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074B1 - 터치 스크린 모듈 및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모듈 및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074B1
KR102040074B1 KR1020177031199A KR20177031199A KR102040074B1 KR 102040074 B1 KR102040074 B1 KR 102040074B1 KR 1020177031199 A KR1020177031199 A KR 1020177031199A KR 20177031199 A KR20177031199 A KR 20177031199A KR 102040074 B1 KR102040074 B1 KR 102040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screen module
graphic
conductive lay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272A (ko
Inventor
지홍 리우
펑 웨이
샤오준 유
시앙 쩌우
유 저우
신 천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2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터치 스크린과 제2 소자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로서, 터치 스크린은 1 내지 100미크론의 폭의 표기로 구성되는 복수의 제1그래픽을 포함하고, 제2 소자는 터치 스크린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2그래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하에, 대립의 표기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기때문에, 일부 특별한 경우에 용이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면, 표기를 터치 스크린 모듈이 최종 상품에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할수 있어서, 추가 공간으로 표기를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터치 스크린 모듈 소형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모듈 및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터치 스크린 모듈 및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과정중 일반적으로 한 층 투명소자, 예를 들면, 투명한 터치 스크린을 한 층의 불투명한 또는 투명소자, 예를 들면, 불투명한FPC에 연결해야 한다. 제조 과정중 상기 두층의 소자는 대립(counterpoint)해야 한다. 종래의 대립 방법은 일반적으로 기계 위치 결정 방법과 광학 위치 결정 방법을 포함한다. 기계 위치 결정 방법은 두층 소자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을 개설하여, 대응되는 통공을 원주 통과하는 것을 통해 위치 결정의 목적을 달성하는 구멍 위치 결정 방법이다. 기계 위치 결정 방법은, 복수의 제품 프레임에 대응되는 기둥을 배치하고, 두측의 소자를 복수의 기둥이 둘러싸인 공간내에 놓아두어, 두층의 소자를 맞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레임 위치 결정 방법이다. 하지만, 기계 위치 결정 방법의 오차가 크다.
광학 위치 결정 방법은 구체적으로, 투명소자위에 눈에 보이는 표기, 예를 들면, 하나의 솔리드 원을 인쇄 또는 붙이고, 그 다음 작업인원은 두개의 표기를 맞춘후에 두개의 소자를 결합한다. 이런 방법은 높은 위치 결정 정밀도를 제공할수 있지만, 표기가 보이므로, 일부 특별한 경우에, 표기는 불편함을 가져다 줄수 있다. 예를 들면, 표기를 터치 스크린 모듈이 최종 상품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 해야하며, 즉 추가 공간으로 표기를 배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수 있는 터치 스크린 모듈 및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 모듈에 있어서, 투명한 터치 스크린과 제2 소자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은 1 내지 100미크론의 폭의 표기로 구성되는 복수의 제1그래픽을 포함하고, 제2 소자는 터치 스크린에 고정되며 복수의 제2그래픽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모듈은 투명한 터치 스크린 및 제2 소자를 포함하고,상기 방법은, 터치 스크린에 1 내지 100미크론의 폭의 표기로 구성되는 복수의 제1 그래픽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소자에 복수의 제2 그래픽을 형성하는 단계; 각각의 제1 그래픽 및 제2 그래픽의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위치 관계에 따라서 상기 제2 소자(예하면, 연성 회로 기판)를 터치 스크린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하에, 대립의 표기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기때문에, 일부 특별한 경우에 용이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면, 표기를 터치 스크린 모듈이 최종 상품에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할수 있어, 추가 공간으로 표기를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터치 스크린 모듈 소형화에 유리하다.
아래 도면은 구체적인 실시 예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중에 도시된 각 소자는 실제 크기 및 비례관계를 대표하지 않으며, 다만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개략도 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도1의 흐름에 따라 제조한 터치 스크린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3은 도2의 터치 스크린 모듈의 터치 스크린 및 연성 회로 기판의 부분적으로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4은 도3의 두개의 표기를 맞춘후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위하여, 하기에서 복수의 실시형태 및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을 진일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사용한 실시형태는 다만 본 발명응 설명할뿐, 본 발명을 한정한것이 아니다.
