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581B1 -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581B1
KR102040581B1 KR1020180069989A KR20180069989A KR102040581B1 KR 102040581 B1 KR102040581 B1 KR 102040581B1 KR 1020180069989 A KR1020180069989 A KR 1020180069989A KR 20180069989 A KR20180069989 A KR 20180069989A KR 102040581 B1 KR102040581 B1 KR 102040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space
dust
line
cleaning device
ai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김민석
최우제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턴 공간에 분진수거라인을 형성하여 벨트의 리턴시 발생하는 분진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공기 컨베이어 청소장치에 있어서, 공기 컨베이어의 리턴 공간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쉽게 모을 수 있도록 리턴 공간 바닥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분진수거라인과; 상기 리턴 공간 측면에 형성되는 점검 도어를 통해 삽입되며,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의 양단 측면을 밀폐시키기 위한 가림부로 구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리턴 공간 바닥면에 형성되는 분진수거라인에 일단이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토록 하는 복수 개의 제1 수직라인과 상기 각 제1 수직라인의 타 일단과 연결되는 수평라인과 상기 수평라인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직라인으로 형성되는 진공 라인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Cleaning Apparatus for Air conveyer}
본 발명은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턴 공간에 분진수거라인을 형성하여 벨트의 리턴시 발생하는 분진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나 발전소 등에서는 원료를 지정된 위치까지 이송하기 위한 설비로써 컨베이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에어팬 등을 이용해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 벨트를 부상시켜 분체 원료를 운반토록 하는 공기 컨베이어(air conveyer)가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컨베이어는 원료의 적재, 운반 공간(Carrying Plenum)과 리턴 공간(Return Plenum)에서 원료의 이송후 벨트에서 떨어져 나온 분진이 리턴 공간에 쌓이는 것을 원활하게 제거하지 못해 고착되어 벨트의 부상(浮上)을 방해하고 마찰을 증가시켜 벨트의 마모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분진이 리턴 공간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리턴 공간을 분해한 후 고착된 분진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분해와 조립으로 인한 정비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이로 인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리턴 공간의 분해와 조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품질이 초기 시공시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져 설비의 성능이 저하되어 벨트의 원활한 부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원료 이송 작업을 이룰 수 없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6498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턴 공간에서 발생하는 분진 청소를 분해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원활하게 이루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향상과 벨트의 훼손을 방지하는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 컨베이어 청소장치에 있어서, 공기 컨베이어의 리턴 공간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쉽게 모을 수 있도록 리턴 공간 바닥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분진수거라인과; 상기 리턴 공간 측면에 형성되는 점검 도어를 통해 삽입되며,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의 양단 측면을 밀폐시키기 위한 가림부로 구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리턴 공간 바닥면에 형성되는 분진수거라인에 일단이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토록 하는 복수 개의 제1 수직라인과 상기 각 제1 수직라인의 타 일단과 연결되는 수평라인과 상기 수평라인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직라인으로 형성되는 진공 라인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턴 공간의 바닥면은 분진수거라인을 제외한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진수거라인은 분진이 중앙에 쉽게 모일 수 있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림부는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 양단 측면을 완전하게 밀폐시키도록 하단이 리턴 공간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직라인, 수평라인 및 제2 수직라인에는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턴 공간의 하부에는 벨트를 부상(浮上)시키기 위한 압력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챔버가 형성되고, 공기 챔버는 리턴 공간의 바닥면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턴 공간의 바닥면 경사는 10° ∼ 15°범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소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기 컨베이어의 운전시 리턴 공간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거하여 분진의 침전으로 인한 고착을 방지함으로써 벨트의 원활한 부상을 이루고 마모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리턴 공간의 분해 없이 분진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원활하게 제거토록 함으로써, 분진을 청소하기 위한 작업시간과 비용을 매우 많이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턴 공간의 분해 없이 분진 청소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리턴 공간의 공기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성 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의 지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라인부를 지상까지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의 사용 상태로서 청소작업을 하고자 하는 리턴 공간과 운반 공간의 섹션 하나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의 사용 상태로서 청소작업을 하고자 하는 리턴 공간의 점검 도어를 개방한 후 지지부를 삽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의 사용 상태로서 청소작업을 하고자 하는 리턴 공간의 점검 도어를 통해 삽입한 지지부로 벨트를 지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가 구비된 공기 컨베이어의 전체 레이아웃(Layout)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의 진공 라인부와 진공차량을 연결하는 상태를 확대한 요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공간과 리턴 공간을 분리 형성한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100)는 분진수거라인(110)과 지지부(120) 및 진공 라인부(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분진수거라인(110)은 공기 컨베이어(200)의 리턴 공간(21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쉽게 모을 수 있도록 리턴 공간(210) 바닥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턴 공간(210)은 독립된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210a) 복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전체 리턴 공간(210)을 형성한다.
