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176B1 - 특수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아이웨어 - Google Patents

특수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아이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176B1
KR102038176B1 KR1020157006269A KR20157006269A KR102038176B1 KR 102038176 B1 KR102038176 B1 KR 102038176B1 KR 1020157006269 A KR1020157006269 A KR 1020157006269A KR 20157006269 A KR20157006269 A KR 20157006269A KR 102038176 B1 KR102038176 B1 KR 102038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heet
compound represented
eyewear
polycarbona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406A (ko
Inventor
다쿠야 고토
가즈히사 미츠하타
교스케 나카무라
마사토시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엠지시 휠시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2Use of special optical filters, e.g. multiple layers, filters for protection against laser light or light from nuclear explosions, screens with different filter properties on different parts of the screen; Rotating slit-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6Laminated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이 2000nm 이하인 시트(A)를 적층하고,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 쪽 면에,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탄산 다이에스터에 의해 카보네이트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고, 상기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70∼10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시트(B)를 적층한 편광 다층 시트를 굽힘 가공하여 얻어진, 편광 렌즈를 이용한 아이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23598793-pct00016

(상기 화학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중,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8의 알킬렌기 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특수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아이웨어{SPECIAL POLYCARBONATE POLARIZING EYEWEAR}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다층 편광 시트를 곡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방현(防眩)용 아이웨어(선글라스, 고글 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다층 편광 시트를 곡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후에 한쪽 면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성형한 방현용 아이웨어도 포함한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제의 편광 시트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경량이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를 비롯하여 건물의 창이나 자동차의 선루프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을 연신하여 2색성 색소로 염색한 편광 시트의 양면에 보호층으로서 접착층을 개재시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붙인 편광 시트(이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로 기재한다)는 특히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높은 내열성도 아울러 가지기 때문에 굽힘 가공이나 사출 성형을 실시하여, 수상 스포츠, 윈터 스포츠, 낚시 등에 이용하는 아이웨어(선글라스나 고글 등)용 편광 렌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광탄성 상수가 크기 때문에, 선글라스나 고글과 같은 구면 또는 비구면의 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을 실시했을 때에, 리타데이션에 의한 착색 간섭 줄무늬(무지개 모양)가 생성되기 쉽고, 이 착색 간섭 줄무늬는 편광 렌즈의 외관을 손상시켜, 특히, 외관의 아름다움이 제품의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는 아이웨어 분야에서는 큰 문제가 된다. 또한, 착색 간섭 줄무늬에 의해, 안정(眼精) 피로 등의 건강상의 트러블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굽힘 가공을 실시했을 때에 생기는 리타데이션의 대처에 대하여, 보호층에 사용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미리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큰 리타데이션을 생성시켜 두는 것에 의해, 착색 간섭 줄무늬를 보이지 않게 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이하,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로 기재한다)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사용한 경우, 착색 간섭 줄무늬는 방지할 수 있지만,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가 연신되어 있기 때문에, 굽힘 가공 시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가 연신 방향으로 수축하여, 형성된 편광 렌즈의 수직 방향의 베이스 커브와 수평 방향의 베이스 커브의 차의 절대값(이하, 「베이스 커브 이방성」으로 기재한다)이 커지고, 그 결과 렌즈의 해상도가 낮아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에 굽힘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한 편광 렌즈보다도 더욱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초점 굴절력을 가지는 교정용 렌즈를 형성할 목적으로, 구면 또는 비구면의 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한 연신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금형 내로 인서팅하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성형한 편광 렌즈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3). 그러나, 이와 같은 편광 렌즈이더라도, 착색 간섭 줄무늬나 해상도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굽힘 가공 시의 착색 간섭 줄무늬를 방지하고, 굽힘 형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연신을 없앴거나 또는 적게 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오목면측에 사용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볼록면측에는 연신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굽힘 형상 베이스 커브 이방성에 따른 해상도의 저하의 개선은 충분하지는 않다.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99몰%∼5몰%와 그 밖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 1몰%∼95몰%의 2종의 성분을, 탄산 다이에스터에 의해 카보네이트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한 필름은, 저복굴절, 고투명, 고유리전이온도를 밸런스 좋게 갖는 광학 필름인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4 참조). 또한, 이와 같은 필름을 평면상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편광 시트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편광 시트는 보고되어 있지만(특허문헌 5 참조), 이 특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한 편광 시트를, 굽힘 가공을 행하는 편광 렌즈용 편광 시트로서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검토되어 있지 않다.
Figure 112015023598793-pct00001
일본 특허공개 평03-3990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08-5281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08-31370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16319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103507호 공보
본 발명은 굽힘 가공 시의 무지개 모양 발생이 방지되며, 또한 해상도가 높은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아이웨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이 2000nm 이하인 시트(A)를 적층하고,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 쪽 면에,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탄산 다이에스터에 의해 카보네이트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고, 상기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70∼10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기재한다)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이하, 「시트(B)」 또는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 기재한다)를 적층한 편광 다층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23598793-pct00002
(상기 화학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실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중,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8의 알킬렌기, 탄소수 5∼12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아이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1.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이 2000nm 이하인 시트(A)를 적층하고,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 쪽 면에,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탄산 다이에스터에 의해 카보네이트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고, 상기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70∼10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시트(B)를 적층한 편광 다층 시트를 굽힘 가공하여 얻어진, 편광 렌즈를 이용한 아이웨어.
2.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0∼95몰%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상기 1에 기재된 아이웨어.
3.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가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뿐이고, 해당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0∼95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나머지 20∼5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아이웨어.
4.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가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10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고,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0∼95몰%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아이웨어.
5. 상기 시트(B)의 유리 전이점과 상기 리타데이션값이 2000nm 이하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점의 온도차가 10℃ 이하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이웨어.
6.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R1 및 R2가 수소 원자이고, X가 에틸렌기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이웨어.
7.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이웨어.
[구조식 1]
Figure 112015023598793-pct00003
8.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이웨어.