도1 내지 도3을 결합하면,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8)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2는 상기 흐름에 따라 제조한 터치 스크린 모듈(8)의 분해도이고, 도3은 터치 스크린 모듈의 부분적으로 확대한 개략도이다. 터치 스크린 모듈(8)은, 투명한 터치 스크린(10)및 연성 회로 기판(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8)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10: 터치 스크린(10)에 1 내지 100미크론의 폭의 표기(19)로 구성되는 복수의 제1 그래픽(18)을 형성한다.
커패시터 터치 스크린(10)은 기재(Basis Material)(12) 및 기재(12)에 설치되는 도전층(14)을 포함한다. 기재(12)는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 질 수있다. 예를 들면,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 프탈레이(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이로하여 터치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모듈 또는 기타 투면한 특성의 응용정경을 제작하는데 유리하다. 커패시터 터치 스크린(10)이 연성을 구비하는 것을 필요로 할때, PET를 선택하여 기재(12)를 제조할수 있으며, PET는 투광성과 유연성이 좋아서, 제조하기 쉬운등 장점이 있다. 본 실시형태중, PET로 만들어진 기재(12)의 두께는 약0.015 내지0.2밀리미터(mm)이고, 바람직하게는 0.05-0.1mm이다. 이 두께내의 기재는 양호한 유연성을 구비한다. 물론, 기타 투명특성을 불필요할 경우, 기재(12)를 불투명한 재료로, 예를 들면, 금속으로 만들수 있다.
도전층(14)은 투명하고 도전성이 있는 나노미터 차원의 금속 박막을 포함할수 있다. 예를 들면, 나노미터 차원의 단일 금속, 합금, 금속화합물 또는 위의 임의의 조합으로 형성한 박막, 예를 들면, 나노 금속사의 박막을 포함하고, 나노 금속입자의 박막을 포함하고, 나노 금속격자의 박막을 포함하며, 물론 그래핀 박막, 탄소 나노 튜브 박막, 유기 전도성 고분자 폴리머 박막,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박막 또는 위의 임의의 조합 일 수있다. 본 실시형태중, 도전층(14)은 투명한 전도성 은 나노와이어 박막이고, 이는 은 나노와이어의 폴리머 매트릭스를 구비한 한 층의 박막이며, 은 나노와이어가 박막중에 무질서하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박막이 투명성과 전도성 특성을 구비한다. 은 나노와이어 박막은 코팅, 스크린 인쇄 또는 분사의 방식으로 기재(12)에 부설할수 있다.
도전층(14)은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을 통해, 레이저에 의해 그위에 터치를 감지하는 패턴(16)을 형성한다. 레이저전에, 레이저의 매개 변수를 조정하여, 상기 레이저 매개 변수는 펄스 폭, 펄스 플럭스, 펄스 에너지, 스폿 크기, 펄스 반복율등을 포함하여, 레이저가 예설한 경로에 따라 은 나노와이어박막을 스캔하여, 조사된 은 나노와이어박막은 고온에서 떨어지다. 따라서, 레이저에 조사된 구역에는 터치를 감지하는 패턴(16)을 형성한다.
패턴(16)을 형성하는 동시에, 레이저는 예설한 지점을 조사하여 제1그래픽(18)을 형성하여, 다시말하면, 제1그래픽(18)은 패턴(16)을 형성하는 과정에 형성한 것이며, 따라서, 배경기술과 같이 터치 스크린을 만든후에 다른 인쇄등 단계를 통해 만들필요가 없으므로, 제조공정을 제고한다. 동시에, 배경기술의 인쇄전에 인쇄위치를 정확하게 찾는 단계도 감소하였다. 본 실시형태중, 제1그래픽(18)은 표기(19)이 형성한 타원형이며, 표기(19)는 레이저가 이 표기에 위치하여있는 도전층(14)의 부분을 조사하여 떨어진후, 진일보로 아래의 기재(12)이 연소되어 형성한 라인이다. 또한 표기(19)는 이산된 점이여도 되며, 이때 제1그래픽(18)은 이산된 점들이 조성한 타원형이며, 또한 제1그래픽은 기타 형상이여도 된다.
