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823B1 -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823B1
KR102038823B1 KR1020190002541A KR20190002541A KR102038823B1 KR 102038823 B1 KR102038823 B1 KR 102038823B1 KR 1020190002541 A KR1020190002541 A KR 1020190002541A KR 20190002541 A KR20190002541 A KR 20190002541A KR 102038823 B1 KR102038823 B1 KR 102038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ans
tension
carbon plate
fixe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김남주
(주)다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주, (주)다즈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김남주
Priority to KR1020190002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7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combined with ground-supported vehicles for the transport, handling or placing of such bridges or of section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판의 긴장 후 긴장 유지 및 탄소판을 긴장시키는 실린더 및 이동수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어수단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가설교량의 철거가 유용하며 안전성이 확보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에 의하면, 탄소판의 긴장 후 긴장 유지 및 탄소판을 긴장시키는 실린더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가설교량의 철거가 유용하며 안전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DETACHABLE STRESS CONTROL DEVICE FOR H BEAM}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판의 긴장 후 긴장 유지 및 탄소판을 긴장시키는 실린더 및 이동수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어수단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가설교량의 철거가 유용하며 안전성이 확보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구적인 교량을 건설하거나 기타 공사를 함에 있어 임시적으로 차량이나 통행을 우회시키거나 직접 공사현장을 통행시키려는 의도로 가설교량을 많이 설치한다.
현재 가설되는 가교의 설치방법은 빔을 서로 연결하여 가설벤트를 세우고 그 위에 가설벤트와 일체로 용접하여 가설교량을 설치한 후에 그 위에 복공판 또는 철판을 설치하여 차량 또는 사람이 통행할 수 있게 설치하는 기존 재래방법, 고강도 강봉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 및 트러스를 연속 조립가설하는 방법과 프리 스트레스를 도입한 강재를 결합시켜 조립하는 방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프리스트레스 탄소판과 긴장재를 이용한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추후 유지관리를 위한 탄소판의 긴장과 재긴장 및 긴장장치의 철거 및 재설치를 할 수 없어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가설교량의 철거시 탄소판이 긴장상태에 있어 매우 위험한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588333 B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소판의 긴장 후 긴장 유지 및 탄소판을 긴장시키는 실린더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가설교량의 철거가 유용하며, 실린더의 신축 후에도 고정기어의 걸림에 의해 이동수단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가설교량의 교각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H빔(110)과; 상기 H빔(11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대(120)와; 상기 H빔(110)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밑면에는 활주기어(131)가 형성되는 이동수단(130)과; 상기 고정대(120)와 상기 이동수단(130)의 사이의 H빔(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반력대(140)와; 상기 고정대(1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수단(130)에 결합되는 탄소판(150)과; 상기 탄소판(150)의 일측과 타측을 상기 고정대(120) 및 상기 이동수단(130)에 각각 고정시키는 쐐기(160)와; 상기 이동수단(130)과 상기 반력대(140)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수단(130)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소판(150)을 긴장시키는 실린더(170)와; 상기 이동수단(130)과 상기 H빔(110)의 표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탄소판(150)의 긴장력을 유지하거나 해제시키며, 표면에는 상기 활주기어(131)와 대응하여 맞물리는 고정기어(181)가 형성되는 제어수단(18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기어(181)를 아래로 내리는 가변손잡이(182)의 위치에 따라 상기 활주기어(131)와 상기 고정기어(181)의 결합이 선택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탄소판(150)의 긴장상태가 상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력대(140)의 중앙부에는 상기 탄소판(150)이 가로질러 설치되도록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180)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조작한 상기 가변손잡이(182)가 내려온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올라가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에 의하면, 탄소판의 긴장 후 긴장 유지 및 탄소판을 긴장시키는 실린더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가설교량의 철거가 유용하며 안전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긴장제어장치의 정면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긴장제어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실린더의 작동으로 이동수단이 아래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4는 이동수단이 제어수단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이동수단이 