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111B1 -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111B1
KR102036111B1 KR1020130042240A KR20130042240A KR102036111B1 KR 102036111 B1 KR102036111 B1 KR 102036111B1 KR 1020130042240 A KR1020130042240 A KR 1020130042240A KR 20130042240 A KR20130042240 A KR 20130042240A KR 102036111 B1 KR102036111 B1 KR 102036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drum
rpm
laundry
ri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561A (ko
Inventor
권선구
이상현
구본권
이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111B1/ko
Priority to US14/185,609 priority patent/US10072370B2/en
Priority to CN201410089908.4A priority patent/CN104109961B/zh
Publication of KR2014012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내의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드럼을 가속시켜 상기 세탁행정의 수행이 완료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세탁탈수행정 및 상기 세탁탈수행정의 완료 후에 수행되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행정에 이용된 세제 및 세탁물의 잔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헹굼행정을 포함하며, 상기 세탁탈수행정의 종료와 함께 상기 드럼은 0을 초과하는 헹굼RPM으로 감속되며, 상기 헹굼RPM에서 상기 헹굼행정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처리하는 기능에 따라 세탁기와 건조기로 구분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며, 건조기는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통합하여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기도 개발되고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된 탑로딩 방식과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전면(또는 측면)에 구비된 프론트 로딩 방식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탑로딩 방식의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과 터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탑로딩 방식의 세탁기는 드럼과 터브가 지면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드럼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더불어, 캐비닛의 상부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다.
이러한 탑로딩 방식의 세탁기에서 탈수과정을 거칠 때 드럼의 회전속도는 고속으로 유지된다. 이렇게 고속으로 드럼을 회전시켜 탈수를 진행하다 보면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골고루 배치되지 않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즉, 드럼 내의 세탁물이 편심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세탁물의 편심에 의해 드럼이 터브 및 캐비닛에 부딪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을 가진 장치에서는 해당 장치의 고유진동수가 존재한다. 고유진동수는 해당 장치의 고유한 성질로서 회전하는 구성의 작동진동수(주파수)가 상기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는 경우 이론적으로는 무한대의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며 제품의 손상 및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진동에 의해 주변의 사용자는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세탁행정 후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세탁탈수행정, 헹굼행정 후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헹굼탈수행정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세탁탈수행정의 종료와 함께 드럼의 회전이 정지되고, 헹굼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을 재기동하는 과정을 거쳤다. 세탁탈수행정의 종료를 위해 드럼을 정지하기 위해서는 제동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헹굼행정의 수행을 위해 드럼을 재기동하는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제동시간과 재기동시간은 세탁물을 처리하는 전체 행정시간을 증가시키고, 소모되는 전력량의 증가와 함께 전기비의 증가를 야기한다. 또한, 드럼의 잦은 제동과 재기동은 구동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드럼의 회전에 따른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처리하는 전체 행정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드럼 내의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드럼을 가속시켜 상기 세탁행정의 수행이 완료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세탁탈수행정 및 상기 세탁탈수행정의 완료 후에 수행되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행정에 이용된 세제 및 세탁물의 잔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헹굼행정을 포함하며, 상기 세탁탈수행정의 종료와 함께 상기 드럼은 0을 초과하는 헹굼RPM으로 감속되며, 상기 헹굼RPM에서 상기 헹굼행정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헹굼행정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드럼은 상기 헹굼RPM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헹굼RPM은 드럼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수평공진 RPM을 초과하는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헹굼RPM은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수직공진 RPM과 드럼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수평공진 RPM 사이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헹굼행정은 터브 또는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된 제트 스프레이를 통해 세탁수를 드럼으로 분사하는 급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헹굼행정의 전 구간 또는 일부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헹굼행정이 종료된 후 수행되며, 상기 헹굼행정의 수행이 완료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헹굼탈수행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헹굼탈수행정은 상기 드럼을 상기 헹굼RPM에서 소정 RPM으로 가속하는 단계로 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드럼 및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드럼을 가속시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세탁탈수행정의 종료와 함께 상기 드럼을 0을 초과하는 헹굼RPM으로 감속시키며, 상기 헹굼RPM에서 헹굼행정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탈수행정 중에 배수행정을 수행함으로써 드럼의 회전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탈수행정 종료 시 드럼을 완전히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헹굼행정을 수행함으로써 세탁물을 처리하는 전체 행정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세탁수를 배수하지 않고 세탁탈수행정을 수행하므로 세탁수에 의해 세탁물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이 뭉치는 현상으로 인한 드럼 