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390B1 -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psa - Google Patents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ps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390B1
KR102036390B1 KR1020147013666A KR20147013666A KR102036390B1 KR 102036390 B1 KR102036390 B1 KR 102036390B1 KR 1020147013666 A KR1020147013666 A KR 1020147013666A KR 20147013666 A KR20147013666 A KR 20147013666A KR 102036390 B1 KR102036390 B1 KR 102036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eight
melt adhesive
adhesive
copoly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558A (ko
Inventor
에크하르트 퓌르크너
앙니 세이르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4009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47/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7Block-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5 내지 70 중량% 의, 메탈로센-촉매작용 중합에 의해 블록 공중합체로서 수득가능한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 및 하나 이상의 C4 내지 C20 α-올레핀 기재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 10 내지 70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점착제용 수지, 0 내지 40 중량% 의 추가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저장-안정성 핫-멜트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할당 %의 합은 100% 이 되어야 하며, 점착제용 수지는 완전 또는 부분적 연질 수지이다.

Description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PSA {PSA CONTAINING OLEFIN BLOCK COPOLYMERS AND STYRENE BLOCK COPOLYMER}
본 발명은 추가적인 첨가제와 함께 감압성 접착제로서 적합한,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여 제조되는 핫-멜트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모든 종류의 재료를 접착하여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핫-멜트 접착제가 널리 공지되어 있다. EP 0 912 646 에는, 하나 이상의 C3 내지 C20 α-올레핀 단량체와 함께 에틸렌의 본질적으로 선형인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것으로 기재된 핫-멜트 접착제가 기재되어 있다. WO 00/00565 는 또한 선형 α-올레핀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여 제조되는 핫-멜트 접착제를 기재하고 있다. 일반적인 보조 구성성분들, 예를 들어 점착제용 수지 (tackifying resin), 왁스, 추가적인 상이한 중합체들,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가소제 또는 여타 첨가제들이 그곳에 기재되어 있다. 종이 및 판지 재료의 접착 결합이 의도하는 용도로 기재되었을 뿐만 아니라 접착 테이프 또는 제본으로서의 용도도 기재되어 있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선택된 C2-α-올레핀 공중합체 기재의 접착제는 WO 2006/102150 에 기재되어있다. 그러한 공중합체 및 그의 제법이 또한 예를 들어 WO 2005/090426 에 기재되어 있다. 그와 관련하여 특정 촉매 및 전달 화합물이 언급되어 있다. 그러한 제품에 추가하여, 접착제가 또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 접착제의 구성성분들의 조성, 그의 특성 및 그의 특정 적용은 목록, 열거의 형태로만 제공되어 있으며, 달성되는 결과로서 언급되어 있다. 특별한 접착제 조성의 명료한 개시내용은 제공되어 있지 않다. 다양한 일반적인 특성, 특히 점도가 기재되어 있다.
WO 2005/028584 에는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함유하는 핫-멜트 접착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중합체는 149℃ 의 온도에서 9000 mPas 이하의 점도를 갖고 있어야 하며, 핫-멜트 접착제 자체의 점도는 2000 mPas 미만이어야 한다.
