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135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135B1
KR100470135B1 KR10-2002-0053184A KR20020053184A KR100470135B1 KR 100470135 B1 KR100470135 B1 KR 100470135B1 KR 20020053184 A KR20020053184 A KR 20020053184A KR 100470135 B1 KR100470135 B1 KR 10047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water
drip
circul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577A (ko
Inventor
데라이겐지
후지이히로유키
오무라유코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탁수를 순환하여 세탁, 헹굼을 행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물을 흡수하는 세탁 겸 탈수조가 물받이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물받이조의 내면에 펌프실이 형성된다. 세탁 겸 탈수조의 회전에 의해 세탁 겸 탈수조와 물받이조와의 사이의 세탁수가 펌프실에 모여, 펌프실에 접속된 순환 경로를 통해 윗쪽으로 양수된다. 소량의 세탁수로 순환 세정함으로써 귀중한 수자원을 절약하는 동시에, 고농도의 세탁수로 세탁함으로써 세정 성능이 더 향상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순환하여 세탁이나 헹굼을 행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를 도 10에 도시한다. 물받이조(17)는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세탁 겸 탈수조(18)를 내포하며, 매달린 봉(19)에 의해 세탁기 외틀(20)에 매달려 있다. 모터(21)는 감속 기구(22)를 통해 세탁 겸 탈수조(18)를 회전 구동한다. 급수 밸브(23)는 세탁 겸 탈수조(18) 내에 물을 급수한다. 수위 검지 수단(24)은 물받이조(17) 내의 수위를 검지한다. 배수 밸브(25)는 물받이조(17) 내의 세탁수를 배수한다. 제어 장치(26)는 모터(21), 급수 밸브(23), 배수 밸브(25) 등을 제어하여 세탁, 헹굼, 탈수의 각 행정을 순차 제어한다.
상기의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 겸 탈수조(18)에 세탁물과 세제가 투입되어 운전이 개시되면, 제어 장치(26)는 급수 밸브(23)를 동작시켜 세탁 겸 탈수조(18) 내에 물을 급수한다. 수위 검지 수단(24)이 소정 수위를 검지하면 제어 장치(26)로 신호가 보내어지고, 제어 장치(26)는 급수 밸브(23)의 동작을 정지한다. 그 후, 제어 장치(26)에 의해 모터(21)가 동작하여 세탁 겸 탈수조(18)를 회전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18)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물받이조(17) 내의 세탁수의 수면은 절구 형상으로 되고, 즉 세탁 겸탈수조(18)와 물받이조(17)와의 사이의 수면이 상승하고, 중앙부가 하강한다. 세탁 겸 탈수조(18)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면 원심력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세탁 겸 탈수조(18)의 외측과 물받이조(17)와의 사이의 수면은 점점 상승한다. 그리고, 어느새 세탁수의 수면이 세탁 겸 탈수조(18)의 상단부의 높이를 넘어 세탁 겸 탈수조(18)의 내부로 분무되어, 세탁수는 순환된다.
이와 같이 물받이조(17) 내에 소정량의 세탁수를 모은 상태에서, 세탁 겸 탈수조(18)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수를 분무, 순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세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투입한 세제의 용해가 촉진된다. 따라서, 세탁 행정이 빠른 시점에서 세탁수가 용해 포화에 도달하여, 세제 성분을 세탁물의 오염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하므로, 세탁물의 세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 이 구성에서는 세탁수의 순환시에서도 세탁물에 직접 기계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세탁물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은 종래 세탁기에서는 세탁 겸 탈수조(18)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물받이조(17) 내의 세탁수의 수면은 절구 형상이 된다. 따라서, 수면이 세탁 겸 탈수조(18)의 상단부의 높이를 넘어 내부로 분무하기 위해서는 세탁수는 최저이어도 세탁 겸 탈수조(18)와 물받이조(17)와의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수량과, 세탁 겸 탈수조(18)의 중앙부에 존재하는 수량의 합계의 양이 필요하게 되어, 그 이하의 수량에서는 회전수를 증대시켜도 분무되지 않는다.
