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026B1 -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및 이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및 이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026B1
KR100530026B1 KR10-2003-0030232A KR20030030232A KR100530026B1 KR 100530026 B1 KR100530026 B1 KR 100530026B1 KR 20030030232 A KR20030030232 A KR 20030030232A KR 100530026 B1 KR100530026 B1 KR 10053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learance
upper structure
support
hydraulic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783A (ko
Inventor
노윤근
조한진
Original Assignee
노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윤근 filed Critical 노윤근
Priority to KR10-2003-003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0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의 신축 및 거동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교량 상부구조물이 교좌장치의 불량,수해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으로 인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한쪽으로만 이동하여 유간이 없어지거나 좁아져서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 파괴 및 교각 또는 교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획된 유간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각 또는 교대에 교량 인상지지용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에 인상 유압잭을 설치하고, 상기 인상 유압잭과 교량 상부 구조물의 하부 사이에 슬라이딩 받침부를 설치하고 교량 상부 구조물의 유간이 없거나 협소한 일측 단부에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설치하면서 횡방향 이동 유압잭을 설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의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 장치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 교좌장치의 고정장치를 해제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에 유압을 작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인상하고,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을 이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황방향으로 일정량 이동하며는 인상 유압잭의 상부가 슬라이딩 받침대 하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받침대가 교량 상부 구조물과 같이 이동하여 일정한 유간이 확보되게 한 후에 교좌장치를 보수하거나 교체를 하고 상기 인상 유압잭에 유압을 제거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교좌장치위에 안착시킨 후에 상기 유간 확보장치를 철거하면 유간확보를 위한 시공이 종료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Laying gap insurance apparatus for insuring laying gap in end side of the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nd laying gap insurance coustruc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콘크리트와 강재의 복합구조체인 교량 상부 구조물이 기온의 변화 및 교량에서 진행하는 차량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신축작용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거동함에 있어, 교량 상부 구조물과 교각 또는 교대가 접한 부분에 고정단과 가동단으로서 역할을 하는 교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의 거동을 통제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의 양측 단부에는 계산된 신축량 및 거동량 이상의 가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공간 즉 유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이 교좌장치의 불량, 수해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으로 인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이동하여 유간이 없어지거나 좁아져서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 파괴 및 교각 또는 교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유간확보장치를 이용하여 유간을 확보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각 또는 교대에 교량 인상지지용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에 인상 유압잭을 설치하고, 상기 인상 유압잭과 교량 상부 구조물의 하부 사이에 슬라이딩 받침부를 설치하고 교량 상부 구조물의 유간이 없거나 협소한 일측 단부에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설치하면서 횡방향 이동 유압잭을 설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의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 장치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 교좌장치의 고정장치를 해제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에 유압을 작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인상하고,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을 이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황방향으로 일정량 이동하며는 인상 유압잭의 상부가 슬라이딩 받침대 하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받침대가 교량 상부 구조물과 같이 이동하여 일정한 유간이 확보되게 한 후에 교좌장치를 보수하거나 교체를 하고 상기 인상 유압잭에 유압을 제거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교좌장치위에 안착시킨 후에 상기 유간 확보장치를 철거하면 유간확보를 위한 시공이 종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된 교량 상부구조물이 거동할 수 있는 유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교각 또는 교대에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을 설치하고 인상 유압잭을 설치하면서 교량 상부 구조물의 하면과 인상유압잭의 사이에 슬라이딩 받침대를 설치한 후에 유간이 감축된 측의 교량 상부 구조물 단부에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설치하고 횡방향 이동 유압잭을 상기 분리형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에 설치하여 유간확보장치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 