨부(10) 이전에 배치되어 비스듬하게 정렬됨음으로써, 꺾여서 접힌 형태로 명시되어 있는 도체 안내 평면(17)이 예컨대 탄성 휨부(10)와 이 탄성 휨부에 연결되는 클램핑 섹션(11) 사이의 전이부 상부에서 계속되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전기 도체는, 탄성 휨부(10)에 충돌하지 않으면서 클램핑 섹션(11)의 평면 상으로 확실하게 안내된다. 상기 클램핑 섹션에 대해 간격을 두고, 제1 측벽(4)에 형성된 도체 안내 영역(14)이 연장된다. 이 도체 안내 영역은 제1 측벽(4)으로부터 그 맞은편의 제2 측벽(5)의 방향으로 변형되어 있다. 도체 안내 영역은 제1 측벽(4)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부분 영역들에서, 예컨대 상부 섹션에서 제1 측벽(4)으로부터 절개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섹션에 존재하는 작동 러그(13)가 개구(12)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이때 개구(12)는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해 클램핑 섹션(11)이 접촉 섹션(9) 방향으로 방해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과하중 정지 러그(15)도 작동 러그(13)를 방해하지 않는다. 오히려, 과하중 스토퍼는, 작동 러그에 연결되고 클램핑 에지를 갖는 영역에 의해 제공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측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덮개 섹션(6)의 내부면이 엠보싱(20)을 갖고, 이 엠보싱에 의해서 클램핑 돌출부(21)가 형성된다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또한, 클램핑 섹션(11)이 자신의 자유 운동 단부에 클램핑 에지(22)를 가지며, 이 클램핑 에지는 도시된 정지 상태에서는 전기 도체가 삽입되지 않더라도 덮개 섹션(6)의 내부면에 인접한다는 점도 알 수 있다. 클램핑 에지는 예컨대 상기와 같은 클램핑 돌출부(21)에서 끝난다. 이로써, 삽입되어 클램핑 에지(22)와 클램핑 돌출부(21) 사이에 클램핑된 전기 도체는, 최적의 표면 압착 및 감소한 전이 저항 하에서,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력에 의해 전력 레일 부재(2)에 클램핑된다. 이 경우,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력이 클램핑 돌출부(21)의 감소한 면적에 집중됨으로써, 단위 면적 당 작용하는 힘(표면 압착력)이 증가하게 된다.
계속해서, 그 맞은편에서는 접촉 섹션(9)이 바닥 섹션(7) 상에 지지되어 있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바닥 섹션에 있는 엠보싱(23)이 접촉 섹션(9)의 개구(16) 내로 하강함으로써 위치 고정이 수행된다. 이로써, 클램핑 스프링(3)이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상황이 방지된다. 또한, 클램핑 스프링(3)이 접촉 섹션(9) 및 클램핑 섹션(11)과 함께 제2 측벽(5)에 인접함으로써, 클램핑 스프링(3)의 경사 위치가 방지된다.
또한, 비스듬하게 놓인 상태로 전기 도체 상의 후속하는 탄성 휨부(10)를 지나가며, 선단측이 개방된 도체 삽입 채널(8)의 전방 영역에 있는 도체 안내 평면(17) 및 전력 레일 부재(12)의 맞은편 단부에 있는 최종 스토퍼(19)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휨부(10)가 바닥 부분(7)의 내부면에 대해 바깥쪽으로(도면에서는 하향으로) 오프셋되어 연장되고, 그럼으로써 바닥 부분(7)의 평탄한 섹션과 도체 안내 평면(17)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도 4는, 클램핑 스프링이 없는 전력 레일 부재(2)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바닥 섹션(7)에 있는 엠보싱(23)이 뚜렷하게 보인다. 이 엠보싱은 부분원 형상의 융기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12)가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볼 때, 과하중 정지 러그(15) 상부의 선단 에지(24)에 의해 제한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전기 도체를 개구(12) 밖으로 빼내기 위해, 그리고 선단 에지(24)에 대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선단 에지(24)의 도체 안내 영역(14)이 제2 측벽(5)에 대해 비스듬하게 세워진 제1 측벽의 섹션보다 더 앞에 놓인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체 안내 영역(14)은, 개구(12)를 제한하고 도체 안내 영역(14)의 맞은편에 놓여 있는 제1 측벽(4)의 선단 에지(24)로부터 먼 쪽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용 클램핑 스프링(3)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클램핑 섹션(11)이 자신의 폭의 상당 부분에 걸쳐 클램핑 에지(22)를 갖고, 측면에서 돌출하는 작동 탭(13)을 갖는 작동 섹션이 측면에서 상기 클램핑 에지에 연결되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이로써, 작동 탭(13)을 갖는 작동 섹션은 클램핑 섹션(11)의 길이 연장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볼 때 클램핑 에지(22)의 영역 옆에, 다시 말하자면 클램핑 섹션(11)의 측면 에지에 배치된다.