즉, 세탁 겸 탈수조(18)의 상단부의 높이를 넘어 내부로 분무하기 위해서는, 세탁수의 수면이 일정 수위보다 높아지지 않으면 안되어, 수자원의 절약에는 한계가 있다. 또, 소량의 세탁수에 일정량의 세제를 가하면 세탁수가 고농도가 되어 세정력을 증대할 수 있는데, 수량의 절약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세정력의 증대에도 한계가 있었다.
또, 이와 같은 순환 세정은 세탁수를 직접 순환시킬 뿐이므로, 세탁수에 포함되는 실밥 등의 린트(보풀, lint)는 회수할 수 없다.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세탁조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물받이조와, 세탁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세탁조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와 물받이조와의 사이의 세탁수가 모이는, 물받이조의 내면에 설치된 펌프실과, 모인 세탁수를 펌프실로부터 윗쪽으로 양수하는 펌프실에 접속된 순환 경로를 구비한다.
이 세탁기에서는 저수위의 세탁수로 순환 세정함으로써 귀중한 수자원이 절약되는 동시에, 고농도의 세탁수로 세탁할 수 있음으로써 세정 성능이 더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세탁기의 동작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세탁기의 물받이조가 일부 절결된 사시도,
도 7은 실시형태 6의 세탁기의 동작 상태의 물받이조가 일부 절결된 사시도,
도 8은 실시형태 6의 세탁기의 동작 상태의 물받이조가 일부 절결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의 세탁기의 동작 상태의 물받이조가 일부 절결된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세탁기의 동작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받이조 2 : 세탁 겸 탈수조
3 : 펌프실 4 : 순환 경로
8 : 모터(구동 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세탁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종래의 세탁기와 동일한 구성의 것은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물받이조(1)는 내면의 바닥부에 안쪽으로 개방한 펌프실(3)을 가지고, 펌프실(3)에 물받이조(1)의 윗쪽으로 지나는 순환 경로(4)가 접속되고, 순환 경로(4)의 선단에 샤워 노즐(5)이설치되어 있다. 세탁 겸 탈수조(2)는 물받이조(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매달린 봉(6)에 의해 물받이조(1)는 세탁기 외틀(7)에 매달려 있다. 모터(구동 수단)(8)는 감속 기구(9)를 통해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 구동한다. 급수 밸브(10)는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물을 급수한다. 수위 검지 수단(11)은 물받이조(1) 내의 수위를 검지한다. 배수 밸브(12)는 물받이조(1) 내의 세탁수를 배수한다. 제어 장치(13)는 모터(8), 급수 밸브(10), 배수 밸브(12) 등을 제어하여 세탁, 헹굼, 탈수의 각 행정을 순차 제어한다.
상기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세탁기의 동작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세탁 겸 탈수조(2)에 세탁물과 세제가 투입되어 운전을 개시하면, 제어 장치(13)는 급수 밸브(10)를 동작시켜,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물이 급수된다. 수위 검지 수단(11)이 소정 수위를 검지하면 제어 수단(13)으로 신호를 보내어, 제어 수단(13)은 급수 밸브(10)의 동작을 정지한다. 그 후, 제어 장치(13)는 모터(8)를 구동하여,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물받이조(1) 내의 세탁수는 펌프실(3)에 집중하여 펌프실(3) 내의 수압이 상승한다.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면 회전력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펌프실(3)의 수압은 점점 상승하여, 세탁수는 순환 경로(4)를 지나 상승하고, 마침내는 순환 경로(4)의 선단의 샤워 노즐(5)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의 내부에 분무되어 순환한다.