상기 유간확보장치를 이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의 단부를 일정량 이동하여 유간을 확보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온도 및 외부 충격에 의하여 일정 거리 이동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의 단부 파괴 및 교각 또는 교대의 파괴를 방지하도록 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증대시켜 교량을 신설하는 비용과 노후된 교량의 제거 및 재가설등에 소요되는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교량 유지관리에 필요한 유간확보장치를 이용한 유간확보를 위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현재 국내에 설치된 다수의 교량에서 교좌장치 설치불량 및 시공불량 등의 원인으로 교량 상부구조물이 일측 단부쪽으로만 거동하여 고정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의 단부 파괴나 교각 또는 교대가 파손되는 심각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교좌장치에 가해지는 전단력이 일측에만 집중되어 교좌장치의 파손 및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교량의 유지관리비용 증가와 재가설 등으로 인한 예산의 낭비요소가 있으며, 교량 상부구조물의 뼈대 역할을 수행하는 주형이 손상되므로서 교량을 이용하는 많은 차량 및 통행자에게 재해등의 위험을 초래할 요소를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요인을 해소하고자 현재 국내에서 시공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유간확보를 위한 보수보강 기술로는 교각 또는 교대 구조물의 콘크리트 피복면을 절단하여 제거하여 일정한 간격의 유간을 확보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시공방법이 시도되는 정도로서 근본적인 손상원인의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대처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교량 상부구조물의 유간부족으로 인한 단부파괴현상 및 부족한 유간을 확보하기 위한 시공방법의 기술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과 시급히 요청되는 유간확보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교각 또는 교대에 설치된 유간확보장치를 이용하여 요구되는 유간을 확보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공간 부족으로 인하여 단부파괴 및 교각, 교대등의 구조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유간확보를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유간을 확보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의 신축 및 거동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교량 상부구조물이 교좌장치의 불량,수해 또는 외부로부터 충격으로 인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한쪽으로만 이동하여 유간이 없어지거나 좁아져서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 파괴 및 교각 또는 교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획된 유간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각 또는 교대(2)에 교량 인상지지용 브라켓(40)을 설치하고 상기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40)에 인상 유압잭(70)을 설치하고, 상기 인상 유압잭(70)과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부 사이에 슬라이딩 받침부(50)를 설치하고 교량 상부 구조물(1)의 유간이 없거나 협소한 일측 단부에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0)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30)을 설치하면서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설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의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 장치(10)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 교좌장치(3)의 고정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인상 유압잭(70)에 유압을 작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인상하며,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이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을 황방향으로 일정량 이동하면 인상 유압잭(70)의 상부가 슬라이딩 받침부(50)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받침부(55) 하부에 삽입되어 상부 받침부(50)가 교량 상부 구조물(1)과 같이 이동하여 일정한 유간이 확보되게 한 후에 교좌장치(3)를 보수하거나 교체를 하고 상기 인상 유압잭(70)에 유압을 제거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을 교좌장치(3)위에 안착시킨 후에 상기 유간 확보장치(10)를 철거하면 유간확보를 위한 시공이 종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 받침부(54)와 하부 받침부(55)가 분리되고, 하부 받침부(55)의 하부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상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도록 제작된 슬라이딩 받침부(50)를 설치한다. 상기 상하부 받침부(54,55)가 접하는 면에는 교량 상부 구조물(1)과 일체로 거동하는 상부 받침부(54)가 이동시 슬라이딩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하부 받침부(54,55)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슬라이딩 강성체(53)를 부착하여 교량 상부구조물(1)이 원활하게 위치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부 받침부(54)의 양측 단부에는 유간 조절지지턱(51)을 설치하여 계획된 유간양만큼 교량 상부 구조물(1)과 일체로 된 상부 받침부(54)가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또한 교량 상부 구조물(1)과 상부 받침부(54)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상부 받침부(54) 상부면에 고무패드(57)를 부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받침부(50)가 이동할 때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주기위하여 부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수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이동하거나 또는 불량한 교좌장치에 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일측으로만 거동하여 계획된 유간에 미치지 못하여 유간확보장치를 이용하여 유간을 확보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대 또는 교각(2)의 교좌장치(3)가 설치된 면에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4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40)의 받침대(41)에 인상 유압잭(7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부면과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상단 사이에 슬라이딩 받침부(5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0,30)을 설치하면서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교좌장치(3)의 고정장치를 해체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이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인상 유압잭(70)에 유압을 작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일정량 상향 인상하는 단계;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을 작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일정량 계획된 유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이동하는 단계;