레이저의 매개 변수를 라인 형태의 표기(19)의 폭이 1 내지 100미크론사이로 되도록 조정하며, 즉 1미크론보다 크고 100미크론보다 작이며, 이 폭의 라인(19)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광학 증폭 장치로 식별할수있므로, 육안으로 보이지 않지만 위치 확정을 할수있는 효과를 이를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험과 테스트를 통해, 라인(19)의 폭이 10 내지 40미크론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미크론일 경우, 더욱 쉽게 제조하고 식별할수 있다. 물론, 상기 방식외에, 레이저는 제거하지 않는 방식으로 가공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패턴(16) 및 제1그래픽(18)을 형성하여도 된다.
단계S20: 연성 회로 기판(20)위에 복수의 제2그래픽(22)을 형성하고, 각각의 제2그래픽(22)과 제1그래픽(18)의 위치가 서로 매칭되고, 형상이 상이하다. 연성 회로 기판(20)위의 제2그래픽(22)은 제1그래픽(18)의 위치에 대등되게 배치한 펀칭일 수 있고, 펀칭은 원형이며, 원형은 바람직하게 제1그래픽(18)의 타원이 당해 원형에 내접하는 원형이다.
단계S30: 각각의 제1그래픽(18) 및 대응되는 제2그래픽(22)을 정확하게 맞추고, 연성 회로 기판(20)을 터치 스크린(10)에 고정한다. 머신 비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10)위의 제1그래픽(18)을 식별할수 있고, 머신 비전 시스템이 제1그래픽(18)의 타원을 식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익숙한 기술이므로, 본 설명서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수동을 통해 터치(10) 및 연성 회로 기판(20)을 대립하고, 먼저 양자를 정렬하고 중첩하여 대체로 바로 잡고, 제1 및 제2그래픽의 위치가 서로 매칭되므로, 이때 제1 및 제2그래픽은 대체로 대립된다. 그 다음으로, 머신 비전 시스템을 통해 제1그래픽(18)을 식별한후, 제1그래픽(18)의 타원이 제2그래픽(22)의 원형에 내접하게 하여, 도4의 도시와 같이 양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춘다. 이때 터치 스크린(10) 및 연성 회로 기판(20)을 가열 압착하는 방식으로 고정한다. 상기 매칭되다는 것은, 터치 스크린(10) 및 연성 회로 기판(20)의 위치가 정확하게 맞출때, 제1 및 제2그래픽의 위치도 서로 정확하게 맞춰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을 실예하는 상기 실예중, 터치 스크린 모듈(8)은 투명한 터치 스크린(10) 및 연성 회로 기판(20)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표기의 응용은 투명한 터치 스크린(10)와 연성 회로 기판(20)의 연결에만 응용되지 않으며, 터치 스크린(10)과 기타 소자의 연결일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10)과 투명한 보호층 또는 투명한 유리의 대립 연결일 수 도있다. 이때, 투명한 보호층 또는 유리는 그 위에 배치 될수 있고 동시에 라인 폭이 1 내지 100미크론인 표기로 구성된 표기를 사용하며, 당해 표기는 상기 실시형태의 제2그래픽의 형상 및 위치등특징을 만족하며,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대립를 실현할수 있다. 또한, 두개 표기의 형상도 상기방식에 제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그래픽(18)은 하나의 원형, 또는 양자 모두 기타 형상이여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중, 제1 및 제2그래픽의 위치가 서로 매칭되고, 인공 부조 계기의 방식을 통해 대립를 실현할수 있다. 하지만,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그래픽의 위치가 서로 매칭되지 않아도 된다. 이런 경우에, 시스템은 머신 비전 시스템을 통해 제1그래픽을 식별한후, 터치 스크린의 제1좌표를 확정한다. 그 다음 제2그래픽을 식별한후, 제2 소자의 제2좌표를 확정한다. 그리고 시스템에 의하여 두 좌표의 차이 및 예정차이와의 갭을 계산하며, 자동화 설비를 통해 터치 스크린 또는 제2 소자를 조정하여, 양자가 대립되게 하며, 그 다음 양자를 서로 고정한다.
