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044B1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044B1
KR102376044B1 KR1020150129959A KR20150129959A KR102376044B1 KR 102376044 B1 KR102376044 B1 KR 102376044B1 KR 1020150129959 A KR1020150129959 A KR 1020150129959A KR 20150129959 A KR20150129959 A KR 20150129959A KR 102376044 B1 KR102376044 B1 KR 10237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part
water
spraying
rotating
centrifug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126A (ko
Inventor
서인혁
오영기
권선구
김영호
김창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044B1/ko
Priority to AU2016324269A priority patent/AU2016324269B2/en
Priority to PCT/KR2016/001107 priority patent/WO2017047879A1/en
Priority to CN201610074396.3A priority patent/CN106521866B/zh
Priority to US15/065,965 priority patent/US10125444B2/en
Publication of KR2017003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원심력 제공단계, 분사부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단계,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급된 물을 배수부를 통해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된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 시 발생하는 수류 등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데, 의류처리장치를 오래 사용하면 제1수용부 내부와 제2수용부 외주면에 이물질이 고착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상기 수용부들을 세척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제1수용부와 의류가 저장되는 제2수용부의 세척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이나 헹굼이 진행되는 동안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세척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탈수가 진행되는 동안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세척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용부가 회전하는 동안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모션(Jet Spray Motion)을 통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세척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물을 저장하며 의류가 유입되는 제1투입구가 구비된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며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투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제2투입구, 상기 제2수용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제1수용부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원심력 제공단계;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단계;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수(drain)하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 상기 분사단계 및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과 상기 분사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은 서로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 상기 분사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 및 상기 배출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은 서로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분사부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에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분사부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에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과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중심 사이에 위치된 제1지점에서 상기 모서리와 상기 제2투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지점까지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단계는 물이 분사되는 제1단계와 물 분사가 중단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진행시간은 상기 제2단계의 진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거나, 상기 제1단계,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1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까지 증가시키는 가속단계; 및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상기 기준회전수로 유지하는 유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단계와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가속단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기 설정된 제1회전수까지 증가시키는 제1가속단계;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보다 높은 회전수로 설정된 기준회전수까지 증가시키는 제2가속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단계와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를 유지하는 동안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수용부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수용부에 발생한 진동의 크기를 측정하는 진동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지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가 상기 제1회전수로 회전하는 동안 진행되고, 상기 제2가속단계는 상기 진동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진동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에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저장된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회전단계; 상기 회전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 내부의 물을 상기 제1수용부 외부로 배수(drain)하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 상기 분사단계 및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단계는 상기 제1수용부 내부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2투입구의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단계는 물이 상기 제2투입구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전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단계;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중간배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단계;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제2회전단계의 진행 중 상기 제2수용부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중간분사단계; 및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2회전단계의 진행 중 상기 중간분사단계에서 분사된 물을 상기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중간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는 상기 제1회전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물을 저장하며 의류가 유입되는 제1투입구가 구비된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며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투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제2투입구, 상기 제2수용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제1수용부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단계;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중간배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제2회전단계;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spraying)하는 분사단계;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출(discharge)시키는 배출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원심력 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는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보다 낮고, 상기 제1회전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제1수용부와 의류가 저장되는 제2수용부의 세척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이나 헹굼이 진행되는 