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422B1 - 펀칭 장치 - Google Patents
펀칭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5422B1 KR102035422B1 KR1020180053595A KR20180053595A KR102035422B1 KR 102035422 B1 KR102035422 B1 KR 102035422B1 KR 1020180053595 A KR1020180053595 A KR 1020180053595A KR 20180053595 A KR20180053595 A KR 20180053595A KR 102035422 B1 KR102035422 B1 KR 1020354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piece
- work
- die
- punching
- clam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2—Stabbing or piercing, e.g. for making sie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26D7/02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acting upon planar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제품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변형이 없는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형성 가능한 펀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
1매의 워크(W)로부터 제품(W0)을 순차 펀칭해 가는 펀칭 장치(1)이며, 하형(48)과, 하형(48)을 향해 승강 가능한 상형(50)을 갖는 다이 세트(12, 12A)와, 다이 세트(12, 12A)가 설치됨과 함께, 상형(50)을 승강시키는 상형 승강 장치(21)를 갖고, 상형(50)의 강하에 대해 역방향으로 상승 가능한 프레스 유닛(11)과, 워크(W)를 기준 높이 위치에 보유 지지하여 소정 평면 위치로 반송하는 워크 보유 지지 장치인 제1 클램퍼(13), 제2 클램퍼(14)와, 워크(W)를 펀칭할 때, 상형(50)이 워크(W)의 상부 기준면(K)에 맞닿는 타이밍에 상형(50)의 강하에 동기하여 프레스 유닛(11)을 상승시키는 밀어올림 장치(24)를 갖는 펀칭 장치(1).
1매의 워크(W)로부터 제품(W0)을 순차 펀칭해 가는 펀칭 장치(1)이며, 하형(48)과, 하형(48)을 향해 승강 가능한 상형(50)을 갖는 다이 세트(12, 12A)와, 다이 세트(12, 12A)가 설치됨과 함께, 상형(50)을 승강시키는 상형 승강 장치(21)를 갖고, 상형(50)의 강하에 대해 역방향으로 상승 가능한 프레스 유닛(11)과, 워크(W)를 기준 높이 위치에 보유 지지하여 소정 평면 위치로 반송하는 워크 보유 지지 장치인 제1 클램퍼(13), 제2 클램퍼(14)와, 워크(W)를 펀칭할 때, 상형(50)이 워크(W)의 상부 기준면(K)에 맞닿는 타이밍에 상형(50)의 강하에 동기하여 프레스 유닛(11)을 상승시키는 밀어올림 장치(24)를 갖는 펀칭 장치(1).
Description
본 발명은, 펀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워크(피가공물)로부터 펀칭 가공에 의해 제품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상형에 펀치, 하형에 다이를 구비하는 펀칭 장치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펀칭 장치에서는, 펀칭된 제품은 다이의 하방측으로 낙하한다는 점에서 제품에 흠집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하형에 펀치, 상형에 다이를 구비하고, 워크를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으로 펀칭하는 역 배치 구조에 의해 제품을 워크의 상면측으로 펀칭하는 펀칭 장치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다이와 펀치를 모두 상대적으로 동작시켜 워크에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는 프레스 성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역 배치 구조의 금형을 사용하는 펀칭 장치 및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프레스 성형 장치는, 1매의 워크로부터 연속적으로 제품을 순차 펀칭하거나,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거나 하는 경우, 클램퍼 등의 워크 보유 지지 장치로 워크를 보유 지지하면서 소정의 펀칭 위치로 워크를 이동시켜 펀칭 가공이나 드로잉 가공을 행한다. 이때, 펀칭되거나, 드로잉 가공되거나 한 제품의 주위는, 워크 보유 지지부에 있어서 동일 높이에 보유 지지되는 워크의 기준면에 대해 또한 다이가 강하하기 때문에, 워크가 구부러져 버려 원하는 형상의 제품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제품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변형이 없는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형성 가능한 펀칭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펀칭 장치는, 1매의 워크로부터 제품을 순차 펀칭해 가는 펀칭 장치이며, 하형과, 상기 하형에 대해 승강 가능한 상형을 갖는 다이 세트와, 상기 다이 세트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상형을 승강시키는 상형 승강 장치를 갖고, 상기 상형의 강하에 대해 역방향으로 상승 가능한 프레스 유닛과, 상기 워크를 기준 높이 위치에 보유 지지하여 소정 평면 위치로 반송하는 워크 보유 지지 장치와, 상기 워크를 펀칭할 때, 상기 상형이 상기 워크의 상부 기준면에 맞닿는 타이밍에 상기 상형의 강하에 동기하여 상기 프레스 유닛을 상승시키는 밀어올림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 장치에 의하면, 제품을 펀칭할 때, 상형의 강하에 동기하여 프레스 유닛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펀칭 시의 워크 기준 위치와 펀칭 후의 워크의 기준 위치, 즉 워크의 상부 기준면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제품 펀칭 후의 워크가 변형되지 않는다. 그것으로부터, 이후의 펀칭 가공에 있어서, 변형이 없는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펀칭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펀칭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프레스 유닛은, 상기 밀어올림 장치에 의해 상승 및 강하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프레스 유닛의 강하 위치, 상승 위치 및 상승 속도나 강하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유닛의 승강 동작에 기인하는 충격이나 진동 등을 억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펀칭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워크 보유 지지 장치는, 상기 프레스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워크의 이송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워크 보유 지지 장치는, 상기 워크의 일방측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와, 상기 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워크의 타방측을 보유 지지하는 제2 워크 보유 지지 장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와 제2 워크 보유 지지 장치를 장비함으로써, 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의 워크 보유 지지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제2 워크 보유 지지 장치에 의해 워크를 바꿔서 파지하여 펀칭 가공을 행하면, 종래 불가능했던 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가 워크를 보유 지지하는 범위에 있어서도 펀칭 가공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워크의 재료 절단에 낭비가 없어, 1매의 워크로부터 더 많은 제품을 연속적으로 펀칭하는 것이 가능해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4] 본 발명의 펀칭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하형은 펀치를 갖고, 상기 상형은 다이 구멍이 형성된 다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워크는 하형측으로부터 상형측으로 펀칭된다. 즉, 제품은, 워크의 상방으로 펀칭되므로, 하형의 하방측으로 제품을 낙하시키는 종래의 구조보다 제품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5] 본 발명의 펀칭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하형의 펀치가 피어싱용 다이 구멍을 갖고, 상기 상형이 상기 다이 구멍과 당해 다이 구멍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어싱용 펀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이 세트 구조로 하면, 제품의 블랭킹 가공과 제품 내측의 피어싱 가공이 동일한 펀칭 공정에서 실시 가능해진다. 피어싱 가공된 워크의 일부(펀칭 스크랩)는, 하형의 하방측으로 낙하하고, 제품은 워크 상방측(상형측)으로 펀칭되게 되어, 펀칭 스크랩과 제품이 분리되므로 제품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어렵다.