US 2008/0281037 에서, 중합체 및 핫-멜트 접착제, 특히 메탈로센 촉매반응에 의해 제조된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혼합물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핫-멜트 접착제는 공지된 올레핀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올레핀 공중합체가 광범위하게 다변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널리 시판되어 입수가능하다. 이들은 광범위한 특성을 갖고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탄성 중합체이다. 그러나, 올레핀 공중합체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는 충분히 상용적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그로 인해 그러한 혼합물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저장안정성도 없고 용융시 접착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그 중합체는 부분적인 탈혼합 상태에 있게 되며, 이어 이들은 표면에 적용될 수 없거나 또는 표면에서 이동하여 이후 기판에 대한 접착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는, 그러한 혼합물들이 영구적인 점착성 감압성 접착제로서는 부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우수한 영구적인 감압성 접착성이 존재한다는 확신을 줄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비-점착 표면을 결과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소제에 의해 점착성이 증가되는 경우, 결합성이 감소되어 접착층이 찢어지고, 접착 결합은 실패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핫-멜트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핫-멜트 접착제는 박층 및 온도-민감성 기판에의 적용을 가능케 하는 적절한 점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결과물로 수득하게 되는 층들은 접착제의 저장으로 악화되지 않는 접촉 접착 특성을 나타내야 한다. 여기서, 접착층은 결합시 우수한 탄성 거동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목적은 하기를 함유하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달성된다: (i) 15 내지 70 중량% 의, 임의로 메탈로센-촉매작용 중합에 의해 블록 공중합체로서 수득가능한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 및 하나 이상의 C4 내지 C20 α-올레핀 기재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 (ii) 10 내지 70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점착제용 수지, (iii) 0 내지 40 중량% 의 추가적인 첨가제 및 가소제, 여기서 백분율 할당값의 합은 100% 이 되어야 하며, 점착제용 수지는 50℃ 미만의 온도에서 액체인 완전 또는 부분적 연질 수지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대상은 감압성 층 제조를 위한 코팅막, 테이프, 라벨 및 여타 평평한 기판을 위한 그러한 핫-멜트 접착제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대상은 필름, 접착 테이프 및 라벨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한 측면에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의 감압성 접착제 층을 보유한 것이다.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C3 내지 C20 α-올레핀 기재의 올레핀 공중합체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접착제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그러한 폴리올레핀은 메탈로센 촉매반응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는 C4 내지 C20 α-올레핀과 함께 에틸렌 기재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중합체를 이용한다.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에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단량체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공중합가능한 것으로 공지된 올레핀 불포화 단량체이다. 이들은 특별하게는 C4 내지 C20 α-올레핀, 예컨대 부텐, 헥센, 메틸펜텐, 옥텐; 고리형 불포화 화합물, 예컨대 노르보르넨 또는 노르보르나디엔; 대칭 또는 비대칭 치환 에틸렌 유도체로서, C1 내지 C12 알킬 잔기가 적합한 치환기인 것; 및 임의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들은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삼원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들은 또한 추가적인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하기에서, 공중합체는 두가지를 초과하는 단량체의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α-올레핀 공단량체의 양은 20% 미만이어야 한다.
또다른 구현예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기재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미량의 C4 내지 C20 α-올레핀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들은 마찬가지로 메탈로센 촉매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필렌의 분율은 60 중량% 초과이며, 특히 프로필렌의 분율이 70 중량% 을 초과한다. 미량의 여타 α-올레핀 단량체가 임의로 포함될 수 있고, 그 양은 5% 미만이 되어야 할 것이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가 특히 적합하다.
그렇게 수득되는 (공)중합체는 2,000 내지 250,000 g/mol, 특히 5,000 내지 100,000 g/mol (수평균 분자량, Mn 은 GPC 에 의해 결정됨) 의 분자량을 갖는다. 그러한 (공)중합체는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w/Mn 로 표현되는 분자량 분포는 2.5, 예를 들어 특히 2.3 미만이어야 한다. 그러한 중합체는 문헌에 공지되어 있으며, 다양한 제조사로부터 시판되어 입수가능할 수 있다. 예시의 적합한 중합체는 상품명 Vistamax® 또는 Infuse® 로 시판되어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블록은 상이한 단량체 조성을 보유한다. 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핫-멜트 접착제는 1 개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고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 공중합체는 2 개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고 있다. 첫번째 유리 전이 온도 (Tg) (DTA 로 측정) 는 -100 내지 0℃, 특히 -80 내지 -10℃ 의 범위에 있다. 두번째 유리 전이 온도는 특히 -100℃ 미만이다.
특별하게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이용한 촉매반응으로 제조되는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가 적합하다. 상기 중합체의 용융 지수는 5 g/10 min 내지 200 g/10 min, 바람직하게는 100 g/10 min (190℃, 2.16 kg 에서 측정, DIN ISO 1133) 이하이어야 한다. 중합체의 연화점은 130℃ 초과, 특히 160℃ 초과가 되어야 한다. 상기 공중합체의 양은 핫-멜트 접착제를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 특히 15 내지 30 중량% 의 범위여야 한다. (공)중합체는 한가지 중합체에 관한 것일 수 있으나, 또한 혼합물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접착제 (PSA) 는 추가적인 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틱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해야 한다. 이원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원블록 공중합체 및 삼원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이 채용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삼원블록 공중합체가 채용된다. 그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열악하다.