제어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이하, '긴장제어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긴장제어장치의 정면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긴장제어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린더의 작동으로 이동수단이 아래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4는 이동수단이 제어수단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이동수단이 제어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긴장제어장치(100)는 가설교량의 교각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H빔(110)이 구성되고, 상기 H빔(110)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대(12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120) 타측의 H빔(110) 상부에 고정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130)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대(120)와 이동수단(130) 사이의 H빔(110)에 고정되는 반력대(14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1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수단(130)에 결합되는 탄소판(150)이 구성되고, 상기 탄소판(150)을 고정대(120)와 이동수단(130)에 고정시키는 쐐기(160)가 구성되며, 상기 이동수단(130)과 반력대(140) 사이에 장착되어 이동수단(130)을 이동시키면서 탄소판(150)을 긴장시키는 실린더(170)가 구성되고, 상기 이동수단(130)과 반력대(140) 사이의 실린더(170) 내측에 장착되어 탄소판(150)의 긴장력을 유지하거나 해제시키는 제어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대(120)는 상기 H빔(110)에 고정되는 하부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에 안착되어 볼트로 결합되는 상부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결합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홈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홈의 폭은 탄소판(150)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며 이동수단(130)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수단(130)은 상기 H빔(110)에 고정되며 상부에 레일이 형성되는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 레일홈이 결합되어 베이스 상에서 이동하는 하부 이동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이동몸체에 안착되어 볼트로 결합되는 상부 이동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이동몸체와 상부 이동몸체의 결합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홈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홈의 폭은 탄소판(150)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며 고정대(120)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부 이동몸체의 밑면에는 제어수단(180)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면서 고정되는 활주기어(131)가 형성된다.
상기 반력대(140)는 H빔(110)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탄소판(150)이 끼워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장공이 구비된다.
상기 쐐기(160)는 2개 1조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고정대(120)와 이동수단(130)의 고정홈에 결합되어 탄소판(150)의 상,하부에 밀착된다.
상기 제어수단(180)은 상기 H빔(110)의 표면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며, 상기 이동수단(130)의 밑면에 형성된 활주기어(131)와 맞물리는 고정기어(181)가 형성된다. 고정기어(181)는 가변손잡이(182)의 위치에 따라 아래 위로 이동하면서 활주기어(131)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H빔(110) 일측 단부에 고정대(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임의의 위치에 타공을 하여 고정대(120)의 하부몸체를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상부몸체를 안착시켜 하부몸체와 상부몸체가 일체화되도록 볼트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대(120) 타측의 H빔(110) 단부에는 이동수단(130)이 고정된다.
상기 이동수단(130)은 H빔(110)에 레일이 형성된 베이스를 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킨다.
상기 베이스의 레일에 레일홈을 결합하여 하부 이동몸체가 베이스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하부 이동몸체 상에 상부 이동몸체를 안착시킨 후 볼트로 고정하여 하부 이동몸체와 상부 이동몸체를 일체화시킨다.
이때, 하부 이동몸체와 상부 이동몸체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의 경사면은 고정대(120)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120)와 이동수단(130) 사이의 H빔(110) 상에는 반력대(140)가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상기 반력대(140)의 중앙부에는 탄소판(150)이 가로질러 설치되도록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의 폭은 탄소판(150)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20)와 이동수단(130) 간에는 탄소판(150)이 고정되며, 상기 탄소판(150)의 일단은 고정대(120)의 고정홈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탄소판(150)의 타단은 이동수단(130)의 고정홈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탄소판(150)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대(120)의 고정홈에 2개 1조로 형성된 쐐기(160)를 삽입하되, 어느 하나의 쐐기(160)는 탄소판(150)의 하부에 삽입하고 다른 하나의 쐐기(160)는 탄소판(150)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수단(130)과 반력대(140) 사이에는 탄소판(150)을 긴장시키는 실린더(170)가 장착되어지며, 상기 실린더(170)의 일측 단부는 반력대(140)에 형성된 장착공에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170)의 로드측은 이동수단(130)의 장착공이 고정된다.
