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264B1 -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5264B1 KR102035264B1 KR1020180120301A KR20180120301A KR102035264B1 KR 102035264 B1 KR102035264 B1 KR 102035264B1 KR 1020180120301 A KR1020180120301 A KR 1020180120301A KR 20180120301 A KR20180120301 A KR 20180120301A KR 102035264 B1 KR102035264 B1 KR 1020352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lens
- inspection
- unit
- lens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5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D11/0098—Inspecting len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G01N2021/9583—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주조법에 의해 제조되는 컨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에 탑재하여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분리시스템의 렌즈분리부(11)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하고 구동수단(111)을 장착하는 베이스부(110); 베이스부(110)의 상측에서 구동수단(111)에 축결합하여 일정 피치에 따라 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회전 및 정지하는 검사테이블(120); 검사테이블(120) 상에서 복수를 환형으로 배치하고 렌즈분리부(11)에서 컨택트렌즈를 공급받아 렌즈 엣지가 저면에 당접하도록 취부하는 고정부(121); 검사테이블(120)의 하측에서 베이스부(110)에 장착하고 검사테이블(120)의 정지 상태에서 고정부(121)의 저면에 대향하도록 구비하여 컨택트렌즈를 검사하는 검사부(130); 및 검사테이블(120)의 일측에 설치하고 검사부(130)와 연동하여 정상 또는 비정상 컨택트렌즈를 각각 분리 배출하는 렌즈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분리시스템 내에서 즉시 자동으로 검사하여 신속하게 선별 배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조법에 의해 제조되는 컨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 내에 탑재하여 분리된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즉시 자동으로 검사하고 선별 배출하는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택트렌즈는 시력 교정이나 치료와 같은 의학용, 또는 미용 등의 목적에서 눈의 각막에 장착하는 렌즈이다. 안경에 비해 수차가 거의 없고 시야가 넓으며 외관상 착용 상태를 거의 표시하지 않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컨택트렌즈가 장착되는 안구의 각막은 대략 구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컨택트렌즈의 구조 역시 그에 맞게 전면 커브, 후면 커브, 및 엣지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컨택트렌즈는 일반적으로 주형 몰드를 이용하는 주조법에 의해 제조한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0976153 호에 공지된 바를 참고하여 개략적인 컨택트렌즈 주조법을 살펴보면, 암형몰드에는 컨택트렌즈의 엣지를 형성하는 엣지단턱이 형성되고 암형몰드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암형몰드와 수형몰드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암·수형 몰드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컨택트렌즈의 원료인 단량체를 주입하고 일정 시간 동안 단량체를 경화시킴으로써 컨택트렌즈의 형상으로 제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주조법에 의해 제조된 컨택트렌즈는 암·수형 몰드의 사이에서 경화되는 과정에서 몰드에 결착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에 의해 몰드로부터 컨택트렌즈를 분리시키는 작업이 수반된다.
이와 관련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써 한국등록특허 제 10 - 1566658 호에 공지된 몰드 분리장치에서는 모터에 연결되어 몰드를 이송시키면서 컨택트렌즈의 측면을 커팅하여 몰드부를 분리하기 위한 커팅 및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유사 기술로써 한국등록특허 제 10 - 1463779 호의 몰드 분리장치에는 암몰드와 숫몰드가 결합된 완전몰드를 수용하는 가이드판의 상부에서 완전몰드가 좌ㆍ우 왕복이동 할 때 암몰드를 분리하기 위하여 기울기를 가진 테이퍼부재로 구성되는 테이퍼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출원이 선행출원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800645 호의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에서는 컨택트렌즈가 결착된 몰드를 취합하여 자동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몰드를 예열하여 연화시킨 후 가압하여 몰드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컨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일부 박리시킨 상태에서 분리부에서 진공 흡착에 의해 분리시키는 일련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몰드 분리장치는 암몰드와 숫몰드의 사이에서 경화된 콘텍트렌즈의 측면을 커팅한 후 암몰드의 하부가 폐기부재에 걸린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폐기부재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암몰드가 들어올려져 숫몰드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다른 예로든 컨택트렌즈 분리장치 역시 암몰드와 숫몰드가 결합된 완전몰드를 기울기를 가진 테이퍼부로 이송하여 암몰드가 분리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종래 기술의 분리장치는 기울기를 형성하는 폐기부재 또는 테이퍼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암몰드 