[6] 본 발명의 펀칭 장치는, 1매의 워크로부터 순차 제품을 펀칭해 가는 펀칭 장치이며, 하형과, 상기 하형을 향해 승강 가능한 상형과, 상기 상형을 승강시키는 상형 승강 장치와, 상기 워크를 보유 지지하여 소정 평면 위치로 반송하는 워크 보유 지지 장치를 갖고, 상기 워크 보유 지지 장치는, 상기 워크를 펀칭할 때, 상기 상형이 강하하고 상기 워크의 상부 기준면에 맞닿는 타이밍에 상기 상형의 강하에 동기하여 상기 워크를 강하시키는 워크 승강 기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 장치에 의하면, 제품을 펀칭할 때, 상형의 강하에 동기하여 워크를 강하시키기 때문에, 펀칭 시 및 펀칭 후의 워크의 상대적인 기준 위치 관계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제품을 펀칭한 후의 워크가 변형되지 않는다. 그것으로부터, 이후의 펀칭 가공에 있어서, 변형이 없는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펀칭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펀칭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 방향으로부터 본 펀칭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다이 세트(1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관한 다이 세트(12A)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펀칭 장치(1)에 의한 워크(W)의 펀칭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워크(W)의 가공 가능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에 의한 워크(W)의 펀칭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펀칭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 방향으로부터 본 펀칭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다이 세트(1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관한 다이 세트(12A)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펀칭 장치(1)에 의한 워크(W)의 펀칭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워크(W)의 가공 가능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에 의한 워크(W)의 펀칭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도 1의 도시 횡방향을 X축으로 하고, 우측 방향을 X(+), 좌측 방향을 X(-)로 나타내고, 도시 종방향을 Z축으로 하고, 상방을 Z(+), 하방을 Z(-)로 나타내고, 지면에 수직 방향을 Y축으로 하고, 지면 안쪽을 Y(+), 지면 앞쪽을 Y(-)로 나타내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 내지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펀칭 장치(1)를 도시하는 구성 설명도이며, 도 1은 정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펀칭 장치(1)를 X(-)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칭 장치(1)는, 베이스(10) 상에 배치되는 프레스 유닛(11)과, 프레스 유닛(11)의 프레임 내에 고정되는 다이 세트(12)와, 피가공물인 워크(W)를 보유 지지하여 제품 펀칭 위치로 반송하는 워크 보유 지지 장치인 제1 클램퍼(13)(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 및 제2 클램퍼(14)(제2 워크 보유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가공 가능한 워크(W)로서는, 펀칭 가공이 가능한 두께이며, 재질은 금속판, 리지드 기판, 및 비금속판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유닛(11)의 프레임은, 우측 사이드 프레임(15)과 좌측 사이드 프레임(16)과, 우측 사이드 프레임(15)과 좌측 사이드 프레임(16)을 접속하는 상부 프레임(17) 및 하부 프레임(18)(도 4 참조)을 일체화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의 상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9)가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9)에는, 좌우에 가이드 포스트(20)가 2개씩 세워져 있고, 가이드 포스트(20)를 안내 축으로 하여 프레스 유닛(11)이 다이 세트(12)와 일체로 베이스(10)(페이스 플레이트(19))에 대해 Z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스 유닛(11)의 상방에는, 상형 승강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상형 승강 장치(21)는,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를 갖고 있다. 변환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볼 나사 기구 등이다. 상형 승강 장치(21)는, 선단측이 다이 플레이트(22)에 고정되고, 다이 플레이트(22)를 통해 상형(50)(도 4 참조)을 Z축을 따라 강하시키거나 상승시키거나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 유닛(11)의 하방에는 프레스 유닛(11)을 승강시키는 밀어올림 장치(24)를 구비하고 있다. 밀어올림 장치(24)는,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예를 들어, 볼 나사 기구)를 갖고 있다. 밀어올림 장치(24)의 상방(Z(+)) 선단측은 하부 프레임(18)에 고정되어 있고, 프레스 유닛(11)은 밀어올림 장치(24)에 의해, 상승 및 강하의 양쪽의 동작이 제어된다. 밀어올림 장치(24)의 하방(Z(-))측은, 베이스(10)측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램퍼(13)는, 프레스 유닛(11)에 대해 Y(-) 방향측에 배치되고, 제2 클램퍼(14)는 프레스 유닛(11)을 사이에 두고 제1 클램퍼(13)에 대해 반대측인 Y(+)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클램퍼(13) 및 제2 클램퍼(14)는, Y축 방향의 이동 거리가 상이하기는 하지만 거의 동일한 구성이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제1 클램퍼(13)는, 워크(W)가 급재된 위치를 나타내고, 제2 클램퍼(14)는 제1 클램퍼(13)로부터 워크(W)가 전달된 후의 임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클램퍼(13)는, 급재된 워크(W)의 Y(-) 방향 단부를, 워크(W)의 이면을 수용하는 클램프 테이블(25)과, 클램프 테이블(25)의 X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26) 사이에 워크(W)를 두께 방향으로 끼워넣어, 워크(W)를 위치 어긋남이 없도록 보유 지지한다. 클램프(26)는, 워크(W)를 제1 클램퍼(13)에 급재할 때에는, 급재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거나 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소정 위치에 급재한 후에 워크(W)의 상면으로 이동하여 워크(W)를 압박하여 보유 지지한다.