내의 편심을 방지하고, 편심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드럼의 회전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세탁탈수행정을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6은 헹굼행정의 수행단계를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세탁물 처리장치는 탈수기능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부에 구비된 탑로딩 방식과 세탁물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캐비닛의 전면(또는 측면)에 구비된 프론트 로딩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가 탑로딩 방식인 세탁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탈수기능만을 가지는 탈수기 또는 탈수기능을 가지는 건조기 등 탈수기능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모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120)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터브(120)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드럼(1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터브(120)의 저면에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4)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120)는 현가장치(150)에 의하여 캐비닛(110)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캐비닛(110)은 상부가 개구된 하부 캐비닛(110)과 상기 하부 캐비닛(110)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는 탑커버(111)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캐비닛(110)은 측면패널(116), 전면패널(117), 베이스(113) 및 후면패널(11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패널(116), 전면패널(117), 베이스(113) 및 후면패널(119)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11)는 상기 하부 캐비닛(110)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120)와 드럼(130)이 구비되는 폐쇄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탑커버(111)에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탑커버(111)에는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탑커버(111)의 일측에는 세탁행정 등을 입력받는 컨트롤 패널(180)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180)을 통해 세탁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80)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세탁행정을 선택하거나 세탁행정의 시작 및 종료, 세탁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0)의 저면에는 상기 캐비닛(110)을 지지하는 레그(170)이 구비된다. 상기 레그(170)는 베이스(11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터브 및 드럼 내의 세탁수를 세탁물 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150)는 터브(120)의 일측에 연결된 배수유로(151)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150)의 구동에 의해 터브 및 드럼 내의 세탁수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드럼 내의 세탁물에 세탁수를 분사하는 제트 스프레이(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트 스프레이(160)는 터브(1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브(1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트 스프레이(160)는 터브(12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트 스프레이(160)는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드럼 내의 세탁물로 세탁수를 분사한다. 특히, 세탁물의 상부에서 세탁수를 분사하므로 세탁물에 골고루 세탁수를 분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트 스프레이(160)는 세탁수의 분사가 용이한 구조로서 노즐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트 스프레이(160)는 터브(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트 스프레이(120)는 세탁물의 상부에서 상기 드럼(130) 내의 세탁물로 세탁수를 분사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설치위치가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드럼(130) 내의 세탁수와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제1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럼(130) 내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행정(S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럼(130)을 가속시켜 상기 제1행정이 종료된 드럼(130) 내의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1탈수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행정은 세탁행정(S10) 또는 헹굼행정(S40)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행정이 세탁행정(S10)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행정이 헹굼행정(S40)인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행정은 세탁물에 포함된 세제 및 잔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헹굼행정(S4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행정이 세탁행정(S10)인 경우 상기 제1탈수행정은 세탁탈수행정(S20)이다. 즉,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은 세탁행정(S10)이 종료된 후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으로서, 헹굼행정(S40)이 종료된 후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헹굼탈수행정(S50)과 구별되는 행정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행정은 헹굼행정(S40)인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상기 제1행정이 헹굼행정(S40)인 경우 상기 제1탈수행정은 헹굼탈수행정(S50)일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S10)은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시키는 행정으로서, 드럼(130)을 회전시켜 드럼(130) 내의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시킨다.
상기 세탁행정(S10)에서 드럼(130)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세탁행정(S10)에서 상기 드럼(130)은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130)은 간헐적으로 소정 RPM으로 회전하였다가 정지한 후 다시 소정 RPM으로 회전하는 형태가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S10)에서 상기 배수펌프(150)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세탁행정(S10)이 수행되기 전에 급수원으로부터 터브(120)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급수단계를 통해 급수된 세탁수는 터브(120) 내에 수용된다.
상기 급수단계에서는 세탁수와 더불어 세제가 터브(1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세제는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세탁행정(S10)에서 배수펌프(150)의 구동은 정지(off)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급수단계에서 급수된 세탁수는 터브(120) 내에 잔존하게 된다.