및 숫몰드의 간극을 점차 확대시키면서 암몰드를 숫몰드로부터 들어올려 컨택트렌즈를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주조시 경화 과정에서 몰드에 긴밀한 결착된 상태에 있는 컨택트렌즈의 커브 또는 엣지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창출된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에서는 예열방식에 의해 몰드를 변형하여 분리함으로써 분리시스템에 의한 손상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고는 있으나 분리된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검사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주조법에 의해 제조되는 컨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에 탑재하여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분리시스템의 렌즈분리부(11)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하고 구동수단(111)을 장착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측에서 구동수단(111)에 축결합하여 일정 피치에 따라 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회전 및 정지하는 검사테이블(120);
상기 검사테이블(120) 상에서 복수를 환형으로 배치하고 렌즈분리부(11)에서 컨택트렌즈를 공급받아 렌즈 엣지가 저면에 당접하도록 취부하는 고정부(121);
상기 검사테이블(120)의 하측에서 베이스부(110)에 장착하고 검사테이블(120)의 정지 상태에서 고정부(121)의 저면에 대향하도록 구비하여 컨택트렌즈를 검사하는 검사부(130); 및
상기 검사테이블(120)의 일측에 설치하고 검사부(130)와 연동하여 정상 또는 비정상 컨택트렌즈를 각각 분리 배출하는 렌즈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분리시스템 내에서 즉시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주조법에 의해 제조되는 컨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시스템에 탑재하여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분리시스템 내에서 즉시 자동으로 검사하여 신속하게 선별 배출할 수 있는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검사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서도 분리시스템 내에서 컨택트렌즈의 성형 과정에서 생성되는 미세 기포나 패턴 이상, 스크래치, 커브의 센터링 불량, 및 분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엣지 크랙과 같은 각종 제품 이상유무를 신속하게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분리 및 검사 공정 전반을 효율화하고 시스템 구성을 최적화하여 작업 프로세스를 간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증대하고 제품 품질 및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포함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는 주조법에 의해 제조되는 컨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에 탑재하여 분리된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검사한 후 분리 배출하는 검사장치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100)는 베이스부(110)와, 검사테이블(120)과, 검사부(130), 및 렌즈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검사장치(100)가 탑재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은 컨택트렌즈를 상부에 결착한 몰드를 취합하여 공급하는 피더부와, 캠부를 중심으로 원형서킷의 내측을 따라 방사상으로 구비하여 몰드를 변형하면서 이송하는 이송부와, 몰드를 일정 온도로 예열하는 예열부와, 예열된 상태로 이송되는 몰드에 결착된 컨택트렌즈를 진공 흡착하여 분리하는 렌즈분리부(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기와 같은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의 렌즈분리부(11)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하고 구동수단(111)을 장착하여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측에는 후술하게 될 검사테이블(120)이 결합하므로 베이스부(110)의 높이는 렌즈분리부(11)의 작동범위에서 검사테이블(120)의 일측에 컨택트렌즈가 공급될 수 있는 범위로 구비한다.
상기 구동수단(111)은 하기 검사테이블(120)에 동력을 전달하며 서보모터나 인덱스 기어모터를 적용하여 검사테이블(120)을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한다. 상기 구동수단(111)은 고정부(121) 및 검사부(130)와 연동하여 검사테이블(120)을 일시 정지 또는 재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검사테이블(120)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측에서 구동수단(111)에 축결합하여 일정 피치에 따라 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회전 및 정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검사테이블(120)은 원판형으로 형성하여 구동수단(111)의 수직축에 중심부를 결합한다. 검사테이블(120) 상에는 외주연을 따라서 환형으로 배치하는 복수의 고정홀을 상, 하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하기 고정부(121)를 결합한다.
상기 검사테이블(120)의 중심에는 공압수단(112)을 장착하여 환형으로 배치되는 하기 고정부(121)와 연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검사테이블(120)의 회전 및 정지간 피치는 검사테이블(120) 상에 구비하는 고정부(121) 간의 간격에 상응하도록 구동수단(111)을 설정하여 구현한다. 상기 검사테이블(120)의 주변에는 렌즈분리부(11), 검사부(130), 및 렌즈배출부(150)가 구비되는바, 검사테이블(120)의 회전 방향은 하기 고정부(121)가 렌즈분리부(11)에서 검사부(130)를 거쳐 렌즈배출부(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정한다.