상기 이동수단(130)과 H빔(110) 사이에는 제어수단(180)이 고정된다. 제어수단(180)에 의해 이동수단(130)은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방향(탄소판(150)의 긴장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여서 고정된다. 제어수단(180)이 이동수단(130)과 맞물리는 구조를 해제하지 않으면 이동수단(130)은 아래쪽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탄소판(150)과 H빔(110)의 긴장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긴장제어장치(100)가 설치되면 상기 실린더(170)를 작동시킨다.
상기 실린더(170)의 로드가 이동수단(130)을 일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이동수단(130)이 이동됨에 따라 고정대(120)와 이동수단(130)에 장착된 쐐기(160)가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홈 내측으로 밀착됨과 동시에 탄소판(150)이 긴장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수단(130)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탄소판(150)이 긴장상태가 되면, 이동수단(130)이 위쪽으로 올라가도록 하는 복원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동수단(130)에 형성된 활주기어(131)와, 제어수단(180)에 형성된 고정기어(181)가 서로 맞물리면서 이동수단(130)이 다시 위쪽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활주기어(131)는 아래쪽 방향으로는 고정기어(181)를 미끄러져 넘어갈 수 있지만, 위쪽으로는 수직면에 걸려서 올라가지 못하는 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동수단(130)이 다시 위쪽으로 올라가지 못하면서 탄소판(150)과 H빔(110)의 긴장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탄소판(150)이 긴장상태가 되면 이동수단(130)과 반력대(140)에 장착된 실린더(170)를 탈거시키고, 상기 실린더(170)가 탈거되면 상기 긴장제어장치(100)의 상부에 가설교량을 안착시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긴장제어장치(100)의 철거시에는 이동수단(130)과 반력대(140) 사이에 실린더(170)를 장착시킨 후 상기 실린더(170)를 작동하여 활주기어(131)와 고정기어(181)의 분리시에 이동수단(130)이 급격하게 복귀되지 않도록 약간의 압력을 가해 탄소판(150)을 긴장시킨다.
그리고 가변손잡이(182)를 움직여서 고정기어(181)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한다. 그러면 활주기어(131)와 고정기어(181)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이동수단(130)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이동수단(130)과 제어수단(180)에 고정된 기어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실린더(170)가 압축되면서 탄소판(150)의 긴장상태가 상실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수단(130)과 반력대(140)에 고정된 실린더(170)를 탈거시킨 후, 탄소판(150)을 제거하고, 고정대(120)와 이동수단(130) 및 반력대(140)를 H빔(110)으로부터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제어수단(180)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조작한 가변손잡이(182)가 내려온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올라가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가변손잡이(182)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기어(181)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올라가면서 활주기어(131)와 다시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자는 이동수단(1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긴장제어장치(100)의 사용이 끝난 후에는 H빔(110)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70)의 신축 동작에 따라 이동수단(130)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종래기술과 같이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자재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탈부착이 용이해지면서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긴장제어장치 110: H빔
120: 고정대 130: 이동수단
131: 활주기어 140: 반력대
150: 탄소판 160: 쐐기
170: 실린더 180: 제어수단
181: 고정기어 182: 가변손잡이

Claims (3)

  1. 가설교량의 교각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H빔(110)과;
    상기 H빔(11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대(120)와;
    상기 H빔(110)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밑면에는 활주기어(131)가 형성되는 이동수단(130)과;
    상기 고정대(120)와 상기 이동수단(130)의 사이의 H빔(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반력대(140)와;
    상기 고정대(1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수단(130)에 결합되는 탄소판(150)과;
    상기 탄소판(150)의 일측과 타측을 상기 고정대(120) 및 상기 이동수단(130)에 각각 고정시키는 쐐기(160)와;
