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307B1 - 구동 유닛용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공구 - Google Patents

구동 유닛용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307B1
KR102038307B1 KR1020130022058A KR20130022058A KR102038307B1 KR 102038307 B1 KR102038307 B1 KR 102038307B1 KR 1020130022058 A KR1020130022058 A KR 1020130022058A KR 20130022058 A KR20130022058 A KR 20130022058A KR 102038307 B1 KR102038307 B1 KR 10203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rt
radial seal
groove
hous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736A (ko
Inventor
클라우스 오베를레
마르쿠스 옥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00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3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ubular housing wherein the PCB is inserted longitudinal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8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ssion control units, e.g. gearbox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차량 내의 가동 부품들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 유닛(11)용 하우징부(11) 및 그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하우징부는 조립 방향(12)을 따라 하우징 베이스 바디(9)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부(10)는 환형 홈(56)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 방사방향 밀봉부(28)가 배치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하우징부(10)를 조립 방향(12)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베이스 바디(9)에 대해 밀봉하고, 이 경우 상기 홈(56) 내의 홈 내벽(57)에 성형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는 상기 방사방향 밀봉부(28)와 함께 형상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구동 유닛용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공구{HOUSING PART FOR A DRIVE UNIT, AND METHOD AND TOOL FOR PRODUCING SUCH HOUSING PART}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구동 유닛용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습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수밀 방식으로 서로 밀봉되는 다양한 하우징부들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포함하는 여러 구동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DE 200 04 338 U1호에는 기어 하우징의 상응하는 개구 내로 삽입 모듈이 삽입될 수 있는 윈도우 리프터 드라이브가 공지되어 있다. 삽입 모듈은 하우징부이고, 상기 하우징부는 거기에 일체로 형성된 플러그를 가진 기어 하우징 내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면을 포함한다.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밀봉립을 가진 방사방향 밀봉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는 거의 직사각형 샤프트에 삽입시 기어 하우징을 밀봉한다. 상기 방사방향 밀봉부는 일반적으로 하우징부에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홈에 삽입된다. 그러나 하우징부의 장착시 방사방향 밀봉부는 홈에서 빠질 위험이 있으므로, 하우징의 밀봉력은 이러한 구동 유닛에 의해 저하된다.
EP1763917B1호에는 방사방향 밀봉부가 사출 성형된 하우징부가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방사방향 밀봉부의 부품들은 하우징부의 장착시 하우징부의 부품들의 매끄러운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로 인해 구동 유닛의 밀봉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우징부의 홈에 전단력이 작용할 때에도 주변에 대해 확실하게 밀봉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제조를 위한 방법은, 홈 내벽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가 방사방향 밀봉부의 상응하는 리세스에서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내측 결합함으로써 하우징부의 홈에 큰 전단력이 작용할 때에도 방사방향 밀봉부가 고정되어 유지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방사방향 밀봉부가 장착된 하우징부의 조립시 구동 유닛은 주변에 대해 항상 확실하게 밀봉되는 것이 보장된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조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부 및 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 돌출부는 사출 성형에 의해 홈 내벽에 성형부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성형부의 구체적인 형상은 사출 성형 몰드의 형성에 의해 간단하고 저렴하게 구현될 수 있다. 홈을 가진 하우징부의 사출 성형을 위해 제 1 성분으로서 경질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정적이고 변형되지 않는 하우징부가 제공된다.
홈 내벽의 성형부를 수용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된 리세스를 가진 방사방향 밀봉부는 제 2 탄성 성분으로 형성되므로, 방사방향 밀봉부의 밀봉 립은 하우징 개구 내로 삽입시 방사방향 압력 하에서 탄성 변형되고, 하우징 개구의 방사방향 내벽에 압착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은 수분에 대해 확실하게 밀봉된다. 사출 성형을 이용한 방사방향 밀봉부의 제조가 특히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방사방향 밀봉부는 별도로 제조된 사출 성형부(고무 재료, 예컨대 NBR)로서 후속해서 홈에 삽입되거나 또는 홈 내로 직접 사출된다(열가소성 엘라스토머, TPE).