상기 고정부(121)는 상기 검사테이블(120) 상에서 복수를 환형으로 배치하고 렌즈분리부(11)에서 컨택트렌즈를 공급받아 렌즈 엣지가 저면에 당접하여 취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부(121)를 검사테이블(120)상에 형성된 고정홀에 상응하는 6개소에 환형 배치하였으나 검사테이블(120)과 렌즈분리부(11) 및 렌즈배출부(150) 간의 작동범위에 따라서 배치 수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부(121)는 렌즈분리부(11)에 의해 검사테이블(120)로 공급되는 컨택트렌즈를 안착하는 안착패널(122)과, 안착된 컨택트렌즈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23), 및 고정수단(123)을 동작하는 작동수단(125)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패널(122)은 검사테이블(120)의 상, 하면을 관통하는 고정홀에 결합하여 컨택트렌즈를 상면 중심에 안착하고 하측 검사부(130)에 투시하는 원판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안착패널(122)은 유리 또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되 검사테이블(120)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서 안착패널(122)의 상면이 구비되도록 결합한다. 이는 하기 고정수단(123)의 압축 및 이완 작동시 안착패널(122)과 검사테이블(120) 간의 경계에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수단(123)은 안착패널(122)의 상면 좌, 우 양측에서 상호 대칭하는 한 쌍을 구비하여 컨택트렌즈의 양 측면을 파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양측 고정수단(123)은 검사테이블(120)의 중심을 향해 위치하는 각각의 선단부는 하기 작동수단(125)에 결합하여 고정기점을 형성하고, 검사테이블(120)의 외주연을 향하는 각각의 말단부는 호형의 작동반경을 이루도록 구비한다.
상기 양측 고정수단(123)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각각 컨택트렌즈의 좌, 우측 엣지에 상응하는 반원형의 고정홈(124)을 상호 대칭하도록 요입 형성한다. 따라서, 안착패널(122)의 상면에 엣지가 당접하도록 안착되는 컨택트렌즈의 좌, 우 양측 외주연이 양측 고정홈(124)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파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23)의 최대 압축 상태에서 양측 고정홈(124)에 의한 중심은 안착패널(122) 및 검사부(130)의 중심과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컨택트렌즈가 고정수단(123)에 의해 파지시 컨택트렌즈의 중심이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검사부(130)에 의한 검사 정밀도를 일관되게 도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작동수단(125)은 검사테이블(120)의 중심에 장착하는 공압수단(112)과 연동하여 상기 고정수단(123)을 안착패널(122)의 중심을 향해 압축 및 이완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작동수단(125)은 양측 고정수단(123)의 선단부를 수용하되 공압수단(112)에 의해 발생하는 공압의 공급 및 배출에 따라 고정수단(123)의 선단부를 회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공압수단(112)은 복수의 고정부(121)마다 구비되는 작동수단(125) 각각에 공압을 차등 적용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고정부(121)의 상태 및 위치에 따라서 고정수단(123)의 압축 및 이완 상태를 차등 적용하도록 구성하며 이에 관한 작동 관계는 후술한다.
상기 검사부(130)는 검사테이블(120)의 하측에서 베이스부(110)에 장착하고 검사테이블(120)의 정지 상태에서 고정부(121)의 저면에 대향하도록 구비하여 컨택트렌즈를 검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검사부(130)는 동화상 및 3차원 인식에 의해 피검물의 상태를 시각적 판별하는 장치로써 통상의 비전카메라를 이용한 VIS장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130)는 고정부(121)의 안착패널(122) 상에 안착되어 고정수단(123)에 의해 고정된 컨택트렌즈를 안착패널(122) 하측에서 투시하여 인지하고 기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검출한다. 상기 검사부(130)의 검사결과는 하기 렌즈배출부(150)에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검사부(130)는 베이스부(110)에 장착하여 카메라가 상향하도록 구비하는바, 검사부(130)의 위치는 상기 검사테이블(120)의 정지 시점에 고정부(121)의 중심과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검사부(130)와 동축선상의 검사테이블(120)의 상측에는 소정의 조광부(140)를 장착하여 연동한다. 조광부(140)는 고정부(121)에 고정된 컨택트렌즈를 향해 빛을 조사함에 따라 검사부(130)의 검사정확도를 증진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렌즈배출부(150)는 검사테이블(120)의 일측에 설치하고 검사부(130)와 연동하여 정상 또는 비정상 컨택트렌즈를 각각 분리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렌즈배출부(150)는 검사부(130)를 통과한 후 렌즈배출부(150)를 향해 접근하는 고정부(121)로부터 컨택트렌즈를 픽업하고 검사부(130)의 검사 결과에 따라서 정상품과 불량품을 각각의 트레이에 선별 배출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렌즈배출부(150)는 고정부(121)를 향해 승강하면서 컨택트렌즈를 진공 흡착하는 진공흡착구(151)를 탑재한다. 렌즈배출부(150)에는 소정의 감지수단을 탑재하여 고정부(121)의 고정수단(123)이 이완된 상태에서 진공흡착구(151)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100)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사장치(100)를 탑재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은 우측에서부터 몰드에서 컨택트렌즈를 분리하는 분리장치(10)와, 분리된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본 발명의 검사장치(100)와, 정상품과 불량품을 최종 배출하는 배출장치(20)를 탑재한다.