도 6은,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체 연결 접촉 요소(1)는 재차 전력 레일 부재(2) 및 클램핑 스프링(3)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 스프링(3)은 바닥 섹션(7)으로부터 그 맞은편의 덮개 섹션(6)으로 연장되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리프 스프링은 자신의 접촉 섹션(9)에 의해서, 도체 안내 영역(14)의 입구 측 섹션에 있는 바닥 섹션(7) 위에 지지되어 있다. 전기 도체는 상기 정면으로부터 재차 케이지 형상의 전력 레일 부재(2)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역시 하나의 판금부에서 덮개 섹션(6)으로부터 서로 마주 놓여 이격되어 있는 2개 측벽(4 및 5)이 휘어지고, 이들 측벽에는 상기 측벽 섹션들(4와 5)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덮개 섹션(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바닥 섹션(7)이 연결된다.
클램핑 스프링(3)의 접촉 레그(9)가 양 측벽(4 및 5)의 선단 에지와 바닥 섹션(7) 사이에 클램핑되어 있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볼 때, 적어도 제1 측벽(4)에,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측벽 모두(4 및 5)에 도체 안내 영역(34)이 존재한다. 이 도체 안내 영역(34)은, 각각의 맞은편 측벽(5, 4)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클램핑 스프링(3)의 일 클램핑 섹션(11) 또는 상기 클램핑 섹션의 자유 운동 단부 쪽을 향하는 재료 텅으로서 형성되며, 이들 재료 텅은 개별 측벽(4, 5)에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바닥 섹션(7) 및 덮개 섹션(6)을 향하는 재료 텅의 단부측에는 인접하는 바닥 섹션(7) 또는 덮개 섹션(6)이 없음으로써, 재료 텅은 측벽(4)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벽(4)이 측면에 재차 개구(12)를 가지며, 이 개구 내부로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 섹션(11) 상의 작동 섹션(35)이 돌출하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작동 공구가 작동 섹션(35)에 충돌하고, 작동력이 바닥 섹션(7)의 방향으로 클램핑 섹션(11)에 가해짐으로써, 클램핑 섹션(11)과 덮개 섹션(6) 사이에 형성된,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이 개방될 수 있다.
도 7은,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덮개 섹션(6)이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 에지(36)의 영역에서 클램핑 섹션(11)의 자유 단부에 접촉 돌출부(37)를 갖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이 접촉 돌출부는, 나머지는 평평한 덮개 섹션(6)을 바닥 섹션(7)의 방향으로 챔퍼 가공하거나 엠보싱 가공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접촉 돌출부(37)와 클램핑 에지(36) 사이에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지점이 형성된다.
또한, 재료 텅(34)이 측벽(4)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비스듬하게 내부로 도체 삽입 에지(8) 내로 삽입되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재료 텅은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 섹션(11) 쪽을 향한다. 측벽(4)에는, 재료 텅(34)의 자유 단부와 후방 (그림에서는 좌측) 영역 사이의 영역에 개구(12)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개구를 통해서 클램핑 섹션(11)에 접근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측단면도를 보여준다. 여기서 재차 명백히 드러나는 점은, 덮개 섹션(6)에 접촉 돌출부(37)가 전력 레일 부재(2)의 내부 공간 내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자체 클램핑 에지(36)를 갖는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 섹션(11)의 자유 운동 단부가 도시된 정지 상태에서는 전기 도체가 클램핑 되지 않더라도 클램핑 돌출부(37) 바로 뒤에 인접한다. 클램핑 돌출부(37)의 위치는, 전기 도체를 클램핑 할 때 전기 도체에 작용하는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력이 클램핑 돌출부(37)에 클램핑된 전기 도체를 단단히 클램핑하도록, 클램핑 에지(36)를 향해 정렬되어 있다. 이로써, 전기 도체와 클램핑 에지(37) 간에 형상 결합을 야기하기 위하여,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력은 클램핑 돌출부(37)에 집중되고, 전기 도체는 경우에 따라 클램핑 돌출부(37) 뒤에서 약간 더 휘어진다.