커버 부재와 환형 홈은 바람직하게 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커버 부재에 대해 수직으로 예컨대 프린트 회로기판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홈 및 방사방향 밀봉부는 각각 2개의 짧은 측면과 2개의 긴 측면을 갖고, 상기 측면들에 의해 하우징부는 하우징 베이스 바디의 개구의 내벽에 대해 밀봉된다. 긴 측면에만 또는 짧은 측면에만 성형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성형부들은 제조 기술적으로 매우 간단하게 2 부분의 사출 성형 몰드에 의해 제조되고, 특히 사출 성형 몰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짧은 측면은 긴 측면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홈과 방사방향 밀봉부는 거의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조립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홈의 2개의 측벽에 성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조립시 발생하는 전단력이 조립 방향으로 및 조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흡수될 수 있고, 따라서 방사방향 밀봉부는 홈에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2개의 측벽에 성형부들이 대향 배치된 경우에, 이러한 직접 대향 배치된 형상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은 방사방향 밀봉부의 심한 방사방향 인장 하중시에도 홈 내에서 방사방향 밀봉부의 고정을 개선한다.
홈의 측벽에 다수의 성형부들이 나란히 형성됨으로써, 홈 내부에서 방사방향 밀봉부의 결합이 개선되고, 이 경우 이러한 효과는 홈 내벽의 구조화된 표면 형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화는 홈의 측벽의 정해진 섹션으로 제한될 수 있거나 또는 홈의 베이스 면을 포함하여 - 전체 홈 내벽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대 효과는 측벽의 방사방향 폭과 관련해서 측벽의 중앙 영역에 성형부 또는 구조화 배치시 달성된다.
조립 방향으로 성형부가 연장됨으로써 방사방향 밀봉부 내의 상응하는 리세스와 함께 방사방향과 관련해서 언더컷이 형성된다. 상응하는 리세스 내의 성형부들 사이의 형상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은 램프 형태 또는 삼각형 또는 반원 형태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성형부의 표면은 뾰족하게 또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성형부의 톱니 모양 표면은 홈 내로 방사방향 밀봉부의 방사방향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홈으로부터 방사방향 밀봉부가 방사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한다.
방사방향 밀봉부가 하우징부의 홈 내로 직접 사출되는 경우에 성형부를 위해 더 깊은 언더컷을 형성하는 다른 디자인이 선택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사출시 유체 성분들이 각각의 임의의 몰드를 채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하우징부는 바람직하게 외측면에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전기 구동 유닛의 전기 공급에 이용된다. 구동 유닛의 내부에서 상응하는 전기 접속부에 대한 전기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모터 전류 및 센서 신호들은 하우징부의 커버 부재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프린트 회로기판을 위한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구동 유닛의 제어를 위한 전기 콘택이 프린트 회로기판 위로 안내된다. 내측면에 또는 프린트 회로기판상에 전기/전자 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부재들은 구동 유닛의 작동을 위해 이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구동 유닛의 규정된 인터페이스에 모듈 형태의 상이한 삽입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삽입 모듈은 간단한 구동 유닛을 위해 단순한 접속-플러그-모듈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구동 유닛의 회전 위치 검출을 위해 센서 장치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로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을 위해 다수의 전자 기능이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에, 전자장치 모듈에 의해 예컨대 릴레이 또는 PWM-제어부와 같은 상응하는 전자 소자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크기의 프린트 회로기판이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 바디 내의 규정된 개구에 의해, 매우 저렴하게 기어 유닛의 요구에 맞게 다양한 전자장치 기능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 시스템에 다양한 삽입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방사방향 밀봉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는 특히 바람직하게 2성분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방법에서 먼저 하우징부는 예컨대 경질 플라스틱으로 사출된다. 제 2 탄성 성분, 예컨대 엘라스토머를 위한 체적은 인서트에 의해 비워둔다. 양호하게 취급될 수 있는 이러한 2성분 사출 방법에 의해, 성형부는 매우 저렴하게 한편으로는 홈 내벽에 제 1 성분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2 성분의 사출에 의해 방사방향 밀봉부에 리세스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성형부와 리세스 사이의 바람직한 형상 끼워맞춤 결합이 이루어진다.