분리장치(10)의 피더부에서는 컨택트렌즈를 상부에 결착한 다수의 몰드를 취합하고 컨베이어부로 공급해 1단위씩 정렬하여 이송한다. 분리장치의 이송부에서는 컨베이어부를 거쳐 원형서킷의 이입로를 통과한 몰드를 이입하여 이송한다. 분리장치의 처리부에서는 이송되는 컨택트렌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분리장치의 예열부에서는 컨택트렌즈가 결착된 몰드의 하부를 예열시키며, 예열된 상태의 몰드를 이송하는 이송부가 캠부의 가압구간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원형서킷을 향해 몰드를 가압하여 몰드의 형상을 변형하고 박리시킨다. 분리장치(10)의 렌즈분리부(11)는 몰드로부터 컨택트렌즈를 진공 흡착하여 분리한다.
본 발명의 검사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분리장치(10)의 렌즈분리부(11)로부터 컨택트렌즈를 공급받는다.
우선, 본 발명의 검사장치(100)의 베이스부(110)에 장착된 구동수단(111)을 가동하여 검사테이블(120)을 회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검사테이블(120) 상의 6개소에 고정부(121)를 배치하므로 구동수단(111)은 고정부(121)의 간격에 상응하는 한 피치, 즉 360/6°간격으로 검사테이블(120)을 회전 및 정지시킨다.
상기 검사테이블(120)의 정지 상태에서 렌즈분리부(11)의 하측에 도달하는 고정부(121)에 컨택트렌즈를 공급한다. 이때, 해당 고정부(121)의 양측 고정수단(123)은 공압수단(112)과 연동하는 작동수단(125)에 의해 상호 이완된 상태(개방)로 구비된다. 안착패널(122)의 상면에 컨택트렌즈의 엣지가 당접하도록, 즉 컨택트렌즈의 커브가 상측으로 볼록한 상태를 이루도록 안착한다.
상기와 같이 컨택트렌즈가 안착되면 작동수단(125)은 공압수단(112)과 연동하여 양측 고정수단(123)을 압축(폐쇄)하고 고정홈(124)에 컨택트렌즈의 엣지가 밀착하여 정위치로 고정한다.
상기 검사테이블(120)이 컨택트렌즈가 고정된 고정부(121)가 검사부(130)를 향하도록 즉, 도 2를 참고하면 검사테이블(1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한 피치씩 회전한다. 컨택트렌즈가 고정된 고정부(121)가 검사부(130)의 상측에 도달하면 구동수단(111)은 검사테이블(120)을 일시 정지한다. 이때, 컨택트렌즈와 고정수단(123)의 고정홈(124)과 검사부(130)의 중심은 동축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검사부(130)는 고정부(121)의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안착패널(122)의 하면 및 상면을 투시하여 컨택트렌즈의 상태를 인지하고 기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검출한다.
상기 검사부(130)의 검사과정이 완료되면 구동수단(111)은 검사테이블(120)을 재회전하고 고정부(121)가 렌즈배출부(150)를 향하도록 한 피치씩 회전한다. 컨택트렌즈가 고정된 고정부(121)가 렌즈배출부(150)의 하측에 도달하면 구동수단(111)은 검사테이블(120)을 일시 정지한다. 이때, 해당 고정부(121)의 양측 고정수단(123)은 공압수단(112)과 연동하는 작동수단(125)에 의해 상호 이완된 상태(개방)로 구비된다.