세탁행정(S10)이 수행되면 구동모터(140)를 이용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키게 되며, 터브(120)로 급수된 세탁수와 드럼(130) 내의 세탁물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 세탁행정(S10)을 통해 세탁물은 세탁수와 마찰을 일으키며 세탁물의 오염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행정(S10)은 세탁물의 오염정도에 따라 복수 횟수가 반복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단계를 수행한 후에 세탁행정(S10)이 수행되며, 세탁행정(S10)이 종료되면 차후 세탁행정(S10)의 수행을 위해 배수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배수단계는 세탁행정(S10)을 통해 오염된 세탁수를 배수하고 새로운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단계이다. 따라서, 세탁행정(S10)이 복수 회 수행되는 경우 급수단계, 세탁행정(S10) 및 배수단계가 복수 회 반복된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세탁행정(S10)이 복수 회 수행되는 경우 최종적으로 수행되는 세탁행정(S10) 후에는 상기 배수단계가 수행되지 않는다.
즉, 최종 세탁행정(S10)의 수행 후에는 배수단계가 수행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급수단계, 세탁행정(S10) 및 배수단계로 이루어진 세탁행정(S10) 세트가 복수 회 반복되며, 가장 마지막에 수행되는 세탁행정(S10) 세트는 급수단계 및 세탁행정(S10)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은 상기 세탁행정(S10)이 종료된 드럼(130) 내의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은 드럼(130)을 소정 RPM으로 가속시켜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시키는 행정이다.
여기서,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은 상기 세탁행정(S10)의 수행이 완료된 후에 수행된다.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은 상기 세탁행정(S10)의 수행이 완료된 후에 바로 수행되거나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세탁행정(S10)에서 세탁탈수행정(S20)으로 전환되는 시기에서 상기 배수펌프(150)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세탁행정(S10)에 이용된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터브(120) 내에 잔존하는 상태에서 세탁탈수행정(S20)이 시작된다.
한편, 상기 세탁행정(S10)이 복수 회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은 가장 마지막에 수행되는 세탁행정(S10)의 수행이 완료된 후에 수행된다.
종래에는 세탁행정(S10)의 수행 후에 상기 배수행정(S30)이 수행되고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종래에는 세탁행정(S10)의 수행이 완료되면 세탁행정(S10) 중에 이용되었던 세탁수를 상기 배수행정(S30)을 통해 모두 외부로 배출시킨 후에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을 통해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세탁행정(S10)이 종료되고 세탁수를 배출시키면 드럼 내의 세탁물은 세탁수가 배수되면서 세탁물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세탁물이 서로 적층되게 된다. 이때, 세탁탈수행정(S20)을 수행하게 되면 세탁물이 머금고 있는 세탁수의 장력에 의해 세탁물들은 서로 엉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세탁행정(S10)의 수행이 완료된 후에 배수행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세탁탈수행정(S20)을 수행하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배수행정(S30)은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이 시작된 후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을 가진 장치에서는 해당 장치의 고유진동수가 존재한다. 고유진동수는 해당 장치의 고유한 성질로서 회전하는 구성의 작동진동수(주파수)가 상기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는 경우 이론적으로는 무한대의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며 제품의 손상 및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진동에 의해 주변의 사용자는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진동이 발생할 때 진동 변위(displacement)는 여러 인자(factor)에 의해 결정되는데, 특히 장치 또는 제품의 질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장치(제품)의 질량이 증가할수록 진동 변위는 감소하며, 장치(제품)의 질량이 감소할수록 진동 변위는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세탁행정(S10) 후에 세탁수를 배출시키지 않고 세탁탈수행정(S20)을 수행함으로써 세탁탈수행정(S20) 중에 발생하는 진동 변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이때 배수행정(S30)을 세탁물 처리장치의 수평공진 RPM 이상의 RPM을 유지한 상태에서 수행함으로써 수평공진 RPM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진동 변위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세탁수를 배수하지 않고 세탁탈수행정을 수행하므로 세탁수에 의해 세탁물이 엉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세탁수를 배출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탁수에 의해 세탁물이 부유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세탁물이 부유한 상태에서 세탁탈수행정을 수행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는 드럼 및 터브의 내부에서 골고루 분산되게 된다. 이때, 세탁수의 분산에 따라 세탁물도 같이 분산되게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드럼 내에 세탁물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이 뭉치는 현상으로 인한 드럼 내의 편심을 방지하고, 편심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드럼(130)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행정(S30)은 상기 세탁탈수행정(S20) 중에 수행된다. 즉, 상기 배수행정(S30)은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이 시작되기 전에 수행되지 않고,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이 시작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배수행정(S30)은 세탁탈수행정이 시작된 후에 수행된다. 여기서, 배수행정(S30)의 시작은 배수펌프(160)를 최초로 구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배수행정(S30)의 시작은 세탁행정(S10) 후에 최초로 배수펌프(160)의 작동을 의미한다. 상기 배수행정(S30)은 배수펌프(150)를 온시켜 터브(120) 내의 세탁수를 세탁물 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행정이다.