제1 클램퍼(1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구동부(27) 및 X축 구동부(27)의 상부에 배치되는 Y축 구동부(28)를 갖고 있다. X축 구동부(27) 및 Y축 구동부(28)는 모두,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예를 들어, 볼 나사 기구)를 갖고 있다. X축 기구부(27)는, 워크(W)를 X축 가이드 레일(29) 상에서 X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킨다. Y축 구동부(28)는, 워크(W)를 Y축 가이드 레일(30)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제1 클램퍼(13)는, 베이스(10)에 세워진 X축 지지 블록(31) 상에 지지되고, X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2개의 프레임(3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3 참조). Y축 구동부(28)의 상부에는 회전 기구부(35)가 배치된다.
회전 기구부(35)는, 제1 클램퍼(13) 상에 급재된 워크(W)의 기준 X축 또는 기준 Y축에 대한 자세(각도 어긋남)를 보정한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W)의 상방에는, 위치 검출용 카메라(36)가 설치되어, 워크(W)에 형성되어 있는 마커(도시하지 않음)를 촬상하고, 기억되어 있는 기준 X축 및 기준 Y축의 마커와의 어긋남량을 검출하고, 회전 기구부(35), X축 구동부(27) 및 Y축 구동부(28)에 의해, 각도 어긋남, X축 및 Y축의 어긋남량을 보정한다. 카메라(36)의 설치 위치는, 마커를 검출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 클램퍼(13)측의 워크(W)의 상방, 또는 제1 클램퍼(13)측과 제2 클램퍼(14)측의 양쪽에 설치해도 되고, 워크(W)의 하방측에 설치해도 된다.
제2 클램퍼(14)는, 상기 제1 클램퍼(13)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며, 제1 클램퍼(13)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클램퍼(14)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구동부(37) 및 X축 구동부(37)의 상부에 배치되는 Y축 구동부(38)를 갖고 있다. X축 구동부(37) 및 Y축 구동부(38)는 모두,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예를 들어, 볼 나사 기구)를 갖고 있다. X축 기구부(37)는, 워크(W)를 X축 가이드 레일(39)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Y축 구동부(38)는, 워크(W)를 Y축 가이드 레일(40) 상에서 Y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킨다. 제2 클램퍼(14)는, 베이스(10)에 세워진 X축 지지 블록(41) 상에 지지되고 X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2개의 프레임(4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클램퍼(14)는, 제1 클램퍼(13)로부터 전달된 워크(W)의 이면을 수용하는 클램프 테이블(55)과 클램프 테이블(55)의 좌우에 배치되는 클램프(56) 사이에 워크(W)를 두께 방향으로 끼워넣어, 워크(W)를 위치 어긋남이 없도록 보유 지지한다. 클램프(56)는, 워크(W)를 제1 클램퍼(13)로부터 수취할 때에는, 급재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거나 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소정 위치에 급재한 후에 워크(W)의 상면으로 이동하여 워크(W)를 압박하여 보유 지지한다.
Y축 구동부(38)의 상방에는, 워크(W)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부(35)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기구부(35)는, 제1 클램퍼(13)로부터 전달된 워크(W)의 기준 X축 또는 기준 Y축에 대한 자세(각도 어긋남)를 보정한다. 제2 클램퍼(14)는, 워크(W)를 카메라(36)의 하방까지 이동시켜 워크(W)에 형성되어 있는 마커(도시하지 않음)를 촬상하고, 기억되어 있는 기준 X축 및 기준 Y축과 마커의 어긋남량을 검출하고, 회전 기구부(35), X축 구동부(37) 및 Y축 구동부(38)에 의해, 각도 어긋남, X축 및 Y축의 어긋남량을 보정한다. 제1 클램퍼(13)로부터 전달된 워크(W)의 각도 어긋남, X축 및 Y축에 위치 어긋남이 없는 경우에는, 제2 클램퍼(14)에 있어서의 자세 및 위치 어긋남 보정은 생략할 수 있다. 카메라(36)를 제2 클램퍼(14)측에 추가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제1 클램퍼(13)에 의한 위치 보정 후, 제1 클램퍼(13)에 의해 워크(W)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소정의 펀칭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품을 펀칭한다. 제2 클램퍼(14)도 동일하게 워크(W)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소정의 펀칭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제품을 펀칭한다. 제2 클램퍼(14)에 있어서 소정 수량의 제품 펀칭이 종료된 후, 워크(W)를 제1 클램퍼(13)측으로 이동시켜, 제1 클램퍼에 전달한다. 제1 클램퍼(13)는, 워크(W)를 제재 위치로 이동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램퍼(13)의 좌측 방향(X(-)측)에는, 급재 스토커(33)가 배치되어 있어 가공 전의 워크(W)가 스톡되고, 우측 방향(X(+)측)에는, 제재 스토커(34)가 배치되어 있어 가공 후의 워크(W)가 스톡된다. 가공 후의 워크(W)의 상면에는, 펀칭된 제품이 놓여 있어, 제품을 포함하여 워크(W)를 제재하거나, 제품을 제재한 후에 워크(W)를 제재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워크(W)의 급재측에는 급재 장치, 제재측에는 제재 장치를 장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다이 세트(1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펀칭 장치(1)에 사용하는 다이 세트로서의 실시예 1에 관한 다이 세트(1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이 세트(12)는, 펀치(44)를 지지하는 펀치 홀더(45)와 펀치 플레이트(46)와 가동 스트리퍼(47)를 갖는 하형(48)과, 다이(23)와 다이 플레이트(22)를 갖고, 펀치(44)에 대해 승강 가능한 상형(50)을 갖는다. 가동 스트리퍼(47)는, 펀치 홀더(45)에 세워진 2개의 볼트(51)에 의해 Z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가동 스트리퍼(47)와 펀치 홀더(45)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52)에 의해 다이(23)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상형(50)은, 펀치 플레이트(46)에 세워진 4개의 가이드 포스트(53)(도 2 참조)에 의해 Z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이(23)에는 다이 구멍(54)이 형성되어 있고, 펀치(54)의 외형은 다이 구멍(54)과 동일한 외형 형상, 즉 제품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다. 다이 구멍(54)과 펀치(44) 사이에는 적절한 클리어런스가 형성되어 있다. 상형 승강 장치(21)를 구동하여 상형(50)(다이(23))을 강하시킴으로써 제품이 펀칭된다. 도 4는, 제품의 외형을 펀칭하는 형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가동 스트리퍼(47)는, 상형(50)(다이(23))의 강하에 연동하여 강하하고, 상형(50)이 상승할 때에 코일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의해 상승한다. 펀칭된 제품은, 워크(W) 상에 놓인다.