상기 렌즈배출부(150)는 진공흡착구(151)를 작동하여 컨택트렌즈를 픽업하고 검사부(130)와 연동하여 해당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에 따라 별도의 트레이에 선별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컨택트렌즈가 배출된 고정부(121)는 재차 렌즈분리부(11)를 향해 회전하면서 2차 루틴이 시작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총 6개소에 고정부(121)가 마련되므로 1회차 루틴마다 6개의 컨택트렌즈를 검사하고 선별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장치(100)를 거친 컨택트렌즈는 배출장치에 의해 정상품과 불량품으로 구분되어 분리시스템 외부로 최종 배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는 컨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시스템 내서 분리장치와 배출장치 사이에 탑재하여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즉시 자동으로 검사하여 신속하게 선별 배출할 수 있는 검사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과는 별개의 검사시스템을 구축하고 검사공정을 별도 실시함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배제하고 분리시스템 내에서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 예컨대 렌즈의 성형 과정에서 생성되는 미세 기포나 패턴 이상, 스크래치, 커브의 센터링 불량, 및 분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엣지 크랙과 같은 제품상의 문제를 신속하게 자동으로 검사하여 선별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컨택트렌즈의 분리 및 검사 공정 전반을 효율화하고 시스템 구성을 최적화하여 작업 프로세스를 간소화함으로써 생산성을 증대하고 제품 품질 및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도출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00: 검사장치
110: 베이스부
111: 구동수단
112: 공압수단
120: 검사테이블
121: 고정부
122: 안착패널
123: 고정수단
124: 고정홈
125: 작동수단
130: 검사부
140: 조광부
150: 렌즈배출부
151: 진공흡착구
110: 베이스부
111: 구동수단
112: 공압수단
120: 검사테이블
121: 고정부
122: 안착패널
123: 고정수단
124: 고정홈
125: 작동수단
130: 검사부
140: 조광부
150: 렌즈배출부
151: 진공흡착구
Claims (3)
- 주조법에 의해 제조되는 컨택트렌즈를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에 탑재하여 컨택트렌즈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분리시스템의 렌즈분리부(11)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하고 구동수단(111)을 장착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측에서 구동수단(111)에 축결합하여 일정 피치에 따라 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회전 및 정지하는 검사테이블(120);
상기 검사테이블(120) 상에서 복수를 환형으로 배치하고 렌즈분리부(11)에서 컨택트렌즈를 공급받아 렌즈 엣지가 저면에 당접하도록 취부하는 고정부(121);
상기 검사테이블(120)의 하측에서 베이스부(110)에 장착하고 검사테이블(120)의 정지 상태에서 고정부(121)의 저면에 대향하도록 구비하여 컨택트렌즈를 검사하는 검사부(130); 및
상기 검사테이블(120)의 일측에 설치하고 검사부(130)와 연동하여 정상 또는 비정상 컨택트렌즈를 각각 분리 배출하는 렌즈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1)는,
검사테이블(120)의 상, 하면을 관통하는 고정홀에 결합하여 컨택트렌즈를 상면 중심에 안착하고 하측 검사부(130)에 투시하는 원판형의 안착패널(122);
안착패널(122)의 상면 좌, 우 양측에서 상호 대칭하는 한 쌍을 구비하여 컨택트렌즈의 양 측면을 파지하는 고정수단(123); 및
검사테이블(120)의 중심에 장착하는 공압수단(112)과 연동하여 상기 고정수단(123)을 안착패널(122)의 중심을 향해 압축 및 이완 작동하는 작동수단(125);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고정수단(123)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각각 컨택트렌즈의 좌, 우측 엣지에 상응하는 반원형의 고정홈(124)을 상호 대칭하도록 요입 형성하고, 상기 고정수단(123)의 최대 압축 상태에서 양측 고정홈(124)에 의한 중심은 안착패널(122) 및 검사부(130)의 중심과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301A KR102035264B1 (ko) | 2018-10-10 | 2018-10-10 |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301A KR102035264B1 (ko) | 2018-10-10 | 2018-10-10 |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5264B1 true KR102035264B1 (ko) | 2019-10-22 |
Family
ID=6842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0301A KR102035264B1 (ko) | 2018-10-10 | 2018-10-10 |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526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2266A (ko) * | 2020-09-07 | 2022-03-15 | (주)에이아이엠 | 렌즈 표면 결함 검사장치 및 이의 검사방법 |