상기 설명에 기초하면, 본 발명이 정공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방법은, 터치 스크린에 1 내지 100미크론의 폭의 표기로 구성되는 복수의 제1그래픽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소자에 복수의 제2그래픽을 형성하는 단계; 각각의 제1그래픽 및 제2그래픽의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위치 관계에 따라서 제2 소자(예하면, 연성 회로 기판)를 터치 스크린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시에, 본 발명중에 형성된 제1그래픽 및 제2그래픽의 순서는 본 발명 내요의 실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단계의 기재중, 제1그래픽의 형성이 앞에 쓰여져 있다고 하여서 그것이 먼저 진행해야하는 단계라고 인정해서는 안된다.
이상의 실시형태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원리 내에 있는 모든 변형, 동등한 치환 및 개진등은, 전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터치 스크린 모듈에 있어서,
    기재 및 상기 기재에 설치되는 도전층을 포함하는 투명한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2 그래픽을 포함하는 제2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복수의 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그래픽이 설치되고,
    상기 도전층은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표기는 레이저가 상기 표기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도전층의 부분을 조사하여 떨어진 후, 진일보로 도전층 아래의 기재가 연소 및 변색되어 형성되고, 상기 표기의 폭은 1 내지 100미크론이고,
    상기 제1 그래픽 및 제2 그래픽의 위치 관계를 확정하여, 상기 위치 관계에 따라서 상기 제2 소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고정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나노미터 차원의 금속 박막, 탄소 나노 튜브 박막, 그래핀 박막, 유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 ITO 박막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은 나노와이어 박막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그래픽과 대응되는 제1 그래픽은 형상이 상이하고, 위치가 서로 매칭되는,
    터치 스크린 모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그래픽과 각각의 제1 그래픽의 위치가 서로 매칭되는 않는,
    터치 스크린 모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10 내지 40미크론인,
    터치 스크린 모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25 내지 35미크론인,
    터치 스크린 모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두께가 0.015 내지 0.2밀리미터인,
    터치 스크린 모듈.
  9.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은 투명한 터치 스크린 및 제2 소자를 포함하고,상기 터치 스크린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설치되는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도전층에 터치를 감지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을 통해 상기 도전층에 조사하여 떨어진 후, 다시 상기 도전층 아래의 기재가 연소 및 변색되어, 상기 기재 상에 복수의 표기를 형성하고, 상기 표기의 폭은 1 내지 100미크론이고, 상기 복수의 표기는 제1 그래픽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소자에 복수의 제2 그래픽을 형성하는 단계; 및
    각각의 제1 그래픽 및 제2 그래픽의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상기 위치 관계에 따라서 상기 제2 소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나노미터 차원의 금속 박막, 탄소 나노 튜브 박막, 그래핀 박막, 유기 전도성 고분자 박막, ITO 박막중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은 나노와이어 박막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그래픽과 대응되는 제1 그래픽은 형상이 상이하고, 위치가 서로 매칭되는,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그래픽과 각각의 제1 그래픽의 위치가 서로 매칭되는 않는,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10 내지 40미크론인,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25 내지 35미크론인,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두께가 0.015 내지 0.2밀리미터인,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7031199A 2015-03-27 2015-03-27 터치 스크린 모듈 및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40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75327 WO2016154830A1 (zh) 2015-03-27 2015-03-27 触摸屏模组及其制作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272A KR20170132272A (ko) 2017-12-01
KR102040074B1 true KR102040074B1 (ko) 2019-11-04

Family

ID=5700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199A KR102040074B1 (ko) 2015-03-27 2015-03-27 터치 스크린 모듈 및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29954B2 (ko)
KR (1) KR102040074B1 (ko)
CN (1) CN106211796B (ko)
WO (1) WO201615483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8949A (ja) * 2010-09-24 2012-04-05 Shin Etsu Polymer Co Ltd 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004A (ja) * 1997-04-23 1999-01-12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アライメントマーク