상기 분진수거라인(110)은 분진이 중앙에 쉽게 모일 수 있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진수거라인(110)은 폭은 80㎜∼200㎜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리턴 공간(210)의 바닥면은 분진수거라인(110)을 제외한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턴 공간(210)의 바닥면 경사는 10° ∼ 15°범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리턴 공간(210)의 바닥면 경사를 10°이하로 형성할 경우에는 벨트(230)가 리턴 공간(210)을 통해 리턴 중 발생하는 분진이 바닥면에 쌓일 경우 경사가 낮아 잘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다.
또, 상기 리턴 공간(210)의 바닥면 경사를 15°이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리턴 공간(210)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바닥면에 내려않더라도 잘 흘러내리기는 하지만 리턴 공간(210)의 구조가 커지게 되고 원료의 운반라인과 복귀라인의 레벨(Level) 차가 커지게 되어 설비 투자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턴 공간(210)의 바닥면 경사는 10° ∼ 15°범위를 이루는 것이 분진을 쉽게 미끄러지게 하여 분진수거라인(110)으로 모이게 함과 동시에 설비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각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210a) 측면에 형성되는 점검 도어(212)를 통해 삽입되며, 벨트(2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21)와 상기 지지대(121)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210a)의 양단 측면을 밀폐시키기 위한 가림부(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는 점검 도어(212)를 통해 삽입시 점검 도어(212)나, 리턴 공간(21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가림부(122)가 수평을 이루도록 90°로 돌려 회전시킨다.
또, 상기 지지대(121)는 쉽게 구름(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단 부분이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일단 부분에는 견고한 고정을 위한 핀 결합구멍(H)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210a)에 삽입된 지지부(120)는 핀 결합구멍(H)으로 결합되는 핀(P)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210a)에 위치하는 벨트(230)가 바닥쪽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림부(122)는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210a) 양단 측면을 완전하게 밀폐시키도록 하단이 상기 리턴 공간(210a)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 상기 지지부(120)는 전체 리턴 공간(210) 중, 분진 제거를 위한 청소가 이루어질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210a) 양단 측면을 밀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210a) 중 분진 제거 청소가 필요한 섹션 형태의 리턴 공간(210a) 양단 측면을 밀폐시켜 상기 진공 라인부(130)를 이용하여 분진을 흡입 제거한 후, 계속해서 다음 섹션 형태 리턴 공간(210a)의 양단 하부를 밀폐시켜 상기 진공 라인부(130)를 이용하여 분진을 흡입 제거토록 한다.
만일, 상기 섹션(section)형태의 리턴 공간(210a) 양단 측면을 밀폐시키지 않을 경우 전체 리턴 공간(210) 내부에 존재하는 분진을 진공흡입시 강력한 흡입력을 제공하더라도 먼곳에 위치하는 분진은 쉽게 흡입되지 않으므로 이를 위해 많은 수의 진공 라인과 대용량의 진공펌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20)에 의해 밀폐되는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210a)은 다른 섹션(section)형태의 리턴 공간(210a)과는 격리됨에 따라 추후 상기 진공 라인부(130)에 진공흡입력 부여시 내부에 존재하는 분진의 제거를 더욱더 쉽게 이룰 수 있다.
상기 진공 라인부(130)는 리턴 공간(210) 바닥면에 형성되는 분진수거라인(110)에 일단이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토록 하는 복수 개의 제1 수직라인(131)과 상기 각 제1 수직라인(131)의 타 일단과 연결되는 수평라인(132)과 상기 수평라인(132)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직라인(133)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각 제1 수직라인(131)은 각 섹션(section)형태의 리턴 공간(210a) 바닥면에 형성되는 분진수거라인(110)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 상기 수평라인(132)은 각 제1 수직라인(131)으로부터 흡입되는 분진을 수용하도록 리턴 공간(210)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제2 수직라인(133)은 일단이 수평라인(132)과 연결되고 타 일단은 별도 진공차량(도면부호 미기재)의 분진흡입라인(미도시)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각 섹션(section)형태의 리턴 공간(210a)과 연결되는 제1 수직라인(131), 수평라인(132) 및 제2 수직라인(133)에는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밸브(V)가 형성된다.