Figure 112015023598793-pct00004
(화학식 2 중, Y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4∼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9.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트라이사이클로[5.2.1.02,6]데케인다이메탄올, 사이클로헥세인-1,4-다이메탄올 및 펜타사이클로펜타데케인다이메탄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상기 8에 기재된 아이웨어.
10.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트라이사이클로[5.2.1.02,6]데케인다이메탄올인, 상기 8에 기재된 아이웨어.
11. 상기 시트(B)의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이 20nm 이하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이웨어.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이웨어에 있어서, 시트(B)측의 면이 볼록면이 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굽힘 가공을 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3. 오목면측으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2에 기재된 아이웨어.
본 발명에 의하면, 굽힘 가공 시의 무지개 모양 발생을 방지하면서, 해상도가 높은 편광 다층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한 편광 다층 렌즈는, 굽힘 가공 시의 무지개 모양 발생을 방지하면서, 원하는 굽힘 형상이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종래의 편광 아이웨어 이상의 기능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심미성을 구비한, 지금까지 없는 특징을 갖는 편광 아이웨어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편광 시트의 타발(打拔)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광 다층 렌즈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편광 다층 렌즈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해상도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무지개 모양 관측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5의 무지개 모양 관측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 5의 무지개 모양 관측 결과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편광 다층 렌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 다층 시트는, 우선, 편광 필름을 제작하여, 한 면에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시트(B)를 적층한다. 다음으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이 2000nm 이하인 시트(A)를 적층하여 편광 다층 시트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편광 다층 시트는, 편광 필름과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사이에 별도의 수지 시트(예컨대,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등)가 존재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상기 편광 다층 시트를 굽힘 가공하여 아이웨어용 편광 다층 렌즈로 한다. 또한, 나아가 내충격성, 초점 굴절력을 가지는 교정용 렌즈를 형성하는 경우, 굽힘 가공한 편광 다층 시트에 추가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할 수도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편광 다층 렌즈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광 필름
편광 필름의 제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을 수중에서 팽윤시킨 후에, 2색성 색소 등의 염료를 함유하는 염색액에, 1방향으로 연신시키면서 함침시키는 것에 의해, 2색성 색소를 기재 수지 중에 배향된 상태로 분산시켜, 편광성을 부여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시트(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부터 이루어지는 보호층의 첩부(貼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편광 필름의 한 면에 접착층을 개재시켜 첩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란,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는 전혀 별도의 수지이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이고, 방향족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 또는 이것과 소량의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포스젠 또는 탄산의 다이에스터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분기되어 있어도 되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중합체이다.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중에 50질량% 이상 포함되어 있으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그 밖의 성분을 첨가해도 좋지만, 100질량%가 가장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향족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란, 하기 화학식 A 또는 화학식 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A]
Figure 112015023598793-pct00005
[화학식 B]
Figure 112015023598793-pct00006
상기 화학식 A에 있어서,
Figure 112015023598793-pct00007
여기에서, R3과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할로젠이며, R3과 R4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또한, m 및 n은 치환기수를 나타내고 0∼4의 정수이다. R5 및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며, R5와 R6이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화학식 A 또는 화학식 B로 표시되는 방향족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뷰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옥테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메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3-tert-뷰틸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펜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세인,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에터,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페닐에터, 4,4'-다이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다이페닐설파이드,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폭사이드,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다이페닐설폭사이드,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폰,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설폰, 4,4'-다이하이드록시-3,3'-다이메틸다이페닐설폰 등이 이용된다. 이들 중에서, 특히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비스페놀 A: BPA)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방향족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은, 2종류 이상의 병용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점은 135∼155℃ 정도이다.
<그 밖의 성분>
상기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산화 방지제,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유동성 개질제, 결정핵제, 강화제, 염료, 대전 방지제, 항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분자량에 대해서는, 시트 자체의 성형에 있어서의 점에서 점도 평균 분자량으로 12,000∼4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트 강도, 내열성, 내구성 또는 굽힘 가공성의 점에서, 특히 20,000∼3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에 대해서는, 굽힘 가공 시의 표면 형상의 정밀도를 높이는 점에서, 2000nm 이하이면 되고, 1000nm 이하가 바람직하며, 500n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리타데이션값의 최저값은 측정 가능 한계인 0nm이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시트(B))
본 발명에 이용하는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적어도, 소정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의 첩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편광 필름의 한 면에 접착층을 개재시켜 첩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구성하는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필수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포스젠 또는 탄산 다이에스터와 반응시킨 것이며,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70∼10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중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농도는, 50질량% 이상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23598793-pct00008
(상기 화학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실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중,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8의 알킬렌기, 탄소수 5∼12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는,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0∼95몰%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태양이다. 여기에서,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수지란,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도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포함한 합계를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5∼90몰%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태양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7몰%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태양이다.
본 발명의 별도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는,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수지가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뿐이고(즉,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중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농도가 100질량%), 해당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0∼95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나머지 20∼5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인 태양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수지가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뿐이고,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5∼9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나머지 15∼1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인 태양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7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나머지 13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인 태양이다.
본 발명의 더욱 별도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는,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수지가,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10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고,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0∼95몰%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태양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수지가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10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고,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5∼90몰%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태양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수지가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10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고,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7몰%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태양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R1 및 R2가 수소 원자이고, X가 에틸렌기이다),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다이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tert-뷰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아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사이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및 R2가 수소 원자이고, X가 에틸렌기이다)이, 유리 전이점 이외의 다른 물성(수증기 투과율 등)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가까운 물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굽힘 형상이 얻어지기 쉬워 바람직하다.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비스페놀 A)이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트라이사이클로[5.2.1.02,6]데케인다이메탄올, 사이클로헥세인-1,4-다이메탄올, 데칼린-2,6-다이메탄올, 노보네인다이메탄올, 펜타사이클로펜타데케인다이메탄올, 사이클로펜테인-1,3-다이메탄올, 1,4-뷰테인다이올, 1,6-헥세인다이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은, 상기의 비스페놀 A 및 화학식 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선택하여 병용해도 된다.