동안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세척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탈수가 진행되는 동안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세척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수용부가 회전하는 동안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모션을 통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세척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분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의류의 세탁이나 헹굼이 진행되는 동안 수용부를 세척하는 모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의류의 탈수가 진행되는 동안 수용부를 세척하는 모션(Jet Spray Motion)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 (b)는 원심력 제공단계에서 제2수용부의 회전수(RPM)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제1수용부(3), 상기 제1수용부(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2수용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제1수용부(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바디(11), 상기 캐비닛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캐비닛 커버(1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2)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캐비닛 투입구(1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는 캐비닛 커버(12)에 구비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2)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17),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3)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바디(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31)는 지지부(15)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15)는 상기 제1바디(31)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쇄 가능한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바디(3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에는 커버(33)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33)에는 캐비닛 투입구(121)에 연통하는 제1투입구(3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수용부(5)는 상기 제1수용부(3)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5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바디(51)는 제2투입구(53)를 통해 제1투입구(35) 및 캐비닛 투입구(121)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51)의 원주면과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바디(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5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바디(51) 내부의 물은 다수의 관통홀들(55)을 통해 상기 제1바디(31)로 이동하고, 제1바디(31)로 공급된 물은 상기 관통홀들(55)을 통해 상기 제2바디(5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제2바디(51)는 구동부(57)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57)는 제1바디(3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바디(31)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테이터(571), 상기 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73), 상기 제1바디(3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제2바디(51)의 바닥면과 로터(573)를 연결하는 회전축(5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회전축(575)이 제1바디(31)의 바닥면에 수직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제2투입구(53)는 제1투입구(35)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바디(51)의 상부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부를 통해 제1수용부(3)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부를 통해 제1수용부(3) 내부의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상기 제1바디(31)에 공급하는 제1공급관(71) 및 상기 제1공급관을 개폐하는 밸브(7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제1바디(31) 내부의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81), 상기 제1바디(31) 내부의 물을 배수관(81)으로 이동시키는 펌프(83)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제2바디(51) 내부에 분사하는 분사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9)는 캐비닛 커버(12)에 고정되는 연결관(93), 상기 연결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제2바디(51)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9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93)은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제1공급관(71)에서 분지된 제2공급관(75)을 통해 물을 공급 받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밸브(77)는 상기 제1공급관(71)과 제2공급관(75)의 분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제1공급관(71)과 제2공급관(75)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노즐(91)은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의 가장자리 중 제2바디의 회전축(575)을 통과하고 캐비닛의 배면(또는 캐비닛의 전방면)에 수직한 직선(L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노즐(91)은 회전축(575)을 통과하고 캐비닛의 측면에 수직한 직선(L2)의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한 곳에 위치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노즐(91)이 직선 L2의 후방에 위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2공급관(75)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노즐(91)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 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노즐(91)은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C1)에만 분사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C1, 도 5 참고)과 바닥면(C2)이 만나는 모서리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91)이 제2바디의 상기 모서리를 향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노즐의 물 분사범위는 상기 모서리와 상기 제2바디의 회전축(575) 사이에 위치된 제1지점(P1, 도 5 참고)에서 상기 모서리와 상기 제2투입구(53) 사이에 위치된 제2지점(P2, 도 5 참고)까지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노즐의 분사범위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노즐(91)의 단면적은 연결관(93)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제1수용부(3)와 제2수용부(5)의 세척을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용부 세척코스를 입력부에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제1수용부(3)에 물이 저장된 상태로 제2수용부(5)가 회전하는 회전단계(S20,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 등) 또는 제2수용부(5)에 저장된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하여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원심력 제공단계(S41, 탈수행정 등)가 포함된 제어명령이 실행될 때 수용부(3, 5)의 세척이 진행되도록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수용부의 세척만을 수행하는 별도의 제어명령(예, 수용부 세척코스)을 입력부(19)에 입력한 경우에만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수용부(3, 5) 세척은 상기 회전단계(S20)의 진행 중에만 진행될 수도 있고,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의 진행 중에만 진행될 수도 있으며, 상기 회전단계 및 원심력 제공단계에서 각각 진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수용부의 세척이 상기 회전단계(S20) 및 원심력 제공단계(S41)에서 각각 진행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한 뒤 나머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7)를 통해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S20) 및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단계(S41)가 포함된 하나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급수부를 통해 제1바디(3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S10)를 진행한다.