다음으로, 실시예 2에 관한 다이 세트(12A)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 1이 제품의 외형을 펀칭하는 형 구조인 것에 비해, 실시예 2는 제품의 외형과 제품 내의 구멍을 동시에 펀칭하는 형 구조이다. 실시예 1의 다이 세트(12)에 대해 다이 세트(12A)라고 기재하고, 실시예 1과의 상위 개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2에 관한 다이 세트(12A)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이 세트(12A)는, 펀치(44)를 갖는 하형(48)과, 다이(23)를 갖는 상형(50)으로 구성된다. 하형(48)측의 펀치(44)에는, 피어싱용 다이 구멍(57)이 마련되어 있다. 펀치(44)의 외형은 제품 외형이 된다. 가동 스트리퍼(47)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다이(23)에는, 제품 외형을 형성하는 다이 구멍(54)이 형성되고, 다이 구멍(54)의 내측에는, 피어싱용 펀치(58)와 가동 스트리퍼(59)가 배치되어 있다. 피어싱용 펀치(58)는 다이 플레이트(22)에 고정된다. 가동 스트리퍼(59)는 다이 플레이트(22)에 세워진 2개의 볼트(51)에 의해 Z축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가동 스트리퍼(59)와 다이 플레이트(22)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52)에 의해 펀치(44)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가동 스트리퍼(59)는, 피어싱 시에, 워크(W)를 압박하고, 피어싱 후에, 피어싱용 펀치(58)로부터 제품을 떼어내는 기능을 갖는다.
하형(48)과 상형(50)의 동작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워크(W)에 대해 피어싱과, 제품의 블랭킹(컴파운드 블랭킹)을 동시 진행으로 행할 수 있다. 펀칭 스크랩은, 피어싱용 다이 구멍(57)의 하방측으로 낙하하고, 제품은 워크(W)의 상방측으로 펀칭된다. 또한, 피어싱용 펀치(58)와 피어싱용 다이 구멍의 형상을 조합함으로써, 펀칭 가공 이외에 하프 블랭킹 가공이나 드로잉 가공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펀칭 장치(1)에 의한 워크(W)의 펀칭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6의 (A)는 워크(W)를 펀칭 위치로 반송한 상태, 도 6의 (B)는 워크(W)의 상면(상부 기준면(K)으로 함)에 다이(23)가 맞닿은 순간, 도 6의 (C)는 제품(W0)을 펀칭한 직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실시예 1의 다이 세트(12)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다이(23)는, 워크(W)에 맞닿아 펀칭하는 상형(50)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도 6의 (D)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품 펀칭 직후를 도시한 도면이며, 프레스 유닛(11)이 없는 구조가 일반적이지만, 본 실시 형태 1과 비교하기 쉽게 하기 위해 프레스 유닛(11)을 기재하고 있다. 워크(W)는, 제1 클램퍼(13) 또는 제2 클램퍼(14)에 의해 상시 일정한 높이에 보유 지지된다. 즉, 상부 기준면(K)의 위치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D)에 있어서 일정하다. 또한, 도 6에서는, 제1 클램퍼(13)를 예시하고, 코일 스프링(5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W)는 제1 클램퍼(13)로 보유 지지되고, 가동 스트리퍼(47) 상으로 반송되고 있다. 다이(23)는 상사점에 위치하고, 워크(W)와의 사이에는 간극(S1)이 있다. 또한, 펀치(44)의 상면은, 가동 스트리퍼(47)의 상면과 일치하고 있어도 되고, 약간 하방에 있도록 해도 된다. 도 6의 (B)는, 다이(23)를 강하시켜 워크(W)의 상부 기준면(K)에 맞닿게 한 순간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에는, 가동 스트리퍼(47)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대로 다이(23)를 강하시키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23)와 펀치(44)로 워크(W)를 펀칭한다. 이때, 가동 스트리퍼(47)는, 다이(23)의 강하분만큼(펀칭 스트로크(S2))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워크(W)는, 제1 클램퍼(13)에 의해 상부 기준면(K)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보유 지지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이(23)(가동 스트리퍼(47))의 이동분만큼 구부러져 버린다. 그래서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23)가 워크(W)의 상부 기준면(K)에 맞닿고 나서 워크(W)를 펀칭하는 스트로크(S2)만큼, 프레스 유닛(11)을 밀어올림 장치(24)에 의해 밀어올려, 제1 클램퍼(13)로 보유 지지하는 위치(상부 기준면(K))와 펀칭 후의 워크(W)의 상면 위치에 변화가 없도록 하고 있다. 즉, 다이(23)가 워크(W)의 펀칭 개시의 타이밍에 다이(23)의 강하에 동기하여 프레스 유닛(11)을 상승시킴으로써 상부 기준면(K)의 위치를 펀칭 전후에 있어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워크(W)는 구부러지지 않는다. 그 결과, 이후의 펀칭에 있어서 제품(W0)을 변형이 없는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다이 세트(12A)에 있어서도, 다이(23)와 피어싱용 펀치(58)는 일체로 강하하기 때문에, 도 6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이(23)의 워크(W)의 펀칭 개시에 동기하여 프레스 유닛(11)을 상승시키면, 상부 기준면(K)의 위치를 펀칭 전후에 있어서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으므로, 워크(W)는 구부러지지 않는다. 그 결과, 이후의 펀칭에 있어서 제품(W0)을 변형 없이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워크(W)는, 제1 클램퍼(13)로 보유 지지하여 소정 수의 펀칭 가공을 한 후, 제2 클램퍼(14)에 전달되고, 제1 클램퍼(13)가 보유 지지하고 있음으로써 가공할 수 없었던 영역도, 제2 클램퍼(14)로 다시 보유 지지함으로써 제1 클램퍼(13)가 보유 지지하고 있었던 범위에도 펀칭 가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워크(W)의 가공 가능 영역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검은색 삼각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단부측의 영역은, 제1 클램퍼(13)로 보유 지지되어 펀칭 가공을 할 수 없는 영역이고, 실선으로 둘러싸인 영역(M)이 양호한 가공 가능 영역이다. 