달리 말하면, 상기 세탁탈수행정(S20) 중에 배수펌프(150)가 최초로 구동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펌프(150)의 최초 구동이라함은 세탁행정(S10)이 수행된 후(세탁행정(S10)이 복수 회 수행되는 경우 최종 세탁행정(S10)을 의미)를 기점으로 하여 배수펌프(150)가 세탁탈수행정(S20) 중에 최초로 구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적인 순서로 보면 세탁행정(S10)의 완료, 세탁탈수행정(S20)의 시작 및 배수행정(S30)의 시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펌프(150)는 세탁탈수행정(S20)이 시작된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작동된다.
달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세탁행정(S10)의 수행 중에 배수펌프(160)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의 시작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배수펌프(160)는 최초로 구동(ON)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배수펌프(160)의 작동을 기준으로 세탁탈수행정(S30)을 정의하면, 세탁탈수행정(S30)은 배수펌프(160)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구간과 배수펌프(160)가 온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간은 상기 세탁탈수행정(S30)의 시작과 동시에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구간은 제1구간에 후행하는 구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세탁탈수행정(S20)이 시작되면 드럼(130)은 제1RPM에 도달할 때까지 가속된다. 즉,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은 정지된 상태의 드럼(130)을 상기 제1RPM으로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S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RPM에서 배수행정(S30)의 수행이 시작되므로 상기 제1RPM은 배수 RPM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RPM은 세탁물 처리장치의 수평공진 RPM(H)과 수직공진 RPM(V) 사이의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탁탈수행정(S20)이 수행되면 드럼(130)은 점차 가속되면서 수평공진 RPM을 지나쳐 상기 제1RPM까지 가속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드럼(130)은 수직공진 RPM 미만으로 가속된다.
즉, 세탁탈수행정(S20)이 시작되면 드럼(130)은 수평공진 RPM과 수직공진 RPM 사이의 RPM인 제1RPM까지 가속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제1RPM은 40RPM 내지 270RPM 사이의 값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RPM 내지 140RPM 사이의 값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RPM은 120RPM일 수 있다.
통상 탑로딩 방식의 세탁물 처리장치의 경우 수평공진 RPM은 제품에 따라 40RPM 내지 90RP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수직공진 RPM은 140RPM 내지 270RP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평공진이라 함은 드럼(1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드럼(130)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드럼(130)이 진동하는 공진을 의미하며, 수직공진이라 함은 드럼(1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드럼(130)의 회전축과 평행한 반향으로 드럼(130)이 진동하는 공진을 의미한다.
배수행정(S30)이 수행되는 상기 제1RPM은 드럼(130) 내의 세탁물량(이하, 포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RPM은 포량이 많을수록 감소하며, 포량이 적을수록 증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RPM은 포량이 많을 수록 높게 설정되며, 드럼 내의 포량이 적을수록 낮게 설정된다.
드럼(130) 내의 포량이 많은 경우 세탁물이 함유하는 세탁수 및 터브(120) 내 세탁수의 량도 많아지게 된다. 터브(120) 내의 세탁수가 많이 수용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드럼(130)을 회전시키면 드럼(130) 내의 세탁수가 드럼(130)의 외부로 넘치는 현상이 발생한다.
더불어, 드럼(130)의 회전에 따라 드럼(130)과 터브(120) 사이에 세탁수가 몰리게 되어 드럼(130)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130) 내의 포량이 많은 경우 배수행정(S30)이 수행되는 제1RPM의 조절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드럼(130) 내의 포량이 많은 경우 상기 제1RPM을 감소시켜 드럼(130) 외부로 세탁수가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고 드럼(130)과 터브(120) 사이에 세탁수가 몰리게 되는 물참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드럼(130) 내의 포량이 적은 경우 상기 제1RPM을 증가시켜 드럼(130) 외부로 세탁수가 넘치는 현상과 물참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정 RPM 이상의 드럼(130) 회전속도를 확보하여 조속한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배수행정(S30)은 드럼(130)이 상기 제1RPM에 도달한 후, 즉, 제1RPM으로 가속된 후에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수평공진 RPM을 넘어선 구간에서 상기 배수행정(S30)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배수행정(S30)은 세탁탈수행정(S20)이 수행된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제1RPM에 도달하기까지의 경과되는 소정시간이 지난 후에 배수행정(S30)이 수행된다.