[구조식 1]
Figure 112015023598793-pc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15023598793-pct00010
(화학식 2 중, Y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4∼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은, 상기 중에서도, 비스페놀 A, 트라이사이클로[5.2.1.02,6]데케인다이메탄올, 사이클로헥세인-1,4-다이메탄올, 및 펜타사이클로펜타데케인다이메탄올이 바람직하고, 비스페놀 A 및 트라이사이클로[5.2.1.02,6]데케인다이메탄올이 보다 바람직하고, 비스페놀 A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산 다이에스터-
상기 탄산 다이에스터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이페닐카보네이트, 다이톨릴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카보네이트, m-크레실카보네이트, 다이메틸카보네이트, 다이에틸카보네이트, 다이뷰틸카보네이트, 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다이페닐카보네이트가, 입수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리타데이션값은, 전체 가시광 영역에서, 10n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은 2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리타데이션값이 20nm를 초과하면, 굽힘 가공한 편광 다층 렌즈에 리타데이션값에 의한 착색 간섭 줄무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리타데이션값이 가시광의 파장보다 훨씬 긴 경우, 착색 간섭 줄무늬는 감소한다.
본 발명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광탄성 계수로서는, 50×10-12m2/N 이하가 바람직하고, 40×10-12m2/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탄성 계수가 50×10-12m2/N을 초과하면, 리타데이션이 커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광탄성 계수가, 보다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리타데이션을 작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광탄성 계수는, 예컨대, 엘립소미터(상품명: M220, 니혼분코제)를 이용하여, 두께 100μm의 캐스트 필름에, 파장 633nm의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필름에 걸린 하중의 변화에 대한 복굴절의 변화를 측정하여 산출하는 것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폴리스타이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Mw)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20,000∼300,000이 바람직하고, 35,000∼120,000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폴리스타이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000 미만이면, 시트가 취성이 되는 경우가 있고, 300,000을 초과하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제조 후의 수지의 발취(拔取)가 곤란해지고, 또한,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나빠져 캐스팅법에서의 시트 성형이 곤란해지고, 용융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압출 성형이 곤란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폴리스타이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상품명: GPC System-21H, 쇼와덴코(주)제)를 이용하고, 클로로폼을 전개 용매로 하여, 기지(旣知)의 분자량(분자량 분포=1)의 표준 폴리스타이렌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기초하여, GPC의 리텐션 타임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구조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랜덤 구조, 블록 구조, 교대 공중합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유리 전이점과 리타데이션값이 2000nm 이하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점의 온도차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점의 온도차가 10℃보다 크면 굽힘 가공을 행했을 때에 베이스 커브 이방성이 커져, 해상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의 유리 전이점의 온도차는,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포함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을 70몰%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10℃ 이하로 조정할 수 있으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을 80몰%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5℃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유리 전이점은, 바람직하게는 135∼15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150℃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유리 전이점(Tg)이란, JIS-K7121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 분석계(DSC)(세이코인스트루먼츠(주)제)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로서 정의된다. DSC 측정에 있어서 복수의 성분에서 유래하는 복수의 유리 전이점이 확인된 경우는, 1/Σ(Wn/Tgn)〔식 중, Wn은 각 성분의 질량 분율로 ΣWn=1, Tgn(℃)은 각 성분에 따른 유리 전이 온도, n은 각 성분의 종류를 나타낸다.〕로 계산되는 값을 유리 전이점으로서 정의한다. DSC 측정 조건은 시료 10mg 정도, 질소 분위기 하 중, 승온 속도 20℃/분이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탄산 다이에스터에 의해 카보네이트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인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컨대, 일본 특허 4196326, WO 2007-142149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투입량으로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합계에 대하여 70몰%∼100몰%인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80몰%∼100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85몰%∼100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투입량이 70몰% 미만이 되면,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복굴절이 커진다. 한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투입량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복굴절이 작아지는 점에서 유리하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투입량으로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합계에 대하여 0몰%∼30몰%인 한,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0몰%∼20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0몰%∼15몰%가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투입량이 30몰%를 초과하면,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복굴절이 커진다. 한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투입량이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복굴절이 작아지는 점에서 유리하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의, 탄산 다이에스터의 투입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합계 1몰에 대하여 0.97몰∼1.20몰이 바람직하고, 0.98몰∼1.10몰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 다이에스터의 투입량이 0.97몰 미만이거나, 또는 1.20몰을 초과하면, 고분자량의 수지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밖의 성분>
상기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산화 방지제,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유동성 개질제, 결정핵제, 강화제, 염료, 대전 방지제, 항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50μm∼500μm가 바람직하고, 100μm∼30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50μm 미만이면,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500μm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되고, 리타데이션이 높아져, 외관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두께가, 보다 바람직한 범위 내이면, 강도를 유지하면서, 외관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상기 두께는, 예컨대, 전자 마이크로 막후계(상품명: KL1300B, 안리츠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인장 강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60MPa 이상이 바람직하고, 70MPa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 강도가 60MPa 미만이면, 강도 부족이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인장 강도는, 예컨대, 인장 시험기(상품명: 오토그래프 AGS-100G, 시마즈제작소제)를 이용하여, ASTM D882-61T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용융 압출법, 캐스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용융 압출법이 생산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용융 압출법에 있어서의 조건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T 다이를 이용한 방법, 인플레이션법 등,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두께 불균일이 작고, 두께 15μm∼500μm로 가공하기 쉬운 T 다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편광 필름의 광입사측, 즉, 아이웨어 사용 시에 사람의 눈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이용하는 것에 의해 착색 간섭 줄무늬를 생성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양면에 보호층을 첩합(貼合)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접착제로서는, 아크릴 수지계 재료, 우레탄 수지계 재료, 폴리에스터 수지계 재료, 멜라민 수지계 재료, 에폭시 수지계 재료, 실리콘계 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접착층 자체 또는 접착했을 때의 투명성과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접착성의 점에서, 우레탄 수지계 재료인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형의 열경화성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얻는다.