특히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 장치의 몰딩 공구의 분리면은 직사각형 홈의 짧은 측면 또는 긴 측면의 길이 중심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C형태의 공구 절반들이 서로로부터 당겨짐으로써, 성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는 간단하게 공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 경우 분리시 성형부가 언더컷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부는 변형되지 않아도 된다.
실시예에서, 하우징부는 추가적으로 축방향 유격 보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격 보상 부재는 바람직하게 방사방향 밀봉부와 일체형으로 사출된다. 방사방향 밀봉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는 하우징의 상응하는 대응 부재에 결합하는 록킹 부재에 의해 상기 유격 보상 부재에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부와 하우징 사이의 별도의 연결 수단을 생략함으로써, 조립 과정이 자동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하우징부의 사시도.
도 2는 하우징부의 다른 실시예 및 구동 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하우징 베이스 바디에 조립시 하우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에는 하우징부(10)가 도시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구동 유닛(11)의 하우징 베이스 바디(9)를 수밀 방식으로 밀봉한다. 구동 유닛의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베이스 바디(9)는 예컨대 기어 하우징(8) 및/또는 전자장치 하우징(7)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거의 직사각형 개구(13)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방사방향 내벽(15)을 가지며, 하우징 베이스 바디(9)의 폐쇄를 위해 상기 개구 내로 하우징부(10)가 조립 방향으로 삽입된다. 하우징부(10)는 내측면(16)과 외측면(18)을 가진 커버 부재(14)를 포함한다. 외측면(18)에는 예컨대 플러그(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경우 전기 콘택(22)이 커버 부재(14)를 통해 내측면(16) 위로 안내된다. 또한, 하우징부(10)에는 전자장치 모듈(36) 또는 플러그 모듈(37) 또는 센서장치 모듈(38)의 구성부인 다양한 전자 부품들(42)이 배치될 수 있고, 이들은 하우징부(10)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 부재(14)의 내측면(16)에 방사방향 외부면(26)을 가진 환형 벽(2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면에 환형의 방사방향 밀봉부(28)가 배치된다. 방사방향 밀봉부(28)는 모서리가 라운드된 영역(30)으로 형성되므로, 하우징 내의 상응하는 직사각형 개구를 밀봉할 수 있다. 방사방향 밀봉부(28)는 대향 배치된 2개의 짧은 측면(34)과 대향 배치된 2개의 긴 측면(35)을 갖는다. 방사방향 밀봉부(28)는 예컨대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밀봉 립(31)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립은 방사방향 밀봉면(40)을 형성한다. 하우징 베이스 바디(9) 내로 삽입시 방사방향 밀봉부(28)는 발생하는 방사방향 힘(32)으로 인해 조립 방향(12)에 대해 수직으로, 하우징 베이스 바디(9)의 방사방향 내벽(15)에 대해 압착되어 탄성 변형된다. 방사방향 밀봉부(28)는 홈(56) 내에 배치되고, 상기 홈은 환형 벽(24)의 방사방향 외부면(26)에 형성된다. 방사방향 밀봉부(28)는 홈(56) 내로 선택적으로 사출되거나 또는 별도의 밀봉 부재로서 제조된 후에 홈(56) 내로 삽입된다. 하우징부(10)는 바람직하게 경질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방사방향 밀봉부(28)는 탄성 재료, 예컨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재료로 제조된다. 홈(56)의 내벽(57)에 (도시되지 않은) 성형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는 방사방향 밀봉부(28) 내의 상응하는 리세스(59)에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한다. 방사방향 밀봉부(28)에 축방향 돌출부들(4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축방향 유격 보상 부재((48)로 이용된다. 유경 보상 부재(48)는 한편으로는 커버 부재(14)의 내측면(16)에 지지되고, 대향 배치된 측면에 하우징 베이스 바디(9)를 위한 축방향 스토펴 면(50)을 형성한다. 유격 보상 부재(48)의 형태와 치수에 의해 스프링력이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력은 하우징부(10)와 하우징 베이스 바디(9) 사이의 록킹 결합(52)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하우징부(10)에 예컨대 록킹 노즈(52)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 노즈는 상응하게 도 2에 도시된 하우징 베이스 바디(9)의 상응하는 록킹 부재(53)에 결합한다. 록킹 부재(52, 53)에 대한 대안으로서, 하우징부(10)는 별도의 연결 부재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고, 이를 위해 하우징부(10)에 별도의 연결 부재, 예컨대 스크루 또는 리벳을 위한 수용부(54)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2에는 하우징부(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상기 하우징부에서 콘택(22)이 구현된 플러그(20)가 커버 부재(14)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하우징부(10)는 이 실시예에서 프린트 회로기판(45)용 수용부(44)를 포함하는 센서장치 모듈 또는 전자장치 모듈(38, 36)로서 형성되고,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은 삽입시 전기 콘택(22)에 연결된다. 