상기 급수단계(S10)가 완료되면, 본 발명은 구동부(57)를 통해 제2바디(51)를 회전시키는 회전단계(S20)가 진행된다. 상기 회전단계(S20)는 상기 제2바디(51)를 회전시켜 상기 제2바디(51) 내부에 저장된 의류와 물을 마찰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제1바디(31)에 세제와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진행되는 회전단계(S20)는 세탁행정으로 볼 수 있고, 제1바디(31)에 세제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회전단계(S20)는 헹굼행정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상기 헹굼행정에서는 헹굼세제(섬유 유연제 등)가 투입된 상태로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단계(S20)의 진행 중 수용부(3, 5)의 세척이 진행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모션을 실행할 수 있다. 즉, 회전단계(S20)의 진행 중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31) 내부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제2투입구(53)가 위치된 높이(H)까지 상승하도록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다만, 상기 회전단계(S20)에서 구동부(57)는 제1바디(51) 내부의 물이 상기 제2투입구(53)를 통해 상기 제2바디(51)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단계(S20)는 상기 제1바디(51) 내부의 수위(W)가 제2투입구(53)의 높이(H)보다 낮은 상태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회전단계(S20)는 상기 제1바디(31) 내부의 수위가 제2투입구(53)보다 낮아도 원심력을 통해 제1바디 내부의 물을 상기 제2바디(51)의 상부 원주면 및 제1바디(31)의 상부 원주면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단계는 의류의 세탁이나 헹굼을 위해 급수된 물로 제1바디(31)의 상부와 제2바디(51)의 상부에 고착된 이물질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31)의 상부와 제2바디(51)의 상부에 고착된 이물질이 있다면, 이들은 상기 회전단계(S20)의 진행 중 각 바디(31, 51)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변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단계(S20)에서 제2바디(51)의 외주면과 제1바디(31) 내주면 사이에 위치한 물(S)은 제2바디(51)와 함께 회전할 것이므로, 각 바디(31, 51)에 잔류하는 이물질은 제2바디(5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각 바디(31, 51)에서 분리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회전단계(S20)가 완료되면,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31) 내부의 물을 제1바디(31)의 외부로 배수(drain)하는 배수단계(S30)를 진행한다.
상기 배수단계(S30)는 배수부(81, 83)를 통해 진행되며, 상기 배수단계(S30)를 통해 의류에서 분리된 이물질 및 각 바디(31, 51)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물과 함께 제1바디(3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회전단계(S20)가 세제와 물을 통해 의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세탁행정)이었다면, 상기 배수단계(S30)의 완료 후 상기 급수단계, 회전단계 및 배수단계가 한 번 더 진행될 수 있다. 추가로 진행되는 급수, 회전 및 배수단계는 의류에 잔류하는 세제를 제거하는 과정(헹굼행정)으로 볼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배수단계(S30)가 완료되면, 본 발명은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원심력 제공단계(41)를 진행한다.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는 상기 제2바디(51)를 회전시켜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함으로써 물을 의류에서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의 진행 중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노즐(91)를 통해 제2바디(51)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단계(S43)를 진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디(51)가 회전하는 동안 제2바디(51) 내부로 물이 분사되면, 제2바디(51) 내부로 분사된 물은 관통홀(55)을 통해 제1바디(51)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 제2바디의 회전 중 제2바디 내부로 분사된 물이 관통홀(55)로 이동하려면 의류를 통과해야 하므로,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의 진행 중 개시되는 분사단계(S43)는 의류에 이물질이나 세제가 잔류할 경우 이를 제거하는 수단도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홀(55)을 통해 제2바디(51)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은 제1바디(31)의 내주면에 충돌할 것이고, 이 과정에서 제1바디(31) 내주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은 관통홀(55)에서 배출되는 물에 의해 제1바디(31)에서 분리될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홀(55)에서 배출된 물은 제1바디(31)에 충돌한 뒤 제2바디(51)에도 충돌할 수 있을 것이므로, 관통홀(55)에서 배출된 물은 제2바디(51)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의 진행 중 개시되는 분사단계(S43)는 제1바디(31) 및 제2바디(51)를 세척하는 수단도 된다.
상술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 time period)과 상기 분사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은 서로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사단계(S43)에서 상기 노즐(91)은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바디(51)의 원주면에만 분사할 수도 있고, 상기 제2바디(51)의 원주면 및 바닥면에 각각 물을 분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바디(31)의 원주면과 제2바디(51)의 원주면을 집중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상기 노즐은 제2바디(51)의 원주면에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바디의 원주면, 제2바디의 원주면(C1), 상기 제1바디의 바닥면, 제2바디의 바닥면(C2)을 모두 세척하려면, 상기 노즐(91)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바디의 원주면(C1) 및 제2바디의 바닥면(C2)에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노즐(91)은 제2바디(51)의 모서리와 제2바디의 회전중심(회전축, 575) 사이에 위치된 제1지점(P1)에서 제2바디의 모서리와 제2투입구(53) 사이에 위치된 제2지점(P2)까지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에서 제2바디(51) 내부에 저장된 의류는 원심력 때문에 제2바디(51)의 원주면(C1)과 바닥면(C2)이 만나는 지점(모서리) 부근에 밀집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므로, 노즐(91)이 제1지점(P1)과 제2지점(P2)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면 노즐(91)에서 배출되는 물의 대부분이 의류를 통과한 뒤 제1바디(31)로 배출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노즐(91)이 제1지점(P1)과 제2지점(P2) 사이의 공간으로 물을 분사(제2바디의 모서리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특징은 각 바디(31, 51)의 세척 및 제2바디(51)에 저장된 의류의 세척을 극대화하는 수단이 된다.