편광 필름과 보호층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시트(A)) 또는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시트(B))를 접착하는 접착제에는, 조광 염료를 용해시킨 접착제를 이용해도 되며, 이와 같은 조광 염료를 이용하여 제작된 편광 다층 시트는, 조광 기능도 아울러 가지는 편광 다층 시트가 되고, 무지개 모양의 발생이 억제되는 효과도 갖기 때문에 우수한 외관이 된다.
이어서, 편광 다층 시트에 굽힘 가공이 실시된다. 굽힘 가공의 방법에 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형상을 부여할 수 있는 공정을 거쳐 가공하면 된다. 편광 다층 시트의 굽힘 가공 조건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사출 성형에 이용하는 금형 표면을 따르도록 구부리고 있을 필요가 있고, 또한 편광 필름은 굽힘 가공에 있어서 연신 방향을 따른 균열, 이른바 막 절단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이들의 점에서, 편광 다층 시트의 굽힘 가공에 있어서의 금형 온도는 편광 다층 시트에 사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점 전후의 온도가 바람직하며, 더불어, 예열 처리에 의해 굽힘 가공 직전의 편광 다층 시트 온도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점보다 5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 미만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유리 전이점보다 4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보다 5℃ 낮은 온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 폴리카보네이트
본원 발명의 별도의 태양에서는, 편광 다층 시트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출된다. 한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굽힘 가공 후에 사출하여 편광 다층 렌즈를 성형하는 경우, 굴절률차에 의한 외관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출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접하는 면은 시트(A)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의 가공 조건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외관이 우수할 필요가 있고, 이 점에서, 금형 온도는 편광 다층 시트에 사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점보다 5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 미만의 온도가 바람직하고, 특히, 유리 전이점보다 4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보다 15℃ 낮은 온도 미만이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용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종류로서는 강도, 내열성 및 내구성으로부터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알케인이나 2,2-(4-하이드록시-3,5-다이할로게노페닐)알케인으로 대표되는 비스페놀 화합물로부터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으로부터 유도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다층 렌즈는, 금형 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하여 충전하기 때문에, 인서팅한 편광 다층 시트의 두께 불균일이 보이지 않게 된다고 하는 이점도 있어, 초점 굴절력을 가지지 않는 렌즈에 있어서도 내충격성, 외관이나 안정 피로에 대하여 특히 우수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사출 성형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다층 렌즈와 같이 금형 내에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충전하여 얻어지는 렌즈에 있어서는, 양면 각각의 금형의 표면 형상과 양면의 간격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성형된 렌즈의 양면 각각의 형상과 두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된 렌즈의 초점 굴절력, 프리즘 굴절력 및 상 변형이 원하는 값이 되도록 광학 설계에 기초하여 금형의 표면 형상과 양면의 간격이 설정된다.
성형된 렌즈의 표면 형상과 성형 시에 접하고 있었던 금형의 표면 형상은 많은 경우 동일하지만, 렌즈의 표면 형상에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금형 내에 충전한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고화될 때에 발생하는 체적 수축에 따른 렌즈 두께의 감소나 표면 형상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서, 양면 각각의 금형의 표면 형상과 양면의 간격을 적절히 미(微)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하드 코팅 처리
하드 코팅의 재질 또는 가공 조건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외관이나 하지(下地)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에 대하여, 또는 계속해서 코팅되는 미러 코팅이나 반사 방지 코팅 등의 무기층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서, 소성 온도는 편광 다층 시트에 사용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점보다 5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 미만의 온도가 바람직하고, 특히, 유리 전이점보다 40℃ 낮은 온도 이상 유리 전이점보다 15℃ 낮은 온도 미만인 120℃ 전후의 온도이며, 하드 코팅의 소성에 필요한 시간은 대략 30분 내지 2시간 사이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편광 다층 렌즈의 표면에는, 적절히, 하드 코팅, 반사 방지막 등이 형성되고, 이어서 옥접(玉摺), 천공, 나사 조임 등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되어 아이웨어(선글라스나 고글 등)가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기 실시예 중에서 기재되는Torr는 압력의 단위이며, 760Torr는 1atm(1기압)에 상당한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1의 제작)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15.46kg(35.26몰), 비스페놀 A 1.203kg(5.269몰), 다이페닐카보네이트 11.269kg(52.66몰), 및 탄산수소나트륨 0.02602g(3.097×10- 4몰)을 교반기 및 유출(留出) 장치 부착 50L 반응기에 넣고, 질소 분위기 760Torr(1기압)의 조건 하에서 1시간에 걸쳐 215℃로 가열하여 교반했다.
그 후, 15분간에 걸쳐 감압도를 150Torr로 조정하여, 215℃, 150Torr의 조건 하에서 20분간 유지하여 에스터 교환 반응을 행했다. 또, 37.5℃/hr의 속도로 240℃까지 승온시켜, 240℃, 150Torr의 조건 하에서 10분간 유지했다. 그 후, 10분간에 걸쳐 120Torr로 조정하여, 240℃, 120Torr의 조건 하에서 70분간 유지했다. 그 후, 10분간에 걸쳐 100Torr로 조정하여, 240℃, 100Torr의 조건 하에서 10분간 유지했다. 또, 40분간에 걸쳐 1Torr 이하로 하여, 240℃, 1Torr 이하의 조건 하에서 10분간 교반 하에 중합 반응을 행했다. 반응 종료 후, 반응기 내에 질소를 취입하여 가압으로 하고,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펠렛타이징하면서 발출했다.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Mw=56900, Tg=145℃였다. 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kg을 10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시키고, 수지에 대하여 고분자량 산화 방지제(상품명: IRGANOX 1010, BASF재팬제) 1000ppm을 첨가하고, 인계 산화 방지제(아데카 스타브 PEP-36, (주)ADEKA제) 500ppm을 첨가하고, 압출기에 의해 250℃에서 혼련하고, 펠렛타이징하여, 펠렛을 얻었다. 이 펠렛의 분자량(Mw)이 56100이었다.