또한, 조립 방향(12)으로 삽입시 전기 모터(6)의 전류 공급을 위한 포크 형태의 콘택 부재들(22)은 (도시되지 않은) 상응하는 모터 콘택에 연결된다. 프린트 회로기판(45)에 예를 들어 센서 장치(43), 바람직하게 홀 센서(47)가 배치되고, 상기 홀 센서는 삽입 모듈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구동 유닛(11)의 센서 자석(41)과 함께 작용한다. 구동 유닛(11)은 전기 모터(6)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모터의 구동 샤프트(4)는 기어 하우징(8)에 배치된 기어(5)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아마추어 샤프트(4)에 기어 웜(66)이 배치되고, 상기 기어 웜은 웜 휠(67)과 맞물리고, 상기 웜 휠은 커플링 부재(68)를 통해 회전 모멘트를 피동 부재(69)에 전달한다. 기어 하우징(8)은 전자장치 하우징(7) 및 전기 모터(6)와 함께 하우징 베이스 바디(9)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 바디에 하우징부(1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3)가 배치된다. 내벽(15)에 록킹 부재(53)로서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는 장착된 상태에서 록킹 노즈(52)를 수용한다. 하우징부(10)의 환형 벽(24)에 홈(56)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부(10)가 구동 유닛(10)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홈에 방사방향 밀봉부(28)가 삽입된다. 홈 내벽(57)은 조립 방향(12)으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측벽(58)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 성형부(60)가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성형부(60)는 구동 유닛(11)을 향한 측벽(58)에만 일체로 형성되고, 뾰족한 또는 삼각형 횡단면(61)을 갖는다. 성형부들(60)은 조립 방향(12)과 반대로 연장되고, 측벽의 방사방향 폭과 관련해서 측벽(58)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리세스(60)는 이 경우 홈(56)(또는 방사방향 밀봉부(28))의 긴 측면(35)에만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전체적으로 긴 측면(3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이 경우, 짧은 측면(34)에는 성형부(60)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성형부(60)는 2개의 사출 성형 공구 절반의 분리시 도 2의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문제없이 공구 절반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성형부(60)는 짧은 측면(34)에만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2개의 짧은 측면들(34)은 2개의 긴 측면(35)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상기 실시예에서 하우징부(10)는 개구(13)에 삽입된다. 개구(13)의 가장자리는 삽입 경사(64)를 갖고, 상기 경사에 의해 밀봉 립(31)은 조립 방향(12)으로 삽입시 변형된다. 방사방향 밀봉부(28)에 조립 방향(12)과 반대로 전단력(65)이 발생하고, 상기 전단력은 방사방향 밀봉부(28)를 홈(56)으로부터 빼낸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대향 배치된 2개의 측벽(58)에 성형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는 방사방향 밀봉부(28)의 상응하는 리세스(59) 내로 돌출한다. 도 3의 좌측에는 램프 형태의 횡단면(61)을 갖는 성형부(60)가 도시되고, 도 3의 우측에는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리세스들(60)이 도시되고, 상기 리세스들은 예를 들어 아치형 표면을 가진 반원 형태의 횡단면(61)을 갖는다. 이 경우에도 성형부들(60)은 거의 측벽(58)의 1/2 높이에 배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3개의 성형부들(60)이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홈 내벽(57)의 측벽(58) 및/또는 홈 베이스(62)는 프로파일링된 - 예를 들어 삼각형 또는 톱니 프로파일 -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하우징부(10)는 바람직하게 2성분 사출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이 경우 제 1 단계에서 하우징부(10)는 제 1 성분, 예컨대 경질 플라스틱으로 사출된다. 이러한 사출 과정 동안 공구 몰드 내로 인서트가 삽입되고, 상기 인서트는 방사방향 밀봉부(28)의 제 2 성분을 위한 몰드를 포함한다. 인서트를 분리한 후에, 제 2 단계에서 제 2 성분이 사출 공구 내로 사출되고, 이 경우 방사방향 밀봉부(28)를 위한 제 2 성분으로서 탄성 재료,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사용된다. 대안적인 사출 방법에서 2개의 성분들은 공구의 2개의 상이한 네스트에서 사출되고, 이 경우 하우징부(10)는 하나의 네스트로부터 다른 네스트로 옮겨진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사출 공구는 바람직하게 분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면은 짧은 측면(34) 또는 긴 측면(35)의 측면 길이의 중앙 영역을 통해 안내된다. 