한편,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를 통해 의류에서 배출된 물, 상기 분사단계(S43)에서 제2바디(51)에 분사된 물이 제1바디(31)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 제1바디(31) 내부의 물이 제2바디(51)의 회전을 방해할 것이므로 상기 제2바디(51)가 고속으로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와 상기 분사단계(S43)가 진행될 때 상기 배수부(81, 83)를 통해 상기 제2바디(51) 내부의 물을 제1바디(3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S45, 도 3 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가 진행되는 시간구간, 분사단계(S43)가 진행되는 시간구간 및 배출단계(S45)가 진행되는 시간구간은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단계(S45)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바디(51)에 저장된 의류의 양이 많거나, 의류가 머금은 물의 양이 많으면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 및 분사단계(S43)의 진행 중 제1바디(31) 내부에 적정 수준을 넘어서는 물이 잔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사단계(S43)는 노즐(91)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단계(제1단계)와 일시적으로 물 분사를 중단하는 단계(제2단계)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단계(S43)는 제1단계와 제2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순차적 실행을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분사단계(S43)가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1단계의 진행시간은 상기 제2단계의 진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분사단계(S43)는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1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단계, 제2단계 및 제1단계의 순차적 실행을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는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하여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상기 제2바디(51)를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로 일정시간 이상 회전시켜야만 원하는 효과를 달성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원심력 제공단계(S41)에서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도 6 (a)와 같이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력 제공단계(S41)는 상기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기준회전수(R)까지 가속하는 가속단계(T1), 상기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기준회전수(R)로 유지하는 유지단계(T2)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기준회전수(R)가 원심력 제공단계(S41)의 실행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2바디(51)의 최고 회전수일 경우, 상기 분사단계(S43)는 상기 가속단계(T1)에서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바디(51)가 기준회전수(R)로 회전하는 동안 제2바디(51)로 물이 분사되면, 제2바디(51)의 높은 회전속도 때문에 노즐(91)에서 분사된 물이 관통홀(55)을 통해 제1바디(31)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2바디 내부에 잔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2바디(51)가 기준회전수(R)까지 가속되는 동안 제2바디(51)에 외력이 입력되면, 제2바디(5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7)의 부하가 증가하거나 구동부(57)의 작동을 불안정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단계(S43)가 가속단계(T1)에서 진행될 경우, 상기 분사단계(S43)가 시작되는 제2바디(51)의 회전수는 원심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변수(제2바디의 지름, 제2바디에 저장된 의류의 양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분사단계(S43)는 상기 기준회전수(R)보다 낮은 회전수로 설정된 제1회전수에서 물을 제2바디(51)에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회전수(R1)는 상기 분사단계가 개시되는 하한 값(하한 회전수)과 상기 분사단계가 종료되는 상한 값(상한 회전수)을 가지는 회전수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 (b)는 상기 가속구간(T1)에 제2바디(51)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R1)를 유지하는 구간을 형성시키고, 이 구간 동안 분사단계(S43)를 진행함으로써 분사단계(S43)에 의해 구동부(57)에 부하가 증가하거나 구동부(57)의 작동이 불안정해지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6 (b)의 원심력 제공단계(S41) 역시 도 6 (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속단계(T1)와 유지단계(T2)로 구비된다. 다만, 상기 가속단계(T1)는 상기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기 설정된 제1회전수(R1)까지 증가시키는 제1가속단계(T11), 상기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R1)로 유지하는 단계(T13), 및 상기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기준회전수(R)까지 증가시키는 제2가속단계(T15)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단계(S43)는 제2바디(51)의 회전수가 제1회전수(R1)로 유지(T13)되는 동안 진행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제1회전수로 유지하는 단계의 진행 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분사단계(S43) 및 배출단계(S45)와 함께 진동감지단계(미도시)를 더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의류가 제2바디(51) 내부에 분산되지 못하고 제2바디(51)의 일부 영역에 집중돼 있으면, 제2바디(51)의 회전 시 진동이 발생한다. 상기 제2바디(51)에 발생한 진동이 일정한 수준을 넘어서면, 제2바디(51)는 회전 시 제1바디(31)에 충돌할 수 있다. 즉, 의류가 제2바디(51) 내부의 일정 영역에만 집중된 경우, 제2바디(51)는 고속으로 회전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진동감지단계는 기준회전수(R)보다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2바디(51)의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제2바디(51)가 기준회전수(R)로 회전할 때 발생할 진동의 크기를 예측하는 단계이다.