US20070085838A1 (en) * 2005-10-17 2007-04-19 Ricks Theodore K Method for making a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screen
JP2007273578A (ja) * 2006-03-30 2007-10-18 Optrex Corp 電子部品接続構造
US9710095B2 (en) * 2007-01-05 2017-07-18 Apple Inc. Touch screen stack-ups
KR101055713B1 (ko) * 2008-07-18 2011-08-11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접촉 입력 감지 기능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WO2010016174A1 (ja) * 2008-08-07 2010-02-11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726888A (zh) * 2008-10-27 2010-06-09 宸鸿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电路双面图形结构的制法
CN102713737B (zh) * 2010-01-15 2015-04-08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1104934A1 (ja) * 2010-02-23 2011-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1840285B (zh) * 2010-05-04 2012-07-0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与触控显示面板及其修补方式
US9282686B2 (en) * 2012-07-10 2016-03-08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high resolution, high throughput processing of conductive patterns of flexible substrates
CN202711224U (zh) * 2012-07-23 2013-01-30 信利光电(汕尾)有限公司 一种电容式触摸屏的对位结构
CN103294249B (zh) * 2012-08-17 2016-05-1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摸屏的制造方法
CN102968241B (zh) * 2012-12-24 2015-06-10 江西联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遮盖层的ogs玻璃制作方法
CN103914194A (zh) * 2013-01-09 2014-07-09 苏州市健邦触摸屏技术有限公司 一种电容触摸屏的线路制作方法
CN103309505A (zh) * 2013-05-23 2013-09-18 无锡力合光电石墨烯应用研发中心有限公司 用于单片式ogs触摸屏与fpc的对位装置及对准方法
CN203858616U (zh) * 2013-06-05 2014-10-01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输入装置
CN107256102B (zh) * 2013-08-06 2021-04-2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CN103616976B (zh) * 2013-11-29 2017-01-04 深圳市宇顺电子股份有限公司 单片式电容屏及单片式电容屏柔性印刷线路板的对位方法
CN204028864U (zh) * 2014-07-18 2014-12-17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控屏
CN104317451B (zh) * 2014-10-27 2018-11-13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8949A (ja) * 2010-09-24 2012-04-05 Shin Etsu Polymer Co Ltd 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29954B2 (ja) 2020-01-15
JP2018509724A (ja) 2018-04-05
KR20170132272A (ko) 2017-12-01
CN106211796B (zh) 2019-08-02
WO2016154830A1 (zh) 2016-10-06
CN106211796A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8084B2 (en) Optimization of high resolution digitally encoded laser scanners for fine feature marking
JP6728084B2 (ja) タッチパネル用導電性フィルム、表示装置、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及びセンサ本体
CN111338507B (zh) 触摸面板用电极、触摸面板以及显示装置
JP6027633B2 (ja) タッチ入力センサの製造方法及び感光性導電フィルム
WO2012002332A1 (ja) 導電層転写材料、及びタッチパネル
CN106277813A (zh) 一种图案盖板的制作方法
CN104317451B (zh) 触控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4775722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センサを作製するための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CN105093813B (zh) 光掩模板和曝光系统
CN109564488A (zh) 导电性薄膜及触摸面板
TWI440937B (zh) 顯示裝置與其製造方法
JP5263277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センサを作製するための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KR102040074B1 (ko) 터치 스크린 모듈 및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제조 방법
CN103631095A (zh) 一种拼贴法制备单片集成电容触摸屏的动态电子掩模板系统
US8497061B2 (en) Method for replicating production of 3D parallax barrier
CN103874321B (zh) 电路板及其制造方法
KR102178118B1 (ko) 액정 배향용 필름의 제조방법
JP6588992B2 (ja) 導電フィルム積層体
JP5736184B2 (ja) 導電パターン形成基板の製造方法
JP2012098161A (ja) 計測用マーカ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501139A (zh) 透明導電性膜之製造方法、透明導電性膜及輸入裝置
JP5819345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センサを作製するための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CN110673762B (zh) 一种低可见性触控电极及其制作方法
JP2012113370A (ja) 狭額縁タッチ入力シートの製造方法
Fledderus et al. Patterning of organic photovoltaic on R2R processed thin film barriers using IR laser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