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533B1 -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533B1
KR101337533B1 KR1020070071393A KR20070071393A KR101337533B1 KR 101337533 B1 KR101337533 B1 KR 101337533B1 KR 1020070071393 A KR1020070071393 A KR 1020070071393A KR 20070071393 A KR20070071393 A KR 20070071393A KR 101337533 B1 KR101337533 B1 KR 101337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washing machine
rotational speed
speed
rotation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083A (ko
Inventor
김영종
박순안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5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7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spin-dry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내조; 및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세탁기의 탈수방법에 있어서, 탈수 초기에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불연속적으로 증가시켜면서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 및 상기 거품방지단계 후,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상기 최대 회전수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탈수 행정의 초기에 모터의 회전수를 계단 형상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세탁물에 잔류하는 물 및 세제를 제거하여 낮은 알피이엠(RPM) 영역에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거품방지단계, 공진회전수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WASHING MACHINE AND SPINN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수 행정의 초기에 모터의 회전수를 계단 형상 또는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세탁물에 잔류하는 물 및 세제를 제거함으로써, 낮은 알피이엠(RPM, 분당회전수) 영역에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주로 전동기를 주동력으로 하며,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에 묻어 있는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과 헹굼, 탈수의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구성요소로는 동력장치인 전동기와 빨래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계부, 세탁과정을 조정하는 제어부, 그리고 물을 넣고 빼는 급수장치와 배수장치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 방식에 따라서, 드럼식(cylinder type), 교반식(agitator type), 와권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치솟는 날개 모양의 교반기를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을 하는 방식이며, 와권식은 원판 모양의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생긴 물살로 세탁을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드럼식은 여러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드럼의 안쪽에 물과 세제와 빨래를 넣고 수평축으로 저속회전시켜 빨래가 돌출부에 의해 올 려졌다 떨어지는 충격에 의해 세탁을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세탁기(10)는 세탁기의 외부 형상을 이루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외조(17)와, 외조(17)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조(18)와, 일측 끝단이 케이싱(11)의 상측 내주면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외조(17)의 하측 외주면에 연결되어 외조(17)를 지탱하는 서스펜션(19)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세탁기(10)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내조(18) 및 외조(19)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4)와, 케이싱(11)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조(18) 및 외조(17)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 밸브(16)와, 상기 급수 밸브(16)의 하측에 구비되어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박스(13)와 세제 박스 하우징(12)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급수 밸브(16)는 수도와 연결된 급수 호스(15)의 끝단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세제박스 하우징(12) 내부로 공급하고, 세제박스 하우징(12)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박스(13)에 내에 담겨진 세제를 충분히 녹인 후, 세제와 함께 내조(18) 및 외조(17) 내부로 공급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과정에서의 시간과 모터의 회전수(RPM)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종래의 세탁기(10)는 탈수과정에서 거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 이후 탈수 시 연속적으로 내조(18)의 회전속도 내지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과정(도 2의 "A" 부분 참조)에서 내조(18)와 외조(17)의 상대운동에 의해 거품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모터(미도시)가 구속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조(18)가 최대 회전속도에 도달했을 때, 최대 회전속도 또는 회전수를 유지하는 시간이 10초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도 2의 "B" 부분 참조), 세탁물로부터 세제를 제거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로 인해, 탈수 후 다시 헹굼을 하더라도 잔류하는 세제로 인해 헹굼성능이 나빠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탈수 행정의 초기에 모터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낮은 RPM 영역에서 세제 및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세탁기 및 탈수방법을 제공함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모터의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와 같아지면, 모터의 회전수의 지속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탈수과정의 진동 또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세탁기 및 탈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모터가 최대 회전수로 충분히 회전할 수 있게 하여 헹굼 후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및 물을 제거함으로써 헹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 및 탈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내조; 및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세탁기의 탈수방법에 있어서, 탈수 초기에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불연속적으로 증가시켜면서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 및 상기 거품방지단계 후,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상기 최대 회전수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탈수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거품방지단계의 모터 회전수는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탈수 행정 시작 후 초기 탈수과정에서 모터의 회전수를 연속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불연속적 내지 단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내조와 외조 사이에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품방지단계의 모터 회전수는 적어도 10단계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터의 회전속도 내지 회전수를 여러 단계로 함으로써 거품방지 뿐만 아니라 탈수효과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10단계의 속도 프로파일은 점차 증가하는 회전속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거품방지단계의 모터 회전수는 일정 시간동안 유지된 후 더 큰 회전수로 단계적으로 증가되며, 상기 모터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수 유지 시간을 다른 회전수에서의 유지 시간 보다 짧게 한다.