또한, 클램핑 스프링(3)의 접촉 섹션(9) 상에 올리기 위하여 그리고 접촉 섹션을 전력 레일 부재(2)에 단단히 클램핑하기 위하여,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볼 때 입구 측(다시 말해, 우측)에서는 바닥 섹션(7) 쪽을 향하는 제2 측벽(5)의 부분이 전력 레일 부재(2)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되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6도 참조된다. 상응하게 내부로 삽입된 고정 섹션(38)은 제1 측벽(4)에도 존재한다.
또한, 전력 레일 부재(2)가 단부 측에, 덮개 섹션(6)으로부터 바닥 섹션(7) 방향으로 아래로 휘어지고 최종 스토퍼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 로브(19)를 갖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이로써, 도체 삽입 채널(8) 내부로 삽입된 전기 도체는 단부 측에서 상기 재료 로브(19)에 충돌하고, 다시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제2 실시예를 위한 클램핑 스프링(3)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접촉 섹션(9)이 자신의 측면 에지들에 오목부(39)를 갖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고 내부로 휘어진 고정 섹션(38)의 노우즈(40)가 상기 오목부(39) 내부로 하강하고,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클램핑 스프링(3)이 전력 레일 부재(2)에서 제 자리에 고정된다.
또한, 클램핑 에지의 중앙 영역에 있는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 섹션(11)의 자유 운동 단부 및 서로 마주 놓여 있는 양 측면에, 측면 에지로부터 돌출하고 작동 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작동 러그(35)가 존재하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상기 작동 러그는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별 측벽(4 및 5)의 측면 개구 내부로 돌출하고, 그곳에서 작동 공구가 상기 작동 러그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돌출하는 작동 러그(35)에 의해 추후에 재차 확장되는 섹션으로 변형되도록 하기 위해, 클램핑 섹션(11)이 먼저 접촉 섹션(9)으로부터 출발해서 원추형으로 점차 좁아진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도 10은, 재차 전력 레일 부재(2) 및 클램핑 스프링(3)으로부터 형성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제3 실시예를 보여준다. 클램핑 스프링(3)은, 접촉 섹션(9), 이 접촉 섹션에 연결되는 탄성 휨부(10), 및 탄성 휨부(10)에 연결되는 클램핑 섹션(11)을 갖는 U자 형상의 레그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촉 섹션(9)은 전력 레일 부재(2)의 바닥 섹션(7) 상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서로 마주 놓여 있는 덮개 영역(6) 및 바닥 영역(7) 그리고 이들 덮개 영역(6)과 바닥 영역(7)을 측면에서 연결하는 제1 및 제2 측벽(4, 5)에 의해 도체 삽입 채널(8)을 제한하기 위하여, 전력 레일 부재(2)는 케이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구현되었고 도체 삽입 채널(8)의 내부 공간 내로 도체 안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 텅(34)이 제1 측벽(4)으로부터 그 맞은편의 제2 측벽(5) 쪽으로 정렬되어 있다. 상기 재료 텅(34), 다시 말해 도체 안내 영역이 덮개 섹션(6)과 클램핑 섹션(11) 사이에 있음으로써, 클램핑 스프링은 재료 텅(34)과 바닥 섹션(7) 사이에 배치된다.
전방으로부터 (도면에서는 좌측으로부터) 도체 삽입 채널(8) 내부로 삽입된 전기 도체는 재료 텅(34)에 의해서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 에지(41) 쪽으로 안내된다. 측면에서 상기 클램핑 에지(41) 옆에는 위로 돌출하는 작동 탭(42)이 존재하며, 이 작동 탭은 덮개 섹션(6)의 평면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면에 도시된 정지 위치에서는 측면에서 측벽(4) 및 덮개 섹션(6) 옆에 배치되어 있다.
재차 제1 측벽(4)에는 개구(12)가 존재하며, 이 개구를 통해서 작동 섹션이 작동 러그(42)에 의해 측면에서 돌출한다. 개구(12)는, 클램핑 에지(41)와 덮개 섹션(6)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전기 도체용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해 클램핑 섹션(11)이 접촉 섹션(9)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덮개 섹션(6)은 예컨대 부분 원형의 확장된 파지 섹션(43)을 가지며, 이 파지 섹션은 조립 로봇의 흡인 공구 및 파지 공구용 플랫폼을 제공하고/제공하거나 납땜 연결 영역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측벽(4, 5)이 이들의 단부 영역에, 최종 스토퍼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를 향하고 있는 재료 로브(44)를 갖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이로써, 도체 수집 포켓이 제공된다. 상기 도체 수집 포켓의 영역에 덮개 섹션(6)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삽입된 도체의 삽입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검사창(inspection window)이 형성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를 맞은편 측으로부터 제2 측벽(5)을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 측면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측벽(5)이 도체 삽입 개구(8) 내부로 삽입된 도체 안내 섹션 및 개구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덮개 섹션(6) 및 바닥 섹션(7)이 절첩 공정 또는 굽힘 공정에 의해서 제2 측벽(5)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 측벽(4, 5)으로부터 휘어지고 탄성 휨부(10) 이전에 놓여 있는, 비스듬하게 세워진 도체 안내 평면도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제1 실시예가 참조된다.