상기 교좌장치(3)를 보수하거나 교체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에 유압을 해제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을 교좌장치(3) 상에 안착시켜 고정하는 단계;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을 해제하고 상기 분리형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0,30)을 철거하면서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40)과 인상 유압잭(70) 및 슬라이딩 받침부(50)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교좌장치(3)등에 방청처리를 하면서 주변을 정리하여 유간확보를 위한 시공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시공방법에 교각에 교량 상부 구조물(1)이 연이어서 설치된 경우에는 교좌장치(3)위에 설치된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0,30)을 설치하면서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거치하고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의 일측에 접하게 반력대(90)를 양측에 설치하는 단계가 반영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포함한 유간확보장치를 교량 상부 구조물 및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와 평면도로서, 교대(2)에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와 측벽(4)사이에 간격이 없을 경우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교좌장치(3)가 설치된 면에 걸쳐져 고정되게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40)을 설치하고 받침대(41) 위에 인상 유압잭(70)을 설치하면서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받침부(50)의 하부 받침부(55)의 하부에 형성된 인상 유압잭 삽입구(52)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하고, 도 6의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을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교량 상부 구조물(1) 단부의 양측부에 설치하면서 공간부(34)내에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설치하고, 상기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에 형성된 지지강봉 삽입구(25)에 도 7의 지지강봉(80)을 교량 상부 구조물(1)에 기히 설치된 인양홀을 관통하여 반대측에 설치된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의 지지강봉 삽입구(25)에 관통하여 양측에 설치된 상기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을 교량 상부 구조물(1)의 양측에 고정시켜 분리형 횡방향 이동지지 브라켓(20)을 설치한 후에 교좌장치(3)의 고정장치를 풀어놓아 교량 상부 구조물(1)이 거동할 수 있게 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에 유압을 작용하여 일정량 만큼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상향 인상한 후에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 양측에 설치된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0)에 설치된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을 작용하여 상기 교대의 측벽(4)을 반력대로 하여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이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을 계획된 유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이동시킨 후에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을 해제하고 교좌장치(3)를 보수 또는 교체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유압을 서서히 해제하여 교좌장치(3)에 안착시킨 후에 상기 교좌장치(3)와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일체로할 수 있게 고정정착하고 방청처리를 하면서 주위를 정리하면 교량 상부 구조물의 유간을 조정하면서 교량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와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포함한 유간확보장치를 교량 상부 구조물 및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와 평면도로서, 교대(2)에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와 측벽(4)사이에 간격이 어느정도 확보되어 있으나 교량 상부 구조물(1)이 이동하기 위한 계획된 간격에 미달하는 반면에 상기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30)은 설치가 가능한 공간이 확보된 경우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교좌장치(3)가 설치된 면에 걸쳐져 고정되게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40)을 설치하고 받침대(41) 위에 인상 유압잭(70)을 설치하면서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받침부(50)의 하부 받침부(55)의 하부에 형성된 인상 유압잭 삽입구(52)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하고, 도 8의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30)의 연결부(32)와 양측의 내측벽(31)에 의하여 형성된 삽입부를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교량 상부 구조물(1) 단부에 끼워지게 설치하면서 공간부(34)내에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설치하고, 상기 교좌장치(3)의 고정장치를 풀어놓아 교량 상부 구조물(1)이 거동할 수 있게 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에 유압을 작용하여 일정량 만큼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상향 인상한 후에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 양측에 설치된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30)에 