이 때, 상기 공진 회전수는, 상기 세탁기의 수평 운동으로 인한 제1공진회전수와, 상기 세탁기의 코니컬 운동으로 인한 제2공진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공진회전수에 도달한 경우, 그 회전수의 유지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탈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만약, 공진 회전수에서 모터가 오랫동안 회전하도록 하면 공진이 발생하여 세탁기의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적어도 5분 동안 최대 회전수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종래에 비하여 모터가 최대 회전수로 회전하는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함으로써 탈수되는 물에 녹은 세제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헹굼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내조; 및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거품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탈수 초기에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는 적어도 5분 동안 최대 회전수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탈수 행정의 초기 동안 모터의 회전수를 단계적 내지 계단형태로 증가시킴으로써 헹굼 후 잔류하는 세제 및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낮은 알피이엠(RPM) 영역에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탈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에 도달하면 모터의 회전지속시간을 줄여 공진 영역을 빨리 벗어남으로써 진동 또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세탁기 및 탈수방법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최대 회전수에서 모터가 충분한 시간동안 회전하도록 하여 헹굼 후 잔류하는 세제 및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헹굼성능 내지 탈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 및 탈수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조(170)와, 외조(17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내조(180)와, 케이싱(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박스(130)와, 내조(180)를 회전시키는 모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내조(180)의 상측 테두리부에 형성되어 내조(180)가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밸런서(balancer, 200)가 형성되며, 내조(18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수에 회전 수류를 형성하는 세탁날개(22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외조(170)가 케이싱(110) 내부에 매달려 있도록 지지하며, 외조(170)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210)가 끝단에 형성되는 서스펜션(190)과, 외조(17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조(180) 및 세탁날개(2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30)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110)의 상단측 전방에 구비되어 세탁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내장한 컨트롤 패널(261)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부(26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내조(180) 및 외조(170) 내부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160)와, 급수 밸브(160)의 하측에 형성되며, 세제박스(130)가 수용되는 세제박스 하우징(135)이 포함된다. 급수밸브(160)는 세탁기(100)와 연결된 급수호스(150)로부터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세탁기(100)가 지면에 수평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레그(240)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외조(170)의 상단에는 대략 링 형상의 외조커버(171)가 형성되어 밸런서(200)를 덮는 형상을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230)는 탈수시에 거품이 발생하지 않도록 탈수 초기에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모터(230)가 최대 회전속도 내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모터(230)는 적어도 5분간 최대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과정에서의 시간과 모터의 회전수(RPM)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세탁기(100)를 사용하여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어(140)를 열고 세탁물을 내조(180)의 내부에 투입하고 도어(140)를 닫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조(180)에 투입된 세탁물의 종류와 포량에 따라서 적절한 세제가 세제박스(130)에 투입되고 세탁기(100)가 작동되면 내조(180)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서 세탁코스, 세탁시간, 헹굼시간, 탈수시간, 급수수위 등이 설정 되며, 이와 같이 설정된 세탁방법에 따라 세탁기(100)가 작동된다.
즉, 급수호스(150)와 급수밸브(160)를 통해 세제박스(130)로 물이 급수되고, 세제박스(130)에 투입된 세제는 급수되는 물과 섞인 상태로 내조(180)로 공급된다.
상기 내조(180)에 설정 수위까지 세탁수가 공급되면, 내조(180) 및 세탁날개(220)가 모터(230)에 의해 회전되면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세탁 행정이 종료되면, 내조(180) 내의 오염된 세탁수는 배수펌프(251, 도 3 참조) 및 배수호스(250, 도 3 참조)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후, 상기 세탁기(100)는 세탁물에 남은 세제 성분과 거품 등을 헹궈내기 위한 헹굼 행정이 수차례 수행된다. 즉, 급수호스(150) 및 급수밸브(160)에 의해 깨끗한 물이 내조(180) 내의 설정 수위까지 공급되고, 모터(230)에 의해 내조(180) 및 세탁날개(220)가 회전되어 세탁물이 헹궈지며, 헹굼과정에서 발생한 물은 배수펌프(251) 및 배수호스(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수차례의 헹굼 행정이 완료되면, 내조(180)과 세탁날개(220)가 모터(230)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고속 회전되어 세탁물의 수분을 완전히 원심 탈수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 사이에도 탈수 행정이 실시되고, 헹굼 행정이 수차례 반복되는 사이에도 탈수 행정이 각각 실시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의 탈수방법은 대략 탈수 초기에 상기 모터(230)의 회전수를 불연속적으로 증가시켜면서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S100) 및 거품방지단계(S100) 후, 모터(230)의 회 전수가 최대 회전수(RPMmax)에 도달하면 최대 회전수(RPMmax)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품방지단계(S100)의 모터(230) 회전수는 단계적으로 증가한다.