도 12는, 제1 측벽(4)을 바라본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측벽(4)이 개구(12)를 갖고, 클램핑 스프링(3)의 작동 섹션이 상기 개구를 관통한다는 것이 명백히 드러난다. 작동 탭(42)은, 개구(12)에 인접하는 제1 측벽(4) 옆에 포지셔닝될 때까지 개구를 넘어서 돌출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측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바닥 섹션(7)이 고정 개구(46)를 갖고, 이 고정 개구가 클램핑 스프링(3)의 접촉 섹션(9)의 단부에 인접한다는 것이 명백히 드러난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사시 측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탄성 휨부(10) 이전에 비스듬하게 서 있는 도체 안내 평면(17)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도체 안내 평면은 하나 이상의 측벽(4, 5)으로부터 휘어진 재료 섹션으로서, 전력 레일 요소(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력 레일 부재(2)에서의 클램핑 스프링(3)의 위치 고정이 접촉 섹션(9)에 러그(45)로서 형성된 고정 섹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러그(45)는 바닥 섹션(7)에 있는 고정 개구(46) 내로 하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기울어짐 또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 섹션(9)이 클램핑 섹션(11)과 똑같이 제2 측벽(5)의 내부면에 인접한다.
도 15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전력 레일 부재(2)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도체 안내 평면(17)이 각각 제1 및 제2 측벽(4, 5)으로부터 휘어진 그리고 덮개 섹션(6)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세워진 2개의 재료 로브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점이 재차 명백히 드러난다.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볼 때 상기 도체 안내 평면(17) 뒤에 간격을 두고 바닥 부분(7)이 있다. 바닥 부분(7)과 덮개 부분(6) 사이에는, 도체 안내 영역을 형성하며 제2 측벽(5) 쪽으로 비스듬하게 서있는 재료 텅(34)이 배치되어 있다.
도 16은,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도 10 및 도 11의 제3 실시예의 클램핑 스프링(3)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고정 섹션을 형성하는 러그(45)가 측면 에지에 인접하면서 접촉 섹션(9)으로부터 휘어져 있는 점이 명백히 드러난다. 이로써, 상기 러그(45)는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 섹션(11)의 클램핑 에지(41) 아래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러그(45)는 접촉 섹션(9)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배치도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작동 러그(42)가 클램핑 섹션(11)의 세로 연장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볼 때 클램핑 에지(41) 옆에 배치되고, 클램핑 에지(41)의 자유 단부 영역에 의해 형성된 단부 영역 위로 돌출한다는 것도 명백히 드러난다. 따라서, 작동 영역은 위로, 다시 말하자면 덮개 섹션(6) 방향으로 바닥 섹션(7)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변위된다.
도 17은,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세부적으로 변형된 변형예가 다루어짐으로써,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체 안내 평면(17)이 측벽(4)으로부터 그 맞은 편에 놓인 측벽(5)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미 설명한 대안예가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 스토퍼(19)가 제2 측벽(5)으로부터 제1 측벽(4)의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섹션 내에서 바닥 섹션(7) 방향으로 돌출하는 안내면(47)을 갖는다. 이로써, 원추형으로 또는 깔때기 형상으로 진행되는 도체 수집 포켓이 제공된다.
제1 실시예에서 존재하는 과하중 정지 러그(15)가 본 실시예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개구(12)를 제한하는 제1 측벽(4)의 하부 외측 에지(48)에 의해 과하중 스토퍼가 적합한 높이에 제공된다.