다양한 유형의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고려될 수 있다.
이들의 예시는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SIS),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SIBS),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SBS), 이들 공중합체의 수소첨가된 형태, 예컨대 SBBS, SEBS, SEPS, SIPS 또는 이들의 혼합물 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이원블록 공중합체이다. 그러한 중합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시판되어 입수가능하다. 이들은 10,000 내지 500,000 g/mol, 특히 70,000 내지 300,000g/mol 의 분자량 (Mn) 을 갖는다. 특히, 수소첨가되지 않은 형태가 바람직하다.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양은 핫-멜트 접착제를 기준으로 3 내지 35 중량%, 특히 5 내지 25 중량% 의 범위이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양은 접착제의 탄성에 영향을 준다. 블록 공중합체의 양이 너무 많으면, 접착제는 지나치게 탄성이 되며, 가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나아가, 비상용성이 갈수록 더 많이 증가하여 관찰되어 열악한 접착제 특성을 유도하게 된다. 그 양이 너무 적으면, 접착층의 접착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접착제는 추가적인 구성요소로서 하나 이상의 점착제용 수지를 포함한다. 수지는 접착제에 추가적인 점착성을 유발한다. 이는 1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의 양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50℃ 미만에서 액체이거나 또는 유동가능한 연질 수지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는 드롭핑 포인트 (dropping point) 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수지는 방향족, 지방족 또는 고리형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뿐만 아니라 개질되거나 또는 수소첨가된 유도체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상 채용될 수 있는 여타 수지는 폴리테르펜 수지, 페놀계 또는 방향족 개질 폴리테르펜 수지, 개질된 천연 수지, 예컨대 발삼계 수지, 톨유 (tall oil) 수지 또는 우드 로진 (wood rosin), 임의로는 또한 아비톨 (hydroabietyl alcohol) 및 그의 에스테르, 아크릴산 공중합체, 예컨대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관능성 탄화수소 수지 기재의 수지이다.
일반적 수지는 2,000 g/mol 미만, 특히 1,500 g/mol 미만의 낮은 분자량을 갖고 있다. 이들은 화학적으로 불활성일 수 있거나, 또는 임의로는 예를 들어 OH 기, 카르복실기 또는 이중 결합과 같은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50℃ 미만, 특히 35℃ 미만의 드롭핑 포인트를 갖고 있는 연질 수지가 선택된다 (ASTM D-3104 에 따른 Mettler 드롭핑 포인트). 추가적인 수지로서, 70 내지 130℃ (링앤볼 방법 (ring and ball method), DIN 52011) 의 연화점을 갖고 있는 수지가 또한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진 및 특별하게는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첨가된 탄화수소 수지가 채용된다. 그와 관련하여, 실온에서 고체인 수지의 양은 수지의 전체량의 50% 이하일 수 있다.
가소제는 바람직하게는 점도 또는 유연성 조정에 이용되며, 일반적으로 0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중량% 의 농도로 포함된다. 적합한 무극성 가소제에는 합성 오일, 파라핀 오일, 나프텐 오일 또는 폴리이소부틸렌이 포함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의약용 화이트 오일 (medicinal white oil), 나프텐 미네랄 오일,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올리고머, 수소첨가된 폴리이소프렌- 및/또는 폴리부타디엔 올리고머, 파라핀계 탄화수소 오일에 관한 것이다.
높은 점착성 및 우수한 접착성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연질 수지 및 가소제의 총합이 10 내지 3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핫-멜트 접착제는 예를 들어 접착력, 점도, 연화점 또는 가공 점도와 같은 접착제의 특정한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첨가제를 함유한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안정화제, 왁스, 접착 촉진제,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착색 안료, 유변학적 작용제 (rheological agent) 또는 유사한 첨가제가 고려된다. 그 양은 15 중량% 이하여야 한다. 여러 첨가제가 또한 혼합물로서 혼입될 수 있다. 추가로, 필러가 혼입되어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글리세린, 벤조에이트 또는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또는 폴리글리콜 에테르와 같은 미량의 가소제가 또한 특성 조정을 위해 채용될 수 있다.