또한, 흰색 삼각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단부측의 영역은, 제2 클램퍼로 보유 지지되어 펀칭 가공을 할 수 없는 영역이고,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N)이 양호한 가공 가능 영역이다. 도 7에 있어서, 해칭이 격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영역은, 제1 클램퍼(13)와 제2 클램퍼(14) 각각이 워크(W)를 보유 지지하고 있어도 펀칭 가공을 행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제1 클램퍼(13)와 제2 클램퍼(14)로 워크(W)를 바꿔서 파지하여 펀칭 가공하면, 워크(W)의 면적의 대부분이 가공 가능 영역이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관한 펀칭 장치(1)는, 하형(48)과, 하형(48)을 향해 승강 가능한 상형(50)을 갖는 다이 세트(12, 12A)와, 다이 세트(12, 12A)가 설치됨과 함께, 상형(50)을 승강시키는 상형 승강 장치(21)를 갖고, 상형(50)의 강하에 대해 역방향으로 상승 가능한 프레스 유닛(11)과, 워크(W)를 기준 높이 위치에 보유 지지하여 소정 평면 위치로 반송하는 워크 보유 지지 장치인 제1 클램퍼(13) 및 제2 클램퍼(14)와, 워크(W)를 펀칭할 때, 상형(50)(다이(23))이 워크(W)의 상부 기준면(K)에 맞닿는 타이밍으로부터 상형(50)의 강하에 동기하여, 프레스 유닛(11)을 상승시키는 밀어올림 장치(24)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품을 펀칭할 때, 상형(50)(다이(23))의 강하에 동기하여 프레스 유닛(11)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펀칭 전의 워크 보유 지지 위치와 워크 펀칭 직후에 상부 기준면(K)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제품 펀칭 후의 워크(W)가 변형되지 않는다(구부러지지 않는다). 그것으로부터, 그 후의 펀칭 가공에 있어서, 변형이 없는 원하는 형상의 제품(W0)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칭 장치(1)에 있어서, 프레스 유닛(11)은, 밀어올림 장치(24)에 의해 상승 및 강하의 동작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하면, 프레스 유닛(11)의 강하 위치, 상승 위치 및 상승 속도나 강하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유닛(11)의 승강 동작에 관한 충격이나 진동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펀칭 장치(1)에 있어서는, 워크 보유 지지 장치는, 프레스 유닛(11)을 사이에 두고 워크(W)의 이송 방향(Y축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워크 보유 지지 장치는, 워크(W)의 일방측을 보유 지지하는 제1 클램퍼(13)(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와, 제1 클램퍼(13)로부터 전달된 워크(W)의 타방측을 보유 지지하는 제2 클램퍼(14)(제2 워크 보유 지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클램퍼(13)와 제2 클램퍼(14)를 장비함으로써, 제1 클램퍼(13)의 워크 보유 지지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제2 클램퍼(14)로 바꿔서 파지하여 펀칭 가공을 행하면, 종래 불가능했던 제1 클램퍼(13)가 워크를 보유 지지하는 영역에 있어서도 펀칭 가공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면, 1매의 워크로부터 더 많은 제품을 펀칭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클램퍼(13)와 제2 클램퍼(14) 사이의 워크(W)의 전달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어, 워크(W)의 파지 전환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이 세트(12)에 있어서는, 하형(48)은 펀치(44)를 갖고, 상형(50)은 다이 구멍(54)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다이 세트 구조로 하면, 워크(W)는 하형(48)측으로부터 상형(50)측으로 펀칭된다. 즉, 제품은, 워크(W)의 상방(상형(50)측)으로 펀칭되므로, 하형(48)의 하방측으로 제품(W0)을 낙하시키는 구조보다 제품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다이 세트(12A)에 있어서는, 하형(48)의 펀치(44)가 피어싱용 다이 구멍(57)을 갖고, 상형(50)이 다이 구멍(54)과, 다이 구멍(54)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어싱용 펀치(58)를 갖고 있다. 이러한 다이 세트 구조로 하면, 제품(W0)의 블랭킹과 제품 내측의 피어싱을 동일한 펀칭 공정에서 실시 가능해진다. 피어싱 가공된 워크(W)의 일부(펀칭 스크랩)는 하방측으로 낙하하고, 펀칭된 제품(W0)은 워크(W)의 상방측(상형(50)측)으로 펀칭되게 되어, 펀칭 스크랩과 제품(W0)이 분리되므로 제품(W0)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상형(50)을 승강시키는 상형 승강 장치(21) 및 프레스 유닛(11)을 승강시키는 밀어올림 장치(24)에는, 구동원으로서 서보 모터와 볼 나사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상형 승강 장치(21)와 밀어올림 장치(24)의 강하, 상승의 타이밍과 속도, 이동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X축 구동부(27, 37), Y축 구동부(28, 38)에 있어서도, 구동원으로서 서보 모터와 볼 나사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구동 타이밍, 구동 속도 및 이동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계속해서,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 1이, 보유 지지된 워크(W)의 상부 기준면(K)의 위치를 바꾸지 않도록 상형(50)(다이(23))의 강하에 동기하여 프레스 유닛(11)을 상승시키는 것에 비해, 실시 형태 2는 상형(50)(다이(23))의 강하에 동기하여 워크 보유 지지 장치(제1 클램퍼(13), 제2 클램퍼(14))를 강하시키는 것이 상이하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의 상위 개소를 중심으로, 실시 형태 1(도 4 참조)과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도 4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다이 세트(12)를 단면도로 표시하고 있다. 