또한, 제1 측벽(4)으로부터, 도체 안내 영역(14)에 인접하고 도체 안내 영역(14)과 도체 안내 평면(17) 사이에 놓여 있는 영역에 지지면(49)이 제공되고, 도시된 정지 상태에서 클램핑 스프링(3)이 위치 안정화를 위해 상기 지지면 상에 지지되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 섹션(11)이 탄성 휨부(10) 바로 뒤에서, 측벽(4)의 볼록부로서 형성된 지지면(49) 상에 지지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 다시, 지지면(49)이 도체 안내 영역(14)에 직접 연결되는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영역은 볼록부 형태의 윤곽으로 형성되어 도체 안내 평면(17)까지 연결되는 팽창부로 전이되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도 17 및 도 18로부터는 또한, 작동 러그(13)가 덮개 섹션(6) 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되는 동시에, 다시 약간 아래로 바닥 섹션(7)을 향해 역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도 명백히 드러난다. 이때, 작동 러그(13)의 길이 일부가 측벽(4) 옆에 배치되고, 이로써 개구(12)를 넘어서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작동 러그(13)는 제1 실시예에 비해 훨씬 더 길다.
또한, 제2 측벽(5)으로부터 홀딩 아버(50)(holding arbor)가 개구(12) 방향으로 또는 제1 측벽(4)의 평면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점도 명백히 드러난다. 상기 홀딩 아버(50)가 클램핑 스프링(3)의 탄성 휨부(10)에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홀딩 아버(50)는 탄성 휨부 또는 스프링 루트(spring root)의 영역에서 클램핑 섹션(11)과 접촉 섹션(9) 사이에 배치된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의 측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재차, 탄성 휨부(10) 내에서 이 탄성 휨부에 연결되는 클램핑 섹션(11)과 접촉 섹션(9) 사이에 배치되는 홀딩 아버(50)가 더욱 명백히 드러난다.
또한, 도체 삽입 방향(L)과 반대로 바닥 섹션(7)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안내 섹션(47) 및 최종 스토퍼(19)를 갖는 도체 수용 포켓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 에지(22)가 형성되어 있는 클램핑 섹션(11)의 자유 운동 단부가 덮개 섹션(6) 방향으로 약간 휘어져 있음으로써, 클램핑 섹션(11)이 탄성 휨부(10)로부터 출발하여 제1 휨 후에 덮개 섹션(6) 쪽으로 제1 예각으로 정렬되고, 자체 단부 영역에서 덮개 섹션(6)에 대해 제2 예각으로 정렬되는 것도 명백히 드러난다. 제2 예각은 제1 예각보다 크다.
도 20은 전력 레일 부재(2)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실질적으로 도 4에 대한 진술들이 참조될 수 있다. 명백히 드러나 있듯이, 제1 측벽(4)에 는 도체 삽입 영역(14)의 맞은편에 외측 에지(48)가 존재하고, 이 외측 에지가 바닥 섹션(7) 쪽으로 개구(12)를 제한한다. 상기 외측 에지는 과하중 스토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바닥 섹션(7)이 부분 영역들에서 한 편으로는 제2 측벽(5)으로부터 아래로 접힌 박판 섹션 및 다른 한 편으로는 제1 측벽(4)으로부터 아래로 접힌 박판 섹션으로 형성되고, 이들 박판이 서로 인접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용 클램핑 스프링(3)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재차, 작동 러그(13)가 클램핑 섹션(1)의 측면에서 클램핑 에지(22) 옆에 배치되는 것이 명백히 드러난다. 이때, 작동 탭(13)은 클램핑 에지(22)가 없고, 휘어진 윤곽에 의해 재차 접촉 섹션(7)의 평면의 방향으로 약간 아래로 휘어져 있다.