KR102510061B1 (ko) * | 2022-10-17 | 2023-03-14 | (주)뷰티머스 | 렌즈 및 인몰드 결합체 자동 투입을 통한 분리 시스템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436A (ko) * | 2000-05-26 | 2003-01-14 |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 안경 렌즈 자동화 제조 방법 |
KR100976153B1 (ko) | 2008-08-25 | 2010-08-16 | 김쌍호 |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
KR20110120067A (ko) * | 2010-04-28 | 2011-11-03 | 배성환 |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
KR20120001450A (ko) * | 2010-06-29 | 2012-01-04 | 배성환 |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
KR101463779B1 (ko) | 2013-05-15 | 2014-11-21 | (주)지오메디칼 |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완전몰드 신속분리장치 |
KR101566658B1 (ko) | 2015-04-22 | 2015-11-06 | (주)E.O.S | 콘택트렌즈 측면부 커팅 및 몰드 분리 장치 |
KR101800645B1 (ko) | 2016-05-10 | 2017-11-23 | 주식회사 비엠지 |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
-
2018
- 2018-10-10 KR KR1020180120301A patent/KR1020352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436A (ko) * | 2000-05-26 | 2003-01-14 |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 안경 렌즈 자동화 제조 방법 |
KR100976153B1 (ko) | 2008-08-25 | 2010-08-16 | 김쌍호 |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
KR20110120067A (ko) * | 2010-04-28 | 2011-11-03 | 배성환 |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
KR20120001450A (ko) * | 2010-06-29 | 2012-01-04 | 배성환 | 렌즈몰드 자동 분리장치 |
KR101463779B1 (ko) | 2013-05-15 | 2014-11-21 | (주)지오메디칼 | 정밀사출 콘택트렌즈 생산을 위한 완전몰드 신속분리장치 |
KR101566658B1 (ko) | 2015-04-22 | 2015-11-06 | (주)E.O.S | 콘택트렌즈 측면부 커팅 및 몰드 분리 장치 |
KR101800645B1 (ko) | 2016-05-10 | 2017-11-23 | 주식회사 비엠지 |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2266A (ko) * | 2020-09-07 | 2022-03-15 | (주)에이아이엠 | 렌즈 표면 결함 검사장치 및 이의 검사방법 |
KR102420855B1 (ko) * | 2020-09-07 | 2022-07-14 | (주)에이아이엠 | 렌즈 표면 결함 검사장치 및 이의 검사방법 |
KR102510061B1 (ko) * | 2022-10-17 | 2023-03-14 | (주)뷰티머스 | 렌즈 및 인몰드 결합체 자동 투입을 통한 분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5264B1 (ko) | 컨택트렌즈 분리시스템용 검사장치 | |
KR102403596B1 (ko) | 반도체 소자를 정렬하고 광학적으로 검사하는 장치 | |
US4693375A (en) | Preform handling apparatus | |
KR101070858B1 (ko) | 콘택트렌즈 반몰드식 제조 자동화 시스템의 렌즈 몰드분리장치 | |
JP2013159113A (ja) |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 |
KR101700130B1 (ko) | 서스펜션 베어링의 이중 사출 성형 방법 | |
CN108555735B (zh) | 一种用于石墨烯芯片加工的高效瑕疵处理系统 | |
CN114788021A (zh) | 聚光透镜的高度调整方法和芯片转印方法及聚光透镜的高度调整装置和芯片转印装置 | |
CN111229622B (zh) | 全自动圆柱体或类圆柱体检测装置 | |
CN113858106A (zh) | 一种自动组装检测密封圈的一体化设备 | |
KR101955557B1 (ko) | 컬러 콘택트렌즈 인쇄장치용 몰드지그 정렬기 | |
KR101357533B1 (ko) | 콘택트렌즈 하부몰드 위치조정 지그 | |
CN117309895A (zh) | 一种基于机器视觉的汽车零部件缺陷检测装置及方法 | |
KR20170126608A (ko) |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 |
CN108098568A (zh) | 一种自动研磨装置及自动研磨方法 | |
KR100504334B1 (ko) |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부품 검사장치 및 방법 | |
EP0796724A2 (en) | Ophthalmic lens wafers and receiver for registering such wafers | |
KR101890529B1 (ko) | 지그 착탈식 레이저 융착장치 | |
CN215844322U (zh) | 一种元件检测设备 | |
CN111747079B (zh) | 均能整列原板和分离板的θ轴的混合型显示面板检查装置 | |
JP3805509B2 (ja) | ダイアフラムの漏れ検査装置 | |
KR20220042848A (ko) | 자동 정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리드 탭 검사 장치 | |
CN218797462U (zh) | 一种自动识别剔除残次品装置 | |
CN205325180U (zh) | 热盘自动加工设备 | |
CN218168585U (zh) | 一种自动送料的防滑动多工位滚花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