해당 펠렛을 10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시킨 후, 실린더 온도 250℃, 다이 온도 250℃에서, 롤 온도 135℃에서 필름 성형하여, 두께가 300μm인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1을 얻었다. 얻어진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1은, 광탄성 계수가 37×10-12m2/N이고,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Re)이 3.6nm이며, 수증기 투과율이 17g/m2/day였다.
한편, 분자량(Mw), 유리 전이 온도(Tg), 두께, 광탄성 계수,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 및 수증기 투과율은, 이하와 같이 측정하고,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도 마찬가지로 했다.
<분자량(Mw)의 측정 방법>
상기 분자량(Mw)은, GPC(상품명: GPC System-21H, 쇼와덴코(주)제)를 이용하고, 클로로폼을 전개 용매로 하여, 기지의 분자량(분자량 분포=1)의 표준 폴리스타이렌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기초하여, GPC의 리텐션 타임으로부터 산출했다.
<유리 전이 온도(Tg)의 측정 방법>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는, 시차 주사 열량 분석계(DSC)(세이코인스트루먼츠(주)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두께의 측정 방법>
상기 두께는, 다이얼식 두께 게이지(상품명: 다이얼 스위프트 게이지 Q-1, 오자키제작소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광탄성 계수의 측정 방법>
상기 광탄성 계수는, 엘립소미터(상품명: M220, 니혼분코제)를 이용하여, 두께 100μm의 캐스트 필름에, 파장 633nm의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필름에 걸린 하중의 변화에 대한 복굴절의 변화를 측정하여 산출하는 것에 의해 측정했다.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Re)의 측정 방법>
상기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정의: 복굴절 Δn×두께 d)은, 엘립소미터(상품명: M220, 니혼분코제)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의 시트 또는 필름을 세팅하여 스캔하는 것에 의해 측정했다.
<수증기 투과율의 측정 방법>
상기 수증기 투과율은, L80-4000L(LYSSY AG ZLLIKON사제)을 사용하여, 40℃/90%RH 조건에서, JIS-K7209의 A법에 준하여 측정했다.
<해상도의 측정 방법>
미국 규격 ANSI-Z87.1 내 「14.10 Refractive Power, Resolving Power and Astigmatism Tests」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측정을 행했다. 해상도 차트로서는 도 4의 차트를 이용했다.
<무지개 모양의 관찰 방법>
광학적 변형의 측정 방법; 상기에서 얻어진 각 렌즈를 다음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시판 중인 형광등 스탠드(주백색(晝白色), 15Watt 구)를 편광도 99.5% 이상의 편광판으로 싸고, 편광판을 수평이 되도록 스탠드를 세팅했다. 이 위에 렌즈의 곡면 가공을 실시한 볼록면이 편광판에 접하도록 두었다. 렌즈를 그 상태로 회전시켜, 광학적 변형에 의한 간섭 줄무늬가 가장 명확하게 보이는 위치에서 육안으로 무지개 모양의 관찰을 행했다.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2의 제작)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13.22kg(30.10몰), 다이페닐카보네이트 6.14kg(28.7몰), 및 탄산수소나트륨 0.0152g(1.81×10- 4몰)을 교반기 및 유출 장치 부착 50리터 반응기에 넣고, 질소 분위기 760Torr 하에 1시간에 걸쳐 215℃로 가열하여 교반했다. 그 후, 15분에 걸쳐 감압도를 150Torr로 조정하여, 215℃, 150Torr의 조건 하에서 20분간 유지하여 에스터 교환 반응을 행했다. 또 37.5℃/hr의 속도로 240℃까지 승온시켜, 240℃, 150Torr에서 10분간 유지했다. 그 후, 10분에 걸쳐 120Torr로 조정하여, 240℃, 120Torr에서 70분간 유지했다. 그 후, 10분에 걸쳐 100Torr로 조정하여, 240℃, 100Torr에서 10분간 유지했다. 또 40분에 걸쳐 1Torr 이하로 하여, 240℃, 1Torr 이하의 조건 하에서 10분간 교반 하에 중합 반응을 행했다. 반응 종료 후, 반응기 내에 질소를 취입하여 가압으로 하고,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펠렛타이징하면서 발출했다.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펠렛 7kg(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15.94몰)과, 비스페놀 A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유피론 E-2000"(상품명: 미쓰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스사제)의 펠렛 0.59kg(비스페놀 A 2.32몰)을 잘 진탕하고, 압출기에 의해 260℃에서 혼련시켜 펠렛타이징하여, 블렌드 펠렛 5.4kg을 얻었다. 얻어진 블렌드 펠렛의 Tg는 148℃였다.
해당 블렌드 펠렛을 10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시킨 후, 실린더 온도 250℃, 다이 온도 250℃에서, 롤 온도 135℃에서 필름 성형하여, 두께가 300μm인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2를 얻었다. 얻어진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2는, 광탄성 계수가 37×10-12m2/N이고,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Re)이 3.2nm이며, 수증기 투과율이 19g/m2/day였다.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B의 제작)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21.95kg(50.0몰), 트라이사이클로[5.2.1.02,6]데케인다이메탄올 9.80kg(50.0몰), 다이페닐카보네이트 21.85kg(52.0몰), 및 탄산수소나트륨 2.5×10-3g(3×10- 5몰)을 교반기 및 유출 장치 부착 50L 반응기에 넣고, 질소 분위기 760Torr에서, 1시간에 걸쳐 215℃까지 가열하여 교반했다.