Claims (16)

  1. 전력 레일 부재(2) 및 상기 전력 레일 부재(2) 상에 배치된 클램핑 스프링(3)을 구비한,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로서, 상기 전력 레일 부재(2)는, 제1 측벽(4) 및 상기 제1 측벽(4)의 맞은편에 놓여 있는 제2 측벽(5), 상기 제1 측벽(4)으로부터 그 맞은편의 제2 측벽(5)으로 연장되는 바닥 섹션(7) 및 상기 바닥 섹션(7)의 맞은편에 놓여 제1 측벽(4)으로부터 그 맞은편의 제2 측벽(5)으로 연장되는 덮개 섹션(6)을 갖는 판금부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들(4, 5)은 바닥 섹션(7) 및 덮개 섹션(6)과 함께 도체 삽입 채널(8)을 한정하며; 상기 클램핑 스프링은 제1 단부 영역에 접촉 섹션(9)을, 그리고 상기 제1 단부 영역의 맞은편에 놓여 있는 제2 단부 영역에는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에지(22, 36, 41)를 갖는 클램핑 섹션(11)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 섹션(9)은 전력 레일 부재(2)의 바닥 섹션(7)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핑 섹션(11)의 자유 운동 단부가 덮개 섹션(6) 쪽으로 연장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섹션(11)의 도체 삽입 방향(L)에 대해 횡방향으로 볼 때, 측벽(4)의 방향으로 클램핑 에지(22, 36, 41) 옆에는 작동 공구가 접근할 수 있는 작동 섹션이 존재하며, 상기 클램핑 섹션(11)에 인접하는 도체 안내 영역(14, 34)은 제1 측벽(4)에 형성되고, 상기 도체 안내 영역(14, 34)은, 제1 측벽(4)에서 그 맞은편의 제2 측벽(5)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정렬된 섹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섹션은,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섹션(11)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1 측벽(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러그(13, 35, 42)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측벽(4)이 작동 러그(13, 35, 42)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12)를 가지며, 도체 안내 영역(14, 34)은, 상기 도체 안내 영역(14, 34)에 마주 놓여 있고 개구(12)를 제한하는, 제1 측벽(4)의 선단 에지(24)로부터 먼 쪽을 향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4. 제1항에 있어서, 도체 안내 영역(14, 34)은, 제2 측벽(5)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클램핑 섹션(11) 쪽으로 배향된 제1 측벽(4)의 재료 텅(34)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섹션이 덮개 섹션(6)의 평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 러그(13, 35, 4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섹션이 제1 측벽(4) 내에 형성된,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개구(12) 내에 측면으로 배치된 작동 러그(13, 35, 42)를 가지며, 상기 작동 러그는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볼 때 재료 텅(34)의 노출 단부 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7.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도체 삽입 채널(8)에 마주 놓여 있는 전력 레일 부재(2)의 후방 단부에서는, 최종 스토퍼가 측벽(4, 5), 바닥 섹션(7), 또는 덮개 섹션(6)으로부터 휘어진 재료 로브(19, 4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8. 제7항에 있어서, 측벽들(4, 5)로부터 서로를 향해 배향된 재료 로브들(19, 44)이 휘어지고, 이들 재료 로브들이 최종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9.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접촉 섹션(9)이 측벽들(4, 5)과 바닥 섹션(7) 사이에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10.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접촉 섹션(9)이 상기 접촉 섹션(9)으로부터 바닥 섹션(7)의 개구(46) 내부로 돌출하는 고정 섹션에 의해서 또는 바닥 섹션(7)으로부터 접촉 섹션(9)의 개구(16) 내부로 돌출하는 고정 섹션에 의해 전력 레일 부재(2)에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섹션은 러그(45) 또는 엠보싱(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12.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클램핑 스프링(3)이 접촉 섹션(9)을 클램핑 섹션(11)과 연결하는 탄성 휨부(10)를 가지며,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볼 때 상기 탄성 휨부(10) 이전에 배치된 도체 안내 평면(17)이 적어도 하나의 측벽(4, 5)으로부터 그 맞은편의 측벽(4, 5)의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도체 안내 평면(17)은 비스듬하게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덮개 섹션(6) 쪽을 향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13.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덮개 섹션(6) 또는 바닥 섹션(7)이 납땜 연결 영역(18a, 18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1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일 측벽(4, 5)으로부터, 마주 놓여 있는 측벽(5, 4)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과하중 정지 러그(15)가 돌출하며, 상기 과하중 정지 러그는 클램핑 섹션(11)과 바닥 섹션(7)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15. 전력 레일 부재(2) 및 상기 전력 레일 부재(2) 상에 배치된 클램핑 스프링(3)을 구비한,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도체 연결 접촉 요소(1)로서, 상기 전력 레일 부재(2)는, 제1 측벽(4) 및 상기 제1 측벽(4)의 맞은편에 놓여 있는 제2 측벽(5), 상기 제1 측벽(4) 맞은편의 제2 측벽(5)으로 연장되는 바닥 섹션(7) 및 상기 바닥 섹션(7)의 맞은편에 놓여 제1 측벽(4)으로부터 그 맞은편의 제2 측벽(5)으로 연장되는 덮개 섹션(6)을 갖는 판금부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들(4, 5)은 바닥 섹션(7) 및 덮개 섹션(6)과 함께 도체 삽입 채널(8)을 한정하며; 상기 클램핑 스프링은 제1 단부 영역에 접촉 섹션(9)을, 그리고 상기 제1 단부 영역의 맞은편에 놓여 있는 제2 단부 영역에는 전기 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에지(22, 36, 41)를 갖는 클램핑 섹션(11)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 섹션(9)은 전력 레일 부재(2)의 바닥 섹션(7)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핑 섹션(11)의 자유 운동 단부가 덮개 섹션(6)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클램핑 스프링(3)이 작동 섹션을 갖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섹션은 클램핑 스프링(3)의 클램핑 섹션(11) 측면에 배치되어 제1 측벽(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 러그(13, 35, 42)로서 형성되고,
    제1 측벽(4)은 작동 러그(13, 35, 42)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12)를 가지며, 도체 안내 영역(14, 34)은, 개구(12)를 제한하고 도체 안내 영역(14, 34)에 마주 놓여 있는 제1 측벽(4)의 선단 에지(24)로부터 먼 쪽을 향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연결 접촉 요소(1).