홈(56)의 직사각형 형태는 2개의 사출 성형 몰드의 C형태의 절반으로 분할된다. 상기 C형태의 사출 성형 공구가 서로 멀어지게 벌어짐으로써 성형부(60)를 포함하는 하우징부(10)는 간단히 공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 경우 성형부(60)의 형성을 위해 슬라이드가 사용되지 않아도 되거나 또는 하우징부(10)의 분리시 언더컷이 극복되지 않아도 된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해서 개별 특징들의 여러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사방향 밀봉부(28)의 실제 형태와 횡단면은 용도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홈 내벽(57)의 성형부(60)의 개수, 횡단면(61) 및 배치와 방사방향 밀봉부(28)의 리세스(59)의 개수, 횡단면(61) 및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리세스(60)는 측면(34, 35)의 전체 둘레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측면(34, 35)의 정해진 부분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또한, 하우징부(10)의 형태와 기능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플러그 모듈(37)을 위해서만 또는 전기 콘택(22)이 없는 커버 부재(14)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부(10)는 차량 내의 액추에이터, 예컨대 윈도우 리프터 드라이브 또는 선루프 드라이브의 플러그-, 센서장치-, 또는 전자장치 모듈(37, 38, 36)을 위해 이용된다.
10 하우징부
11 구동 유닛
12 조립 방향
28 방사방향 밀봉부
56 홈

Claims (14)

  1. 구동 유닛(11)용 하우징부(10)로서, 상기 하우징부는 조립 방향(12)을 따라 하우징 베이스 바디(9)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부(10)는 환형 홈(56)을 포함하고, 상기 홈에 방사방향 밀봉부(28)가 배치되고, 상기 방사방향 밀봉부는 상기 하우징부(10)를 조립 방향(12)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베이스 바디(9)에 대해 밀봉하는, 하우징부에 있어서,
    상기 홈(56) 내의 홈 내벽(57)에 성형부들(60)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들은 상기 방사방향 밀봉부(28)와 함께 형상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6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는 사출 성형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들(60)은 상기 홈 내벽(57)에 일체형으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 밀봉부(28)는 제 2 탄성 성분으로 형성되고, 방사방향(33)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립(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환형 홈(56)은 2개의 짧은 측면들(34)과 2개의 긴 측면들(35)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들(60)은 각각 상기 2개의 긴 측면들(35)에만 또는 상기 2개의 짧은 측면들(34)에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들(60)은 조립 방향(12)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홈 내벽(57)의 측벽들(58)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들(60)은 상기 조립 방향(12)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들(60)은 대향 배치된 2개의 측벽들(58)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들(60)은 상기 방사방향(33)에 대해서 상기 측벽들(58)의 중앙 영역(55)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들(60)은 아치형 또는 램프 형태 또는 뾰족한 횡단면(6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 밀봉부(28)는 리세스(59)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조립 방향(12)으로 연장되고, 상기 성형부들(60)은 상기 리세스(59)에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 밀봉부(28)는 사출 성형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홈(56)에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의 전기 접촉을 위한 외부 플러그(20) 또는 프린트 회로기판(45) 또는 상기 외부 플러그(20) 및 상기 프린트 회로기판(45) 둘다는 상기 하우징부(1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부.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하우징부(10)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11)으로서,