즉, 도 4의 "C"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 행정의 초기 단계에서 모터(230)의 회전수는 계단형태로 증가된다. 이 때, 각 회전수 단계는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만약, 각각의 회전수에서 일정 시간 동안 그 회전수를 유지하지 않으면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전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되어 거품이 생성될 가능성이 커지게 될 것이다.
모터(230)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S100)를 수행하는 중에, 공진회전수가 포함되어 있으면(S110), 그 때의 회전수 유지시간은 다른 회전수의 유지시간 보다 짧게 하고 더 다음의 큰 회전수 단계로 진행해야 한다(S120).
즉, 모터(230)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중에 모터(230)의 회전수가 공진회전수와 동일해 지게 되면, 그 때의 모터 회전수는 다른 모터의 회전수 보다 가능한 짧게 유지되어야 한다.
만약, 모터(230)의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회전수를 유지하는 시간을 줄이지 않으면, 세탁기(100)가 공진하면서 소음 내지 진동이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공진 회전수는 세탁기(100)의 수평 운동으로 인한 제1공진회전수(R1)와, 세탁기(100)의 코니컬 운동으로 인한 제2공진회전수(R2)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100)는 질량(Mass)과 스프링으로 모델링할 수 있는데, 질량은 내조(180), 외조(170) 그리고 케이싱(110) 등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은 서스펜션(19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질량들의 수평방향 운동을 모델링한 경우의 공진주파수가 제1공진주파수이고, 공진주파수를 회전수로 표시하면 제1공진회전수(R1)가 된다.
한편, 상기 서스펜션(190)은 4군데에서 외조(170) 및 내조(180)를 지지하게 되는데, 2개씩 서로 대칭되는 서스펜션(190)에 의해 지지되는 외조(170) 및 내조(180)는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내조(180) 및 외조(170)가 마치 팽이처럼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내조(180) 및 외조(170)의 움직임을 코니컬(conical) 운동이라고 하고, 이러한 운동을 모델링한 경우의 공진주파수가 제2공진주파수이고 이를 회전수로 나타내면 제2공진회전수(R2)가 된다.
모터(230)의 회전수(RPM)가 공진회전수에 해당하지 않으면, 그 회전수의 유지시간을 줄이지 않고 어느 정도 모터의 회전수를 유지한 후 다음의 회전수 단계로 진행한다(S130).
즉, 모터(230) 회전수의 단계의 갯수(N)가 10단계가 넘을 때까지 모터(230)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S140).
모터(230)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때, 그 단계의 갯수(N)가 적어도 10 단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수 단계의 갯수(N)를 충분하게 설정함으로써 거품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 성능도 높일 수 있게 된다.
회전수 단계의 갯수(N)가 10 단계가 되지 않으면 계속하여 회전수 단계를 높이며, 10단계가 넘게 되면 그 때부터는 모터의 회전수를 연속적으로 증가시킨다(S150).
여기서, 모터(230)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S100)는, 모터(230)의 회전수가 약 200 알피이펨(RPM)이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거품의 발생은 주로 낮은 알피이엠(RPM) 영역에서 일어나므로, 이 영역을 벗어나면 연속적으로 모터(23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서 빠른 시간 내에 최대 탈수 성능을 낼 수 있는 모터의 최대 회전수에 도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탈수 행정 초기에 거품이 발생하는 모터(230)의 회전수가 120 RPM 내지 140 RPM이기 때문에, 이러한 RPM 영역을 벗어나면 모터(230)의 회전수를 연속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모터(230)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RPMmax)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230)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S160). 이 과정에서 모터(230)가 최대 회전수(RPMmax)로 회전하게 되면 탈수 성능 또는 헹굼 성능을 높이기 위해 충분한 시간 동안 최대 회전수(RPMmax)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00).
전체 세탁시간, 소비전력 또는 세탁기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최대 회전수 유지시간을 5분으로 한다. 즉, 모터(230)가 최대 회전수(RPMmax)에서 적어도 5분간 회전하도록 한다(S210).