설치된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을 작용하여 상기 교대의 측벽(4)을 반력대로 하여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이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을 계획된 유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이동시킨 후에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을 해제하고 교좌장치(3)를 보수 또는 교체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유압을 서서히 해제하여 교좌장치(3)에 안착시킨 후에 상기 교좌장치(3)와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일체로할 수 있게 고정정착하고 방청처리를 하면서 주위를 정리하면 교량 상부 구조물의 유간을 조정하면서 교량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받침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교대 또는 교각(2)에 설치된 분리형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0,30)을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에 설치하고 교대 또는 교각(2)에 설치된 교량 인상 지지브라켓(40)의 받침대(41)위에 인상 유압잭(70)을 설치하고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면과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받침부(50)를 설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딩 받침부(50)의 상부 받침부(54)의 상부와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상부 받침부(54)의 상부면에 고무패드(57)를 접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이 거동할 때 교량 상부구조물(1)의 하면과 상부 받침부(54)의 상부면이 고무패드(57)에 의해 마찰력을 갖게하여 교량상부구조물(1)과 상부 받침부(54)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 받침부(54)의 양측단부측에 유간 조절지지턱(51)을 설치하여 하부 받침부(55)의 홈(58)에 상부 받침부(54)의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교량 상부 구조물(1)과 상부 받침부(54)가 이동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이 교각 또는 교대(2)에서 거동할 수 있는 계획된 유간을 갖도록 거동하면서 계획된 유간양을 확보할 수 있게 상기 유간 조절 지지턱(51)에 상기 하부 받침부(55)의 양측이 접촉하면 교량 상부 구조물(1)의 이동을 멈추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부 받침부(55)의 하부에 인상 유압잭(70)의 상부 면이 삽입될 수 있게 인상 유압잭 삽입구(52)를 형성하여 인상 유압잭(70)의 상부가 삽입고정되도록 하여 하부 받침부(55)가 인상 유압잭(7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1)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부 받침부(54)가 교량 상부 구조물(1)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후술하는 도 10과 11에서 상부 받침부(54)와 하부 받침부(55)가 서로 접하는 양측부분에 슬라이딩 강성체(53)를 삽입설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이 이동할 때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상세히 보여주는 세부도로서, 교대(2)에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1)이 신축등에 의하여 거동할 수 있는 유간이 없을 경우에 상기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0)을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하는데 이때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은 전방지지대(22)와 후방지지대(24)사이의 세방향의 면이 막혀 있고 일측이 개방된 통체로 구성하여 공간부(34)를 형성하되, 통체의 대체로 중앙부분을 분리하여 전방지지대(22)와 후방지지대(24)를 지지하고 있는 통체가 분리되도록 하되 전방지지대(22)를 지지하고 있는 상하부측 벽체와 후방지지대(24)를 지지하고 있는 상하부측 벽체를 서로 연결하되 가동이 가능하게 하는 유간 이동 조절부(26)를 설치하고 상기 유간 이동 조절부(26)에는 일정길이의 장공(27)을 복수개 형성하고 장공(27)내에 돌출핀(28)을 설치하여 상기 공간부(34)내에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설치하여 횡방향으로 교량 상부 구조물(1)이 이동할 때 장공(27)의 일정한 길이내에서 움직여 돌출핀(28)에 의해 정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장공(27)의 길이는 계획된 유간의 간격이다. 또한 후방지지대(24)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수직격벽(33)과 후방지지대(2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수평격벽(36)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의 중앙부를 지지강봉 삽입구(25)로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공간부(34)내에 설치된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의하여 전후방 지지대(22,24)에 힘이 작용할 때 상기 단위 횡방향 이동지지브라켓(2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이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강봉 삽입구(25)에 도 7에서 설명하는 지지강봉(80)을 관통삽입하여 고정결합시켜 안정되게 교량 상부 구조물(1)을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지지강봉(80)을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에 관통 삽입할 때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최초에 제작하여 이동을 위하여 형성된 인양홀을 이용하며, 교량 상부 구조물(1)에 상기 인양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을 단부의 양측에 앵커 또는 용접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교량 상부 구조물 단부에서 지지하는 지지강봉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지지강봉(80)의 중앙부에 일정길이의 반력부(81)를 형성하고 양측에는 반력부(81)의 직경보다 다소작게 가공을 하면서 너얼링부를 형성하여 상기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을 서로 관통 고정할 때 상기 삽입부(82)에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고정할 때 마찰력을 보다많이 도입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상세히 보여주는 세부도로서, "??"