0 내지 5 중량% 의 양의 왁스가 임의로는 감압성 핫-멜트 접착제에 첨가될 수 있다. 그 양은 한편으로는 점도가 조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접착성에 불리하게 영향을 주지 않도록 측정된 것이다. 왁스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일 수 있다. 채용가능한 천연 왁스는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이고; 미네랄 왁스 또는 석유화학계 왁스가 합성 왁스로 채용가능하다. 그러나,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함유되지 않는다.
안정화제는 또다른 군의 첨가제이다. 이들은 중합체가 가공 동안 분해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산화방지제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감압성 핫-멜트 접착제에 3 중량% 이하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1 중량% 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한 첨가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당업자는 핫-멜트 접착제의 원하는 특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핫-멜트 접착제는 접착 촉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접착 촉진제는 핫-멜트 접착제의 결합될 기판에 대한 접착성을 개선하는 물질이다. 특히, 접착 촉진제는 습한 분위기의 영향 하에 접착성 결합의 노화 거동을 개선시키려는 의도의 것이다. 전형적인 접착 촉진제는 예를 들어, 에틸렌/아크릴아미드 공단량체, 중합체성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유기규소 화합물 또는 인 유도체이다. 이들은 또한 접착제의 습윤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판에 대한 접착 거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감압성 핫-멜트 접착제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15 내지 30 중량% 의,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 및 임의로는, 메탈로센-촉매작용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하나 이상의 C4 내지 C20 α-올레핀 기재의 블록 공중합체, 및 5 내지 35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내지 35 중량% 의, 50℃ 미만에서 액체인 하나 이상의 점착제용 수지, 0 내지 25 중량% 의 무극성 가소제 뿐만 아니라, 0 내지 15 중량% 의 여타 첨가제를 함유하며, 여기서 백분율 할당값의 총합은 100% 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핫-멜트 접착제는 용융시 블렌딩함으로써 공지된 공정으로 제조된다. 이와 관련하여, 모든 구성성분들을 채워 넣고, 동시에 함께 가열한 후 균질화할 수 있거나, 또는 더 낮은 용융 구성성분들을 채워넣고 블렌딩한 다음 추가적인 수지 구성성분들을 첨가할 수 있다. 압출기에서 핫 멜트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합한 핫-멜트 접착제는 고체이며, 불순물, 용매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핫-멜트 접착제의 점도는 적용 온도에서 측정하여 3,000 내지 50,000 mPas,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30,000, 특히 10,000 mPas 초과이다. 이는 140 내지 190℃ 이다 (Brookfield, EN ISO 2555, 언급한 온도에서 측정).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핫-멜트 접착제는 모든 종류의 재료 접착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폴리올레핀 필름과 같은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올레핀 부직포,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우레탄 폼,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폴리락타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스테르 아미드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용융 접착제가 기판에 적용된 후, 제 2 의 기판에 접착제로 붙일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를 담체에 대한 접착층에 적용한다. 담체는 접착 테이프로도 적합한 공지된 유연성 필름과 관련된 것이다. 그러한 비점착 필름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해 표면의 한측 또는 양측에 코팅된다. 적용된 접착제의 층 두께는 예를 들어 50 내지 500 g/m2 (약 50 내지 500 ㎛) 의 범위이다. 층 두께는 특히 100 내지 350 g/m2 이다.