    상기 하우징부(10)는 상기 구동 유닛(11)의 삽입 모듈(36, 37, 38)로서 형성되고, 상기 삽입 모듈은 전자장치 모듈(36)로서 또는 센서장치 모듈(38)로서 또는 플러그 모듈(37)로서 형성되고, 상기 삽입 모듈(36, 37, 38)은 상기 방사방향 밀봉부(28)에 의해 상기 구동 유닛(11)에 대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일체로 형성된 방사방향 밀봉부(28)를 포함하는 하우징부(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단계에서 홈(56)을 가진 상기 하우징부(10)가 제 1 성분으로 사출되고, 제 2 단계에서 상기 방사방향 밀봉부(28)가 제 2 성분으로 상기 홈(56) 내로 사출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성분의 사출시, 상기 제 2 성분은 상기 제 1 성분의 홈 내벽(57)에서 성형부들(60)과 함께 형상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6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직사각형 홈(56)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 성형 공구는 적어도 2개의 공구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들은 상기 성형부들(60)의 길이방향 길이에 따라 조립 방향(12)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상기 하우징부(10)를 분리하기 위해 측벽들(58)을 따라 서로 멀어지게 이동되므로, 상기 성형부들(60)은 상기 하우징부(10)의 탄성 변형 없이 공구 부분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130022058A 2012-03-01 2013-02-28 구동 유닛용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공구 KR102038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203222 DE102012203222A1 (de) 2012-03-01 2012-03-01 Gehäuseteil für eine Antriebseinheit, sowie Verfahren und 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DE102012203222.3 2012-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736A KR20130100736A (ko) 2013-09-11
KR102038307B1 true KR102038307B1 (ko) 2019-10-30

Family

ID=4898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058A KR102038307B1 (ko) 2012-03-01 2013-02-28 구동 유닛용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공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038307B1 (ko)
CN (1) CN103296816B (ko)
DE (1) DE102012203222A1 (ko)
FR (1) FR2987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7892A1 (de) 2012-12-20 2014-06-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n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DE102013224329A1 (de) * 2013-11-28 2015-05-28 Robert Bosch Gmbh Gehäuse mit gesicherter Clipverbindung
DE102013226968A1 (de) * 2013-12-20 2015-06-25 Robert Bosch Gmbh Getriebe-Antriebseinrich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ichtelements für eine Getriebe-Antriebseinrichtung und Verwendung der Getriebe-Antriebseinrichtung
DE102014004262A1 (de) * 2014-03-20 2015-09-24 Ziehl-Abegg Se Elektromotor, insbesondere Außenläufermotor, sowie Zwischenisolierteil für einen Elektromotor
DE102016204968A1 (de) * 2016-03-24 2017-09-28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Maschine
CN106208538B (zh) * 2016-08-03 2019-04-19 南通联科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霍尔元件连接装置
KR101875890B1 (ko) * 2016-12-23 2018-07-06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커버 밀봉 구조가 개선된 모터 장치
CN106786322A (zh) * 2017-03-18 2017-05-31 江苏国科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电缆密封系统
CN108156782B (zh) * 2018-01-15 2019-12-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孔密封结构及电子设备
DE102018216497A1 (de) * 2018-09-26 2020-03-26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Antrieb
DE102019001338A1 (de) * 2019-02-26 2020-08-27 Daimler Ag Anordnung einer Leitung an einem Gehäuseteil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21202054B4 (de) * 2021-03-03 2022-11-10 Vitesco Technologies GmbH Gehäuseanordnung mit Dichtung
DE102022107337A1 (de) * 2022-03-29 2023-10-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echnische elektrische Bauelementanordnung
DE102022108296A1 (de) 2022-04-06 2023-10-12 Md Elektronik Gmbh Steckverbinder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ekundärverriegelung für einen Steckverbin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2816A (ja) 2004-02-05 2005-08-18 Jst Mfg Co Ltd 防水コネクタ