상기 진동감지단계는 상기 제2바디(51)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1바디(31)에 발생한 진동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함으로써 진행될 수도 있고, 상기 제2바디(51)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바디(51)에 발생한 진동의 크기를 기준 값과 비교함으로써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의 진동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진동센서와 같은 수단으로 제2바디의 진동을 직접 측정하거나 로터(573)의 회전수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제2바디의 진동의 크기를 추정하는 방법 등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단계가 구비될 경우, 본 발명은 진동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진동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에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제1회전수(R1)에서 기준회전수(R)로 증가시키는 제2가속단계(T15)를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술한 수용부(3, 5)의 세척은 상기 회전단계(S20)의 진행 중에만 진행될 수도 있고,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의 진행 중에만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단계(S20)의 진행 중에만 수용부의 세척이 진행될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급수단계(S10), 회전단계(S20) 및 배수단계(S30)로 구비되되, 상기 회전단계(S20)의 진행 시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제1바디(51) 내부의 수위가 도 4에 도시된 형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탈수 중에만 수용부를 세척하는 제어방법(S40, 일명 Jet Spray Motion)을 구현할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2바디(51)를 회전시켜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원심력 제공단계(S41), 상기 노즐(91)를 통해 제2바디(51)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단계(S43, 도 5),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분사단계(S43)에서 상기 제2바디(51)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1바디(3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S45)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라면,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S41)의 개시 전 제1바디(31)에 저장된 물이 있다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배수부를 통해 제1바디(31)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진행한 뒤 원심력 제공단계, 분사단계 및 배출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탈수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라면, 본 발명은 상술한 배수단계 없이 원심력 제공단계, 분사단계 및 배출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세탁, 헹굼, 탈수를 위해 작동하는 동안 수용부(3, 5)가 항상 세척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코스를 실행시켜 수용부(3, 5)를 세척하지 않아도, 의류처리장치가 수용부(3, 5)만을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코스를 주기적으로 실행하지 않아도 의류처리장치를 위생적으로 관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 역시 급수단계(S10), 회전단계(S20), 배수단계(S30), 및 원심력 제공단계(S41)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는 도 5의 모션이 상기 회전단계(S20)에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본 실시예의 실행을 위해, 상기 회전단계(S20)는 제1바디(31)에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제2바디(51)를 제2회전수(R2)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단계(S21), 제1회전단계의 완료 후 제1바디(31)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중간배수단계(S23, intermediate drain, 제1중간배수단계), 상기 제2바디(51)를 제2회전수보다 높은 회전수로 설정된 제1회전수(R1)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단계(S25), 제2회전단계의 완료 후 제1바디(31)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중간배수단계(S26, 제2중간배수단계), 제1바디(31)로 물을 재공급하는 중간급수단계(S27), 제1바디에 물이 공급된 상태로 제2바디(51)를 회전시키는 제3회전단계(S29)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제1회전단계(S21)에서 도 4의 모션이 구현되도록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모션에 관한 설명은 앞서 자세히 기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제2회전단계(S25)에서 중간분사단계(분사부를 통해 제2바디 내부에 물을 분사) 및 중간배출단계(분사단계의 진행 중 제1바디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가 진행되도록 분사부(9) 및 배수부(81, 8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간분사단계 및 중간배출단계의 구체적 제어과정은 앞서 설명한 분사단계(S43) 및 배출단계(S45)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회전단계(S25)에 설정된 제1회전수(R1)는 제1회전단계에 설정된 제2회전수(R2)보다는 높고, 배수단계(S30)의 완료 후 개시되는 원심력 제공단계(S41)에 설정된 기준회전수(R) 보다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회전단계(S25)의 진행 중 상기 중간분사단계 및 중간배출단계가 실행된 경우, 상기 중간배수단계(S26)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31)에 물과 세제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단계(S21)가 진행되면, 상기 제1회전단계(S21)는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세탁행정으로 볼 수 있고, 상기 제3회전단계(S29)는 중간급수단계(S27)를 통해 제1바디(51)에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의류에 잔류할 수 있는 세제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헹굼행정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전단계(S21)와 제3회전단계(S29) 사이에 진행되는 제2회전단계(S25)는 상기 제3회전단계(S29)에 필요한 물의 양을 최소화하고, 제3회전단계의 진행시간을 단축시키는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수용부(3, 5)를 세척하는 수단도 될 것이다.