상기 드럼(130)이 상기 제1RPM까지 가속되면, 드럼(130)은 상기 제1RPM의 회전속도를 소정시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은 드럼(130)을 제1RPM으로 소정시간 유지하는 제1RPM유지단계(S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RPM 유지단계(S213)는 배수행정(S30)을 수행하기 전인 준비구간(P1)과 배수행정(S30)이 수행되는 구간이 잔수배수구간(P2)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130)이 제1RPM에 도달한 직후 바로 배수행정(S30)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준비구간(P1)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배수행정(S30)은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1RPM으로 유지되는 구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수행정(S30)은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1RPM으로 유지되는 제1RPM유지단계(S213)에서 시작(S31)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수행정(S30)은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1RPM으로 소정시간 유지된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RPM유지단계는 배수펌프(150)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소정시간 동안 제1RPM으로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준비구간(P1)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행정(S30)은 상기 제1RPM에 도달한 직후 바로 수행될 수 있으나(준비구간(P1)이 생략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소정시간 동안 제1RPM으로 유지된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해, 상기 배수행정(S30)은 상기 준비구간(P1)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준비구간(P1)에 소요되는 시간은 3초 내지 5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초 내지 5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행정(S30)은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4초 내지 5초 동안 제1RPM으로 유지되고 나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배수행정(S30)은 제1RPM 유지단계에서 준비구간(P1)이 지난 후에 시작된다. 즉, 상기 준비구간(P1) 후에 배수행정(S30)의 수행을 위해 배수펌프(150)가 구동된다(S31). 여기서, 상기 배수펌프(150)는 적어도 상기 잔수배수구간(P2) 동안 구동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계단형의 가속단계(S221)(S223)(S230)(S240)(S250)(S260)(S270)에서도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잔수배수구간(P2)은 제1RPM유지단계(S213)에서 배수펌프(150)가 온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상기 잔수배수구간(P2)은 드럼(130) 내의 포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잔수배수구간(P2)은 포량에 비례한다. 즉, 포량이 많을 수록 상기 잔수배수구간(P2)을 유지하는 시간은 길어지며, 포량이 적을 수록 상기 잔수배수구간(P2)을 유지하는 시간은 짧아진다.
상기 잔수배수구간(P2)은 드럼(130)이 상기 제1RPM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 및 터브(120) 내의 잔수를 배출하는 구간이다. 포량이 많을 수록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 및 터브(120) 내의 잔수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포량이 많을수록 잔수배수구간(P2)의 유지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량이 적을수록 잔수배수구가의 유지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세탁탈수행정(S20)에서 제1RPM의 유지구간이 종료되면 드럼(130)은 재차 가속된다. 이때, 드럼(130)은 계단식으로 가속될 수 있다. 즉, 소정 RPM까지 드럼(130)이 가속된 후 소정시간 동안 RPM이 유지되고 다시 드럼(130)은 소정 RPM까지 가속되는 프로파일의 형태로 가속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를 경우, 상기 드럼(130)은 수직공진 RPM을 초과하여 가속되며 수직공진대역을 통과하여 제2RPM까지 가속된다. 즉,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은 드럼(130)을 제2RPM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S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RPM은 수직공진 RPM을 초과하는 회전속도이다. 드럼(130)이 회전속도가 제2RPM에 도달하면 소정시간 제2RPM의 속도를 유지한다. 즉,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은 소정시간 동안 드럼(130)을 제2RPM으로 유지하는 제2RPM유지단계(S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RPM유지단계 후에는 제3가속 및 유지단계(S230)가 수행된다. 즉, 상기 제3가속 및 유지단계(S230)에서 드럼(130)은 재차 가속되어 제3RPM까지 가속되며, 소정시간 제3RPM의 속도를 유지한다.
상기 제2RPM은 수직공진 RPM을 초과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RPM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270RP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RPM은 450RPM일 수 있다.
상기 드럼(130)은 제3RPM까지 가속된 후 소정시간 제3RPM을 유지한 후에 제2RPM으로 감속될 수 있다. 즉, 세탁탈수행정(S20)은 제1감속 및 유지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속 및 유지단계에서 드럼(130)은 제2RPM으로 감속되고 나서 소정시간 동안 제2RPM을 유지한다.