즉, 상기 리턴 공간(210)을 형성하는 각 섹션 형태의 리턴 공간(210a) 내부의 분진을 청소할 경우, 청소하고자 하는 하나의 섹션 형태 리턴 공간(210a)과 연결되는 진공 라인부(130)에 형성된 밸브(V)만 개방하고 나머지 다른 섹션 형태의 리턴 공간(210a)과 연결된 진공 라인부(130)에 형성된 밸브(V)는 폐쇄한다.
이에 따라, 분진 청소를 하고자 하는 각 섹션(section)형태의 리턴 공간(210a)과 연결되는 제1 수직라인(131), 수평라인(132) 및 제2 수직라인(133)에 형성된 밸브(V)를 개폐하여 분진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컨베이어(200)는 상부에 위치하는 원료의 적재, 운반 공간(220)과 하부에 위치하는 리턴 공간(210) 및 상기 운반 공간(220)과 리턴 공간(210)을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벨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운반 공간(220)의 하부에는 벨트(230)를 부상(浮上)시키기 위한 압력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챔버(221)가 형성된다.
또, 상기 리턴 공간(210)의 하부에는 벨트(230)를 부상(浮上)시키기 위한 압력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챔버(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턴 공간(210)에 위치하는 벨트(230)를 부상시키기 위한 공기 챔버(211)는 리턴 공간(210)의 바닥면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분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기 챔버(211)를 양측으로 분리 형성함으로써, 리턴 공간(2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분진수거라인(110)과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양쪽에서 압력 공기를 공급하여 벨트(230)를 균일하게 부상(浮上)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컨베이어(200)는 도 1,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운반공간(220)과 하부에 위치하는 리턴 공간(210)이 하나의 프레임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운반공간(220)과 하부에 위치하는 리턴 공간(210)이 다른 프레임에 의해 상호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청소장치(100)를 구비하는 공기 컨베이어(200)를 더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가 구비된 공기 컨베이어의 분진 제거를 위한 청소를 하고자 할 경우 청소하고자 하는 하나의 섹션 형태 리턴 공간(210a)의 측면에 형성된 점검 도어(212)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점검 도어(212)를 통해 지지부(120)를 삽입하여 지지대(121)는 벨트(230)를 지지하고, 가림부(122)는 섹션 형태 리턴 공간(210a)의 양단 측면을 밀폐토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120)의 가림부(122)와 점검 도어(211)나 섹션 형태 리턴 공간(210a)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가림부(122)가 수평을 이루도록 90° 돌려 삽입한 후, 가림부(122)가 상기 리턴 공간(210a)의 양단 측면을 밀폐하도록 다시 90° 돌린다.
다음, 상기 리턴 공간(210) 내부에 고착된 분진이 있을 경우 상기 점검 도어(212)를 통해 청소도구를 삽입하여 고착된 분진을 분쇄, 분리시킨다.
다음, 상기 지지대(121)의 일단 부분에 형성된 핀 결합구멍(H)에 핀(P)을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어서, 청소를 하고자 하는 섹션 형태 리턴 공간(210a)과 연결되는 진공 라인부(130)에 형성된 밸브(V)만 개방하고 나머지 다른 섹션 형태의 리턴 공간(210a)과 연결된 진공 라인부(130)에 형성된 밸브(V)는 폐쇄한다.
그리고 상기 진공 라인부(130)를 구성하는 제2 수직라인(133)의 타 일단을 별도 진공차량(도면부호 미도시)의 분진흡입라인(미도시)과 연결한다.