JP2006332061A (ja) 2005-05-27 2006-12-0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差込接続器のためのハウジングシ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2182A (en) * 1943-06-19 1946-01-01 Crane Packing Co Piston construction
US3347556A (en) * 1965-02-24 1967-10-17 Lambert W Fleckenstein Sealing ring for piston and cylinder assemblies
CN87202489U (zh) * 1987-02-25 1987-10-21 龚伟海 四眼插头和插座
DE4020803A1 (de) * 1990-06-29 1992-01-02 Greiner Gmbh Elastomerdichtung
JPH077889A (ja) * 1993-06-14 1995-01-10 Yaskawa Electric Corp ファンモータの防塵構造
DE20004338U1 (de) 2000-03-08 2001-07-19 Bosch Gmbh Robert Einschubmodul für Verstellmotoren
KR100759878B1 (ko) * 2002-02-09 2007-09-18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자제어유닛의 밀봉장치
JP4072389B2 (ja) * 2002-07-11 2008-04-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構造
DE102004031314A1 (de) 2004-06-29 2006-01-19 Robert Bosch Gmbh Gehäuseteil für eine Antriebseinheit, sowie Verfahren und 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SG127773A1 (en) * 2005-06-01 2006-12-29 Mea Technologies Pte Ltd Waterproof connector
US7465192B2 (en) * 2006-09-11 2008-12-16 J.S.T. Corporation In-line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CN101897084B (zh) * 2007-10-22 2013-03-13 富加宜汽车控股公司 电连接器系统
CN101714720B (zh) * 2009-12-22 2012-02-01 胡连电子(南京)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密封圈
JP2013114830A (ja) * 2011-11-28 2013-06-10 Tyco Electronics Japan Kk 防水型コネクタ、防水型コネクタの実装構造及び実装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2816A (ja) 2004-02-05 2005-08-18 Jst Mfg Co Ltd 防水コネクタ
JP2006332061A (ja) 2005-05-27 2006-12-0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差込接続器のためのハウジングシ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6816B (zh) 2017-08-15
FR2987714B1 (fr) 2016-12-23
CN103296816A (zh) 2013-09-11
KR20130100736A (ko) 2013-09-11
DE102012203222A1 (de) 2013-09-05
FR2987714A1 (fr)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307B1 (ko) 구동 유닛용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공구
US7748717B2 (en) Housing part for a drive unit, as well as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US8771014B2 (en) Connector housing with mat seal
US7682204B2 (en)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1868422A (zh) 密封装置、电池箱或控制箱、机动车和用于制造密封装置的方法
CN101932410A (zh) 接口元件、接口元件容纳装置以及电子设备
CN103872830A (zh) 具有密封件的用于电机的壳体
CN101461295A (zh) 用于控制电动驱动单元的控制单元
US9915340B2 (en) Housing for a steering gear
KR20140072873A (ko)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제어 장치
CN103201150B (zh) 用于车辆的控制器以及制造用于车辆的控制器的方法
EP2808951A1 (en) Terminal block and method of producing it
EP2774820A2 (en) Housing for a windscreen wiper motor, method for producing a housing for a windscreen wiper motor, and windscreen wiper motor
US11719324B2 (en) Worm and rotating device
US10069237B2 (en) Hermetically sealing connector
CN108346906B (zh) 密封装置和具有双组分密封装置的驱动单元
CN107852067A (zh) 电子器件壳体
CN104129047A (zh) 制造合成材料壳体部件的方法和合成材料壳体部件
CN111697746B (zh) 适配器元件、传动驱动装置和用于制造适配器元件的模具
US11411461B2 (en) Motor device having a grommet member
CN112796995A (zh) 流体泵
US10948384B2 (en) Position detection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15673832U (zh) 一种执行器及具有该执行器的电动阀
CN1944127B (zh) 带至少一根电连接导线的液压控制汽车制动装置的液压调制器
US20180191223A1 (en) Connecting System For Plug Pos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