상기 제1감속 및 유지단계(S240) 후 드럼(130)은 제4RPM으로 가속될 수 있으며, 제4RPM으로 소정시간 유지될 수 있다. 즉, 세탁탈수행정(S20)은 제4가속 및 유지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가속 및 유지단계(S250)에서, 상기 제4RPM은 제2RPM과 제3RPM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제4RPM은 400RPM일 수 있다.
제4RPM까지 가속된 드럼(130)은 소정시간 제4RPM으로 유지된 후 제5RPM으로 가속될 수 있다. 즉, 세탁탈수행정(S20)은 제5가속 및 유지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RPM은 제3RPM을 초과하는 RPM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800RPM일 수 있다.
그리고, 세탁탈수행정(S20)은 드럼(130)을 제5RPM에서 0을 초과하는 소정 RPM으로 감속하는 제2감속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감속단계(S260)의 수행이 완료되면서 세탁탈수행정(S20)은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RPM은 후술하는 헹굼 RPM일 수 있다.
본 발명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헹굼행정(S40) 및 헹굼탈수행정(S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헹굼행정(S40)은 세탁행정(S10)에서 이용된 세제와 세탁물에 잔존하는 오염을 세탁물에서 제거하는 행정이다.
상기 헹굼탈수행정(S50)은 헹굼행정(S40)을 거친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상기 제1행정이 세탁행정(S10)인 경우 제2행정은 헹굼행정(S40)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행정이 헹굼행정(S40)인 경우 헹굼탈수행정(S50)은 제2탈수행정일 수 있다.
종래에는 세탁탈수행정(S20)의 종료와 함께 드럼(130)은 완전히 정지하고, 헹굼행정(S40)을 수행하기 위해서 정지된 상태에서 재차 드럼(130)을 가속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탁탈수행정(S20)의 종료와 함께 드럼(130)을 완전히 정지하고 나서 다시 드럼(130)을 가속시키는 과정은 드럼(130)의 정지를 위한 제동시간과 다시 가속하는 재기동시간의 소요가 불가피했다.
이러한 제동시간과 재기동시간은 세탁물을 처리하는 전체 행정시간을 증가시키고, 소모되는 전력량의 증가와 함께 전기비의 증가를 야기한다. 또한, 드럼(130)의 잦은 제동과 재기동은 구동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헹굼행정(S40)에 앞서 수행되는 세탁탈수행정(S20)의 종료와 함께 드럼(130)은 헹굼RPM으로 감속되면서 종료된다. 여기서, 상기 헹굼RPM은 0을 초과하는 RPM을 의미한다. 따라서, 세탁탈수행정(S20)이 종료한 후에 드럼(130)은 완전히 정지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더불어, 상기 헹굼행정(S40)은 상기 헹굼 RPM으로 드럼의 회전을 유지하는 단계와 함께 시작된다. 즉, 상기 헹굼행정(S40)은 상기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헹굼RPM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헹굼RPM에서 상기 헹굼행정(S40)이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헹굼행정(S40)은 세탁탈수행정(S20)의 종료와 함께 감속된 드럼의 RPM인 헹굼 RPM으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작동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헹굼행정(S40)은 상기 헹굼RPM으로 드럼(130)을 회전시켜 드럼(130) 내의 세탁물의 잔여 세제 및 오염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세탁탈수행정(S20) 및 헹굼행정(S40)은 드럼(130)이 완전히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탈수행정(S20)의 종료와 함께 드럼(130)이 완전히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헹굼행정(S40)을 수행할 경우 종래에 소요되던 제동시간과 재기동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세탁물을 처리하는 전체 행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세탁물 처리에 소모되는 전력량의 감소와 함께 전기비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드럼(130)의 잦은 제동과 재기동을 방지하여 구동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헹굼RPM은 수평공진 RPM을 초과하는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탈수행정(S20)이 종료되면서 드럼(130)이 수평공진 RPM 미만으로 감속되는 경우 드럼(130)은 수평공진 RPM을 통과하면서 터브(120) 및 드럼(130)의 진동이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탈수행정(S20)의 종료와 함께 감속이 이루어지는 RPM은 수평공진 RPM을 초과하는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헹굼RPM은 수직공진 RP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의 억제를 위해 수직공진 RPM을 초과하는 RPM으로 감속시키고 