    상기 이동수단(130)과 상기 반력대(140)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수단(130)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소판(150)을 긴장시키는 실린더(170)와;
    상기 이동수단(130)과 상기 H빔(110)의 표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탄소판(150)의 긴장력을 유지하거나 해제시키며, 표면에는 상기 활주기어(131)와 대응하여 맞물리는 고정기어(181)가 형성되는 제어수단(180);을 포함하며,
    상기 반력대(140)의 중앙부에는 상기 탄소판(150)이 가로질러 설치되도록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기어(181)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아래로 내리거나 위로 올리는 가변손잡이(182)의 위치에 따라 상기 활주기어(131)와 상기 고정기어(181)의 결합이 선택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탄소판(150)의 긴장상태가 상실되며,
    상기 제어수단(180)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조작한 상기 가변손잡이(182)를 놓으면, 상기 가변손잡이(182)가 내려온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올라가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가변손잡이(182)의 이동과 동시에 상기 고정기어(181)가 위로 올라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2541A 2019-01-09 2019-01-09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 KR102038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41A KR102038823B1 (ko) 2019-01-09 2019-01-09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541A KR102038823B1 (ko) 2019-01-09 2019-01-09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823B1 true KR102038823B1 (ko) 2019-10-31

Family

ID=6842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541A KR102038823B1 (ko) 2019-01-09 2019-01-09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8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333B1 (ko) 2004-11-23 2006-06-14 (주)엠프로 외부 프리스트레싱용 섬유판 긴장장치
KR20170097873A (ko) * 2016-02-19 2017-08-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판을 이용한 긴장 및 탈부착이 가능한 가설교량용 긴장장치
KR101812729B1 (ko) * 2017-05-15 2017-12-27 케이제이건설 주식회사 교량 인상 시스템 및 인상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333B1 (ko) 2004-11-23 2006-06-14 (주)엠프로 외부 프리스트레싱용 섬유판 긴장장치
KR20170097873A (ko) * 2016-02-19 2017-08-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판을 이용한 긴장 및 탈부착이 가능한 가설교량용 긴장장치
KR101812729B1 (ko) * 2017-05-15 2017-12-27 케이제이건설 주식회사 교량 인상 시스템 및 인상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392B1 (ko) 분할형 교량받침
CN112523110B (zh) 便于移动的悬浇施工挂篮悬吊系统
KR10203882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h빔용 긴장제어장치
KR100841264B1 (ko) 볼트 교체가 가능한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CN108894108B (zh) 一种桥梁线形多维调整装置
KR10073234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KR100859448B1 (ko)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에서의 가이드레일위치조절장치
KR101897099B1 (ko) 무인상 교량받침 시공방법
JP2019124044A (ja) 橋梁用支承の交換方法、および橋梁用支承構造
KR101783468B1 (ko) 탄소판을 이용한 긴장 및 탈부착이 가능한 가설교량용 긴장장치
KR101193470B1 (ko) 교량받침 및 교량의 시공방법
CN115354582B (zh) 一种预制装配式分段盖梁的安装支架及其使用方法
CN100503068C (zh) 车身矫直设备紧固件
KR0163629B1 (ko) 교량상판 해체방법 및 장치
US4156517A (en) Beam form
JP4285685B2 (ja) 既設支承装置の補修構造および補修工法
KR101775131B1 (ko) 긴장/재긴장 및 탈부착이 가능한 탄소판 긴장장치
US3050283A (en) Apparatus for depressing cables
JP3702263B2 (ja) 橋梁架け替え方法
KR100530026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및 이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
RU2114046C1 (ru) Опора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ов
JP3712702B2 (ja) 架設ジャッキ
KR20040076348A (ko) 아이형강빔의 인상과 낙교방지를 위한 교좌장치 및 그설치방법
KR200333740Y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CN218175611U (zh) 顶升装置及桥梁顶推作业支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