이와 같이 물받이조(1) 내에 세탁수를 소량 담은 상태에서, 세탁 겸탈수조(2)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수를 세탁물에 분무, 순환시킬 수 있다. 세탁수를 분무, 순환시킴으로써, 투입한 세제의 용해가 촉진되며, 세탁수는 세탁 행정이 빠른 시점에서 용해 포화에 도달한다. 따라서, 세제 성분을 세탁물의 오염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의 세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 이 구성에서는 세탁수의 순환시에도 세탁물에 직접 기계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세탁물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 저수위에서 세탁수를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귀중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고농도의 세탁수로 세탁할 수 있어,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세탁시뿐 아니라, 헹굼시에 헹굼물을 순환시켜도 좋다. 이에 따라, 귀중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순환 경로(4a)는 일단이 펌프실(3)에 접속하여 물받이조(1)의 윗쪽으로 지나고 있다. 순환 경로(4a)의 선단에 린트 필터(14)가 설치되고, 린트 필터(14)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방수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면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물받이조(1) 내의 세탁수는 펌프실(3)에 집중하여, 펌프실(3) 내의 수압이 상승한다.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면 회전력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펌프실(3)의 수압은 점점 상승한다.이에 따라 세탁수는 순환 경로(4a)를 통해 상승하여, 마침내는 순환 경로(4a)의 선단의 린트 필터(14)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의 내부로 방수되어, 순환한다.
이와 같이 물받이조(1) 내에 세탁수를 소정량 담은 상태에서, 세탁 겸 탈수조(2)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수가 린트 필터(14)를 지나 방수, 순환되므로, 실밥 등의 린트를 회수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순환 경로(4b)는 일단이 펌프실(3)에 접속하여 물받이조(1)의 윗쪽으로 지나고 있다. 순환 경로(4b)의 도중에 린트 필터(15)가 접속되는 동시에, 순환 경로(4b)의 선단에 샤워 노즐(5)이 설치되고, 샤워 노즐(5)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그 윗쪽으로부터 세탁수가 분무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면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물받이조(1) 내의 세탁수는 펌프실(3)에 집중하여, 펌프실(3) 내의 수압이 상승한다.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면 회전력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펌프실(3)의 수압은 점점 상승한다. 이에 따라 세탁수는 순환 경로(4b)를 통해 상승하여, 마침내는 순환 경로(4b)의 도중에 접속하고 있는 린트 필터(15)를 통과하여, 순환 경로(4b)의 선단의 샤워 노즐(5)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의 내부로 분무되어, 순환된다.
이와 같이 물받이조(1) 내에 세탁수를 소정량 담은 상태에서, 세탁 겸 탈수조(2)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수가 린트 필터(14)를 통과할 수 있어, 실밥 등의 린트를 회수할 수 있다.
또, 세탁수를 순환하면서 세탁물에 분무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입한 세제의 용해가 촉진되어 세탁 행정이 빠른 시점에서 용해 포화에 도달하여, 세제 성분을 세탁물의 오염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의 세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순환 경로(4c)는 일단이 펌프실(3)에 접속하여 물받이조(1)의 윗쪽으로 지나고 있다. 순환 경로(4c)의 도중에 히터(16)가 접속되는 동시에, 순환 경로(4c)의 선단에 샤워 노즐(5)이 설치된다. 샤워 노즐(5)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그 윗쪽으로부터 세탁수가 분무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 겸 탈수조(2)를 회전시키면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물받이조(1) 내의 세탁수는 펌프실(3)에 집중하여, 펌프실(3) 내의 수압이 상승한다.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면 회전력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펌프실(3)의 수압은 점점 상승한다. 이에 따라 세탁수는 순환 경로(4c)를 통해 상승하고, 마침내는 순환 경로(4c)의 도중에 접속하고 있는 히터(16)를 통과하여, 순환 경로(4c)의 선단의 샤워 노즐(5)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의 내부로 분무되어, 순환된다.