상기 제3회전단계(S29)의 완료 후 본 발명은 배수부(81, 83)를 통해 제1바디(31)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단계(S30)를 진행한다.
상기 배수단계(S30)의 완료 후 본 발명 제어방법은 원심력 제공단계(S41), 분사단계(S43) 및 배출단계(S45)를 모두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배수단계(S30)의 완료 후 원심력 제공단계(S41)만을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배수단계(S30)의 완료 후 원심력 제공단계(S41), 분사단계(S43) 및 배출단계(S45)를 모두 실행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분사단계(S43) 및 배출단계(S45)는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제1회전수(R1)로 유지하는 단계(T13)에서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도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제1회전수로 유지하는 단계(T13)의 진행 시 상기 분사단계(S43) 및 배출단계(S45)와 함께 진동감지단계(미도시)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단계가 구비될 경우, 본 실시예는 상기 진동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진동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에 제2바디(51)의 회전수를 원심력 제공단계의 최종 목표 회전수인 기준회전수(R)로 증가(T15, T2)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2: 캐비닛 커버
121: 캐비닛 투입구 13: 도어 15: 지지부
17: 입력부 19: 표시부 3: 제1수용부
31: 제1바디 33: 커버 35: 제1투입구
5: 제2수용부 51: 제2바디 53: 제2투입구
55: 관통홀 57: 구동부 9: 분사부
91: 노즐 93: 연결관

Claims (19)

  1.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어 물을 저장하고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며 의류가 유입되는 제1투입구가 구비된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며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투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제2투입구, 상기 제2수용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제1수용부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상기 물을 제1투입구를 향해 상승시키는 회전단계;
    상기 회전단계의 완료 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 내부의 물을 상기 제1수용부 외부로 배수(drain)하는 배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원심력 제공단계;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spraying)하는 분사단계;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출(discharge)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 상기 분사단계 및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수(drain)하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 상기 분사단계 및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배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time period)과 상기 분사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은 서로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time period), 상기 분사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 및 상기 배출단계가 진행되는 시간구간은 서로 중첩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분사부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분사부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 및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2수용부의 원주면과 상기 제2수용부의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중심 사이에 위치된 제1지점에서 상기 모서리와 상기 제2투입구 사이에 위치된 제2지점까지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물이 분사되는 제1단계와 물 분사가 중단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진행시간은 상기 제2단계의 진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거나,
    상기 제1단계,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1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까지 증가시키는 가속단계; 및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상기 기준회전수로 유지하는 유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단계와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가속단계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기 설정된 제1회전수까지 증가시키는 제1가속단계;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보다 높은 회전수로 설정된 기준회전수까지 증가시키는 제2가속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단계와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를 유지하는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수용부에 발생한 진동의 크기를 측정하는 진동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감지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가 상기 제1회전수로 회전하는 동안 진행되고,
    상기 제2가속단계는 상기 진동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진동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하인 경우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계는 상기 제1수용부 내부의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2투입구의 높이까지 상승되도록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계는 물이 상기 제2투입구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계는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단계;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중간배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단계;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제2회전단계의 진행 중 상기 제2수용부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중간분사단계; 및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2회전단계의 진행 중 상기 중간분사단계에서 분사된 물을 상기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중간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는 상기 제1회전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보다 크고,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어 물을 저장하고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며 의류가 유입되는 제1투입구가 구비된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저장하며 상기 제1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투입구의 하부에 위치된 제2투입구, 상기 제2수용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제1수용부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상기 물을 제1투입구를 향해 상승시키는 제1회전단계;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전부 배수하는 중간배수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제2회전단계;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제2수용부 내부에 물을 분사(spraying)하는 분사단계;