자 형으로 제작하되 연결부(32)의 양측에 내측벽(31)을 형성하고 내측벽(31) 외측에 일정한 부분에 수평 반력벽(35)을 설치하고 공간부(34)가 형성되도록 연결부(32)쪽의 내측벽(31)에 수직격벽(33)을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수평 반력벽(35)의 하부에 수평격벽(36)을 설치하고 일정한 간격을두고 복수개이상 수직격벽(33)을 설치하여 상기 공간부(34)내에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설치하여 유압력이 작용할 때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3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30)은 교대(2)에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1)이 거동하는데 요구되는 유간으로서는 비교적 좁으나 상기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30)을 설치할 정도의 간격은 있는 경우에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를 감싸듯 연결부(32)와 양측에 설치된 내측벽(31)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내에 단부가 삽입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9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받침부의 조립된 상태와 각각의 구성부품의 상세도 및 측면도, 저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는 상부 받침부(54)와 하부 받침부(55)가 서로 접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부 면과 인상 유압잭(7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조립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10과 도 11은 상기 상하부 받침부(54,55)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부 받침부(54)의 상면은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부면과 접하는 것으로서 마찰력을 이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과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고무패드(57)를 부착하고, 상부 받침부(54)의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 받침부(55)의 중앙에 형성된 홈(58)에 끼워질 수 있게 상부 받침부(54) 하부면의 중앙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의 양측면에 교량 상부 구조물(1)이 이동하여 계획된 유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게 유간조절 지지턱(51)이 양측에 형성되도록하되 상기 상부 받침부(54)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부 받침부(55)에 형성된 홈(58)에는 슬라이딩 강성체(53)가 각각 설치되어 교량 상부 구조물(1)의 이동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2와 도 13은 하부 받침부(55)의 측면도와 저면도로서 하부에 형성된 인상 유압잭 삽입구(52)에 인상 유압잭(60)의 상부가 삽입되어 교량 상부 구조물(1)이 이동할 때 상기 상부 받침부(54)의 돌출부가 상기 하부 받침부(55)에 형성된 홈(58)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강성체(53)에의해 이동할 때 하부 받침부(55)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이동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이 거동할 수 있는 일정한 간격인 유간이 형성되면 상기 유간 조절지지턱(51)에 하부 받침부(55)의 양측면이 접하게되어 더 이상 진행을 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유간 조절지지턱(51)은 과도하게 상부 받침부(54)가 이동하지 못하게 하면서 유간 조절지지턱(51)사이의 간격을 계획된 유간양과 같게하여 상부 받침부(54)가 교량 상부 구조물(1)과 일정량을 이동하여 상기 유간 지지조절턱(51)에 하부 받침부(55)가 접하면 이것이 바로 계획된 유간량인 간격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유간 확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교각에 교량 상부 구조물(1)이 연이어서 설치되어 교량 상부 구조물(1)과의 사이에 유간이 없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교좌장치(3)가 설치된 교각면에 걸쳐져 양측에 고정되게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40)을 설치하고 받침대(41) 위에 인상 유압잭(70)을 설치하면서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받침부(50)의 하부 받침부(55)의 하부에 형성된 인상 유압잭 삽입구(52)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하고, 도 6의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을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교량 상부 구조물(1) 단부의 양측부에 설치하면서 공간부(34)내에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설치하고, 상기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에 형성된 지지강봉 삽입구(52)에 도 7의 지지강봉(80)을 교량 상부 구조물(1)에 기히 설치된 인양홀을 관통하여 반대측에 설치된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의 지지강봉 삽입구(25)에 관통하여 양측에 설치된 상기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1)을 교량 상부 구조물(1)의 양측에 고정시켜 분리형 횡방향 이동지지 브라켓(20)을 설치한 후에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이 작용하면 반력을 받을 수 있게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의 일측면에 반력대(90)를 설치하고 반력대(90)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지지대(92)에 형성된 앵커홈(93)을 이용하여 교각 상부면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40)을 교각의 양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 철판에 볼트로 고정시키고 난 후에 교좌장치(3)의 고정장치를 풀어놓아 교량 상부 구조물(1)이 거동할 수 있게 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에 유압을 작용하여 일정량 만큼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상향 인상한 후에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 양측에 설치된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20)에 설치된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을 작용하여 상기 교각에 설치된 반력대(90)를 이용하여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이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을 계획된 유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이동시킨 후에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을 해제하고 교좌장치(3)를 보수 또는 교체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유압을 서서히 해제하여 교좌장치(3)에 안착시킨 후에 상기 교좌장치(3)와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일체로 할 수 있게 고정정착하고 방청처리를 하면서 주위를 정리하면 교량 상부 구조물의 유간을 조정하면서 교량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교각에 연이어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 사이의 간격이 어느정도 확보되어 있으나 교량 상부 구조물(1)이 이동하기 위한 계획된 간격에 미달하는 반면에 