이와 같이 물받이조(1) 내에 세탁수를 소정량 담은 상태에서, 세탁 겸 탈수조(2)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수가 히터(16)를 통과할 수 있어,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가 상승한 세탁수가 세탁물에 분무, 순환되므로, 투입한 세제의 용해가 더 촉진되어, 세탁 행정이 빠른 시점에서 세탁수가 용해 포화에 도달하여 세제 성분을 세탁물의 오염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탁물의 세정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순환 경로(4)의 도중에 히터(16)가 접속되고 있지만, 전해수 생성 장치나 균 제거제 투입 장치 등, 물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다른 장치도 접속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5)
도 1에 도시한 제어 장치(13)는 물받이조(1) 내의 세탁수의 수위에 의해,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변화시킨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상기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물받이조(1) 내의 세탁수의 수위가 높을 때는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저하시키고, 세탁수의 수위가 낮을 때는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수위가 달라도 일정한 세탁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즉, 수위가 낮을 때에도 순환량이 지나치게 감소하지 않아, 안정되게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위가 높을 때에도 순환량이 지나치게 증가하지 않아, 거품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여분의 전력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세탁기의 물받이조의 일부 절결한 사시도이다. 물받이조(1d)는 내면의 바닥부에 바로 앞에서 보아 오른쪽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안쪽으로 개방된 펌프실(3d)을 가진다. 펌프실(3d)에는 물받이조(1d)의 윗쪽으로 통과하는 순환 경로(4d)가 접속되고, 순환 경로(4d)의 선단에는 샤워 노즐(5)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은 실시형태 6의 세탁기의 동작 상태의 물받이조가 일부 절결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를 위에서 보아 좌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물받이조(1d) 내의 세탁수는 좌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펌프실(3d)에 집중하여, 펌프실(3d) 내의 수압이 상승한다.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면 회전력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펌프실(3d)의 수압은 점점 상승한다. 이에 따라 세탁수는 순환 경로(4a)를 통해 상승하여, 마침내는 순환 경로(4a)의 선단의 샤워 노즐(5)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의 내부로 분무되어, 순환한다.
이 때, 세탁수에는 세탁물로부터 배출되는 실밥 등의 린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수가 좌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펌프실(3d)에 집중할 때에, 펌프실(3d)을 구성하는 입구부(17)에 린트가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세탁 겸 탈수조(2)를 좌방향으로 회전한 후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를 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에 따라 물받이조(1d) 내의 세탁수가 우방향으로 회전하여, 펌프실(3d)의 입구부(17)에 부착한 린트를 자동적으로 떼낼 수 있기 때문에, 부착한 린트가 축적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받이조(1d)의 내면의 바닥부에는 바로 앞에서 보아, 우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있지만, 좌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세탁수는 세탁 겸 탈수조(2)가 우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순환하고, 좌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부착한 린트를 자동적으로 떼어낸다.
(실시형태 7)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의 세탁기의 동작 상태의 물받이조가 일부 절결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세탁에서는 세탁 겸 탈수조(2)의 좌회전으로 세탁수가 양수되고, 세탁 겸 탈수조(2)가 우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에 의해 세탁 겸 탈수조(2)의 외측과 물받이조(1d)의 사이의 세탁수가 상승하여,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그 윗쪽으로부터 분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 또는 6과 동일하다.
이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를 좌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물받이조(1d) 내의 세탁수는 좌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펌프실(3d)에 집중하여, 펌프실(3d) 내의 수압이 상승한다.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면 회전력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펌프실(3d)의 수압은 점점 상승한다. 이에 따라 세탁수는 순환 경로(4d)를 통해 상승하고, 마침내는 순환 경로(4d)의 선단의 샤워 노즐(5)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의 내부로 분무되어, 순환한다.