또한, 펀칭 장치(2)에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다이 세트(12A)도 적합하다. 워크 보유 지지 장치(제1 클램퍼(13), 제2 클램퍼(14))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아치 형상의 프레스 프레임 구조체(60)가 고정되어 있다. 프레스 프레임 구조체(60)는, X축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 프레임(61, 61)과, 양자를 연결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62)에는, 상형 승강 장치(21)가 장비되어 있다. 상형 승강 장치(21)는, 선단측이 다이 플레이트(22)에 고정되고, 다이 플레이트(22)를 통해 상형(50)을 Z축 방향으로 강하시키거나 상승시키거나 한다. 상형 승강 장치(21)의 구성은, 실시 형태 1(도 4 참조)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펀치 플레이트(46)는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여기서는, 주로 제1 클램퍼(63) 및 제2 클램퍼(6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의 제1 클램퍼(63) 및 제2 클램퍼(64)의 평면 구성은, 실시 형태 1(도 2 참조)에 기재된 제1 클램퍼(13) 및 제2 클램퍼(14)와 동일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램퍼(63)는 X축 구동부(27) 및 X축 구동부(27)의 상부에 배치되는 Y축 구동부(28)를 갖고 있다. X축 구동부(27) 및 Y축 구동부(28)는 모두,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예를 들어, 볼 나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X축 기구부(27)는, 워크(W)를 X축 가이드 레일(29)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Y축 구동부(28)는, 워크(W)를 Y축 가이드 레일(30)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X축 구동부(27) 및 Y축 구동부(28)는, 실시 형태 1(도 2 참조)과 동일한 구성이다.
Y축 구동부(28)의 상부에는, 워크(W)를 강하시키거나 상승시키거나 하는 워크 승강 기구부(65)와, 워크(W)를 수평하게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부(35)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기구부(35)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이다. 워크 승강 기구부(65)는,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예를 들어, 볼 나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워크 승강 기구부(65)는, 상형(50)(다이(23))의 강하에 동기하여 워크(W)를 강하시키고, 상형(50)(다이(23))의 상승에 따라서 워크(W)를 상승시킨다. 본 실시 형태 2의 제1 클램퍼(63)는, 워크 승강 기구부(65)를 부가하는 구성 이외에는, 실시 형태 1의 제1 클램퍼(13)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클램퍼(64)는, X축 구동부(37) 및 X축 구동부(37)의 상부에 배치되는 Y축 구동부(38)를 갖고 있다. X축 구동부(37) 및 Y축 구동부(38)는 모두, 서보 모터와 서보 모터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예를 들어, 볼 나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X축 기구부(37)는, 워크(W)를 X축 가이드 레일(39)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Y축 구동부(38)는, 워크(W)를 Y축 가이드 레일(40)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X축 구동부(37) 및 Y축 구동부(38)는 실시 형태 1(도 2 참조)과 동일한 구성이다.
Y축 구동부(38)의 상부에는, 워크(W)를 강하시키거나 상승시키거나 하는 워크 승강 기구부(65)와, 워크(W)를 수평하게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부(35)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기구(35) 및 워크 승강 기구부(65)는, 제1 클램퍼(63)와 동일한 구성이다. 워크 승강 기구부(65)는, 상형(다이(23))의 강하에 동기하여 워크(W)를 강하시키고, 다이의 상승에 따라서 워크(W)를 상승시킨다. 본 실시 형태 2의 제2 클램퍼(64)는, 워크 승강 기구부(65)를 부가한 것 이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제2 클램퍼(14)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에 의한 워크(W)의 펀칭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10의 (A)는 워크(W)를 펀칭 위치로 반송한 상태, 도 10의 (B)는 상형(50)의 구성 부재인 다이(23)가 워크(W)의 상면(상부 기준면(K)으로 함)에 맞닿은 순간, 도 10의 (C)는 제품을 펀칭한 직후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제품 펀칭 직후의 상태는, 도 6의 (D)를 참조한다. 워크(W)는, 워크 펀칭 시까지 제1 클램퍼(63) 또는 제2 클램퍼(64)에 의해 상시 일정한 높이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즉, 상부 기준면(K)의 위치는, 도 10의 (A), (B)에 있어서 변함없다. 또한, 도 10에서는, 제1 클램퍼(63)를 예시하고, 코일 스프링(5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다이 세트(12)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W)는 제1 클램퍼(63)로 보유 지지되어, 가동 스트리퍼(47) 상에 적재되어 있다. 다이(23)는 상사점에 위치하고, 워크(W)와의 사이에는 간극(S1)이 있다. 또한, 펀치(44)의 상면은, 가동 스트리퍼(47)의 상면과 일치하고 있어도 되고, 약간 하방에 있도록 해도 된다. 도 10의 (B)는, 다이(23)를 강하시켜 워크(W)의 상면에 맞닿게 한 순간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에는, 가동 스트리퍼(47)는 움직이지 않는다.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23)가 워크(W)의 상부 기준면(K)에 맞닿은 후, 워크(W)를 펀칭하는 스트로크(S2)만큼 다이(23)는 강하한다. 다이(23)의 강하에 동기하여 워크 승강 기구부(65)에 의해 제1 클램퍼(63)를 강하시킨다. 