  16. 삭제
KR1020187006348A 2015-09-18 2016-09-05 도체 연결 접촉 요소 KR102646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5791.8A DE102015115791B4 (de) 2015-09-18 2015-09-18 Leiteranschlusskontaktelement
DE102015115791.8 2015-09-18
PCT/EP2016/070831 WO2017045952A1 (de) 2015-09-18 2016-09-05 Leiteranschlusskontakt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299A KR20180053299A (ko) 2018-05-21
KR102646774B1 true KR102646774B1 (ko) 2024-03-13

Family

ID=5692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348A KR102646774B1 (ko) 2015-09-18 2016-09-05 도체 연결 접촉 요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297931B2 (ko)
EP (3) EP3350883B1 (ko)
JP (2) JP6665280B2 (ko)
KR (1) KR102646774B1 (ko)
CN (2) CN108028473B (ko)
DE (1) DE102015115791B4 (ko)
PL (1) PL3350883T3 (ko)
TW (2) TWI703782B (ko)
WO (1) WO2017045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104374U1 (de) * 2016-08-09 2017-11-1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e zum Anschluss eines elektrischen Leiters
DE102016115490B4 (de) * 2016-08-22 2018-06-0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Anschlusselement
DE202017101148U1 (de) * 2017-03-01 2018-06-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ontaktelement
CN109216953A (zh) * 2017-07-04 2019-01-1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CN107994374A (zh) * 2017-11-27 2018-05-04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整体式铆压矩形插孔及其加工方法
DE102018109545A1 (de) 2018-04-20 2019-10-2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Federkraftklemmanschluss und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8116665A1 (de) 2018-07-10 2020-01-1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8117954A1 (de) * 2018-07-25 2020-01-3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griff
DE102018124622B3 (de) * 2018-10-05 2020-03-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Kontakteinsatz, damit gebildete Anordnung, Leiteranschlussklemme sowie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des Kontakteinsatzes
DE102019125886B4 (de) * 2019-09-26 2021-06-17 Bjb Gmbh & Co. Kg Gehäuselose Anschlussklemme mit Öffnungswerkzeug
DE102019125895B4 (de) 2019-09-26 2021-06-10 Bjb Gmbh & Co. Kg Anschlussklemme mit Einführtrichter
BR112022013003A2 (pt) * 2020-01-30 2022-09-06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Rolamento de motor com mola antirrotação para bomba de poço elétrica submersível
CN113518512B (zh) * 2021-03-23 2022-08-26 沙桂林 电子器件的焊接方法及线路板焊接设备
CN113451794B (zh) * 2021-06-04 2023-03-21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一种接线夹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5409B2 (ja) * 1987-11-14 1998-09-10 松下電工株式会社 ジョイントボックスの構造
US20030194918A1 (en) * 2002-04-12 2003-10-16 Weidmuller Interface Gmbh & Co. Electrical conductor connecting means
US20080090471A1 (en) * 2006-10-17 2008-04-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ke-in contacts for modular pcb assembly
JP2009043711A (ja) * 2007-07-04 2009-02-26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Kg 接続装置、接続装置からなる構成、及び、構造要素上に接続装置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
JP2011076831A (ja) * 2009-09-30 2011-04-14 Mac Eight Co Ltd 印刷配線基板にリード線を接続するための接続具
JP2015015112A (ja) * 2013-07-03 2015-01-2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5490U (ko) * 1976-04-30 1977-11-04
JP2601193Y2 (ja) * 1993-02-01 1999-11-08 株式会社白山製作所 差込形接続端子
JP3379747B2 (ja) * 1997-05-20 2003-02-24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端子
US6024612A (en) * 1997-09-23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JP3576488B2 (ja) * 2000-12-18 2004-10-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雌端子
JP2005142066A (ja) * 2003-11-07 2005-06-02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2005183160A (ja) * 2003-12-19 2005-07-07 Jst Mfg Co Ltd 雌コンタクト