    상기 분사단계에서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배수부를 통해 상기 제1수용부의 외부로 배출(discharge)시키는 배출단계;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켜 내부에 저장된 의류에 원심력을 제공하는 원심력 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는 상기 원심력 제공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보다 낮고, 상기 제1회전단계에 설정된 상기 제2수용부의 회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29959A 2015-09-14 2015-09-14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7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59A KR102376044B1 (ko) 2015-09-14 2015-09-14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16324269A AU2016324269B2 (en) 2015-09-14 2016-02-02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6/001107 WO2017047879A1 (en) 2015-09-14 2016-02-02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610074396.3A CN106521866B (zh) 2015-09-14 2016-02-02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US15/065,965 US10125444B2 (en) 2015-09-14 2016-03-10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59A KR102376044B1 (ko) 2015-09-14 2015-09-14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126A KR20170032126A (ko) 2017-03-22
KR102376044B1 true KR102376044B1 (ko) 2022-03-18

Family

ID=5825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959A KR102376044B1 (ko) 2015-09-14 2015-09-14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25444B2 (ko)
KR (1) KR102376044B1 (ko)
CN (1) CN106521866B (ko)
AU (1) AU2016324269B2 (ko)
WO (1) WO201704787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022B1 (ko) * 1994-12-06 2001-03-02 마찌다 가쯔히꼬 드럼식 세탁기 및 건조기
KR100629744B1 (ko) * 2003-02-06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1251A (en) * 1992-01-02 1993-12-21 Whirlpool Corporation Vertical axis washer
US5887456A (en) * 1995-08-30 1999-03-30 Sharp Kabushiki Kaisha Drum type drying/washing machine
US6351974B1 (en) * 1998-08-18 2002-03-05 Lg Electronics Inc. Penetration type washing machin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tub cover for the same
CN1300892A (zh) * 2001-01-02 2001-06-27 陆信芝 洗衣机漂洗衣物的方法
BRPI0801490A2 (pt) * 2008-05-16 2010-01-12 Whirlpool Sa sistema de limpeza de máquina de lavar e máquina de lavar
CA2711346C (en) * 2009-07-31 2013-05-07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2140749A (zh) * 2011-03-16 2011-08-03 蒋全林 洗衣机及其洗涤控制方法
CN103547724B (zh) * 2011-04-14 2016-05-04 Lg电子株式会社 洗涤方法
KR101921177B1 (ko) * 2012-09-24 2018-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634190B1 (ko) * 2013-01-31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000885B2 (en) * 2013-07-04 2018-06-19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022B1 (ko) * 1994-12-06 2001-03-02 마찌다 가쯔히꼬 드럼식 세탁기 및 건조기
KR100629744B1 (ko) * 2003-02-06 2006-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21866B (zh) 2019-01-29
KR20170032126A (ko) 2017-03-22
AU2016324269B2 (en) 2019-03-28
US10125444B2 (en) 2018-11-13
US20170073871A1 (en) 2017-03-16
WO2017047879A1 (en) 2017-03-23
CN106521866A (zh) 2017-03-22
AU2016324269A1 (en)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0561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US9181649B2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KR101597527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128322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washing drum
RU2461676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варианты)
KR102060066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6536807A (zh) 滚筒式洗衣机
KR102442968B1 (ko) 세탁기
KR10237604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49140B1 (ko) 세탁장치
KR101240262B1 (ko) 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EP2163673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for
US20140033443A1 (en) Washing maching appliance with a drain pump
KR10243197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3611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6066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094648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09923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방법
JP2005065873A (ja) ドラム式洗濯機及びドラム式洗濯機への洗剤液投入方法
US9518349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
KR10232089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151709A (ko) 방법 및 세탁기
JP200606143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10061971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