그러한 접착성 층들은 담체 재료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을 보유한다. 그러한 담체 필름은 일반적으로 감압성 접착제층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비-점착 코팅 지지 측면을 보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 접착제 사용의 특별한 카테고리는 자체-접착 필름, 테이프 또는 라벨의 접착제층을 이용한 코팅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기재로 하는 테이프 또는 필름이 본 발명의 적합한 핫-멜트 접착제로 코팅된다. 그러한 경우, 적절한 접착제를 선택함으로써 영구적으로 점착성인 접착제층이 수득된다. 이어서, 그러한 재료는 변환될 수 있다. 영구적인 접착성 필름, 라벨 및 테이프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렇게 수득되는 자체-접착성 표면은 임의로는 비-접착성 코팅 재료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탁하다. 실온에서, 1 cm 두께 층이 탁하다. 그러나, 개별 성분들이 흘러나오는 일은 없어, 미결합층 또는 접착제로 결합된 기판들에 대한 결합력은 감소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용융 상태에서 안정하며, 더 긴 저장 시간 동안 용융 상태에서 상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접착제는 우수한 점착성을 나타낸다. 층들은 탄성이며, 우수한 접착성 결합을 나타낸다. 두가지 블록 공중합체가 상 분리를 유도하지 않는 안정한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높은 접착성이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막 적용을 위한 코팅으로서 공지되었다. 해당하는 코팅 제품들은 수많은 적용 영역, 예를 들어 위생용 제품 또는 의약용 적용예에서 포장을 위한 부정 조작 방지 밀봉제용 접착제 테이프 또는 라벨, 다중층 필름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20 부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Infuse D 9808) OBC
5 부 SBS (Kraton D 1118)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부 IS (Kraton D 1126)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30 부 수지 (Escorez 5320)
10 부 연질 수지, (Sylvatac RE12) 액체 수지
20 부 나프텐 오일 (Nyflex 222B)
1 부 안정화제 (Irganox B 225) 산화방지제
점도: 27 500 mPas, 150℃
점도: 15 300 mPas, 170℃
박층에서, 접착체는 고체 또는 용융 상태에서 탁했다 (시각적 평가).
지지 필름 (backing film) (PE, 50 ㎛) 을 약 250 g 로 코팅했다.
일단 냉각되면, 필름을 유리판에 결합시키고, 롤러 (1 kg) 로 밀어서 24 시간 동안 25℃ 에서 저장했다. 이어서, 결합력을 정한 시간에 측정했다.
20 분 50 N / 25 mm
24 시간 60 N / 25mm
3 일 60 N / 25 mm
저장 후에도 결합성은 남아있었고, 비상용적 구성성분들이 흘러나오는 일이 없었다.
비교예 2:
20 부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Infuse D 9808) OBC
8 부 SBS (Kraton D 1118)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8 부 SIS (Kraton D 1126)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43.5 부 수지 (Regalite R 1125)
20 부 폴리이소부틸렌 (Parapol 1300)
0.5 부 안정화제 (Irganox B 225) 산화방지제
점도: 51 200 mPas, 170℃
박막에서, 접착제는 고체 또는 용융 상태에서 탁했다 (시각적인 평가).
코팅된 막의 결합력이 낮다 (루프 택으로 측정, ASTM D 6195).
비교예 3:
20 부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Infuse D 9808) OBC
5 부 SBS (Kraton D 1118)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부 SIS (Kraton D 1126)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40 부 수지 (Escorez 5320)
10 부 수지 (Foral 85)
10 부 나프텐 오일 (Nyflex 222B)
0.5 부 안정화제 (Irganox B 225) 산화방지제
점도: 42 700 mPas, 150℃
점도: 19 200 mPas, 170℃
코팅된 막 (루프 택) 의 결합력이 낮았다.

Claims (10)

  1. 하기를 함유하는 핫-멜트 접착제:
    - 15 내지 70 중량% 의, 메탈로센-촉매작용 중합에 의해 블록 공중합체로서 수득가능한 에틸렌 및/또는 프로필렌 및 하나 이상의 C4 내지 C20 α-올레핀 기재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
    - 10 내지 70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점착제용 수지 (tackifying resin),
    - 0 내지 40 중량% 의 추가적인 첨가제,
    여기서 할당 % 의 합은 100% 이 되어야 하며, 점착제용 수지는 50℃ 미만의 온도에서 액체인 완전 또는 부분적 연질 수지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용 연질 수지가 35℃ 미만의 드롭핑 포인트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수소첨가되지 않은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실온에서 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의 점도가 3,000 mPas 내지 50,000 mPas (150℃ 에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6. 제 1 항에 있어서, 합성 오일, 파라핀 오일, 나프텐 오일 또는 폴리(이소부틸렌) 오일을 포함하는 무극성 가소제가 가소제로서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SIS, SBS 또는 SIBS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8. 제 1 항에 있어서, 15 내지 30 중량% 의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5 내지 35 중량% 의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내지 35 중량% 의 액체 점착제용 수지 및 25 내지 0 중량% 의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코팅막, 테이프 또는 라벨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