상기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30)은 설치가 가능한 공간이 확보된 경우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교좌장치(3)가 설치된 면에 걸쳐져 고정되게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40)을 설치하고 받침대(41) 위에 인상 유압잭(70)을 설치하면서 교량 상부 구조물(1)의 하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받침부(50)의 하부 받침부(55)의 하부에 형성된 인상 유압잭 삽입구(52)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하고, 도 8의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30)의 연결부(32)와 양측의 내측벽(31)에 의하여 형성된 삽입부를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교량 상부 구조물(1) 단부에 끼워지게 설치하면서 공간부(34)내에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을 설치하고, 상기 교좌장치(3)의 고정장치를 풀어놓아 교량 상부 구조물(1)이 거동할 수 있게 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에 유압을 작용하여 일정량 만큼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상향 인상한 후에 교량 상부 구조물(1)의 단부 양측에 설치된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30)에 설치된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을 작용하여 상기 교각의 상부에 설치된 반력대(90)를 이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1)을 계획된 유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이동시킨 후에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유압을 해제하고 교좌장치(3)를 보수 또는 교체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70)의 유압을 서서히 해제하여 교좌장치(3)에 안착시킨 후에 상기 교좌장치(3)와 교량 상부 구조물(1)을 일체로할 수 있게 고정정착하고 방청처리를 하면서 주위를 정리하면 교량 상부 구조물(1)의 유간을 조정하면서 교량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도 15는 도 14의 반력대를 상세히 보여주는 세부도로서, 횡방향 이동유압잭(60)이 접하여 반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수직반력부(94)의 하부에 다수개의 앵커홈(93)이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수평지지대(92)를 설치하여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제작하고 이들사이에 복수개의 격벽(91)을 부착설치한 것이다. 상기 반력대(90)는 교각의 교좌장치(3)가 설치된 면에 앵커에 의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교각의 양측에 설치된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40)을 교각에서 서로 연결지지하고 있는 철판에 볼트결합 또는 용접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 반력부(94)가 횡방향 이동 유압잭(60)에 접하게되어 반력이 발생되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은 유간확보장치를 교각 또는 교대에 설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온도등에 의한 신축거동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한 이동과 교좌장치의 불량에 의한 교량 상부 구조물의 편심이동에 의하여 없어지거나 축소된 유간을 확보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노후 또는 파손된 교량을 철거하여 교량을 재가설하는데 소요되는 철거비와 신설공사비 및 교좌장치등 교량을 유지보수관리하는데 소요되는 관리비용과 관리인원의 비용으로 인하여 낭비되는 예산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해 및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손상을 입는 교량에 상기 시공방법을 활용하여 교량을 관리하면 교량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공사비의 절감과 관리비 및 관리노력을 해소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포함한 유간확보장치를 교량 상부 구조물 및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포함한 유간확보장치를 교량 상부 구조물 및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교량 상부 구조물 단부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교량 상부 구조물 단부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받침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상세히 보여주는 세부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교량 상부 구조물 단부에서 지지하는 지지강봉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상세히 보여주는 세부도.
도 9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받침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상부 받침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상세도.
도 11은 도 9의 하부 받침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상세도.
도 12는 도 11의 하부 받침부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하부 받침부의 저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유간 확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반력대를 상세히 보여주는 세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교량 상부 구조물 2...교대 또는 교각
3... 교좌장치 4...측벽
10... 유간확보 장치 20...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
21...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 22...전방지지대
23... 내측면 24...후방지지대
25... 지지강봉 삽입구 26...유간 이동 조절부
27... 장공 28...돌출핀
30...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 31...내측벽
32... 연결부 33... 수직격벽
34... 공간부 35... 수평 반력벽
36... 수평격벽
40...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 41... 받침대
50... 슬라이딩 받침부 51... 유간 조절지지턱
52... 인상 유압잭 삽입구 53... 슬라이딩 강성체
54... 상부 받침부 55... 하부 받침부
56... 수평부 57... 고무패드
58... 홈 59... 돌출부
60... 횡방향 이동 유압잭
70... 인상 유압잭
80... 지지강봉 81... 반력부
82... 삽입부
90... 반력대
91... 격벽 92... 수평지지대
93... 앵커홈 94... 수직반력부
95... 지지철판 96... 고강도 볼트

Claims (13)