즉, 제1 클램퍼(63)가 보유 지지하고 있는 상부 기준면(K)을 펀칭 후의 워크(W)의 상부 기준면(K)과 동일한 높이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상대적인 기준 위치(K)는 변함없으므로 워크(W)는 구부러지는 일이 없어, 이후의 펀칭에 있어서 제품(W0)을 변형 없이 형성할 수 있다. 제2 클램퍼(64)에 있어서도, 제1 클램퍼(63)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제품을 변형 없이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관한 펀칭 장치(2)는, 하형(48)과, 하형(48)을 향해 승강 가능한 상형(50)과, 상형(50)(다이(23))을 승강시키는 상형 승강 장치(21)와, 워크(W)를 보유 지지하여 소정 평면 위치로 반송하는 워크 보유 지지 장치인 제1 클램퍼(63) 및 제2 클램퍼(64)를 갖고, 제1 클램퍼(63) 및 제2 클램퍼(64)는 워크(W)를 펀칭할 때, 상형(50)(다이(23))이 강하하고 워크(W)의 상부 기준면(K)에 맞닿는 타이밍에 상형(50)(다이(23))의 강하에 동기하여 워크(W)를 강하시키는 워크 승강 기구부(65)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펀칭 장치(2)는, 제품(W0)을 펀칭할 때, 상형(50)(다이(23))의 강하에 동기하여 워크(W)를 강하시키기 때문에, 펀칭 시 및 펀칭 후의 워크(W)의 상부 기준면(K)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제품(W0)을 펀칭한 후의 워크가 변형되지 않는다. 그것으로부터, 이후의 펀칭 가공에 있어서, 변형이 없는 원하는 형상의 제품(W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의 펀칭 방법은, 실시예 1의 다이 세트(12)(도 4 참조) 및 실시예 2의 다이 세트(12A)(도 5 참조) 모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프레스 유닛(11)의 승강 수단으로서 상형 승강 장치(21)와 거의 동일한 구성의 밀어올림 장치(24)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스 유닛(11)과 베이스(10) 사이에 쐐기 형상의 밀어올림 부재를 사용하여, 이 밀어올림 부재를 압입하여 프레스 유닛(11)을 상승시키고, 인출하여 강하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 1, 2는, 워크(W)의 한쪽 단부를 제1 클램퍼(13)로, 다른 쪽 단부를 제2 클램퍼(14)로 각각 바꿔서 파지하여 보유 지지하는, 이른바 편측 지지 구조이지만, 워크(W)를 양측 지지 구조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클램퍼(13), 제2 클램퍼(14) 각각에 워크(W)의 이송 방향 양단부 코너부의 4개소에 클램프를 설치하여 양단부 지지로 해도 되고, 제1 클램퍼(13)와 제2 클램퍼(14)로 동시에 워크(W)를 보유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클램퍼(13)만의 구성으로 하고, 제1 클램퍼(13)로 워크(W)를 제2 클램퍼(14)의 보유 지지 영역까지 반송하여 가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2 : 펀칭 장치
11 : 프레스 유닛
12, 12A : 다이 세트
13, 63 : 제1 클램퍼
14, 64 : 제2 클램퍼
21 : 상형 승강 장치
23 : 다이
24 : 밀어올림 장치
44 : 펀치
48 : 하형
50 : 상형
54 : 다이 구멍
57 : 피어싱용 다이 구멍
58 : 피어싱용 펀치
59 : 가동 스트리퍼
K : 상부 기준면
W : 워크
W0 : 제품
11 : 프레스 유닛
12, 12A : 다이 세트
13, 63 : 제1 클램퍼
14, 64 : 제2 클램퍼
21 : 상형 승강 장치
23 : 다이
24 : 밀어올림 장치
44 : 펀치
48 : 하형
50 : 상형
54 : 다이 구멍
57 : 피어싱용 다이 구멍
58 : 피어싱용 펀치
59 : 가동 스트리퍼
K : 상부 기준면
W : 워크
W0 : 제품
Claims (6)
1매의 워크로부터 제품을 순차 펀칭해 가는 펀칭 장치이며,
하형과, 상기 하형에 대해 승강 가능한 상형을 갖는 다이 세트와,
상기 다이 세트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상형을 승강시키는 상형 승강 장치를 갖고, 상기 상형의 강하에 대해 역방향으로 상승 가능한 프레스 유닛과,
상기 워크를 기준 높이 위치에 보유 지지하여 소정 평면 위치로 반송하는 워크 보유 지지 장치와,
상기 워크를 펀칭할 때, 상기 상형이 상기 워크의 상부 기준면에 맞닿는 타이밍에 상기 상형의 강하에 동기하여 상기 프레스 유닛을 상승시키는 밀어올림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하형과, 상기 하형에 대해 승강 가능한 상형을 갖는 다이 세트와,
상기 다이 세트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상형을 승강시키는 상형 승강 장치를 갖고, 상기 상형의 강하에 대해 역방향으로 상승 가능한 프레스 유닛과,
상기 워크를 기준 높이 위치에 보유 지지하여 소정 평면 위치로 반송하는 워크 보유 지지 장치와,
상기 워크를 펀칭할 때, 상기 상형이 상기 워크의 상부 기준면에 맞닿는 타이밍에 상기 상형의 강하에 동기하여 상기 프레스 유닛을 상승시키는 밀어올림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유닛은, 상기 밀어올림 장치에 의해 상승 및 강하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상기 프레스 유닛은, 상기 밀어올림 장치에 의해 상승 및 강하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 보유 지지 장치는, 상기 프레스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워크의 이송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워크 보유 지지 장치는, 상기 워크의 일방측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와, 상기 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워크의 타방측을 보유 지지하는 제2 워크 보유 지지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상기 워크 보유 지지 장치는, 상기 프레스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워크의 이송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워크 보유 지지 장치는, 상기 워크의 일방측을 보유 지지하는 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와, 상기 제1 워크 보유 지지 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워크의 타방측을 보유 지지하는 제2 워크 보유 지지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은 펀치를 갖고, 상기 상형은 다이 구멍이 마련된 다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상기 하형은 펀치를 갖고, 상기 상형은 다이 구멍이 마련된 다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의 펀치가 피어싱용 다이 구멍을 갖고, 상기 상형이 상기 다이 구멍과 당해 다이 구멍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어싱용 펀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상기 하형의 펀치가 피어싱용 다이 구멍을 갖고, 상기 상형이 상기 다이 구멍과 당해 다이 구멍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어싱용 펀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 장치.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096397A JP6246968B1 (ja) | 2017-05-15 | 2017-05-15 | 打ち抜き装置 |