헹굼행정(S40)을 수행할 수 있기는 하나 수직공진 RPM을 초과하는 범위의 RPM은 헹굼행정(S40)을 수행하기에 다소 높은 RPM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세탁탈수행정(S20)의 종료와 함께 감속되는 헹굼RPM은 수평공진 RPM과 수직공진 RPM 사이의 위치하는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헹굼RPM은 앞서 세탁탈수행정(S20)에서 설명한 제1RPM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헹굼행정(S40)은 급수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탈수행정(S20)의 수행이 완료되면 드럼(130) 내의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은 상당량이 제거된다. 헹굼행정(S40)의 원활한 수행을 보장하고 세탁물의 잔여 세제 및 잔여 이물질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헹굼행정(S40)은 드럼(130)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단계(S4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급수단계(S41)는 헹굼행정(S40)의 일부구간 또는 헹굼행정(S40)이 수행되는 전 구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급수단계(S41)는 터브(120) 또는 캐비닛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제트 스프레이(16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단계(S41)에서 상기 제트 스프레이(160)를 통해 드럼(130) 내로 헹굼수를 공급한다. 상기 제트 스프레이(160)는 드럼(130)의 상부에서 세탁물에 헹굼수를 분사하는 형태로 헹굼수를 공급하므로 세탁물에 골고루 헹굼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헹굼행정(S40)이 수행되면 상기 제트 스프레이(160)는 급수원으로부터 헹굼수를 공급받아 드럼(130) 내로 헹굼수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제트 스프레이(160)는 헹굼행정(S40)의 수행기간 중 일부구간에서 헹굼수를 분사하거나 헹굼행정(S40)의 전 구간에 걸쳐 헹굼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헹굼행정(S40)의 수행이 완료되면 헹굼탈수행정(S50)이 수행된다. 즉, 상기 헹굼탈수행정(S50)은 상기 헹굼행정(S40) 후에 수행된다. 상기 헹굼행정(S40)은 드럼(130)은 헹굼RPM으로 소정시간 회전시키며, 헹굼행정(S40)의 수행시간이 종료되면 헹굼탈수행정(S50)이 수행된다.
상기 헹굼행정(S40)의 수행의 전 구간에서 드럼(130)은 헹굼 RPM으로 회전하므로, 헹굼헹정의 종료와 함께 드럼(130)은 헹굼RPM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헹굼탈수행정(S50)은 상기 드럼을 헹굼 RPM에서 소정 RPM으로 가속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즉, 상기 헹굼탈수행정(S50)은 상기 헹굼RPM에서 드럼(130)을 가속하여 드럼(130) 내의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헹굼탈수행정(S50)에서 드럼(130)은 지속적으로 가속되는 프로파일을 가지거나 계단식으로 가속되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헹굼행정(S40)의 전 구간에서 드럼을 헹굼 RPM으로 유지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헹굼행정(S50) 중에 드럼의 RPM은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헹굼행정(S40)이 종료될 때의 RPM은 상기 헹굼 RPM과 상이할 수 있다. 이때, 헹굼탈수행정(S50)은 헹굼행정(S50)의 종료 RPM에서 드럼(130)을 가속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종료 RPM은 0을 초과하는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헹굼탈수행정(S50)은 계단식으로 가속되는 프로파일 형태를 가진다. 즉, 소정시간동안 드럼(130)을 가속하여 일정 RPM에 도달하면 일정 RPM을 소정시간 유지하는 구간을 가지고, 다시 드럼(130)은 상기 일정 RPM을 초과하는 RPM으로 재차 가속되는 형태가 반복되면서 최종탈수RPM까지 가속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헹굼탈수행정(S50)은 상기 헹굼RPM에서 수직공진 RPM을 초과하는 제6RPM까지 가속될 수 있다. 더불어, 드럼(130)을 소정시간 동안 제6RPM으로 회전시키는 제6RPM 유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6RPM은 세탁탈수행정(S20)의 제2RPM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6RPM 유지단계 후에, 드럼(130)은 제7RPM으로 가속된다. 이때, 헹굼탈수행정(S50)은 드럼(130)을 소정시간 동안 제7RPM으로 회전시키는 제7RPM 유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7RPM은 세탁탈수행정(S20)의 제4RPM과 동일할 수 있다.
제7RPM 유지단계가 종료되면, 드럼(130)은 제8RPM으로 가속될 수 있다. 이때, 제8RPM은 헹굼탈수행정(S50)의 최고 RPM일 수 있다. 상기 제8RPM은 세탁탈수행정(S20)의 최고RPM보다 높은 RP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제8RPM은 840RPM일 수 있다.