  1. 교각 또는 교대에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의 단부에 분리형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설치하면서 횡방향 이동 유압잭을 가설하고 교대 또는 교각에 교량 인상 지지용브라켓을 설치하면서 인상 유압잭을 설치하고, 인상 유압잭과 교량 상부 구조물사이에 슬라이딩 받침부를 설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거동할 수 있는 유간을 확보하는 유간확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은 교량 상부 구조물과 교대의 측벽사이의 간격이 있으나 교량 상부 구조물이 거동하기 위한 계획된 유간량에는 못미치나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이 있는 경우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ㄷ"자 형으로 제작하되 연결부의 양측에 내측벽을 형성하고 내측벽 외측에 일정한 부분에 수평 반력벽을 설치하고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연결부쪽의 내측벽에 수직격벽을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수평 반력벽의 하부에 수평격벽을 설치하고 일정한 간격을두고 복수개이상 수직격벽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은 교대에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이 신축등에 의하여 거동할 수 있는 유간이 없을 경우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의 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은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 사이의 세방향의 면이 막혀 있고 일측이 개방된 통체로 구성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되, 통체의 대체로 중앙부분을 분리하여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를 지지하고 있는 통체가 분리되도록 하되 전방지지대를 지지하고 있는 상하부측 벽체와 후방지지대를 지지하고 있는 상하부측 벽체를 서로 연결하되 가동이 가능하게 하는 유간 이동 조절부를 설치하고 상기 유간 이동 조절부에는 일정길이의 장공을 복수개 형성하고 장공내에 돌출핀을 설치하고 후방지지대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수직격벽과 후방지지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수평격벽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의 중앙부를 지지강봉을 삽입할 수 있는 지지강봉 삽입구로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간 이동 조절부는 분리된 통체의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를 지지하고 있는 상하부측 벽체와 후방지지대를 지지하고 있는 상하부측 벽체를 서로 연결하되 가동이 가능하게 하는 일정길이의 장공을 복수개 형성하고 장공내에 돌출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강봉은 중앙부에 일정길이의 반력부를 형성하고 양측에는 반력부의 직경보다 다소작게 가공을 하면서 너얼링부를 형성하여 상기 단위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서로 관통하여 상기 삽입부에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고정할 때 마찰력을 보다많이 도입하여 정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받침부는 상부 받침부와 하부 받침부가 서로 접하여 구성되되 교량 상부 구조물의 하부 면과 인상 유압잭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는 상부 받침부의 상면은 고무패드를 부착하고, 상부 받침부의 하부면의 중앙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돌출부에는 슬라이딩 강성체를 설치하고 돌출부의 양측면에 유간조절 지지턱이 형성되어 교량 상부 구조물의 이동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부는 하부 받침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홈에는 슬라이딩 강성체가 설치되고 하부에 형성된 인상 유압잭 삽입구에 인상 유압잭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9. 교각에 연이어서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의 단부에 분리형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설치하면서 횡방향 이동 유압잭을 가설하고 횡방향 이동 유압잭의 일측에 반력대를 설치하고 교대 또는 교각에 교량 인상 지지용브라켓을 설치하면서 인상 유압잭을 설치하고, 인상 유압잭과 교량 상부 구조물사이에 슬라이딩 받침부를 설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거동할 수 있는 유간을 확보하는 유간확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은 교각에 연이어서 설치된 교량 상부 구조물의 사이가 간격이 없거나 있더라도 계획된 유간보다 작은 크기의 간격을 갖는 곳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대는 횡방향 이동유압잭이 접하여 반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수직반력부의 하부에 다수개의 앵커홈이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수평지지대를 설치하여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제작하고 수직 반력부와 수평지지대 사이에 복수개의 격벽을 부착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12. 수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이동하거나 또는 불량한 교좌장치에 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일측으로만 거동하여 계획된 유간에 미치지 못하여 유간확보장치를 이용하여 유간을 확보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대 또는 교각의 교좌장치가 설치된 면에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의 받침대에 인상 유압잭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과 상기 인상 유압잭의 상단 사이에 슬라이딩 받침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의 단부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설치하면서 횡방향 이동 유압잭을 거치하는 단계;
    상기 교좌장치의 고정장치를 해체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인상 유압잭에 유압을 작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일정량 상향 인상하는 단계;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에 유압을 작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일정량 계획된 유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이동하는 단계;
    상기 교좌장치를 보수하거나 교체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에 유압을 해제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교좌장치 상에 안착시켜 고정하는 단계;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에 유압을 해제하고 상기 분리형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철거하면서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과 인상 유압잭 및 슬라이딩 받침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교좌장치등에 방청처리를 하면서 주변을 정리하여 유간확보를 위한 시공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