다음, 상기 진공차량의 진공흡입장치(미도시)를 동작시켜 청소를 하고자 하는 섹션 형태 리턴 공간(210a) 내부 분진수거라인(110) 등으로 쌓여 있는 분진을 흡입, 제거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리턴 공간을 분해하지 않고 신속하고 쉽게 분진을 제거함으로써 벨트의 마모를 예방하고 작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청소장치 110 : 분진수거라인
120 : 지지부 121 : 지지대
122 : 가림부 130 : 진공 라인부
131 : 제1 수직라인 132 : 수평라인
133 : 제2 수직라인 200 : 공기 컨베이어
210 : 리턴 공간 210a : 섹션 형태의 리턴 공간
211 : 공기 챔버 212 : 점검 도어
220 : 운반 공간 221 : 공기 챔버
230 : 벨트 H : 핀 결합구멍
P : 핀 V : 밸브

Claims (9)

  1. 공기 컨베이어 청소장치에 있어서,
    공기 컨베이어의 리턴 공간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쉽게 모을 수 있도록 리턴 공간 바닥면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분진수거라인과;
    상기 리턴 공간 측면에 형성되는 점검 도어를 통해 삽입되며, 벨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의 양단 측면을 밀폐시키기 위한 가림부로 구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리턴 공간 바닥면에 형성되는 분진수거라인에 일단이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토록 하는 복수 개의 제1 수직라인과 상기 각 제1 수직라인의 타 일단과 연결되는 수평라인과 상기 수평라인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직라인으로 형성되는 진공 라인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공간의 바닥면은 분진수거라인을 제외한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수거라인은 분진이 중앙에 쉽게 모일 수 있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섹션(section) 형태의 리턴 공간 양단 측면을 완전하게 밀폐시키도록 하단이 리턴 공간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라인, 수평라인 및 제2 수직라인에는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한 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공간의 하부에는 벨트를 부상(浮上)시키기 위한 압력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챔버가 형성되고, 공기 챔버는 리턴 공간의 바닥면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공간의 바닥면 경사는 10° ∼ 15°범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컨베이어.
  9. 삭제
KR1020180069989A 2018-06-19 2018-06-19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KR102040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89A KR102040581B1 (ko) 2018-06-19 2018-06-19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89A KR102040581B1 (ko) 2018-06-19 2018-06-19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581B1 true KR102040581B1 (ko) 2019-11-05

Family

ID=6857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989A KR102040581B1 (ko) 2018-06-19 2018-06-19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5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7421A (ja) * 1996-11-20 1998-06-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のダスト回収装置
KR200155524Y1 (ko) * 1995-10-24 1999-10-01 이구택 귀환벨트 표면의 더스트 자동흡입장치
KR200164989Y1 (ko) 1994-12-28 2000-01-15 손욱 컨베이어 청소장치
JP3363069B2 (ja) * 1997-06-13 2003-01-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空気浮上式コンベヤの落粉除去装置
KR20080079764A (ko) * 2007-02-28 2008-09-02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컨베이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989Y1 (ko) 1994-12-28 2000-01-15 손욱 컨베이어 청소장치
KR200155524Y1 (ko) * 1995-10-24 1999-10-01 이구택 귀환벨트 표면의 더스트 자동흡입장치
JPH10147421A (ja) * 1996-11-20 1998-06-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のダスト回収装置
JP3363069B2 (ja) * 1997-06-13 2003-01-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空気浮上式コンベヤの落粉除去装置
KR20080079764A (ko) * 2007-02-28 2008-09-02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컨베이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62513A1 (en) Conveyor belt cleaning apparatus
KR100911346B1 (ko) 이동식 제진기
KR102040581B1 (ko) 공기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CN105920943A (zh) 一种用于粮食仓储输送设备的卧式除尘器
JP2017115745A (ja) フィルタ交換装置、フィルタ交換装置の制御方法、及びガスタービン設備
KR101133073B1 (ko) 제진기
KR20090021668A (ko) 컨베이어 벨트의 세척장치
CN211360854U (zh) 一种降低碎屑干扰的五金板材自动切割机
CN216996352U (zh) 一种带清洁装置的输送机
KR101973628B1 (ko) 광폭 수로형 제진기
KR20150019049A (ko) 집진설비 및 분진 처리 방법
CN113731616B (zh) 一种防物料残留的负压降尘式磨粉机
KR102501113B1 (ko) 레일 클리너
KR100606567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20190095758A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CN113895997B (zh) 一种水泥熟料自动化生产线除尘装置
CN217411427U (zh) 花茶生产输送设备
GB2357049A (en) Arrangement in moving crusher
CN210527901U (zh) 一种往复式给煤机的保护装置
JP2018034994A (ja) 昇降機
CN221025981U (zh) 输送机清扫机构
CN217262825U (zh) 一种制砂中传送带高效清理装置
CN213802056U (zh) 一种袋装水泥装车机
CN218554726U (zh) 一种旋风筒下料器
CN210972815U (zh) 稀、湿、水煤皮带输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