DE102006019150B4 (de) * 2006-04-21 2011-06-0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FR2904150B1 (fr) * 2006-07-19 2008-10-10 Legrand France Appareil electrique comportant une borne de connexion bilaterale
CN102832465B (zh) * 2012-08-21 2016-04-20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led用一体式连接器
US8721376B1 (en) * 2012-11-01 2014-05-13 Avx Corporation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AT13705U1 (de) 2013-02-15 2014-07-15 Tridonic Connection Technology Gmbh & Co Kg Anschluss- oder Verbindungsklemme sowie Leiterplatte und Leuchte mit Anschluss- und Verbindungsklemme
GB2516555B (en) * 2013-06-26 2015-07-29 Avx Corp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JP5604575B1 (ja) * 2013-09-25 2014-10-0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線状導体接続用端子
DE202014101856U1 (de) 2013-11-12 2014-05-06 Jiangmen Openwise Electrical Factory Schnellanschlussklemme
CN203674471U (zh) * 2013-11-15 2014-06-25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led用连接器
DE202013105670U1 (de) 2013-12-12 2014-02-05 Jiangmen Krealux Electrical Appliances Co., Ltd. Anschluss für Leuchtdioden
DE102014200271A1 (de) * 2014-01-10 2015-07-16 MCQ TECH GmbH Leiterplattenanschlussklemme
CN203721935U (zh) * 2014-03-06 2014-07-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连接导线的连接端子
CN204190042U (zh) * 2014-11-17 2015-03-04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led用接线端子
CN104377488A (zh) * 2014-11-17 2015-02-25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led用接线端子
DE202017101148U1 (de) * 2017-03-01 2018-06-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ontaktele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5409B2 (ja) * 1987-11-14 1998-09-10 松下電工株式会社 ジョイントボックスの構造
US20030194918A1 (en) * 2002-04-12 2003-10-16 Weidmuller Interface Gmbh & Co. Electrical conductor connecting means
US20080090471A1 (en) * 2006-10-17 2008-04-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ke-in contacts for modular pcb assembly
JP2009043711A (ja) * 2007-07-04 2009-02-26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Kg 接続装置、接続装置からなる構成、及び、構造要素上に接続装置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
JP2011076831A (ja) * 2009-09-30 2011-04-14 Mac Eight Co Ltd 印刷配線基板にリード線を接続するための接続具
JP2015015112A (ja) * 2013-07-03 2015-01-2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8473A (zh) 2018-05-11
JP2018527720A (ja) 2018-09-20
TWI703782B (zh) 2020-09-01
TW201820705A (zh) 2018-06-01
WO2017045952A1 (de) 2017-03-23
DE102015115791A1 (de) 2017-03-23
EP3350883A1 (de) 2018-07-25
EP3910741A1 (de) 2021-11-17
JP6665280B2 (ja) 2020-03-13
EP3979425A1 (de) 2022-04-06
JP6932802B2 (ja) 2021-09-08
US10297931B2 (en) 2019-05-21
US20190229441A1 (en) 2019-07-25
JP2020098797A (ja) 2020-06-25
CN113285246B (zh) 2024-02-23
CN113285246A (zh) 2021-08-20
PL3350883T3 (pl) 2022-03-21
US20180212342A1 (en) 2018-07-26
TW201712956A (zh) 2017-04-01
KR20180053299A (ko) 2018-05-21
TWI619318B (zh) 2018-03-21
CN108028473B (zh) 2021-05-07
EP3350883B1 (de) 2021-11-03
US10658767B2 (en) 2020-05-19
DE102015115791B4 (de)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6774B1 (ko) 도체 연결 접촉 요소
US9847587B2 (en) Spring-force terminal connection and plug connector
JP6317164B2 (ja) 導体接続端子
JP6932699B2 (ja) 導体接続端子および、導体接続端子および操作工具からなる組み合わせ
KR102145876B1 (ko)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TWI604675B (zh) 電子連接終端
RU2652780C2 (ru) Пружинное клем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лемма для проводников
US7704093B2 (en) Insulation-displacement connection
US10153575B2 (en) Conductor connection contact element
KR102646638B1 (ko) 도체 연결 접촉 요소
JP2016507145A (ja) ばね力締付要素および結合端子
KR20160146832A (ko) 전도체 연결 단자
CN107017475B (zh) 导线接线端子
JP4552841B2 (ja) コンセント
TW200427157A (en) Connection clip for electrical leads and connection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