  13. 수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이동하거나 또는 불량한 교좌장치에 의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일측으로만 거동하여 계획된 유간에 미치지 못하여 유간확보장치를 이용하여 유간을 확보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각에 교량 상부 구조물이 연이어서 설치된 것으로서 교좌장치가 설치된 면에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의 받침대에 인상 유압잭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과 상기 인상 유압잭의 상단 사이에 슬라이딩 받침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의 단부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설치하면서 횡방향 이동 유압잭을 거치하고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의 일측에 접하게 반력대를 양측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좌장치의 고정장치를 해체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이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인상 유압잭에 유압을 작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일정량 상향 인상하는 단계;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에 유압을 작용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일정량 계획된 유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이동하는 단계;
    상기 교좌장치를 보수하거나 교체한 후에 상기 인상 유압잭에 유압을 해제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을 교좌장치 상에 안착시켜 고정하는 단계;
    상기 횡방향 이동 유압잭에 유압을 해제하고 상기 분리형 또는 일체형 횡방향 이동 지지브라켓을 철거하면서 교량 인상 지지용 브라켓과 인상 유압잭 및 슬라이딩 받침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교좌장치등에 방청처리를 하면서 주변을 정리하여 유간확보를 위한 시공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
KR10-2003-0030232A 2003-05-13 2003-05-13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및 이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 KR10053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232A KR100530026B1 (ko) 2003-05-13 2003-05-13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및 이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232A KR100530026B1 (ko) 2003-05-13 2003-05-13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및 이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747U Division KR200333740Y1 (ko) 2003-05-13 2003-05-13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783A KR20040097783A (ko) 2004-11-18
KR100530026B1 true KR100530026B1 (ko) 2005-11-22

Family

ID=3737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232A KR100530026B1 (ko) 2003-05-13 2003-05-13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및 이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571B1 (ko) 2016-10-19 2017-03-08 (주)대우건설 거더 축방향 강성과 상부구조물 자중 및 반대편 교대를 이용한 교대 측방변형 복원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78B1 (ko) * 2008-03-24 2009-06-15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 안전 방호대의 내부식성 충격 흡수핀
KR101035330B1 (ko) * 2011-01-26 2011-05-20 테라이엔씨(주) 교량 안전진단용 승하강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571B1 (ko) 2016-10-19 2017-03-08 (주)대우건설 거더 축방향 강성과 상부구조물 자중 및 반대편 교대를 이용한 교대 측방변형 복원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783A (ko)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212B1 (ko) 기능유지가 가능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용 가설벤트와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JP5367297B2 (ja) プレキャスト横桁とプレキャスト縦桁とを備えた橋梁およびその施工法
KR101696450B1 (ko) 교량 상부구조물 리프팅 장치와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교체 시공방법 및 교량 하부구조물 교량받침 시공방법
KR20090098180A (ko) 가도없이 기존교량을 확폭하는 공법
KR102024665B1 (ko)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KR100378382B1 (ko) 기존 교좌장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교량의 교좌장치를포함한 교좌부 보수 및 교체를 하기 위한 잭 받침장치
JP6567920B2 (ja) 道路橋の伸縮装置及び道路橋の伸縮装置の施工方法
KR100530026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및 이를 이용한 유간확보 시공방법
KR100478701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승상 및 보수, 보강방법
KR20200085573A (ko) 신축 이음 프리캐스트의 중력식 레벨링 공법
KR200333740Y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단부측 유간확보를 위한 유간확보장치
KR101704552B1 (ko) 안전장치를 포함한 유압잭과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무손상 인상 공법
KR101693767B1 (ko) 신축 이음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2109816B1 (ko) 교량용 베어링 교체 방법 및 베어링 구조물
KR100865752B1 (ko) 철도교의 교좌장치 교체공법
JP4606941B2 (ja) 床版剥離機および床版の剥離方法
JP4424744B2 (ja) 橋梁架替工法
JP6286737B2 (ja) 床版パネルの固定構造
KR100474299B1 (ko) 교량의 교좌교체 및 전도방지를 위한 쐐기식 안전장치
KR100478702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순차적 교체 방법
JP2014134060A (ja) 床版取り替え工法
KR20040076348A (ko) 아이형강빔의 인상과 낙교방지를 위한 교좌장치 및 그설치방법
JP6586305B2 (ja) 既設橋梁の架替工法
KR200253534Y1 (ko) 기존 교좌장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교량의 교좌장치를포함한 교좌부 보수 및 교체를 하기 위한 잭 받침장치
KR100344236B1 (ko) 상부·하부 앵커볼트가 체결된 앵커볼트를 이용한 교좌장치의 설치 및 보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