그 후, 15분간에 걸쳐, 감압도를 150Torr로 조정하여, 215℃, 150Torr의 조건 하에서 20분간 유지하여 에스터 교환 반응을 행했다. 또, 37.5℃/hr의 속도로 240℃까지 승온시켜, 240℃, 150Torr의 조건 하에서 10분간 유지했다. 그 후, 10분간에 걸쳐 120Torr로 조정하여, 240℃, 120Torr의 조건 하에서 70분간 유지했다. 그 후, 10분간에 걸쳐 100Torr로 조정하여, 240℃, 100Torr의 조건 하에서 10분간 유지했다. 또, 40분간에 걸쳐 1Torr 이하로 하여, 240℃, 1Torr 이하의 조건 하에서, 10분간 교반 하에 중합 반응을 행했다. 반응 종료 후, 반응기 내에 질소를 취입하여 가압으로 하고, 생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펠렛타이징하면서 발출했다.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자량(Mw)이 64500이며, 유리 전이 온도(Tg)가 125℃였다. 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kg을 10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시키고, 수지에 대하여 고분자량 산화 방지제(상품명: IRGANOX 1010, BASF재팬제) 1000ppm을 첨가하고, 인계 산화 방지제(아데카 스타브 PEP-36, (주)ADEKA제) 500ppm을 첨가하고, 압출기에 의해 250℃에서 혼련하고, 펠렛타이징하여, 펠렛을 얻었다. 이 펠렛의 분자량(Mw)이 63500이었다. 해당 펠렛을 10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시킨 후, 실린더 온도 250℃, 다이 온도 250℃에서, 롤 온도 135℃에서 필름 성형하여, 두께가 300μm인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B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B는, 광탄성 계수가 27×10-12m2/N이고,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이 4.8nm이며, 수증기 투과율이 15g/m2/day였다.
(편광 필름 A의 제작)
폴리바이닐알코올(쿠라레이주식회사제, 상품명: 쿠라레이 바이닐론 #750)을 클로란틴 패스트 레드(C. I. 28160) 0.25g/L, 크라이소페닌(C. I. 24895) 0.18g/L, 솔로페닐 블루 4GL(C. I. 34200) 1.0g/L 및 황산나트륨 10g/L를 포함하는 수용액 중 35℃에서 3분간 염색한 후, 용액 중에서 4배로 연신했다. 이어서 이 염색 시트를 아세트산니켈 2.5g/L 및 붕산 6.6g/L를 포함하는 수용액 중 35℃에서 3분 침지했다. 이어서 그 시트를 긴장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실온에서 3분 건조를 행한 후, 70℃에서 3분간 가열 처리하여, 편광 필름 A를 얻었다.
(사출 성형용 폴리카보네이트)
사출 성형용의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비스페놀 A형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미쓰비시엔지니어링플라스틱스사제 CLS3400)를 이용했다.
(실시예 1)
편광 필름 A의 한 면에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1(Tg=145℃), 다른 쪽의 면에 두께 0.3mm의 비스페놀 A형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미쓰비시가스화학사제. 리타데이션값 300nm. Tg=145℃)를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로 첩합하여, 편광 다층 시트를 제작했다.
이 편광 다층 시트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본 형상으로서는 직경 79.5mm의 원이며, 수직 방향의 폭이 55mm로 절단되는 형으로 스트립 형상으로서 타발하고, 베이스 커브 7.95(곡률 반경 66.67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굽힘 가공을 행하여, 도 2에 기재한 바와 같은 편광 다층 렌즈를 제작했다. 굽힘 가공에 있어서는 금형 온도 138℃, 유지 시간 120초의 조건에서 성형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베이스 커브란, 렌즈 전면의 곡률의 의미로 이용하고 있고, 530을 밀리미터 단위의 곡률 반경으로 나눈 값이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지개 모양은 관측되지 않고, 해상도는 12였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편광 다층 렌즈를 사출 성형용의 금형 내로 인서팅하고, 렌즈의 오목면측으로 용융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하여, 도 3에 기재한 바와 같은 편광 다층 렌즈를 제작했다. 사출 성형에 있어서는, 1회의 사출로 동시에 2개의 편광 다층 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베이스 커브 7.932(곡률 반경 66.81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계량값 40mm, 실린더 온도 300℃, 금형 온도 120℃, 사출 속도 25mm/sec, 유지 압력 60MPa, V-P 전환 위치 8mm의 조건에서 성형했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무지개 모양은 관측되지 않고, 해상도는 17이었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실시예 3)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1을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 다층 렌즈를 제작했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무지개 모양은 관측되지 않고, 해상도는 12였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제작한 편광 다층 렌즈를 사출 성형용의 금형 내로 인서팅하고, 렌즈의 오목면측으로 용융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하여, 도 3에 기재한 바와 같은 편광 다층 렌즈를 제작했다. 사출 성형에 있어서는, 1회의 사출로 동시에 2개의 편광 다층 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베이스 커브 7.932(곡률 반경 66.81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계량값 40mm, 실린더 온도 300℃, 금형 온도 120℃, 사출 속도 25mm/sec, 유지 압력 60MPa, V-P 전환 위치 8mm의 조건에서 성형했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무지개 모양은 관측되지 않고, 해상도는 17이었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비교예 1)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1(Tg=145℃)을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B(Tg=12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 다층 렌즈를 제작했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무지개 모양은 관측되지 않고, 해상도는 12 미만이었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제작한 편광 다층 렌즈를 사출 성형용의 금형 내로 인서팅하고, 렌즈의 오목면측으로 용융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하여, 도 3에 기재한 바와 같은 편광 다층 렌즈를 제작했다. 사출 성형에 있어서는, 1회의 사출로 동시에 2개의 편광 다층 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베이스 커브 7.932(곡률 반경 66.81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계량값 40mm, 실린더 온도 300℃, 금형 온도 120℃, 사출 속도 25mm/sec, 유지 압력 60MPa, V-P 전환 위치 8mm의 조건에서 성형했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무지개 모양은 관측되지 않고, 해상도는 12 미만이었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비교예 3)
두께 0.3mm, 리타데이션값 5500nm의 비스페놀 A형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미쓰비시가스화학사제. Tg=145℃)의 연신축과 편광 필름 A의 연신축이 함께 편광 다층 렌즈의 수평 방향이 되도록 편광 필름 A의 양면에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로 첩합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제작했다.