상기 제8RPM으로 가속된 드럼(130)은 소정시간 동안 제8RPM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제8RPM으로 회전하는 드럼(130)을 감속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드럼(130)은 감속단계를 통해 완전히 정지할 수 있다. 즉, 드럼(130)은 제8RPM에서 0RPM으로 감속되면서 헹굼탈수행정(S50)의 종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술한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 따라 상술한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드럼 및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드럼을 가속시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세탁탈수행정의 종료와 함께 상기 드럼을 0을 초과하는 헹굼RPM으로 감속시키며, 상기 헹굼RPM에서 헹굼행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세탁기 110 캐비닛
111 탑커버 112 하부 캐비닛
113 베이스 115 도어
116 측면패널 117 전면패널
119 후면패널 120 터브
130 드럼 140 구동 모터
150 현가장치 170 레그
180 컨트롤패널

Claims (8)

  1.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투입구가 구비된 드럼; 및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상기 드럼을 가속시켜 상기 세탁행정의 수행이 완료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세탁탈수행정;
    상기 세탁탈수행정의 진행 중 개시되어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행정;
    상기 세탁탈수행정의 종료 시 0을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된 헹굼RPM까지 상기 드럼을 감속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상기 헹굼RPM으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상기 헹굼RPM을 유지하는 동안 진행되며, 상기 세탁행정에 이용된 세제 및 세탁물의 잔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헹굼행정;을 포함하며,
    상기 헹굼행정은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드럼의 내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급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RPM은 드럼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수평공진 RPM을 초과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RPM은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수직공진 RPM과 드럼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수평공진 RPM 사이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삭제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헹굼행정의 전 구간 또는 일부구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행정이 종료된 후 수행되며, 상기 헹굼행정의 수행이 완료된 세탁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헹굼탈수행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헹굼탈수행정은 상기 드럼을 상기 헹굼RPM에서 소정 RPM으로 가속하는 단계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삭제
KR1020130042240A 2013-04-17 2013-04-17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36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40A KR102036111B1 (ko) 2013-04-17 2013-04-17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4/185,609 US10072370B2 (en) 2013-04-17 2014-02-20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089908.4A CN104109961B (zh) 2013-04-17 2014-03-12 洗涤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40A KR102036111B1 (ko) 2013-04-17 2013-04-17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61A KR20140124561A (ko) 2014-10-27
KR102036111B1 true KR102036111B1 (ko) 2019-10-24

Family

ID=5170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240A KR102036111B1 (ko) 2013-04-17 2013-04-17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72370B2 (ko)
KR (1) KR102036111B1 (ko)
CN (1) CN1041099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159B1 (ko) * 2018-05-10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670294B (zh) * 2019-11-12 2020-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洗衣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5925A (ja) * 2009-09-08 2011-03-24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40391A2 (fr) 1976-02-03 1977-09-02 Thomson Brandt Machine a laver le linge a tambour horizontal
KR101022226B1 (ko) * 2004-01-06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MX2009002331A (es) * 2009-02-27 2010-03-23 Mabe Sa De Cv Metodo de centrifugado con enjuague.
US20090183319A1 (en) 2008-01-22 200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rins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46496B1 (ko) * 2008-01-22 2014-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CN104507797B (zh) 2012-07-06 2017-11-07 C&D佐迪阿克公司 带有声学材料的飞机内部面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5925A (ja) * 2009-09-08 2011-03-24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72370B2 (en) 2018-09-11
KR20140124561A (ko) 2014-10-27
CN104109961A (zh) 2014-10-22
CN104109961B (zh) 2016-09-28
US20140310883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066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689338B1 (ko)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100480133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운전제어방법
JPH09276582A (ja) 洗濯機
RU2461676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варианты)
KR20060120934A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203611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07119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536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제어방법 및 세탁물 처리기기
CN109112767B (zh) 洗衣机洗涤毛巾类织物的方法及全自动洗衣机
KR20050061774A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KR20040018512A (ko) 프로그램가능한 세탁기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세탁기
KR101240262B1 (ko) 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KR20090079496A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JP6050633B2 (ja) 洗濯機
KR101128811B1 (ko) 세탁장치
KR101183904B1 (ko) 세탁기
KR101337533B1 (ko)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
KR10237604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H10272285A (ja) 洗濯機
JP3332732B2 (ja) 洗濯機
JP2005334412A (ja) 洗濯機
CN107805912B (zh) 一种洗衣机脱水控制方法
KR100565250B1 (ko) 드럼세탁기의 절수헹굼방법
KR101263869B1 (ko)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