JPJP-P-2017-096397 | 2017-05-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5391A KR20180125391A (ko) | 2018-11-23 |
KR102035422B1 true KR102035422B1 (ko) | 2019-10-22 |
Family
ID=6065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3595A KR102035422B1 (ko) | 2017-05-15 | 2018-05-10 | 펀칭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246968B1 (ko) |
KR (1) | KR102035422B1 (ko) |
CN (1) | CN10885644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47439A (zh) * | 2018-08-29 | 2018-12-21 | 马鞍山瑞恒精密制造有限公司 | 薄壁工件侧壁的打点工装 |
CN109500250A (zh) * | 2018-12-27 | 2019-03-22 | 浙江炜驰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斜顶侧冲孔翻边复合模 |
CN109676035B (zh) * | 2019-02-21 | 2024-02-09 | 浙江鑫淼汽车部件有限公司 | 一种无废料在线冲压模具 |
CN113002038B (zh) * | 2019-12-19 | 2023-04-07 | 倍科有限公司 | 冲压装置以及冲压方法 |
CN111745740B (zh) * | 2020-06-29 | 2022-02-22 | 浙江洁美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子元器件承载带条收纳孔的制造方法、带条的制备方法及获得的带条 |
CN112509499A (zh) * | 2021-01-06 | 2021-03-16 | 上海迈饰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立体视觉孔板及其制造设备 |
CN113600664B (zh) * | 2021-10-09 | 2021-11-30 | 南通铭朗建筑机械有限公司 | 建筑机械金属冲压加工用无切削成型夹紧装置 |
KR102604874B1 (ko) * | 2022-03-10 | 2023-11-22 |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 전극 시트용 컷팅 장치 |
CN116237409B (zh) * | 2023-05-11 | 2023-07-04 | 山东中特新能源有限公司 | 一种铝单板加工冲压设备 |
CN116351953B (zh) * | 2023-06-01 | 2023-08-08 | 山东清华金属制品有限公司 | 一种金属件自动冲孔机 |
CN117380832B (zh) * | 2023-12-11 | 2024-02-20 | 常州惠武精密机械有限公司 | 一种具有定位功能的喷丝板加工用冲孔机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8138U (ko) * | 1979-07-12 | 1981-02-17 | ||
JPS584244U (ja) * | 1981-06-29 | 1983-01-12 | 富士通株式会社 | 揺動形保持機構 |
US4594870A (en) * | 1982-11-25 | 1986-06-17 | Shin-Meiwa Industry Co., Ltd. | Automatic bending apparatus |
JP2012218061A (ja) | 2011-04-13 | 2012-11-12 | Honda Motor Co Ltd | プレス成形装置 |
-
2017
- 2017-05-15 JP JP2017096397A patent/JP6246968B1/ja active Active
-
2018
- 2018-05-10 KR KR1020180053595A patent/KR1020354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5-14 CN CN201810457530.7A patent/CN108856445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246968B1 (ja) | 2017-12-13 |
CN108856445A (zh) | 2018-11-23 |
CN108856445B (zh) | 2019-12-24 |
KR20180125391A (ko) | 2018-11-23 |
JP2018192489A (ja) | 2018-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5422B1 (ko) | 펀칭 장치 | |
KR100715422B1 (ko) | 다공정 프레스 시스템 | |
US7726166B2 (en) | Multi-step press system | |
CN111699056B (zh) | 基于视觉的冲压机的自动上下料装置、方法及冲压设备 | |
CN111250599B (zh) | 一种窗帘杆金属件冲压步进模 | |
US7562551B2 (en) | Press die set for a multi-step press system | |
JP2001079622A (ja) | プレス加工機 | |
CN110788358B (zh) | 多轴对立钻床 | |
KR100872498B1 (ko) | 프레스 가공 장치 | |
JP7144851B2 (ja) | 接続部切断装置及び接続部切断方法 | |
CN111745047A (zh) | 冰箱门饰条自动生产线 | |
CN213317097U (zh) | 一种自动冲切出料机构 | |
CN111215523A (zh) | 一种支架弯曲成型装置 | |
CN208555763U (zh) | 片材多工序冲床冲压自动传输装置 | |
CN111801177A (zh) | 基于视觉的冲压机的自动上下料装置、方法及冲压设备 | |
JP2010194581A (ja) | プレス装置 | |
JPH0919914A (ja) | グリ−ンシ−ト積層装置 | |
KR101966319B1 (ko) | 프레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프레스 방법 | |
KR101203873B1 (ko) | 버튼을 브래킷에 고정 결합시키는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금형장치 | |
JPH0618655Y2 (ja) | プレス成形装置 | |
CN107790572A (zh) | 一种冲压输送装置 | |
CN218395657U (zh) | 一种冲压一出二向多工位上料装置 | |
CN218693300U (zh) | 一种物料抓取机构 | |
CN107734854B (zh) | 一种全自动冲贴机 | |
JP2563868Y2 (ja) | トランスファフィーダの把持爪昇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