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본 형상으로서는 직경 79.5mm의 원이며, 수직 방향의 폭이 55mm로 절단되는 형으로 스트립 형상으로서 타발하고, 베이스 커브 7.95(곡률 반경 66.67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굽힘 가공을 행하여, 도 2에 기재한 바와 같은 편광 다층 렌즈를 제작했다. 굽힘 가공에 있어서는 금형 온도 138℃, 유지 시간 120초의 조건에서 성형했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무지개 모양은 관측되지 않고, 해상도는 12 미만이었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비교예 4)
비교예 3에서 제작한 편광 다층 렌즈를 사출 성형용의 금형 내로 인서팅하고, 렌즈의 오목면측으로 용융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하여, 도 3에 기재한 바와 같은 편광 다층 렌즈를 제작했다. 사출 성형에 있어서는, 1회의 사출로 동시에 2개의 편광 다층 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베이스 커브 7.932(곡률 반경 66.81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계량값 40mm, 실린더 온도 300℃, 금형 온도 120℃, 사출 속도 25mm/sec, 유지 압력 60MPa, V-P 전환 위치 8mm의 조건에서 성형했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무지개 모양은 관측되지 않고, 해상도는 12 미만이었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비교예 5)
편광 필름 A의 양면에 두께 0.3mm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미쓰비시가스화학사제. 리타데이션값 300nm)를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로 첩합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제작했다.
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시트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본 형상으로서는 직경 79.5mm의 원이며, 수직 방향의 폭이 55mm로 절단되는 형으로 스트립 형상으로서 타발하고, 베이스 커브 7.95(곡률 반경 66.67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굽힘 가공을 행하여, 도 2에 기재한 바와 같은 편광 렌즈를 제작했다. 굽힘 가공에 있어서는 금형 온도 138℃, 유지 시간 120초의 조건에서 성형했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지개 모양이 관측되고, 해상도는 12였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비교예 6)
비교예 5에서 제작한 편광 다층 렌즈를 사출 성형용의 금형 내로 인서팅하고, 렌즈의 오목면측으로 용융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하여, 도 3에 기재한 바와 같은 편광 다층 렌즈를 제작했다. 사출 성형에 있어서는, 1회의 사출로 동시에 2개의 편광 다층 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베이스 커브 7.932(곡률 반경 66.81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계량값 40mm, 실린더 온도 300℃, 금형 온도 120℃, 사출 속도 25mm/sec, 유지 압력 60MPa, V-P 전환 위치 8mm의 조건에서 성형했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무지개 모양이 관측되고, 해상도는 17이었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비교예 7)
편광 필름 A의 양면에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A1(Tg=145℃)을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로 첩합하여, 편광 다층 시트를 제작했다.
이 편광 다층 시트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본 형상으로서는 직경 79.5mm의 원이며, 수직 방향의 폭이 55mm로 절단되는 형으로 스트립 형상으로서 타발하고, 베이스 커브 7.95(곡률 반경 66.67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굽힘 가공을 행했다. 굽힘 가공에 있어서는 금형 온도 138℃, 유지 시간 120초의 조건에서 성형했다. 계속해서, 사출 성형용의 금형 내로 인서팅하고, 렌즈의 오목면측으로 용융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하여, 편광 다층 렌즈를 제작했다. 사출 성형에 있어서는, 1회의 사출로 동시에 2개의 편광 다층 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베이스 커브 7.932(곡률 반경 66.81mm)의 금형을 이용하여, 계량값 40mm, 실린더 온도 300℃, 금형 온도 120℃, 사출 속도 25mm/sec, 유지 압력 60MPa, V-P 전환 위치 8mm의 조건에서 성형했다. 편광 다층 렌즈의 무지개 모양 관찰과 해상도 측정을 행한 결과, 무지개 모양은 관측되지 않고, 해상도는 17이었지만, 사출 성형 시에 용융된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서 유래하는 흐름 모양이 확인되어, 외관이 나쁜 렌즈였다. 계속해서, 형상 가공을 행하여 테두리를 부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편광 아이웨어를 제작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7에서 제작한 아이웨어의 무지개 모양 관찰 결과, 해상도 및 사출 성형의 유무를 하기에 나타낸다. 한편, 여기에서 Tg는 유리 전이 온도이며, Re는 리타데이션의 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15023598793-pct00011
Figure 112015023598793-pct00012
1: 편광 필름
2: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3: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4, 5: 접착층
6: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Claims (13)

  1. 편광 필름의 한쪽 면에, 하기 화학식 A 또는 B로 표시되는 방향족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포스젠 또는 탄산 다이에스터에 의해 카보네이트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이 2000nm 이하인 시트(A)를 적층하고,
    상기 편광 필름의 다른 쪽 면에,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탄산 다이에스터에 의해 카보네이트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고, 상기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70∼10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시트(B)를 적층한 편광 다층 시트를 굽힘 가공하여 얻어진, 편광 렌즈를 이용한 아이웨어.
    [화학식 A]
    Figure 112019042040105-pct00024

    [화학식 B]
    Figure 112019042040105-pct00025

    Figure 112019042040105-pct00026

    (상기 화학식 A 및 B 중, R3과 R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할로젠이며, R3과 R4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또한, m 및 n은 치환기수를 나타내고 0∼4의 정수이다. R5 및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며, R5와 R6이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42040105-pct00013

    (상기 화학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알콕실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콕실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옥시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중,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8의 알킬렌기, 탄소수 5∼12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0∼95몰%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아이웨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가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뿐이고, 해당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0∼95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나머지 20∼5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인, 아이웨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가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특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100몰%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구성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고, 상기 시트(B)에 포함되는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80∼95몰%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아이웨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B)의 유리 전이점과 상기 리타데이션값이 2000nm 이하인 시트(A)의 유리 전이점의 온도차가 10℃ 이하인, 아이웨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R1 및 R2가 수소 원자이고, X가 에틸렌기인, 아이웨어.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아이웨어.