모터(230)가 최대 회전수(RPMmax)에서 적어도 5분간 회전하여 물과 세제를 충분히 배출한 후에 탈수 행정을 종료한다.
도 5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의 탈수방법은 탈수행정의 초기에 모터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이 과정에서 제1공진회전수(R1) 및 제2공진회전수(R2)에 도달하면 모터의 회전지속 시간을 줄여서 빨리 공진 영역을 벗어날 수 있다(도 5의 "C" 부분 참조).
또한, 모터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그 회전수로 적어도 5분간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헹굼성능 내지 탈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5의 "D" 부분 참조).
이 때, 모터(230)의 최대 회전수(RPMmax)는 1000 RPM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는 탑 로딩(top loading) 세탁기 즉, 내조 또는 외조의 회전축이 수직인 세탁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탈수방법은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과정에서의 시간과 모터의 회전수(RPM)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세탁기의 탈수과정에서의 시간과 모터의 회전수(RPM)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세탁기 110: 케이싱
130: 세제박스 140: 도어
150: 급수호스 160: 급수밸브
170: 외조 180: 내조
190: 서스펜션 200: 밸런서
220: 세탁날개 230: 모터

Claims (8)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내조; 및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세탁기의 탈수방법에 있어서,
    탈수 초기에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면서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계; 및
    상기 거품방지단계 후,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상기 최대 회전수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탈수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방지단계의 모터 회전수는 적어도 10단계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탈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방지단계의 모터 회전수는 일정 시간동안 유지된 후 더 큰 회전수로 단계적으로 증가되며,
    상기 모터 회전수가 공진 회전수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수 유지 시간을 다른 회전수에서의 유지 시간 보다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탈수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전수는,
    상기 세탁기의 수평 운동으로 인한 제1공진회전수와, 상기 세탁기의 코니컬 운동으로 인한 제2공진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탈수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적어도 5분 동안 최대 회전수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탈수방법.
  7.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조;
    상기 외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내조; 및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거품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탈수 초기에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최대 회전수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는 적어도 5분 동안 최대 회전수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70071393A 2007-07-16 2007-07-16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 KR101337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93A KR101337533B1 (ko) 2007-07-16 2007-07-16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93A KR101337533B1 (ko) 2007-07-16 2007-07-16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83A KR20090008083A (ko) 2009-01-21
KR101337533B1 true KR101337533B1 (ko) 2013-12-06

Family

ID=4048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393A KR101337533B1 (ko) 2007-07-16 2007-07-16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03B1 (ko) * 2012-04-04 2014-04-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드럼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647A (ko) * 1990-08-28 1992-03-27 아오이 죠이치 탈수기
KR0152462B1 (ko) * 1995-08-29 1998-12-15 배순훈 세탁기의 세제거품제거방법
KR19990040896A (ko) * 1997-11-20 1999-06-15 구자홍 드럼 세탁기의 거품 감지방법
KR20070021532A (ko) * 2005-08-18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탈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647A (ko) * 1990-08-28 1992-03-27 아오이 죠이치 탈수기
KR0152462B1 (ko) * 1995-08-29 1998-12-15 배순훈 세탁기의 세제거품제거방법
KR19990040896A (ko) * 1997-11-20 1999-06-15 구자홍 드럼 세탁기의 거품 감지방법
KR20070021532A (ko) * 2005-08-18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탈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83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275B1 (ko) 드럼식 세탁기
EP1500736B1 (en) Washing machine
KR101386470B1 (ko) 세탁기
US838134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disentangling clothes in the washing machine
JP2944491B2 (ja) 洗濯機内の泡の形成が防止できる洗濯方法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20934A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US20060016021A1 (en) Wash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KR102060066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565477B1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20090085749A (ko)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337533B1 (ko) 세탁기 및 그 탈수방법
KR100470135B1 (ko) 세탁기
KR20060004132A (ko) 드럼세탁기의 탈수방법
JPH10235069A (ja) 洗濯機
KR20090100155A (ko) 세탁기
KR20100086623A (ko) 세탁장치
EP3578704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JPH0927658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03611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3244384A (ja) 洗濯機
JP2000014985A (ja) 補助水タンクを備えたドラム式洗濯機及びそれを用いた洗濯方法
JP200503417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70075487A (ko) 직립식 세탁기의 탈수방법
EP2966211B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