또, 모포 등의 큰 의류를 세탁하는 경우에는 세탁수의 수위를 높게 하여 많은 세탁수로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수위에서 중수위일 때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를 우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물받이조(1d) 내의 세탁수의 수면은 절구 형상이 되어, 세탁 겸 탈수조(2)와 물받이조(1d)와의 사이의 수면이 상승하고, 중앙부가 하강한다.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면 원심력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세탁 겸 탈수조(2)의 외측과 물받이조(1d)와의 사이의 수면은 점점 상승한다. 그리고, 마침내는 세탁수의 수면은 세탁 겸 탈수조(2)의 상단부의 높이를 넘어, 세탁수는 세탁 겸 탈수조(2)의 내부로 분무, 순환한다. 이 때, 세탁수의 수위가 높기 때문에, 세탁수의 순환량을 증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의 세탁물일 때는 세탁 겸 탈수조(2)를 좌방향으로 회전하여 세탁수를 저수위, 고농도로 순환 세정하고, 모포 등의 큰 세탁물일 때에는 세탁 겸 탈수조(2)를 우방향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을 고수위에서 대량으로 순환 세정할 수 있다. 즉, 이 세탁기는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 방향에 의해 최적의 순환 세정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받이조(1d)의 내면의 바닥부에는 바로 앞에서 보아, 우방향으로 각도를 가지고 있지만, 좌방향으로 각도를 가져도 된다. 그 경우, 세탁 겸 탈수조(2)가 우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펌프실(3d)로부터 양수하여 순환하고, 좌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세탁 겸 탈수조(2)의 외측과 물받이조(1d)와의 사이의 세탁수를 상승시켜, 세탁 겸 탈수조(2) 내에 그 윗쪽으로부터 분무된다.
(실시형태 8)
도 6에 도시한 세탁기에서, 세탁 겸 탈수조(2)는 좌회전으로 세탁수를 양수하며, 탈수시에는 세탁 겸 탈수조(2)가 우방향 또는 좌방향으로 회전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 1 또는 6과 동일하다.
이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 겸 탈수조(2)를 좌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물받이조(1d) 내의 세탁수는 좌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펌프실(3d)에 집중하여 펌프실(3d) 내의 수압이 상승한다. 세탁 겸 탈수조(2)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면 회전력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 펌프실(3d)의 수압은 점점 상승한다. 이에 따라 세탁수는 순환 경로(4d)를 통해 상승하고, 마침내는 순환 경로(4d)의 선단의 샤워 노즐(5)로부터 세탁 겸 탈수조(2)의 내부로 분무되어, 순환한다.
다음에, 세탁과 헹굼 사이의 중간 탈수시 등은 세탁 겸 탈수조(2)를 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물받이조(1d)의 바닥면 등에 물이 남아 있는 고농도의 세탁수가 공기와 하나가 되어 펌프실(3d)에 집중하여 거품이 일어나고, 또, 거품이 된 세제 성분이 공기와 함께 순환 경로(4d)를 통해 상승하여, 샤워 노즐(5)로부터 다시 세탁물에 분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헹굼 후의 최종 탈수시 등은 세탁 겸 탈수조(2)를 좌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공기가 펌프실(3d)에 집중하여 순환 경로(4d)를 통과하여 상승한다. 그리고, 공기가 샤워 노즐(5)로부터 송풍됨으로써, 세탁물에 공기가 공급되어 함수하고 있는 수분의 증발을 도와, 탈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량의 세탁수로 순환 세정함으로써 귀중한 수자원을 절약하는 동시에, 고농도의 세탁수로 세탁함으로써 세정 성능이 더 향상된다.