KR1020147013666A 2011-11-22 2012-11-22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psa KR102036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6845A DE102011086845A1 (de) 2011-11-22 2011-11-22 PSA enthaltend Olefinblockcopolymeren und Styrolblockcopolymere
DE102011086845.3 2011-11-22
PCT/EP2012/073293 WO2013076175A1 (de) 2011-11-22 2012-11-22 Psa enthaltend olefinblockcopolymeren und styrolblockcopolyme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558A KR20140094558A (ko) 2014-07-30
KR102036390B1 true KR102036390B1 (ko) 2019-10-24

Family

ID=4722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666A KR102036390B1 (ko) 2011-11-22 2012-11-22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psa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732258B2 (ko)
EP (1) EP2782969B1 (ko)
JP (1) JP6152385B2 (ko)
KR (1) KR102036390B1 (ko)
CN (1) CN103946332B (ko)
BR (1) BR112014012114A8 (ko)
CA (1) CA2856710C (ko)
DE (1) DE102011086845A1 (ko)
ES (1) ES2828480T3 (ko)
IN (1) IN2014CN03686A (ko)
MX (1) MX354708B (ko)
PT (1) PT2782969T (ko)
WO (1) WO20130761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028A (ko) * 2017-02-08 2019-10-10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클리어 온 클리어 라벨용 핫멜트 감압 접착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9962A (zh) * 2013-12-04 2014-04-09 浙江固特热熔胶有限公司 鞋胶及其生产方法
CN104031586A (zh) * 2014-05-29 2014-09-10 浙江固特热熔胶有限公司 高低温通用型热熔压敏胶及其制备方法
CN104610891A (zh) * 2015-01-29 2015-05-13 广东聚胶粘合剂有限公司 一种具有优异热稳定性的热熔压敏胶
CN104910841A (zh) * 2015-03-27 2015-09-16 广东聚胶粘合剂有限公司 一种抗反渗热熔压敏胶
AR104645A1 (es) * 2015-05-29 2017-08-0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ción adhesiva para película de múltiples capas que puede volver a cerrarse
WO2017003600A1 (en) * 2015-06-30 2017-01-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dhesive promoters and methods for use on polar textile to bond non-polar substrates
WO2017176997A1 (en) * 2016-04-08 2017-10-12 Avery Dennison Corporation Clear hot melt adhesives
DE102016220263A1 (de) * 2016-10-17 2018-04-19 Clariant Plastics & Coatings Ltd Haftklebstoffe
TWI781221B (zh) 2017-09-22 2022-10-21 美商陶氏全球科技有限責任公司 用於可再閉合包裝之組合物及多層膜
WO2019180647A1 (en) * 2018-03-21 2019-09-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temperature resistant masking adhesive composition
JP7479301B2 (ja) 2018-06-13 2024-05-08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低分子量プロピレン系ポリマーおよびオレフィンマルチブロックコポリマー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261405B1 (ko) * 2019-06-18 2021-06-09 (주)대양산업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CN110616056B (zh) * 2019-10-16 2021-05-04 亿铖达(深圳)新材料有限公司 一种热熔型可剥胶
CN112375511B (zh) * 2020-11-04 2022-03-29 江苏锦厚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930197A (zh) * 2021-10-20 2022-01-14 烟台德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软包锂电池电芯固定用热熔胶膜、包含其的热熔胶带及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2523A2 (en) * 2009-08-20 2011-02-24 Henkel Corporation Low application temperature hot melt adhesiv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063A (ja) * 1994-05-19 1995-11-28 Sekisui Chem Co Ltd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ID17196A (id) * 1996-03-14 1997-12-11 Dow Chemical Co Bahan-bahan perekat yang mengandung polimer-polimer olefin
ATE228554T1 (de) 1996-07-22 2002-12-15 Dow Chemical Co Heissschmelzklebstoffe
CA2336343A1 (en) 1998-06-30 2000-01-06 Kevin Mckay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homogeneous ethylene interpolymer and block copolymer