    [구조식 1]
    Figure 112015023598793-pct00014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아이웨어.
    [화학식 2]
    Figure 112015023598793-pct00015

    (화학식 2 중, Y는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4∼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트라이사이클로[5.2.1.02,6]데케인다이메탄올, 사이클로헥세인-1,4-다이메탄올 및 펜타사이클로펜타데케인다이메탄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아이웨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트라이사이클로[5.2.1.02,6]데케인다이메탄올인, 아이웨어.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B)의 파장 600nm에서의 리타데이션값이 20nm 이하인, 아이웨어.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B)측의 면이 볼록면이 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굽힘 가공을 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웨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오목면측으로 추가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아이웨어.
KR1020157006269A 2012-08-14 2013-08-12 특수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아이웨어 KR102038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9788 2012-08-14
JPJP-P-2012-179788 2012-08-14
PCT/JP2013/071756 WO2014027633A1 (ja) 2012-08-14 2013-08-12 特殊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アイウェ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406A KR20150043406A (ko) 2015-04-22
KR102038176B1 true KR102038176B1 (ko) 2019-10-29

Family

ID=5068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269A KR102038176B1 (ko) 2012-08-14 2013-08-12 특수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아이웨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09702B2 (ko)
EP (1) EP2887130A4 (ko)
JP (1) JP6290082B2 (ko)
KR (1) KR102038176B1 (ko)
CN (1) CN104541195B (ko)
TW (1) TWI592714B (ko)
WO (1) WO2014027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9061B1 (en) * 2014-12-04 2020-11-0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A lens with a functional sheet including polyester resin
DE102015016877A1 (de) * 2015-12-30 2017-07-06 Krd Sicherheitstechnik Gmbh Scheibe
US10737471B2 (en) 2016-03-10 2020-08-1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Synthetic resin laminate having photochromic properties and lens using same
CN107786933B (zh) * 2016-08-31 2020-06-30 大原博 预热成型的喇叭振动片制造方法
CA3043642C (en) * 2016-12-30 2021-03-02 Krd Sicherheitstechnik Gmbh Composite pane having a reduced dioptre value
WO2018151199A1 (ja) * 2017-02-15 2018-08-2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偏光性積層体
WO2019145782A2 (en) * 2018-01-23 2019-08-01 Clear and Dark Lt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optical articles, and optical articles formed by the same
JP7000236B2 (ja) * 2018-04-09 2022-01-19 帝人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積層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341A (ja) * 2000-04-20 2001-10-31 Tsutsunaka Plast Ind Co Ltd 偏光板及び偏光レンズ
JP2005025149A (ja) * 2003-06-12 2005-01-27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板
JP2005031611A (ja) * 2003-06-16 2005-02-03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903A (ja) 1989-04-27 1991-02-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防眩用ポリカーボネート偏光板
JP3372665B2 (ja) 1994-08-12 2003-02-04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用ポリカーボネート製偏光レンズ
US5486577A (en) * 1995-03-21 1996-01-23 The Dow Chemical Company Blends of diaryl fluorene carbonate polymers with bisphenol A carbonate polymers
JPH08313701A (ja) 1995-05-16 1996-11-29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性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製セミフィニッシュレンズ
JP4178350B2 (ja) * 1998-09-29 2008-11-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新規な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
KR100822689B1 (ko) 2001-06-01 2008-04-17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포토크로믹 특성 및/또는 편광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체
JP4196326B2 (ja) 2002-06-12 2008-12-1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
JP4281998B2 (ja) * 2003-06-06 2009-06-1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095337B1 (ko) * 2003-11-26 2011-12-16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JP5245824B2 (ja) 2006-06-05 2013-07-2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光学レンズ
JP2008163194A (ja) 2006-12-28 2008-07-17 Mitsubishi Gas Chem Co Inc 光学フィルム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
JP2009294445A (ja) * 2008-06-05 2009-12-17 Yamamoto Kogaku Co Ltd 偏光性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JPWO2011049108A1 (ja) * 2009-10-21 2013-03-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機能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ンズ
JP5760396B2 (ja) 2010-11-10 2015-08-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位相差フィルム、並びに、これらの使用方法
EP3229061B1 (en) * 2014-12-04 2020-11-0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A lens with a functional sheet including polyester res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341A (ja) * 2000-04-20 2001-10-31 Tsutsunaka Plast Ind Co Ltd 偏光板及び偏光レンズ
JP2005025149A (ja) * 2003-06-12 2005-01-27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板
JP2005031611A (ja) * 2003-06-16 2005-02-03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406A (ko) 2015-04-22
US9709702B2 (en) 2017-07-18
CN104541195B (zh) 2016-08-10
CN104541195A (zh) 2015-04-22
TW201423203A (zh) 2014-06-16
EP2887130A4 (en) 2016-04-13
US20150205011A1 (en) 2015-07-23
JP6290082B2 (ja) 2018-03-07
WO2014027633A1 (ja) 2014-02-20
EP2887130A1 (en) 2015-06-24
TWI592714B (zh) 2017-07-21
JPWO2014027633A1 (ja)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176B1 (ko) 특수 폴리카보네이트제 편광 아이웨어
JP668028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そ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成形体
US9857516B2 (en) Front plate of T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587617B2 (ja) 光弾性定数の低い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フィルム
TW201137001A (en) Polarizing plate
TWI534457B (zh) Polarized polycarbonate polarizing lens
TW201602656A (zh) 相位差薄膜、圓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KR102574566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또는 공중합체, 및 광학 필름
US9817262B2 (en) Front plate of TN liquid crystal panel
CN108350262B (zh) 树脂组合物以及含有其的光学透镜、片和膜
JP2018128568A (ja)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WO2017203852A1 (ja) 光学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むメガネレンズ及びカメラレンズ
US10816699B2 (en) Functional sheet including polyester resin, and lens using functional sheet
JP2013200514A (ja) 偏光レンズの製造方法、偏光レンズ、防眩製品および防護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