Claims (10)

  1.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내부에 상기 세탁조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물받이조와,
    상기 세탁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개구를 갖고, 상기 세탁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탁조와 상기 물받이조와의 사이의 세탁수가 상기 개구를 통해 모이는, 상기 물받이조의 내면에 설치된 펌프실과,
    상기 모인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의 회전에 의한 수압으로 상기 펌프실로부터 윗쪽으로 양수하는, 상기 펌프실에 접속된 순환 경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된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의 윗쪽으로부터 분무되는 상기 순환 경로의 선단에 설치된 샤워 노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경로의 도중에 설치된 린트 필터(lint filt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된 세탁기를 상기 세탁조의 윗쪽으로부터 분무되는 상기 순환 경로의 선단에 설치된 린트 필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경로의 도중에 설치된 상기 세탁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물받이조 내의 세탁수의 수위에 의해 상기 세탁조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겻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는 제1 회전방향 및 제2 회전방향의 쌍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펌프실의 개구는 상기 세탁조의 상기 제1 회전방향의 회전에 의한 세탁수의 흐름방향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가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세탁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세탁조와 상기 물받이조와의 사이의 세탁수가 상승하여, 상기 세탁조 내에 그 윗쪽으로부터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7항에 있어서,
    탈수시에는 상기 세탁조가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7항에 있어서,
    탈수시에는 상기 세탁조가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2-0053184A 2001-09-17 2002-09-04 세탁기 KR100470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1422A JP4720055B2 (ja) 2001-09-17 2001-09-17 洗濯機
JPJP-P-2001-00281422 2001-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577A KR20030024577A (ko) 2003-03-26
KR100470135B1 true KR100470135B1 (ko) 2005-02-05

Family

ID=1910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184A KR100470135B1 (ko) 2001-09-17 2002-09-04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20055B2 (ko)
KR (1) KR100470135B1 (ko)
CN (2) CN1206399C (ko)
TW (1) TW5911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7244B2 (ja) * 2003-04-11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JP4029845B2 (ja) * 2004-02-06 2008-01-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洗濯機
CN101358424B (zh) * 2007-07-30 2011-11-02 佛山市顺德海尔电器有限公司 一种带喷淋功能的外桶盖及使用该外桶盖的洗衣机
JP2009178484A (ja) * 2008-02-01 2009-08-13 Panasonic Corp 洗濯機
JP5608603B2 (ja) * 2011-04-19 2014-10-1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CN103334262A (zh) * 2013-06-26 2013-10-0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JP7097546B2 (ja) * 2017-12-26 2022-07-08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機
CN115726157A (zh) * 2021-08-25 2023-03-0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073B1 (en) * 1996-12-18 1999-07-01 Lg Electronics Inc The transmission laundry type washing machine
KR20010018301A (ko) * 1999-08-18 2001-03-05 구자홍 순환분사식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627B2 (ja) * 1989-12-30 1994-09-28 三星電子株式会社 洗濯機
JPH0724177A (ja) * 1993-07-15 199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機
JPH07323175A (ja) * 1994-05-3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2000350886A (ja) * 1999-06-14 2000-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2001070694A (ja) * 1999-08-18 2001-03-21 Lg Electronics Inc 洗濯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073B1 (en) * 1996-12-18 1999-07-01 Lg Electronics Inc The transmission laundry type washing machine
KR20010018301A (ko) * 1999-08-18 2001-03-05 구자홍 순환분사식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79997A (ja) 2003-03-18
CN1206399C (zh) 2005-06-15
CN2586712Y (zh) 2003-11-19
TW591154B (en) 2004-06-11
JP4720055B2 (ja) 2011-07-13
CN1405397A (zh) 2003-03-26
KR20030024577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0736B1 (en) Washing machine
EP0740009B1 (en) Rinsing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KR20070063658A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470135B1 (ko) 세탁기
KR20000014198A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방법
JP4978731B2 (ja) 洗濯機
JP5889575B2 (ja) 洗濯機
JP4661521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3965853B2 (ja) 洗濯機
KR100741806B1 (ko) 세탁기의 헹굼 방법
JP4869414B2 (ja) 洗濯機
KR100546565B1 (ko) 절수형 전자동 투과세탁기
KR100701937B1 (ko) 세탁기의 배수방법
JPH09108489A (ja) 洗濯機内の泡が除去できる洗濯方法
JP2005110753A (ja) 洗濯機
JP7289042B2 (ja) 洗濯機
KR100793764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JP4007141B2 (ja) 洗濯機
JP2001157796A (ja) 洗濯機
KR100336127B1 (ko) 드럼세탁기
KR100308015B1 (ko) 세탁기의세탁수펌핑방법및그장치
CN117758475A (zh) 一种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JP2005131223A (ja) 洗濯機
JP2002360975A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KR20040089524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