US6657000B1 (en) * 1999-06-25 2003-12-02 Kraton Polymers U.S. Llc Hot melt pressure sensitive positioning adhesive (III)
JP2002220572A (ja) * 2001-01-25 2002-08-09 Dainippon Ink & Chem Inc 再剥離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生理用品
ATE455832T1 (de) 2003-08-19 2010-02-1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nterpolymere zur verwendung für schmelzklebstoff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R048104A1 (es) 2004-03-17 2006-03-2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cion catalizadora que comprende un agente de enlace para la formacion de copolimeros superiores de olefina en bloques multiples
CA2601273A1 (en) 2005-03-17 2006-09-2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dhesive and marking compositions made from interpolymers of ethylene/alpha-olefins
DE102006039833A1 (de) * 2006-08-25 2008-03-20 Henkel Kgaa Schmelzklebstoff mit verbesserter Haftung
JP2009185122A (ja) * 2008-02-04 2009-08-20 Prime Polymer Co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009242533A (ja) * 2008-03-31 2009-10-22 Henkel Japan Ltd ホットメルト接着剤
DE102008026672A1 (de) * 2008-06-04 2009-12-10 Tesa Se Klebstoff aus Polypropylenharz
DE102008045802A1 (de) * 2008-09-05 2010-03-11 Henkel Ag & Co. Kgaa Schmelzklebstoff auf Basis von Metallocene-katalysierten Olefin-α-Olefin Copolymeren
US20110021102A1 (en) * 2009-03-31 2011-01-27 Kentarou Inoue Hot Melt Adhesive
CA2768970C (en) * 2009-07-24 2018-06-05 Bostik, Inc. Hot melt adhesive based on olefin block copolymers
EP2290029A1 (de) * 2009-08-26 2011-03-02 Sika Technology AG Heissschmelzklebstoffe mit verbesserter Haftung auf niederenergetischen Oberflächen
WO2011053406A1 (en) * 2009-10-29 2011-05-0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essure-sensitiv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2523A2 (en) * 2009-08-20 2011-02-24 Henkel Corporation Low application temperature hot melt adhesi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028A (ko) * 2017-02-08 2019-10-10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클리어 온 클리어 라벨용 핫멜트 감압 접착제
KR102263275B1 (ko) * 2017-02-08 2021-06-11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클리어 온 클리어 라벨용 핫멜트 감압 접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CN03686A (ko) 2015-07-03
PT2782969T (pt) 2020-10-15
CA2856710C (en) 2020-09-08
US20140256867A1 (en) 2014-09-11
ES2828480T3 (es) 2021-05-26
WO2013076175A1 (de) 2013-05-30
US9732258B2 (en) 2017-08-15
DE102011086845A1 (de) 2013-05-23
BR112014012114A2 (pt) 2017-06-13
CN103946332A (zh) 2014-07-23
MX354708B (es) 2018-03-16
CN103946332B (zh) 2018-03-27
EP2782969A1 (de) 2014-10-01
JP2015503003A (ja) 2015-01-29
JP6152385B2 (ja) 2017-06-21
BR112014012114A8 (pt) 2017-06-20
EP2782969B1 (de) 2020-10-07
KR20140094558A (ko) 2014-07-30
MX2014006138A (es) 2014-08-27
CA2856710A1 (en)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390B1 (ko)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psa
JP5709749B2 (ja) メタロセン触媒オレフィン−α−オレフィンコポリマーに基づくホットメルト接着剤
CN103946333B (zh) 含有矿脂的热熔瓶贴标粘合剂
US5916959A (en) Radial styrene-isoprene-styrene based hot 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20110229721A1 (en) Hotmelt adhesives
KR101632770B1 (ko) 메탈로센-촉매화 올레핀-c3-c20-올레핀 공중합체 기재 접촉 접착제
US20060229411A1 (en) Hot 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based on blends of styrene/butadiene copolymers
MX2009001364A (es) Adhesivo termofusible de adhesion mejorada.
US20070282072A1 (en) Hot-Melt Adhesive
JP7460648B2 (ja) 再生可能な原材料から作製された可塑剤を組み込んだhmpsa
KR102377516B1 (ko)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CN116472322A (zh) 粘接剂组合物
AU2012318417B9 (en) Petrolatum containing hot melt bottle labeling adhesive
WO2019132320A1 (ko) 핫 멜트 접찹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